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563B1 -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563B1
KR100854563B1 KR1020080042266A KR20080042266A KR100854563B1 KR 100854563 B1 KR100854563 B1 KR 100854563B1 KR 1020080042266 A KR1020080042266 A KR 1020080042266A KR 20080042266 A KR20080042266 A KR 20080042266A KR 100854563 B1 KR100854563 B1 KR 10085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orage tank
condensate
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조
Original Assignee
홍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조 filed Critical 홍순조
Priority to KR102008004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는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되, 공급되는 응축수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응축수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부가 형성된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와 연결된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2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는 정량스위치가 형성된 조절탱크; 상기 조절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정량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공급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와 공급탱크가 각각 유수분리기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고,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유수분리기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유수분리기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유수분리기를 설치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유수분리기의 제작 및 설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 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유수분리기 주변에 배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유수분리기의 유지 보수 간에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유수분리기, 응축수탱크, 응축수, 에멀젼

Description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CONDENSATION WATER TANK AND OIL-WATER SEPARATOR WHERE CONDENSATION WATER TANK IS COMBINED WITH AII}
본 발명은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탱크가 유수분리기의 본체에 일체로 설치되어 고압의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원수저장탱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응축수탱크에 의해 본체를 지지함은 물론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유수분리기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입되는 응축수를 일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작업용 공구를 이용하게 되는데, 특히 공기압을 이용하는 공구나 기계의 작동을 위하여 고압으로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공기 압축기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윤활유를 사용한다.
그러면 공기 압축기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얻기 위하여 압축장치를 이용해 대기의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고, 이 과정에서 다량의 응축수가 발생한다.
공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와 공기 압축 기의 윤활 시스템에서 유출되는 유분과 같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물질이 혼합된 응축수가 여과없이 방류될 경우, 생태계 파괴 및 토양, 수질 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유수분리기를 사용하여 응축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물질이 혼합된 응축수는 별도로 설치되는 원수저장탱크에 저장되므로, 원수저장탱크와 유수분리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수저장탱크와 유수분리기가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제작 및 설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치상의 제약으로 인해 별도로 설치된 원수저장탱크와 유수분리기 주변으로 배관이 노출되어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고, 원수저장탱크 또는 유수분리기의 유지 보수 간에 노출된 배관의 파손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수분리기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유수분리기를 설치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유수분리기의 제작 및 설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유수분리기 주변에 배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유수분리기의 유지 보수 간에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되, 공급되는 응축수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응축수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부가 형성된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와 연결된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2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는 정량스위치가 형성된 조절탱크; 상기 조절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 장하되, 상기 정량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공급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와 공급탱크가 각각 유수분리기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고,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유수분리기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정량스위치에 의해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차단하는 펌핑장치와, 내부에 저장된 약품을 교반하고 일정하게 배출하는 약품저장조와, 상기 약품저장조에서 배출하는 약품과 상기 펌핑장치를 통해 공급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교반하고 침전수와 처리수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반응조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공급탱크와 연결되고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노즐;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수를 배출/차단하는 제1처리밸브; 상기 반응조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를 배출/차단하는 제2처리밸브;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를 연결하는 관과, 상기 조절탱크와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관 중 적어도 어느 한 관에는 저장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에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압력공기관;
상기 압력공기관에 설치되어 압력공기를 조절하는 감압밸브; 상기 압력공기관에 설치되어 압력공기를 공급/차단하는 제1전동밸브;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로부터 역류하는 응축수와 기체를 분리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와 상기 유수분리기를 연결하는 잔류수회수관;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유수분리기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공급/차단하는 제2전동밸브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유수분리기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공급/차단하는 흡입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수분리기에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되, 공급되는 응축수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응축수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부가 형성된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와 연결된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2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는 정량스위치가 형성된 조절탱크; 상기 조절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정량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유수분리기에 공급하는 공급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와 공급탱크가 각각 유수분리기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고,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결합하여 유수분리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압부는 공급되는 응축수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부; 다수 개의 분산공이 타공되어 상기 날개부를 거친 응축수를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압부는 응축수의 공급위치에 따라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량스위치는 상기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에 떠있는 부력체; 상기 조절탱크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조절수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정량감지부; 상기 부력체와 상기 정량감지부의 접촉에 의해 on/off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를 연결하는 관과, 상기 조절탱크와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관 중 적어도 어느 한 관에는 저장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수분리기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유수분리기를 설치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유수분리기의 제작 및 설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유수분리기 주변에 배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유수분리기의 유지 보수 간에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에멀전 상태의 응축수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공기의 가압력에 의해 반응조에 공급되는 응축수의 양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에멀전 상태의 응축수 분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최초 공급되는 응축수의 압력을 감소시켜 응축수탱크를 보호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이용하여 유수분리기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또한, 응축수탱크에서 유수분리기의 반응조에 응축수를 공급할 때, 반응조에 공급되는 응축수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응축수는 공기 중의 먼지와 유분 등이 혼합된 액체를 말하고, 침전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첨가된 약품과 반응하여 후술하는 반응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물질을 말하고, 처리수는 약품에 의해 응축수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후술하는 반응조의 상부에서 상술한 침전수와 분리된 액체를 말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반응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수분리기는 제1저장탱크(1), 제2저장탱크(2), 조절탱크(3), 공급탱크(4), 본체(8, 도 3 참조), 펌핑장치(5), 약품저장조(6), 반응조(7)를 포함한다.
