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718B1 -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718B1
KR102563718B1 KR1020220165237A KR20220165237A KR102563718B1 KR 102563718 B1 KR102563718 B1 KR 102563718B1 KR 1020220165237 A KR1020220165237 A KR 1020220165237A KR 20220165237 A KR20220165237 A KR 20220165237A KR 102563718 B1 KR102563718 B1 KR 10256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ermented
skin
extract
skin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문
이기영
전용승
최광순
차상주
Original Assignee
에이앤펩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펩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앤펩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5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기 선행특허에서 제시된 천연 발효물 및 펩타이드에 또 다른 펩타이드 및 발효 용해물을 조합 사용하여 피부염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쑥 발효 정제물, 비피다 발효 용해물,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 청국장 추출물에서 유래한 알라닌(Alanine, Ala)-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프롤린(Proline, Pro)-글리신(Glycine, Gly) 서열의 테트라 펩타이드-44,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inflammation including peptides and natural fermentation extracts}
본 발명은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조직으로 햇빛이나 물리,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며 이는 인간의 생명 유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끊임 없이 재생되어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피부는 바깥쪽으로부터 표피, 진피, 피하지방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얇은 조직인 표피는 피부의 보습과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수분 손실, 손상, 세균 침입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피부는 신체를 전부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랑게르한스섬에 의한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고 표피에 의한 수분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적절한 햇빛으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지질의 저장고와 땀샘으로의 배설 기능도 수행한다. 건강한 피부에서의 정상적인 분화과정에 의해 생성된 각질층은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고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피부 장벽 기능이라 하며 표피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정상 피부에 비해 외부 자극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민감성 피부를 대상으로 한 화장품에는 항염, 피부재생, 항균, 항노화 등의 소재가 활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소재들은 단독 혹은 하나의 소재가 다수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민감성 피부는 건성 피부가 대부분이며, 피부 건조증은 수분 부족으로 발생되며, 건조한 피부를 가진 환자가 민감한 피부를 가질 확률이 높으며, 과민한 피부 트러블, 거친 피부, 피부 당김 등의 증상을 보이며 특히 약해진 피부장벽으로 인해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은 얇거나 약해진 피부 수분 장벽으로 외부 유해물질이 피부를 침투하고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으며, 민감성 피부에서 흔히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은 현대 점점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중요하게 파악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미세 먼지로 인한 피부 면역 악화 등은 유아동, 노약자 계층에서는 야외 활동을 일부, 전면 제한을 할 정도로 심각해지고 있다.
피부 질환은 유발원인 → 장벽손상으로 틈(crack) → 균/유해물질침투 → 염증/면역반응 → 병적인 표피 증식과 분화 → 피부장벽 손상의 악순환으로 진행이 되며, 장벽 손상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악화되기 때문에 평상시에 피부의 면역 건강을 잘 유지하는 것이 더 큰 면역 관련 피부 질환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특히, 민감성 피부에 적합한 화장품에 활용할 수 있는 원료는 종류가 많지 않으며 현재 국내에서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원료는 부족한 상태이며,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해당 기술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행특허 문헌]
- 한국 등록특허 제10-1787600호(2017.10.19. 등록)
- 한국 등록특허 제10-2376616호(2022.03.16. 등록)
-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36304호(2020.04.07. 공개)
본 발명은 피부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기 선행특허에서 제시된 천연 발효물 및 펩타이드에 또 다른 펩타이드 및 발효 용해물을 조합 사용하여 피부염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 발효 정제물, 비피다 발효 용해물,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 청국장 추출물에서 유래한 알라닌(Alanine, Ala)-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프롤린(Proline, Pro)-글리신(Glycine, Gly) 서열의 테트라 펩타이드-44,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는 0.005 내지 0.5 %(w/v),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카르노신은 0.005 내지 0.5 %(w/v), 상기 글루타치온은 0.005 내지 0.5 %(w/v) 함량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쑥 발효 정제물 및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DPPH 및 ABTS 산화물질 제거를 통한 항산화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세포에서 NO의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부염증은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쑥 발효 정제물, 비피다 발효 용해물,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 청국장 추출물에서 유래한 알라닌(Alanine, Ala)-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프롤린(Proline, Pro)-글리신(Glycine, Gly) 서열의 테트라 펩타이드-44,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의 유효성분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해당 성분들의 단독 사용 대비 피부염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2에서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의 항염 효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및 3은 시험예 3에서 피부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시험예 4에서 일차 자극 평가 임상시험 결과를 나타낸 성적서이다.
도 5는 시험예 5에서 여드름 피부 사용 적합성 평가 임상시험 결과를 나타낸 성적서이다.
