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697B1 -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 - Google Patents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697B1
KR102566697B1 KR1020217021219A KR20217021219A KR102566697B1 KR 102566697 B1 KR102566697 B1 KR 102566697B1 KR 1020217021219 A KR1020217021219 A KR 1020217021219A KR 20217021219 A KR20217021219 A KR 20217021219A KR 102566697 B1 KR102566697 B1 KR 10256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exchangeable
separation
separat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792A (ko
Inventor
카스페르 회그룬드
페테르 토르비드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8211240.9A external-priority patent/EP3666385B1/en
Priority claimed from EP18211241.7A external-priority patent/EP3666392A1/en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09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 B04B1/0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 B04B7/14Inserts, e.g. armouring plates for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9/00Drives specially designed for centrifug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ransmission gearing; Suspending or balancing rotary bowls
    • B04B9/12Suspending rotary bowls ; Bearings; Packings for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디스크의 스택(19)이 배열되어 있는 분리 공간(17)을 에워싸는 회전자 케이싱(2), 및 제1 및 제2 고정부(3, 4)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100)용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를 제공한다. 공급물 입구(20)가 상기 분리 공간(17)에 유체 혼합물을 공급한다. 인서트는 경질상 출구(21) 및 중질상 출구(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물 입구(20)는 상기 회전자 케이싱(2)의 제1 축방향 단부(5)에 배열된다. 상기 경질상 출구(21) 및 중질상 출구(22) 중 하나는 제2 축방향 단부(6)에 배열된다. 제1 회전 가능 밀봉부(15)는 상기 공급물 입구(20)를 밀봉하여 연결하고 제2 회전 가능 밀봉부(16)는 상기 경질상 출구(21) 및 중질상 출구(22) 중 하나를 밀봉하여 연결한다.

Description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
본 발명의 개념은 원심 분리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용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원심 분리기는 일반적으로 액체 혼합물 또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액체 및/또는 고체의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동작 중에, 분리될 유체 혼합물은 회전 보울(bowl) 내로 도입되고, 원심력으로 인해 무거운 입자 또는 물과 같은 고밀도 액체가 회전 보울의 주연부에 축적되고, 반면 저밀도 액체는 중심 회전축에 더 가깝게 축적된다. 이는 예를 들어 각각 주연부에 배열되고 회전축에 가까운 상이한 출구에 의해 분리된 분획물의 수집을 허용한다.
발효액과 같은 의약품을 처리할 때, 처리된 제품과 접촉한 분리기 부품 및 회전 보울의 제자리 세정(cleaning-in-place) 프로세스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 유용한 것은 회전 보울을 전체로서 교환하는 것, 즉 단일 사용 용액을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프로세스의 위생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WO 2015/181177은 회전 가능 외부 드럼 및 외부 드럼 내에 배열된 교환 가능한 내부 드럼을 포함하는 유동성 제품의 원심 처리를 위한 분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내부 드럼은 유동성 제품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외부 드럼은 외부 드럼 아래에 배열된 모터에 의해 구동 스핀들을 통해 구동된다. 내부 드럼은 유체 연결부가 분리기의 상부 단부에 배열되어 있는 외부 드럼을 통해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조작자가 취급이 쉬운 원심 분리를 위한 단일 사용 해결책에 대한 요구가 관련 기술분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한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조작자를 위한 증가된 조작성과 취급성을 허용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로서, 원심 분리기용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이며,
분리 디스크의 스택이 배열되어 있는 분리 공간을 에워싸는 회전자 케이싱으로서, 회전자 케이싱은 회전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회전자 케이싱,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로서, 상기 회전자 케이싱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상기 분리 공간으로의 분리될 유체 혼합물의 공급을 위한 공급물 입구,
제1 밀도의 분리된 상의 배출을 위한 경질상 출구(light phase outlet), 및 상기 제1 밀도보다 더 높은 제2 밀도의 분리된 상의 배출을 위한 중질상 출구(heavy phase outlet)로서, 상기 공급물 입구는 상기 회전자 케이싱의 제1 축방향 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경질상 출구 및 중질상 출구 중 하나는 회전자 케이싱의 제1 축방향 단부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되는, 경질상 출구 및 중질상 출구,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공급물 입구를 고정 입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는 제1 회전 가능 밀봉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기 경질상 출구 및 중질상 출구 중 하나를 고정 출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한 제2 회전 가능 밀봉부를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가 제공된다.
회전자 케이싱,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따라서 미리 조립된 인서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원심 분리기 내에 삽입될 준비가 될 수도 있다. 원심 분리기의 회전 가능 부재는 인서트의 회전자 케이싱을 위한 회전 가능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는 회전축(X) 주위로 회전 가능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유닛에 연결될 수도 있는 회전 조립체의 부분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취급되도록 구성된 미리 조립된 인서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서트가 원심 분리기 내에 배열될 때, 및 유사하게, 인서트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종류의 새로운 인서트로 원심 분리기 내에서 교환될 때 인서트를 쉽게 취급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단일 사용 분리 인서트이다. 따라서, 인서트는 단일 사용을 위해 구성되고, 일회용 인서트일 수도 있다. 따라서 교환 가능한 인서트는 제약 산업에서 단일 제품 배치(batch)와 같은 하나의 제품 배치의 처리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이어서 폐기될 수도 있다.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거나 폴리머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회전자 케이싱 및 분리 디스크 스택은 폴리프로필렌, 플래티늄 경화 실리콘 또는 BPA가 없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서트의 폴리머 부분은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부분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리 디스크의 스택은 스테인리스 강의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교환 가능한 인서트는 밀봉된 무균 유닛일 수도 있다.
회전자 케이싱은 기체 혼합물 또는 액체 혼합물과 같은 유체 혼합물의 분리가 발생하는 분리 공간을 에워싸고 있다. 분리 공간은 회전축 주위로 중앙에 배열된 분리 디스크의 스택을 포함한다.
회전자 케이싱은 축방향에서 볼 때, 제1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또한 배열된다. 따라서, 제1 고정부는 하부 고정부일 수도 있고 제2 고정부는 상부 고정부일 수도 있다.
회전자 케이싱은 제1 및 제2 고정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분리될 유체 혼합물을 상기 분리 공간으로 공급하거나 안내하기 위한 공급물 입구는 회전자 케이싱의 제1 축방향 단부에 배열된다. 이는 회전자 케이싱의 하부 단부일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경질상 출구 및 중질상 출구 중 하나는 회전자 케이싱의 제1 축방향 단부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2 단부는 회전자 케이싱의 상부 단부일 수도 있다.
