KR102567399B1 -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399B1
KR102567399B1 KR1020210100630A KR20210100630A KR102567399B1 KR 102567399 B1 KR102567399 B1 KR 102567399B1 KR 1020210100630 A KR1020210100630 A KR 1020210100630A KR 20210100630 A KR20210100630 A KR 20210100630A KR 102567399 B1 KR102567399 B1 KR 10256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netic
power supply
power
lou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749A (ko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주)이지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위드 filed Critical (주)이지위드
Priority to KR102021010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3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는, 천장 근방에 지지된 상태로 마련되되 지상과 천장 사이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키네틱 모션을 수행함과 더불어 주변 영역으로 빛을 발산 가능한 키네틱 루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 및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모듈 지지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제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키네틱 모션과 발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에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키네틱 루버 모듈의 천장 근방까지의 상승과 지상으로의 하강을 위해 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을 건물의 층고 높이에 대응할 정도로 길게 연장하여 준비할 필요가 없고, 심플한 전원공급 구조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관련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of kinetic louver module}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기획된 다양한 키네틱 모션을 연출할 수 있는 키네틱 루버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네틱 아트(Kinetic Art)는 움직임을 본질로 한 예술이다. 키네틱 아트는 정지된 조각에 기계공학적 움직임을 부여하여 공기의 흐름이나 모터에 의해 동력을 얻는 기계 조작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최근 비디오 아트, 레이저 아트, 홀로그래피 등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무한히 발전하고 있는 예술 장르이다.
키네틱 아트는 움직이는 예술 작품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소재와 빛의 효과에 따라 움직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타 장르의 미디어 아트와 결합하여 광고, 브랜드 홍보, 전시회, 공공조형물, 공연 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키네틱 아트 장치의 움직임은 대부분 키네틱 아트를 제작하는 작가에 의해 조절되거나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며, 이를 위해 작가 또는 개발자가 움직임을 설계하게 된다.
이러한 키네틱 아트 장치는 다양한 분야의 장소에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일 예로 건물의 루버(louver)에 적용되어 사람들에게 동적인 심미감을 제공하고 있다.
루버용으로 적용되는 키네틱 아트 장치는 건물의 천장 근방에 고정되어 키네틱 모션을 연출하며,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지상으로 하강시켜야 한다.
한편, 키네틱 아트 장치에는 다양한 키네틱 모션 연출을 위한 모터 등의 구동부, 발광을 위한 조명부 등이 마련되어 있는바, 이러한 구동부와 조명부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종래에는 전원 케이블, 제어신호 전달을 위한 통신 케이블 등이 키네틱 아트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네틱 아트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키네틱 아트장치를 지상으로 하강시키는 경우, 종래에는 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또한 동시에 지상으로 하강시켜야 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부연하자면, 건물의 층고가 수 미터 ~ 수십 미터일 경우 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또한 대응되는 상당한 길이로 미리 마련되어 키네틱 아트 장치와 동시에 지상으로 내려가도록 별도의 드럼으로부터 풀려지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케이블의 길이 증가에 따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할 수 밖에 없고, 키네틱 아트 장치가 천장 근방에 지지된 상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한 상당한 길이의 케이블이 천장 근방에 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별도의 케이블 지지부재에 지지되어야 하는바 케이블 지지부재에 상당한 부하가 작용할 수 밖에 없는 안정성 측면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키네틱 아트 장치의 승강을 위해 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을 건물의 층고 높이에 대응할 정도로 길게 연장하여 준비할 필요가 없는 심플한 구조의 전원공급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2661호 (2014.06.03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네틱 아트 장치의 천장 근방까지의 상승과 지상으로의 하강을 위해 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을 건물의 층고 높이에 대응할 정도로 길게 연장하여 준비할 필요가 없는 심플한 구조의 전원공급구조를 갖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 근방에 지지된 상태로 마련되되 지상과 천장 사이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키네틱 모션을 수행함과 더불어 주변 영역으로 빛을 발산 가능한 키네틱 루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 및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제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키네틱 모션과 발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는 각각, 상기 건물의 천장 벽면에 고정되며 전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 홀더; 및 상기 상부 홀더에 복수로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부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전원공급부는 각각,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에 복수로 마련되고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의 내벽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복수의 하부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터미널은, 상기 삽입홈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반구 형상의 외면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키네틱 모션과 발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전원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홈으로의 삽입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삽입홈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헤드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며, 외력 미작용시에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에 비해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다가 상기 삽입홈으로의 삽입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삽입홈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밀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와 