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070B1 -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070B1
KR101519070B1 KR1020140170218A KR20140170218A KR101519070B1 KR 101519070 B1 KR101519070 B1 KR 101519070B1 KR 1020140170218 A KR1020140170218 A KR 1020140170218A KR 20140170218 A KR20140170218 A KR 20140170218A KR 101519070 B1 KR101519070 B1 KR 10151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sing
moisture
air
re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근
음호진
Original Assignee
신흥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정공(주) filed Critical 신흥정공(주)
Priority to KR102014017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070B1/ko
Priority to PCT/KR2015/012265 priority patent/WO20160890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05Centrifugal separators or filters for fluid circulation systems, e.g. for lubricant oil circu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02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cooling, heating, or heat 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로터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원심분리기에 내장된 수분제거수단을 이용하여 응축시킨 후 오일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물질의 여과과정에서 수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오일 유입구와 오일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ㄷ된 축;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 스핀들 튜브; 상기 스핀들 튜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여과된 오일을 케이싱의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로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공기와 함께 케이싱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케이싱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되,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수분과 접촉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수분제거수단; 상기 수분제거수단에서 수분의 응축으로 인해 형성되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수분제거수단의 하부에 마련된 용기;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감지수단; 상기 용기에 연결된 응축수 배출관에 설치되어 응축수 배출관의 유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용기 내의 응축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레벨감지수단에서 신호가 발생되면, 응축수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Centrifugal filter with dehyd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이물질의 여과와 함께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원심분리기에 내장된 수분제거수단을 응축시킨 후 오일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분리기(Centrifugal Filter)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을 분리/정제/농축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원심분리기는 엔진이나 각종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오일(윤활유 또는 연료유)의 불순물을 여과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원심분리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원심분리기는 엔진에 사용되는 오일의 불순물을 여과하는데 사용되는 원심분리기이다.
상기 원심분리기는 오일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유로(11)가 내부에 형성된 축(10)과, 상기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로터(20)와, 상기 로터(20)와 함께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며 축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로터의 내부로 분사하는 스핀들 튜브(30)와, 오일 유입구(41)와 오일 배출구(42)가 형성되고 로터(20)를 내부에 수용하여 로터의 노즐(21)로부터 분사되는 오일을 받는 케이싱(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심분리기는 미도시된 펌프의 구동에 의해 순환되는 오일을 유입받아 원심력으로 오일내의 각종 불순물을 여과하는 방식을 갖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터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오일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작용원리에 의해 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불순물을 여과하는 방식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심분리기는 오일내의 불순물은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으나 수분은 제거할 수 없으므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오일 여과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유수분리기를 함께 사용하여 오일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오일내의 수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오일을 가열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가열 방식의 유수분리기는 오일을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다른 구조를 갖는 종래 원심분리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원심분리기는 오일내의 불순물과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로터(5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불순물(A)과 수분(B)은 원심력에 의하여 로터(50) 내부 가장자리에 이동하여 오일로부터 분리되며, 이처럼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은 로터내에 마련된 유로(51)를 통해 배출되고, 로터 내부 가장자리에 쌓인 불순물(A)의 경우, 일정량이 쌓이게 되면 불순물 배출구(52)가 개방되면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원심분리기는 별도의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일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으나, 로터 내의 물과 오일의 경계영역에서 물과 오일이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 상 오일 내의 수분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524호 (2010.12.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원심분리기에 내장된 수분제거수단을 이용하여 응축시킨 후 오일과는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물질의 여과과정에서 수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오일 유입구와 오일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며, 오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케이싱의 내부로 안내하는 축;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축을 통해 케이싱의 내부로 유동하는 오일을 분출하는 스핀들 튜브; 상기 스핀들 튜브와 함께 회전하면서 스핀들 튜브로부터 분출되는 오일을 받아 여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여과된 오일을 케이싱의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로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공기와 함께 케이싱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케이싱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되, 송풍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수분과 접촉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수분제거수단; 상기 수분제거수단에서 수분의 응축으로 인해 형성되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수분제거수단의 하부에 마련된 용기;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감지수단; 상기 용기에 연결된 응축수 배출관에 설치되어 응축수 배출관의 유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용기 내의 응축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레벨감지수단에서 신호가 발생되면, 응축수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수단은 세선을 그물망 형태로 직조한 것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메쉬형 여과재를 포함하는 엘리미네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팬과 수분제거수단을 고정하는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조체는 수분제거수단을 내부에 수용하고, 케이싱 내부 