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292B1 -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292B1
KR102563292B1 KR1020230055296A KR20230055296A KR102563292B1 KR 102563292 B1 KR102563292 B1 KR 102563292B1 KR 1020230055296 A KR1020230055296 A KR 1020230055296A KR 20230055296 A KR20230055296 A KR 20230055296A KR 102563292 B1 KR102563292 B1 KR 10256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officinalis
broom
speed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동
임현준
이혜지
서유림
한기연
김수아
송영근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몬밤(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speedwell, 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broom, 양골담초, Sarothamnus scoparius)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 효능을 갖는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과 고주파 추출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고주파 추출을 이용할 때 상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Melissa officinalis, Veronica officinalis and Sarothamnus scoparius}
본 발명은 레몬밤(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speedwell, 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broom, 양골담초, Sarothamnus scoparius)의 복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 효능을 갖는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 또는 고주파 추출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종래 레몬밤이나 스피드웰 등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6609호는 스피드웰에 프로판디올을 첨가하여 40℃에서 초음파 추출한 후 0.45 μm 막필터로 여과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4692호는 레몬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복합 추출물이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가지는 효과에 주목하였다. 이들 복합 추출물에 의할 경우 각각의 단일 성분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넘어서,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 효능을 한 번에 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효과는 열수 추출에서도 얻을 수 있으며, 고주파 추출에서는 그 효과가 더 강화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레몬밤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중앙아시아(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키스탄), 서남아시아(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키프로스, 터키), 캅카스(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동유럽(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동남유럽(그리스, 루마니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알바니아, 코소보, 크로아티아), 남유럽(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북아프리카(모로코, 튀니지), 마카로네시아(마데이라제도, 카나리아제도)가 원산지이다.
높이 60~150cm 정도 자라는 내한성의 다년초로 줄기는 네모지다. 잎의 길이는 약 8cm의 넓은 난형으로 마주난다, 엽병과 털이 있으며 레몬향이 강하다. 꽃은 늦여름에 흰색, 노란색, 연한 청색의 윤선화서로 붙는다.
예로부터 약이나 향료로 써온 허브로 레몬과 유사한 향이 있어 레몬밤이라 불리며, 스트레스 및 불안감 해소뿐 아니라, 혈압을 낮추고, 전갈이나 독거미에 물렸을 때 해독작용을 하며, 설사 완화, 항바이러스 효과가 탁월하다. 천연두 치료와 치통이 있을 때 입가심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위궤양, 생리통 등에도 사용해 왔다. 잎과 가지에서 추출한 기름은 탈모방지 및 목욕제 등으로 이용되었다.
다음으로, 스피드웰은 유럽 북반구와 남반구 각지에 널리 분포하는 질경이과 (Plantagin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숲의 긴 가장자리를 따라 고산지대 근접한 곳까지 자라며, 나무 아래와 목초지 근처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스피드웰은 부분적으로 유럽 전통의학에서 폐 질환, 류머티즘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 상태 치료를 위해 쓰여왔으며, 루마니아의 민간 의학에서는 신장병, 기침, 그리고 카타르라고 하는 기관지 염증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입과 목 점막의 상처 치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에서도 피부 질병 치유에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스피드웰에는 iridoid glucosides, flavonoids, organic acids, tannins, triterpenoids 등의 활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브룸은 서부 및 중부 유럽에 자생하는 낙엽성 콩과(Leguminosae)의 금작화속(Cytisus)에 속하며,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표준 이름은 브룸(Broom)이다.
브룸에는 스코파린과 스파르테인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 작용 촉진으로 수종의 치료와 카타르시스 및 심장 자극제로 사용되며, 통풍 치료에도 사용되었다.
현재 연구가 많이 되지 않은 꽃으로 조경으로 사용될 뿐 그 이용범위는 극히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주파 추출이란 고주파(700kHz~1.2MHz)의 입자가속도를 이용하여 공동현상(cavitation)을 유도하여 미세 다공성 입자 간 충돌과 교반의 원리로 원료를 자극하고 난류를 형성시키는 원리의 추출 방법이다.
고주파 추출은 열수 추출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높아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공법으로서 에너지 절약의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추출법이다. 고주파 추출 탱크는 패널로 구성되어 높은 주파수로 공동현상(cavitation)을 유도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용매 순환 시스템을 구현하고 고주파 공동현상과의 시너지를 발생시켜 추출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본 발명은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통해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수 추출 이외에 고주파 추출을 이용하여 상기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 효능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및 보습 효능의 4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의 혼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 또는 고주파 추출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의 혼합 추출물은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추출물을 3~5 : 2~4 : 2~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을 혼합하여 추출하여 제조함으로써 많게는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까지 4개 용도와 효능을 한 번에 거둘 수 있다.