도 6a 및 6b는 시험예 6에서 누적첩포 시험을 통한 피부 감작성 평가 임상시험 결과를 나타낸 성적서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피부 항염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 발효물 및 펩타이드에 특정의 또 다른 펩타이드 및 발효 용해물을 특정 함량비로 조합 사용할 경우 피부염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쑥 발효 정제물, 비피다 발효 용해물,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 청국장 추출물에서 유래한 알라닌(Alanine, Ala)-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프롤린(Proline, Pro)-글리신(Glycine, Gly) 서열의 테트라 펩타이드-44,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쑥 발효 정제물에서, 먼저, 쑥 발효물 제조방법은 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에서 상기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쑥 발효 정제물 제조방법은 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에서 미생물을 제거하여 쑥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쑥 발효물을 용매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쑥 추출물에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쑥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쑥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방법, 예컨대,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혼합 추출물 제조 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 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수를 사용한 열수 추출일 수 있다. 또한, 추출 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은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서 선 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쑥 추출물을 열수 추출로 추출하는 경우, 예컨대, 정제수를 쑥 잎의 5 내지 20배 중량으로 첨가하고, 100 내지 140℃로 4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으며, 쑥 추출물의 당도는 4 내지 10 brix,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birx일 수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일 수 있으며, 상기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Bacillus methylotrophicus)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일 수 있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서 본 출원인이 자체 분리하여 수탁번호 KCTC 43023으로 기탁된 Apep Microorganism Jeju 170201 균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효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가 원재료를 변화시켜 이로운 성분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말하며, 발효 과정 중에는 유효 성분들이 추출되며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는 상기 미생물 균주의 배양액을 107 내지 1010 cfu/mℓ로 조절하여, 상기 쑥 추출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를 접종할 수 있고, 1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일 동안, 2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 배양 및 발효 시 배지 조성은 글루코오스 0.2 내지 1 중량%, 효소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 소이톤(soytone) 0.05 내지 0.3 중량% 및 증류수(잔량)일 수 있다.
상기 발효물에서 상기 미생물을 제거하여 쑥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쑥 발효물의 추가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상기 미생물 제거는 원심분리 및 여과를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발효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미생물을 분리한 후, 0.1 내지 0.3 μm 필터로 여과하여 미생물을 제거 할 수 있다.
쑥 발효물을 용매 분획하는 단계는 쑥 발효물을 정제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용매 분획은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을 통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상기 쑥 발효물을 용매 분획하여 분리된 분획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고, 이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에서 용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Bifida ferment lysate)은 비피다 발효 융해물, 비피다 발효 추출물, 비피더스 발효 용해물 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혐기성 유산균인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를 생명공학기술로 발효시켜 파쇄하여 얻은 원료이다. 비피다 발효 용해물에는 비피도박테리아의 대사산물, cytoplasma fractions, 세포벽 성분들은 물론 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 등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세포 노화 방지와 피부세포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식물 추출물을 미생물에 접종시켜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발효시킨 식물 추출 발효물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매 추출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혼합 추출물 제조 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 알코올(예를 들 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 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중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은 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알코올을 사 용하는 경우 알코올은 탄소 수가 1 내지 4인 저급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 용매로 함수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알코올 함량은 1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8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다른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추출물 내지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 계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하거나 자연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또는 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미생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서 본 출원인이 자체 분리하여 수탁번호 KCTC 43023으로 기탁된 Apep Microorganism Jeju 170201 균주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여 다량의 유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형태적으로는 Gram 양성 무포자 간균으로 다형성을 나타내고, 크기는 0.5~0.9×1~11μm로 단간균에서 장간균의 여러 형태를 나타내며, Coryne형을 나타내는 균종도 있다. 균의 배열은 단재, 이연쇄, 단연쇄 및 단붕상이 있다. 대부분은 운동성이 없고, 보통은 catalase 음성이다. 본 속은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즐겨 발육하며 각종의 당에서 유산을 생성한다. 이들은 산도(pH 3~4 정도)에서 내성을 보이는 것이 많고 영양 요구성은 매우 복잡하고, 당류 외 많은 아미노산이나 비타민류를 요구하여 균종 또는 균주에 따라 미량 영양소를 가하지 않으면 발육할 수 없는 것도 알려져 있다.
상기 바실러스 속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간균으로서 탈질, 철환원, 망간산화 등에 관여한다. 환경조건에 따라 균체 내에 구조적 변화가 생겨 포자(아포자)를 형성한다. 포자는 열, 방사선, 화학 물질 등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영양세포에는 존재하지 않는 디피코인산의 칼슘염을 다량 함유한다. 균체의 크기, 포자의 형태와 균체 내에서의 위치, 당의 이용과 생성물, 질산환원 유무, 고식염농도하에서의 생장 유무 등의 성질에 따라 여러 종으로 분류된다. 대표 종은 고초균(Bacillus subtilis), 탄저병균, 세레우스균(식중독 의 원인균) 등이다. 일반적인 용어로 간균, 또는 세균 전체를 뜻하기도 한다.