예로서, 경질상 출구와 중질상 출구의 모두는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경질상 출구 및 중질상 출구 중 하나는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되고, 반면 다른 하나는 제1 축방향 단부에 배열된다. 예로서, 중질상 출구는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고, 경질상 출구 및 공급물 입구는 제1 축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공급물 입구를 고정 입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는 제1 회전 가능 밀봉부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입구 도관은 제1 고정부 내에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기 경질상 출구 및 중질상 출구 중 하나를 고정 출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한 제2 회전 가능 밀봉부가 또한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제1 회전 가능 밀봉부는 회전자 케이싱과 제1 고정부 사이의 경계에 배열될 수도 있고, 반면 제2 회전 가능 밀봉부는 회전자 케이싱과 제2 고정부 사이의 경계에 배열될 수도 있다.
회전 가능 밀봉부는 기계적 밀봉부일 수도 있다. 기계적 밀봉부는 밀폐식 밀봉부일 수도 있는데, 이는 고정부와 회전자 케이싱 사이에 기밀 밀봉부를 발생시키는, 즉 회전자 케이싱 및 교환 가능한 인서트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공급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밀봉부를 칭한다. 따라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의 회전자 케이싱은 동작 중에 액체로 완전히 충전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의 동작 중에 회전자 케이싱 내에 공기 또는 자유 액체 표면이 존재하지 않도록 의도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기계적 밀폐식 밀봉부는 수밀 밀봉부와 같은 반밀폐식 밀봉부에 비교할 때, 완전 밀폐식 밀봉부이다.
기계적 밀봉부는 고정부와 회전 가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제1 회전 가능 밀봉부는 인서트의 제1 고정부에 배열된 고정부와 회전자 케이싱의 제1 축방향 단부에 배열된 회전 가능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회전 가능 밀봉부는 인서트의 제2 고정부에 배열된 고정부와 회전자 케이싱의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된 회전 가능부를 포함한다.
입구 도관은 인서트의 하부 축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인서트의 상부 축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기 때문에,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인서트의 하부로부터 분리될 유체 혼합물이 공급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 중 적어도 하나는 인서트의 상부 단부로부터 배출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교환 가능한 인서트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에 입구가 있고 제2 축방향 단부에 2개의 출구를 갖는 것이 조작자에 의한 인서트의 조작성 및 취급을 증가시킨다는 식견에 기초한다. 따라서 각각의 단부에 몇 개의 연결부를 갖는 것은 단부 교환 가능한 인서트의 일 단부에만 모든 연결부를 갖는 것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분리기의 양 단부를 사용하는 것은 회전축(X)에서 처리될 재료를 공급하는 것과 또한 회전축(X)에서 분리된 상 중 하나를 배출하는 것의 모두를 허용하여, 이에 의해 분리된 상 중 하나가 감소된 회전 에너지량으로 배출되게 한다.
예로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가 세포 배양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면, 세포 배양물이 발효기의 하부로부터 직접 회수되고 인서트의 축방향 하부 단부에 있는 입구에 연결될 수도 있고, 세포를 포함하는 분리된 중질상은 인서트의 축방향 상부 단부에서 배출되어, 세포에 의해 경험되는 회전 에너지 및 전단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는 교환 가능한 분리기 인서트가 발효기의 하부로부터 분리기 인서트의 하부로 직접적이고 용이한 연결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상 출구는 제1 축방향 단부에 배열되고 중질상 출구는 제2 축방향 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2 회전 가능 밀봉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기 중질상 출구를 고정 출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경질상은 공급물이 공급되는 위치와 동일한 축방향 단부에서 배출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제1 회전 가능 밀봉부는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경질상 출구를 고정 출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회전 가능 밀봉부는 입구 및 경질상 출구의 모두를 밀봉하기 위한 동심 이중 밀봉부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제1 고정부에서 경질상 출구를 고정 출구 도관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한 제1 기계적 밀봉부 이외의 제3 기계적 밀봉부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회전자 케이싱은 분리된 상을 위한 임의의 다른 출구가 없다.
따라서, 회전자 케이싱은 예를 들어, 분리 공간의 주연부에 축적된 슬러지상을 배출하기 위한 임의의 주연 포트가 없다는 점에서 중실일 수도 있다. 따라서, 교환 가능한 인서트는 단지 경질상 및 중질상 출구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분리 공간은 제1 축방향 위치로부터 제2 축방향 위치로 연장되고, 분리 공간의 내경은 상기 제1 축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축방향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예로서, 분리 공간의 중질상 수집 공간은 제1 축방향 위치로부터 제2 축방향 위치로 연장될 수도 있고, 분리 공간의 내경은 상기 제1 축방향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축방향 위치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 공간의 내경은 축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예로서, 제1 축방향 위치는 입구에 더 가까울 수도 있고 제2 축방향 위치는 출구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간헐적인 감소 없이 내경의 연속적인 증가는 분리 공간의 제2 축방향 위치에서 분리된 중질상의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인서트는 분리 공간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로부터 중질상 출구로 분리된 중질상을 수송하기 위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을 포함한다.
출구 도관은 중앙부로부터 분리 공간 내로 연장하는 파이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출구 도관은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배열된 도관 입구 및 반경방향 내부 위치에 있는 도관 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인서트는 단일 출구 도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인서트는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출구 도관(23), 예로서 적어도 3개 또는 예로서 적어도 5개의 출구 도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분리 공간 내의 도관 입구 개구가 분리 공간의 내부 반경 또는 직경이 최대인 위치에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중질상 출구에 가장 가까운 분리 공간의 축방향 단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분리 공간의 축방향 상부 부분에 배열된다. 예로서, 출구 도관은 분리 공간의 제2 축방향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중질상 출구로의 분리 공간 내의 분리된 중질상의 수송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은 도관 입구로부터 도관 출구까지 반경방향 평면에 대해 경사를 갖고 또는 소정 각도로 배열될 수도 있다. 경사는 출구를 향한 경사일 수도 있다. 이는 도관 내의 분리된 중질상의 수송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는 분리 공간의 중질상 수집 공간으로부터 20 cm 미만, 예로서 10 cm 미만인 축방향 거리에 배열된다.
따라서, 분리 공간은 분리 디스크의 스택의 반경방향 외부에 있는 공간인 중질상 수집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분리 공간은, 따라서 분리 디스크 스택의 디스크 사이의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반경방향 내부 부분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입구에 있는 회전 가능 밀봉부는 회전자 케이싱에 가깝게 배열될 수도 있는데, 즉 제1 고정부는 회전자 케이싱에 가깝게 위치될 수도 있다.
