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405B1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5405B1 KR102565405B1 KR1020210112453A KR20210112453A KR102565405B1 KR 102565405 B1 KR102565405 B1 KR 102565405B1 KR 1020210112453 A KR1020210112453 A KR 1020210112453A KR 20210112453 A KR20210112453 A KR 20210112453A KR 102565405 B1 KR102565405 B1 KR 1025654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body
- display unit
- unit
- rotation
- fram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09F11/02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the members being rotated simultaneously, each face of the member carrying a part of the sig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지지하는 하부몸체와, 일측이 상기 상부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되며,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지고,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면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접혀지는 복수의 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승강부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경광등에 설치되어 엘이디 조명으로 안전표시의 형상을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도로 상에 사고의 위험을 알리거나, 보수 작업 등으로 차선이 줄어드는 영역에서는 사인 표시를 이용하여 차선의 변경 등을 알릴 수 있다. 또한, 경찰차, 소방차, 구급차와 같이 긴급 상황에 따라 운행하는 차량에는 빨간색, 파란색, 녹색과 같은 경광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9490호 (2008년 6월 12일 등록)는, LED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전광패널로 경광등을 구성시 그 전광패널에서 다양한 형태의 문자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긴급차량의 운행시 주위의 시선을 시각 및 청각적으로 유도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태의 공익적 캠페인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사고현장 또는 작업 현상에서는 전방의 전광패널을 모두 점등하여 고휘도의 작업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긴급차량용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경광등 본체의 범위내에서 문자신호를 출력해야 하므로 조명범위가 매우 좁고, 단순히 문자신호만 표시하기 때문에 시선집중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접이식 전광판이 전개되어 확장됨으로써 표시내용에 대한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로 상황에 따라 기호, 문자, 도형 등 다양한 잔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길이가 전동방식으로 가변되어 출력하고자 하는 기호, 문자, 도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는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몸체를 지지하는 하부몸체와, 일측이 상기 상부몸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되며,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지고,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면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접혀지는 복수의 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승강부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연결축과, 한쌍의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어 X자 형태로 교차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한쌍의 상기 연결축에 형성되어 서로 기어결합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프레임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엘이디를 구비한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점멸에 의한 잔상패턴으로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시키는 회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엘이디를 구비한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점멸에 의한 잔상패턴으로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시키는 회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승하면 상기 회전로드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상부몸체가 하강하면 상기 회전로드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드에 형성되어,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회전로드의 일단과 상기 차량의 지붕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로드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엘이디의 점멸 범위를 재설정하거나, 상기 회전로드의 일단과 상기 차량의 지붕과의 거리가 기준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회전로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접이식 전광판이 전개되어 표시내용에 대한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기호, 문자, 도형 등 다양한 패턴의 잔상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차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잔상 광원이 설치된 회전표시장치의 운동에 따라 공중에 마치 영상이 표시되는 것과 같은 잔상 영상을 표시하여 시선집중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승강부와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회전표시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밀폐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회전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제2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차광막이 더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따른 회전표시부 중 회전로드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승강부와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회전표시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밀폐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회전표시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제2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차광막이 더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따른 회전표시부 중 회전로드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승강부와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승강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0)는 하부몸체(120)와 상하부 결합을 하며, 후술하는 승강부(130)에 의해 승강한다. 이 경우, 승강부(13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를 연결하여 상부몸체(110)를 하부몸체(120)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다. 상부몸체(110)는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몸체(110)에는 n×m 형태로 엘이디가 배열되어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광 조명을 출력하는 경우 적색과 청색 엘이디를 기 설정된 주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하부몸체(120)는 차량의 지붕(미도시)에 고정된다. 하부몸체(120)는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몸체(110)를 지지한다. 이 경우, 하부몸체(120)의 내부에는 승강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120)에는 상부몸체(110)와 같이 복수의 엘이디가 수용되어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120)의 양측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싸이렌과 같은 음향효과를 출력하거나, 마이크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승강부(130)는 일측이 상부몸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몸체(120)에 연결되는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부(130)는 한쌍의 연결축(131), 복수의 프레임(132), 연결기어(134) 및 제1 구동모터(131-6)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쌍의 연결축(131)은 제1 연결축(131-1)과 제2 연결축(132-2)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연결축(131)은 복수의 프레임(132)과 연결된다.