공기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향류 형성하면서 수분제거수단을 거치도록 송풍팬이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단부 측면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오일의 여과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유수분리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일 내의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 내의 수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오일의 가열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종래 오일을 가열하여 수분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에 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원심분리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다른 구조를 갖는 종래 원심분리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는 케이싱(110), 축(120), 스핀들 튜브(130), 로터(140), 송풍팬(150), 그리고 수분제거수단(16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여과된 오일이 로터(140)에 구비된 노즐(141)을 통하여 분사되는 과정에서 오일로부터 수분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기초하여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을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순환시키면서 수분제거수단(160)과 접촉되도록 하여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오일의 여과과정에서 수분의 제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원심분리기의 외부구조를 형성하면서 축(120), 스핀들 튜브(130), 로터(140), 송풍팬(150), 그리고 수분제거수단(160)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하단부 측면에는 오일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비록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일반적인 원심분리기와 마찬가지로 여과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가 하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오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이 저장되는 청정유 탱크(101)가 마련되며, 상기 청정유 탱크(101)는 케이싱(110)과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거나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120)은 스핀들 튜브(130)와 로터(14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오일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케이싱(11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121)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 튜브(130)는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로터(14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축(120)을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로터(140)의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홀(131)이 상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140)는 스핀들 튜브(1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스핀들 튜브(130)로부터 분사되는 오일을 받아들이도록 설치되며, 내벽에는 오일과 함께 분사되는 불순물의 흡착을 위한 페이퍼(미도시됨)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여과된 오일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로터(140)의 내부를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막(142)이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여과된 오일을 케이싱(110)의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14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축(120)과 스핀들 튜브(130) 및 로터(140)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축과 스핀들 튜브 및 로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0)은 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케이싱(110)의 내부를 순환하는 구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150)은 모터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모터(151)와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수단(160)은 송풍팬(150)에 의해 유동하는 수분과 접촉하면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분제거수단(160)은 기류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공지의 엘리미네이터(Demister), 또는 저온의 냉매 또는 냉수가 순환되는 코일로 이루어진 응축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엘리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수분제거수단(160)을 구성할 경우, 수분제거수단(160)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가 추가적으로 소모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엘리미네이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세선을 그물망 형태로 직조한 것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메쉬형 여과재(161)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수분이 포함된 공기가 메쉬형 여과재(16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관성충돌현상에 의해 공기와 수분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수분이 제어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송풍팬(150)과 수분제거수단(160)을 케이싱(110)의 내부에 고정하고,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 및 수분이 원활하게 유동하면서 수분제거수단(160)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조체(170)가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구조체(17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수분과 수분제거수단(160)이 독립된 공간(S) 내에서 서로 접촉하면서 수분의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분제거수단(160)을 내부에 수용하는 박스형상으로 구성되며, 로터(140)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구조체(170)의 상면에는 송풍팬(150)의 설치 및 공기의 유입을 위한 개구(17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171)에 송풍팬(150)이 대략 수평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송풍팬(150)의 구동 시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는 지지구조체(17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171)를 통해 지지구조체(17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향류를 형성하면서 수분제거수단(160)과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구조체(170)의 하단부 측면에는 수분제거수단(160)을 거친 공기를 케이싱(110)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17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체(17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제거수단(160)의 하부에는 수분제거수단(160)에서 수분의 응축으로 인해 형성되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하기 위한 용기(17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용기(173)는 별도의 용기를 지지구조체(170)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지지구조체(170)의 하단부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지지구조체(170)의 하단부를 용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173)에는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위한 응축수 배출관(174)이 연결된다.
한편, 응축수 배출관(174)이 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경우, 외부 공기가 응축수 배출관(174)을 통해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처럼 외부 공기가 케이싱(110)의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될 경우, 외부 공기의 유입과 함께 이물질이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오일 및 원심분리기가 오염될 수도 있고, 특별한 경우 화재가 발생될 위험성 또한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74)은 필요한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173)에 레벨감지수단(175)과 솔레노이드 밸브(176)가 더 설치되고, 상기 레벨감지수단(175)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76)를 제어하는 제어기(180)가 구비된다.
