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202B1 - 철 휀스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 휀스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202B1
KR102566202B1 KR1020220116691A KR20220116691A KR102566202B1 KR 102566202 B1 KR102566202 B1 KR 102566202B1 KR 1020220116691 A KR1020220116691 A KR 1020220116691A KR 20220116691 A KR20220116691 A KR 20220116691A KR 102566202 B1 KR102566202 B1 KR 10256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ylinder
square tube
iron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구
홍진환
강혜진
Original Assignee
(주)우리휀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휀스산업 filed Critical (주)우리휀스산업
Priority to KR102022011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202B1/ko
Priority to KR1020230081079A priority patent/KR1025889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21D13/045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the corrugations being parallel to the fee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정라인의 일측에서 소재가 되는 철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부; 상기 언코일러부로부터 언코일되는 철을 평판의 패널로 펴주면서 공정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는 스트레이트닝부; 상기 스트레이트닝부로부터 공급되는 패널을 롤 포머유닛으로 가압하여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골부와 산부를 형성하는 제1 포밍부; 및 상기 제1 포밍부를 통과한 패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롤 포머유닛을 통해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접어서 일정형상의 각형관으로 롤 포밍하는 제2 포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 휀스 제조 시스템{IRON FENCE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휀스를 구성하는 각형관을 롤 포밍 성형 방식으로 성형하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포밍 공법은 코일을 풀어 상부 성형롤과 하부 성형롤을 한 쌍으로 구성하는 롤 포머가 다단으로 일렬 배치되는 롤 포밍유닛을 거치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으로, 특히 휀스나 차량용 범퍼빔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직선타입의 빔류를 제조하는데 적용된다.
일반적인 롤 포밍 공정은 먼저, 공급되는 코일을 풀어주는 언코일러가 공정라인 전방에 구성되어 언코일 단계를 진행하고, 언코일러로부터 풀려 나온 코일을 평판의 패널로 펴주는 스트레이트너가 그 후방에 구비되어 스트레이트닝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스트레이트너)의 후방에는 스트레이트너로부터 공급된 패널에 성형될 빔류의 조립을 위한 여러 용도의 홀을 가공하는 브레이크 프레스가 구비되어 피어싱 단계를 진행한다.
이후, 적어도 10단 이상의 롤 포머들로 구성되는 롤 포밍유닛은 브레이크 프레스의 후방에 배치되어 언코일러, 스트레이트너 및 브레이크 프레스를 거쳐 공급되는 패널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얻고자 하는 성형빔의 형상으로 롤 성형하는 롤 포밍 단계를 진행 하게 된다.
롤 포밍유닛의 후방에는 롤 포밍된 성형빔의 각 용접위치에 대하여 롤 스폿 용접기 등의 용접유닛을 이용하여 용접작업을 진행하는 용접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용접유닛의 후방에서는 라운드 벤더를 이용하여 용접 단계로부터 공급되는 용접된 성형빔을 일정 곡률로 성형하는 벤딩 단계를 진행한다.
라운드 벤더의 후방에는 곡률 성형된 성형빔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는 컷팅 프레스가 구성되어 제품화하기 위한 완성품의 규격대로 절단하는 컷팅 단계를 진행한다.
이러한 롤 포밍 공정을 통하여, 완성된 성형빔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 포밍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성형빔은 이후 공정에서, 치수 등을 맞추기 위한 정밀가공 또는 다른 부품과의 조립을 위한 웰드너트 또는 팝너트와 같은 하드웨어를 접합하여 완성품이 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6772호
본 발명은, 소재가 되는 코일을 자동으로 권출하고, 공정라인의 전방에서 자동으로 코일을 패널형태로 피는 공정과, 코일에 골부와 산부를 형성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공정과, 패널형태의 코일을 접어서 각형관으로 만들어주는 공정 및 각형관을 일정크기로 컷팅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라인의 정지 없이 여러 개의 각형관을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후 공정에서 각형관의 컷팅단계를 배제할 수 있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나무 무늬가 적용되며 특수표면 처리된 철판을 사용하여 각형관 형상으로 만들고 휀스에 적용 하므로, 최종 생산되는 휀스 제품의 완성도가 높고 휀스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코일을 각형관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형관의 양측에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를 형성함으로써, 가공된 각형관이 일정한 형상과 품질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컷팅 작업까지 완료된 각형관을 일정개수로 모아 보관창고로 자동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형관을 선택적으로 장식하여 휀스를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휀스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알림수단을 추가함으로써, 휀스 및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은, 공정라인의 일측에서 소재가 되는 철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부; 상기 언코일러부로부터 언코일되는 철을 평판의 패널로 펴주면서 공정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는 스트레이트닝부; 기 스트레이트닝부로부터 공급되는 패널을 롤 포머유닛으로 가압하여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골부와 산부를 형성하는 제1 포밍부; 및 상기 제1 포밍부를 통과한 패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롤 포머유닛을 통해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접어서 일정형상의 각형관으로 롤 포밍하는 제2 포밍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이트닝부와 상기 제1 포밍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밍부에 선행하여 상기 패널의 양측을 가압 절곡하여 상기 패널이 상기 제2 포밍부에 의해 절곡될 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절곡부; 상기 제2 포밍부를 통과한 각형관의 양측을 복수개의 가압롤러들을 통해 가압하여 절곡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부; 및 상기 형상유지부를 통과한 각형관을 일정길이로 킷팅하는 컷팅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철은 표면에 나무 무늬가 프린팅된 프린트 철판으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컷팅부에 의해 컷팅된 각형관을 일정개수로 모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컷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트레이;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컷팅부에 의해 컷팅 된 각형관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형태로 안착되며, 양측에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통이 각각 형성된 안착부; 상기 하부트레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트레이를 