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553A -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553A
KR20040042553A KR1020020071098A KR20020071098A KR20040042553A KR 20040042553 A KR20040042553 A KR 20040042553A KR 1020020071098 A KR1020020071098 A KR 1020020071098A KR 20020071098 A KR20020071098 A KR 20020071098A KR 20040042553 A KR20040042553 A KR 20040042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cohol
water
composition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122B1 (ko
Inventor
강봉수
Original Assignee
최창원
최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원, 최창민 filed Critical 최창원
Priority to KR102002007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1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재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약재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은 생체내에서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피부자극이 적어 대머리 질환 및 원형탈모의 치료와 탈모방지를 위한 탈모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S OF HEBAL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LOSE OF HAIR AND PROMOTING GROWTH OF HAIR}
본 발명은 생약재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약재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두발이 탈모되는 원인은 유전적 요인, 노화의 진행, 약물 복용, 방사선 치료 및 중병 후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관점에서 탈모 현상은 과다 활동, 두피 혈액순환의 문제 및 모발대사에 필수적인 영양소의 결핍의 세가지 주요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상기 세가지 요인들이 단독으로도 탈모를 유발할 수 있지만, 탈모요인들이 복합되어 상승작용을일으키게 되면 탈모증이 가속화되고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특히, 유전적 요인 또는 후천적 특수조건으로 인하여 남성호르몬의 생성, 변화, 인식 및 신호전달 과정이 과도하게 작동하여 모낭 조직이 조기 노화되는 경향을 갖게 된다면 그렇지 않은 일반인 보다 조기에 대머리가 될 확률이 높다. 또한 유전적 요인, 노화, 서구적 고지방 식생활 및 기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두피의 긴장도가 쉽게 높아지거나 동맥경화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혈액순환 장애가 쉽게 일어나므로 원활한 모발 대사에 장애가 생긴다.
한편, 모발대사를 포함한 인체의 대사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수많은 효소들이 적절히 생성되고 정상적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호르몬, 비타민, 미네랄, 필수아미노산 및 지질 등의 영양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며, 매우 좁은 범위의 온도 및 pH 조건의 유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인체가 과도한 체력소모, 중병, 화학요법 및 영양불균형 등의 장기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될 경우 인체는 생존을 위하여 상기 대사 요소들을 좀 더 필수적인 조직에 집중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을 갖게 되며 이 때 생존 문제에 있어서 우선 순위가 떨어지는 두발 생성 작용이 둔화됨에 따라 탈모와 발모의 균형이 탈모 쪽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영양소적인 요인은 원형 탈모증이나, 방사선 치료 및 항암 치료 후에 탈모를 일으키게 되며 유전적 요인 및 노화에 의한 탈모를 가속시킨다.
상기 요인들에 의해 유발된 대머리의 치료를 위해 현재까지 다양한 시도가이루어져 왔는데, 먼저 외과적인 방법으로는 두피피판술, 탈모부위축소술 및 조직확장술에 의한 두피성형술과 최근에 발전된 자가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상기의 외과적 방법은 비록 그 효과면에서는 우수하더라도 수술에 대한 환자의 경제적, 정신적 부담이 매우 크므로 널리 사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외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미국 FDA의 공인을 받은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세혈관 확장 기능이 있어 두피에 바름으로써 탈모를 방지하지만, 매일 2회씩 지속적으로 발라야하고, 3∼4시간 동안 약제가 두피에 머므르도록 해야만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는 등 불편할 뿐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효과면에서도 미미하고,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실정이다. 또한 FDA의 공인을 받은 내복약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 호르몬이 DHT(5α-dihydrotestosterone) 생성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6개월에서 1년 정도 복용시 발모 또는 탈모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감퇴 등을 들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복용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157667호), 웅지와 만형자를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161338호); 만병초 엑기스를 유효성분으로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공개 제91-106호); 소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촉진제(대한민국특허공개 제96-40346호); 누에 등을 이용한 발모촉진제(대한민국특허공개 제90-2757호); 오갈피 뿌리, 단너삼 뿌리, 적하자, 단삼 및 백자인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259037호); 원자마, 잠종, 잠태, 잠사 및 번데게를 약 200℃에서 15 분 정도 가열하여 얻은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공개 제90-2757호) 등이 공개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생약재를 적절히 조합한 생약재 추출물이 탈모 방지 및 발모와 양모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피부자극이 적어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과적으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여 그 효과가 지속되는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1.(a)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
(b) 천초, 백지, 청궁,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식물성 기름으로 추출한 추출물;
(c) 생강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및
(d)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과일껍질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알로에와 마늘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로 이루어진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추출물을 이루는 생약재는 한련초 및 석창포로 이루어지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재가 추가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a) 추출물, (b) 추출물, (c) 추출물 및 (d) 추출물을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으며, 1∼2:1∼2:1∼2:1∼2(w/w/w/w)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1(w/w/w/w)로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호두 기름 및 검은참깨기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가 5∼100 %의 에틸알콜을 사용한다.
