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350B1 -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350B1
KR102560350B1 KR1020217019180A KR20217019180A KR102560350B1 KR 102560350 B1 KR102560350 B1 KR 102560350B1 KR 1020217019180 A KR1020217019180 A KR 1020217019180A KR 20217019180 A KR20217019180 A KR 20217019180A KR 102560350 B1 KR102560350 B1 KR 10256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m member
lead
rotor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189A (ko
Inventor
다카마사 후쿠다
유스케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43K21/085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with a threaded propelling sh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43K21/1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having ratche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rimary Cell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샤프 펜슬(1)이, 볼 척(11)과, 회전자(40)를 가지며, 볼 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회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30)와.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고리 모양 캠면(62)과, 고리 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단차(71)를 가지는 조출 캠면(70)과, 조출 캠면에 맞닿는 맞닿음자(9c) 및 필기심을 유지하는 유지 척(10)을 가지고,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슬라이더(9)를 구비하며, 맞닿음자가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맞닿음자가 단차에 빠질 때의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유지 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볼 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샤프 펜슬
본 발명은,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샤프 펜슬에서는, 예를 들면 축통의 후단부에 마련된 노크부를 노크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축통의 전단부측에 장착된 입구 부재로부터, 필기심이 일정량 조출(繰出, 계속 내보냄)된다. 필기 동작에 따라서 필기심이 마모되기 때문에, 일정량의 필기 동작마다 노크 조작할 필요가 있다. 한 번의 노크 조작에 의해서 조출되는 필기심의 최적량에 대해서는, 종래, 여러 가지의 검토가 이루어져 있다. 한 번의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량이 크면, 필기압을 받아 필기심이 빈번히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 한 번의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량이 작으면, 필기 동작에 의한 필기심의 마모에 따라 노크 조작을 빈번히 반복할 필요가 있어, 노크 조작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노크 조작에 따른 필기심의 돌출 동작과 함께, 입구 부재에 장착된 파이프 모양의 심 가이드도 전진하고, 필기에 따른 필기심의 마모와 함께 심 가이드도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파이프 슬라이드식의 샤프 펜슬이 공지이다(특허 문헌 1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에 따른 필기심의 마모에 의해, 심 가이드의 선단부가 지면에 접촉하고, 심 가이드가 서서히 후퇴하도록 동작한다. 그 때문에, 한 번의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량을 다소 크게 설정했다고 해도, 필기심이 심 가이드에 의해서 보호되어 부러지기 어려워진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심 가이드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 가이드의 선단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그 마찰 저항을 받아 필기감이 나빠진다. 또, 심 가이드의 선단부가 지면에 걸려, 지면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도 생긴다.
이것에 대해, 필기심의 마모에 따라, 심 가이드를 입구 부재 내로 서서히 후퇴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심 가이드로부터의 필기심의 돌출량을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시킬 수 있는 샤프 펜슬이 공지이다(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에 가해지는 필기압을 이용하여, 심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선단 파이프가 입구 부재 내로 서서히 후퇴한다. 따라서, 필기심의 마모에 따라 선단 파이프가 후퇴하므로, 선단 파이프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필기심의 부러짐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의 마모에 따라 선단 파이프도 후퇴하기 때문에 길게 계속 쓸 수 있지만, 어느 정도까지 필기심이 마모되면, 결국 노크 조작을 할 필요가 있다. 이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심 및 선단 파이프가, 입구 부재로부터 크게 조출되기 때문에, 필기심의 선단부의 위치의 관계에서, 재차의 필기의 감촉에 위화감이 생길 수 있다.
이것에 대해, 필기 동작에 따른 필기압을 이용하여, 필기심을 순차적으로 조출할 수 있는 샤프 펜슬이 공지이다(특허 문헌 4 참조).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샤프 펜슬은, 필기심을 파지하는 볼 척과, 볼 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회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회전 구동 기구에서의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필기심을 전방으로 조출하는 캠 부재 및 유지 척 등을 포함하는 심 조출 기구를 가지고 있다.
심 조출 기구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는 캠면 및 축선 방향에서의 단차를 구비한 캠 부재와, 맞닿음자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는, 스프링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그것에 의해서 맞닿음자가 캠면에 맞닿아 있다. 또, 슬라이더는, 회전 구동 기구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 구동을 받아 회전한다. 이 때, 맞닿음자는, 캠 부재의 캠면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동작하고, 이것에 따른 슬라이더는 서서히 축선 방향으로 후퇴한다.
그리고, 슬라이더의 맞닿음자가, 캠 부재의 단차에 이르면, 맞닿음자는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단차를 따라서 빠지고, 그 순간에 슬라이더도 단차의 고저차에 상당하는 전진 운동을 받는다. 이 때, 슬라이더 내에 배치된 유지 척도 마찬가지로 전진하므로, 유지 척에 슬라이드 접촉하여 유지된 필기심을 볼 척으로부터 인출하도록 동작하여, 필기심이 조출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8-07247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8-132782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 제2009-23392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특허공개 제2016-153246호 공보
특허 문헌 4의 심 조출 기구는, 조출되는 필기심의 조출량을 조정하는 조출량 조정 기구를 더 가지고 있다. 조출량 조정 기구에서는, 캠 부재를 교환 등 하는 것에 의해서, 단차의 고저차를 조정하고, 그것에 의해서 필기심의 조출량이 조정된다. 조출량의 조정을, 보다 간편하게 또한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다 간편하게 또한 정확하게 조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는 볼 척(chuck)과, 회전자를 가지며, 상기 볼 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筆記壓)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상기 회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고리 모양 캠면과, 상기 고리 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낙차(落差)를 가지는 조출(繰出) 캠면과, 상기 조출 캠면에 맞닿는 맞닿음자(子) 및 필기심을 유지하는 유지 척을 가지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낙차에 빠질 때의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 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상기 볼 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이 제공된다.
상기 낙차의 높이를 조정하여 필기심의 조출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2 캠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 중 일방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 중 타방에 캠 형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캠 형성부가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캠 형성부가 계단 모양 또는 슬로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볼 척이,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는 볼 척과, 회전자를 가지며, 상기 볼 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상기 회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고리 모양 캠면과, 상기 고리 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낙차를 가지는 조출 캠면과, 상기 조출 캠면에 맞닿는 맞닿음자 및 필기심을 유지하는 유지 척을 가지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슬라이더와,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2 캠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낙차에 빠질 때의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 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상기 볼 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이 제공된다.