상승시키는 상승 실린더;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트레이; 상기 상부트레이의 저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되,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각형관들의 사이와 각각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저면에 상기 각형관들의 사이로 들어가도록 칼날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형관들에 각각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칼날부 및 부착부의 하측 일정영역이 상기 각형관들의 사이로 들어가 상기 각형관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상기 상부트레이를 하강시키는 하강 실린더; 상기 상부트레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상부트레이가 하강될 시 상기 고정통과 마주하게 되는 수평홀이 형성된 사이드부; 상기 수평홀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측에 상기 수평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통과 마주할 수 있는 대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평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드부의 일면에 걸리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상부트레이가 하강되어 상기 고정통과 마주하게 될 시, 상기 대향부 및 일정영역이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통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걸림판을 당기면 상기 고정통에서 인출되는 락킹부; 상기 하강 실린더가 상기 상부 트레이를 상승시키면 상기 하강 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동실린더; 상기 하부 트레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실린더에 의해 이송된 각형관을 수집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집테이블; 상기 수집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부가 안착되면 상기 각형관의 상면 일측과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승되면 상기 부착부들이 상기 각형관들의 상측으로 이탈되도록 하고, 일측면에 레일부가 각각 형성된 분리부; 및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 및 상기 각형관들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형관이 설치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장식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 상측에 각각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각각 롤 형태로 권취되며, 끝단에 원형바 형상의 권출용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서 권출될 시 펼쳐지면서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리되, 표면에 장식을 위한 색상 또는 무늬가 인쇄된 스파이럴 스프링; 및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권출되어 펼쳐질 시, 상기 권출용손잡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포켓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에 이송된 각형관들에 일측면에 각각 적용되며, 상기 각형관이 설치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각형관의 위치를 알리게 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각형관들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승강가이드레일부; 상기 각형관들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레일부를 따라 각각 승강될 수 있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며, 도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바; 어느 하나의 승강부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부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야광시트; 상기 승강부에 각각 설치되는 LED 램프; 및 상기 휀스를 구성하는 지주에 설치되며,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일 경우, 상기 LED 램프 및 상기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조도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재가 되는 코일을 자동으로 권출하고, 공정라인의 전방에서 자동으로 코일을 패널형태로 피는 공정과, 코일에 골부와 산부를 형성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공정과, 패널형태의 코일을 접어서 각형관으로 만들어주는 공정 및 각형관을 일정크기로 컷팅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공정라인의 정지 없이 여러 개의 각형관을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후 공정에서 각형관의 컷팅단계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나무 무늬가 적용되며 특수표면 처리된 철판을 사용하여 각형관 형상으로 만들고 휀스에 적용 하므로, 최종 생산되는 휀스 제품의 완성도가 높고 휀스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코일을 각형관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형관의 양측에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를 형성함으로써, 가공된 각형관이 일정한 형상과 품질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컷팅 작업까지 완료된 각형관을 일정개수로 모아 보관창고로 자동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형관을 선택적으로 장식하여 휀스를 다양한 형태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휀스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알림수단을 추가함으로써, 휀스 및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절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포밍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형상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의해 가공된 각형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장식부 및 알림부가 각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장식부가 각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알림부가 각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절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제1 포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롤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형상유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의해 가공된 각형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이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장식부 및 알림부가 각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장식부가 각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에 적용된 알림부가 각형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1)은, 언코일러부(10)와, 스트레이트닝부(20)와, 제1 포밍부(30)와, 절곡부(40)와, 제2 포밍부(50)와, 형상유지부(60)와, 컷팅부(70)와, 이송부(80)와, 장식부(90) 및 알림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언코일러부(10)는 공정라인의 일측 전방에서 휀스(160)의 소재가 되는 철(110)을 언코일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휀스는 각형관을 알루미늄으로 사용하였으나, 알루미늄은 고가이므로 휀스의 단가를 불필요하게 상승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1)은 각형관(110)의 소재를 알루미늄보다 저렴한 철로 사용할 수 있다.