이는 취급이 쉬운 소형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를 제공한다. 또한, 제1 회전 가능 밀봉부의 회전 가능부는 회전자 케이싱의 축방향 하부 부분 상에 직접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고정부는 분리 공간의 중질상 수집 공간으로부터 20 cm 미만, 예로서 10 cm 미만인 축방향 거리에 또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는 분리 인서트의 소형화를 더욱 증가시킬 것이다.
예로서, 제1 고정부는 분리 디스크의 스택으로부터 20 cm 미만, 예로서 10 cm 미만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공급물 입구는 회전축(X)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고정 입구 도관은 회전축(X)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분리된 중질상을 위한 고정 출구 도관은 회전축(X)에 배열된다. 이는 분리된 중질상의 더 완만한 처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도 있다. 이것이 회전축(X)으로부터 작은 반경으로 배출되면, 회전력이 더 작다. 이는 예를 들어 세포 배양물을 분리할 때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포는 전단 민감성일 수도 있고, 따라서 회전축으로부터 작은 직경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입구 및 하나의 액체 출구의 모두가 회전축에 배열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서, 분리된 중질상을 위한 모든 고정 입구 도관, 공급물 입구, 중질상 출구 및 고정 출구 도관은 회전축(X)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회전자 케이싱은 단지 외부 베어링에 의해서만 외부에서 지지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회전자 케이싱, 뿐만 아니라 전체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임의의 베어링이 없을 수도 있다.
더욱이,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는 외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된 임의의 회전 가능 샤프트가 없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회전자 케이싱의 외부면은 그 내에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절두 원추형 부분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개방각보다 더 큰 개방각을 가지며,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가상 정점은 모두 회전축(X)을 따라 동일한 축방향으로 지향한다.
따라서, 절두 원추형 부분은 절두 원추형 형상을 갖는데, 이는 좁은 단부, 또는 팁이 제거되어 있는 원추의 형상인, 원추의 절두체의 형상을 갖는 형상을 칭한다. 따라서 절두 원추형 형상은 대응 원추형 형상의 팁 또는 정점이 위치되는 가상 정점을 갖는다.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절두 원추형 형상의 축은 회전자 케이싱의 회전축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절두 원추형 부분의 축은 대응 원추형 형상의 높이의 방향 또는 대응 원추형 형상의 정점을 통과하는 축의 방향이다.
따라서 회전자 케이싱의 외부면은 동일한 축방향을 지향하는 2개의 절두 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은 분리 공간과 동일한 축방향 위치에 있는 회전자 케이싱의 부분일 수도 있다. 따라서, 또한 분리 공간의 내부면은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절두 원추형 부분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개방각보다 더 큰 개방각을 가지며,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가상 정점은 모두 회전축(X)을 따라 동일한 축방향으로 지향한다.
제1 절두 원추형 부분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보다 회전자 케이싱의 제1 축방향 단부에 더 가깝게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절두 원추형 부분은 분리 디스크 스택의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와 동일한 개방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예로서, 제2 원추형 부분의 개방각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의 외부면이 10도 미만인 회전축에 대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예를 들어 원심 분리기의 회전 가능 부재 내에 인서트를 삽입할 때 또는 분리기로부터 이를 취출하여 다른 교환 가능한 인서트로 교환할 때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의 쉬운 취급을 허용할 수도 있다.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교환 가능한 인서트는 상기 제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가능 밀봉부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도관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냉각 액체와 같은 액체를 제1 회전 가능 밀봉부에 공급하기 위한 도관이 제1 고정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냉각 액체와 같은 액체를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가능 밀봉부에 공급하기 위한 도관이 제2 고정부에 또한 존재할 수도 있다.
분리 공간 내에 배열된 분리 디스크의 스택은 회전축(X) 주위로 중앙에 배열된다. 이러한 분리 디스크는 분리 공간 내에서 인서트를 확장하는 분리 표면을 형성한다. 분리 디스크는 절두된 원추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즉 스택은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의 스택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양태의 실시예에서, 분리 디스크의 스택은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를 포함한다.
예로서,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는 상기 제1 고정부를 향해 지향하는 가상 정점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가상 정점은 공급물 입구 및 분리기의 축방향 하부 부분을 향해 지향할 수도 있다. 또한, 인서트의 제1 단부에 가장 가까운 축방향 최하부 분리 디스크의 가상 정점은 제1 고정부로부터 10 cm 미만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를 더욱 소형화되게 한다.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가 가상 정점이 제1 고정부를 향해 지향하는 상태로 배열될 때, 이어서 제1 고정부는 분리 공간의 중질상 수집 공간으로부터 20 cm 미만, 예로서 10 cm 미만인 축방향 거리에 배열될 수도 있다.
분리 디스크는 대안적으로 회전축 주위에 배열된 축방향 디스크일 수도 있다.
분리 디스크는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하거나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리 디스크는 플라스틱 재료를 더 포함하거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이한 밀도를 갖는 유체 혼합물의 적어도 2개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이며,
a)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유체 혼합물을 상기 분리 공간으로의 공급물 입구에 공급하는 단계;
c) 경질상 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경질상을 배출하는 단계; 및
d) 중질상 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중질상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양태는 일반적으로 이전의 양태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장점을 제시할 수도 있다. 제2 양태와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및 정의는 상기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유체 혼합물은 예를 들어 포유류 세포 배양 혼합물과 같은 세포 배양 혼합물일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된 중질상은 세포 배양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세포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상기, 뿐만 아니라 부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요소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의 개략 외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교환 가능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의 개략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인서트(1)는 회전축(X)에 의해 규정된 축방향에서 볼 때, 제1 하부 고정부(3)와 제2 상부 고정부(4) 사이에 배열된 회전자 케이싱(2)을 포함한다. 인서트(1)는 인서트(1)의 하부 축방향 단부(5)에 배열된 제1 고정부(3)를 포함한다. 인서트(1)는 인서트(1)의 상부 축방향 단부(6)에 배열된 제2 고정부(4)를 포함한다.
공급물 입구는 본 예에서 축방향 하부 단부(5)에 배열되고, 공급물은 제1 고정부(3) 내에 배열된 고정 입구 도관(7)을 통해 공급된다. 고정 입구 도관(7)은 회전축(X)에 배열된다. 제1 고정부(3)는 또한 분리된 액체 경질상이라고도 지칭되는 더 낮은 밀도의 분리된 액체상을 위한 고정 출구 도관(9)을 더 포함한다.
