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651B1 -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651B1
KR102564651B1 KR1020210190524A KR20210190524A KR102564651B1 KR 102564651 B1 KR102564651 B1 KR 102564651B1 KR 1020210190524 A KR1020210190524 A KR 1020210190524A KR 20210190524 A KR20210190524 A KR 20210190524A KR 102564651 B1 KR102564651 B1 KR 10256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support
expansion joint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874A (ko
Inventor
조금순
이호용
Original Assignee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조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조금순 filed Critical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65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는, 한쪽에 앵커들이 수평으로 구비된 제1 수직부재 및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 구조체와, 상기 제1 수직부재 및 제1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수직부재 및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 구조체와,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로 이루어진 제1 지지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결합부와 제2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체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체;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하부 지지단과, 상기 하부 지지단의 중간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양쪽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및 상기 나사봉에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1,2 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중앙에 체결공을 구비한 역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PRE SETTING DEVICE FOR EXPANSION JOINT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의 플레이트 사이에 원추형의 조절구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양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시공시 교량의 상판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온도변화 등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상판은 상판의 수축과 팽창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상판과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의 상판간에는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좋게 하고, 이물질이나 빗물이 그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에 등간격으로 돌출된 핑거들을 구비한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하도록 시공되어, 교량 상판이 신축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시공된 한 쌍의 플레이트가 교호하게 돌출된 핑거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량 상판 간 벌어진 틈새를 메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시공할 때에는 시공 시점을 기준으로 교량의 신축량에 맞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신축이음장치 간 이격을 조절하는 작업이 필수적인 사항이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다양한 수단들을 동원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를 벌려 이격을 주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양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벌려 이격시키는 작업을 해야 함으로써 양쪽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공현장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양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벌리고 그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써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가 제시되었다.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5260호(공고일자 : 2015.07.09)에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프리세팅모듈(100)은, 서로에 대하여 교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포개어진 형태로 구비된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상기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와 결합되어 이들에게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키는 조절부재(130,140a,140b)를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서, 상기 조절부재(130,140a,140b)에 의해 상기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에 상대적인 변위를 발생시키면서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210) 간 이격을 변화시켜 프리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프리세트모듈은, 조절부재가 신축이음장치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측면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축이음장치를 양쪽의 교량상판 사이에 배치할 때 조절부재들이 교량 상판의 이음부분에 배근된 철근들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철근들과 간섭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양쪽 상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추가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 철근들로 인하여 조절부재를 조작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84471호(공고일 : 2019.05.30)에는 처짐 방지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세팅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앵커부(100)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앵커부(100)의 내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며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신축이음 플레이트부(200)와, 상기 한 쌍의 신축이음 플레이트부(20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신축이음 플레이트부(20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대응하여 형상이 가변되는 신축연결부(300)를 포함하고, 앵커부(100)는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신축이음 플레이트부(200)가 결합되는 제1 앵커부(110)와, 상기 제1 앵커부(110)의 외측에 상기 제1 앵커부(110)와 이격 배치되는 제2 앵커부(120)와, 상기 제1 앵커부(110) 및 상기 제2 앵커부(120)와 결합되어 제1 앵커부(110)와 제2 앵커부(12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이격거리 조절부(130)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리세팅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도 조절부가 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조절부가 교량상판의 이음부분에 배근된 철근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양쪽 상부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추가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 철근들로 인하여 조절부재를 조작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5260호(공고일 : 2015.07.09)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84471호(공고일 : 2019.05.30)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에서 양쪽 플레이트를 포함한 양쪽 부재 사이의 이격 간격을 정확하게 미리 프리세팅할 수 있고,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시 교량의 상판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쪽에 앵커들이 수평으로 구비된 제1 수직부재 