언코일러부(10)에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철(110)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다.
철(110)은 표면에 나무 무늬가 프린팅된 프린트 철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철(110)은 각형관으로 포밍되어 철 휀스(160)에 설치되는 것으로, 표면에 나무 무늬가 인쇄됨에 따라 철 휀스(160)가 친환경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포밍 제품은 가공 후 분체 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은, 나무 무늬가 적용되며 특수표면 처리된 철판을 사용하여 각형관 형상으로 만들고 휀스에 적용 하므로, 최종 생산되는 휀스 제품의 완성도가 높고 휀스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언코일러부(10)의 중심축(11)은 모터(71)의 동력으로 일정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중심축(11)이 회전됨으로 인해 언코일러부(10)에 감겨져 있는 철(110)이 일정속도로 언코일 된다.
이러한 언코일러부(10)는 롤 포밍 장치나 롤 포밍 공정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스트레이트닝부(20)는 언코일러부(1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스트레이트닝부(20)는 언코일러부(10)에서 언코일되는 철(110)을 평판의 패널 형태로 펴준다.
이때, 스트레이트닝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레이트닝부(20)의 롤러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철(110)은 스트레이트닝부(20)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평판의 패널로 펼쳐진다. (이하, '철'을 '패널'이라 함.)
그리고, 스트레이트닝부(20)의 롤러가 제자리 회전됨에 따라, 펼쳐진 패널은 공정진행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스트레이트닝부(20)는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철을 여러 번 펼치도록 2쌍 이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1)은, 스트레이트닝부(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트레이트닝부(20)를 통과한 철에 조립이나 기타 다양한 목적의 구멍을 성형하는 피어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40)는 제1 포밍부(30)와 제2 포밍부(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밍부(30)에 선행하여 패널의 양측을 절곡하여 패널이 상기 제2 포밍부(50)에 의해 절곡될 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110a)를 형성한다.
절곡부(40)는 제1 포밍부(30)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 포밍부(30)에 선행하여 패널(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절곡하여 맞물림부(110a)를 각각 형성시킨다.
일 예로, 절곡부(40)는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40)의 롤러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철은 절곡부(40)의 롤러 아래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롤러의 양측에는 철의 양측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절곡하는 가압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40)는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를 다단으로 연속적으로 다단으로 절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의 중앙부분이 후술되는 제2 포밍부(50)에 의해 접혀질 경우 양 맞물림부(110a)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제2 포밍부(50)에 의해 접혀진 패널이 각형관(110)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절곡부(40)는 롤 포밍 장치나 롤 포밍 공정에서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포밍부(30)는 절곡부(40)를 통과한 패널을 롤 포머유닛(31)을 이용하여 굽힘 가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포머유닛(31)은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에 복수개의 굽힘립(3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굽힘립(32)은 롤 포머유닛(3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굽힘립(32)은 롤 포머유닛(31)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롤 포머유닛(31)의 하측에는 패널의 저면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롤러(120)가 각각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굽힘립(32)들은 패널의 상면 중에서 지지롤러(120)에 지지된 부분과 중앙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굽힘가공 한다.
이로 인해, 패널의 상면과 저면 폭 방향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골부(111)와 산부(112)와 연속적으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굽힘립(32)에 의해 패널의 상면은 가압되어 골부(111)가 형성되지만 이 골부(111)와 대응되는 외면에는 산부(112)가 형성된다.
물론, 굽힘립(32)들에 가압되지 아니한 부분들은 산부(112)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패널 형태의 철이 제2 포밍부(50)에 의해 접혀질 경우, 전술한 상면은 결국 내면이 되고, 저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이 된다.
이러한 제1 포밍부(30)는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철을 여러 번 펼치도록 2쌍 이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포밍부(50)는 제1 포밍부(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포밍부(30)를 통과한 패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롤 포머유닛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절곡하여 접어서 일정형상의 각형관(110)으로 롤 포밍한다.
부가 롤 포머유닛은 그 중앙부분이 패널의 상면 중앙부분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제1 롤 유닛(51a)과, 제2 롤 유닛(51b)과, 제3 롤 유닛(51c) 및 제4 롤 유닛(51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롤 유닛(51a)과, 제2 롤 유닛(51b)과, 제3 롤 유닛(51c) 및 제4 롤 유닛(51d)의 하측에는 패널의 저면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롤러(130)가 각각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 유닛(51a)의 길이(L1)가 제일 길게 형성되고, 제2 롤 유닛(51b)의 길이(L2)가 제1 롤 유닛(51a)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되며, 제3 롤 유닛(51c)의 길이(L3)가 제2 롤 유닛(51b)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4 롤 유닛(51d)의 길이(L4)가 제3 롤 유닛(51c)의 길이(L3) 보다 짧게 형성된다.