또한 액체 중질상이라고도 지칭되는 더 높은 밀도의 분리된 상의 배출을 위해 상부 고정부(4) 내에 배열된 고정 출구 도관(8)이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공급물은 하부 축방향 단부(5)를 통해 공급되고, 분리된 경질상은 하부 축방향 단부(5)를 통해 배출되고, 반면 분리된 중질상은 상부 축방향 단부(6)를 통해 배출된다.
회전자 케이싱(2)의 외부면은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0, 11)을 포함한다. 제1 절두 원추형 부분(10)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 아래에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외부면은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0, 11)의 가상 정점이 모두, 이 경우에 인서트(1)의 하부 축방향 단부(5)를 향해 축방향으로 아래로 향하는 회전축(X)을 따라 동일한 축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열된다.
더욱이, 제1 절두 원추형 부분(10)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의 개방각보다 더 큰 개방각을 갖는다. 제1 절두 원추형 부분의 개방각은 회전자 케이싱(2)의 분리 공간(17) 내에 포함된 분리 디스크 스택의 개방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의 개방각은 회전자 케이싱(2)의 분리 공간 내에 포함된 분리 디스크 스택의 개방각보다 작을 수도 있다. 예로서,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의 개방각은 외부면이 10도 미만, 예로서 5도 미만인 회전축과의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향으로 지향하는 가상 정점을 갖는 2개의 절두 원추형 부분(10, 11)을 갖는 회전자 케이싱(2)은 인서트(1)가 위에서부터 회전 가능 부재(3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외부면의 형상은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0, 11)과 맞물리는 것과 같이, 회전자 케이싱(2)의 외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와 맞물릴 수도 있는 외부 회전 가능 부재(30)와의 호환성을 증가시킨다.
제1 고정부(3)로부터 회전자 케이싱(2)을 분리하는 하부 밀봉 하우징(12) 내에 배열된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 및 제2 고정부(4)로부터 회전자 케이싱(2)을 분리하는 상부 밀봉 하우징(13) 내에 배열된 상부 회전 가능 밀봉부가 존재한다. 하부 밀봉 하우징(12) 내의 밀봉 계면의 축방향 위치는 15c로 나타내고, 상부 밀봉 하우징(13) 내의 밀봉 계면의 축방향 위치는 16c로 나타낸다. 따라서, 제1 및 제2 회전 가능 밀봉부(15, 16)의 이러한 고정부(15a, 16a)와 회전 가능부(15b, 16b) 사이에 형성된 밀봉 계면은 또한 회전자 케이싱(2)과 인서트(1)의 제1 및 제2 고정부(15, 16) 사이의 계면 또는 경계를 형성한다.
냉각 액체와 같은 밀봉 유체를 제1 회전 가능 밀봉부(15)에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밀봉 유체 입구(15d) 및 밀봉 유체 출구(15e) 및 유사하게, 냉각 액체와 같은 밀봉 유체를 제2 회전 가능 밀봉부(16)에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밀봉 유체 입구(16d) 및 밀봉 유체 출구(16e)가 또한 존재한다.
회전자 케이싱(2) 내에 에워싸인 분리 공간(17)의 축방향 위치가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 공간은 실질적으로 회전자 케이싱(2)의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 내에 위치된다.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은 제1 하부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제2 상부 축방향 위치(17b)까지 연장된다. 분리 공간(17)의 내주면은 각도(α)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축(X)과의 각도, 즉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의 외부면과 회전축(X) 사이의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분리 공간(17)의 내경은 제1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제2 축방향 위치(17b)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각도(α)는 10도 미만, 예로서 5도 미만일 수도 있다.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조작자에 의한 인서트(1)의 조작성과 취급성을 증가시키는 소형 형태를 갖는다. 예로서, 인서트의 하부 축방향 단부(5)에서 분리 공간(17)과 제1 고정부(3)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20 cm 미만, 예로서 15 cm 미만일 수도 있다. 이 거리는 도 1에 d1로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서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의 최저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제1 회전 가능 밀봉부(15)의 밀봉 계면(15c)까지의 거리이다. 다른 예로서, 분리 공간(17)이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의 스택을 포함하면, 스택에서 축방향으로 최저에 있고 제1 고정부(3)에 가장 가까운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는 10 cm 미만, 예로서 5 cm 미만인 제1 고정부(3)로부터의 축방향 거리(d2)에 위치된 가상 정점(18)을 갖고 배열될 수도 있다. 거리 d2는 본 실시예에서 축방향 최하부 분리 디스크의 가상 정점(18)으로부터 제1 회전 가능 밀봉부(15)의 밀봉 계면까지의 거리이다.
도 2는 상부 및 하부 볼 베어링(33a, 33b)의 형태의 지지 수단에 의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30) 및 회전 가능 부재(31)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100) 내에 삽입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구동 벨트(32)를 통해 회전축(31) 주위로 회전 가능 부재(31)를 회전시키기 위해 배열된 구동 유닛(34)이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전기 다이렉트 드라이브(direct drive)와 같은 다른 구동 수단이 가능하다.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회전 가능 부재(31) 내에 삽입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 가능 부재(31)는 회전자 케이싱(2)의 외부면과 맞물리기 위한 내부면을 갖는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즉, 인서트(1)의 회전자 케이싱(2)은 회전 가능 부재(31) 내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고정부(3, 4)는 회전 가능 부재(31) 외부로 연장되고 원심 분리기(100)의 사용 중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원심 분리기(100) 내에 고정된다.
인서트(1)의 장착 후에, 상부 및 하부 볼 베어링(33a, 33b)은 모두 회전자 케이싱(2) 내의 분리 공간(17) 아래에 축방향으로 위치되어, 회전자 케이싱(2)의 외부면의 원통형 부분(14)이 베어링 평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원통형 부분(14)은 적어도 하나의 대형 볼 베어링 내에 인서트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부 및 하부 볼 베어링(33a, 33b)은 적어도 80 mm, 예로서 적어도 120 mm의 내경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서트(1)는 최하부 분리 디스크의 가상 정점(18)이 상부 및 하부 볼 베어링(33a, 33b)의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평면에 또는 그 아래에 축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 부재(31) 내에 위치된다.
더욱이, 분리 인서트는 인서트(1)의 축방향 하부 부분(5)이 지지 수단, 즉 상부 및 하부 베어링(33a, 33b) 아래에 축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분리기(1) 내에 장착된다. 본 예에서 회전자 케이싱(2)은 회전 가능 부재(31)에 의해 외부에서만 지지되도록 배열된다. 분리 인서트(1)는 인서트(1)의 외부로부터 입구, 출구 및 회전 가능 밀봉부로의 용이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분리기(100) 내에 또한 장착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의 실시예의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인서트(1)는 회전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된 회전자 케이싱(2), 제1 하부 고정부(3), 및 제2 상부 고정부(4)를 포함한다. 회전자 케이싱(1)은 제1 고정부(3)와 제2 고정부(4)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1 고정부(3)는 인서트의 하부 축방향 단부(5)에 배열되고, 반면 제2 고정부(4)는 인서트(1)의 상부 축방향 단부(6)에 배열된다.
