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888A -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888A
KR20160111888A KR1020160117866A KR20160117866A KR20160111888A KR 20160111888 A KR20160111888 A KR 20160111888A KR 1020160117866 A KR1020160117866 A KR 1020160117866A KR 20160117866 A KR20160117866 A KR 20160117866A KR 20160111888 A KR20160111888 A KR 2016011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heat
acid
sic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161B1 (ko
Inventor
이정민
박재원
이경은
이윤정
송지영
하종렬
이학성
김효준
김세나
김강민
김윤식
Original Assignee
신일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일제약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1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 추출물, 상기 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밀 추출물을 함유한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밀속(Triticum sp .) 식물 원료를 산성 수용액에 첨가하고 80 1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에 염기성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3.5 7.0으로 조정하고 침전물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제조된 밀 추출물은 지표물질로서 페룰산(Ferulic acid)을 선정하여 유효성분의 정량성을 확보하고, 또한 상기 밀 추출물에 대한 엘라스타제 억제 효능과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을 확인하여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의 활성성분으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Wheat seed extract showing potent inhibiting effect on skin aging,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compos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문헌 2] Aroca, P., et al.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문헌 3] Oikarinen A, Karvonen J, Uitto J, Hannuksela M.,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 . 2(1), pp.15-26, Review, 1985.
[문헌 4] Hirobe T., Role of keratinocyte-derived factors involved in regulating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mmalian epidermal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8(1), pp.2-12. Review, 2005;
[문헌 5] McKay IA, Leigh IM., Epidermal cytokines and their roles in cutaneous wound healing. Br J Dermatol. 124(6), pp.513-8, Review, 1991.
[문헌 6]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3, No. 4, 2010
[문헌 7] I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15 edition, 2014
[문헌 8]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77075호
[문헌 9]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14165호
[문헌 10]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22850호
[문헌 1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63029호
현대인들은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각종 피부 트러블 유발로 기미, 주근깨, 피부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촉진한다(1.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피부의 색소 침착은 멜라닌 색소가 생합성에서 tyrosinase 효소를 비롯하여 DHICA oxidase(TRP-1)등의 L-tyrosine을 DOPA(3,4-dihydroxyphenyla-lanine)으로 DOPA에서 DOPA quinone으로 초기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2.Aroca, P., et al.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환경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 증가 및 각종 산화성 물질의 증가는 피부 손상과 단백질의 합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세포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는 피부 탄력의 감소, 피부 주름살의 증가, 기미와 주근깨 생성 등 피부 미용에 치명적인 현상들을 유발한다. 피부 탄력성은 진피조직의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에 의해 유지되며, 콜라겐(collagen)을 합성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Oikarinen A, Karvonen J, Uitto J, Hannuksela M.,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 2(1), pp.15-26, Review, 1985. ). 섬유아세포 기능은 각종 성장인자(growth factor) 뿐만 아니라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와 같은 피부 세포들에서 분비되는 싸이토카인(cytokine)에 의해서도 조절된다(Hirobe T., Role of keratinocyte-derived factors involved in regulating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mmalian epidermal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8(1), pp.2-12. Review, 2005;McKay IA, Leigh IM., Epidermal cytokines and their roles in cutaneous wound healing. Br J Dermatol . 124(6), pp.513-8, Review, 1991.). 또한, UV에 의해 직접적으로 섬유아세포 (fibroblast)가 상해를 받는 경우에도 콜라겐 관련 유전자는 억제되고 분해에 관련되는 MMPs류 발현은 촉진되어 주름살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진피 섬유아세포 (dermal fibroblast)의 증식과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거나, MMPs을 억제하는 것은 주름살을 생성을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주름개선 화장품의 원료개발에 있어 한방에 대한 연구는 우리 전통의학에 기반을 둔 원료개발이라는 점과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화장품 선호도와 맞물려 국내 화장품 개발의 주력분야가 되고 있으며, 우리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기능성 화장품은 고기능성에 다기능성이 추가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소재와 관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됨. 피부재생 및 보호 효과가 우수한 한방재료를 이용한 제품화로 미용성형 및 필링 후 민감한 피부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뿐만 아니라, 탁월한 피부재생 효과로 인한 기능성 화장품 또는 의약외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님으로서 상품화의 가치가 크고 피부 신약 개발은 임상 초기에 개발의 성공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서 임상 후기 단계의 신약 실패에 따른 위험이 감소한다. 