탄성변형부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으로의 상기 하부 터미널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와 접촉 가능한 상기 상부 터미널의 하방 개구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에 대한 상기 하부 터미널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위치결합유도부는, 상기 상부 홀더에 마련되며,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홀더에 마련되며,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결합홈과 연결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연결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홈의 내면과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외면은, 상기 상부 홀더에 대한 상기 하부 홀더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물의 천장 벽면과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복수의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상호간에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키네틱 루버 모듈의 천장 근방까지의 상승과 지상으로의 하강을 위해 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을 건물의 층고 높이에 대응할 정도로 길게 연장하여 준비할 필요가 없고, 심플한 전원공급 구조를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관련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댐퍼를 추가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지진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건축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진동이 키네틱 루버 모듈로 전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공급부가 제1 전원공급부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키네틱 루버 모듈의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키네틱 루버 모듈을 지상으로 하강시켜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안전사고방지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전원공급부와 제2 전원공급부에 각각 서로간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전원공급부와 제2 전원공급부의 정위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이루어지는 헤드부와 탄성변형부가 전원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마모 발생 가능성이 있는 탄성변형부를 손쉽게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통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가 서로 분리되어 키네틱 루버 모듈이 지상으로 하강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가 일정부분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하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의 하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에서 하부 터미널이 상부 터미널의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에서 키네틱 루버 모듈이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 상승 이동하면서 제1 전원공급부와 제2 전원공급부 간에 정위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는 천장에 위치하여 키네틱 모션을 연출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로의 전원공급구조를 심플하게 적용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위해 키네틱 루버 모듈을 지상으로 하강시켰을때 건축물의 층고와 대략 동일/유사한 길이의 전원 케이블이 필요한 상황을 억제할 수 있고 이러한 길이의 전원 케이블이 천장근방에 위치함으로 인해 키네틱 루버 모듈의 설치 안정성이 위협받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는 전원 연결 뿐만 아니라 통신선 연결도 가능함을 미리 밝힌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는 천장 근방에 승강장치(미도시, 호이스트 등)와 연결된 승강 와이어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마련되되 지상과 천장 사이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키네틱 모션을 수행함과 더불어 주변 영역으로 빛을 발산 가능한 키네틱 루버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키네틱 루버 모듈(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은 모듈 지지 프레임(110) 및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20)을 포함한다.
키네틱 루버 유닛(120)은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며,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20)은 각각 개별적으로 동적인 움직임을 연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움직임 제어에 따라 서로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내도록 연출할 수도 있다.
키네틱 루버 유닛(120)은 제1 루버 프레임부(121), 제2 루버 프레임부(122) 및 승하강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제1 루버 프레임부(121)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 루버 프레임부(122)는 마찬가지로 모듈 지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 루버 프레임부(121)와 연결되는 일단부위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루버 프레임부(121)와 연결된다. 즉, 제1 루버 프레임부(121)와 제2 루버 프레임부(122)의 연결 부위에는 상호간의 힌지 회전을 위한 힌지연결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제1 루버 프레임부(121)와 제2 루버 프레임부(122)는 승하강 구동부(123)를 통해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루버 프레임부(121)와 제2 루버 프레임부(122)에는 각각, 주변 영역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led(미도시)와 led로의 전원 공급과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승하강 구동부(123)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121,122)를 지지하면서 승하강 구동하도록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구동부(123)는 제1 승하강 구동부(124), 제2 승하강 구동부(127) 및 제3 승하강 구동부(131)를 포함한다.
제1 승하강 구동부(124)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과 제1 루버 프레임부(121) 사이를 연결하며, 제1 루버 프레임부(121)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125)와 제1 와이어(125)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권취부(126)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승하강 구동부(127)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과 제2 루버 프레임부(122) 사이를 연결하며, 제2 루버 프레임부(122)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128)와 제2 와이어(128)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 권취부(129)를 갖는다. 또한, 제3 승하강 구동부(131)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과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121,122)의 힌지 연결부분, 즉 힌지연결부(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연결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132)와 제3 와이어(132)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모듈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3 와이어 권취부(133)를 갖는다.