공급물 입구(20)는 본 예에서 축방향 하부 단부(5)에 배열되고, 공급물은 제1 고정부(3) 내에 배열된 고정 입구 도관(7)을 통해 공급된다. 고정 입구 도관(7)은 플라스틱 배관과 같은 배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 입구 도관(7)은 분리될 재료가 회전 중심에서 공급되도록 회전축(X)에 배열된다. 공급물 입구(20)는 분리될 유체 혼합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공급물 입구(20)는 본 실시예에서 입구 원추(10a)의 정점에 배열되고, 이는 인서트(1)의 외부에서 또한 제1 절두 원추형 외부면(10)을 형성한다. 입구(24)로부터 분리 공간(17)으로 유체 혼합물을 분배하기 위해 분배기(24)가 또한 공급물 입구에 배열되어 있다.
분리 공간(17)은 제1 하부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제2 상부 축방향 위치(17b)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방향 외부 중질상 수집 공간(17c)을 포함한다. 분리 공간은 스택(19)의 분리 디스크 사이의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된 반경방향 내부 공간을 더 포함한다.
분배기(24)는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X)에서 정점을 갖고 인서트(1)의 하부 단부(5)를 향해 지향하는 원추형 외부면을 갖는다. 분배기(24)의 외부면은 입구 원추(10a)와 동일한 원추각을 갖는다. 입구에서 축방향 하부 위치로부터 분리 공간(17) 내의 축방향 상부 위치로 연속적으로 축방향 상향으로 분리될 유체 혼합물을 안내하기 위해 외부면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분배 채널(24a)이 또한 존재한다. 이 축방향 상부 위치는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의 제1 하부 축방향 위치(17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분배 채널(24a)은 예를 들어 직선형 형상 또는 곡선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따라서 분배기(24)의 외부면과 입구 원추(24a) 사이에서 연장된다. 분배 채널(24)은 축방향 하부 위치로부터 축방향 상부 위치로 분기될 수도 있다. 더욱이, 분배 채널(24)은 축방향 하부 위치로부터 축방향 상부 위치로 연장하는 튜브의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분배 채널(24a)은 또한 예를 들어 분배기 및/또는 분리 디스크의 스택 내의 축방향 분배 개구에 의해, 분리 디스크의 스택 내에 있는 반경방향 위치에서 분리 공간으로 분리될 액체 또는 유체를 공급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는 스택 내에 축방향 분배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분리 공간(17) 내에는 동축으로 배열된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의 스택(19)이 또한 존재한다. 스택(19) 내의 분리 디스크는 분리 인서트의 축방향 하부 단부(5)로 지향하는, 즉 입구(20)를 향하는 가상 정점을 갖고 배열된다. 스택(19) 내의 최하부 분리 디스크의 가상 정점(18)은 인서트(1)의 축방향 하부 단부(5)에서 제1 고정부(3)로부터 10 cm 미만인 거리에 배열될 수도 있다. 스택(19)은 적어도 20개의 분리 디스크, 예로서 적어도 40개의 분리 디스크, 예로서 적어도 50개의 분리 디스크, 예로서 적어도 100개의 분리 디스크, 예로서 적어도 150개의 분리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확성을 위해, 도 1에는 단지 몇 개의 디스크만이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분리 디스크의 스택(19)은 분배기(24)의 상부에 배열되고, 분배기(24)의 원추형 외부면은 따라서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의 원추형 부분과 회전축(X)에 대해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분배기(24)의 원추형 형상은 스택(19) 내의 분리 디스크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분배 채널(24a)은 따라서 스택(19) 내의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의 외부 원주의 반경방향 위치 외부에 있는 반경방향 위치(P1)에 있는 분리 공간(17) 내의 축방향 위치(17a)로 분리될 유체 혼합물을 안내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은 본 실시예에서 제1 하부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제2 상부 축방향 위치(17b)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내경을 갖는다. 분리 공간(17)으로부터 분리된 중질상을 수송하기 위한 출구 도관(23)이 또한 존재한다. 이 도관(23)은 분리 공간(17)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로부터 중질상 출구(22)까지 연장된다. 본 예에서, 도관은 중앙 위치로부터 분리 공간(17) 내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단일 파이프의 형태이다. 그러나, 적어도 2개의 이러한 출구 도관(23), 예로서 적어도 3개 또는 예로서 적어도 5개의 출구 도관(23)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출구 도관(23)은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배열된 도관 입구(23a) 및 반경방향 내부 위치에 있는 도관 출구(23b)를 가지며, 출구 도관(23)은 도관 입구(23a)로부터 도관 출구(23b)까지 상향 경사를 갖고 배열된다. 예로서, 출구 도관은 반경방향 평면에 대해 적어도 2도, 예로서 적어도 5도, 예로서 적어도 10도의 상향 경사를 갖고 경사질 수도 있다.
출구 도관(23)은 분리 공간(17)의 축방향 상부 위치에 배열되어, 출구 도관 입구(23a)는 분리 공간(17)의 축방향 최상부 위치(17b)로부터 분리된 중질상을 수송하기 위해 배열되게 된다. 출구 도관(23)은 또한 분리 공간(17) 내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어, 출구 도관 입구(23a)가 분리 공간(17)의 주연부로부터, 즉, 분리 공간(17)의 내부면에서 분리 공간 내의 반경방향 최외측 위치로부터 분리된 중질상을 수송하기 위해 배열된다.
고정 출구 도관(23)의 도관 출구(23b)는 제2 상부 고정부(4) 내에 배열된 고정 출구 도관(8)에 연결되는 중질상 출구(22)에서 종료한다. 따라서 분리된 중질상은 분리 인서트(1)의 상부, 즉 상부 축방향 단부(6)를 통해 배출된다.
더욱이, 분리 디스크(19)의 스택을 통해 분리 공간(17) 내에서 반경방향 내향으로 통과된 분리된 액체 경질상은 회전자 케이싱(2)의 축방향 하부 단부에 배열된 액체 경질상 출구(21) 내에 수집된다. 액체 경질상 출구(21)는 인서트(1)의 제1 하부 고정부(3) 내에 배열된 고정 출구 도관(9)에 연결된다. 따라서, 분리된 액체 경질상은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의 제1 하부 축방향 단부(5)를 통해 배출된다.