즉, 제1 롤 유닛(51a)에서부터 제4 롤 유닛(51d)으로 갈수록 그 길이(L1, L2, L3, L4)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형성되는 것이며, 제1 롤 유닛(51a)에서부터 제4 롤 유닛(51d)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가압되는 패널은 점진적으로 접혀진다.
이때, 패널은 중앙 부분으로 기준으로 그 일측과 타측이 점진적으로 가까워지게 접혀져 결국 각형관(110) 형상으로 가공된다. (이하, ‘패널’을 ‘각형관’이라 함.)
이상 설명한 스트레이트닝부(20)와, 제1 포밍부(30)와, 절곡부(40) 및 제2 포밍부(50)는 각각 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축에는 서로 치합되는 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밍부(30)와, 절곡부(40) 및 제2 포밍부(50) 중 어느 하나의 축을 모터(71)로 회전시키면, 제1 포밍부(30)와, 절곡부(40) 및 제2 포밍부(50)가 일률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형상유지부(60)는 제2 포밍부(50)를 통과한 각형관(110)의 양측을 복수개의 가압롤러(61)들을 통해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각형관(110)이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가압롤러(6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2 포밍부(50)를 통과한 각형관(110)이 가압롤러(61)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가압롤러(61)는 적어도 2 쌍 이상으로 적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패널 형태의 철이 제2 포밍부(50)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접혀지면, 각형관(110)의 저면이 가압롤러(61)와 마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각형관(110)은 이 상태에서 가압롤러(61)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절반으로 접혀지게 되고, 결국 완전한 사각바 형상의 각형관(110)이 된다.
그리고, 각형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맞물림부(110a)는 형상유지부(60)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게 되어, 각형관(11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지 아니하고, 각형관(110)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압롤러(61)들은 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축에는 서로 치합되는 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축을 모터(71)로 회전시키면, 모든 가압롤러(61)들이 일률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컷팅부(70)는 형상유지부(60)를 통과한 각형관(110)을 일정길이로 컷팅하는 구성이다.
컷팅부(70)는 모터(71) 및 모터(71)의 동력을 회전작동되어 각형관(110)을 컷팅하는 컷팅날(7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컷팅부(70)는 캠이나 실린더와 같은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컷팅날(72)은 각형관(110)의 상측에서 하강되면서 각형관(110)을 컷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1)은 하나의 작업대(15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대(150)의 끝부분에는 스트레이트닝부(20) 또는 가압롤러(61)들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된 각형관(110)이 접촉될 시 감지하는 감지센서(S)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S)는 각형관(110) 형태의 철 끝부분이 접촉될 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컷팅부(70)를 작동시켜 각형관(110)이 일정길이로 컷팅되도록 한다.
컷팅부(70)가 각형관(110)을 일정길이로 컷팅한 다음에는 작업자가 후술되는 안착부(82)로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이송부(80)는 컷팅부(70)에 의해 컷팅된 각형관(110)들을 일정개수로 모아 한번에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즉, 컷팅부(70)에 의해 컷팅된 완제품 각형관(110)들은 보관창고에 보관되는 바, 이송부(80)를 통해 복수개의 각형관(110)을 자동으로 보관창고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송부(8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81)와, 안착부(82)와, 상승실린더(83)와, 상부트레이(84)와, 부착부(85)와, 하강 실린더와, 사이드부(87)와, 락킹부(89)와, 이송실린더(80a)와, 수집테이블(80b)과, 분리부(80c) 및 지지부(8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트레이(81)는 컷팅부(70)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부트레이(81)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82)는 하부트레이(81)의 상면에 안착된다.
안착부(82)의 상면에는 컷팅부(70)에 의해 컷팅 된 복수개의 각형관(110)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형태로 안착된다.
이때, 각형관(110)들은 작업자에 의해 안착부(82)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각형관(110)은 그 양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안착되되, 전측과 후측의 일정영역은 안착부(82)의 전측과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안착부(82)는 하부트레이(81)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82)의 양측에는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통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고정통은 안착부(82)의 양측에 매립될 수 있다.
상승 실린더는 그 피스톤이 하부트레이(81)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승 실린더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상승 실린더는 후술되는 부착부(85)가 하강될 시 각형관(110)들의 사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부트레이(81)를 상승시킨다.
즉, 상승 실린더는 부착부(85)와 안착부(82)에 안착된 각형관(110)들의 간격을 조절해준다.
상부트레이(84)는 안착부(82)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부트레이(84)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트레이(84)는 후술 되는 하강 실린더에 의해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안착판과 간격조절된다.
부착부(85)는 상부트레이(84)의 저면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이때, 부착부(85)는 안착부(82)에 안착된 각형관(110)들의 사이와 각각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작업자는 부착부(85)들의 간격에 대응되게 안착부(82)의 상면에 컷팅 된 각형관(110)들을 안착하면 된다.
부착부(85)의 하측에는 안착부(82)에 안착된 각형관(110)들의 사이로 들어갈 수 있는 칼날부(851)가 각각 형성된다.