또한, 제1 내지 제3 와이어 권취부(126,129,133)는 각각 제1 내지 제3 와이어가 권취 가능한 윈치드럼(미도시)과 윈치드럼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서보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121)와 제2 루버 프레임부(122)는 발광 및 와이어 구동을 위해 led(미도시)와 서보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는바, 이러한 구성들의 동작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는 이와 같이 led(미도시)와 서보모터(미도시)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 댐퍼(6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공급부(200)는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구체적으로 모듈 지지 프레임(110)의 가장자리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led 발광과 서보모터 구동을 위해 전원을 인가받는다. 덧붙이자면, 제1 전원공급부(200)는 모터 구동을 위한 대전류, led 발광을 위한 소전류 모두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200)는 각각, 상부 홀더(210)와 복수의 상부 터미널(220)을 포함한다.
상부 홀더(210)는 건물의 천장 벽면에 고정되며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전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관련 도면에서는 건물의 천장 벽면과 상부 홀더(210) 사이에 후술하는 댐퍼(600)가 개재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홀더가 천장 벽면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 터미널(220)은 상부 홀더(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터미널(220)은, 하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삽입홈(231)이 형성된 상부 터미널 바디(230)와 상부 터미널 바디(230)의 상단에 연결되고 외부 공급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선(240)을 포함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원공급부(300)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상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200)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되되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2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덧붙이자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정상 운전시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 공급전원은 제1 전원공급부 -> 제2 전원공급부를 통해 led, 서보모터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수리/점검시 제2 전원공급부(300)는 제1 전원공급부(200)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키네틱 루버 모듈이 더욱 용이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종래에는 led, 서보모터로의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선이 키네틱 루버 모듈의 하강 거리(건물의 층고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마련되어 키네틱 루버 모듈의 하강시 전원선도 동시에 하강할 수 밖에 없어 전원선과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가 서로 꼬이거나 얽히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의 분리 구조를 통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전원공급부(300)는 각각, 하부 홀더(310)와 복수의 하부 터미널(320)을 포함한다.
하부 홀더(310)는 모듈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되며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전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부 터미널(320)은 하부 홀더(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며 제1 전원공급부(200)로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터미널(320)은 상부 터미널(220)의 삽입홈(231) 내측으로 삽입시 삽입홈(231)의 내벽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와 같은 탄성 가압을 통해 상부 터미널(220)과 하부 터미널(320) 간의 기구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전류의 통전 또한 한층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터미널(320)은 삽입홈(231)으로부터 분리 가능, 즉 삽입홈(2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하강 이동시에는 삽입홈(231)으로부터 쉽게 이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터미널(320)은 헤드부(330), 전원 연결부(340) 및 탄성변형부(350)를 포함한다.
헤드부(330)는 반구 형상의 외면을 가지며 삽입홈(231)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다.
헤드부(330)는 하부 터미널(320)이 상부 터미널(220)의 삽입홈(231)으로 삽입될 시 초기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반구 형상의 외면을 가짐에 따라 더욱 용이하게 삽입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일정 이상의 곡률을 갖는 헤드부(330)의 외관으로 인해, 하부 터미널 삽입시 헤드부(330)가 상부 터미널 바디(230)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접촉하더라도 용이하게 삽입홈(231)의 중앙 영역으로 삽입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330)의 내측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채워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원 연결부(340)는 헤드부(330)와 이격되고 제1 전원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아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키네틱 모션과 발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다.
탄성변형부(350)는 헤드부(330)와 전원 연결부(34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삽입홈(231)으로의 삽입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변형되어 삽입홈(231)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탄성 밀착을 통해 하부 터미널(320), 즉 탄성변형부(350)와 상부 터미널(220) 간의 상호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밀착 가압을 통해 상부 터미널(220)과 하부 터미널(320) 간의 기구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전류의 통전 또한 한층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350)는 연결부(351)와 복수의 탄성밀착편(352)을 포함한다.