상기 낙차의 높이를 조정하여 필기심의 조출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부재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의 상대적인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그 외의 회전 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가 축선 방향에서 이간하게 해도 좋다. 상기 제1 캠 부재가 감합 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 캠 부재가 상기 감합 돌기와 감합 가능한 복수의 감합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감합 오목부 중 하나가, 상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축선 방향에서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볼 척이,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보다 간편하게 또한 정확하게 조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한다고 하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샤프 펜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샤프 펜슬의 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샤프 펜슬의 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샤프 펜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회전 구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자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이어지는 회전자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다이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레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일 캠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조립된 다이얼 캠 부재 및 레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조출량이 클 때의 조출 캠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조출량이 작을 때의 조출 캠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조출 캠면과 맞닿음자의 이동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다른 조출 캠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다른 다이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레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다른 레일 캠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9는, 조립된 다이얼 캠 부재 및 레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조립된 다이얼 캠 부재 및 레일 캠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의 조출 캠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20에서의 조출 캠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샤프 펜슬(1)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프 펜슬(1)의 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샤프 펜슬(1)의 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샤프 펜슬(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샤프 펜슬(1)은, 전축(2)과, 전축(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하는 후축(3)과, 전축(2)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하는 입구 부재(4)와, 후축(3)의 후단부의 내주면에 감합(嵌合)하는 내통(5)을 가지고 있다. 전축(2) 및 후축(3)은, 축통(6)을 구성한다. 또, 입구 부재(4) 또는 내통(5)도 포함하여 축통(6)으로 칭해도 괜찮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 펜슬(1)은, 입구 부재(4)의 선단으로부터 필기심(7)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기심(7)의 선단 근방은, 필기심(7)을 안내하는 선단 파이프(8)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샤프 펜슬(1)의 축선 방향에서, 필기심(7)측을 「전」측으로 규정하고, 필기심(7)측과는 반대측을 「후」측으로 규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축통(6)의 전단부의 내부에는, 슬라이더(9)가,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9)는, 전방을 향해 외경이 계단 모양으로 가늘어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선단부(9a)에는, 선단 파이프(8)가 장착되어 있다. 또, 선단부(9a)에서 선단 파이프(8)의 후방에는,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고무제의 유지 척(10)이 배치되어 있다. 유지 척(10)의 통공은, 필기심(7)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고, 필기심(7)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슬라이더(9)의 선단부(9a)의 후방의 중간부(9b)의 외주면의 후부, 특히 중간부(9b)의 근원 부분에는,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맞닿음자(子)(9c)가, 슬라이더(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9a) 및 중간부(9b)의 외주면에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1 캠 부재인 다이얼 캠 부재(50)와,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제2 캠 부재인 레일 캠 부재(60)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선단부(9a)의 일부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전단부의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내부에는, 필기심(7)을 파지하는 볼 척(11) 및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중계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볼 척(11)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조임구(具)(13)와, 조임구(13) 내에 배치된 척 본체부(14)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척 유지부(15)와, 복수의 볼(16)을 가지고 있다. 조임구(13)의 내주면에는, 전방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척 본체부(14)는, 중심축선에 따라서 필기심(7)의 통공이 형성되고, 척 본체부(14)의 전단부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척 본체부(14)의 후단부는, 척 유지부(15)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척 본체부(14) 및 척 유지부(15)는, 조임구(13)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복수의 볼(16)은, 조임구(13)의 내주면과 척 본체부(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진 경우에는, 척 본체부(14)가 볼(16)과 함께 원통 모양의 조임구(13) 내의 테이퍼면에 맞닿기 때문에, 필기심(7)은 척 본체부(14)에 의해서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필기심(7)의 후퇴는 저지된다. 한편, 필기심(7)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척 본체부(14)가 조임구(13)에 의한 작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필기심(7)을 저항없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즉, 볼 척(11)은, 필기심(7)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척 본체부(14)를 포위하도록 코일 스프링(17)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7)의 후단은, 척 본체부(14)의 외면에 감합하고 있고, 코일 스프링(17)의 전단은, 조임구(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단부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7)은, 척 본체부(14)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그 결과, 볼 척(11)은,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임구(13)의 후단부의 외주면은, 중계 부재(12)의 전단부의 내주면에 감합하고 있다. 따라서, 볼 척(11) 및 중계 부재(12)는, 슬라이더(9) 내에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중계 부재(12)의 축선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는,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a)의 전방에는, 중계 부재(12)를 포위하도록 코일 스프링인 캠 맞닿음 스프링(18)이 배치되어 있다.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후단은, 중계 부재(12)의 플랜지부(12a)에 대해서 장착되고(A부),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전단은, 슬라이더(9)의 후단부의 내벽에 장착되어 있다(B부). 축통(6) 내에서,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서,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9)에 마련된 맞닿음자(9c)를 캠면에 맞닿게 하도록 작용한다. 중계 부재(12)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회전 구동 기구(30)에 연결되어 있다. 척 유지부(15)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심 케이스(19)의 전단부가 감합하고 있다. 심 케이스(19)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필기심(7)이 수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축통(6)의 후단부, 구체적으로는 내통(5)의 후단부에는, 노크 부재로서의 노크봉(20)이 축통(6)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노크봉(20)은, 코일 스프링(21)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노크봉(20)의 후단부 근방에는, 필기심(7)의 보급 구멍을 구비한 격벽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노크봉(20)의 후단부의 내부에는, 지우개(2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노크봉(20)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노크 커버(2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우개(22)를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노크봉(20)은, 심 케이스(19)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감합하고 있다.
노크봉(20) 또는 노크 커버(23)를 전방으로 압압(押壓)하는 노크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서, 심 케이스(19)가 전진한다. 이것에 의해, 척 유지부(15)를 통해서 척 본체부(14)가 전방으로 압출된다. 이것에 따라서, 척 본체부(14)에 파지된 필기심(7)도 전진하고, 필기심(7)을 선단 파이프(8)로부터 조출시키도록 작용한다. 노크 조작에 의한 압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21)의 가압력에 의해서, 노크봉(20)은,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척 본체부(14)는, 코일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퇴한다. 한편, 필기심(7)은, 슬라이더(9) 내에 배치된 유지 척(10)에 의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볼 척(11)의 작용으로서, 필기심(7)은 척 본체부(14)로부터 저항없이 인출된다. 그 결과, 필기심(7)은, 선단 파이프(8)로부터 조출됨으로써, 노크 조작을 반복할 때마다, 필기심(7)을 소정량씩 조출할 수 있다. 노크 조작에 의해서 노크봉(20)을 전진시킨 상태를 유지하면, 척 본체부(14)는 조임구(13)로부터 돌출되어 필기심(7)의 파지는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선단 파이프(8)로부터 조출된 상태의 필기심(7)을 손가락끝 등으로 되밀어낼 수 있다.
도 5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확대 단면도이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후축(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중계 부재(12)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전축(2)의 후단면과 회전 구동 기구(30)의 전단면과의 사이에 축 스프링(31)이 배치되고, 회전 구동 기구(30)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축 스프링(31)의 가압력에 의한 회전 구동 기구(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회전 구동 기구(30)의 후단면이 내통(5)의 전단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심 케이스(19)는, 중계 부재(12) 및 회전 구동 기구(30)의 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구동 기구(30)와는 이간하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회전자(40)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1 캠 형성 부재인 상부 캠 형성 부재(41)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 캠 형성 부재인 하부 캠 형성 부재(42)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실린더 부재(43)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토크 캔슬러(canceller)(44)와, 코일 모양의 쿠션 스프링(45)을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이들 부재가 일체로 되고, 유닛화되어 있다.
회전자(40)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중계 부재(12)의 후단부의 외주면이 감합하고 있다. 회전자(40)의 전단부 근방은, 약간만 지름이 큰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을 가지며, 해당 부분의 후단면에는 제1 캠면(40a)이 형성되고, 해당 부분의 전단면에는 제2 캠면(40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캠 형성 부재(41)는,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의 후방에서, 회전자(40)를 회동 가능하게 포위하고 있다. 하부 캠 형성 부재(42)는,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감합하고 있다.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에 대향하는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전단면에는, 제1 고정 캠면인 고정 캠면(41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에 대향하는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전단부 내면에는, 제2 고정 캠면인 고정 캠면(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실린더 부재(43)가 감합하고 있다. 실린더 부재(43)의 후단부에는, 심 케이스(19)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삽통공(揷通孔)(43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43) 내에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토크 캔슬러(44)가 배치되어 있다. 토크 캔슬러(44)의 전단부 내면과 실린더 부재(43)의 후단부 내면과의 사이에는, 쿠션 스프링(45)이 배치되어 있다. 쿠션 스프링(45)은, 토크 캔슬러(44)를 매개로 하여, 회전자(40)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여기서, 중계 부재(12)는, 필기 동작에 근거하는 필기심(7)의 후퇴 및 전진 동작(쿠션 동작)을 회전 구동 기구(30), 즉 회전자(40)에 전달함과 아울러, 쿠션 동작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의 볼 척(11)에 전달한다. 따라서, 볼 척(11)에 유지된 필기심(7)도 회전한다.