또한 피부질환은 신약개발에 대한 소요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개발 성과의 조기 가시화 및 빠른 투자 회수가 가능하므로 신약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능성 화장품은 주로 주름 개선, 미백 개선, 그리고 자외선차단 효과 등 총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수요가 높았던 기능성 화장품은 국내에서도 몇 년 사이에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6년 4,700억 시장에서 2001년 9,000억으로 2배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2013년 이 후 1조원의 시장성을 갖는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최근 기능성 화장품은 특정 부위별 전문화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보다 기능적이면서 자연주의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흥하여 전문적이고,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첨단 산업으로 점차 자리 매김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층도 세분화되면서 점차 새로운 기능성 원료 개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 주름은 피부 노화의 대표적 증상으로 자외선, 공해, 음주, 스트레스 및 영양부족 등의 외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름 개선과 관련된 피부 보호에는 자외선 방어에 관련된 유해 산소 같은 프리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연구와 피부 면역 기능을 높여주고자 하는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 천연물이나 생명 공학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혈액의 흐름을 촉진시키고 피부 신진대사를 증진시키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77075호는 밀겨 추출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유효물질을 이용한 알러지성 질환의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정 추출 용매를 여러 단계로 사용하여 수득한 분획물이 알러지성 질환에 대해 효능이 있다고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14165호는 밀겨로부터 항균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밀겨의 특정 분획물의 항균 효과를 공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22850호는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63029호는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중, 레티놀은 빛에 불안정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 현재 주름 개선 기능성 고시 원료로 알려져 있는 레티놀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메디민 등과 독자적으로 주름 개선 기능성 신소재가 다양하게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 동향, KIC News, Volume 13, No. 4, 2010)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밀속(Triticum sp .) 식물은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과 트리티쿰 불가리(Triticum Vulga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I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15 edition, 2014).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밀의 단일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자는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밀을 특정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수득한 밀 추출물이 MTT 어세이법에 의한 높은 세포 생존률;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 콜라겐 합성효과실험 등을 통한 주름개선효과 등을 확인하여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표물질로서 페룰산을 선정함으로써 밀 추출물 내의 활성성분의 함량에 대한 정량성을 확보함으로써, 주름 개선 등의 탁월한 피부노화 억제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밀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밀속(Triticum sp.)에 속하는 그 어느 밀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및 트리티쿰 불가리(Triticum Vulgar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밀속(Triticum sp .) 식물의 통밀(grain), 또는 통밀 가루 형태의 밀 종자, 밀 잎, 밀 발아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밀 발아물은 밀싹 발아후 1 내지 8주간, 바람직하게는, 2주 내지 4주간 배양한, 0.5cm 내지 10cm, 바람직하게는, 1cm 내지 5cm 높이 발아물을 포함한다.
상기 밀 종자는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고, 밀 잎에는 생리활성물질과 폴리페놀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물 원료로서 밀 잎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부노화"는 주름살, 기미, 주근깨,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피부암, 바람직하게는, 주름살 또는 기미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하기 방법으로 제조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건조된 밀 종자, 밀 잎, 또는 밀 발아물을 분쇄기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물의 약 1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배 내지 15배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1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에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추출법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물을 얻는 제 2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밀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밀속(Triticum) 식물 원료를 산성 수용액에 첨가하고 60 120℃, 바람직하게는 80 100℃의 온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제 1단계; (b) 상기 1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에 염기성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pH 3.5 내지 6.5로 조정하고 침전물 형성을 유도하는 제 2단계; 및 (c) 상기 2 단계에서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여액을 수득하는 3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주름 개선용 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1단계에서, 상기 산성 수용액은 대표적으로 염산 또는 황산의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순도가 1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인 염산액 및 순도가 6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인 황산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산을 1 30%(v/v), 보다 바람직하게는 5 20%(v/v), 농도로 물로 희석한 용액으로 최종 pH 0.5 내지 2.5 범위, 바람직하게는, pH 1.0 내지 2.5 범위의 pH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2단계에서, 상기 염기성 수용액은 염산 또는 황산 등의 강산성 수용액으로 밀을 산처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기성 수용액은 밀 추출물의 pH를 원활하게 적정하고 적정으로 인하여 밀 추출물이 과도하게 희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수산화칼륨(KOH)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의 수용액을 사용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을 사용하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노르말 농도를 기준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산성 수용액의 농도 비율을 1:1 내지 2:1가 되도록 하여 pH를 3.0 내지 7.0 범위,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범위의 pH로 적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사용량을 되도록 줄여서 밀 추출물이 희석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하기 위해 동일 농도 내지는 2배 이내의 농도에서 적정을 하는 것이 주름 개선 효과적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산성 수용액 대비 염기성 수용액의 농도를 국한하지는 않는다.