복수의 프레임(132)은 한쌍의 연결축(131-1, 131-2)에 연결되어 X자 형태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프레임(132)은 X자 형태로 반복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는 상부몸체(110)가 승강하는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132)의 일측에는 수용홈(132-3)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32-3)은 이웃하는 프레임(13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32-3)에는 스프링(135)이 삽입되어 프레임(132)이 접혀지면 압축되고, 펼쳐지면 탄성력에 의해 쉽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상부몸체(110)를 쉽게 리프팅할 수 있다.
연결기어(134)는 복수의 기어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연결기어(134)는 연결축(131-1, 131-2)에 각각 형성된다. 이는 구동모터(131-6)에 의해 연결기어(134)를 회전시키면 복수의 프레임(132)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 경우, 연결축(131-1, 131-2)은 보조축(131-11, 131-12)이 각각 연결되어 회전한다. 다시 말해, 연결기어(134)의 회전에 의해 보조축(131-11, 131-12)이 회전하면서 복수의 프레임(132)을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 (a)는 복수의 프레임(132)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복수의 프레임(132)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1 구동모터(131-6)는 연결기어(134)를 회전시켜 복수의 프레임(132)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제1 구동모터(131-6)는 정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며, 연결기어(134)와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131-6)가 연결기어를 회전시키는 방식은 당업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로, 승강부(130)는 도 3과 같이 제1 구동부(131)와 복수의 프레임(132)을 포함한다. 제1 구동부(131)는 후술할 복수의 프레임(132)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승강부(130)의 제1 구동부(131)는 제1 연결축(131-1), 제2 연결축(131-2), 스크류 샤프트(131-3), 스프로킷(131-4), 체인(131-5) 및 제1 구동모터(131-6)를 포함한다. 제1 연결축(131-1)은 원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축(131-1)은 양측이 하부몸체(120)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에 고정된다. 또한, 제1 연결축(131-1)은 양측이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레일에 고정된다.
제2 연결축(131-2)은 원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축(131-2)은 양측이 하부몸체(120)의 레일에 각각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연결축(131-2)의 양측에는 롤러가 각각 형성되어 하부몸체(120)의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제2 연결축(131-2)은 양측이 상부몸체(110)의 레일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연결축(131-2)의 양측에는 롤러가 각각 형성되어 상부몸체(110)의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스크류 샤프트(131-3)는 제1 연결축(131-1)과 제2 연결축(131-2)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류 샤프트(131-3)는 한 쌍이 이격되며, 제1 연결축(131-1)과 제2 연결축(131-2)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연결한다. 이 경우, 스크류 샤프트(131-3)는 제1 연결축(131-1)과 직교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샤프트(131-3)는 후술하는 제1 구동모터(131-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제2 연결축(131-2)을 제1 연결축(131-1)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샤프트(131-3)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연결축(131-1)의 일측 및 타측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축(131-2)의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연결축(131-1)의 관통홀과 대응하는 나사홀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스크류 샤프트(131-3)는 일측이 제1 연결축(131-1)의 관통홀을 관통한 후 제2 연결축(131-2)의 나사홀과 나사체결된다. 이 경우, 스크류 샤프트(131-3)는 회전하면서 제2 연결축(131-2)을 제1 연결축(131-1)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스프로킷(131-4)은 스크류 샤프트(131-3)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체인(131-5)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131-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1 구동모터(131-6)는 스크류 샤프트(131-3)의 일측과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구동모터(131-6)는 스크류 샤프트(131-3)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스크류 샤프트(13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132)은, 중심축이 연결되는 ‘X’자로 교차되어 접이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2-1)과 제2 프레임(132-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32-1)은 일측이 제1 연결축(13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연결축(131-2)에 연결된다. 또한, 제2 프레임(132-2)은 일측이 제1 연결축(13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연결축(131-2)에 연결된다. 이 경우, 복수의 프레임(132)은 상부몸체(110)를 하부몸체(120)로부터 전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모터(131-6)에 구동력을 전달받은 스크류 샤프트(131-3)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연결축(131-2)을 제1 연결축(131-1)으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몸체(1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모터(131-6)가 스크류 샤프트(131-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연결축(131-2)을 제1 연결축(13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몸체(1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프레임(132)을 자바라식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프레임(132)을 3단의 접이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그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복수의 프레임(132)은 하부몸체(120) 및 상부몸체(110) 사이에서 한 쌍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복수의 전광판(141)(142)이 승강부(1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승강부(130)가 상승하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지고, 하강하면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접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광판(141)(142)은 제1 전광판(141)과 제2 전광판(142)을 포함한다. 