샤프 펜슬(1)로 필기하고 있을 때 이 외에, 즉,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지 않을 때, 회전자(40)는, 토크 캔슬러(44)를 매개로 한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은, 제2 고정 캠면(42a)에 맞닿아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샤프 펜슬(1)로 필기하고 있을 때, 즉,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 볼 척(11)은,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이것에 따라서 회전자(40)도 후퇴한다. 따라서,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은, 제1 고정 캠면(41a)에 맞닿아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도 6은, 도 1의 샤프 펜슬(1)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 작용을, 순서대로 쫓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7은, 도 6에 이어지는 회전자(40)의 회전 구동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회전자(40)의 상측의 면인 후단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1 캠면(40a)이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자(40)의 하측의 면인 전단면에는, 마찬가지로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2 캠면(40b)이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에 대치하는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링 모양의 단면(端面)에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 캠면(41a)이 형성되고,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에 대치하는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링 모양의 단면에도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 캠면(42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40)에 형성된 제1 캠면(40a) 및 제2 캠면(40b)의 각 캠면과, 상부 캠 형성 부재(41)에 형성된 제1 고정 캠면(41a) 및 하부 캠 형성 부재(42)에 형성된 제2 고정 캠면(42a)의 각 캠면은, 피치가 서로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는,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지 않을 때의 상태에서의 회전자(40), 상부 캠 형성 부재(41) 및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자(40)에 형성된 제2 캠면(40b)은,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대해서 맞닿아 있다. 이 때,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과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이, 축선 방향에서 캠의 하나의 치(齒)에 대해서 반(半)위상(반피치) 어긋난 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의 (B)는, 샤프 펜슬(1)에 의한 필기를 위해서,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진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자(40)는, 볼 척(11)의 후퇴에 따라서 쿠션 스프링(45)을 수축시켜 후퇴한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6의 (C)는, 필기심(7)에 필기압이 더 가해져, 회전자(40)가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에 맞닿아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은, 상부 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에 서로 맞물려 있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제1 캠면(40a)의 하나의 치(齒)의 반위상(반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받는다.
또, 도 6 및 도 7에서의 회전자(40)의 중앙부에 그린 ○표는, 회전자(40)의 회전 이동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과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이, 축선 방향에서 캠의 하나의 치(齒)에 대해서 반위상(반피치) 어긋난 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D)는, 샤프 펜슬(1)에 의한 필기가 끝나고, 필기심(7)에 대한 필기압이 해제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자(40)는,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진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40)는 하부 캠 형성 부재(42)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7의 (E)는, 회전자(40)가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맞닿아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은, 하부 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서로 맞물려 있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제2 캠면(40b)의 하나의 치의 반위상(반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다시 받는다.
따라서, 회전자(40)의 중앙부에 그린 ○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압을 받은 회전자(40)의 축선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즉 전후 이동에 따라서, 회전자(40)는, 제1 캠면(40a) 및 제2 캠면(40b)의 하나의 치(1 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받고, 볼 척(11)을 매개로 하여, 이것에 파지된 필기심(7)도 마찬가지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필기에 의한 회전자(40)의 축선 방향으로의 1회의 전후 이동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캠의 하나의 치에 대응하는 회전 운동을 받고, 이것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7)은 순차 회전 구동된다. 그럼으로써, 써 나감에 따라서 필기심(7)이 치우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묘선의 굵기나 묘선의 농도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자(40)를 전방으로 밀어 내는 토크 캔슬러(44)는, 그 전단면과 회전자(40)의 후단면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발생시켜,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이 쿠션 스프링(4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토크 캔슬러(44)에 의해서,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이 쿠션 스프링(4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의 회전 동작을 저해하는 쿠션 스프링(45)의 디토션(detorsion)(토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샤프 펜슬(1)은, 볼 척(11)과 회전자(40)를 가지며, 볼 척(11)의 전후 이동에 의해 필기심(7)의 해제 및 파지를 행함으로써, 필기심(7)을 전방으로 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볼 척(11)이,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에서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축통(6) 내에 유지됨과 아울러, 필기심(7)의 필기압에 의한 볼 척(11)을 매개로 한 회전자(40)의 전후 이동에 의해 회전자(40)를 회전시키고,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볼 척(11)을 매개로 하여 필기심(7)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심 조출 기구 및 조출량 조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심 조출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필기심(7)을 전방으로 조출하도록 작용한다.
도 8은, 다이얼 캠 부재(50)의 사시도이다. 다이얼 캠 부재(50)는, 도 8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이얼 캠 부재(5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미끄럼 방지로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파지부(50a)와, 파지부(50a)의 후방에서 파지부(50a)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소경부(50b)와, 소경부(50b)로 형성된 플랜지부(50c)와, 플랜지부(50c)의 후단면에 형성된 2개의 감합 돌기(50d)와, 소경부(50b)의 후단면에 형성된 캠 형성부인 다이얼 캠(51)을 가지고 있다. 2개의 감합 돌기(50d)는, 중심축선 둘레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이얼 캠(51)은, 소경부(50b)의 후단면, 즉 다이얼 캠 부재(50)의 후단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이얼 캠(51)은, 오목부에 마련된 3개의 저면에 의해서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장 깊은 오목부의 저면이 제1 캠 저면(51a)이고, 다음으로 깊은 오목부의 저면이 제2 캠 저면(51b)이며, 다음으로 깊은 오목부의 저면이 제3 캠 저면(51c)이다. 제1 캠 저면(51a), 제2 캠 저면(51b) 및 제3 캠 저면(51c)의 저면 각각의 길이, 즉 둘레 방향을 따른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소경부(50b)의 후단면에는, 동일한 오목부, 즉 다이얼 캠(51)이, 중심축선 둘레로 대칭적으로, 더 형성되어 있다. 실제로 캠으로서 기능하는 것은, 어느 일방의 오목부에 형성된 다이얼 캠(51)이고, 조립시에 임의로 선택된다. 또, 소경부(50b)의 후단면도, 후단 캠면(51d)으로서, 다이얼 캠(51)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9는, 레일 캠 부재(60)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레일 캠 부재(60)의 다른 사시도이다. 레일 캠 부재(60)는, 도 9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레일 캠 부재(60)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레일 캠 부재(60)의 전단면에는, 중심축선 둘레로 대칭적으로 2개의 조정 오목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오목부(60a) 각각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병렬하는 4개의 감합 오목부(60b)로 이루어진다.
레일 캠 부재(60)의 후단면에는, 고리 모양의 둘레벽(60c)과, 둘레벽(60c)보다도 지름 방향 내측에 형성되고 또한 후방에 면(面)한 레일 캠(61)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 캠(61)은, 평탄한 고리 모양 캠면(62)과, 고리 모양 캠면(62)에 계단 모양으로 형성된 오목부(63)를 가지고 있다. 고리 모양 캠면(62)은,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다. 오목부(63)는, 2개의 저면에 의해서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깊은 오목부의 저면이 제1 저면(63a)이고, 보다 얕은 오목부의 저면이 제2 저면(63b)이다. 제1 저면(63a)의 길이, 즉 둘레 방향을 따른 길이는, 제2 저면(63b)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제1 캠 저면(51a), 제2 캠 저면(51b) 및 제3 캠 저면(51c)의 저면 각각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도 11은, 조립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의 사시도이다.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는, 도 11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고리 모양의 레일 캠 부재(60)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소경부(50b)의 후단부에 삽입되고, 플랜지부(50c)에 의해서 걸려짐으로써, 조립된다. 즉, 다이얼 캠 부재(50)의 플랜지부(50c)의 후단면에, 레일 캠 부재(60)의 전단면이 맞닿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플랜지부(50c)에 마련된 감합 돌기(50d) 각각이, 레일 캠 부재(60)의 조정 오목부(60a) 중 어느 하나의 감합 오목부(60b)에 감합한다. 따라서, 레일 캠 부재(60)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후단면은, 레일 캠 부재(60)의 고리 모양 캠면(62)의 지름 방향 내측에서 인접한 상태에서 대략 면일(面一, 단차 없음)로 배치된다. 또, 다이얼 캠 부재(50)의 다이얼 캠(51)은, 레일 캠 부재(60)의 오목부(63)의 근방에 배치된다. 그것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50), 구체적으로는 캠 형성부인 다이얼 캠(51), 및, 레일 캠 부재(60), 구체적으로는 레일 캠(61),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63)는, 협동하여, 둘레 방향에서 일련의, 즉 고리 모양의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는, 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더(9)의 선단부(9a) 및 중간부(9b)의 외측에 배치된다. 다이얼 캠 부재(50)의 일부 및 레일 캠 부재(60)는, 입구 부재(4)에 의해서 외주면이 덮여져 있다. 입구 부재(4)의 전단부 내면과 다이얼 캠 부재(50)의 플랜지부(50c)와의 사이에는, O링(80)이 배치되어 있다. 또,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의 맞닿음자(9c)는, 조출 캠면(70)에 대해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는, 레일 캠 부재(60)의 후단면인 둘레벽(60c)의 꼭대기면이, 전축(2)의 전단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레일 캠 부재(60)의 외주면은, 입구 부재(4)의 내주면과 맞물리고, 레일 캠 부재(60)의 입구 부재(4), 나아가서는 축통(6)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조출 캠면(70)의 형상은,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를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방의 손으로 축통(6)을 파지하고 또한 타방의 손으로 축통(6)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파지부(50a)를 파지하면서, 축통(6)에 대해서 다이얼 캠 부재(50)를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킨다. 레일 캠 부재(60)는, 축통(6)에 대해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다이얼 캠 부재(50)가,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한다.