제1 고정부(3) 내에 배열된 고정 출구 도관(9) 및 제2 고정부(4) 내에 배열된 고정 중질상 도관(8)은 플라스틱 배관과 같은 배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3)로부터 회전자 케이싱(2)을 분리하는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가 하부 밀봉 하우징(12) 내에 또한 배열되고, 제2 고정부(4)로부터 회전자 케이싱을 분리하는 상부 회전 가능 밀봉부가 상부 밀봉 하우징(13) 내에 배열된다. 제1 및 제2 회전 가능 밀봉부(15, 16)는 밀폐식 밀봉부이고, 따라서 기계적으로 밀폐식으로 밀봉된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한다.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는 임의의 부가의 입구 파이프 없이 입구 원추(10a)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는데, 즉 입구는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 바로 축방향으로 위의 입구 원추의 정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은 축방향 런아웃(run-out)을 최소화하기 위해 큰 직경으로 하부 기계적 밀봉부의 견고한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는 입구(20)를 고정 입구 도관(7)에 밀봉하여 연결하고, 액체 경질상 출구(21)를 고정 액체 경질상 도관(9)에 밀봉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는 동심 이중 기계적 밀봉부를 형성하는데, 이는 적은 부품으로 용이한 조립을 허용한다.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는 인서트(1)의 제1 고정부(3) 내에 배열된 고정부(15a)와 회전자 케이싱(2)의 축방향 하부 부분 내에 배열된 회전 가능부(15b)를 포함한다. 회전 가능부(15b)는 본 실시예에서 회전자 케이싱(2) 내에 배열된 회전 가능 밀봉 링이고, 고정부(15a)는 인서트(1)의 제1 고정부(3) 내에 배열된 고정 밀봉 링이다. 회전 가능 밀봉 링과 고정 밀봉 링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이에 의해 링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계면(15c)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같은 다른 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존재한다. 형성된 밀봉 계면은 회전축(X)에 대해 반경방향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이 밀봉 계면(15c)은 회전자 케이싱(2)과 인서트(1)의 제1 고정부(3) 사이의 경계 또는 계면을 형성한다. 냉각 액체, 완충 액체 또는 배리어 액체와 같은 액체를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로 공급하기 위해 제1 고정부(3) 내에 배열된 다른 연결부(15d, 15e)가 존재한다. 이 액체는 밀봉 링들 사이의 계면(15c)에 공급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상부 회전 가능 밀봉부(16)는 중질상 출구(22)를 고정 출구 도관(8)에 밀봉하여 연결한다. 상부 기계적 밀봉부는 또한 동심 이중 기계적 밀봉부일 수도 있다. 상부 회전 가능 밀봉부(16)는 인서트(1)의 제2 고정부(4) 내에 배열된 고정부(16a)와 회전자 케이싱(2)의 축방향 상부 부분 내에 배열된 회전 가능부(16b)를 포함한다. 회전 가능부(16b)는 본 실시예에서 회전자 케이싱(2) 내에 배열된 회전 가능 밀봉 링이고, 고정부(16a)는 인서트(1)의 제2 고정부(4) 내에 배열된 고정 밀봉 링이다. 회전 가능 밀봉 링과 고정 밀봉 링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이에 의해 링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계면(16c)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같은 다른 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존재한다. 형성된 밀봉 계면(16c)은 회전축(X)에 대해 반경방향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이 밀봉 계면(16c)은 회전자 케이싱(2)과 인서트(1)의 제2 고정부(4) 사이의 경계 또는 계면을 형성한다. 냉각 액체, 완충 액체 또는 배리어 액체와 같은 액체를 상부 회전 가능 밀봉부(16)로 공급하기 위해 제2 고정부(4) 내에 배열된 다른 연결부(16d, 16e)가 존재한다. 이 액체는 밀봉 링들 사이의 계면(16c)에 공급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3은 수송 모드에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를 도시하고 있다. 수송 중에 회전자 케이싱(2)에 제1 고정부(3)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자 케이싱(2)의 원통형 부분(14)에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를 축방향으로 고정하는 스냅 끼워맞춤부의 형태의 하부 고정 수단(25)이 존재한다. 회전 조립체에 교환 가능한 인서트(1)의 장착시에, 스냅 끼워맞춤부(25)가 해제될 수도 있어 회전자 케이싱(2)이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에서 축(X)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수송 중에, 회전자 케이싱(2)에 대한 제2 고정부(4)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 수단(27a, 27b)이 존재한다. 상부 고정 수단은, 제2 고정부(4) 상의 맞물림 부재(27b)와 맞물려, 이에 의해 제2 고정부(4)의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자 케이싱(2) 상에 배열된 맞물림 부재(27a)의 형태이다. 또한, 회전자 케이싱(2) 및 제2 고정부(4)와의 밀봉 맞접부에서 수송 또는 셋업 위치에 배열된 슬리브 부재(26)가 존재한다. 슬리브 부재(26)는 또한 탄성이고 고무 슬리브의 형태일 수도 있다. 슬리브 부재는 회전자 케이싱(2)이 제2 고정부(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수송 또는 셋업 위치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따라서, 슬리브 부재(26)는 셋업 또는 수송 위치에서 회전자 케이싱(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제2 고정부(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밀봉된다. 회전 조립체에 교환 가능한 인서트(1)의 장착시에, 슬리브 부재는 제거될 수도 있고, 제2 고정부(4)에 대한 회전자 케이싱(2)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맞물림 부재(27a, 27b) 사이의 축방향 공간이 생성될 수도 있다.
하부 및 상부 회전 가능 밀봉부(15, 16)는 입구와 2개의 출구를 밀폐식으로 밀봉하는 기계적 밀봉부이다.