또한 열수 추출 이외에 고주파 추출을 이용하여 상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을 각각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과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고주파 추출하였다.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을 각각 10%로 추출하여 4 : 3 : 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며, 정제수와 부틸렌글라이콜의 혼합 용매의 부틸렌글라이콜의 농도는 10~50% 농도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3종 컴플렉스추출물을 0.2 μm로 제균 여과하여 효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열수 추출은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을 각각 건조된 원재료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과 부틸렌글라이콜을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60℃에서 추출하였다.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을 각각 10%로 추출하여 4 : 3 : 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며, 정제수와 부틸렌글라이콜의 혼합 용매의 부틸렌글라이콜의 농도는 10~50% 농도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3종 컴플렉스추출물을 0.2 μm로 제균 여과하여 효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하기 실험에서 각 보습 실험(TEWL)은 추출물 농도 5% (v/v)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레몬밤 추출물-열수 추출>
실시예 1-1.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08%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하였다(표 1).
실시예 1-2. 항산화 효과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71.1%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2).
실시예 1-3. 광노화 (UVB) 억제 효과 (UVB-induced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48-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well에 분주하여 UVB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22.4%의 UVB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3).
실시예 1-4. 보습 효과(TEWL)
25~45세,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피험자의 전박 부위에 도포 (12-mm Finn Chamber에 2시간)하고, 클로즈 챔버 방식에 아이스컨덴서를 달아 증발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AquaFlux AF200 (Biox, England)을 사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 대비 26.3%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실시예 2. 스피드웰 추출물-열수 추출>
실시예 2-1.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29%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하였다(표 5).
실시예 2-2. 항산화 효과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48.0%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6).
실시예 2-3. 광노화 (UVB) 억제 효과 (UVB-induced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48-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well에 분주하여 UVB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37.1%의 UVB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7).
실시예 2-4. 보습 효과 (TEWL)
25~45세,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피험자의 전박 부위에 도포 (12-mm Finn Chamber에 2시간)하고, 클로즈 챔버 방식에 아이스컨덴서를 달아 증발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AquaFlux AF200 (Biox, England)을 사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 대비 27.8%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8).
<실시예 3. 브룸 추출물-열수 추출>
실시예 3-1.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74%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하였다(표 9).
실시예 3-2. 항산화 효과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45.7%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10).
실시예 3-3. 광노화 (UVB) 억제 효과 (UVB-induced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48-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well에 분주하여 UVB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25.0%의 UVB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11).
실시예 3-4. 보습 효과 (TEWL)
25~45세,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피험자의 전박 부위에 도포 (12-mm Finn Chamber에 2시간)하고, 클로즈 챔버 방식에 아이스컨덴서를 달아 증발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AquaFlux AF200 (Biox, England)을 사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 대비 24.2%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2).
<실시예 4. 레몬밤+스피드웰+브룸추출물-열수 추출>
실시예 4-1.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06%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하였다(표 13).
실시예 4-2. 항산화 효과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69.4%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14).
실시예 4-3. 광노화 (UVB) 억제 효과 (UVB-induced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48-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well에 분주하여 UVB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32.8%의 UVB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15).
실시예 4-4. 항염 효과 (NO synthesis inhibition)
Raw 264.7 세포에 염증 유발 물질인 LPS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well plate에 Raw 264.7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LPS (1 ug/mL)와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Griess 시약과 1:1로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43.4%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16).
실시예 4-5. 보습 효과 (TEWL)
25~45세,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피험자의 전박 부위에 도포 (12-mm Finn Chamber에 2시간)하고, 클로즈 챔버 방식에 아이스컨덴서를 달아 증발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AquaFlux AF200 (Biox, England)을 사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 대비 25.2%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7).
<실시예 5. 레몬밤+스피드웰+브룸추출물-고주파 추출>
실시예 5-1.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당 0.2 mM DPPH 시약과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0.07% (v/v)의 SC50 (50%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확인하였다(표 18).
실시예 5-2. 항산화 효과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H2O2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Black 96-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H2O2와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62.8%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19).
실시예 5-3. 광노화 (UVA) 억제 효과 (UVA-induced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UVA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48-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well에 분주하여 UVA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23.2%의 UVA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20).
실시예 5-4. 광노화 (UVB) 억제 효과 (UVB-induced ROS inhibition)
HDFn (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세포에 UVB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형광물질을 통해 ROS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48-well plate에 HDFn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주고,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식염수로 세척하고 DCFH-D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식염수로 세척한 다음 식염수를 well에 분주하여 UVB를 조사한 다음 485 nm에서 흡수파장, 530 nm에서 방출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44.7%의 UVB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21).
실시예 5-5. 항염 효과 (NO synthesis inhibition)
Raw 264.7 세포에 염증 유발 물질인 LPS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well plate에 Raw 264.7 세포를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 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LPS (1 ug/mL)와 추출물을 농도 별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Griess 시약과 1:1로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물 농도 2% (v/v)에서 66.9%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였다(표 22).
실시예 5-6. 보습 효과 (TEWL)
25~45세,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보습효능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포함한 크림을 피험자의 전박 부위에 도포 (12-mm Finn Chamber에 2시간)하고, 클로즈 챔버 방식에 아이스컨덴서를 달아 증발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AquaFlux AF200 (Biox, England)을 사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 대비 31.1% 경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3).
하기 표는 위 실험결과를 종합한 것이다.