레일 캠 부재(60)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50)의 회전은,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d)가, 대응하는 레일 캠 부재(60)의 하나의 제1 감합 오목부(60b) 로부터 인접하는 감합 오목부(60b)로 이동하여 감합하도록,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레일 캠 부재(60)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50)의 중심축선 둘레의 회전은,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d)가 이동 가능한 레일 캠 부재(60)의 조정 오목부(60a)의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d)가 감합하는 레일 캠 부재(60)의 감합 오목부(60b)의 위치에 따라서, 레일 캠 부재(60)의 레일 캠(61)과, 구체적으로는 오목부(63)와, 다이얼 캠 부재(50)의 다이얼 캠(51)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고, 그 결과, 조출 캠면(70)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O링(80)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가압되고, 레일 캠 부재(60)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50)의 단계적인 회전시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조출 캠면(70)의 형상의 변경에 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더 설명한다.
도 12는, 조출량이 클 때의 조출 캠면(7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3은, 조출량이 작을 때의 조출 캠면(7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조출 캠면(70)을 포함하는 중심축선 둘레의 원통면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레일 캠(61)의 제1 저면(63a)과 다이얼 캠(51)의 제1 캠 저면(51a)이 지름 방향에서 정렬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어 있다. 환언하면, 레일 캠(61)의 제1 저면(63a)과 다이얼 캠(51)의 제1 캠 저면(51a)이 지름 방향에서 정렬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d)와 레일 캠 부재(60)의 감합 오목부(60b)가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이얼 캠(51)의 제1 캠 저면(51a)은, 레일 캠(61)의 제1 저면(63a)과 동일 평면 상에 있거나, 제1 저면(63a)보다도 약간만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얼 캠(51)의 제1 캠 저면(51a) 또는 오목부(63)의 제1 저면(63a)과, 오목부(63)의 제2 저면(63b)과, 고리 모양 캠면(62)이,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또, 조출 캠면(70)에서의 오목부(63) 내의 축선 방향의 단차(71)(낙차)의 높이(고저차)를 단차 높이(H)로 한다. 도 12에서, 단차 높이(H)는, 레일 캠(61)의 고리 모양 캠면(62)과, 다이얼 캠 부재(50)의 제1 캠 저면(51a) 또는 오목부(63)의 제1 저면(63a)과의 사이의 거리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레일 캠(61)의 제1 저면(63a)과 다이얼 캠(51)의 제3 캠 저면(51c)이 지름 방향에서 정렬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어 있다. 다이얼 캠(51)의 후단 캠면(51d)은, 레일 캠(61)의 고리 모양 캠면(62)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따라서, 다이얼 캠(51)의 제3 캠 저면(51c)과, 후단 캠면(51d)과, 고리 모양 캠면(62)이,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도 13에서, 단차 높이(H)는, 레일 캠(61)의 고리 모양 캠면(62)과, 다이얼 캠 부재(50)의 제3 캠 저면(51c)과의 사이의 거리이다.
마찬가지로, 레일 캠(61)의 제1 저면(63a)과 다이얼 캠(51)의 제2 캠 저면(51b)이 지름 방향에서 정렬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얼 캠(51)의 제2 캠 저면(51b)과, 오목부(63)의 제2 저면(63b)과, 고리 모양 캠면(62)이,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이 때, 단차 높이(H)는, 레일 캠(61)의 고리 모양 캠면(62)과, 다이얼 캠 부재(50)의 제2 캠 저면(51b)과의 사이의 거리이다.
마찬가지로, 레일 캠(61)의 제1 저면(63a)과 다이얼 캠(51)의 후단 캠면(51d)이 지름 방향에서 정렬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이얼 캠(51)의 후단 캠면(51d)과, 고리 모양 캠면(62)이,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이 때, 다이얼 캠(51)의 후단 캠면(51d)은, 레일 캠(61)의 고리 모양 캠면(62)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있기 때문에, 단차 높이(H)는, 제로이다.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는, 필기심(7)의 쿠션 동작에 근거하여 슬라이더(9)를 서서히 회전 구동한다. 즉, 슬라이더(9)의 선단부(9a)를 앞으로 하여 보았을 때, 슬라이더(9)는 중심축선 둘레로 우회전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더(9)의 맞닿음자(9c)는, 조출 캠면(70)과 협동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맞닿음자(9c)와 조출 캠면(70)과의 관계, 및, 필기심(7)의 조출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조출 캠면(70)과 맞닿음자(9c)의 선단부의 이동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조출 캠면(70)에서의 맞닿음자(9c)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조출 캠면(70)을 포함하는 중심축선 둘레의 원통면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한 것에 대해, 맞닿음자(9c)의 선단의 이동의 궤적(T)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도 14에서는, 도 12에 나타내어진 조출 캠면(70)의 상태를 예로 하고 있다. 도 14에서, 맞닿음자(9c)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자(40)는, 상부 캠 형성 부재(41) 및 하부 캠 형성 부재(42) 사이를, 캠면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맞닿음자(9c)의 선단은, 도 14의 화살표에 나타내어진 궤적(T)을 더듬어 간다.
먼저, 맞닿음자(9c)는, 조출 캠면(70)의 고리 모양 캠면(62)을 따라서 이동한다. 다음으로, 맞닿음자(9c)는,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의해서 압압 되고, 오목부(63) 내에 빠져, 다이얼 캠(51)의 제1 캠 저면(51a)에 맞닿을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한다. 즉, 슬라이더(9)는, 단차(71)의 단차 높이(H)분만큼, 고리 모양 캠면(62)으로부터 보다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더(9)의 내부에 배치된 유지 척(10)도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유지 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은, 볼 척(11)으로부터 인출되고, 상대적으로 선단 파이프(8)로부터 단차 높이(H)분만큼 조출된다. 따라서, 조출되는 필기심(7)의 양, 즉 조출량은, 단차 높이(H)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맞닿음자(9c)는, 필기심(7)의 쿠션 동작에 따라서, 계단 모양의 오목부(63), 구체적으로는 제2 저면(63b)을 오르도록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고리 모양 캠면(62)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맞닿음자(9c)는, 다시, 조출 캠면(70)의 고리 모양 캠면(62)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조출 캠면(70)을 따라서 맞닿음자(9c)가 1주(周)할 때마다 필기심(7)을 선단 파이프(8)로부터 조출할 수 있다. 이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 필기 동작에 따라 필기심(7)이 마모되면서, 필기심(7)이 순차적으로 조출된다.