동작 중에, 회전 가능 부재(31) 내에 삽입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회전축(X)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분리될 액체 혼합물은 고정 입구 도관(7)을 통해 인서트의 입구(20)로 공급되고, 이어서 분배기(24)의 안내 채널(24)에 의해 분리 공간(17)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분리될 액체 혼합물은 입구 도관(7)으로부터 분리 공간(17)으로 축방향 상향 경로를 따라서만 안내된다. 밀도 차이로 인해, 액체 혼합물은 액체 경질상과 액체 중질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는 분리 공간(17) 내에 끼워진 스택(19)의 분리 디스크 사이의 사이공간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분리된 액체 중질상은 출구 도관(22)에 의해 분리 공간(17)의 주연부로부터 수집되고 회전축(X)에 배열된 중질상 출구(22)를 통해 고정 중질상 출구 도관(8)으로 강제 배출된다. 분리된 액체 경질상은 분리 디스크의 스택(19)을 통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가압되고 액체 경질상 출구(21)를 통해 고정된 경질상 도관(9)으로 유출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공급물은 하부 축방향 단부(5)를 통해 공급되고, 분리된 경질상은 하부 축방향 단부(5)를 통해 배출되고, 반면 분리된 중질상은 상부 축방향 단부(6)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입구(20), 분배기(24), 분리 디스크의 스택(19) 및 출구 도관(23)의 배열로 인해,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자동으로 탈기되는데, 즉 공기 포켓의 존재가 제거되거나 감소되어 회전자 케이싱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공기가 중질상 출구를 통해 상향으로 그리고 외부로 방해받지 않고 이동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정지 상태에서, 공기 포켓이 없고, 인서트(1)가 공급물 입구를 통해 충전되면 모든 공기가 중질상 출구(22)를 통해 배기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정지 상태에서 분리 인서트(1)를 충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분리될 액체 혼합물 또는 액체 혼합물을 위한 완충 유체가 인서트(1) 내에 존재할 때 회전자 케이싱을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도 3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소형 디자인을 갖는다. 예로서, 스택(19) 내의 최하부 분리 디스크의 가상 정점(18)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제1 고정부(3)로부터 10 cm 미만, 예로서 5 cm 미만, 즉 하부 회전 가능 밀봉부(15)의 밀봉 계면(15c)으로부터 10 cm 미만, 예로서 5 cm 미만일 수도 있다.
상기에 본 발명의 개념이 제한된 수의 예를 참조하여 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즉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에 개시된 것들 이외의 다른 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Claims (20)

  1. 원심 분리기(100)용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이며,
    분리 디스크의 스택(19)이 배열되어 있는 분리 공간(17)을 에워싸는 회전자 케이싱(2)으로서, 회전자 케이싱은 회전축(X)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회전자 케이싱(2),
    제1 고정부(3) 및 제2 고정부(4)로서, 상기 회전자 케이싱(2)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고정부(3, 4)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고정부(3) 및 제2 고정부(4),
    상기 분리 공간(17)으로의 분리될 유체 혼합물의 공급을 위한 공급물 입구(20),
    제1 밀도의 분리된 상의 배출을 위한 경질상 출구(21), 및 상기 제1 밀도보다 더 높은 제2 밀도의 분리된 상의 배출을 위한 중질상 출구(22)로서, 상기 공급물 입구(20)는 상기 회전자 케이싱(2)의 제1 축방향 단부(5)에 배열되고, 상기 경질상 출구(21) 및 중질상 출구(22) 중 하나는 회전자 케이싱(2)의 제1 축방향 단부(5)에 대향하는 제2 축방향 단부(6)에 배열되는, 경질상 출구(21) 및 중질상 출구(22),
    상기 제1 고정부(3)에서 상기 공급물 입구(20)를 고정 입구 도관(7)에 밀봉하여 연결하는 제1 회전 가능 밀봉부(15), 및
    상기 제2 고정부(4)에서 상기 경질상 출구(21) 및 중질상 출구(22) 중 하나를 고정 출구 도관(8)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한 제2 회전 가능 밀봉부(16)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케이싱(2), 상기 제1 고정부(3), 및 상기 제2 고정부(4)를 포함하는 상기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원심 분리기 내에 삽입될 준비가 된 미리 조립된 인서트를 형성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상 출구(21)는 제1 축방향 단부(5)에 배열되고 중질상 출구(22)는 제2 축방향 단부(6)에 배열되고, 상기 제2 회전 가능 밀봉부(16)는 상기 제2 고정부(4)에서 상기 중질상 출구(22)를 고정 출구 도관(8)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인,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가능 밀봉부(15)는 또한 상기 제1 고정부(3)에서 상기 경질상 출구(21)를 고정 출구 도관(9)에 밀봉하여 연결하기 위해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자 케이싱(2)은 분리된 상을 위한 임의의 다른 출구가 없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은 제1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제2 축방향 위치(17b)로 연장되고, 분리 공간(17)의 내경은 상기 제1 축방향 위치(17a)로부터 상기 제2 축방향 위치(17b)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공간(17)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로부터 중질상 출구(22)로 분리된 중질상을 수송하기 위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23)을 더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도관(23)은 분리 공간(17)의 축방향 상부 부분에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3)는 상기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으로부터 20 cm 미만인 축방향 거리에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입구 도관(7)은 회전축(X)에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된 중질상을 위한 고정 출구 도관(8)은 회전축(X)에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자 케이싱(2)은 외부 베어링에 의해서만 외부에서 지지되도록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자 케이싱(2)의 외부면은 그 내에 분리 공간(17)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0, 11)을 포함하고, 제1 절두 원추형 부분(10)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0)의 개방각보다 더 큰 개방각을 가지며, 제1 및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0, 11)의 가상 정점은 모두 회전축(X)을 따라 동일한 축방향으로 지향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원추형 부분(11)의 개방각은 제2 절두 원추형 부분(11)의 외부면이 10도 미만인 회전축(X)에 대한 각도(α)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디스크의 스택(19)은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를 포함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는 가상 정점이 상기 제1 고정부(3)를 향해 지향하는 상태로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3)는 상기 분리 공간(17)의 중질상 수집 공간(17c)으로부터 20 cm 미만인 축방향 거리에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7. 제15항에 있어서, 인서트의 제1 단부(5)에 가장 가까운 축방향 최하부 분리 디스크의 상기 가상 정점은 제1 고정부(3)로부터 10 cm 미만으로 배열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취급되도록 구성된 미리 조립된 인서트(1)를 형성하는,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1).
  19. 상이한 밀도를 갖는 유체 혼합물의 적어도 2개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이며,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유체 혼합물을 상기 분리 공간으로의 공급물 입구에 공급하는 단계;
    c) 경질상 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경질상을 배출하는 단계; 및
    d) 중질상 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중질상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유체 혼합물은 포유류 세포 배양 혼합물과 같은 세포 배양 혼합물인, 방법.