상기 화산송이는 화산이 폭발할 때 분출된 여러 물질 가운데 다공질의 화산암, 화산 모래, 기타 화산회 등이 혼합되어 고열에서 소성된 소성체로 이루어진 기공률이 높은 화산토를 말한다. 상기 화산송이는 광물의 일종으로 성분이 SiO2, Al2O3, Fe2O3 등이 있는데 이 성분들은 탈취성분의 주원료로 90% 이상의 탈취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광물은 화산송이에서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을 흡착하여 악취 등을 없애주므로 바이오 필터 등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화산송이는 항균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효시 유익균의 증식에는 많은 미네랄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반면 유해균에 대해서는 항균작용을 하여 오랜 기간 발효 시 유해균의 번식을 막아준다. 또한 화산송이에는 미네랄 등의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발효 시 상기 식물 추출물과 혼합되어 상기 식물 추출물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지는 화산송이를 전체 배치 조성물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지에서 화산송이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대비 0.1 중량% 미만이면, 천연물 발효 시 발생하는 발효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화산송이의 함량이 전체 조성물 대비 10 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대비 효과가 저조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청국장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먼저, 대두를 세척하고, 물에 침지시킨 다음 가압증자기를 이용하여 삶는다. 이렇게 삶은 대두에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B1 균을 접종하고 30 내지 50℃에서 2 내지 4일간, 바람직하게는 40℃에서 3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시킨 발효물을 동결건조해서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분말화한 분말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에 녹이는 단계; 상기 에탄올에 녹인 분말 을 감압증류하는 단계; 및 상기 감압증류한 분말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대두는 한국산 및 중국산, 일본산 등의 외국산 대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대두를 이용하여 청국장 제조 시에는 대부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B1 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대두 발효물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용매로는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 게는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이용함으로써, 염증에 효과적인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청국장 추출물로부터 HPLC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수득되며, 다양한 추출 용매로서,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물,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며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 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 프로판, 톨루엔,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 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의 추출은 물과 에탄올을 이용한 열수 추출 및 초음파 추출이 바람직하며, 이때, 에탄올의 농도는 30 내지 90%가 적합하다. 식물과 용매의 비율은 중량 기준 10:100 내지 10:800이 바람직하며, 추출 시간은 1시간 에서 48시간 사이가 적합하다.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카르노신(Carnosine)은 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단백질의 당화(glycation)를 예방할 수 있는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는 등 인체에 무해하며 인체, 특히 피부노화 예방에 효과적이며, 항산화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글루타치온(Glutathione)은 인체 내에서 생성되는 트리펩타이드이며, 구성 아미노산 중 시스테인(Cysteine)을 함유하고 있으며, 시스테인의 산화, 환원반응을 통해 생체 내 활성 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산화에 기여하며, 이는 활성산소 등을 통해 기인하는 염증 메커니즘을 예방하는 데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성분의 이상적인 조성이 존재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는 0.005 내지 0.5 %(w/v),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0.05 내지 5 %(w/v), 상기 카르노신은 0.005 내지 0.5 %(w/v), 상기 글루타치온은 0.005 내지 0.5 %(w/v)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0.1 내지 3 %(w/v),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은 0.1 내지 3 %(w/v),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0.1 내지 3 %(w/v),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는 0.01 내지 0.3 %(w/v),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0.1 내지 3 %(w/v), 상기 카르노신은 0.01 내지 0.3 %(w/v), 상기 글루타치온은 0.01 내지 0.3 %(w/v)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0.5 내지 2 %(w/v),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은 0.3 내지 2 %(w/v),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0.3 내지 2 %(w/v),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는 0.02 내지 0.2 %(w/v),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0.3 내지 2 %(w/v), 상기 카르노신은 0.02 내지 0.2 %(w/v), 상기 글루타치온은 0.02 내지 0.2 %(w/v)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0.8 내지 1.2 %(w/v),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은 0.3 내지 0.7 %(w/v),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0.3 내지 1.2 %(w/v),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는 0.03 내지 0.1 %(w/v),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0.3 내지 1.2 %(w/v), 상기 카르노신은 0.02 내지 0.05 %(w/v), 상기 글루타치온은 0.02 내지 0.05 %(w/v)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젤 타입, 스킨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조성물은 그것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통상의 연화제, 유화제, 증점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젤 타입 조성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이소세틱알콜 등의 용매, 정제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킨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알란토인, 메틸 파라벤, 이디티에이-2-소디움, 잔탄검, 디메티콘, 폴리 에틸렌 글라이콜-60 하이드로제네이트 카스톨 오일, 폴리 소르베이트 60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소프파티질세린, 소프파티딜이노시톨 등의 리피드,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리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 