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027B1 -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 Google Patents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027B1
KR102567027B1 KR1020230049423A KR20230049423A KR102567027B1 KR 102567027 B1 KR102567027 B1 KR 102567027B1 KR 1020230049423 A KR1020230049423 A KR 1020230049423A KR 20230049423 A KR20230049423 A KR 20230049423A KR 102567027 B1 KR102567027 B1 KR 10256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electric vehicle
sealing
charg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진 filed Critical 김우진
Priority to KR102023004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외부에 결합되어 우천 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있어서,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개방되고 연통되어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타단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전기차의 충전 단자와 상기 커넥터 간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외측면에 접하며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 개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완충구조물이 내측을 둘러 형성되고, 우천 시 상기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타단부에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가리는 루프가 형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타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하여 전기차의 충전 단자 및 커넥터의 결합 시 밀폐력이 향상되고, 상기 밀폐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가 상기 오목부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밀폐부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의 제1 보강부재와 복수의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밀폐부가 차벽을 향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제1 보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제1 보강부재 사이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COVER FOR EV CHARGER CONNECTOR WITH OPEN BOTTOM FOR EASY MATING WITH EV CHARGER CONNECTOR}
본 발명은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에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가 삽입되어 우천 시 커넥터 일단에 형성된 플러그로의 빗물 유입을 방지하고, 낙하 시 커넥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커버의 일측, 특히 하단부가 개방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나 지름을 가지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의 호환성이 강화된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EV)의 보급화가 높아질수록 우천 시 야외에서 전기차 배터리 충전의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일부 전기차 사용자들은 임시방편으로 충전 시 비닐, 전단지, 팔토시 등으로 가림막을 설치한 상태에서 전기차를 충전하거나, 애프터 마켓에서 판매중인 간이 방수 커버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애프터 마켓에서 판매중인 간이 방수 커버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를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한 후, 전기차의 외측부를 덮는 형태이며, 비닐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방수 커버는 우천 시 빗물이 충전 단자와 충전기 커넥터 간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방수 커버는 차량 외측에 부착되는 물품이어서 사용에 불편함이 존재하고,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를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우천 시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 시 충전 단자와 충전기 커넥터 간 공간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2022년09월05일 자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를 특허출원하여, 2022년11월07일 자로 특허등록(등록특허공보 제10-2465617호, 2022년11월09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받은 바 있다.
선행기술에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나 지름 또는 형태를 가지는 여러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의 호환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나 지름 또는 형태를 가지는 여러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의 호환성이 향상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65617호 (2022년11월09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특히 커버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다양한 크기나 지름 및 형태를 가진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삽입 및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우천 시 전기차를 충전할 때 전기차 충전 단자에 접속한 커넥터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낙하 시 커버 내 완충구조물의 완충작용에 의해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폭발사고 발생 시 커버 내 완충구조물에 의해 방폭에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외부에 결합되어 우천 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개방되고 연통되어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타단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전기차의 충전 단자와 상기 커넥터 간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외측면에 접하며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 개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완충구조물이 내측을 둘러 형성되고, 우천 시 상기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타단부에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가리는 루프가 형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타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하여 전기차의 충전 단자 및 커넥터의 결합 시 밀폐력이 향상되고, 상기 밀폐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가 상기 오목부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밀폐부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의 제1 보강부재와 복수의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밀폐부가 차벽을 향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제1 보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제1 보강부재 사이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의 개방된 하단부의 양단에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된 후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하며 