[제 1 단계] 산 처리에 의한 추출 단계
밀속(Triticum sp.) 식물 원료를 산성 수용액에 첨가하고 80 10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용매로서 산성 수용액을 사용함에 특징이 있으며, 이로써 밀속 식물 원료를 가열 추출 시 지표물질을 포함하여 유효성분을 적합하게 추출하면서 추출된 고분자의 당류는 분해시켜서 밀 추출물의 점성 등의 물성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한다.
이때, 산성 수용액은 염산(HCl) 및 황산(H2SO4)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산(酸)이 1 10%(v/v)로 함유된 산성 수용액을 사용한다. 염산과 황산은 강산성 물질이므로 적은 양으로도 산처리가 가능하다.
즉, 약산성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과량의 산 용액을 처리함으로써 유효성분을 희석시킬 수 있는데, 강산성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강산성 수용액의 농도가 1% 미만의 수용액인 경우에는 충분하게 밀의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없고, 농도가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후 pH 적정 시 많은 양의 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게 되어 밀 추출물의 희석으로 효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강산성 용액은 식물 원료 100 g을 기준으로 100 500 mL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200 300 mL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 면에서 좋다. 따라서 산성 수용액의 농도를 상술한 사용 범위 내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열 추출은 상술한 산성 수용액 및 온도 조건 하에서 1 5시간 수행하고,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수행한다.
추출시간이 1 시간 미만이면 충분한 유효 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5시간을 초과하여 가열 추출하는 경우에는 산성에 의하여 유효성분이 분해되거나 침전되어 오히려 효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계] pH 적정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추출을 통해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에 염기성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3.5 7.0으로 조정하고 침전물 형성을 유도한다.
본 pH 적정 단계에서는 산처리하여 추출한 밀 추출물을 추출 잔여물과 분리하여 수득하고, 이를 피부에 사용할 수 있도록 pH를 조정하고, 산-염기 반응을 통하여 일부 추출 성분의 침전을 유도함으로써 밀 추출물의 장기 보관 시 발생할 수 있는 침전물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공정이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산성 수용액을 중화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강염기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밀 추출물의 pH를 3.5 7.0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단계] 밀 추출물 수득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pH 적정을 통해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한 후 여액을 수득한다.
이때, 수득된 여액(밀 추출물)은 주름 개선의 유효성과 정량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지표물질인 페룰산(Ferulic acid)이 밀 추출물 1L 기준에서 0.3 내지 30.5 mg,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0.5 mg이 되도록 한다. 지표물질로서 함유된 페룰산의 함량이 0.7 mg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아 효능이 저하될 수 있고, 페룰산의 함량이 20.5 m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 효능 대비 추출과 농축 시간 및 산성과 염기성 수용액 사용량 등의 증가에 따른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밀 추출물의 규격은 상술한 지표물질의 함량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단계] 포장 및 보관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수득한 여액인 밀 추출물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개구된 밀폐 용기에 담고 입구를 밀봉하고, 화장품 제조 전까지 서늘한 곳에 보관하거나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용기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PE), 고밀로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밀 추출물 부피 대비 지표물질로서 페룰산(Ferulic acid)이 0.3 내지 30.5 mg/㎖,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0.5 mg/㎖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밀 추출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밀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밀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한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의 주름 개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특정 추출법을 개발하여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는 밀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기존에는 할 수 없었던 밀 추출물에서 안정적인 지표물질을 개발함으로써, 정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하여 