오일, 유리지치 오일, 동백 오일 등의 천연 지방 또는 오일,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 타입 조성물은 연화제, 유화제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세레신, 밀납, 경납, 바세린 등의 왁스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주름개선 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피부주름개선 성분으로는 비타민 C,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세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엣센스, 팩, 헤어토닉, 헤어트리트먼트, 샴푸 또는 린스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 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약학적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이란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질환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방법, 투여 횟수,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 등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로는 리포좀, 다당,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중합체성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공중합체와 같이 천천히 대사되는 거대분자를 들 수 있다. 예컨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포스페이트 및 설페이트와 같이 무기산의 염;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 및 벤조에이트와 같은 유기산의 염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물, 염수, 글리세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액체, 및 수화제, 유화제 또는 pH 완충 물질과 같은 보조적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에 관해서는 문헌(Remingti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1991)에 기재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자의 신체 내 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제제,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의약품의 투여에 유용한 제제 형태로 제형화시켜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투여 방법을 이용하여 경구, 또는 피부,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수막강내, 심실내, 폐, 경피, 피하, 복내 내, 비강내, 소화관내, 국소, 설하, 질내 또는 직장 경로를 포함하는 비경구투여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을 식품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피부 항염증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상기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7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하여 기능성 음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상기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이외에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 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채소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조예
(1) 쑥 발효 정제물
건조된 쑥 잎 200 g에 정제수 2 kg을 첨가하여 120℃에서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으며, 추출 후 당도 6 내지 8 birx인 쑥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추출 후 Apep Microorganism Jeju 170201 균주를 배양하여 상기 쑥 추출물에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 농도가 1.0×10 cfu/ml인 배양액 1 중량%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간 발효하였으며,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글루코오스 0.6 중량%, 효소 추출물 0.3 중량%, 소이톤 0.1 중량% 및 증류수로 구성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발효 후 발효액을 4,000 rpm,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유산균과 배양액을 분리한 후, 배양액을 0.2 μm 필터로 여과하여 쑥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쑥 발효물에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n-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분리하여 쑥 발효 정제물을 제조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사용하였다.
(2) 비피다 발효 용해물
(주)엘시에스바이오텍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3) 어성초/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
발효물의 원료인 어성초 및 부평초를 각각 20 mesh 이하로 조분쇄하여 시료 100 g에 대해 100배의 70 %(w/v) 에탄올을 넣어 7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Whatman No 2, Maidstone, England)하였다. 여과한 에탄올 추출액을 감압농축(N1000S-WD, Eyela Co., Tokyo, Japan) 후 동결건조(FDU-1100, Eyela Co., Tokyo, Japan)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효에 활용한 미생물은 Apep Microorganism Jeju 170201 균주로서 본 출원인인 에이엔펩(주)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사용하였다. 전배양은 nutrient broth (Difco, Detroit, MI, USA), 37℃ 진탕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발효 시 사용된 배지는 어성초 또는 부평초 추출물 5 중량%, 화산송이 0.5 중량%, glucose 0.6 중량%, yeast extract 0.3 중량%, soytone 0.1 중량%로 구성하였다. 상기 배지에 상기 균주를 접종하여 37℃에서 3일간 진탕 배양하여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완료 후 발효물은 0.2 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화산송이-어성초 추출 발효물 및 화산송이-부평초 추출 발효물을 제조하였고, 2종의 발효물을 1:1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4) 테트라 펩타이드-44
삶은 대두에 Bacillus licheniformis B1균을 접종하고, 40℃에서 3일간 발효시킨 후, 진공동결 건조시켜서 분말로 만들었다. 이후, 상기 분말을 80% 에탄올에 녹이고, 이를 감압증류시킨 후 다시 진공 동결건조시켜서 청국장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청국장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펩타이드를 얻기 위해 ODS(제조회사 Waters, 5C18-AR-300 (4.6mm))칼럼을 이용하고, 0.1% TFA가 포함되어 있는 CH3CN(20-50%)를 용매로 하여, 유속 0.5 ml/분의 조건에서 HPLC를 수행하여, [아미노기말단-알라닌(Alanine, Ala)-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프롤린(Proline, Pro)-글리신(Glycine, Gly)-카르복실기말단]의 펩타이드를 얻었다.
(5) 황백/목단피 추출물
잘 건조된 황백(phellodendron bark) 및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 roots) 원물(1:1 중량비)에 70% 에탄올을 1:10 중량 비율로 넣고 3일 동안 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380 메쉬로 여과하고,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50℃로 감압축한 후 감압 증발하여 농축물을 얻었다. 얻은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물을 얻었다.