(a) 추출물
본 발명은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으로 이루어진 생약재 또는 추가로 한련초 및/또는 석창포를 포함하는 생약재로 이루어진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당약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혈액 순환을 증대시켜 발모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감국은 아데닌(Adenine), 스타키드린(Stachydrine), 콜린(Choline) 및 정유를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소염작용, 이뇨작용, 항균작용 및 항진균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어 외감풍열(外感風熱) 또는 온병초기(溫病初期), 간경풍열(肝經風熱) 또는 간화상요(肝火上擾)로 인한 두운(頭暈), 두통(頭痛), 목적(目赤), 이농(耳聾)의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혈액순환작용을 향상시켜 모발이나 수염의 탈모를 막고 발모를 촉진하여 검고 윤기있는 모발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측백잎(側柏葉)은 주니페르산(juniperic acid), 두존(thujone), 아미우론(mayurone) 및 사빈산(abinic acid)을 주요성분으로, 량혈지혈(凉血止血), 각종 혈열(血熱)로 인한 출혈병증화담지해(出血病證化痰止咳), 폐열해수 건해(생용)(肺熱咳嗽 乾咳(生用)) 혈열(血熱) 또는 병후탈모(病後脫毛), 조발(早髮) . 오발작용(烏髮作用)에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자양 및 수렴의 효능을 나타낸다.
상백피(桑白皮) 및 상백옆(桑白葉)은 베투린산(betulinic acid), 디히드로모린(dihydromorin), 디히드로카엠프페롤(dihydrokaempferol), A-아미린(A-Amyrin), 아데닌(Adenine), 베타인(Betaine) 및 펙틴(Pectin)을 주요성분으로 가지며, 사폐평천(瀉肺平喘), 폐열담옹(肺熱痰壅), 폐실담천리수소종(肺實痰喘利水消腫), 면목부종(面目浮腫), 소변불리(小便不利)에 효능을 나타내어 폐열해수, 부종, 리수, 고혈압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모에 효과를 나타낸다.
한련초(旱蓮草)는 휘발성 오일류(volatile oils),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웨도락톤(wedolactone), C16H10O7, 니코틴(nicotine) 및 에딥틴(ediptine) 등을 주요성분으로 하며, 보익간신, 간신부족, 현훈, 두발조백, 이명량혈지혈, 토혈, 객혈, 뇨혈, 변혈, 붕루 및 외상출혈(혈열)에 효능을 나타내어 토혈, 뉵혈, 뇨혈, 변혈, 간염, 장염, 습진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발을 검게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백발을 검게 나타낸다.