및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 구조체와, 상기 제1 수직부재 및 제1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수직부재 및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로 이루어진 제1 지지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결합부와 제2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체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체;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하부 지지단과, 상기 하부 지지단의 중간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양쪽의 상기 제1,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및 상기 나사봉에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1,2 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중앙에 체결공을 구비한 역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2 지지체는, 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제1,2 플레이트에 결합되거나 탈거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제1,2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2 플레이트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걸리도록 하향으로 절곡된 제1,2 절곡단;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의 각 단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중 절곡된 제1,2 절곡 걸림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의 각 단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중 절곡된 제1,2 절곡 걸림단;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 지지체에는,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당겨 간격을 좁히기 위한 인장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제1,2 지지부 양쪽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양쪽의 걸림돌기에 각 단부의 걸림고리가 걸려 고정되는 각각의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구는, 상면에 공구 결합홈이 형성되거나, 상단 외주면에 취부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구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제1,2 지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기 간격 조절구의 외주면과 면 또는 선 접촉되도록 상기 외주면과 같은 각도로 경사진 밀착면이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외주면과 같은 곡률을 갖는 반역원뿔형의 밀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양쪽 플레이트 사이에 역원뿔형의 간격 조절구가 구비됨으로써 양쪽 플레이트의 간격을 미리 조절하여 세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조절구가 양쪽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시공시 교량의 상판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쪽의 제1,2 지지체 사이에 간격 조절구와 인장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양쪽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프리세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4에 도시된 제1,2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20)는, 시공 전에 신축이음장치(10)의 양쪽 제1,2 지지체(12,14) 사이의 간격을 미리 이격시키는 작업, 즉 프리세팅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는, 한쪽에 앵커들이 수평으로 구비된 제1 수직부재(12A) 및 제1 수직부재(12A)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12B)로 이루어진 제1 구조체(12)와, 제1 수직부재(12A) 및 제1 플레이트(12B)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수직부재(14A) 및 제2 플레이트(14B)로 이루어진 제2 구조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 수직부재(12A)와 제2 수직부재(14A)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시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플레이트(12B,14B)는 핑거들을 구비한 핑거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핑거 없는 평판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신축이음장치(10)가 제1,2 구조체(12,14) 및 방수시트(16)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따른 프리세팅장치(20)는 프리세팅이 필요한 다양한 구조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세팅장치(20)는, 제1,2 지지체(22,24)와 체결부재(26) 및 간격 조절구(28)로 구성된다.
제1 지지체(22)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A)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22A)와 제1 결합부(22A)의 한쪽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22B)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체(22)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지지체(24)는, 제1 지지체(22)와 대칭 구조를 갖는 것으로, 제2 플레이트(14A)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24A) 및 제2 결합부(24B)의 한쪽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2 지지부(24B)로 이루어진다. 제2 지지체(24)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구(28)의 외주면(28D)에 접하는 제1,2 지지부(22B,24B)의 마주보는 상부 영역에는 간격 조절구(28)의 외주면(28D)과 면 또는 선 접촉되도록 외주면(28D)과 같은 각도로 경사진 밀착면(22B-1,24B-1)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2 지지부(22B,24B)의 마주보는 영역에 경사진 밀착면(22B-1,24B-1)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간격 조절구(28)는 제1,2 지지부(22B,24B)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 의하면, 간격 조절구(28)의 외주면(28D)에 접하는 제1,2 지지부(22B,24B)의 마주보는 영역에는 외주면(28D)과 같은 곡률을 갖는 반역원뿔형의 밀착홈(22B-2,24B-2)이 오목하게 각각 형성된다. 양쪽의 밀착홈(22B-2,24B-2)은 간격 조절구(28)의 외주면(28D) 양쪽을 감싸면서 밀착 접촉되므로 간격 조절구(28)와 양쪽의 제1,2 지지부(22B,24B)는 보다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밀착홈(22B-2,24B-2)이 간격 조절구(28)의 외주면(28D) 양쪽을 감싸게 되므로 간격 조절구(28)를 조이는 회전 조작 과정에서 간격 조절구(28)가 제1,2 지지부(22B,24B) 사이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지지체(22,24)는 제1,2 지지부(22B,24B)가 서로 마주보도록 탈착수단에 의해 제1,2 플레이트(12A,14A)의 상면에 결합되거나 탈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착수단은, 제1,2 결합부(22A,24A)에 형성된 관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제1,2 플레이트(12B,14B)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볼트(40)를 푸는 동작으로 제1,2 지지체(22,24)의 탈거가 가능하므로, 신축이음장치(10)가 교량의 양쪽 상판에 시공된 후에 제1,2 플레이트(12B,14B)에서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체결부재(26)는, 하단부가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간격 조절구(28)에 결합되는 것으로, 간격 조절구(28)가 체결될 때 간격 조절구(2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체결부재(26)는,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저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하부 지지단(26A)과, 하부 지지단(26A)의 중간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양쪽의 제1,2 지지부(22B,24B) 사이에 위치하는 나사봉(26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부재(26)는 전체적으로 "┻"형상으로 구성된다. 체결부재(26)의 하부 지지단(26A)의 폭은 양쪽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이는 체결부재(26)를 탈거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단(26A)이 제1,2 구조체(12,14)와 나란하도록 90°로 회전시킨 후 상향으로 들어 올려 탈거하기 위한 것이다.