연결부(351)는 전원 연결부(340)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밀착편(352)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며, 헤드부(330)의 단부와 연결부(351)의 단부의 각각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헤드부(330)와 연결부(351)를 연결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탄성밀착편(352)은 외력 미작용시(삽입홈 내에 삽입되기 전 상태)에는 헤드부(330)와 연결부(351)에 비해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호이스트 구동에 의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천장으로 상승하여 탄성밀착편(352)이 삽입홈(231)으로 삽입시, 탄성밀착편(352)은 내측으로 오므라지도록 탄성변형되어 삽입홈(231)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탄성밀착을 통한 효과적인 부분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탄성밀착편(352)의 내측 영역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탄성밀착편(352)에 측방향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삽입홈으로 삽입시) 충분히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변형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330)와 탄성변형부(350)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이루어지는 헤드부(330)와 탄성변형부(350)는 전원 연결부(3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이자면, 호이스트 구동에 의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다수회 반복 승강하여 헤드부(330)와 탄성변형부(350)가 삽입홈(231)으로의 삽입 및 이탈을 반복적으로 수행할시 상부 터미널 바디(230)와 헤드부(330), 탄성변형부(350) 간의 접촉 마찰에 의해 헤드부(330), 탄성변형부(350)의 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삽입홈(231)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이탈하는 탄성밀착편(352)의 마모 발생 가능성이 특히 높을 뿐만 아니라 탄성밀착편(352)의 탄성 복원력 또한 초기상태보다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모가 상당기간 진행될 경우, 특히 탄성밀착편(352)의 탄성 복원력 저감, 표면 마모 등으로 인해 탄성밀착편(352)과 삽입홈(231) 내벽 간의 접촉면적이 초기 상태보다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터미널(220)과 하부 터미널(320) 간의 기구적인 결합력이 약해지고 상호간의 접촉면적 감소에 따른 전류 통전이 불안정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헤드부(330)와 탄성변형부(350)가 전원 연결부(3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헤드부(330)와 탄성변형부(350)의 마모가 상당히 진행되었거나 탄성밀착편(352)의 탄성복원력이 일정 수준이하로 저감된 경우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변형부(350)는 전원 연결부(340)와 나사 결합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가능하고, 작업자는 손쉽게 새로운 것으로 교체 장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터미널(220), 즉 상부 터미널 바디(230)의 하방 개구부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면(232)이 마련된다.
상부 터미널(220)에 대해 하부 터미널(32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부(350)가 삽입홈(231) 내측으로 삽입되는 초기상태에 복수의 탄성밀착편(352)과 상부 터미널 바디(230)의 하단부와의 접촉이 먼저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단 개구를 형성하는 상부 터미널 바디(230)의 하단부가 각이 진 모서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뾰족한 모서리 단부가 탄성밀착편(352)을 국부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밀착편(352)의 형상이 탄성복원 불가하게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밀착편(352)과 삽입홈(231) 내벽간의 접촉면적을 감소하여 안정적인 전류 통전에 있어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터미널(320)의 불량 발생과 내구성 감소로 인해 부품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부 터미널 바디(230)의 하방 개구부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면(232)을 마련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제1 루버 프레임부(121), 제2 루버 프레임부(122)의 정상적인 키네틱 모션은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반면에,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수리 및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고소 작업의 위험성 해소를 위해 승강부(미도시)는 모듈 승강 와이어(150)를 풀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을 지상으로 하강시키며, 이때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 간의 결합상태, 즉 상부 터미널(220)과 하부 터미널(320) 간의 결합상태는 해제된다. 작업자가 점검, 수리를 완료하면 다시 승강부(미도시)는 모듈 승강 와이어(150)를 감으면서 키네틱 루버 모듈(100)을 천장 측으로 상승시키며, 이때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는 상호 결합상태가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전원공급부(300)는 승강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제1 전원공급부(200)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승강부(미도시)를 구동하여 키네틱 루버 모듈(100)을 지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안전사고방지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키네틱 루버 모듈(100)은 모듈 승강 와이어(150)에 의존해서 승강이 이루어지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지상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다시 천장 측으로 상승 이동하면서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 간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보완이 요구된다.