석창포는 탈모, 익모, 원형 탈모 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과, 추가로 한련초 및/또는 석창포로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과 혼합, 가열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 및 건조시켜 얻어진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생약재의 배합은 한련초, 측백잎, 상백 및 석창포가 (a)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15 중량%이며, 당약 및 감국은 (a)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15∼25 중량%이다. 이때, 배합비는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처방의 배합은 모발 생장 촉진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배합이면 어느 것이든 좋으나, 특히 이들 각 생약재는 한련초, 측백잎, 상백 및 석창포가 각각 12 중량%이며, 당약 및 감국은 각각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은 물질 그 자체의 중량비가 특정된 것이며, 물질 그것을 배합하여 그 전체를 추출 처리할 때에는 그대로가 좋으나, 추출 엑기스 또는 화학물질을 가지고 배합할 때에는 물질 중량에 환산하여 처방 배합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추출물
본 발명은 천초, 백지, 청궁,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생약재를 식물성 기름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함유한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천축은 혈액순환을 원활히 시켜 두발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백지(白芷, Angelicae Dahuricae Radix)는 비악-안젤리콜(Byak-angelicol), 임페라토린(Imperatorin), 옥시페우세다닌(Oxypeucedanin), 이소비악-안젤리콜(Isobyak-angelicol), 비악-안젤리신(Byak-angelicin),마르메신(Marmecin) 및 스코포레딘(Scopoletin)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며, 거풍해표, 풍한표증통규지통, 두통, 미능골통, 아치통(산족양명위경 풍습), 소종배농, 창양종통조습지대, 부녀대하, 한습복통해사독, 독사교상에 효능을 나타내어 비색유체, 풍한감모두통, 창양종통, 두면제병, 부인한습대하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진통 및 거풍 치료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
청궁은 천축은 혈액순환을 원활히 시켜 두발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만형자(蔓荊子, Viticis Fructus)는 정유 캄펜(camphene), 플라본(flavon)배당체인 비텍시카르핀(vitexicarpin)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며, 소산풍열, 청리두목 산풍승습 및 습비구련에 효능을 나타내어 두통에 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통, 소염 및 해열에 효과를 나타낸다.
영능향은 천축은 혈액순환을 원활히 시켜 두발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부자(附子, Acontii Tuber)는 아코니틴(Aconitine), 메사코니틴(Mesaconitine), 히파코니틴(Hypaconitine), 히게나민(Hygenamine)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회양구역, 궐역망양 맥미욕절 대한망양온신조양, 신양불족, 외한지랭, 비양불족, 복통연변산한지통, 풍한습비, 주신골절동통 일체의 침한고냉 에 효능을 나타내어 맥미욕절, 망양궐역, 하원허냉, 명문화쇠, 흉복냉통, 비양불운, 양허수종,풍습비통에 주로 사용한다.
상기 생약재의 배합은 천축, 백지 및 청궁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b)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60∼70 중량%이며, 상기 범위내에서 상기모든 물질은 동일한 양을 첨가한다. 또한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b)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30∼40 중량%이며, 상기 범위내에서 상기 모든 물질은 동일한 양을 첨가한다. 이때, 배합비는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처방의 배합은 모발 생장 촉진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배합이면 어느 것이든 좋으나, 특히 이들 각 생약재는 천축, 백지 및 청궁은 각각 22∼23 중량%이며,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가 11∼12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은 물질 그 자체의 중량비가 특정된 것이며, 물질 그것을 배합하여 그 전체를 추출 처리할 때에는 그대로가 좋으나, 추출 엑기스 또는 화학물질을 가지고 배합할 때에는 물질 중량에 환산하여 처방 배합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추출액은 호두기름 및 검은참깨기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식물성 기름을 함유한다.
호두기름은 자양 및 윤활유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머리에 윤기를 유지시키며,
검은참깨기름은 생으로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발모에 효과를 나타낸다. 검은참깨는 올레인산(oleic acid), 리놀렌닌산(linolen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세사민(sesamin) 및 세사몰(sesamol)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며, 보간신, 두훈안화, 이명이농익정혈, 수발조백, 병후탈발윤조활장, 장조변비에 효능을 나타내어 빈혈, 변비, 간신부족,두훈목현 및 유즙결핍 치료에 주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상기 (b) 추출물을 이루는 생약재에 대하여 1∼3 배(w/w)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추출물
본 발명은 생강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생강은 혈행 촉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것을 이용하여 두피의 혈액 순환을 도와준다.
상기 생강 추출물은 세절된 생강을 말린 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고, 여과 및 건조시켜 얻으며, 이때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는 5∼100 %의 에틸알콜이 바람직하다.