각각 서로 교차되어 상기 밀폐부의 지름을 조절하는 교차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따르면, 일측, 특히 커버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다양한 크기나 지름 및 형태를 가진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삽입 및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우천 시 전기차를 충전할 때 전기차 충전 단자에 접속한 커넥터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낙하 시 커버 내 완충구조물의 완충작용에 의해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폭발사고 발생 시 커버 내 완충구조물에 의해 방폭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하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부재 간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후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후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가 커버 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에 의한 벤츄리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1000)(이하,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1000)’ 또는 '커버(1000)'라는 용어와 혼용함) 및 결합부재(1100)는 실리콘 고무 (Silicone 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축성, 유연성 및/또는 내열성이 있는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1000) 및 결합부재(1100)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1000) 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10)가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10)(이하, ‘커넥터(10)’ 라고도 함)의 외부에 결합된다. 커버(1000)는, 우천 시 커넥터(10)의 내부 및/또는 커넥터(10)의 일단에 형성된 플러그(미도시)로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커넥터(10)의 낙하 시 커넥터(10)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한다. 커넥터(10)는, 전기차에 구비된 충전 단자(미도시)에 일단이 접속되어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외부를 향해 개방되고 서로 연통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커버(1000)의 일단부는 도 1의 도시 상 좌측을 의미하며 커버(1000)의 일단부 내에는 커넥터(10)의 플러그가 위치한다. 그리고 커버(1000)의 타단부는 도 1의 도시 상 우측을 의미하며 커넥터(10)의 손잡이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내부에는 커넥터(10)가 삽입 및 결합되어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커버(1000)의 타단부를 통해 커넥터(10)가 삽입되고, 커버(1000)의 일단부를 통해 커넥터(10)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는 밀폐부(100), 오목부(200) 및 완충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커버(1000)는 전체적으로 일측, 특히 커버(1000)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커넥터(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즉, 밀폐부(100), 오목부(200) 및 완충부(300)의 하단부가 모두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크기 또는 지름이 크거나 작은 커넥터(10)도 커버(1000) 내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만일 커버(1000)의 내부 지름보다 크거나 작은 커넥터(10)가 커버(1000) 내 삽입되는 경우 커버(1000)의 개방된 일측에는 후술하게 될 체결수단(20, 23, 30)에 의해 커넥터(10)의 외주면과 커버(1000)의 내주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100)는, 후술하게 될, 오목부(200)로부터 커버(1000)의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밀폐부(100)는 커버(1000)의 일단부를 이루며, 밀폐부(100)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플러그가 위치한다.
밀폐부(100)는 커넥터(10)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전기차의 충전 단자와 커넥터(10) 간 공간 및/또는 전기차의 충전 단자와 플러그가 접속된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우천 시 외부로부터 빗물이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폐부(100)는, 커넥터(10)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밀폐부(100)의 타단부는 타단방향으로, 즉 오목부(200)의 외주면 상으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밀폐부(100)의 일단부는 커버(1000)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를 향해 가압된 경우,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공간 내 차벽(미도시)과 접하고, 이때 커버(1000)가 전기차를 향해 더욱 가압되면, 밀폐부(100)의 타단부가 오목부(200)의 외주면 상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여 전기차의 충전 단자 및 커넥터(10)의 결합 시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이를 위해 밀폐부(100)의 지름은 오목부(200)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밀폐부(100)의 타단과 오목부(200)의 일단의 연결 부분은 더욱 신축성 및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목부(200)는 밀폐부(100)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부(100)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오목부(200)는 밀폐부(100)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짐에 따라, 오목부(200)의 내주면(201)은 커넥터(1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오목부(200)의 내주면(201)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재(210)가 더 형성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재(210)는 오목부(200)의 내주면(201)과 커넥터(10)의 외주면 간 공간을 형성하고, 이때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오목부(200)의 내주면(201)에 형성된 돌출부재(2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면서 압력을 낮춘다. 즉,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돌출부재(210)에 의해 형성된 좁은 공간에 의해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또한 이는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위해 압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커버(1000) 내 공기의 이동속도를 향상시켜 커넥터(10)에 의해 발생한 열을 순환시켜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 내 유로의 모습은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300)는 오목부(200)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완충부(300)의 내부에는 커넥터(10)의 외측면에 접하며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구조물(310)이 내측을 둘러 형성된다. 이때 완충구조물(310)은 복수 개의 내부공간(315)을 구비한다. 이때 완충구조물(310)의 복수 개의 내부공간(315)는, 낙하 시 충격의 흡수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200)의 내주면(201)을 향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완충부(300)의 타단부에는 우천 시 커넥터(1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커넥터(10)의 일부를 가리는 루프(301)가 형성된다.