제1 전광판(141) 및 제2 전광판(142)은 직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내측에는 복수의 엘이디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엘이디는 n×m 형태로 배열되어 기호, 문자, 도형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광판(141) 및 제2 전광판(142)은 경첩(14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첩(143)은 제1 전광판(141)과 제2 전광판(142)의 일측을 각각 연결한다. 이 경우, 제1 전광판(141) 및 제2 전광판(142)의 각 양측은 복수의 프레임(132)의 중심축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광판(141) 및 제2 전광판(142)은 복수의 프레임(132)이 상승할 경우 경첩(14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수직하게 펼쳐진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132)이 하강할 경우 경첩(14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접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승강부(130)에 설치되는 표시부(140)가 차량의 전방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차량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전광판(141)(142)은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승강부(130) 및 표시부(140)를 제어하는 것으로 하부몸체(120)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50)를 상부몸체(11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50)는 제어회로로써 상부몸체(110), 하부몸체(120), 승강부(130) 및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상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20)의 점등패턴, 점등시간 및 밝기, 스피커의 증폭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구동부(131)를 제어하여 승강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 이하이면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상에서 기 설정된 속도 이상 또는 이하로 차량이 운행하는 경우 상부몸체(110)를 상승시켜 후방 차량에게 방향을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부(140)의 엘이디의 점등패턴, 점등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점등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표시부(140)에 양방향 화살표(↔) 단방향 화살표(→, ←)가 표시되도록 표시부(140)의 전개를 제어하거나, 점등되는 엘이디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의 교통 상황에 따라 후속 차량에게 방향을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회전표시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밀폐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회전표시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중 제2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상부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표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표시부(160)는 복수의 엘이디(161a)를 구비한 회전로드(161)의 회전에 따라 점멸에 의한 잔상패턴으로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표시부(160)는 회전로드(161), 회전모터(162) 및 제2 구동부(163)를 포함한다. 회전표시부(160)는 상부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표시부(160)는 상부몸체(110)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표시부(160)는 상부몸체(110)에서 인출될 경우, 회전에 따라 잔상패턴으로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부(163)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 회전표시부(160)를 상부몸체(110)에서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몸체(110)의 일측에는 개폐도어(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1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홈(111-2) 및 자동으로 홈(111-2)을 밀폐하도록 덮개(111-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덮개(111-1)는 상부몸체(110)의 내측에서 홈(111-2)을 밀폐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덮개(111-1)는 제어부(150)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표시부(160)가 홈(111-2)을 통해 상부몸체(11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로드(161)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엘이디(161a)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다. 회전로드(161)에 설치된 복수의 엘이디(161a)는 기 설정된 개수로 배열된다. 이러한, 회전로드(161)는 회전모터(162)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회전로드(161)는 회전모터(162)에 의해 회전하면서 복수의 엘이디(161a)가 기 설정된 점멸 패턴으로 조명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회전로드(161)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로드(161)는 복수의 프레임(132)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접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로드(161)는 2단 또는 3단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로드(161)는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132)이 힌지결합구조로 회동하여 접혀지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모터(162)는 회전로드(161)와 연결되어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킨다. 회전모터(162)는 제어부(150)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회전모터(162)는 회전로드(16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162)는 회전로드(161)의 일측과 교차하도록 위치하여 회전한다. 회전모터(162)는 회전로드(161)가 회전하면서 진동에 따라 회전속도가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162)는 원통형의 지지부(162-1)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162-1)는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제2 구동부(16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구동부(163)는 지지부(162-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회전로드(161)를 상부몸체(110)로부터 인출되도록 회동시킨다.