각형관(110)들의 양측면이 서로 밀착되는 상태로 후술되는 수집테이블(80b)에 수집되는 경우, 작업자는 각형관(110)들을 서로 벌려서 공간을 확보한 후, 각형관(110)을 들어서 보관창고로 운반해야 하지만, 본 발명은 부착부(85)들 통해 각형관(110)들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서 이격시켜 각형관(110)들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추후 수집테이블(80b)에 수집된 각형관(110)의 사이 공간에 손을 넣은 다음, 각형관(110)을 들어올려서 보관창고로 직접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부착부(85)는 철 재질로 형성되는 각형관(110)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85)로 인해 각형관(110)들을 수집테이블(80b)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형관(110)들이 유동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강 실린더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하강 또는 상승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하강 실린더는 칼날부(851) 및 부착부(85)의 하측 일정영역이 각형관(110)들의 사이로 들어가 각형관(110)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상부트레이(84)를 하강시킨다.
사이드부(87)는 상부트레이(8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부(87)의 하측에는 수평홀(871)이 각각 형성된다.
사이드부(87)의 수평홀(871)은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부트레이(84)가 하강될 시 고정통과 마주하게 된다.
락킹부(89)는 대략 중앙부분의 일정영역이 수평홀(871)에 수용된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락킹부(89)는 일측에 수평홀(87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통과 마주할 수 있는 대향부(891)가 형성된다.
그리고, 락킹부(89)의 타측에는 수평홀(871)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수평홀(87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걸림판(892)이 형성된다.
걸림판(892)은 락킹부(89)가 고정통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사이드부(87)의 일면에 걸려 락킹부(89)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락킹부(89)는 고정통과 반대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되어,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부트레이(84)가 하강되어 고정통과 마주하게 될 시, 대향부(891)를 포함한 일정영역이 인력에 의해 고정통의 내부에 자동으로 수용된다.
즉, 락킹부(89)가 고정통의 내부에 수용되면, 사이드부(87)는 안착부(82)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판(892)을 당기면 락킹부(89)를 고정통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송실린더(80a)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실린더(80a)의 피스톤에는 하강 실린더가 거꾸로 설치된다.
이송실린더(80a)는 하강 실린더가 상부 트레이를 상승시키면, 하강 실린더를 하부 트레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수집테이블(80b)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하강 실린더를 이동시키면 안착부(82) 및 안착부(82)의 상면에 안착된 각형관(110)들도 수집테이블(80b)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수집테이블(80b)은 하부 트레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수집테이블(80b)은 보관창고의 출입구 앞에 배치된다.
수집테이블(80b)은 이송실린더(80a)에 의해 이송된 각형관(110)을 수집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송실린더(80a)에 의해 각형관(110)들이 수집테이블(80b)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하강실린더(86)는 상부트레이(84)를 하강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하강실린더(86)가 상부트레이(84)를 하강시켜 수집테이블(80b)의 상면에 안착부(82)가 안착되면, 작업자는 걸림판(892)을 당겨서 락킹부(89)를 고정통에서 인출시키면 된다.
분리부(80c)는 대략 직사각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80c)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분리부(80c)는 수집테이블(80b)의 상면에 안착부(82)가 안착되면 작업자에 의해 각형관(110)들의 전측과 후측 상면에 안착된다.
작업자가 분리부(80c)의 상면을 누른 상태에서 하강 실린더를 작동시켜 부착부(85)를 상승시키면, 부착부(85)들이 각형관(110)들의 상측으로 이탈된다.
분리부(80c)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ㄷ'자 단면 형상의 손잡이(802c)가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분리부(80c)들은 일측면에 레일부(801c)가 각각 형성된다.
레일부(801c)에는 지지부(80d)가 결합되어 각형관(110)들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부(80d)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80d)의 상측에는 레일부(801c)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이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부(80d)는 레일부(801c)를 따라 이동되어 분리부(80c)의 중앙부분 상에 위치된다.
지지부(80d)의 하측에는 각형관(110)들의 저면을 공동으로 지지하는 지지바(801d)가 형성된다.
즉, 레일부(801c)와 슬라이딩 유닛을 통해 지지부(80d)가 분리부(80c)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각형관(110)들을 일체로 결속하게 된다.
따라서, 2명의 작업자가 각형관(110)들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된 분리부(80c)에 형성된 손잡이(802c)를 파지한 다음, 보관창고의 내부에 각형관(110)들을 이동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1)은 이와 같은 이송부(80)를 통해 다수개로 컷팅된 각형관(110)들을 보관창고로 한번에 운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 휀스 제조 시스템(1)은 분리부(80c) 및 지지부(80d)를 통해 각형관(110)들을 보관창고에 운반해도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각형관(110)을 들어서 보관창고로 운반해도 된다.