(6)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
2종의 항산화 펩타이드(Cas No. 70-18-8 및 305-84-0)는 시스마알드리치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 또는 준비된 원료들을 각각 물에 용해 내지 첨가하여(w/v) 농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테트라펩타이드-44 (mg/ml) 황백/목단피 혼합 추출물 (mg/ml) 화산송이 어성초/부평초 발효물 (mg/ml) 비피다 발효용해물 (mg/ml) 쑥 발효 정제물 (mg/ml) 글루타치온
(mg/ml)
카르노신
(mg/ml)
실시예 1 0.25 5 10 5 10 0.5 0.25
2 0.25 10 5 5 10 0.5 0.25
3 0.25 5 10 10 5 0.5 0.25
4 0.25 10 5 10 5 0.5 0.25
5 0.25 5 5 10 10 0.5 0.25
6 0.25 10 10 5 5 0.5 0.25
7 0.25 5 10 5 10 0.25 0.5
8 0.25 10 5 5 10 0.25 0.5
9 0.25 5 10 10 5 0.25 0.5
10 0.25 10 5 10 5 0.25 0.5
11 0.25 5 5 10 10 0.25 0.5
12 0.25 10 10 5 5 0.25 0.5
13 0.5 5 10 5 10 0.25 0.25
14 0.5 10 5 5 10 0.25 0.25
15 0.5 5 10 10 5 0.25 0.25
16 0.5 10 5 10 5 0.25 0.25
17 0.5 5 5 10 10 0.25 0.25
18 0.5 10 10 5 5 0.25 0.25
비교예 1 1.0 - - - - - -
2 - 40 - - - - -
3 - - 40 - - - -
4 - - 5 40 - - -
5 - - - - 40 - -
6 - - - - - 1.0 -
7 - - - - - - 1.0
시험예 1 :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방법에 따라 DPPH 소거능 및 ABTS 소거능 시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DPPH 소거능 시험 방법]
(1) 시료(시험물질)를 농도에 맞게 stock solution을 만들어 준비한다. 이때 용해도가 좋지 않으면 DMSO를 사용한다. 시료를 농도가 100 ㎍/㎖가 되도록 에탄올에 혼합하여 준비한다. 양성 대조군으로 동일한 농도의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준비하였다.
(2) 시험에 사용할 지시약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Sigma D9132) 5.9 mg을 에탄올에 녹여 100 ㎖가 되도록 준비한다.
(3) 깨끗한 신규의 96well Plate를 준비하고 각 웰에 상기 DPPH 용액을 100 ㎕씩 넣어준다.
(4) 96well plate의 각 웰에 90 ㎕의 에탄올을 넣는다. 준비한 시료 10 ㎕를 처리한다.
(5) 25℃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반응시킨다.
(6) UV spectrophotomer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O.D 값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DPPH 소거능을 계산한다.
[수학식 1]
DPPH 소거능(%) = (대조군(무처리군)의 흡광도 - 시료 투입군의 흡광도)/(대조군(무처리군)의 흡광도) × 100
[ABTS 소거능 시험 방법]
(1) 7.4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최종농도로 동량 혼합하여 제조한다.
(2) 실험 직전에 실온인 암실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이 되게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pH 7.4)로 희석한다.
(3) 발효물과 희석된 용액 20 ㎕에 sample 180 ㎕를 가하여 정확히 1분 동안 방치한 후 흡광도를 732 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DPPH 소거능을 계산한다.
[수학식 2]
ABTS 소거능(%) = (대조군(무처리군)의 흡광도 - 시료 투입군의 흡광도)/(대조군(무처리군)의 흡광도) × 100
구분 DPPH 소거능(%) ABTS 소거능(%)
대조군 (무처리군) 100 100
실시예 1 53.65 60.47
실시예 2 59.47 68.04
실시예 3 62.54 70.64
실시예 4 55.97 64.18
실시예 5 60.17 71.04
실시예 6 57.35 65.99
실시예 7 49.69 56.78
실시예 8 51.14 62.47
실시예 9 58.14 60.20
실시예 10 55.97 62.47
실시예 11 59.74 69.36
실시예 12 56.78 66.78
실시예 13 43.14 48.24
실시예 14 43.57 50.27
실시예 15 51.46 64.25
실시예 16 52.59 63.22
실시예 17 48.31 55.76
실시예 18 59.59 68.54
비교예 1 93.44 94.21
비교예 2 64.55 73.14
비교예 3 57.54 63.27
비교예 4 52.33 60.14
비교예 5 61.45 73.98
비교예 6 58.45 70.15
비교예 7 57.24 63.57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과 대조군의 항산화 효과를 2종의 시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항염 복합 조성물 군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실험군 내에서도 조성물 내 기능성 원료 성분의 조합 및 조성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피부 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항산화제를 활용할 경우 단일 원료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다양한 조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유용한 결과를 나타내어, 최종적으로는 피부 내 항염 효과를 발휘하여 다양한 피부질환이나 피부 트러블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들 항염 기능성 성분 간의 효능 감소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보여지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기능성 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의 항염 효능 확인
상기 시험예 1에서 스크리닝을 통해 확보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4종의 복합 조성물을 대상으로 (실시예 7, 13, 14 및 17)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대상물질의 항염 효과 확인에 많이 시행되는 염증 유발 물질인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실험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NO(Nitric oxide) 함량 측정]
(1) NO 함량을 Green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해 BV-2 세포를 RPMI1640 배지를 이용하여 1×105 cells/㎖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한다.
(2) 시험시료인 4종(실시예 7, 13, 14 및 17)의 조성물을 LPS(100 ng/㎖)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와 함유하지 않은 배지에 각각 동시에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다.