완충부(3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루프(301)는, 커넥터(10)가 구비하는 손잡이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루프(301)는 커넥터(10)가 구비하는 손잡이의 일부를 가려 우천 시 커넥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을 일차적으로 차단한다. 루프(3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포함하는 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루프(301)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하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부(100)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보강부재(110)가 형성된다. 보강부재(110)는 밀폐부(100)가 차벽을 향해 가압되고, 밀폐부(100)의 타단부가 오목부(200)의 외주면 상으로 일정 거리 이동할 때 밀폐부(10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보강부재(110)는, 도면의 도시 상,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재(111)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보강부재(113)를 포함한다. 제2 보강부재(113)는 한 쌍의 제1 보강부재(111) 간을 서로 잇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100)의 개방된 일측, 도 2에 도시 상 하단부의 양단, 또는 양측에는 커버(1000)의 내부에 커넥터(10)가 삽입된 후 밀폐부(100)의 지름을 조절하기 위한 교차부재(120)가 형성된다.
교차부재(120)는, 도 3을 참조하면, 밀폐부(100)의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교차부재(121) 및 제2 교차부재(12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교차부재(121)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이 구비되고, 제2 교차부재(123)는 제1 교차부재(121) 간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단일로 구비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차부재(120) 간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교차부재(12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교차부재(121) 간 이격된 공간에 제2 교차부재(123)가 삽입되어 밀폐부(100)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교차부재(123)가 제1 교차부재(121) 간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밀폐부(100)의 지름을 줄인 후, 후술하게 될 체결수단(20, 23, 30)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교차부재(121) 및 제2 교차부재(123)의 내부에는 커넥터(10)에 의해 발생한 열이 배출되거나, 커버(1000) 내 유입된 빗물이 빠지도록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후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후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300)의 내측에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완충구조물(310)이 형성된다. 완충구조물(310)은 커넥터(10)의 낙하 시 커넥터(10)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한다.
완충구조물(310)의 상부면은 커버(10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커넥터(10)의 외측면과 접한다. 완충구조물(310)은 복수 개의 내부공간(315)을 구비하여 커넥터(10)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한다. 완충구조물(310)이 구비하는 복수 개의 내부공간(315)은, 충격 흡수뿐만 아니라, 커버(100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향해 개방되고 연통되어 커버(100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완충구조물(310)의 내부공간(315), 상세하게는 완충구조물(310)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공간(315)을 통해 흐를 수 있어 커넥터(10) 및 플러그 내 빗물의 유입을 막는다. 또한 완충구조물(310)이 구비하는 복수 개의 내부공간(315)은, 충격 흡수 및 빗물이 흐르는 통로뿐만 아니라 커넥터(10)로부터 발생한 열이 이동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로서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완충구조물(310)은, 완충부(300)의 내측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로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는 완충부(300)의 내측을 둘러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도록 결합되어 형성된다. 