한편, 보관창고에 보관된 각형관(110)은 설치장소로 운반되어 휀스(160)로 조립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휀스(16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수평바(161),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보도블록에 설치된 상태로 수평바(161)를 연결하는 지주(162) 및 수평바(161)의 사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각형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부(90)는 각형관(110)이 설치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각형관(110)의 전면과 후면의 장식을 각각 선택적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즉, 장식부(90)를 통해 철 휀스(160)의 디자인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식부(9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1)과, 회전축(92)과, 스파이럴 스프링(93) 및 고정포켓부(9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1)은 각형관(110)의 상측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된다.
하우징(91)은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91)의 각 외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93)의 표면에 인쇄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이 인쇄된다.
회전축(92)은 하우징(91)의 빈 공간에 수용된다.
회전축(92)의 양측은 하우징(91)의 내부 양측벽에 관통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92)은 하우징(91)의 빈 공간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91)의 내부 양측벽에는 회전축(92)의 양측이 설치되는 베어링(미도시)이 매립될 수 있다.
베어링을 통해 회전축(92)이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93)은 그 일단이 회전축(92)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파이럴 스프링(93)의 나머지 부분은 회전축(92)에 롤 형태로 권취된다.
스파이럴 스프링(93)의 타단에는 하우징(91)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권출용손잡이(931)가 형성된다.
권출용손잡이(931)는 대략 원형 단면 형상의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93)은 관리자가 권출용손잡이(931)를 아래로 당길 경우 회전축(92)에서 권출되어 펼쳐지면서 각형관(11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린다.
그리고, 스파이럴 스프링(93)의 표면 즉, 인도와 도로로 노출되는 면에는 장식을 위한 색상 또는 무늬가 인쇄된다.
색상은 각형관(110)과 상이한 색상이 인쇄될 수 있다.
무늬는 각형관(110)에 인쇄된 무늬와 상이한 무늬가 인쇄될 수 있다.
즉, 스파이럴 스프링(93)을 회전축(92)에 권취할 경우, 각형관(110)에 인쇄된 무늬와 색상으로 휀스(160)를 장식할 수 있고, 스파이럴 스프링(93)을 권출할 경우에는 스파이럴 스프링(93)에 인쇄된 무늬 또는 색상으로 휀스(160)를 장식할 수 있는 등, 각형관(110)을 2가지 형태로 장식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포켓부(94)는 각형관(110)의 하측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포켓부(94)의 상면에는 권출용손잡이(931)가 고정되는 고정홈(941)이 형성된다.
스파이럴 스프링(93)을 완전히 펼치면 권출용손잡이(931)는 고정포켓부(94)에 이르게되어 고정홈(94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홈(941)은 원 형상이되, 권출용손잡이(931)가 수용되도록 상측 일정영역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포켓부(94)는 권출용손잡이(931)가 고정홈(941)의 상측 개방된 부분을 통과할 때 탄성적으로 벌어지고, 권출용손잡이(931)가 고정홈(941)에 완전히 인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고정포켓부(94) 및 권출용손잡이(931)는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포켓부(94) 및 권출용손잡이(931)를 자석재질로 형성하면 권출용손잡이(931)를 고정홈(941)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다.
한편, 알림부(100)는 흐린 날씨나 야간에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휀스(16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 충돌의 위험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알림부(100)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가이드레일부(101)와, 슬라이드부(102)와, 승강부(103)와, 연결바(104)와, 승강실린더(105)와, 야광시트(106)와, LED 램프(107) 및 조도감지센서(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레일부(101)는 수직으로 설치된 각형관(110)들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된다.
승강가이드레일부(101)는 각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슬라이드부(102)는 승강가이드레일부(101)를 따라 각각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103)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사각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슬라이드부(102)에 각각 결합되며, 나머지 영역은 도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승강부(103)는 도로와 인도를 구분짓는 경계석을 넘어가지 않거나 또는, 경계석을 약 1~3cm 정도 넘어가되 도로는 침범하지 않게 설치된다.
연결바(104)는 승강부(103)들의 사이 마다 배치되며, 그 양측이 서로 다른 승강부(103)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승강부(103)들은 연결바(104)들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동시에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바(104)는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04)의 전면과 후면에는 후술되는 야광시트(106) 및 LED 램프(107)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105)는 어느 하나의 지주(162)에 결합된다. 승강실린더(105)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105)의 피스톤은 어느 하나의 승강부(103)에 연결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105)가 작동하면 모든 승강부(103)들이 동시에 승강된다.
야광시트(106)는 승강부(103)의 외면에 각각 부착된다. 야광시트(106)는 일정조도 이하일 경우 빛을 발산하여 흐린 날씨나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잘 보이게 된다.
LED 램프(107)는 승강부(103)에 각각 설치된다.
각형관(110) 또는 지주(162)에는 LED 램프(107)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같은 전원공급부가 설치될 수 있다.