제1저장탱크(1)는 공기 압축기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로, 내부에는 응축수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고 공급되는 응축수에서 기체를 분리하는 감압부(12)가 형성된다.
제2저장탱크(2)는 제1저장탱크(1)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저장탱크(1)에 저장된 응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로, 상부에는 제1저장탱크(1)의 상부와 연결되는 통기관(22)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통풍구(24)가 형성된다.
조절탱크(3)는 제2저장탱크(2)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된 응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로, 상부에는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정량스위치(32)가 설치된다.
공급탱크(4)는 조절탱크(3)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 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탱크로, 정량스위치(32)의 동작에 따라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상술한 제1저장탱크(1)와 제2저장탱크(2)와 조절탱크(3)와 공급탱크(4)는 각각 육면체 형상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게 되고, 다수의 프레임(81)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술한 각각의 탱크(1)(2)(3)(4)에 의해 지지되고,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본체(8, 도 3참조)를 형성한다.
그러면, 제1저장탱크(1), 제2저장탱크(2), 조절탱크(3), 공급탱크(4)로 이루어진 응축수탱크가 일체로 형성된 유수분리기의 본체(8, 도 3참조)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술한 본체(8, 도 3참조)의 설치공간에는 펌핑장치(5)와 약품저장조(6)와 반응조(7)가 설치될 수 있다.
펌핑장치(5)는 정량스위치(32)의 동작에 의해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되는 응축수를 차단하는 장치로, 압력공기관(51)이 공급탱크(4)에 연결되어 주입되는 압력공기에 의해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를 반응조(7)로 배출한다.
펌핑장치(5)는 압력공기관(51)에 설치되어 압력공기를 조절하는 감압밸브(D)가 설치되고, 감압밸브(D)를 거친 압력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1전동밸브(S1)를 포함하고, 통상 솔레노이드밸브를 제1전동밸브(S1)로 사용한다.
또한, 펌핑장치(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압력공기관(51)을 통해 공급탱 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역류할 경우, 역류한 응축수와 기체를 분리할 수 있는 여과부가 더 형성되고, 여과부를 거친 응축수는 잔류응축수관을 통해 반응조(7)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펌핑장치(5)를 통해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반응조(7)에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탱크(4)와 반응조(7) 사이의 배출관(43)에는 제2전동밸브(S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펌핑장치(5)는 압력공기관(51)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공급탱크(4)와 반응조(7) 사이의 배출관(43)에 형성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물과 유분 등이 섞여 에멀젼 상태를 이루는 응축수에서 유수분리작업을 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는 에멀젼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장시간의 방치가 아니면 물과 유분의 분리가 어려우므로 본체(8, 도 3참조)의 설치공간에는 약품저장조(6)와 반응조(7)가 설치될 수 있다.