MTT 어세이법에 의한 높은 세포 생존률;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 콜라겐 합성효과실험 등을 통한 주름개선효과 등을 확인하여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은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식품으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밀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로서 모든 기초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화장수(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젤 등의 다양한 공지의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밀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량이 부족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자극을 초래하거나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술한 사용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 추출물에 대하여 MTT 어세이법에 의한 높은 세포 생존률;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등의 항산화효과; 엘라스타제 (Elastase) 저해활성, 콜라겐 합성효과실험 등을 통한 주름개선효과 등을 확인하여 피부노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지표물질로서 페룰산을 선정함으로써 밀 추출물 내의 활성성분의 함량에 대한 정량성을 확보함으로써,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한 각 밀 추출물의 세포독성시험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한 각 밀 추출물의 세포독성시험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한 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일반 추출법에 따라 수득한 밀 추출물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한 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일반 추출법에 따라 수득한 밀 추출물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한 각 밀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한 각 밀 추출물의 세포 내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SIC 25-6)의 밀 추출물의 간략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밀 추출물 제조( (SIC-1 내지 SIC-24, 및 26)
1-1. 식물원료 준비
1-1-1. 밀잎 준비(SIC-1 내지 SIC-3)
건조된 밀 잎(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분당 밀싹농장, 2014년 2월 4째주 구매, 2014년 2월 3째주 밀 잎 발생)을 구입하여 하기 실험에 재료로 사용하였다. SIC-1은 밀잎 100g에 물 1L를 첨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2는 밀잎 100g에 100% 에탄올 1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3은 밀잎 100g에 70% 에탄올 1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1-1-2. 밀종자 추출 상층액 및 슬러지 준비(SIC-4 내지 SIC-5)
건조된 밀 종자(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농협, 2014년 2월 4째주 구매, 2013년 6월~7월 수확) 500 g을 구입하여 물 또는 다양한 비율의 에탄올 혼합용매 10 L를 가해 100 ℃에서 3 시간 열탕 추출하였다. 상층액을 취하여 모아 건조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밀종자 추출 상층액을 얻어 하기 실험에 재료로 사용하고 (SIC-4), 상층액을 제거하고 남은 슬러지를 실험에 재료로 사용하였다 (SIC-5).
1-1-3. 밀 발아물의 준비(SIC-10 내지 SIC-23)
건조된 밀 발아물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분당 밀싹농장, 2014년 2월 4째주 구매, 2014년 2월 3째주 밀 발아시킴, 3cm등은 발아물의 높이)을 구입하여 하기 실험에 재료로 사용하였다. SIC-10, SIC-18은 밀발아(3cm) 200g에 100% 에탄올 1.5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11은 밀발아(1cm) 200g에 100% 에탄올 1.5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12, SIC-19은 밀발아(3cm) 200g에 물 1.5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13은 밀발아(1cm) 200g에 물 1.5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SIC-14는 건조된 밀발아(3cm) 100g에 100% 에탄올 1.5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15는 건조된 밀발아(3cm) 100g에 물 1 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16은 건조된 밀발아(3cm) 100g에 100% 에탄올 1 L를 첨가하여 25℃에서 3일 동안 실온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17은 건조된 밀발아(1cm) 100g에 100% 에탄올 1 L를 첨가하여 25℃에서 3일 동안 실온추출하여 제조하였다. SIC-20은 밀발아(3cm) 200g에 100% 에탄올 1.5 L를 첨가하여 25℃에서 3일 동안 실온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21은 건조된 밀발아(1cm) 100g에 100% 에탄올 1 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22은 건조된 밀발아(1cm) 100g에 물 1 L를 첨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고, SIC-23은 밀발아(5cm) 0.6g에 100% 에탄올 0.1 L를 첨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하였다.