완충구조물(310)은,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를 제1 열과 제2 열로 구분하는 격벽(3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격벽(317)은 완충구조물(310)의 내부공간(315)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서로 인접한 완충부재(311) 간 형성되는 공간(316)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00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여전히 완충구조물(310)의 내부공간(315)을 통해 흐를 수 있고, 커넥터(10)로부터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도 여전히 완충구조물(310)의 내부공간(315)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의 상부면은 커버(10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커넥터(10)의 외측면과 접한다. 또한 격벽(317)의 상부면도 커버(10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커넥터(10)의 외측면과 접한다. 따라서 완충구조물(310)이 격벽(317)을 더 포함함에 따라 완충구조물(310)의 상부면과 커넥터(10)의 외측면 간 접하는 면적이 더 넓어져 커버(1000) 내부로 삽입된 커넥터(1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단일의 격벽(317)으로 나누어진 인접한 완충부재(311) 간 공간(316)은 커넥터(10)로부터 발생한 열의 배출에도 용이할 수 있다. 도 6에서 격벽(317)을 기준으로 좌측의 완충부재(311)들을 제1 열이라 하고, 격벽(317)을 기준으로 우측의 완충부재(311)들을 제2 열이라 할 때, 제1 열의 완충부재(311) 간 공간(316)의 열은 오목부(200)의 내주면을 통해 커버(1000)의 일단부를 향해 이동하고, 제2 열의 완충부재(311) 간 공간(316)의 열은 커버(1000)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하여 열의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완충구조물(310)이 포함하는 격벽(317)은 하나만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완충구조물(310)이 두 개의 격벽(317)을 포함하는 경우, 양 격벽(317) 간 형성되는 공간은 열이 배출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311)는 각각, 윗면과 아랫면 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인 사다리꼴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311)의 사다리꼴 형상을 살펴보면, 아랫변(312)은 완충부(300)의 일부로 이루어져 곡선의 형상을 가진다. 또는 아랫변(312)은 아랫변(312)의 양 단(314)을 이은 가상의 직선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완충부(300)의 일부로 이루어지며 양 단(314)을 이은 곡선의 형상을 가지거나, 양 단(314)을 직접 이은 가상의 직선인 아랫변(312)에 대향되는 사다리꼴의 윗변(313)은 아랫변(312)의 길이보다 더 짧도록 이루어진다. 즉, 완충부재(311)의 단면은, 아랫변(312)이 윗변(313)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재(311)는 사다리꼴 형상을 아랫면과 윗면으로 하는 사다리꼴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사다리꼴의 윗변(313)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311)의 상부면은 커넥터(10)의 외측면과 접한다. 완충부재(311)의 중심에는 낙하 시 커넥터(1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유입된 빗물이 흐르며, 커넥터(10)로부터 발생한 열이 이동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315)이 형성된다. 한편, 윗변(313)은 커넥터(10)의 외측면에 알맞게 접할 수 있도록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윗변(313)은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는 각각, 아랫변(312)의 양 단(314)이 서로 접하도록 인접하여 완충부(300)의 내측을 둘러 형성된다. 한편, 완충부재(311)의 단면인 사다리꼴에서 윗변(313)은 아랫변(312)보다 그 길이가 짧기 때문에 서로 인접한 완충부재(311) 간에 공간(316)이 형성된다. 완충구조물(310)과 커넥터(10) 간 서로 접하지 않는 면적 또는 공간(316)이 생성됨에 따라 커넥터(10)로부터 발생한 열이 이동할 수 있어 열 배출에 용이하다,
한편,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 간 형성된 공간(31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317)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10)로부터 생성된 열은 완충부재(311) 간 형성된 공간(316)을 통해 커버(100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10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100)가 커버(1000) 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커넥터(10)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커버(1000)의 내부공간에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는, 일 실시예로서, 커버(1000)와 커넥터(10) 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결합부재(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100)는 커넥터(10)의 외측면과 커버(100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즉, 결합부재(1100)의 내측면은 커넥터(10)의 외측면과 접하고, 결합부재(1100)의 외측면은, 완충구조물(310)의 상부면, 더 상세하게는, 완충부재(311)와 격벽(317)의 상부면에 접한다.