약품저장조(6)는 내부에 저장된 약품을 교반시켜 약품저장조(6) 내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응조(7)에 일정하게 공급된 응축수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약품을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약품저장조(6)는 등록특허 제0704162호(유수분리기용 약품저장조, 2007. 03. 30.)에 개시되어 있는 바,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응조(7)는 상술한 펌핑장치(5)를 통해 공급탱크(4)로부터 일정하게 유입된 응축수와 이 응축수에 대응하여 약품저장조(6)에서 배출된 약품을 교반함으로써, 에멀젼 상태로 혼합된 유분은 약품에 의해 침전되어 반응조(7)의 하부에서 침전수를 형성하고, 침전수를 제외한 응축수는 반응조의 상부에서 처리수가 되어 분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응조(7)는 상술한 공급탱크(4)와 연결되고 상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노즐(71)과, 반응조(7)의 하부에 설치되어 반응조(7) 내부에 침전된 침전수를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제1처리밸브(V1)와, 반응조(7)의 측면에 설치되어 침전수와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제2처리밸브(V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 일체로 형성된 응축수탱크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 형성된 응축수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탱크를 나타내는 상부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탱크를 나타내는 상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절탱크를 나태내는 상부 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탱크는 제1저장탱크(1)와 제2저장탱크(2)와 조절탱크(3)와 공급탱크(4)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저장탱크(1)는 공급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저장한다. 공급관(11)은 응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따라 제1저장탱크(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제1저장탱크(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급관(11)의 위치에 대응하여 감압부(12)가 형성된다.
감압부(12)는 회전축(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날개부(14)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응축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공급되는 응축수의 압력을 낮출 수 있으며, 공급되는 응축수와 함께 유입되는 기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감압부(12)에는 다수 개의 분산공이 타공된 분산판(15)이 설치되어 날개부(14)를 거쳐 압력 조절된 응축수를 분산시키고, 제1저장탱크(1) 내에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저장탱크(2)는 제1저장탱크(1)의 일측에서 제1연결관(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도면에서 제1연결관(21)은 제1저장탱크(1)의 하부와 제2저장탱크(2)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1저장탱크(1)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1연결관(21)을 통해 유입되어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되며, 제1저장탱크(1)의 저장 수위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제2저장탱크(2)로 응축수가 유입된다.
제2저장탱크(2)의 상부에는 제1저장탱크(1)의 상부와 연결되는 통기관(22)이 형성되고, 제2저장탱크(2)의 상부면에서는 통풍구(24)가 형성되어 제1저장탱크(1)의 감압부(12)를 통해 발생한 기체가 통기관(22)을 통해 통풍구(24)로 배출된다.
조절탱크(3)는 제2저장탱크(2)의 일측에서 제2연결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2연결관(31)을 통해 유입되어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된 다음 오버플로우 현상에 의해 조절탱크(3)에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조절탱크(3)에는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량스위치(32)가 설치된다.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조절수위가 되면, 정량스위치(32)가 동작하여 상술한 펌핑장치(5)를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조절수위는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를 반응조(7)로 배출하기 위해 정량스위치(32)를 동작시킬 수 있는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말한다.
정량스위치(32)는 부력체(34)와 정량감지부(35)와 스위칭부(36)로 구분하고, 부력체(34)는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에 떠 있는 부표 형상으로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조절탱크(3)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정량감지부(35)는 조절탱크(3)의 상부에서 상하 왕복할 수 있도록 바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단부는 부력체(34)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판 형상을 이루고, 상단부는 스위칭부(36)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중심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한다. 스위칭부(36)는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조절수위을 넘게 되면 부력체(34)와 정량감지부(35)의 접촉에 의해 on/off 신호를 발생한다.
정량스위치(32)는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 수위가 상승하여 조절수위 를 넘어서면, 부력체(34)가 정량감지부(35)의 하단부에 접촉하면서 정량감지부(35)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정량감지부(35)는 스위칭부(36)와 접촉하면서 스위칭부(36)에서 on/off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공급탱크(4)는 조절탱크(3)의 일측에서 조절관(41)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공급탱크(4)의 하부에는 배출관(43)이 상술한 반응조(7)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조절관(41)은 도면에서 공급탱크(4)의 하부와 조절탱크(3)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다.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는 조절관(41)을 통해 유입되어 공급탱크(4)에 저장되며,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공급탱크(4)로 응축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가 조절수위를 넘어서면 정량스위치(32)가 동작하게 되고,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출관(43)을 통해 반응조(7)로 배출된다.