(d) 추출물
본 발명은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과일껍질을 알콜로 추출한 추출물; 및
알로에 및 마늘을 알콜 및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한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귤류껍질은 두피에 비타민을 제공하여 두피를 건강케 하며,
알로에는 근육의 운동성을 높여 주고 모세혈관의 혈행을 순조롭게 하는 작용을 하며,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마늘은 주약효성분으로 강역한 냄새의 원천이 되는 알리신이라는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항균, 보습, 혈관 확장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작용은 먹었을 때 얻을 수 있으나, 외용했을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알로에 및 마늘을 혼합하여 두피에 바르면 모세혈관의 흐름이 좋아져 모발을 생성시키는 모세포에 활력을 줌으로써 모발이 새로 생성되도록 하며,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작용도 높아 하얀 모발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수분을 보충하여 모발에 윤기를 줄 있다.
상기 물질의 배합은 배합비는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처방의 배합은 모발 생장 촉진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배합이면 어느 것이든 좋다.
상기 (d) 추출물은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말린 후 에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 및 건조시켜 얻고, 세절된 알로에 및 마늘과 에탄올을 혼합시켜 추출한 후 여과 및 건조시켜 얻은 후 두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2.(a)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
(b) 천초, 백지, 청궁,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식물성 기름으로 추출한 추출물;
(c) 생강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d)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과일껍질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알로에와 마늘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 및
(e) 인삼을 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진 생약재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추출물을 이루는 생약재는 한련초 및 석창포로 이루어지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재가 추가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a) 추출물, (b) 추출물, (c) 추출물, (d) 추출물 및 (e) 추출물을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으며, 1∼2:1∼2:1∼2:1∼2(w/w/w/w)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1(w/w/w/w)로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호두 기름 및 검은참깨기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가 5∼100 %의 에틸알콜을 사용한다.
상기 (a) 추출물∼(d) 추출물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e) 추출물
인삼은 파나키론, 파나책스 사포게놀, 파나첼 파나기신 등의 성분으로 인해 인체에 보온 작용을 하며, 기를 도와 두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세절된 인삼과 물을 혼합, 가열시켜 추출하고, 여과 및 건조시켜 얻는다.
상기 (e) 추출물은 (c) 추출물의 배합비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c) 추출물과 (e) 추출물의 합 100 중량%에 대하여 (c) 추출물이 60∼70 중량%이며, (e) 추출물이 30∼40 중량%이다. 이때, 배합비는 질환의 정도 내지는 상황, 투여 대상의 체질, 연령 등 여러 가지 변동 요인에 의해 각 처방의 배합을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처방의 배합은 모발 생장 촉진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는 배합이면 어느 것이든 좋으나, 특히 (c) 추출물이 22∼23 중량%이며, (e) 추출물이 11∼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약재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하기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28세의 남성과 32∼40세의 여성에서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육모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12 개월 사용시 거의 대부분의 연령에서 육모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55∼60세의 남성의 경우, 1 개월동안 사용한 후 육모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토끼 피부에 적용한 결과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이 적음을알 수 있다(표 2참조).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의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효능을 더욱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실험예에서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에 대한 모(毛)의 성장속도를 관찰하였다. 모에는 자라기도 하고 빠지기도 하는 일정의 주기가 있고, 이 주기를 성장기→이행기→휴지기→발모기의 각 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모의 성장속도 관찰 실험은 일반적으로 육모시험에 이용되고 있는 실험용 쥐를 사용한 실험으로, 쥐의 모의 성장이 멈추는 시기에 등의 털을 잘라서 그 곳에 평가하는 생약재 조성물을 바르는 것에 의해 모의 휴지기에 어떤 쥐의 털이 자라고 그 털이 성장하는 속도를 관찰하는 실험이다. 그 결과, 하기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른 마우스 군의 평균 점수는 음성대조와 양성대조의 중간으로 추이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과 음성대조와 비교해 보면, 실험 개시 15 일째부터 평균점수가 올라갔으나, 양성대조군과 비교해보면, 11일째부터 평균점수는 내려가고, 이러한 경향은 실험종료일(19 일)까지 계속되었다.