(3) 세포배양 상등액 100 ㎕와 Griess시약(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100 ㎕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4) 반응이 완료된 상등액과 Griess 시약 mixture를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며, sodium nitrate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NO의 함량을 산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NO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4종의 복합 조성물 모두에서 LPS에 의해 NO 생성이 유도된 세포에서 개선된 NO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13의 조성에서 가장 우수한 항염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항염 효과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기능성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 피부세포 독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 2종(실시예 13 및 14)에 대해 피부세포의 세포 독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이용하여 피부세포 독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HACAT 세포와 HDF 세포를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4×104 cells/24well의 세포수가 되도록 seeding한 후 24 h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항온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 후 배양 후 2종의 발효 복합물을 농도별(0, 10 ㎍/㎖, 100 ㎍/㎖, 1 mg/㎖, 10 mg/㎖)로 처리하여 24 h 동안 항온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0.5% in DPBS를 배양배지와 1:9(v/v)로 혼합하여 첨가하고, 2 h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을 DMSO에 녹여 ELI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각질세포주의 일종인 HaCat 세포, 섬유아세포의 일종인 HDF 세포에 대하여, 농도 별 처리에서 항염 복합 조성물에서 세포수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고, 피부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들의 현미경적인 관찰에서도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독성이 전혀 없으며,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이 처방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처리되어도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시험예 4 : 일차 자극 평가 임상시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실시예 13)을 공인 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조성물을 대상으로 24시간 피부첩포를 통한 일차 자극 평가 시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의 피부 자극 여부를 인체 대상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세부적인 임상시험 방법은 임상시험 기관인 “대한피부과학 연구소“의 자체 프로토콜(하기 참조)을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평가는 전문가의 육안평가로 진행되었다:
1) 연구 대상자 선정 :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연구 대상자 31명 선정.
2) 시험 부위 : 착색이나 피부 손상이 없는 평평한 등 부위.
3) 첩포 방법 :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세정 후 15 ㎕의 시료를 24시간 폐쇄첩포.
4) 관찰 :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관찰.
5) 평가 : 국제접촉피부염학회(ICDRG) 및 미국화장품협회(PCPC) 기준을 응용한 자체 기준에 의거 육안 평가.
6) 피부 자극 지수 평가 방법 : 연구 대상자들의 피부 반응 점수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자극 지수를 계산함.
[수학식 3]
평균 자극 지수를 산출한 후 Draiz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 및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을 응용한 다음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성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임상시험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은 패치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일차 피부자극 유무를 피부과 전문의가 판정한 결과 피부자극 지수 0점을 얻어 항염 복합 조성물을 무자극 시료로 판단하였다.
시험예 5 : 여드름 피부 사용 적합성 평가 임상시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을 공인 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조성물을 대상으로 여드름 피부 사용 적합성 평가 시험을 실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실시예 13)이 여드름성 피부에 사용하기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시험의 실시 목적은 예컨대, 화장품 성분들에 의해서 화장품 제형의 반복 사용이 정상 피부에서 비염증성 여드름 병변인 면포(comedone)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동물 및 인체 시험을 통해 입증된 바 있으며, 시료의 면포 형성력(comedogenicity) 평가를 통해 시험 시료가 나타내는 인체 피부에 대한 면포 형성력을 평가하여 해당 시료의 여드름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세부적인 임상시험 방법은 임상시험 기관인 “대한피부과학 연구소“의 자체 프로토콜(하기 참조)을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평가는 전문가의 육안평가로 진행되었다:
1) 연구 대상자 선정 :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연구 대상자 24명 선정.
2) 시험 부위 : 척추를 중심으로 등 상부의 4 cm x 4 cm 영역 세 부위.
3) 적용 방법 : 시험 부위부위에 0.3 mL의 시료를 4주간(12회) 반복적으로 폐쇄첩포.
4) 평가
a. 면포 채취(Follicular)에 의한 면포 및 모낭 개수 사진 판독
b.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피부 이상반응 평가.
5) 결과 분석
- 면포 유발 물질 도포 부위(양성 대조 부위)의 mean ratio는 감소하여야 한다.
- 시험 시료 도포 부위와 무도포 부위의 mean ratio의 경향이 같고 유효 값이 p>0.05일 경우 비유발원(Non-comedogenic)이라 판단한다.
- 유효 값이 p<0.05일 때, 시험 시료 도포 부위의 mean ration가 감소할 경우 유발원(comedogenic)이라 판단하고, mean ratio가 증가할 경우 비유발원이라 판단한다.