부연하자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상승하는 동안 좌우, 전후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흔들림에 의해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 간의 결합이 방해될 수 있는바, 상호간을 한층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홀더(210)와 하부 홀더(310)에는 각각, 삽입홈(231)에 대한 하부 터미널(320)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40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정위치결합유도부(400)는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결합홈(410)과 결합돌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410)은 뾰족한 단부가 건물의 천장 벽면을 향하도록 상부 홀더(210)에 마련된다. 또한, 결합돌기(420)는 결합홈(410)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부 홀더(310)에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홈(410)과 결합돌기(420)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적용되어 결합홈이 하부 홀더에 마련되고 결합돌기가 상부 홀더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전자(前者)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410)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홈(411)과, 제1 결합홈(411)과 연결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결합홈(412)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돌기(420)는 제1 결합홈(411)에 대응 결합하도록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돌기(421)와, 제2 결합홈(412)에 대응 결합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결합돌기(421)와 연결되는 제2 결합돌기(4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연직선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즉 키네틱 루버 모듈(100)의 흔들림에 의해 연직선상에서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의 중심이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결합돌기(420)의 제1 결합돌기(421)의 뾰족한 단부는 제1 결합홈(411)의 뾰족한 바닥부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뿔 형상의 제1 결합돌기(421)와 제1 결합홈(411) 구조를 통해 삽입홈(231)과 하부 터미널(320)의 정위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결합홈(412)의 내면과 제2 결합돌기(422)의 외면은, 상부 홀더(210)에 대한 하부 홀더(310)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삽입홈(231)에 대한 하부 터미널(320)의 정위치 결합유도 과정을 부연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상승 이동하는 동안 좌우 흔들림에 의해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의 중심이 연직선 방향으로 동일한 일직선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전원공급부(300)가 제1 전원공급부(200) 측으로 접근하면 원뿔 형상의 제1 결합돌기(421)의 경사면과 상부 홀더(210)의 제2 결합홈(412)의 하단 개구부 주변 모서리와 우선적으로 순간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순간 접촉상태에서, 호이스트 구동에 의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더욱 상승 이동하면, 제1 결합돌기(421)의 경사면에 의해 제1 결합돌기(421)의 뾰족한 단부는 제1 결합홈(411)과 제2 결합홈(412)의 중심 영역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돌기(421)의 경사면이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 간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1차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호이스트 구동에 의해 키네틱 루버 모듈(100)이 더욱 상승 이동하면, 제2 결합홈(412)의 내면과 제2 결합돌기(422)의 외면 간의 접촉이 발생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결합홈(412)의 내면과 제2 결합돌기(422)의 외면은 상부 홀더(210)에 대한 하부 홀더(310)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키네틱 루버 모듈의 상승 방향과 동일하게 하부 홀더(310)는 상부 홀더(210)와 정위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홈(412)의 내면과 제2 결합돌기(422)의 외면은 제1 전원공급부(200)와 제2 전원공급부(300) 간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2차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부 홀더(210)에 대한 하부 홀더(310)의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삽입홈(231)에 대한 하부 터미널(320)의 정위치 삽입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는 건물의 천장 벽면과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200)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복수의 댐퍼(600)를 더 포함한다.
댐퍼(600)는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된다. 댐퍼(600)는 지진이나 주변공사 등의 요인에 의해 건축물의 기둥, 천장 등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여 제1 전원공급부(200), 제2 전원공급부(300) 및 키네틱 루버 모듈(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600)는 스프링 구조, 유공압 실린더 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1 전원공급부(200)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의 댐퍼(600) 하측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1 전원공급부(200)는 댐퍼(600)를 통해 일정이상 상쇄된 진동이 제2 전원공급부(300)로 전달되는 것을 일정부분 추가 보완해줄 수 있으며, 상부 홀더(21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진동전달을 일정부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키네틱 루버 모듈 120: 키네틱 루버 유닛
121: 제1 루버 프레임부 122: 제2 루버 프레임부
124: 제1 승하강 구동부 125: 제1 와이어
126: 제1 와이어 권취부 127: 제2 승하강 구동부
128: 제2 와이어 129: 제2 와이어 권취부
131: 제3 승하강 구동부 132: 제3 와이어
133: 제3 와이어 권취부 200: 제1 전원공급부
210: 상부 홀더 220: 상부 터미널
230: 상부 터미널 바디 231: 삽입홈
232: 라운드면 300: 제2 전원공급부
310: 하부 홀더 320: 하부 터미널
330: 헤드부 340: 전원 연결부
350: 탄성변형부 351: 연결부
352: 탄성밀착편 400: 정위치결합유도부
410: 결합홈 411: 제1 결합홈
412: 제2 결합홈 420: 결합돌기
421: 제1 결합돌기 422: 제2 결합돌기
600: 댐퍼

Claims (13)

  1. 천장 근방에 지지된 상태로 마련되되 지상과 천장 사이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키네틱 모션을 수행함과 더불어 주변 영역으로 빛을 발산 가능한 키네틱 루버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 및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을 지지하는 모듈 지지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제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키네틱 모션과 발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의 천장 벽면과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복수의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원공급부는 각각,