이때 커넥터(10)는 결합부재(1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 결합부재(1100)와 함께 커버(10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커버(1000)의 내부공간에 결합부재(1100)가 삽입된 후 결합부재(1100)의 내부공간에 커넥터(10)가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100)는, 도 8을 참조하면, 일단부 및 타단부가 연통되고 개방되어 커넥터(1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결합부재(1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하고 신축성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커넥터(10)의 외측면에 끼워질 때 일부 늘어난 후 압착력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10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돌기(1101)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돌기(1101)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311) 간 형성된 공간(3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결합부재(1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1101)는, 도서로 인접한 완충부재(311) 간 지점의 곡률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1101)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완충부재(311) 간 형성되는 공간(316)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결합부재(1100)와 결합된 커넥터(10)는, 커버(1000)의 내부에서 완충부재(311) 간 형성되는 공간(316)과 결합돌기(1101)의 끼움결합에 의해, 커버(1000) 내에서 밀리거나 이탈되지 않아 고정력이 더욱 상승하고, 충격 발생 시 커버(1000) 내 완충구조물(310)의 형태가 더욱 무너지지 않아 커넥터(1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재(210)에 의한 벤츄리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200)의 내주면(201)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재(210)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재(210)는 오목부(200)의 내주면(201)과 커넥터(10)의 외주면 간 공간을 형성하고, 이때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도 10을 참조하면, 완충부재(311)의 내부공간(315)을 통해 커버(1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돌출부재(210)의 일면은 커넥터(10)와 접하며, 따라서 오목부(200)의 내주면(201) 중 돌출부재(2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커넥터(10) 간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복수 개의 돌출부재(210)에 의해 오목부(200)와 커넥터(10) 간 형성되는 공간은 완충부재(311)의 내부공간(315)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가 일어나게 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오목부(200) 내 형성된 공간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의해 발생한 열이 밀폐부(100)의 내부로 빠르게 이동한다. 밀폐부(100)의 내부로 이동한 열은 결국 밀폐부(100)의 개방된 일측, 즉 커버(1000)의 하단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커넥터(10)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1000)의 일측, 도면의 도시상 하단부는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크기, 지름 또는 형태가 다양한 여러 커넥터(1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부(100)의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교차부재(120)가 형성된다. 이때 교차부재(120)에 의해 밀폐부(100)의 지름이 조절된 후, 체결수단에 의해 조절된 밀폐부(100)의 지름이 고정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일 실시예(20, 23)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체결수단(20, 23)이라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체결수단(20, 23)의 일 실시예는 상면에 복수 개의 톱니(21)가 형성된 스트랩(20) 및 톱니(21)가 고정되는 버클(23)을 포함한다. 스트랩(20)을 버클(23) 내 삽입하면 버클(23) 내에서 복수 개의 톱니(21) 중 어느 톱니(21)가 고정됨에 따라 스트랩(20)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줄일 수 있다. 스트랩(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톱니(21)는 각각 일측에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수직면을 구비하여 버클(23) 내 구비된 걸림돌기(미도시)에 수직면이 걸려 스트랩(20)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결국 밀폐부(100)의 지름을 줄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체결수단(3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홈(33)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수단(31)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체결수단(31)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홈(33) 중 어느 홈(33) 간 서로 끼움결합됨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0)의 개방된 일측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주목할 점은 제1 체결수단(20, 23)의 톱니(21)가 형성된 스트랩(20) 및 버클(23)에 비해 제2 체결수단(30)의 홈(33)에 의한 체결은 그 체결강도가 약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1 체결수단(20, 23)이 밀폐부(100)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밀폐부(100)를 강하게 체결하는 것과 달리 제2 체결수단(30)은 오목부(200) 및 완충부(300)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됨에 따라 간단히 체결 및 체결해제가 가능하다.