이때, 공급탱크(4)에는 상술한 펌핑장치(5)를 설치하여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상술한 제2연결관(31) 또는 조절관(41)에는 역류방지밸브(C)가 설치되어 공급탱크(4)에서 응축수를 배출할 때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제2저장탱크(2) 또는 조절탱크(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저장탱크(1)와 제2저장탱크(2)와 조절탱크(3)와 공급탱크(4)는 각각 탱크 내에서 저장된 응축수의 중력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제1저장탱크(1)와 제2저장탱크(2)와 조절탱크(3)와 공급탱크(4)는 각각 육면체 형상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게 되고, 별도로 마련된 다수의 프레임(81)에 의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상술한 탱크(1)(2)(3)(4)와 프레임(81)에 의해 안정되고 견고한 육면체 형상의 틀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상술한 탱크(1)(2)(3)(4)와 다수의 프레임(81)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공간에는 유수분리작업에 필요한 장치들(상술한 펌핑장치, 약품저장조, 반응조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통도로써, 도 7을 참조하면, 공급관(11)을 통해 이물질이 포함된 고압의 응축수가 제1저장탱크(1)에 유입되면, 유입된 응축수는 감압부(12)의 날개부(14)를 회전시키면서 압력이 감소되고, 응축수에 포함된 기체를 분리한다. 감압된 응축수는 분산판(15)을 거쳐 제1저장탱크(1)에 저장되고, 응축수의 감압에 따라 팽창되거나 상술한 분리된 기체는 통기관(22)을 통해 제2저장탱크(2)의 통풍구(24)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연결관(21)이 제1저장탱크(1)의 하부와 제2저장탱크(2)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제1저장탱크(1)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1저장탱크(1)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제2저장탱크(2)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관(31)이 제2저장탱크(2)의 상부와 조절탱크(3)의 상부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2연결관(31)이 형성된 부분보다 높은 수위를 형성하여 오버플로우 현상에 의해 조절탱크(3)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제1저장탱크(1)와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된 응축수는 조절탱크(3)로 흘러들어가기 전까지 중력분리될 수 있다.
제2저장탱크(2)에 저장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 현상에 의해 조절탱크(3)에 유입되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력체(34)가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에 떠 있게 된다.
조절관(41)이 조절탱크(3)의 하부와 공급탱크(4)의 하부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는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공급탱크(4)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조절탱크(3)와 공급탱크(4)에서도 중력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조절탱크(3)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와 대응되게 공급탱크(4)에도 응축수가 저장되며, 조절탱크(3)의 응축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력체(34)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조절수위를 넘게 되면, 부력체(34)는 조절수위에 대응하여 설치된 정량감지부(35)에 접촉된 채 정량감지부(35)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정량감지부(35)의 상단은 스위칭부(36)와 접촉하게 된다.
정량감지부(35)와 스위칭부(36)의 접촉에 의해 정량스위치(32)가 동작하게 되면, 압력공기관(51)에 설치된 제1전동밸브(S1)가 개방되어 압력공기가 공급탱크(4)에 유입된다. 압력공기관(51)의 압력공기는 감압밸브(D)에 의해 압력이 조절되어 공급탱크(4)에 유입된다. 공급탱크(4)는 펌핑장치(5)의 압력공기에 따라 압력용기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배출관(43)에 설치된 제2전동밸브(S2)도 개방되어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반응조(7)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한다. 이때, 조절관(41)에는 역류방지밸브(C)가 설치되어, 압력공기가 공급탱크(4)에 유입될 때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조절탱크(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C)는 통상 스윙체크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배출관(43)을 통해 반응조(7)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공급되면 제1전동밸브(S1)와 제2전동밸브(S2)가 잠금 상태가 되고, 조절탱크(3)에 저장된 응축수가 공급탱크(4)로 흘러들어 가게 되며, 이러한 공정이 반복되면서 정량스위치(32)의 동작에 의해 제1전동밸브(S1)와 제2전동밸브(S2)를 개방하여 반응조(7)에 일정량의 응축수를 공급하게 된다.
반응조(7)에서는 배출관(43)에 연결된 노즐(71)을 통해 반응조(7)의 내벽을 타고 응축수가 흘러내리도록 하고 있다.