조도감지센서(108)는 지주(162)에 각각 설치된다. 조도감지센서(108)는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일 경우, LED 램프(107) 및 승강실린더(105)를 작동시키게 된다.
일 예로, 조도감지센서(108)는 해가 지는 일몰 시간대와 같이 어두워질 경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LED 램프(107) 및 승강실린더(10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조도감지센서(108)를 통해 일출 시간대부터 일몰 시간대까지는 LED 램프(107) 및 승강실린더(105)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승강실린더(105)가 작동되면 승강부(103)가 반복적으로 승강되고, 이로 인해 야광시트(106) 및 LED 램프(107)가 반복적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됨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휀스(160)를 피해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휀스(160) 및 인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조도감지센서(108)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LED 램프(107) 및 승강실린더(105)는 휀스(160) 관리자가 관리 사무실에서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일몰시간에서부터 일출시간까지만 LED 램프(107) 및 승강실린더(10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철 휀스 제조 시스템 10 : 언코일러부
11 : 중심축 20 : 스트레이트닝부
30 : 제1 포밍부 31 : 롤 포머유닛
32 : 굽힘립 40 : 절곡부
50 : 제2 포밍부 51a : 제1 롤유닛
51b : 제2 롤유닛 51c : 제3 롤유닛
51d : 제4 롤유닛 60 : 형상유지부
61 : 가압롤러 70 : 컷팅부
71 : 모터 72 : 컷팅날
80 : 이송부 80a : 이송실린더
80b : 수집테이블 80c : 분리부
801c : 레일부 802c : 손잡이
80d : 지지부 801d : 지지바
81 : 하부트레이 82 : 안착부
821 : 고정통 83 : 상승실린더
84 : 상부트레이 85 : 부착부
851 : 칼날부 86 : 하강실린더
87 : 사이드부 871 : 수평홀
89 : 락킹부 891 : 대향부
892 : 걸림판 90 : 장식부
91 : 하우징 92 : 회전축
93 : 스파이럴 스프링 94 : 고정포켓부
941 : 고정홈 100 : 알림부
101 : 승강레일부 102 : 슬라이드부
103 : 승강부 104 : 연결바
105 : 승강실린더 106 : 야광시트
107 : LED 램프 108 : 조도감지센서
110 : 철 111 : 골부
112 : 산부 110a : 맞물림부
120,130 : 지지롤러 150 : 작업대
160 : 휀스 161 : 수평바
162 : 지주

Claims (3)

  1. 공정라인의 일측에서 소재가 되는 철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부;
    상기 언코일러부로부터 언코일되는 철을 평판의 패널로 펴주면서 공정 진행방향으로 공급하는 스트레이트닝부;
    상기 스트레이트닝부로부터 공급되는 패널을 롤 포머유닛으로 가압하여 연속적으로 교차되는 골부와 산부를 형성하는 제1 포밍부;
    상기 제1 포밍부를 통과한 패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롤 포머유닛을 통해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접어서 일정형상의 각형관으로 롤 포밍하는 제2 포밍부;
    상기 스트레이트닝부와 상기 제1 포밍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포밍부에 선행하여 상기 패널의 양측을 가압 절곡하여 상기 패널이 상기 제2 포밍부에 의해 절곡될 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를 형성하는 절곡부;
    상기 제2 포밍부를 통과한 각형관의 양측을 복수개의 가압롤러들을 통해 가압하여 절곡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부; 및
    상기 형상유지부를 통과한 각형관을 일정길이로 킷팅하는 컷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은 표면에 나무 무늬가 프린팅된 프린트 철판으로 적용되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에 의해 컷팅된 각형관을 일정개수로 모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각형관이 설치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장식하는 장식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이송된 각형관들에 일측면에 각각 적용되며, 상기 각형관이 설치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각형관의 위치를 알리게 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컷팅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하부트레이;
    상기 하부트레이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컷팅부에 의해 컷팅 된 각형관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형태로 안착되며, 양측에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고정통이 각각 형성된 안착부;
    상기 하부트레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트레이를 상승시키는 상승 실린더;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트레이;
    상기 상부트레이의 저면에 복수개로 설치되되,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각형관들의 사이와 각각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저면에 상기 각형관들의 사이로 들어가도록 칼날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형관들에 각각 부착되도록 자석재질로 형성되는 부착부;
    상기 칼날부 및 부착부의 하측 일정영역이 상기 각형관들의 사이로 들어가 상기 각형관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상기 상부트레이를 하강시키는 하강 실린더;
    상기 상부트레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상부트레이가 하강될 시 상기 고정통과 마주하게 되는 수평홀이 형성된 사이드부;
    상기 수평홀에서 양방향으로 이동되되, 일측에 상기 수평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통과 마주할 수 있는 대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평홀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드부의 일면에 걸리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자석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상부트레이가 하강되어 상기 고정통과 마주하게 될 시, 상기 대향부 및 일정영역이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통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걸림판을 당기면 상기 고정통에서 인출되는 락킹부;
    상기 하강 실린더가 상기 상부 트레이를 상승시키면 상기 하강 실린더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동실린더;
    상기 하부 트레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실린더에 의해 이송된 각형관을 수집하기 위해 마련되는 수집테이블;