간격 조절구(28)는, 나사봉(26B)에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제1,2 플레이트(12B,14B)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간격 조절구(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체결공(28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간격 조절구(28)의 상면에는 공구 결합홈(28B)이 형성된다. 따라서, 간격 조절구(28)를 조이거나 푸는 조작을 할 경우에 공구 결합홈(28B)에 공구를 끼운 후 간격 조절구(28)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간격 조절구(28)의 상단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간격 조절구(28)를 취부하여 회전 조작하기 위한 취부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취부돌기에 공구를 결합하여 간격 조절구(28)를 회전 조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간격 조절구(28)를 역원뿔형으로 형성한 것은, 간격 조절구(28)를 조임에 따라 제1 지지부(22B)와 제2 지지부(24B) 사이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하향 경사진 외주면이 제1 지지부(22B)와 제2 지지부(24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어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간격 조절구(28)가 역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지지부(22B)와 제2 지지부(24B) 사이에 위치하는 간격 조절구(28)를 조이는 동작만으로 간격 조절구(28)가 하향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양쪽의 제1 지지부(22B)와 제2 지지부(24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프리세팅장치(20)는, 신축이음장치(10)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지지부(22B) 또는 제2 지지부(24B)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눈금자(29)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 눈금자(29)는 간격 조절구(28)를 이용하여 양쪽의 제1,2 구조체(12,14) 간의 간격을 조절할 때 조절되는 간격을 수치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22)와 제2 지지체(24)가 제1 플레이트(12B)와 제2 플레이트(14B)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고, 제1,2 지지체(22,24) 사이에 역원뿔형의 간격 조절구(28)가 체결부재(26)에 의해 설치된 상태에서, 양쪽의 제1 구조체(12) 및 제2 구조체(14) 사이의 간격을 프리세팅, 즉 제1,2 구조체(12,14) 간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미리 조절한 후 고정하기 위해서는 간격 조절구(28)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인다.
간격 조절구(28)가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2 지지체(22,24)의 제1,2 지지부(22B,24B) 사이에 위치하고, 역원뿔형으로 된 간격 조절구(28)의 외주면 양쪽에 양쪽 제1,2 지지부(22B,24B)의 내측면이 각각 접한 상태에서 간격 조절구(28)를 조이면, 간격 조절구(28)가 직하방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양쪽의 제1,2 지지부(22B,24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한다.
간격 조절구(28)가 제1,2 지지부(22B,24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2 지지체(22,24)가 결합된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전술한 과정으로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으로 조절되어 고정되면, 신축이음장치(10)의 제1 구조체(12)와 제2 구조체(14)의 앵커들을 교량 상판 구조물의 서로 맞닿는 가장자리에 배치한 후 철근을 추가로 배근하거나 몰탈 시공한다. 즉, 신축이음장치(10)를 양쪽의 상판 구조물 사이에 연결 시공하기 전에, 양쪽 상판 구조물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신축이음장치(10)의 제1,2 구조체(12,14) 사이의 간격, 보다 정확하게는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미리 이격시키는 프리세팅 작업을 수행한 후 양쪽 상판 구조물에 설치 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축이음장치(10)를 교량의 상판 구조물 사이에 시공하기 전에, 역원뿔형의 간격 조절구(28)를 조이는 조작만으로 양쪽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을 미리 프리세팅할 수 있음으로써 신축이음장치(10)의 프리세팅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프리세팅장치(20)가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교량 상판 구조물에 배근된 철근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신축이음장치(10)의 시공이 완료되면, 나사봉(26B)에 체결된 간격 조절구(28)를 풀어 체결부재(26)로부터 간격 조절구(28)를 분리시킨다.