이는 밀폐부(100)는 커넥터(10)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밀폐부(100)가 오목부(200)의 외주면으로 이동할 정도로 차벽을 향해 강하게 가압됨에 따라 밀폐부(100)의 체결은 강하게 체결되어야 하는 것과 달리, 오목부(200) 및 완충부(300)는 단지 커넥터(10)에 결합된 커버(1000)가 벗겨지거나 또는 흔들리는 것만을 방지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체결수단의 체결 및 체결해제의 난이도가 약한 것이 커버(1000)의 사용에 더욱 용이하다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 20, 23 : 제1 체결수단
30 : 제2 체결수단 100 : 밀폐부
110 : 보강부재 111 : 제1 보강부재
113 : 제2 보강부재 120 : 교차부재
121 : 제1 교차부재 123 : 제2 교차부재
200 : 오목부 201 : 오목부의 내주면
210 : 돌출부재 300 : 완충부
301 : 루프 310 : 완충구조물
311 : 완충부재
1000 :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1100 : 결합부재 1101 : 결합돌기

Claims (5)

  1.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의 외부에 결합되어 우천 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개방되고 연통되어 상기 커넥터가 위치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일단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타단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커넥터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전기차의 충전 단자와 상기 커넥터 간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는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외측면에 접하며 낙하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 개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완충구조물이 내측을 둘러 형성되고, 우천 시 상기 커넥터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타단부에 상기 커넥터의 일부를 가리는 루프가 형성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가 전기차의 충전 단자에 접속될 때, 타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하여 전기차의 충전 단자 및 커넥터의 결합 시 밀폐력이 향상되고, 상기 밀폐부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강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가 상기 오목부의 외주면 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밀폐부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의 제1 보강부재와 복수의 제2 보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보강부재는 상기 밀폐부가 차벽을 향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재는 상기 제1 보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이며 복수의 상기 제1 보강부재 사이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개방된 하단부의 양단에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된 후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하며 각각 서로 교차되어 상기 밀폐부의 지름을 조절하는 교차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KR1020230049423A 2023-04-14 2023-04-14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KR10256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423A KR102567027B1 (ko) 2023-04-14 2023-04-14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423A KR102567027B1 (ko) 2023-04-14 2023-04-14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027B1 true KR102567027B1 (ko) 2023-08-11

Family

ID=8756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423A KR102567027B1 (ko) 2023-04-14 2023-04-14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448Y1 (ko) * 1989-11-24 1992-05-30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cis) 고정용 가이드 브라켓트
JPH0557776U (ja) * 1991-11-12 1993-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構造
KR0109719Y1 (en) * 1990-07-02 1997-11-19 Amp Inc Connector protecting cover
JP2016167427A (ja) * 2015-03-10 2016-09-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群保護具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20138628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차바치 전기차 충전구 및 충전커넥터 보호 커버
KR102465617B1 (ko) 2022-09-05 2022-11-09 김우진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448Y1 (ko) * 1989-11-24 1992-05-30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cis) 고정용 가이드 브라켓트
KR0109719Y1 (en) * 1990-07-02 1997-11-19 Amp Inc Connector protecting cover
JPH0557776U (ja) * 1991-11-12 1993-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構造
JP2016167427A (ja) * 2015-03-10 2016-09-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群保護具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20138628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차바치 전기차 충전구 및 충전커넥터 보호 커버
KR102465617B1 (ko) 2022-09-05 2022-11-09 김우진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617B1 (ko)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US9515500B2 (en) Portable energy storage and power supply system
US8317534B2 (en) Charging connector
ES2770107T3 (es) Protector de columna y sistema de protección de columna
CN104875595A (zh) 用于电动车的电池组的电连接器附接结构
US9656561B2 (en) Door assembly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CN102195210A (zh) 充电连接器
US11039680B2 (en) Pull-out carrying handle
US20160141738A1 (en) Battery pack
KR102567027B1 (ko) 하단부가 개방되어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와 결합이 용이한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CN104584335B (zh) 充电入口装置
CN107768887A (zh) 一种插线板壳体结构
ES2317536T3 (es) Puente terminal para una bateria.
KR102413083B1 (ko) 전기차 충전기 커넥터용 커버
KR102307654B1 (ko) 전기차용 커넥터 단자구조
CN208970824U (zh) 一种改进型的电动汽车充电枪
ES2936636T3 (es) Conjunto de tapa de enchufe y método de uso del conjunto de tapa de enchufe
CN210349931U (zh) 一种防水电动车锂电池外壳
CN108011240A (zh) 快速充电站充电桩接口用保护结构
JP5516964B2 (ja) 充電装置の充電カプラー
CN215342787U (zh) 一种安全型抗摔电池桶
JP6892750B2 (ja) 車両搭載用構造体
CN206099178U (zh) 电缆保护装置
KR102005700B1 (ko) 충격흡수공간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12572044U (zh) 一种电缆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