KR1020217021219A 2018-12-10 2019-12-09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 KR102566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11241.7 2018-12-10
EP18211240.9A EP3666385B1 (en) 2018-12-10 2018-12-10 Exchangeable separation insert and modular centrifugal separator and method
EP18211240.9 2018-12-10
EP18211241.7A EP3666392A1 (en) 2018-12-10 2018-12-10 Exchangeable separation insert
PCT/EP2019/084137 WO2020120357A1 (en) 2018-12-10 2019-12-09 Exchangeable separation inse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792A KR20210097792A (ko) 2021-08-09
KR102566697B1 true KR102566697B1 (ko) 2023-08-14

Family

ID=687627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250A KR102566434B1 (ko) 2018-12-10 2019-12-09 원심 분리기
KR1020217021219A KR102566697B1 (ko) 2018-12-10 2019-12-09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250A KR102566434B1 (ko) 2018-12-10 2019-12-09 원심 분리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220023887A1 (ko)
EP (3) EP3666389B1 (ko)
JP (3) JP7193638B2 (ko)
KR (2) KR102566434B1 (ko)
CN (3) CN113164979B (ko)
AU (2) AU2019398290B2 (ko)
CA (2) CA3122455C (ko)
SG (2) SG11202105377PA (ko)
WO (3) WO2020120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341A1 (en) * 2020-12-30 2022-07-06 Thermo Electron SAS Continuous flow centrifugation with controlled positive pressure cascade for avoiding cross-contamination
EP4086005A1 (en) * 2021-05-03 2022-11-09 Alfa Laval Corporate AB Modular centrifugal separator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EP4088820A1 (en) 2021-05-12 2022-11-16 Alfa Laval Corporate AB Modular centrifugal separator system
EP4299185A1 (en) 2022-06-30 2024-01-03 Alfa Laval Corporate AB A separation system for separating a liquid mixture
EP4299186A1 (en) 2022-06-30 2024-01-03 Alfa Laval Corporate AB A separation system for separating a liquid mix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154A1 (en) * 2000-05-19 2002-06-27 Kessler Stephen B. Low-shear feeding system for use with centrifug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2077B (sv) * 1986-03-12 1990-05-07 Alfa Laval Separation Ab Centrifugalseparator med sluten aaterfoering av tungkomponent
SE456801B (sv) * 1987-03-19 1988-11-07 Alfa Laval Separation Ab Utloppsanordning vid centrifugalseparator
JPH07114982B2 (ja) * 1988-06-07 1995-12-13 ヴェストファリア ゼパラトー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遠心分離機
JP2637297B2 (ja) * 1991-02-22 1997-08-06 帝人株式会社 遠心分離装置
SE470348B (sv) * 1992-06-16 1994-01-31 Alfa Laval Separation Ab Centrifugalseparator med separeringsskivor, vilka är försedda med strömningshinder
SE504007C2 (sv) * 1995-02-13 1996-10-1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Inloppsanordning för centrifugalseparator
DE10311997A1 (de) * 2003-03-19 2004-10-07 Johannes Gerteis Stülpfilterzentrifuge
US7229246B2 (en) * 2004-09-30 2007-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liant seal and system and method thereof
SE528387C2 (sv) * 2005-03-08 2006-10-31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och förfarande för separering av en produkt i åtminstone en relativt tung fas och en relativt lätt fas
SE530024C2 (sv) * 2006-06-20 2008-02-1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där den mekaniska tätningsanordningen innefattar ett förspänningselement
KR100968113B1 (ko) * 2008-06-13 2010-07-06 (주)플루엔 연속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슬러지고액분리처리기
SE536019C2 (sv) * 2009-11-06 2013-04-02 Alfa Laval Corp Ab Hermetisk centrifugalseparator
DE202010005476U1 (de) * 2010-05-21 2011-09-08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CN102179317B (zh) * 2011-02-28 2015-04-01 杜高升 离心油液净化机
US20110319248A1 (en) 2011-09-02 2011-12-29 Nathan Starbard Single Use Centrifuge
EP2567754B1 (en) * 2011-09-08 2018-02-28 Alfa Laval Corporate AB A centrifugal separator
DE102012105499A1 (de) 2012-06-25 2014-01-02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WO2015181177A1 (de) 2014-05-28 2015-12-03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EP3148701B1 (de) 2014-05-28 2021-11-24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US10291091B2 (en) * 2014-09-25 2019-05-14 Magna Powertrain Fpc Limited Partnership Electric fluid pump with improved rotor unit, rotor unit therefo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519070B1 (ko) * 2014-12-02 2015-05-13 신흥정공(주)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CN204564363U (zh) * 2015-01-08 2015-08-19 世林(漯河)冶金设备有限公司 闭式碟片离心机
CN106914348A (zh) * 2015-12-25 2017-07-04 曼胡默尔滤清器(上海)有限公司 一种带密封衬套的离心分离器转子
ES2812749T3 (es) * 2016-02-22 2021-03-18 Alfa Laval Corp Ab Separador centrífugo con sistema de descarga intermitente
ES2848527T3 (es) * 2017-04-07 2021-08-10 Alfa Laval Corp Ab Separador centrífugo con conjunto de sell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154A1 (en) * 2000-05-19 2002-06-27 Kessler Stephen B. Low-shear feeding system for use with centrifu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5451XA (en) 2021-06-29
CN113164985A (zh) 2021-07-23
US11358155B2 (en) 2022-06-14
SG11202105377PA (en) 2021-06-29
KR102566434B1 (ko) 2023-08-11
US20220055043A1 (en) 2022-02-24
KR20210097194A (ko) 2021-08-06
WO2020120365A1 (en) 2020-06-18
JP7193639B2 (ja) 2022-12-20
AU2019398290B2 (en) 2022-10-06
EP3894084A1 (en) 2021-10-20
CN113164985B (zh) 2023-01-24
CN113164979A (zh) 2021-07-23
JP2022512182A (ja) 2022-02-02
EP3666389A1 (en) 2020-06-17
AU2019396482B2 (en) 2022-09-22
CA3122172A1 (en) 2020-06-18
US20220001396A1 (en) 2022-01-06
CA3122455A1 (en) 2020-06-18
WO2020120364A1 (en) 2020-06-18
CN113164979B (zh) 2023-02-28
CN113164984A (zh) 2021-07-23
EP3666393B1 (en) 2021-07-14
KR20210097792A (ko) 2021-08-09
JP7214872B2 (ja) 2023-01-30
JP2022512180A (ja) 2022-02-02
US20220023887A1 (en) 2022-01-27
AU2019396482A1 (en) 2021-07-22
CA3122455C (en) 2023-09-19
EP3666389B1 (en) 2021-08-04
AU2019398290A1 (en) 2021-07-22
JP2022512175A (ja) 2022-02-02
WO2020120357A1 (en) 2020-06-18
EP3666393A1 (en) 2020-06-17
JP7193638B2 (ja) 2022-12-20
CN113164984B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697B1 (ko) 교환 가능한 분리 인서트
CN113164977B (zh) 离心分离器和用于消除离心分离器中的气锁的方法
KR102566714B1 (ko) 세포 배양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EP3666392A1 (en) Exchangeable separation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