요컨데, 심 조출 기구에서는, 맞닿음자(9c)가 회전자(40)의 회전에 따라 조출 캠면(70)을 따라서 이동하고, 맞닿음자(9c)가 조출 캠면(70)의 단차(71)에 빠질 때의 슬라이더(9)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유지 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이 볼 척(1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심 조출 기구가 조출 캠면(70)의 단차(7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필기심(7)의 조출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캠면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맞닿음자는, 마찰 저항에 더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의 분력도 받아,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에서는, 고리 모양 캠면(62)이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의 분력을 받지 않아,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이 그것에 의해서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작이 확실한 정밀도가 높은 필기심(7)의 조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샤프 펜슬(1)은,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볼 척(11)에 유지된 필기심(7)도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써 나아감에 따라서 필기심(7)이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묘선의 굵기나 묘선의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출량 조정 기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를 단순히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출 캠면(70)에서의 단차(71)의 단차 높이(H)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심 조출 기구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량의 조정을 보다 간편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 다른 필기압이나 이용되는 필기심(7)의 경도 등의 차이에 의한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와, 필기심(7)의 조출량이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하면, 필기 동작에도 불구하고 선단 파이프(8)로부터의 필기심(7)의 돌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 펜슬(1)에서는, 한 번의 노크 조작으로, 길게 계속 쓸 수 있다. 통상 상정(想定)되는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를 넘는 길이에 상당하는 단차 높이(H)를 가지는 단차(71)가 형성되도록, 다이얼 캠(5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서, 모든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필기심(7)의 조출량으로 설정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71)의 단차 높이(H)를, 고리 모양 캠면(62)과, 제1 캠 저면(51a), 제2 캠 저면(51b), 제3 캠 저면(51c) 또는 후단 캠면(51d)과의 사이의 거리로서, 4 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각의 단차 높이(H)를, 0.15mm, 0.10mm, 0.05mm 또는 0mm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필기압이 강하고,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가 보다 큰 사용자는, 단차 높이(H)가 0.15mm가 되도록 조출량 조정 기구를 조정하고, 필기압이 약하고,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가 보다 작은 사용자는, 단차 높이(H)가 0.05mm가 되도록 조출량 조정 기구를 조정할 수 있다. 게다가, 필기심(7)의 자동적인 조출을 좋아하지 않고, 스스로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7)을 조출하고 싶은 사용자는, 단차 높이(H)가 0mm(제로)가 되도록 조출량 조정 기구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캠(51)은, 후단면의 오목부에 마련된 3개의 저면에 의해서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2개의 저면 또는 4개 이상의 저면에 의해서 다이얼 캠(51)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저면의 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심 조출 기구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량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저면의 수가 많을수록, 보다 세세한 단위로, 예를 들면, 0.02mm 단위로 단차 높이(H)를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세세한 조출량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또, 조출 캠면(70)에서의 오목부(63)에 대응하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오목부에 저면을 1개만 마련하고,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다이얼 캠 부재(50)를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괜찮다. 이 경우, 레일 캠 부재(60)에 대해서 다이얼 캠 부재(50)를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즉,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단차 높이(H)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단차 높이(H)를 무(無)단계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해도 괜찮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는, 1개의 단에 의해서 형성되었지만, 마찬가지의 고저차가 얻어지고 또한 필기심(7)이 조출되는 한, 복수의 단에 의해서 형성되어도 괜찮다. 또, 단차는, 동일한 고저차가 얻어지고 또한 필기심(7)이 조출되는 한, 단을 대신하여, 평탄한 경사면이나 곡면이라도 좋다. 고리 모양 캠면에 고저차를 형성하는 구성을 총칭하고, 「낙차」라고 한다.
도 15는, 다른 조출 캠면(7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레일 캠(61)의 오목부(63)와 협동하여 조출 캠면(70)을 구성하는 캠 형성부인 다이얼 캠(51)은, 계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이얼 캠(51)을, 슬로프 모양 또는 나선 모양과 같은, 둘레 방향을 따른 경사면(51e)으로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d)와 레일 캠 부재(60)의 감합 오목부(60b)와의 감합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를 중심축선 둘레로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무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단차(71)의 단차 높이(H)를 무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세세한 조출량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캠 부재(50)가 제1 캠 부재로서 원통 모양의 부재이었지만, 고리 모양의 부재라도 괜찮다. 또, 레일 캠 부재(60)가 제2 캠 부재로서 고리 모양의 부재이었지만, 원통 모양의 부재라도 괜찮다. 제1 캠 부재에 레일 캠(61)을 마련하고, 제2 캠 부재에 다이얼 캠(51)을 마련해도 좋다. 즉, 고리 모양 또는 통 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 모양 또는 통 모양의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조출 캠면이 구성되도록 해도 괜찮다.
따라서,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 중 일방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 중 타방에 캠 형성부가 형성되며, 오목부와 캠 형성부가 협동하여 조출 캠면이 구성되도록 해도 괜찮다.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를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단차의 단차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단차의 단차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조출량 조정 기구에 의해서 심 조출 기구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량이 조정되었지만, 조출량 조정 기구를 생략해도 괜찮다. 즉,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고리 모양 캠면과, 고리 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소정의 단차를 가지는 조출 캠면을 구비한 캠 부재를 축통에 대해서 장착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다이얼 캠 부재(50)를 생략하고, 레일 캠 부재(60)만을 가지는 구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고리 모양 캠면(62)은,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이었지만, 링 모양의 단면(端面)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마련된, 슬로프 모양 또는 나선 모양과 같은 캠면이라도 좋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다른 심 조출 기구 및 조출량 조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심 조출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필기심(7)을 전방으로 조출하도록 작용한다.
도 16은, 다이얼 캠 부재(150)의 사시도이다. 다이얼 캠 부재(150)는, 도 16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이얼 캠 부재(15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축선 방향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파지부(150a)와, 파지부(150a)의 후방에서 파지부(150a)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소경부(150b)와, 소경부(150b)의 전방에 형성된 플랜지부(150c)와, 플랜지부(150c)의 후단면에 형성된 2개의 감합 돌기(150d)와, 소경부(150b)의 후단면에 형성된 다이얼 캠(151)을 가지고 있다. 2개의 감합 돌기(150d)는, 중심축선 둘레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파지부(150a)의 전방은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지부(150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걸림 돌기(150e)가, 중심축선 둘레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 캠(151)은, 링 모양의 단면(端面)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마련된, 슬로프 모양 또는 나선 모양과 같은, 제1 경사면(151a)과, 제1 경사면(151a)의 출발점(저위치)과 최종점(고위치)과의 사이에서 축선 방향에 마련된 제1 단차(151b)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단차(151b)가 제1 경사면(151a)의 출발점과 최종점을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7은, 레일 캠 부재(160)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레일 캠 부재(160)의 다른 사시도이다. 레일 캠 부재(160)는, 도 17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레일 캠 부재(160)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레일 캠 부재(160)의 전단면에는, 중심축선 둘레로 대칭적으로 2개의 조정 오목부(160a)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오목부(160a) 각각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병렬하는 동일 깊이의 오목부인 6개의 제1 감합 오목부(160b)와, 제1 감합 오목부(160b)보다도 얕은 오목부인 1개의 제2 감합 오목부(160c)로 이루어진다.
레일 캠 부재(160)의 후단면에는, 레일 캠(161)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 캠(161)은, 링 모양의 단면(端面)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마련된, 슬로프 모양 또는 나선 모양과 같은, 고리 모양 캠면인 제2 경사면(161a)과, 제2 경사면(161a)의 출발점(저위치)과 최종점(고위치)과의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마련된 제2 단차(161b)를 가지고 있다. 즉, 제2 단차(161b)가 제2 경사면(161a)의 출발점과 최종점을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레일 캠(161)의 제2 경사면(161a)은,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보다도 급구배이다. 레일 캠(161)의 제2 단차(161b)의 높이는, 다이얼 캠(151)의 제1 단차(151b)의 높이보다도 높다.