임상시험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 시료를 대상으로 4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24명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시료의 반복 첩포를 통한 면포 유발 평가 결과, 본 발명의 항염 복합 조성물을 반복 첩포한 시험 부위는 면포 당 모낭 비의 변화 양상이 첩포 전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증가하였고 유발원 대조 부위 양성 대조 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감소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시험 시료가 비유발원(noncomedogenic) 시료로 확인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이 여드름 피부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6 : 누적첩포 시험을 통한 피부 감작성 평가 임상시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에 대하여 임상시험을 확인하기 위해 공인 인증기관에 의뢰하여 조성물을 대상으로 누적첩포 시험을 통한 피부 감작성 평가을 실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실시예 13)이 자극/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을 유발하지 않는 시료인지 여부를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도 6a 및 6b에 나타내었다.
본 시험의 실시 목적은 예컨대, 어떤 화장품 원료가 인체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 수준(No-Oberved-Effect-Level, NOEL)과 인체에 감작되지 않는 수준(No Expected Sensitization Induction level, NESIL)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검사법이며, 유도기(Induction phase)에서 반복첩포를 통한 피부 자극성뿐 아니라 야기기(Challenge phase)에 있어서의 피부 감작성을 평가할 수 있기에 화장품의 안전성 검사를 위한 인체사용 시험으로 중요하며, 해당 시료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가장 직관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에 대한 판단을 위해 진행되었다.
세부적인 임상시험 방법은 임상시험 기관인 “대한피부과학 연구소“의 자체 프로토콜(하기 참조)을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평가는 전문가의 육안평가로 진행되었다:
1) 연구 대상자 선정 :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연구 대상자 52명 선정.
2) 시험 부위 : 착색이나 피부 손상이 없는 상완부.
3) 첩포 방법
a. 유도기(induction phase) : 일측 상완부 총 9회 격일 24시간 첩포.
b. 야기기(Challenge phase) : 양측 상완부 1회 24시간 첩포.
4) 관찰
a. 유도기(Induction phase) : 첩포 제거 30분 후에 관찰.
b. 야기기(Challenge phase) :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72시간 후에 관찰.
5) 평가
a. 유도기 (Induction phase) : PCPC 판정기준에 의거 평가.
b. 야기기 (Challenge phase) : 국제접촉피부염학회(ICDRG) 기준에 의거 평가.
6) 판단 기준(하기 표 3)
기호 판단 기준
- Negative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 Erythema + Induration
++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표 3의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 ICDRG 판정기준에서 (++) grade 이상의 반응이 양측시험부위 모두에서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피부 감작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임상 시험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복합 조성물(실시예 13) 시료는 4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24명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알러지 유발 측면에서 무감작 시료로 판단된다.
적용예 :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이 함유된 크림 타입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된 피부 항염 복합 조성물이 함유된 크림 타입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크림 타입 조성물로서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10 중량부로 포함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제형을 구성하였다.
1) [수상B] 제조
물을 가온하여 60 내지 70℃로 교반하면서 분말상 원료를 순차적으로 서서히 투입하여 점증이 될 때까지 디스퍼 믹서로 교반하여 고르게 풀어준 후 식혀주며, 공정 용이성을 위해 사전에 준비해둔다.
2) [수상A] 제조
분말상 원료를 글리세린에 충분히 함침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50 내지 60℃로 가온하여 디스퍼 믹서로 골고루 녹여준다.
3) [수상A] + [수상B] 혼합 교반 제조
미리 준비해 둔 수상B를 수상A에 첨가하여 고르게 섞어주면서 가온한다. 65 내지 75℃가 유지될 수 있도록 준비해둔다.
4) [유상] 혼합 교반 제조
각 원료를 개별 비이커에 평량하여 가온 교반하여 녹여준다(80℃ 이상). 녹여진 상은 75℃ 이상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준비해둔다.
5) 전체 크림 제조
준비된 수상 혼합물에 유상을 서서히 투입 첨가하여 약 10분간 강하게 교반(6,000 rpm)하여 유화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온도는 65 내지 75℃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화 공정 완료 후, 첨가제 A를 준비하여 pH 조정 및 중화 공정을 진행한다. 이 때, 내용물의 점도가 상승하므로, 강하게(6,000rpm) 골고루 5분 이상 교반해준다. 50℃ 이하로 내용물이 식으면 첨가제 B를 넣고 서서히 2분 정도 섞어주며(3,000 내지 4,000 rpm), 40℃ 이하가 되면 첨가제 C와 첨가제 D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2분 정도 천천히 교반(3,000 내지 4,000rpm) 후, 탈기/여과 공정을 거쳐 내용물을 수거한다. 탈기/여과 공정 완료 후, pH 조정 및 중화 공정을 진행한다. 이 때, 내용물의 점도가 상승하므로, 강하게(6,000 rpm) 골고루 5분 이상 교반해준다. 50℃ 이하로 내용물이 식으면 보존제를 넣고 서서히 2분 정도 섞어주며(3,000~4,000rpm), 40℃ 이하가 되면 항염 복합 조성물과 향료(첨가제 D)를 첨가하여 2분 정도 천천히(3,000~4,000rpm) 교반 후, 탈기/여과 공정을 거쳐 내용물을 수거한다.