    상기 건물의 천장 벽면에 고정되며 전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 홀더; 및
    상기 상부 홀더에 복수로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방이 개구되고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부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전원공급부는 각각,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기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하부 홀더; 및
    상기 하부 홀더에 복수로 마련되고 전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의 내벽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복수의 하부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터미널은,
    상기 삽입홈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반구 형상의 외면을 갖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아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키네틱 모션과 발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전원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삽입홈으로의 삽입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삽입홈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헤드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며, 외력 미작용시에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연결부에 비해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다가 상기 삽입홈으로의 삽입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삽입홈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밀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탄성변형부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전원 연결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으로의 상기 하부 터미널 삽입시, 상기 탄성변형부와 접촉 가능한 상기 상부 터미널의 하방 개구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라운드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에는 각각, 상기 삽입홈에 대한 상기 하부 터미널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결합유도부는,
    상기 상부 홀더에 마련되며,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홀더에 마련되며, 원뿔 형상을 포함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결합홈과 연결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홈에 대응 결합하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연결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홈의 내면과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외면은, 상기 상부 홀더에 대한 상기 하부 홀더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13. 삭제
KR1020210100630A 2021-07-30 2021-07-30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KR10256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30A KR102567399B1 (ko) 2021-07-30 2021-07-30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630A KR102567399B1 (ko) 2021-07-30 2021-07-30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49A KR20230018749A (ko) 2023-02-07
KR102567399B1 true KR102567399B1 (ko) 2023-08-16

Family

ID=8525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630A KR102567399B1 (ko) 2021-07-30 2021-07-30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28Y1 (ko) 2002-03-27 2002-06-24 한대희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 제어장치
KR200397420Y1 (ko) 2005-07-13 2005-10-04 진점남 조명등 램프용 커넥터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KR102086222B1 (ko) 2018-04-06 2020-03-06 심갑섭 수중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34A (en) * 1998-01-23 2000-02-29 Molex Incorporated Terminal pins mounted in flexible substrates
KR101402661B1 (ko) 2013-03-04 2014-06-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미디어 구현용 표면 모듈 및 그 구조물
KR20160090179A (ko) * 2015-01-21 2016-07-29 강희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키네틱 발광 오브젝트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130768B1 (ko) * 2018-12-11 2020-07-06 (주)이지위드 키네틱 아트 장치의 구동유닛 및 이를 갖는 키네틱 아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28Y1 (ko) 2002-03-27 2002-06-24 한대희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 제어장치
KR200397420Y1 (ko) 2005-07-13 2005-10-04 진점남 조명등 램프용 커넥터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KR102086222B1 (ko) 2018-04-06 2020-03-06 심갑섭 수중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749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US7033048B2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JP6142374B1 (ja) 照明昇降装置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200326792Y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2567399B1 (ko)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1132A (ko)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승하강식 자가발전 가로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6795B1 (ko) 연등 리프팅 장치
KR101583611B1 (ko)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KR1010701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 타워
KR20050082833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JP3134683B2 (ja) 屋外用昇降式照明器具
KR101130159B1 (ko) 천장용 등기구의 등기구 승강장치
KR102551843B1 (ko)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KR200227951Y1 (ko) 자동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
CN108507148B (zh) 安装机构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273645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1406165B1 (ko) 안전모듈을 구비한 모노트랙 이동식 조명 장치
KR100896088B1 (ko) 승강형 조명등
JP3112707U (ja) クレーン用照明具取付装置
KR102551845B1 (ko) 키네틱 구조물의 추락방지장치
CN211625044U (zh) 一种遥控控制升降的顶灯
KR200356234Y1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용 고정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