도 19는, 조립된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의 사시도이며, 도 20은, 조립된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의 다른 사시도이다.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는, 도 19 및 도 20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고리 모양의 레일 캠 부재(160)는, 다이얼 캠 부재(150)의 소경부(150b)의 후단부에 삽입되고, 플랜지부(150c)에 의해서 걸려짐으로써, 조립된다. 즉, 다이얼 캠 부재(150)의 플랜지부(150c)의 후단면에, 레일 캠 부재(160)의 전단면이 맞닿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캠 부재(150)의 플랜지부(150c)에 마련된 감합 돌기(150d) 각각이, 레일 캠 부재(160)의 조정 오목부(160a) 중 어느 하나의 제1 감합 오목부(160b) 또는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감합된다. 따라서, 레일 캠 부재(160)는 다이얼 캠 부재(150)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에서, 감합 돌기(150d)는,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인접하는 제1 감합 오목부(160b)에 감합하고 있다. 또, 도 20에서, 감합 돌기(150d)는,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감합하고 있다.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다이얼 캠 부재(150)의 다이얼 캠(151)은, 레일 캠 부재(160)의 레일 캠(161)의 근방에 배치된다. 그것에 의해서, 다이얼 캠(151) 및 레일 캠(161)은, 협동하여, 둘레 방향에서 일련의, 즉 고리 모양의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는, 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더(9)의 선단부(9a) 및 중간부(9b)의 외측에 배치된다. 다이얼 캠 부재(150)의 일부 및 레일 캠 부재(160)는, 입구 부재(4)에 의해서 외주면이 덮여져 있다. 입구 부재(4)의 전단부 내면과 다이얼 캠 부재(150)의 플랜지부(150c)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또,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9)의 맞닿음자(9c)는, 조출 캠면(70)에 대해서 맞닿는 상태를 유지한다.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는, 레일 캠 부재(160)의 후단면이, 전축(2)의 전단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레일 캠 부재(160)의 외주면은, 입구 부재(4)의 내주면과 맞물리고, 레일 캠 부재(160)의 입구 부재(4), 나아가서는 축통(6)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조출 캠면(70)의 형상은,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을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방의 손으로 축통(6)을 파지하고 또한 타방의 손으로 축통(6)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이얼 캠 부재(150)의 파지부(150a)를 파지하면서, 축통(6)에 대해서 다이얼 캠 부재(150)를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킨다. 레일 캠 부재(160)는, 축통(6)에 대해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해서 다이얼 캠 부재(150)가,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한다.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150)의 회전은, 다이얼 캠 부재(150)의 감합 돌기(150d)가, 대응하는 레일 캠 부재(160)의 인접하는 제1 감합 오목부(160b) 또는 제2 감합 오목부(160c) 사이에서 이동하여 감합하도록,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150)의 중심축선 둘레의 회전은, 다이얼 캠 부재(150)의 감합 돌기(150d)가 이동 가능한 레일 캠 부재(160)의 조정 오목부(160a)의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다이얼 캠 부재(150)의 감합 돌기(150d)가 감합하는 레일 캠 부재(160)의 제1 감합 오목부(160b) 또는 제2 감합 오목부(160c)의 위치에 따라서, 레일 캠 부재(160)의 레일 캠(161)과 다이얼 캠 부재(150)의 다이얼 캠(151)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고, 그 결과, 조출 캠면(70)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150)가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해서 가압되고,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150)의 단계적인 회전시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조출 캠면(70)의 형상의 변경에 관하여,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서, 더 설명한다.
도 21은, 도 19의 조출 캠면(7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조출 캠면(7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조출 캠면(70)을 포함하는 중심축선 둘레의 원통면을 둘레 방향으로 전개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과 레일 캠(161)의 제2 경사면(161a)이 지름 방향에서 중첩적으로 배치되도록, 다이얼 캠 부재(150)가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어 있다. 도 21에서,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 및 레일 캠(161)의 제2 경사면(161a) 중에서 보다 후방, 즉 도면 중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일련의 면이,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즉, 제1 경사면(151a)과 제2 경사면(161a)이 협동하여 조출 캠면(70)을 구성한다. 또, 조출 캠면(70)에서,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과 레일 캠(161)의 제2 단차(161b)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선 방향의 단차(71)(낙차)의 높이(고저차)를, 단차 높이(H)로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21에 나타내어진 조출 캠면(70)과 비교하여, 레일 캠(161)의 제2 경사면(161a)이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에 대해서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다이얼 캠 부재(150)가 레일 캠 부재(16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어 있다. 즉, 도 2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감합 돌기(150d)는, 제1 감합 오목부(160b)와 비교해서 얕은 오목부인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감합하고 있다. 따라서, 레일 캠(161)은, 다이얼 캠(151)에 대해서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한편, 감합 돌기(150d)가, 동일 깊이의 오목부인 6개의 제1 감합 오목부(160b)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레일 캠(161)은, 다이얼 캠(151)에 대해서 축선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있다.
단차 높이(H)에 주목하면, 감합 돌기(150d)가, 조정 오목부(160a)에서 제2 감합 오목부(160c)로부터 가장 먼 제1 감합 오목부(160b)에 감합하고 있을 때, 단차 높이(H)는 가장 작다. 감합 돌기(150d)가,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보다 가까운 제1 감합 오목부(160b)에 감합하면,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의 경사에 따라 비례적으로 단차 높이(H)가 커진다. 즉, 감합 돌기(150d)가 인접하는 제1 감합 오목부(160b) 사이를 이동할 때, 단차 높이(H)의 변화량은 일정하다. 감합 돌기(150d)가,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인접하는 제1 감합 오목부(160b)에 감합하고 있는 도 19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제2 감합 오목부(160c)에 감합하고 있는 도 20에 나타내어진 상태로 이동할 때, 단차 높이(H)의 변화량이 최대가 된다.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는, 필기심(7)의 쿠션 동작에 근거하여 슬라이더(9)를 서서히 회전 구동한다. 즉, 슬라이더(9)의 선단부(9a)를 앞으로 하여보았을 때, 슬라이더(9)는 중심축선 둘레로 우회전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더(9)의 맞닿음자(9c)는, 조출 캠면(70)과 협동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슬라이더(9)의 맞닿음자(9c)는, 조출 캠면(70)을 구성하는 다이얼 캠(151)의 제1 경사면(151a) 또는 레일 캠(161)의 제2 경사면(161a)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더(9)는 서서히 후퇴한다.
맞닿음자(9c)가 단차(71)에 이르면,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의해서 압압되고, 단차(71)에 빠진다. 즉, 슬라이더(9)는, 단차(71)의 단차 높이(H)분만큼, 레일 캠(161)의 제2 경사면(161a)으로부터 보다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더(9)의 내부에 배치된 유지 척(10)도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유지 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은, 볼 척(11)으로부터 인출되고, 상대적으로 선단 파이프(8)로부터 단차 높이(H)분만큼 조출된다. 따라서, 조출되는 필기심(7)의 양, 즉 조출량은, 단차 높이(H)와 동일하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조출 캠면(70)을 따라서 맞닿음자(9c)가 1주할 때마다 필기심(7)을 선단 파이프(8)로부터 조출할 수 있다. 이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 필기 동작에 따라 필기심(7)이 마모되면서, 필기심(7)이 순차적으로 조출된다.
요컨데, 심 조출 기구에서는, 맞닿음자(9c)가 회전자(40)의 회전에 따라 조출 캠면(70)을 따라서 이동하고, 맞닿음자(9c)가 조출 캠면(70)의 단차(71)에 빠질 때의 슬라이더(9)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유지 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이 볼 척(1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심 조출 기구가 조출 캠면(70)의 단차(71)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필기심(7)의 조출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조출 캠면(70)에 고저차를 형성하는 구성을 총칭하여, 「낙차(落差)」라고 한다.