1-2. 밀추출물 (SIC-1 내지 SIC-24)의 제조
건조된 밀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농협, 2014년 2월 째주 구매, 2013년 6~7월 수확)의 표 1의 다양한 식물원료, 즉, 밀잎(SIC-1 내지 SIC-3), 밀종자 추출 상층액(SIC-4), 밀종자 추출 슬러지(SIC-5), 밀종자 (SIC-8, 9, 24, 25, 26), 및 밀발아물 (SIC-10 내지 SIC-23) 500 g에 표 1에 기재된 다양한 추출용매,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 등의 추출조건으로 추출한 후 여액을 모두 합하여 45 ℃로 생약 추출물이 건조될 때까지 감압농축기(BuR-205)로 감압 농축하였다. 최종적으로 약 2 L의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밀 추출물( SIC-1 내지 SIC- 24 )을 얻었으며, 식물 원료로서 SIC-4는 추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취하였고, SIC-7, SIC-8, SIC-16, 및 SIC-20은 3 6일 동안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표 1참조)
Figure pat00001
실시예 2: 밀 추출물 (SIC-25)의 제조)
SIC-25는 건조된 밀 종자 또는 밀 종자를 분쇄한 밀 종자 파우더 (트리티쿰 애스티붐(Triticum aestivum, 농협, 2014년 2월 4째주 구매, 2013년 6~7월 수확)에 하기 표 2의 다양한 산을 포함한 추출용매로 산처리(pH 1.0~1.5)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다양한 용량의 NaOH를 pH가 3.9가 될 때까지 천천히 첨가한 다음에, 여과하여 다양한 밀 추출물(SIC-25-1은 400ml, SIC-25-2는 350ml, SIC-25-3은 200ml, SIC-25-4는 180ml, SIC-25-5는 210ml, SIC-25-6은 120ml)을 수득하고 이때, 수득한 각 밀 추출물에 대해서는 지표물질인 페룰산의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참고로,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SIC 25-6)의 밀 추출물의 간략한 제조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를 첨부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1-1. 총 폴리페놀의 함량 산출
밀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지표물질의 함량과 효능을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밀 추출물에 함유하는 총폴리페놀의 함량은 폴린-데니스 방법(Folin-Denis Method)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Swain, T., W. E. Hillis, and M. Oritega.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먼저, 밀 추출물에 폴린-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F9252, 시그마-알드리치) 1 ㎖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혼합한 후, 포화된 탄산나트륨(Na2CO3) 1 ㎖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료를 흡수분광광도계(UV-1700, Shimadzu)를 이용하여 76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준물질 갈산(gallic acid)을 사용하여 농도 10 100 ug/㎖에서 검량선을 얻고, 이를 통하여 갈산에 준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1-2. 지표물질인 페룰산의 함량 산출
지표물질인 페룰산의 함량은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HPLC 분석하여 산출하였다. 이때, 밀 추출물을 0.45 um 필터로 여과하여 2 ㎖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페룰산 10 mg에 메탄올을 넣고 용해시켜 최종 부피를 100 ㎖로 맞춘 용액을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사용하였다.(표 3)
① 분석 조건
1) 이동상(gradient): A: 0.5% 초산 완충액 B: 아세토니트릴(ACN)
시간(분) A(%) B(%)
0 10 0
30 85 0
50 70 0
55 10 90
60 100 0
65 100 0
2) 컬럼 : 옥타데실실란화 실리카겔 칼럼(4.6 X 250mm, 5um)
3) 유속 : 1.0 ㎖/분
4) 컬럼 온도 : 35 ℃
5) 검출기 : UV 320 nm
6) 주입량 : 20 uL
③ 계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페룰산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수학시 1]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서, AT는 검액의 페룰산 피크면적이고, AS는 표준액의 페룰산 피크 면적이다)
1-3. 실험 결과
1-3-1. 총 폴리페놀 함량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IC-25이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총 폴리페놀 함량 (ug/mL) 구분 총 폴리페놀 함량 (ug/mL)
SIC-1 49.21 SIC-14 49.75
SIC-2 32.30 SIC-15 51.17
SIC-3 48.02 SIC-16 48.98
SIC-4 22.10 SIC-17 52.50
SIC-5 25.30 SIC-18 50.28
SIC-6 29.35 SIC-19 48.24
SIC-7 28.20 SIC-20 51.79
SIC-8 29.05 SIC-21 38.59
SIC-9 38.55 SIC-22 36.47
SIC-10 52.15 SIC-23 50.57
SIC-11 46.36 SIC-24 43.61
1-3-2. 페룰산 함량
또한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IC-25-6의 지표성분인 페룰산의 함량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페룰산 함량 (ug/mL) 구분 페룰산 함량 (ug/mL)
SIC-25-1 7.09 SIC-14 1.2
SIC-25-2 1.21 SIC-15 5.5
SIC-25-3 3.22 SIC-16 4.8
SIC-25-4 16.61 SIC-17 1.5
SIC-25-5 1.5 SIC-18 8.0
SIC-25-6 20.11 SIC-19 1.8
실험예 2: 세포 독성 평가
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Mosmann T. J Immunol Methods. 1983; 65(1-2): 55-63.).