구분 원료명 / 성분명 성분명 (Ingredients) / INCI 명칭 중량부
수상A DI WATER Water 38.14
GLYCERIN Glycerin 10.00
Keltrol F Xanthan Gum 0.10
Adenosine Adenosine 0.04
수상B DI Water Water 30.00
beta-glucan beta-glucan 0.20
Carbopol 940 Carbomer 0.02
유상 Kalcol 6870 Cetearyl Alcohol 2.50
GMS-105 Glyceryl Stearate 1.50
Arlacel 165V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1.20
Tween 80 Polysorbate 80 1.00
Arlacel 83 Sorbitan Sesquioleate 0.70
Phytosqualane Squalane 5.00
DUB MCT Caprylic/Capric Triglyceride 3.00
첨가제A DI Water Water 3.00
L-Arginine (pH 4.50 ~ 5.50) Arginine 0.50
첨가제B 1,2-Hexanediol 1,2-Hexanediol 2.00
첨가제C Lutein Solution Lutein 1.00
첨가제D(향료) Perfume Fragrance 0.10
항염 복합 조성물 Anti-inflammation complex Tetrapeptide-44, Carnosine, Glutathione, Bifida ferment lysate, Bacillus/Artemisia Vulgaris Extract Ferment Filtrate, Bacillus/Houttuynia Cordata Leaf Extract/Volcanic Ash Ferment Filtrate, Bacillus/Spirodela Polyrhiza Extract/Volcanic Ash Extract Ferment Filtrate, Phellodendron Amurense Bark Extract, Paeonia Suffruticosa Root Extract 10.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쑥 발효 정제물, 비피다 발효 용해물,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 청국장 추출물에서 유래한 알라닌(Alanine, Ala)-페닐알라닌(Phenylalanine, Phe)-프롤린(Proline, Pro)-글리신(Glycine, Gly) 서열의 테트라 펩타이드-44,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 카르노신 및 글루타치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로서,
    전체 조성물 대비 상기 쑥 발효 정제물은 0.1 내지 3 %(w/v), 상기 비피다 발효 용해물은 0.1 내지 3 %(w/v),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0.1 내지 3 %(w/v), 상기 테트라 펩타이드-44는 0.01 내지 0.3 %(w/v), 상기 황백 또는 목단피 추출물은 0.1 내지 3 %(w/v), 상기 카르노신은 0.01 내지 0.3 %(w/v), 상기 글루타치온은 0.01 내지 0.3 %(w/v) 함량으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쑥 발효 정제물 및 상기 어성초 또는 부평초의 화산송이 발효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로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DPPH 및 ABTS 산화물질 제거를 통한 항산화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세포에서 NO의 생성 저해를 통한 항염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증은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0220165237A 2022-11-30 2022-11-30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56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237A KR102563718B1 (ko) 2022-11-30 2022-11-30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237A KR102563718B1 (ko) 2022-11-30 2022-11-30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718B1 true KR102563718B1 (ko) 2023-08-08

Family

ID=8756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237A KR102563718B1 (ko) 2022-11-30 2022-11-30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7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002A (ja) * 2007-03-19 2008-10-02 Ina Food Ind Co Ltd 抗酸化剤及びラジカル消去活性化剤、並びにそれらいずれかが含まれた食品
KR20170095433A (ko) * 2016-02-12 2017-08-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8524400A (ja) * 2015-06-19 2018-08-30 グローバル ヘル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活性成分のためのペトロラタムベースの送達システム
KR20200036304A (ko) * 2018-09-28 2020-04-07 에이앤펩주식회사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002A (ja) * 2007-03-19 2008-10-02 Ina Food Ind Co Ltd 抗酸化剤及びラジカル消去活性化剤、並びにそれらいずれかが含まれた食品
JP2018524400A (ja) * 2015-06-19 2018-08-30 グローバル ヘルス ソリューション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活性成分のためのペトロラタムベースの送達システム
KR20170095433A (ko) * 2016-02-12 2017-08-2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6304A (ko) * 2018-09-28 2020-04-07 에이앤펩주식회사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102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286513B2 (ja) 抗老化用組成物
CN108057117B (zh) 包含胶原蛋白水解物的组合物的用途
KR20160111888A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5225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65127B1 (ko) 뱀독에서 분리한 신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563718B1 (ko) 펩타이드 및 천연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406594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amp 510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21137B1 (ko)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2666051B1 (ko) 오르쏘시폰 아리스타투스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2192A (ko) 오르쏘시폰 아리스타투스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525129B1 (ko) 미숙 자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8533B1 (ko) 검은콩 발효 여과물 유래 고 기능성 항염 성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US2022019316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polygama extract for alleviating skin damage or moisturizing skin
CN110740722B (zh) 包含后发酵茶来源的山柰酚类化合物的美白组合物
KR20240066483A (ko) 락토바실러스 쿤케이 nchbl-003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14740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053052A (ko) 장마 추출물 또는 페난트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