상기 레벨감지수단(175)은 용기(173)내 응축수의 양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는 부표 또는 정전 용량식 수위 감지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레벨감지수단(175)은 응축수의 수위 변화를 감지함에 있어서 특별한 구조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술한 부표 또는 정전 용량식 수위 감지기뿐만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수위변화검출기를 이용하여 레벨감지수단(175)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6)는 응축수 배출관(174)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관(174)에 설치되며, 제어기(18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응축수 배출관(174)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180)는 솔레노이드 밸브(176)의 제어만을 목적으로 한 별도의 제어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원심분리기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기(180)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6)를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이 시스템의 간소화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기(180)는 용기(173) 내의 응축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함에 따라 레벨감지수단(175)으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176)를 제어하여 응축수 배출관(174)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시키게 된다.
참고로, 도 3의 미설명 부호 102는 오일탱크(T)의 오일을 원심분리기로 토출하는 오일 공급펌프이고, 103은 청정유 탱크(101)의 오일을 오일탱크(T)로 반환하도록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 이송펌프이며, 104는 오일 공급펌프(102)와 오일 이송펌프(103)를 구동시키는 모터이고, 105는 인버터이며, 106은 청정유 탱크(101)에 저장된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이고, 107은 청정유 탱크(101)에 저장된 오일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센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심분리기는 오일 공급펌프(102)에 의하여 원심분리기로 공급되는 오일이 스핀들 튜브(130)에 형성된 홀(131)을 통하여 로터(140)의 내부로 분출되는 과정에서 오일과 이물질의 비중차에 의하여 오일과 이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은 로터(140)의 내벽에 설치된 페이퍼에 부착된다.
한편, 오일은 로터(140)의 하단부에 마련된 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며, 이처럼 노즐(141)을 통해 오일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오일에 포함된 수분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150)의 구동에 의하여 케이싱(110)의 내부의 공기는 지지구조체(170)의 상부로 유입되어 수분제거수단(160)을 거친 뒤 지지구조체(170)의 하단부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172)를 통하여 케이싱(110)의 내부로 다시 배출되며, 이로 인하여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순환기류가 형성된다.
결국,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은 상기 순환기류를 따라 이동하여 지지구조체(170)의 내부로 유입되며, 지지구조체(17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수분제거수단(160)과 접촉하면서 응축됨으로써 수분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는 원심분리기를 구성하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순환기류를 형성하기 위한 송풍팬(150)과,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응축을 위한 수분제거수단(160)을 더 포함함으로써, 유수의 분리는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기존의 유수분리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오일 중의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시스템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케이싱 111: 오일 유입구
120: 축 130: 스핀들 튜브
140: 로터 141: 노즐
150: 송풍팬 160: 수분제거수단
170: 지지구조체 171: 개구
172: 공기 배출구 173: 용기
175: 레벨감지수단 176: 솔레노이드 밸브
180: 제어기

Claims (4)

  1. 오일 유입구(111)와 오일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며, 오일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케이싱(110)의 내부로 안내하는 축(120);
    상기 축(1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축(120)을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동하는 오일을 분출하는 스핀들 튜브(130);
    상기 스핀들 튜브(1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스핀들 튜브(130)로부터 분출되는 오일을 받아 여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여과된 오일을 케이싱(110)의 내부로 분사하는 노즐(141)이 형성된 로터(140);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는 오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공기와 함께 케이싱(110)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케이싱(110)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150);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송풍팬(150)의 구동에 의해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수분과 접촉하도록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수분제거수단(160);
    상기 수분제거수단(160)에서 수분의 응축으로 인해 형성되는 응축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수분제거수단(160)의 하부에 마련된 용기(173);
    상기 용기(173)에 설치되어 용기(173)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감지수단(175);
    상기 용기(173)에 연결된 응축수 배출관(174)에 설치되어 응축수 배출관(174)의 유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76); 및