또한, 하기 실험예에서 모(毛)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증가량을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는 모의 세포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모의 세포는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모가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가 증가한다는 것은 육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실험은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를 쥐로부터 얻어 이 세포가 어느 정도 증가하는지를 관찰하는 실험이다. 그 결과 하기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의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수를 100 %로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양성대조의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수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 농도에서 양성대조와 같은 정도의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수이며, 10 ㎍/㎖ 이하의 농도에서는 음성대조와 같은 정도의 세포 수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은 마우스를 이용한 모의 성장속도를 측정하는 실험 및 모의 세포의 증가량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생체내에서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아내어 대머리 질환 및 원형탈모의 치료와 탈모방지를 위한 탈모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양모료, 헤어 토닉, 헤어 로션, 헤어 크림, 샴푸 및 린스 등의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품에 배합하여 약용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제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증상, 투여 방법에 따라 상이 하나 외용 액제의 경우는 1회당 1∼10 ㎖로 이것을 주당 2∼3 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기 처방의 타 해당 처방의 주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합한 것은 그 주효과에 상승 효과를 주기 위해서 타 모발 생장 촉진제를 첨가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물질로서는 염화카프로늄과 같은 혈관 확장제, 판토텐산 칼슘, 비타민 에이 아세테이트, 판토테닐알콜 등의 비타민류, 매치오닌, 세린 등의 아미노산류, 염산 디페히드라민 등의 항염증제, 염화 벤잘코늄 등의 살균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1
(a) 한련초 30 , 당약 50 g, 감국 50 g, 측백잎 30 g, 상백피 30 g, 상백옆 30 g, 석창포 30 g을 넣고, 5 배의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의 부피가 1/2가 될 때 필터하였다. 3번의 여과 과정을 수행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b) 천축 80 g, 백지 80 g, 청궁 80 g, 만형자 40 g, 영능향 40 g 및 부자 40 g을 추말하여 명주천 주머니에 넣고 입구를 밀봉하였다.
천축 80 g, 백지 80 g, 청궁 80 g, 만형자 40 g, 영능향 40 g 및 부자 40 g을 추말하여 명주천 주머니에 넣고 입구를 밀봉하였다. 상기 물질을 유리병에 넣고 3 배의 호두기름, 검은참깨기름 및 올리브유를 부은 후 밀봉하고 실온에서 1개월 이상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c) 생강을 세척하고 껍질채 3 ㎜ 두께로 썰어 햇볕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생강(건강) 100 g과 메탄올 2 ℓ을 유리병에 첨가하였다. 상기 알콜이 증발되지 않게 랩으로 밀봉하여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필터한 후 그 액을별도의 유리병에 옮겨 밀봉하였다.
(d) (1')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을 깨끗이 씻어 속껍질을 벗겨내고 외피만 3 ㎜ 정도 가늘게 썰어 응달에서 바싹 말렸다. 상기 말린 진피 100 g, 레몬 50 g, 오렌지 50 g, 자몽 50 g을 준비하였다.
(2') 알로에 300 g을 세척하여 마른 행주로 물기를 닦아내고, 양쪽에 있는 가시를 제거하였다. 또한, 마늘은 속껍질을 벗겨내고 30 g을 2 ㎜ 두께로 썰어두고, 붉은 고추 2개를 준비하였다.
(3') 상기 (1')과 (2')의 재료를 유리병에 넣고, 30°소주를 재료의 3배로 부어 밀봉하여 실온에서 3개월 숙성시켰다.
상기 얻어진 (a)∼(d)의 추출물을 동량(질량비)으로 혼합 및 교반하여 생약재 조성물("강봉수의 자연발모제")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의 제조 2
(a) 한련초 30 , 당약 50 g, 감국 50 g, 측백잎 30 g, 상백피 30 g, 상백옆 30 g, 석창포 30 g을 넣고, 5 배의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였다. 상기 용액의 부피가 1/2가 될 때 필터하였다. 3번의 여과 과정을 수행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b) 천축 80 g, 백지 80 g, 청궁 80 g, 만형자 40 g, 영능향 40 g 및 부자 40 g을 추말하여 명주천 주머니에 넣고 입구를 밀봉하였다.