제2 구동부(163)는 회전표시부(160)를 상부몸체(11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상부몸체(110)로부터 인입시키는 것으로 제2 구동모터(163-1) 및 회동바(16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모터(163-1)는 상부몸체(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 구동모터(163-1)는 회전로드(16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동모터(163-1)는 상부몸체(110)에 형성된 홈(111-2)의 가장자리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2 구동모터(163-1)의 회전축에는 회동바(163-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바(163-2)는 일측이 제2 구동모터(163-1)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표시부(160)의 지지부(162-1)를 연결한다. 이러한, 회동바(163-2)는 제2 구동모터(163-1)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경우, 회동바(163-2)는 상부몸체(110)의 홈(111-2)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회동된다. 이러한, 회동바(163-2)는 회전표시부(160)를 상부몸체(110)에서 일정한 각도로 지지한다.
또한, 제2 구동부(162)는 보조링크(16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링크(163-3)는 접철식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힌지 결합되는 2단 링크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링크(163-3)는 일단이 회동바(163-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몸체(11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보조링크(163-3)는 제3 모터에 의해 회동바(163-2)가 상부몸체(110)에서 인출되는 경우, 일정한 높이로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표시부(160)가 한쪽으로 치우쳐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회전표시부(160)는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기호, 문자, 도형 등 다양한 패턴의 잔상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차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회전표시부(160)의 회전로드(161)를 회전시 복수의 엘이디(161a)에 의한 잔상패턴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이 출력되도록 점멸과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회전표시부(160)의 회전모터(162)를 구동시키면서 회전로드(161)의 엘이디의 점멸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회전모터(162)의 회전속도,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회전로드(161)가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엘이디(161a)가 점멸패턴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어하여 삼각형 모양의 잔상패턴을 출력할 수 잇다. 이 경우, 회전로드(161)의 잔상패턴은 삼각형상 외에 화살표, 글자 형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회전표시부(160)를 상부몸체(11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도록 제2 구동부(16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상에서 기 설정된 속도 이상 또는 이하로 차량이 운행하는 경우 회전표시부(160)를 상부몸체(110)에서 인출시켜 후방 차량에게 방향을 유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50)는 상부몸체(110)가 하부몸체(120)로부터 전개될 경우 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상부몸체(110)가 하부몸체(120)에 결합될 상태에도 인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상부몸체(110)가 상승하면 회전로드(161)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부몸체(110)가 하강하면 회전로드(161)의 길이가 단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광등이 상승함에 따라 전광판이 전개되고, 경광등이 하강함에 따라 전광판이 접혀짐으로써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통행을 통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에 차광막이 더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는 회전표시부(160)가 상부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표시부(160)는 상부몸체(110)의 하부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회전표시부(160)는 상부몸체(110)의 하부에서 인출되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 사이에서 회전에 따라 잔상패턴으로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40)는 엘이디의 점등이 해제되면서 차광막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낮이나 주변의 조명이 밝은 경우 회전표시부(160)의 잔상 광원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표시부(160)는 차량의 전방으로 잔상 광원을 출력하도록 상부몸체(110)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후방으로 잔상 광원을 출력하도록 차량의 타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는 표시부(140)의 엘이디가 점등되어 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교통상황을 안내하며, 회전표시부(160)는 도로의 교통 상황에 따라 후속 차량에게 방향을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회전표시부(160)는 승강부(13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승강부(130)는 복수의 프레임(132)이 중심축으로 연결되어 ‘X’자 교차되어 접이식으로 구동되는 승강부(130)일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표시부(160)는 복수의 프레임(132)의 중심축에 설치된다. 