반응조(7)에 공급되는 응축수의 양은 반응조(7)에 형성된 별도의 센서에 의해 조절할 수 있고, 펌핑장치(5)의 압력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공급탱크(4)에 저장된 응축수가 역류하여 압력공기관(51)으로 유입되면, 여 과부(F)를 거쳐 여과되고, 여과된 응축수는 잔류수회수관(53)을 통해 반응조(7)로 공급된다.
약품저장조(6)는 제1모터(M1)에 의해 제1교반부(61)가 회전하면서 반응조(7)에 저장된 응축수에 대응하는 일정량의 약품을 반응조(7)에 공급한다.
약품저장조(6)를 통해 공급된 약품과 공급탱크(4)를 통해 공급된 응축수가 저장된 반응조(7)는 제2모터(M2)의 구동에 따라 제2교반부(72)가 회전하면서 약품과 응축수를 혼합하여 응축수를 침전수와 처리수로 분리하는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면 침전수와 처리수가 분리되어 침전수는 반응조(7)의 하부에 침전되고, 처리수는 침전수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2처리밸브(V2)를 개방하여 처리수를 배출하고, 제2처리밸브(V2)를 개방하여 침전수를 배출한다.
계속해서 조절탱크(3)에 설치된 정량스위치(32)의 on/off 동작에 따라 공급탱크(4)의 응축수를 반응조(7)에 공급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침전수와 처리수로 분리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통도로써,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서는 펌핑장치(5)가 배출관(43)에 설치되는 흡입펌프(P)로 이루어져 상술한 정량스위치(32)의 on/off 동작에 따라 흡입펌프(P)를 구동시키고 있다.
이때 역류방지밸브(C)는 흡입펌프(P)의 동작에 따라 개폐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반응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 형성된 응축수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탱크를 나타내는 상부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저장탱크를 나타내는 상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절탱크를 나태내는 상부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저장탱크 2: 제2저장탱크 3: 조절탱크
4: 공급탱크 5: 펌핑장치 6: 약품저장조
7: 반응조 8: 본체 11: 공급관
12: 감압부 14: 날개부 15: 분산판
16: 회전축 21: 제1연결관 22: 통기관
24: 통풍구 31: 제2연결관 32: 정량스위치
34: 부력체 35: 정량감지부 36: 스위칭부
41: 조절관 43: 배출관 51: 압력공기관
53: 잔류수회수관 61: 제1교반부 71: 노즐
72: 제2교반부 81: 프레임 C: 역류방지밸브
D:감압밸브 F: 여과부 M1: 제1모터
M2:제2모터 P:흡입펌프 S1:제1전동밸브
S2: 제2전동밸브 V1: 제1처리밸브 V2: 제2처리밸브

Claims (13)

  1.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분리하는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되, 공급되는 응축수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응축수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부가 형성된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와 연결된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2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는 정량스위치가 형성된 조절탱크;
    상기 조절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정량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공급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와 공급탱크가 각각 유수분리기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고,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결합하여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유수분리기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정량스위치에 의해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차단하는 펌 핑장치와,
    내부에 저장된 약품을 교반하고 일정하게 배출하는 약품저장조와,
    상기 약품저장조에서 배출하는 약품과 상기 펌핑장치를 통해 공급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를 교반하고 침전수와 처리수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반응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공급탱크와 연결되고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노즐;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수를 배출/차단하는 제1처리밸브;
    상기 반응조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를 배출/차단하는 제2처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를 연결하는 관과, 상기 조절탱크와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관 중 적어도 어느 한 관에는 저장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에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압력공기관;
    상기 압력공기관에 설치되어 압력공기를 조절하는 감압밸브;
    상기 압력공기관에 설치되어 압력공기를 공급/차단하는 제1전동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로부터 역류하는 응축수와 기체를 분리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와 상기 유수분리기를 연결하는 잔류수회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유수분리기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공급/차단하는 제2전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상기 공급탱크와 상기 유수분리기 사이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공급/차단하는 흡입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9. 유수분리기에 이물질이 포함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되, 공급되는 응축수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응축수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부가 형성된 제1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와 연결된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기체를 배출하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2저장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저장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는 정량스위치가 형성된 조절탱크;
    상기 조절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를 저장하되, 상기 정량스위치의 on/off 동작에 따라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유수분리기에 공급하는 공급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와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와 공급탱크가 각각 유수분리기의 높이 방향 모서리를 형성하고,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 인접한 탱크를 서로 결합하여 유수분리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공급되는 응축수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부;
    다수 개의 분산공이 타공되어 상기 날개부를 거친 응축수를 분산시키는 분산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응축수의 공급위치에 따라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스위치는
    상기 조절탱크에 저장된 응축수에 떠있는 부력체;
    상기 조절탱크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조절수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정량감지부;
    상기 부력체와 상기 정량감지부의 접촉에 의해 on/off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탱크.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탱크와 조절탱크를 연결하는 관과, 상기 조절탱크와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관 중 적어도 어느 한 관에는 저장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탱크.