이어서, 체결부재(26)의 하부 지지단(26A)이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저면으로부터 벗어나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90°로 수평 회전시킨 후 상향으로 들어 올린다. 이 과정으로 체결부재(26)를 분리할 수 있다.
체결부재(26)가 분리되면, 제1,2 결합부(22A,24A)를 제1,2 플레이트(12B,14B)에 결합하는 각 볼트(40)들을 풀어 제1,2 결합부(22A,22B)를 제1,2 플레이트(12B,14B)로부터 탈거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세팅장치(20)는 신축이음장치(1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20)는, 제1,2 지지체(22,24)를 제1,2 플레이트(12B,14B)에 장착하거나 탈거하기 위한 탈착수단이, 제1,2 결합부(22A,24A)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12B,14B)의 각 바깥쪽 단부에 걸리도록 하향으로 "┓" 형상으로 각각 절곡된 제1,2 절곡단(22A-1,24A-1)과,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2B-1,14B-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제1,2 결합부(22A,24A)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단(22A-2,24A-2)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각 제1,2 절곡단(22A-1,24A-1)이 제1,2 플레이트(12B,14B)의 각 바깥쪽 단부에 걸리고 각 걸림단(22A-2,24A-2)이 각 걸림홈홈(12B-1,14B-1)에 삽입됨으로써, 양쪽의 제1,2 지지체(22,24)는 제1,2 플레이트(12B,14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20)에 의하면, 제1,2 지지체(22,24)를 하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각 걸림단(22A,24A)가 걸림홈(12B-1,14B-1)에 삽입되고 각 제1,2 절곡단(22A-1,24A-1)이 제1,2 플레이트(12B,14B)의 각 바깥쪽 단부에 걸림으로써 제1,2 지지체(22,24)의 제1,2 결합부(22A,24A)를 제1,2 플레이트(12B,14B)에 결합하거나 탈거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20)는, 제1,2 지지체(22,24)의 각 제1,2 결합부(22A,24A)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12B,14B)의 각 단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중 절곡된 제1,2 절곡 걸림단(22A-3,24A-3)과,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2B-1,14B-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제1,2 결합부(22A,24A)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단(22A-2,24A-2)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제1,2 지지체(22,24)의 각 제1,2 결합부(22A,24A)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12B,14B)의 각 단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중 절곡된 제1,2 절곡 걸림단(22A-3,24A-3)만을 구비하고, 제1,2 플레이트(12B,14B)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2B-1,14B-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제1,2 결합부(22A,24A)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단(22A-2,24A-2)은 제외할 수 있다.
각각의 제1,2 절곡 걸림단(22A-3,24A-3)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제1,2 플레이트(12B,14B)의 단부에 제1,2 플레이트(12B,14B)의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고 각각의 걸림단(22A-2,24A-2)이 각 걸림홈(12B-1,14B-1)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제1,2 결합부(22A,24A)를 제1,2 플레이트(12B,14B)에 결합하거나 탈거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20)는, 제1,2 지지체(22,24)에, 제,1,2 플레이트(12B,14B)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당겨 간격을 좁히기 위한 인장수단(80)이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인장수단(80)은, 제1,2 지지부(22B,24B) 양쪽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82A,82B)와, 양쪽의 각 걸림돌기(82A,82B)에 각 단부의 걸림고리(84A-1,84B-1)가 걸려 고정되는 각각의 인장스프링(84)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인장수단(80)에 의하면, 양쪽 지지부(22B,24B)의 양쪽에 한 쌍의 인장스프링(84)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간격 조절구(28)를 조이면 양쪽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이 화살표(A1)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넓어지고, 간격 조절구(28)를 풀면 양쪽 제1,2 플레이트(12B,14B)가 양쪽의 인장스프링(84)의 복원 탄성에 의해 화살표(A2) 방향으로 이동하여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양쪽 제1,2 플레이트(12B,14B)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신축이음장치 12,14 : 제1,2 구조체
12A,14A : 제1,2 수직부재 12B,14B : 제1,2 플레이트
16 : 방수시트 20 : 프리세팅장치
22,24 : 제1,2 지지체 22A,24A : 제1,2 결합부
22B,24B : 지지부 26 : 체결부재
28 : 간격 조절구 40 : 볼트
80 : 인장수단 82A,82B : 걸림돌기
84A-1,84B-1 : 걸림고리 84 : 인장스프링

Claims (5)

  1. 한쪽에 앵커들이 수평으로 구비된 제1 수직부재 및 상기 제1 수직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1 구조체와, 상기 제1 수직부재 및 제1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수직부재 및 제2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부로 이루어진 제1 지지체;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 결합부와 제2 지지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지지체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지지체;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 양단이 지지되는 하부 지지단과, 상기 하부 지지단의 중간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양쪽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 및