또, 샤프 펜슬(1)은,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볼 척(11)에 유지된 필기심(7)도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써 나아감에 따라서 필기심(7)이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묘선의 굵기나 묘선의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데, 회전 구동 기구(30)는, 회전자(40)를 가지며, 볼 척(11)에 파지된 필기심(7)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회전자(40)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또, 조출량 조정 기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 캠 부재(150) 및 레일 캠 부재(160)을 단순히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출 캠면(70)에서의 단차(71)의 단차 높이(H)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심 조출 기구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량의 조정을 보다 간편하게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 다른 필기압이나 이용되는 필기심(7)의 경도 등의 차이에 의한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와, 필기심(7)의 조출량이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하면, 필기 동작에도 불구하고 선단 파이프(8)로부터의 필기심(7)의 돌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 펜슬(1)에서는, 한 번의 노크 조작으로, 길게 계속 쓸 수 있다. 통상 상정되는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를 넘은 길이에 상당하는 단차 높이(H)를 가지는 단차(71)가 형성되도록, 다이얼 캠(15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서, 모두의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필기심(7)의 조출량으로 설정 가능해진다.
특히, 조정 오목부(60a)가, 제1 감합 오목부(60b)보다도 얕은 오목부인 제2 감합 오목부(60c)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의 상대적인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그 외의 회전 위치와 비교해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를 축선 방향에서 이간시킬 수 있다. 환언하면, 다이얼 캠 부재(50)가 감합 돌기를 가지며, 레일 캠 부재(60)가 감합 돌기와 감합 가능한 복수의 감합 오목부를 가지며, 복수의 감합 오목부 중 1개가, 상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60)를 축선 방향에서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단차(71)의 단차 높이(H)를, 비례적이지 않고 극단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조출량을 극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다 강한 필기압으로 필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필기압보다도 필기심(7)의 마모량이 크고, 이러한 경우에, 조출량을 극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한 번의 노크 조작으로, 길게 계속 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캠 부재(150)가 제1 캠 부재로서 원통 모양의 부재이었지만, 고리 모양의 부재라도 괜찮다. 또, 레일 캠 부재(160)가 제2 캠 부재로서 고리 모양의 부재이었지만, 원통 모양의 부재라도 좋다. 제1 캠 부재에 레일 캠(161)을 마련하고, 제2 캠 부재에 다이얼 캠(151)을 마련해도 좋다. 즉, 고리 모양 또는 통 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 모양 또는 통 모양의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조출 캠면이 구성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즉 축선 방향에서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단차의 단차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괜찮다.
그런데,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맞닿음자를 확실히 캠면에 맞닿게 하기 위해, 슬라이더가 스프링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심 조출 기구를 가지지 않는, 회전 구동 기구를 구비한 샤프 펜슬과 비교해서, 스프링의 가압력의 분(分)만큼, 높은 필기압이 필요하게 된다. 또, 맞닿음자가 스프링에 의해서 캠면에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한 슬라이더의 회전시에 마찰 저항이 생긴다. 그 때문에,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 캠면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 저항에 더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의 분력도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것에 대해, 샤프 펜슬(1)에서는, 심 조출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하 상술한다.
샤프 펜슬(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후단이, 중계 부재(12)의 플랜지부(12a)에 대해서 장착되고,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전단이, 슬라이더(9)의 후단부의 내벽에 장착되어 있다. 또, 회전자(40)에 연결된 중계 부재(12)는,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의 볼 척(11)에 대해서 전달하지만, 슬라이더(9)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즉, 슬라이더(9)는, 중계 부재(12)의 전단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중계 부재(12)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연결은 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회전 구동 기구(30)에서의 회전자(40)로부터 슬라이더(9)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은, 캠 맞닿음 스프링(18)을 통해서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맞닿음자(9c)를 캠면에 맞닿게 하도록 기능함과 아울러, 비틀림 스프링(토션 스프링)으로서도 기능한다. 그 때문에, 회전자(40)에 연결된 중계 부재(12)의 회전시에, 슬라이더(9)의 중심축선 둘레의 회전시에 저항이 없거나 또는 저항이 작은 경우에는, 중계 부재(12)의 회전에 추종하여 슬라이더(9)도 회전한다. 한편, 회전자(40)에 연결된 중계 부재(12)의 회전시에, 슬라이더(9)의 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에 저항이 큰 경우에는, 슬라이더(9)는 회전하지 않고, 캠 맞닿음 스프링(18)에 비틀림 방향의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궤적(T) 중, 맞닿음자(9c)가 계단 모양의 오목부(63) 내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을 따르는 직후, 즉 제2 저면(63b)을 오른 후의 영역(M)에서, 맞닿음자(9c)와 조출 캠면(70)과의 사이의 마찰 저항에 의한 마찰력이 최대가 된다.
먼저, 필기압을 해제하면, 맞닿음자(9c)가,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의해서, M1점에서 제2 저면(63b)에 맞닿는다. 이 때,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6의 (C)와 도 7의 (D)와의 사이의 상태이다.
다음으로,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7의 (E)(또는 도 6의 (A))의 상태로 천이하여, 회전자(40)가 회전한다. 이 때, 슬라이더(9)는, 제2 저면(63b)을 오른 높이분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 저면(63b)의 높이분만큼 캠 맞닿음 스프링(18)을 압축한다. 캠 맞닿음 스프링(18)이 압축되면,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의 반력으로서, 맞닿음자(9c)는, 보다 강한 힘으로 제2 저면(63b)에 대해서 압압된다. 따라서, 맞닿음자(9c)와 제2 저면(63b)과의 사이의 마찰력, 즉 동(動)마찰 력 및 정지 마찰력이 증대된다. 그 때문에, 회전 구동 기구(30)가 도 7의 (E) 의 상태로 천이해도, 맞닿음자(9c)는, M1점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슬라이더(9)는 회전하지 않고, 캠 맞닿음 스프링(18)에서 비틀림 방향의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다음으로, 다음의 필기압이 가해지면, 도 6의 (A)의 상태로부터 도 6의 (B)의 상태로 천이한다. 이 때, 필기심(7)을 통해서 중계 부재(12)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계 부재(12)에 연결된 캠 맞닿음 스프링(18)이 상대적으로 신장되고, 맞닿음자(9c)를 제2 저면(63b)에 대해서 압압하는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이 경감한다. 그 순간,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축적된 탄성 에너지의 해방에 의한 디토션의 토크가, 맞닿음자(9c)와 제2 저면(63b)과의 사이의 최대 정지 마찰력을 넘어, 맞닿음자(9c)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맞닿음자(9c)가, 제2 저면(63b)의 영역(M)을 마찰력에 저항하여 슬라이딩하여, M2점에 도달한다. 그것에 의해서, 슬라이더(9)의 회전의 위상은, 회전자(40)의 회전의 위상과 다시 일치하고, 맞닿음자(9c)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캠면을 따른 궤적(T)을 더듬어 가는 운동으로 복귀한다.
여기서, 만일, 영역(M)에서의 맞닿음자의 거동을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 적용하고, 맞닿음자를 가지는 슬라이더가 중계 부재를 매개로 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고려된다. 필기압을 해제하여, 캠 맞닿음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맞닿음자가 M1점에서 제2 저면에 맞닿으면, 증대된 동마찰력 및 정지 마찰력 때문에, M2점까지 슬라이딩할 수 없다. 따라서, 슬라이더에 연결된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이 저해되고, 필기심을 충분히 회전시킬 수 없다. 게다가,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에서의 고리 모양 캠면(62)에 상당하는 캠면은, 둘레 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는 캠면이다. 따라서, 맞닿음자는, 캠 맞닿음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캠면을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맞닿음자와 캠면과의 사이에서 보다 동마찰력 및 정지 마찰력이 증대되어,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이 보다 저해된다.
맞닿음자와 캠면과의 사이에서 동마찰력 및 정지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캠 맞닿음 스프링으로서 보다 작은 스프링 정수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캠 맞닿음 스프링의 가압력을 작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가압력이 작은 캠 맞닿음 스프링을 사용하면,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이 저해되지 않게 되지만, 심 조출 기구에서, 필기심을 조출하는 힘이 약해진다. 그 결과, 필기심이 조출되지 않게 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크기의 스프링 정수의 코일 스프링일 필요가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에서는, 필기심(7)을 조출하는 힘 또는 그것 이상의 힘이 얻어지는 스프링 정수를 가지는 코일 스프링을 캠 맞닿음 스프링(18)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 펜슬(1)에서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작이 확실한 정밀도가 높은 필기심(7)의 조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고리 모양 캠면(62)이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의 분력을 받지 않아,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이 그것에 의해서 저해되지 않는다.