하기와 같이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 각각의 추출물에서는 항염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위 3가지 성분을 혼합한 추출물의 경우 항염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위 3가지 성분의 혼합 추출물의 경우 열수 추출과 고주파 추출 모두에서 항염 효과까지 거둘 수 있기는 하지만, 고주파 추출의 경우 UVA와 UVB 모두에 효과를 가짐에 비하여 열수 추출의 경우에는 UVB에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바람직한 용도와 효과를 갖지만 그중에서도 고주파 추출의 경우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각 추출물별 효과 실험 결과 종합
시료명 추출공법 항산화 광노화 억제 항염 보습
레몬밤 추출물 열수 O UVA: X
UVB: O
- O
스피드웰 추출물 열수 O UVA: X
UVB: O
- O
브룸 추출물 열수 O UVA: X
UVB: O
- O
레몬밤+스피드웰+브룸(열수) 열수 O UVA: X
UVB: O
O O
레몬밤+스피드웰+브룸(고주파) 고주파 O UVA: O
UVB: O
O O
각 추출물별 효과 실험 결과 종합
샘플 in tubo in vitro in clinical
Anti-oxidation
(DPPH scavenging activity, SC50)
Anti-oxidation
(Intracellular ROS inhibition)
Anti-photoaging
(UVA induced ROS inhibition)
Anti-photoaging
(UVB induced ROS inhibition)
Anti-inflammation
(NO synthesis inhibition)
TEWL
레몬밤 추출물
(열수)
0.08% 71.1% (2%) X 22.4% (2%) - 26.3%
스피드웰 추출물
(열수)
0.29% 48.0% (2%) X 37.1% (2%) 27.8%
브룸 추출물
(열수)
0.74% 45.7% (2%) X 25.0% (2%) 24.2%
레몬밤+스피드웰+브룸(열수) 0.06% 69.4% (2%) X 32.8% (2%) 43.4% (2%) 25.2%
레몬밤+스피드웰+브룸(고주파) 0.07% 62.8% (2%) 23.2% (2%) 44.7% (2%) 66.9% (2%) 31.1%

Claims (5)

  1.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보습 효능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광노화 억제 및 보습 효능의 4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의 혼합 추출물은 열수 추출 또는 고주파 추출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레몬밤(Melissa officinalis), 스피드웰(Veronica officinalis) 및 브룸(Sarothamnus scoparius)의 혼합 추출물은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추출물을 3~5 : 2~4 : 2~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55296A 2023-04-27 2023-04-27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296A KR102563292B1 (ko) 2023-04-27 2023-04-27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296A KR102563292B1 (ko) 2023-04-27 2023-04-27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292B1 true KR102563292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296A KR102563292B1 (ko) 2023-04-27 2023-04-27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2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8430A1 (en) * 2004-12-02 2006-06-08 Testa Hair Holdings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nd scalp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RU2311194C1 (ru) * 2006-08-24 2007-11-27 Ирина Васильевна Бурякова Гомеопа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анавиарин-гомеоантигриппин",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м действием (варианты)
KR101763373B1 (ko) * 2016-11-23 2017-07-31 (주)바이오제닉스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736214C1 (ru) * 2020-02-28 2020-1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ым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И. Вернадского" (ФГАОУ ВО "КФУ им. В.И. Вернадского") Мазь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KR20220084597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로즈마린산과 레몬밤잎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8430A1 (en) * 2004-12-02 2006-06-08 Testa Hair Holdings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and scalp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RU2311194C1 (ru) * 2006-08-24 2007-11-27 Ирина Васильевна Бурякова Гомеопа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анавиарин-гомеоантигриппин",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м действием (варианты)
KR101763373B1 (ko) * 2016-11-23 2017-07-31 (주)바이오제닉스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736214C1 (ru) * 2020-02-28 2020-1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ым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И. Вернадского" (ФГАОУ ВО "КФУ им. В.И. Вернадского") Мазь для лечения ран
KR20220084597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씨엠에스랩 로즈마린산과 레몬밤잎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326B1 (ko)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 절임 후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475594B1 (ko)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Aja et al. Comparative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Cajanus cajan leaf and seed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106894A (zh) 一种治疗红剑鱼白头白嘴病的中草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CN111617197A (zh) 一种生发养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3292B1 (ko) 레몬밤, 스피드웰 및 브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306410B (zh) 一种紫草膏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0644086B1 (ko)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CN114272182A (zh) 一种具有皮肤修复功效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Pandey A Glimpse into the Indian Traditional Medicine with Special Reference to Use of Hemidesmus indicus in Southern India: A review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CN108785212B (zh) 一种具有抑菌和抗螨的中药复合物及其应用
CN108743695B (zh) 一种生发护发的中药组合物及制剂
CN107638478B (zh) 治疗皮肤病的瑶医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953951B (zh) 一种手足保健美容液及其制备方法
CN105168091A (zh) 一种祛红血丝面膜粉及其制备方法
CN104623040A (zh) 一种用于创口杀菌消炎的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668806A (zh) 一种祛疤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42553A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