회전표시부(160)는 제어부(150)에 의해 상부몸체(110)가 상승하면 회전로드(161)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부몸체(110)가 하강하면 회전로드(161)의 길이가 단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130)의 타측에는 차광막(133)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차광막(133)은 낮이나 주변의 조명이 밝은 경우 회전표시부(160)의 잔상 광원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막(133)은 일측이 상부몸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몸체(12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차광막(133)은 상부몸체(11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도록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a)는 승강부(130)가 상승함에 따라 차광막(133)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고, (b)는 승강부(130)가 하강함에 따라 차광막(133)이 접혀진 모습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10)는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회전로드(161)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변의 조도을 감지하거나 회전로드(161)의 일단과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한다. 감지부(17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도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회전로드(161) 주변의 조도에 따라 복수의 엘이디(161a)의 점멸범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가 기설정치 이하인 경우 회전로드(161) 전체의 엘이디를 구동하고,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일부 엘이디만 구동시켜 전원을 절약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회전로드(161)의 일단과 지면과의 거리가 기준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모터(162)의 동작을 중단한다. 이는 회전로드(161)가 지면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회전로드(161)를 회전시키기 이전에 회전로드(161)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70)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로드(161)와 지면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 광원이 설치된 회전표시부(160)의 운동에 따라 공중에 마치 영상이 표시되는 것과 같은 잔상 영상을 표시하여 시선집중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따른 회전표시부 중 회전로드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4에 따른 회전표시부 중 회전로드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로드(161)는 제1 로드(161-1)와 제2 로드(16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로드(161-1)와 제2 로드(161-2)만 설명하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로드(161-1)와 제2 로드(161-2)는 서로 다단으로 연결되어 수용되거나, 길이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식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철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로드(161-1)와 길이방향으로 전개되는 제2 로드(161-2)의 여부에 따라 복수의 엘이디(161a)의 점멸범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로드(161-1)와 제2 로드(161-2)에도 복수의 엘이디(16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110 : 상부몸체
111 : 개폐도어
111-1 : 덮개
111-2 : 홈
120 : 하부몸체
130 : 승강부
131 : 제1 구동부
131-1 : 제1 연결축
131-2 : 제2 연결축
131-3 : 스크류 샤프트
131-4 : 스프로킷
131-5 : 체인
131-6 : 제1 구동모터
132 : 복수의 프레임
132-1 : 제1 프레임
132-2 : 제2 프레임
132-3 : 수용홈
133 : 차광막
134 : 연결기어
135 : 스프링
140 : 표시부
141 : 제1 전광판
142 : 제2 전광판
143 : 경첩
150 : 제어부
160 : 회전표시부
161 : 회전로드
161a : 복수의 엘이디
161-1 : 제1 로드
161-11 : 제1 접속구
161-12 : 제1 가압편
161-2 : 제2 로드
161-21 : 제2 접속구
161-22 : 제2 가압편
161-23 : 스토퍼
161-3 : 이송로드
161-4 : 이송모터
162 : 회전모터
162-1 : 지지부
163 : 제2 구동부
163-1 : 제2 구동모터
163-2 : 회동바
163-3 : 보조링크
170 : 감지부
110 : 상부몸체
111 : 개폐도어
111-1 : 덮개
111-2 : 홈
120 : 하부몸체
130 : 승강부
131 : 제1 구동부
131-1 : 제1 연결축
131-2 : 제2 연결축
131-3 : 스크류 샤프트
131-4 : 스프로킷
131-5 : 체인
131-6 : 제1 구동모터
132 : 복수의 프레임
132-1 : 제1 프레임
132-2 : 제2 프레임
132-3 : 수용홈
133 : 차광막
134 : 연결기어
135 : 스프링
140 : 표시부
141 : 제1 전광판
142 : 제2 전광판
143 : 경첩
150 : 제어부
160 : 회전표시부
161 : 회전로드
161a : 복수의 엘이디
161-1 : 제1 로드
161-11 : 제1 접속구
161-12 : 제1 가압편
161-2 : 제2 로드
161-21 : 제2 접속구
161-22 : 제2 가압편
161-23 : 스토퍼
161-3 : 이송로드
161-4 : 이송모터
162 : 회전모터
162-1 : 지지부
163 : 제2 구동부
163-1 : 제2 구동모터
163-2 : 회동바
163-3 : 보조링크
170 : 감지부
Claims (3)
- 하나 이상의 조명을 출력하는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몸체(110)를 지지하는 하부몸체(120)와, 일측이 상기 상부몸체(1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120)에 연결되며,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1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30)와, 제1 전광판(141)과 제2 전광판(142)이 경첩(143)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광판(141) 및 상기 제2 전광판(142)이 상기 승강부(1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130)가 상승하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펼쳐지고, 상기 승강부(130)가 하강하면 지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접혀지는 표시부(140)와, 상기 승강부(130)와 표시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연결축(131-1, 131-2);