요컨데,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샤프 펜슬에서는, 회전자로부터 슬라이더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강체(剛體)를 매개로 하여 행해지고 있는 것에 비해, 상술한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에서는, 회전자(40)로부터 슬라이더(9)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코일 스프링인 캠 맞닿음 스프링(18)을 매개로 하여, 즉 탄성 부재를 매개로 하여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마찰력 및 정지 마찰력의 증대시에는, 탄성 부재에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그 후, 동마찰력 및 정지 마찰력의 저감시에,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해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저해하지 않아, 슬라이더(9) 및 맞닿음자(9c)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또, 회전자(40)로부터 슬라이더(9)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탄성 부재로서 비틀림 방향의 탄성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으면 임의의 구성 및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로서, 비틀림 스프링 이외에, 예를 들면 통 모양의 엘라스토머라도 괜찮다.
1 : 샤프 펜슬 2 : 전축
3 : 후축 4 : 입구 부재
5 : 내통 6 : 축통
7 : 필기심 8 : 선단 파이프
9 : 슬라이더 9c : 맞닿음자
10 : 유지 척 11 : 볼 척
12 : 중계 부재 13 : 조임구
14 : 척 본체부 15 : 척 유지부
16 : 볼 17 : 코일 스프링
18 : 캠 맞닿음 스프링 19 : 심 케이스
20 : 노크봉 21 : 코일 스프링
22 : 지우개 23 : 노크 커버
30 : 회전 구동 기구 31 : 축 스프링
40 : 회전자 40a : 제1 캠면
40b : 제2 캠면 41 : 상부 캠 형성 부재
41a : 제1 고정 캠면 42 : 하부 캠 형성 부재
42a : 제2 고정 캠면 43 : 실린더 부재
44 : 토크 캔슬러 45 : 쿠션 스프링
50 : 다이얼 캠 부재 50a : 파지부
50b : 소경부 50c : 플랜지부
50d : 감합 돌기 51 : 다이얼 캠
51a : 제1 캠 저면 51b : 제2 캠 저면
51c : 제3 캠 저면 51d : 후단 캠면
60 : 레일 캠 부재 60a : 조정 오목부
60b : 감합 오목부 60c : 둘레벽
61 : 레일 캠 62 : 고리 모양 캠면
63 : 오목부 63a : 제1 저면
63b : 제2 저면 70 : 조출 캠면
71 : 단차(낙차) 80 : O링

Claims (15)

  1.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는 볼 척(chuck)과,
    회전자를 가지며, 상기 볼 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筆記壓)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상기 회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축선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고리 모양 캠면과, 상기 고리 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낙차(落差)를 가지는 조출(繰出) 캠면과,
    상기 조출 캠면에 맞닿는 맞닿음자(子) 및 필기심을 유지하는 유지 척을 가지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낙차에 빠질 때의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 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상기 볼 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2 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차의 높이를 조정하여 필기심의 조출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 중 일방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 중 타방에 캠 형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와 상기 캠 형성부가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는 샤프 펜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 형성부가 계단 모양 또는 슬로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는 샤프 펜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는 샤프 펜슬.
  7.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는 볼 척과,
    회전자를 가지며, 상기 볼 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상기 회전자를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고리 모양 캠면과, 상기 고리 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낙차를 가지는 조출 캠면과,
    상기 조출 캠면에 맞닿는 맞닿음자 및 필기심을 유지하는 유지 척을 가지고,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슬라이더와,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 모양 또는 원통 모양의 제2 캠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캠 부재와 상기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낙차에 빠질 때의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 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상기 볼 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낙차의 높이를 조정하여 필기심의 조출량이 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부재에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협동하여 상기 조출 캠면이 구성되는 샤프 펜슬.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중심축선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는 샤프 펜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의 상대적인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그 외의 회전 위치와 비교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가 축선 방향에서 이간하고 있는 샤프 펜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가 감합 돌기를 가지고, 상기 제2 캠 부재가 상기 감합 돌기와 감합 가능한 복수의 감합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감합 오목부 중 하나가, 상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축선 방향에서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
  13.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부재 및 상기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낙차의 높이가 조정되는 샤프 펜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7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척이,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
  15. 삭제
KR1020217019180A 2018-12-13 2020-02-20 샤프 펜슬 KR102560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3668 2018-12-13
JPJP-P-2019-086686 2019-04-26
JP2019086686A JP7262294B2 (ja) 2018-12-13 2019-04-26 シャープペンシル
PCT/JP2020/006910 WO2020217682A1 (ja) 2018-12-13 2020-02-20 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189A KR20210113189A (ko) 2021-09-15
KR102560350B1 true KR102560350B1 (ko) 2023-07-28

Family

ID=7110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180A KR102560350B1 (ko) 2018-12-13 2020-02-20 샤프 펜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84093B2 (ko)
EP (1) EP3960485A4 (ko)
JP (1) JP7262294B2 (ko)
KR (1) KR102560350B1 (ko)
CN (1) CN113573915B (ko)
TW (1) TWI818159B (ko)
WO (1) WO2020217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5864A (ja) * 2021-07-20 2023-02-01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23015881A (ja) * 2021-07-20 2023-02-01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664A (en) * 1975-12-18 1977-01-18 Kemal Butka Mechanical pencil with lead feed responsive to writing pressure
JPS59110679U (ja) * 1983-01-18 1984-07-26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US4838721A (en) * 1988-04-29 1989-06-13 Pentel Kabusiki Kaisha Automatic lead advance for mechanical pencils
JPH0872473A (ja) 1994-08-31 1996-03-19 Tombow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の芯送出機構
JPH08132782A (ja) 1994-11-08 1996-05-28 Tombow Pencil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の鉛芯保護構造
JPH10129182A (ja) * 1996-10-31 1998-05-19 Kotobuki Kk サイドノックシャープペンシル
US7654763B2 (en) * 2006-06-05 2010-02-02 Mitsubishi Pencil Co., Ltd. Mechanical pencil
EP2202089B1 (en) * 2007-10-26 2012-07-11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Mechanical pencil
JP2009184298A (ja) * 2008-02-08 2009-08-20 Masaharu Taguchi 棒状物の繰り出し容器
JP4847487B2 (ja) * 2008-03-26 2011-12-28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5215281B2 (ja) * 2009-12-03 2013-06-19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WO2012014832A1 (ja) * 2010-07-28 2012-02-02 ぺんてる株式会社 メカニカルペンシル
JP5738086B2 (ja) 2011-06-20 2015-06-17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101991528B1 (ko) * 2011-06-21 2019-06-20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샤프펜슬
JP5881104B2 (ja) * 2012-02-27 2016-03-09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6001907B2 (ja) 2012-04-05 2016-10-05 ミクロ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6576136B2 (ja) * 2015-07-16 2019-09-18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7226419B2 (ja) * 2020-10-29 2023-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84093B2 (en) 2024-01-30
JP7262294B2 (ja) 2023-04-21
KR20210113189A (ko) 2021-09-15
CN113573915B (zh) 2023-01-31
EP3960485A1 (en) 2022-03-02
JP2020097210A (ja) 2020-06-25
TWI818159B (zh) 2023-10-11
CN113573915A (zh) 2021-10-29
EP3960485A4 (en) 2023-01-04
TW202100371A (zh) 2021-01-01
US20220184995A1 (en) 2022-06-16
WO2020217682A1 (ja)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5195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101019861B1 (ko) 샤프펜슬
KR102560350B1 (ko) 샤프 펜슬
KR20140141621A (ko) 샤프 펜슬
US7850380B2 (en) Mechanical pencil
JP720446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102626037B1 (ko) 샤프 펜슬
JP2020183043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29624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EP0146128A2 (en) Automatic mechanical pencil
JP649182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240035747A (ko) 샤프 펜슬
KR20240035743A (ko) 샤프 펜슬
JP2023015865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