    상기 수집테이블의 상면에 안착부가 안착되면 상기 각형관의 상면 일측과 타측을 가압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하강 실린더에 의해 상승되면 상기 부착부들이 상기 각형관들의 상측으로 이탈되도록 하고, 일측면에 레일부가 각각 형성된 분리부; 및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 및 상기 각형관들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는,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 상측에 각각 배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각각 롤 형태로 권취되며, 끝단에 원형바 형상의 권출용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서 권출될 시 펼쳐지면서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리되, 표면에 장식을 위한 색상 또는 무늬가 인쇄된 스파이럴 스프링; 및
    상기 각형관의 전면과 후면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이 권출되어 펼쳐질 시, 상기 권출용손잡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각형관들의 일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승강가이드레일부;
    상기 각형관들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가이드레일부를 따라 각각 승강될 수 있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각각 결합되며, 도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바;
    어느 하나의 승강부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부의 외면에 각각 부착되는 야광시트;
    상기 승강부에 각각 설치되는 LED 램프; 및
    상기 휀스를 구성하는 지주에 설치되며, 기 설정된 조도 이하일 경우, 상기 LED 램프 및 상기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조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철 휀스 제조 시스템.
KR1020220116691A 2022-09-15 2022-09-15 철 휀스 제조 시스템 KR10256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691A KR102566202B1 (ko) 2022-09-15 2022-09-15 철 휀스 제조 시스템
KR1020230081079A KR102588905B1 (ko) 2022-09-15 2023-06-23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691A KR102566202B1 (ko) 2022-09-15 2022-09-15 철 휀스 제조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079A Division KR102588905B1 (ko) 2022-09-15 2023-06-23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202B1 true KR102566202B1 (ko) 2023-08-14

Family

ID=875657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691A KR102566202B1 (ko) 2022-09-15 2022-09-15 철 휀스 제조 시스템
KR1020230081079A KR102588905B1 (ko) 2022-09-15 2023-06-23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제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079A KR102588905B1 (ko) 2022-09-15 2023-06-23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62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23B1 (ko) * 2013-10-16 2014-01-17 이성구 소재절감과 강성유지를 위한 프레스형 씨형강과 그 제조방법
KR101515420B1 (ko) * 2013-07-25 2015-04-2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장치
KR101586772B1 (ko) 2015-12-16 2016-01-19 (주)제일포밍 이동식 롤포밍 장치
KR20200081741A (ko) * 2018-12-28 2020-07-08 아인텍(주) 롤 포밍 코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420B1 (ko) * 2013-07-25 2015-04-2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장치
KR101353023B1 (ko) * 2013-10-16 2014-01-17 이성구 소재절감과 강성유지를 위한 프레스형 씨형강과 그 제조방법
KR101586772B1 (ko) 2015-12-16 2016-01-19 (주)제일포밍 이동식 롤포밍 장치
KR20200081741A (ko) * 2018-12-28 2020-07-08 아인텍(주) 롤 포밍 코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05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0890B1 (en) Telescoping tower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6181420A (zh) 一种全自动一体式集成型钢生产线
DE3139713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urchtrennen eines Schichtstoffs
DE2906514A1 (de) Halbautomatisches warenlagersystem
KR102566202B1 (ko) 철 휀스 제조 시스템
US79183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elded tapered tubes
CN210480336U (zh) 一种组合式钢带收卷装置
US3710607A (en) Mobile metal forming machine for siding
KR100629649B1 (ko) 문틀 제조를 위한 판재 성형장치
CN202461253U (zh) 圆片落料生产设备
DE2418820C3 (de) Fördervorrichtung für Blechbunde
CN110883187A (zh) 一种汽车板材开卷落料模具
DE260403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befestigung eines der aufnahme eines rueckspiegels dienenden halteelementes in genauer lage auf der innenflaeche einer windschutzscheibe
CN109018897A (zh) 一种汽车内饰运输用自动下料线
US6886386B1 (en) Press brake punch transfer carriage
CN209988793U (zh) 一种勾花网卷网机
KR101014386B1 (ko) 탱크 제작용 자동화 장치
CN112605162A (zh) 风阀叶片全自动滚压成型装置
CN220537074U (zh) 一种纸张分卷结构及装置
CN214114121U (zh) 落料装置
EP0502453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tockwerkgarag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214919324U (zh) 一种移动式大直径冷弯螺旋波纹钢管生产设备
KR101432674B1 (ko) 고강성 그레이팅 보강구획 연결바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CN210417130U (zh) 一种龙骨组捆装置
CN117463900B (zh) 一种卷料自动冲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