KR1020080042266A 2008-05-07 2008-05-07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KR10085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66A KR100854563B1 (ko) 2008-05-07 2008-05-07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266A KR100854563B1 (ko) 2008-05-07 2008-05-07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563B1 true KR100854563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266A KR100854563B1 (ko) 2008-05-07 2008-05-07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030B1 (ko) * 2011-09-17 2013-10-21 주식회사 포스코 응축수 처리 장치
WO2016089022A1 (ko) * 2014-12-02 2016-06-09 신흥정공주식회사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611A (en) 1992-02-06 1992-09-01 Summit Oil Company,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5207895A (en) 1992-06-15 1993-05-04 Pioneer Air Systems, Inc. Oil/water separator
JPH06178979A (ja) * 1992-12-16 1994-06-28 Kubota Corp 固液分離装置
KR200220316Y1 (ko) 2000-11-30 2001-04-16 정성욱 응축수용 유수분리기
KR100704163B1 (ko) 2006-12-20 2007-04-09 홍순조 유수분리기의 응축수 펌핑장치
KR20080032433A (ko) * 2006-10-09 2008-04-15 김달곤 유수분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611A (en) 1992-02-06 1992-09-01 Summit Oil Company,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5207895A (en) 1992-06-15 1993-05-04 Pioneer Air Systems, Inc. Oil/water separator
JPH06178979A (ja) * 1992-12-16 1994-06-28 Kubota Corp 固液分離装置
KR200220316Y1 (ko) 2000-11-30 2001-04-16 정성욱 응축수용 유수분리기
KR20080032433A (ko) * 2006-10-09 2008-04-15 김달곤 유수분리기
KR100704163B1 (ko) 2006-12-20 2007-04-09 홍순조 유수분리기의 응축수 펌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030B1 (ko) * 2011-09-17 2013-10-21 주식회사 포스코 응축수 처리 장치
WO2016089022A1 (ko) * 2014-12-02 2016-06-09 신흥정공주식회사 수분제거 기능을 갖는 원심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472B1 (en) Device and method of collecting solids from a well
KR101202889B1 (ko) 오일스키머
KR100938411B1 (ko) 부유물 흡입기
KR100298064B1 (ko) 용존공기부상식 수처리장치
US6592753B2 (en) Oil recovery system
KR100854563B1 (ko)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KR20120085995A (ko) 지하수 재활용을 위한 집수조용 급수장치
US10525380B2 (en) Floating chopper sludge weir
KR200387977Y1 (ko) 수중미세기포 발생기와 약품흡입배관을 이용한폐수처리장치
JP4930340B2 (ja) 加圧浮上装置
KR102099930B1 (ko) 역세척 기능을 가진 슬러지 정화장치
KR102246268B1 (ko) 기포사이즈가 상이한 다단수중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산화성 가스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JP4072356B2 (ja) 油水分離装置及び油水分離方法
JP3092013B2 (ja) 油水分離装置
KR200258000Y1 (ko) 순환여과식 포말분리장치
JP4194469B2 (ja) 油水分離装置
JP3772860B2 (ja) 気体溶解装置
KR100969542B1 (ko) 지하수 정수필터 장치
KR20100057236A (ko) 조류 제거용 부상조
KR102414528B1 (ko)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CN216890188U (zh) 含油污水处理用纳米气浮装置
JP2003039066A (ja) 浮上油回収装置
KR102390494B1 (ko) 기포 오일스키머
JP2009131810A (ja) 油水分離装置
JP2006043572A (ja) 浮遊物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