    상기 나사봉에 체결되어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제1,2 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중앙에 체결공을 구비한 역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간격 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지지체는,
    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제1,2 플레이트에 결합되거나 탈거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제1,2 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2 플레이트에 각각 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의 각 단부에 걸리도록 하향으로 절곡된 제1,2 절곡단;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의 각 단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중 절곡된 제1,2 절곡 걸림단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결합부의 각 단부에서 제1,2 플레이트의 각 단부를 감싸면서 끼워지도록 다중 절곡된 제1,2 절곡 걸림단;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상기 제1,2 결합부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지지체에는,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당겨 간격을 좁히기 위한 인장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제1,2 지지부 양쪽 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 및 양쪽의 걸림돌기에 각 단부의 걸림고리가 걸려 고정되는 각각의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구는,
    상면에 공구 결합홈이 형성되거나, 상단 외주면에 취부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구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제1,2 지지부의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는,
    상기 간격 조절구의 외주면과 면 또는 선 접촉되도록 상기 외주면과 같은 각도로 경사진 밀착면이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외주면과 같은 곡률을 갖는 반역원뿔형의 밀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KR1020210190524A 2021-12-29 2021-12-29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KR10256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524A KR102564651B1 (ko) 2021-12-29 2021-12-29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524A KR102564651B1 (ko) 2021-12-29 2021-12-29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74A KR20230100874A (ko) 2023-07-06
KR102564651B1 true KR102564651B1 (ko) 2023-08-08

Family

ID=8718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524A KR102564651B1 (ko) 2021-12-29 2021-12-29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6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723A (ja) * 2005-07-21 2007-02-01 Nippon Alum Co Ltd 壁用伸縮継手装置
KR101535258B1 (ko) * 2014-07-31 2015-07-09 (주)디에스엘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60B1 (ko) 2014-07-30 2015-07-09 (주)디에스엘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1984471B1 (ko) 2018-06-01 2019-05-30 (주)올바른이엔씨 처짐 방지 및 프리세팅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KR102272620B1 (ko) * 2019-12-06 2021-07-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부재용 간격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3723A (ja) * 2005-07-21 2007-02-01 Nippon Alum Co Ltd 壁用伸縮継手装置
KR101535258B1 (ko) * 2014-07-31 2015-07-09 (주)디에스엘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874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81B1 (ko) 앵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JP4625763B2 (ja) 主桁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合成構造
US20090294627A1 (en) Ceiling Formwork System
KR101511504B1 (ko)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JP6379045B2 (ja) 梁底型枠用支持金具とPCa梁ジョイント部の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1702272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101400226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앵글형 경량 강재 가로보
KR101764369B1 (ko)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2564651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프리세팅장치
JP5278982B1 (ja) 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構築方法
JP6181960B2 (ja) 縦目地伸縮装置
JP6992313B2 (ja) デッキプレートの配筋構造
KR101616012B1 (ko) 교량용 슬래브패널의 각도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대
KR200466393Y1 (ko) 신축이음장치의 설치를 위한 프리셋팅장치
KR102305757B1 (ko) 중공슬래브 설치구조물
KR101383680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JP3799350B2 (ja) コンクリート橋における間詰めコンクリート落下防止機構
KR100777807B1 (ko) 교좌장치 및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JP5851315B2 (ja)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1914243B1 (ko) 신축이음장치
US20140215960A1 (en) Grating Clamp and Method for Fixing a Grating to a Support
KR102169114B1 (ko) 신축이음장치 설치 공법
JP7409945B2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吊り金具の固定方法
JP3827664B2 (ja) 道路橋用継手部材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