천축 80 g, 백지 80 g, 청궁 80 g, 만형자 40 g, 영능향 40 g 및 부자 40 g을 추말하여 명주천 주머니에 넣고 입구를 밀봉하였다. 상기 물질을 유리병에 넣고 3 배의 호두기름, 검은참깨기름 및 올리브유를 부은 후 밀봉하고 실온에서 1개월 이상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c) 생강을 세척하고 껍질채 3 ㎜ 두께로 썰어 햇볕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생강(건강) 100 g과 메탄올 2 ℓ을 유리병에 첨가하였다. 상기 알콜이 증발되지 않게 랩으로 밀봉하여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필터한 후 그 액을 별도의 유리병에 옮겨 밀봉하였다.
(d) (1')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을 깨끗이 씻어 속껍질을 벗겨내고 외피만 3 ㎜ 정도 가늘게 썰어 응달에서 바싹 말렸다. 상기 말린 진피 100 g, 레몬 50 g, 오렌지 50 g, 자몽 50 g을 준비하였다.
(2') 알로에 300 g을 세척하여 마른 행주로 물기를 닦아내고, 양쪽에 있는 가시를 제거하였다. 또한, 마늘은 속껍질을 벗겨내고 30 g을 2 ㎜ 두께로 썰어두고, 붉은 고추 2개를 준비하였다.
(3') 상기 (1')과 (2')의 재료를 유리병에 넣고, 30°소주를 재료의 3배로 부어 밀봉하여 실온에서 3개월 숙성시켰다.
(e) 5년근 건삼 50 g을 적당히 잘라 약탕기에 넣고 3 배 부피의 물을 부어 고와 걸어내고 인삼탕만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a)∼(e)의 추출물을 동량(질량비)으로 혼합 및 교반하여 생약재 조성물("강봉수의 자연발모제")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육모효과 실험법
전국에서 무작위로 착출한 남성형탈모병 환자 남10명(년령 20∼60)과 여10명(년령 32∼62)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제조된 발모제를 1일 1회, 1회에 5 ㎖씩 탈모된 모근부분 구석구석까지 도포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실험 개시 후 1, 3, 6, 12개월 후에 평가를 행하고 도포 부이의 발모 상태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표 1에 나타내었다.
++ : 우수한 효과가 있다, + : 효과가 있다,
±: 조금 효과가 있다, - : 효과가 없다.
상기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28세의 남성과 32∼40세의 여성에서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육모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12 개월 사용시 거의 대부분의 연령에서 육모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55∼60세의 남성의 경우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육모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자극 실험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제조된 생약재 조성물을 토끼의 피부에 대한 자극 정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위하여 상기 조성물의 적용 24 시간 전에 토끼의 제모(除毛)를 실시하여 정상피부와 상처피부의 처치구획 및 대조구획으로 구분하였다. 도포방법은 토끼 1 마리당 1 g씩 도포부위에 1회 도포하였다. 무처치 대조 구획에는 멸균생리식염수를 같은 양으로 도포하고 가제를 덮었다. 그리고 시료의 증발을 막기 위해 침투성과 반응성이 없는 고형재질의 박지로 덮고,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24 시간, 72 시간, 120 시간 동안 적용시켰다. 이후 적용시간 종료 후에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도포부위를 가볍게 세정해 주었다. 그리고 시료물질 투여 후 일주일간 매일 외관, 사료 및 음료 소비상태와 임상 증상 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을 이용하여 판단하였다. 또한 피부에 대한 자극의 정도를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Draize의 P.I.I.(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방법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결과치
24 시간 72 시간 120 시간
P.I.I. 0.5(저자극) 0.2(저자극) 0.1(무자극)
P.I.I. (무자극) 0 ←←→→5 (강한자극)
상기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4 시간 적용시 P.I.I.가 0.5로 저자극을 나타내며 72 시간 적용시 0.2에서 120 시간 적용시 0.1로 무자극으로 나타내어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에 대한 피부자극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마우스를 이용한 모(毛)의 성장속도를 측정하는 실험
8 주령의 C3H계 마우스의 등의 털을 자른 후에 면도칼로 완전히 털을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조성물과 음성대조 물질 및 양성대조 물질을 마우스 10 마리씩 100 ㎕씩 1일 1회 연속하여 18일 동안 발랐다. 각 마우스의 모의 성장상태(육모상태)를 판정기준에 따라 채점하여 각 조성물에 대하여 10 마리의 마우스의 점수의 평균을 내어 각 조성물의 평균점수의 추이를 비교하였다.