사람 섬유아세포(CCD-986sk, CRL-1947,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를 배양 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100 ug/mL), 10% FBS(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11995-065, Gibco)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웰당 1X104 개로 분주한 후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PBS로 세척한 다음 10% FBS를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고, 일정 농도의 시험 물질(밀 추출물 12.5, 25, 50, 100 ug/ml)을 처리하여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였다. 0.5% MTT[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5655, Sigma] 용액을 각 웰에 100 uL씩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 100 uL 씩을 넣고 10분간 쉐이커(shaker)를 이용하여 흔들어 준 다음,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험 물질의 독성을 보이는 농도를 설정하였다.
그런 다음, 밀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밀잎 SIC-1, SIC-7은 25ug/ml, 밀 발아 SIC-10, SIC-12, SIC-20, SIC-21은 25ug/ml, SIC-11, SIC-18, SIC-19는 12.5ug/ml, SIC-25은 5%)에서 하기 항산화 효과,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 및 콜라겐 합성 효과 실험에 적용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하기 표 6 및 도 1 내지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재된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특히 밀 잎 (SIC-1, 3, 7)과 밀 발아 1 cm, 3 cm (SIC-10, 11, 12, 17, 18, 19, 20, 21) 추출물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부터 세포독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밀 종자 추출물의 경우에는 에탄올로 추출한 연조엑스 (SIC-8, 9) 시료일 경우 세포독성이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4
실험예 3: 항산화 효과(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타가시라(Tagashira) 및 오타케(Ohtake)의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에 사용하였다. (Tagashira M, Ohtake Y. Planta Med 1998; 64: 555.)
구체적으로 96 웰 플레이트에 농도별로 샘플(밀 추출물 12.5, 25, 50, 100 ug/ml)을 희석하여 100 uL씩 넣었다.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D9132, Sigma Aldrich) 용액과 메탄올을 각각 100 uL씩 넣은 반응액을 3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520 nm에서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5 내지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IC-25이 총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적으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밀 추출 시 산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 주름 개선에 유효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7 및 표 8 참조)
또한, 도5 내지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비타민 C와 비교하여도 유사 내지는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 종자 산성용액추출물인 SIC-25 (75.5% inhibition)의 경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 (75.4% inhibition)와 비슷한 억제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5 내지 도 8 참조)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실험예 4: 엘라스타제 억제효과 ((Elastase inhibition effect)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주름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실험 방법(Elastase inhibition effect)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에 사용하였다.(Bieth J et al. Biochem Med. 1974 Dec; 11(4): 350-7)
사람 섬유아세포(CCD-25sk, CRL-1474,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를 배양 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50 IU/mL), 스트렙토마이신(50 ug/mL),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11995-065, Gibco)를 넣고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MCO175, SANYO)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phosphate-bufferd saline)로 세척한 후, 0.1% 크리톤 X-100(X-100, sigma) [0.2M 트리스 완충액(pH 8.0, 염산)에 크리톤 X-100을 넣어 녹여 0.1% 농도로 맞춘 용액]을 넣어 녹였다. 이 용액을 초음파 기기(새한 Cleaner, 새한초음파산업)로 초음파 분쇄를 통하여 세포를 균질화(homogenization) 하고, 4℃에서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기(VS-5000N, 비전과학)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를 포함하는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엘라스타제 용액을 브래드퍼드(Bradford) 방법에 따라 정량하여 각 웰 당 100 ug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양을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0.2 M Tris-HCl 완충액(pH 8.0)을 넣어 88 uL가 되도록 한 후, 검액 10 uL씩을 각 웰에 넣었다.
엘라스타제의 기질인 STANA(N-succinyl-trialanyl-p-nitroanilide, 50 mM, S4760, Sigma)액을 2 uL씩 각 웰에 넣고 37℃에서 배양하였다. 90분 후 405 nm에서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로 측정하였다.
표 9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는 포스포라미돈(phosphoramidom)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7
실험예 5: 콜라겐 합성 효과(Collagen systhesis effect)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주름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콜라겐 합성 효과(Collagen systhesis effect)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에 사용하였다. (Fujii T et al. J Ethnopharmacol. 2008; 119(1): 53-7)
사람 섬유아세포(CCD-986sk, CRL-1947,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를 48 웰 플레이트에 웰 당 5X104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10%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검액 및 새로운 배지를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취하여 콜라겐 생성량을 ELISA 분석(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TAKARA)을 통해 확인하였다.