한쌍의 상기 연결축(131-1, 131-2)에 연결되어 X자 형태로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140)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132);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132)의 수용홈(132-3)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132)이 접혀지면 압축되고, 펼쳐지면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는 스프링(135)을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30)는,
한쌍의 상기 연결축(131-1, 131-2)에 형성되어 서로 기어결합하는 연결기어(134); 및
상기 연결기어(134)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프레임(132)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1 구동모터(131-6)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엘이디를 구비한 회전로드의 회전에 따라 점멸에 의한 잔상패턴으로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시키는 회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2453A KR102565405B1 (ko) | 2021-08-25 | 2021-08-25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2453A KR102565405B1 (ko) | 2021-08-25 | 2021-08-25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0335A KR20230030335A (ko) | 2023-03-06 |
KR102565405B1 true KR102565405B1 (ko) | 2023-08-09 |
Family
ID=8550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2453A KR102565405B1 (ko) | 2021-08-25 | 2021-08-25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540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347B1 (ko) | 2015-09-07 | 2017-01-31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KR101974985B1 (ko) * | 2018-03-30 | 2019-05-08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736B1 (ko) * | 2015-07-23 | 2017-02-08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US11361689B2 (en) * | 2017-11-02 | 2022-06-14 | Life Is Style Co., Ltd | Control system for rotating display |
-
2021
- 2021-08-25 KR KR1020210112453A patent/KR1025654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0347B1 (ko) | 2015-09-07 | 2017-01-31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KR101974985B1 (ko) * | 2018-03-30 | 2019-05-08 |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0335A (ko) | 2023-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1742B1 (ko) |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84622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
US7825790B2 (en) | Emergency vehicle light bar with message display | |
KR101504229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
KR102366160B1 (ko) |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 |
KR102450920B1 (ko) | 스마트 승강형 경광조명장치 | |
KR101559260B1 (ko) |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
KR101932959B1 (ko) |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974985B1 (ko) |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 |
KR101693619B1 (ko) |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 |
KR102565405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 |
KR101969840B1 (ko) |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 |
KR101607318B1 (ko) |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 |
KR20170126278A (ko) | 이동식 전광판 | |
KR101700347B1 (ko) | 비상등 보조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
KR101891617B1 (ko) |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시스템 | |
KR20150115180A (ko) |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 |
CN113734051A (zh) | 一种商用车隐藏式自动踏步及控制系统 | |
KR101703736B1 (ko) |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 |
CN113216030A (zh) | 一种基于机器视觉的道路交通标志识别系统 | |
KR101580064B1 (ko) | 높이조절 가능한 경광등 장착구조 | |
KR20240016146A (ko) | 보행자신호등과 연동되는 바닥신호등 | |
KR102303061B1 (ko) | 장애인 전동보장구용 안전삼각대 장치 | |
KR102105426B1 (ko) |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 |
CN214033468U (zh) | 一种市政道路修补用警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