상기에서 음성대조는 육모효과가 없는 물질로서, 상기 실험예 3에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또한, 양성대조는 육모효과가 명백한 것으로, 현재 일본에서 판매되고 있는 육모제(일본제품, 마루베리-헤어토닉)로 강한 육모효과가 확인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모의 성장속도를 관찰한 실험결과(평균점수의 추이)
1 5 7 9 11 13 15 17 19(일)
실시예 1 0 0 0 1.0 1.0 1.1b 2.0ab 2.9ab 4.0b
실시예 2 0 0 0 1.0 1.0 1.2b 2.3ab 2.7ab 3.6b
양성대조 0 0 0 1.0 1.6 2.5 3.7 4.0 4.5
음성대조 0 0 0 0.7 1.0 1.0 1.2 1.3 2.7
a : 음성대조와 유의한 차b : 양성대조와 유의한 차
상기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른 마우스 군의 평균 점수는 음성대조와 양성대조의 중간으로 추이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과 음성대조와 비교해 보면, 실험 개시 15 일째부터 평균점수가 올라갔으나, 양성대조군과 비교해보면, 11일째부터 평균점수는 내려가고, 이러한 경향은 실험종료일(19 일)까지 계속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이 육모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모(毛)의 세포의 증가량을 측정하는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휘발성분을 증발(감압농축)시켜 농축물을 100 ㎍/㎖, 10 ㎍/㎖, 1 ㎍/㎖, 0.1 ㎍/㎖의 각 농도가 되도록 배양액에 용해시켜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가 어느 정도 증가하는지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이 낮은 농도에서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가 증가하면, 육모효과가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4일령의 C3HrP 마우스의 등의 피부를 각종의 효소로 처리하여 모근부분의 세포(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를 추출하였다. 상기 세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한 배양액으로 배양하여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가 증가되는지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음성대조 및 양성대조와 함께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음성대조는 배양액만을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는 일본 및 세계에서사용되고 있는 육모제의 주성분(일본제품, 마루베리-헤어토닉)으로,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어져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양성대조의 화합물은 80 ㎍/㎖이 되도록 배양액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모의 세포의 증가하는 양을 측정한 실험결과(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 수의 비교)
배양액 중의 샘플 농도 세포수(대 음성대조)±표준편차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163 ±17a
10 ㎍/㎖ 127 ±17b
1 ㎍/㎖ 94 ±16b
0.1 ㎍/㎖ 104 ±9b
음성대조 - 100 ±8
양성대조 80 ㎍/㎖ 170 ±35
a : 음성대조와 유의한 차b : 양성대조와 유의한 차
상기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의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수를 100 %로 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양성대조의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수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 농도에서 양성대조와 같은 정도의 모의 기본이 되는 세포의 수이며, 10 ㎍/㎖ 이하의 농도에서는 음성대조와 같은 정도의 세포 수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재 조성물은 마우스를 이용한 모의 성장속도를 측정하는 실험 및 모의 세포의 증가량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 우수한 효과를나타내며 또한 피부자극이 적어 생체내에서 우수한 탈모 예방효과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아내어 대머리 질환 및 원형탈모의 치료와 탈모방지를 위한 탈모방지제 및 모발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약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a)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
    (b) 천초, 백지, 청궁,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식물성 기름으로 추출한 추출물;
    (c) 생강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및
    (d)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과일껍질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알로에와 마늘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로 이루어진 생약재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추출물을 이루는 생약재 군에 한련초 및 석창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재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약재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조성물이 (a) 추출물, (b) 추출물, (c) 추출물 및 (d) 추출물을 1∼2:1∼2:1∼2:1∼2(w/w/w/w)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a) 당약, 감국, 측백잎 및 상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약재를 물로 추출한 추출물;
    (b) 천초, 백지, 청궁, 만형자, 영능향 및 부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식물성 기름으로 추출한 추출물;
    (c) 생강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d) 귤껍질, 레몬껍질, 오렌지껍질 및 자몽껍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과일껍질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알로에와 마늘을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 및
    (e) 인삼을 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진 생약재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추출물을 이루는 생약재 군에 한련초 및 석창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재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조성물이 (a) 추출물, (b) 추출물, (c) 추출물, (d) 추출물 및 (e) 추출물을 1∼2:1∼2:1∼2:1∼2:1∼2(v/v/v/v/v)로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조성물.