    상기 용기(173) 내의 응축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여 상기 레벨감지수단(175)에서 신호가 발생되면, 응축수 배출관(174)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6)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기(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팬(150)과 수분제거수단(160)을 고정하는 지지구조체(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구조체(170)는 수분제거수단(160)을 내부에 수용하고, 케이싱(110) 내부 공기가 상부에서 유입되어 하향류 형성하면서 수분제거수단(160)을 거치도록 송풍팬(150)이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단부 측면에 공기 배출구(172)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수단(160)은, 엘리미네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KR1020140170218A 2014-12-02 2014-12-02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KR10151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18A KR101519070B1 (ko) 2014-12-02 2014-12-02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PCT/KR2015/012265 WO2016089022A1 (ko) 2014-12-02 2015-11-16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18A KR101519070B1 (ko) 2014-12-02 2014-12-02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070B1 true KR101519070B1 (ko) 2015-05-13

Family

ID=5339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218A KR101519070B1 (ko) 2014-12-02 2014-12-02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9070B1 (ko)
WO (1) WO2016089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66389B1 (en) * 2018-12-10 2021-08-04 Alfa Laval Corporate AB Centrifugal sepa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777A (en) * 1973-09-10 1976-07-06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ar sand froth
US4591433A (en) * 1984-07-11 1986-05-27 Fluid Power Components, Inc. Automatic controls of water-oil separating system for use with centrifugal type separator
US7247234B1 (en) * 1999-08-05 2007-07-24 Zege Oleg N Method for combined processing of diesel fu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0453C2 (sv) * 2001-11-01 2003-07-15 Alfa Laval Corp Ab En apparat för samtidig rening av en vätska och en gas
KR100527514B1 (ko) * 2002-11-26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KR100854563B1 (ko) * 2008-05-07 2008-08-26 홍순조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KR101003524B1 (ko) * 2010-07-27 2010-12-30 신흥정공(주) 원심 필터
KR101320127B1 (ko) * 2011-09-29 2013-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용 윤활유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777A (en) * 1973-09-10 1976-07-06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ar sand froth
US4591433A (en) * 1984-07-11 1986-05-27 Fluid Power Components, Inc. Automatic controls of water-oil separating system for use with centrifugal type separator
US7247234B1 (en) * 1999-08-05 2007-07-24 Zege Oleg N Method for combined processing of diesel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022A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716B2 (en) Dry-cleaning machine
KR101470837B1 (ko) 수분배출구조를 갖는 원심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퓨리파이어 시스템
EP2993420A2 (en) Air washer
US9737897B2 (en) Cover for centrifugal filter
US2013031260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tration of solid particles and separation of liquid droplets and liquid aerosols from a gas stream
KR101519070B1 (ko)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EP1043121B1 (en) Deodorization system for lens-grinding machine
EP338813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liquid from a gas stream coming from a liquid injected vacuum pump or compressor
JP2007285251A (ja) ドレン回収処理装置
KR100794357B1 (ko) 엘리베이터 에어컨의 응축수 제거시스템
KR101369874B1 (ko) 초음파 발진자를 이용한 정수기
KR20180055110A (ko) 격자필터를 갖는 원심분리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유체정화 시스템
KR102097982B1 (ko) 오리피스원리를 이용한 습식집진기
DK141535B (da) Fremgangsmåde og apparat til fjernelse af et på vand flydende lag af forureningsprodukter.
CN106430791B (zh) 一种污油水真空分离设备
FI104477B (fi) Menetelmä kaapelin jatkuvaa valmistusta varten sekä laitos menetelmän toteuttamiseksi
JP2006341153A (ja) 吸引作業車の水・空気分離装置及びこの装置を搭載した吸引作業車
KR102217035B1 (ko) 압축공기 유수분 분리장치
KR101583248B1 (ko) 슬러지 수집 장치
KR100968710B1 (ko) 간편한 필터 교환이 가능한 가습기
BE1023276B1 (nl) Inrichting voor het afscheiden van vloeistof uit een gasstroom die uit een vloeistof-geïnjecteerde vacuümpomp of compressor komt
JP2000070643A (ja) 空気清浄方法及びその装置
CN106430414B (zh) 一种内置导流装置的污油水分离设备
JP2005058813A (ja) 油水分離装置
KR20110010182U (ko) 압축공기용 유수분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