ELISA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uL를 웰에 넣은 다음 1/5로 희석한 배양액 및 표준액 10 uL를 넣고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웰에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인산염완충액(PBS) 400 uL로 4회 세척. 발색시약 100 uL를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하고 1N 황산 100 uL를 넣은 다음 450 nm에서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7에 나타내었다. 이때, 표준액은 콜라겐 표준품에 물을 넣어 녹여 각각 0, 10, 20, 40, 80, 160, 320, 640 ng/mL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표 10 및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 추출물 중 SIC 25-2와 25-6의 콜라겐 합성 효과는 레티노산(Retinoic acid)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IC 25-4는 레티노산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추출하여 지표물질인 페놀산이 약 0.7 20.5 ㎍/㎖가 함유된 밀 추출물의 경우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9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0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1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12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13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4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5

Claims (3)

  1. (a) 한국산 밀 종자 원료를 1 내지 30%(v/v) 농도로 물로 희석한 염산 또는 황산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최종 pH 1.0 내지 2.5 범위의 pH범위로 조절하고 80 ~ 10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추출물을 얻은 제 1단계; (b) 상기 1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KOH)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3.5 내지 6.5범위의 pH로 적정하고 침전물 형성을 유도하는 제 2단계; 및 (c) 상기 2 단계에서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여액을 수득하는 3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제 1항의 밀 추출물 부피 대비 지표물질로서 페룰산(Ferulic acid)이 0.3 내지 30.5 mg/㎖(w/v)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 종자의 물 또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살 또는 기미의 치료 및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2. (a) 한국산 밀 종자 원료를 1 내지 30%(v/v) 농도로 물로 희석한 염산 또는 황산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최종 pH 1.0 내지 2.5 범위의 pH범위로 조절하고 80 ~ 10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추출물을 얻은 제 1단계; (b) 상기 1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또는 수산화칼륨(KOH)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3.5 내지 6.5범위의 pH로 적정하고 침전물 형성을 유도하는 제 2단계; 및 (c) 상기 2 단계에서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여액을 수득하는 3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제 1항의 밀 추출물 부피 대비 지표물질로서 페룰산(Ferulic acid)이 0.3 내지 30.5 mg/㎖(w/v)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밀 종자의 물 또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살 또는 기미의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또는 팩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7866A 2014-07-29 2016-09-13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800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21 2014-07-29
KR20140096521 2014-07-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82A Division KR20160014562A (ko) 2014-07-29 2015-07-29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88A true KR20160111888A (ko) 2016-09-27
KR101800161B1 KR101800161B1 (ko) 2017-11-22

Family

ID=553517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82A KR20160014562A (ko) 2014-07-29 2015-07-29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0160117866A KR101800161B1 (ko) 2014-07-29 2016-09-13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382A KR20160014562A (ko) 2014-07-29 2015-07-29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145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232A (ko) * 2017-06-08 2018-12-18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191756A1 (en) * 2022-03-29 2023-10-05 Akdeniz Universitesi Doner Sermaye Isletme Mudurlugu Production of skin friendly hand disinfectant with ferulic acid obtained from wheat bra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ethod using extracts from valuable plants such as syzygium aromaticum (clove), lavendula (lavender), thymus (thyme), citrus (orange, lem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575B1 (ko) 2017-01-13 2019-04-2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옥수수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1581B1 (ko) * 2017-12-29 2019-12-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프리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29826A (ko) * 2022-03-02 2023-09-11 디엠알뷰티 주식회사 수용화 커큐민과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148737A1 (ja) * 2006-06-22 2009-11-19 東洋紡績株式会社 植物抽出物の調製方法、並びに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232A (ko) * 2017-06-08 2018-12-18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191756A1 (en) * 2022-03-29 2023-10-05 Akdeniz Universitesi Doner Sermaye Isletme Mudurlugu Production of skin friendly hand disinfectant with ferulic acid obtained from wheat bra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ethod using extracts from valuable plants such as syzygium aromaticum (clove), lavendula (lavender), thymus (thyme), citrus (orange, lem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562A (ko) 2016-02-11
KR101800161B1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309680B1 (ko) 미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29553B1 (ko) 완두콩, 황금, 유근피 및 산자나무 열매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80004367A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1311A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6487A (ko) 감꼭지(枾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 주름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744579B1 (ko)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6240A (ko) 발효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20060650A (ko)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912097B1 (ko) 울금 및 애기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