  8. 제 2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름이 호두 기름 및 검은참깨기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알콜 또는 알콜과 물의 혼합용매가 5∼100 %의 에틸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조성물.
  9. 제 1항의 생약재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20071098A 2002-11-15 2002-11-15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0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098A KR100603122B1 (ko) 2002-11-15 2002-11-15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098A KR100603122B1 (ko) 2002-11-15 2002-11-15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553A true KR20040042553A (ko) 2004-05-20
KR100603122B1 KR100603122B1 (ko) 2006-07-20

Family

ID=3733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098A KR100603122B1 (ko) 2002-11-15 2002-11-15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1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692B1 (ko) * 2007-08-30 2008-02-21 (주)유니허브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KR101044912B1 (ko) * 2009-11-12 2011-06-28 한국철도공사 고속열차의 트리포드 고정용 지그
ES2581180A1 (es) * 2015-09-10 2016-09-01 Universidad De Las Palmas De Gran Canaria Uso de aloe oral para la mejora capil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63B1 (ko) 2008-07-24 2011-01-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824A (ko) * 1993-09-16 1995-04-15 민광율 한방 피부미용제의 제조방법
JP2878597B2 (ja) * 1994-04-15 1999-04-05 惇 額田 養毛剤
JP3537878B2 (ja) * 1994-09-12 2004-06-14 邦郎 辻 発毛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201589B1 (ko) * 1995-12-05 1999-06-15 곽철호 발모촉진제 조성물
KR20000031349A (ko) * 1998-11-05 2000-06-05 박명규 인삼을 주제로 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0319135A (ja) * 1999-04-30 2000-11-21 Hideo Yamada 育毛・発毛剤
KR20010003366A (ko) * 1999-06-23 2001-01-15 박재준 발모 및 육모제
KR20000072654A (ko) * 2000-09-18 2000-12-05 강석봉 한방 제재로 만든 모발강정 조성물.
KR100743618B1 (ko) * 2000-12-29 2007-07-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3094A (ko) * 2001-04-26 2002-11-01 함종천 생리활성 천연물을 이용한 양모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05692B1 (ko) * 2007-08-30 2008-02-21 (주)유니허브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KR101044912B1 (ko) * 2009-11-12 2011-06-28 한국철도공사 고속열차의 트리포드 고정용 지그
ES2581180A1 (es) * 2015-09-10 2016-09-01 Universidad De Las Palmas De Gran Canaria Uso de aloe oral para la mejora capi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122B1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79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KR101194059B1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0054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JPH0536407B2 (ko)
US9554985B2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12870333A (zh) 一种改善人脱发生发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80180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0007488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122306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9700732A (zh) 植物洗发露及其制备方法
CN112656930A (zh) 一种生发、乌发的中药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96948A (ko) 모발의 육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342966A (zh) 含有日本医蛭的护肤保湿霜及其制备方法
KR950006061B1 (ko)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20090022224A (ko) 두피보호 및 모발생장을 촉진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