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541B1 -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541B1
KR102558541B1 KR1020220147360A KR20220147360A KR102558541B1 KR 102558541 B1 KR102558541 B1 KR 102558541B1 KR 1020220147360 A KR1020220147360 A KR 1020220147360A KR 20220147360 A KR20220147360 A KR 20220147360A KR 102558541 B1 KR102558541 B1 KR 10255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nit
heads
stage modul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관
Original Assignee
이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관 filed Critical 이성관
Priority to KR102022014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6Handling workpie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평철을 특정 크기만큼 절단하고 제2 유닛은 절단된 평철을 서로 용접하여 단품세트를 제작하며 제3 유닛은 단품세트에 띠판을 용접하여 전단보강재를 제작하는 구조로부터, 전단파괴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건설 및 토목 현장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전단보강재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 가능한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SHEAR REINFORCEMENT ASSEMBLY OF DUAL ANCHORAGE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물이나 슬레브 벽 기초 등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의 전단파괴를 방지하고 연성파괴를 유도할 수 있는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49491호의 "철근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서의 휨/전단 겸용 보강재"를 포함한 기존 철근배근은 재래식 전단철근(stirrup), 전단스터드 (shear stud), 전단밴드(shear band) 등을 사용하고 있다.
재래식 철근(stirrup)은 타이 또는 스터럽 철근의 배근요령으로 철근보강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기존 철근 배근방식을 이용하므로 자재 수급이 용이하여 재료적인 면에서는 경제적인 공법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재래식 철근 구조는 시공성이 취약하여 공기를 증가시키며, 인건비의 상승으로 전체적으로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재래식 철근을 이용한 재래식 철근공법은 지진 등에 대한 연성 능력이 부족한 한계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기존의 철근 배근을 대체하는 전단보강재가 현재 사용되고 있으나, 제작 단가가 높아 실제 현장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일부분 가공 및 일부분 용접등의 생산 방식으로 시공하는 공법도 제시되고 있지만, 역시 전단파괴에 대한 내구성이 낮아 건설 현장에만 적용 가능하며, 토목 현장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494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전단파괴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상 편의를 도모함은 물론, 건설 및 토목 현장에 모두 적용 가능한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전단보강재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 가능한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진 평철을 제1 길이만큼 절단하여 생산된 복수의 헤드(head)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만큼 절단하여 생상된 복수의 웹(web)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헤드와 상기 복수의 웹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웹중 하나의 웹 일단부에 상기 복수의 헤드중 하나의 헤드(이하 제1 헤드)를 직교되게 용접하고, 상기 하나의 웹 타단부에 상기 복수의 헤드중 또 하나의 헤드(이하 제2 헤드)를 직교되게 용접하여 단품세트를 제작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되는 복수의 상기 단품세트들을 일방향으로 공급받아 상기 웹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헤드 또는 상기 제2 헤드의 양측에 각각 띠판을 용접하여 전단보강재를 제작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제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평철들을 정렬 고정시키는 번들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평철들 중 하나의 평철을 일정 거리만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리핑 서보이송구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리핑 서보이송구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상기 하나의 평철을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커팅 프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배출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베이스와, 이송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된 받침편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 이송 가능하게 상기 제2 베이스에 장착되는 피치 컨베이어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헤드들이 수용되어 상기 이송 방향의 양측중 일측의 받침편(이하 제1 받침편)이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오면, 상기 복수의 제1 헤드들 중 하나의 제1 헤드를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제1 헤드 공급부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2 헤드들이 수용되어 상기 이송 방향의 양측중 타측의 받침편(이하 제2 받침편)이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오면, 상기 복수의 제2 헤드들 중 하나의 제2 헤드를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제2 헤드 공급부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헤드 공급부와 상기 제2 헤드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웹들이 수용되어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와 함께 상기 복수의 웹들 중 하나의 웹을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웹 공급부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고정 거치된 상기 제1 받침편 및 상기 제2 받침편 상에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웹의 양단부에 직교되게 배치된 상기 제1 헤드와 상기 제2 헤드를 용접 고정하는 제1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단품세트들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품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평철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와, 상기 평철보다 작거나 같은 폭과,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제3 길이를 가진 띠판을 한 쌍씩 공급하는 제1 스테이지 모듈과, 상기 제1 스테이지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단품이송 컨베이어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단품세트들을 복수 개씩 한 쌍의 상기 띠판 사이에 일렬로 배열시키는 제2 스테이지 모듈과, 상기 제2 스테이지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띠판 사이에 일렬로 배열된 상기 단품세트들 각각의 상기 제1 헤드 또는 상기 제2 헤드와의 접촉부를 각각 용접시키는 제3 스테이지 모듈과, 상기 제3 스테이지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스테이지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단보강재를 취출시키는 제4 스테이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단보강재는, 한 쌍의 상기 띠판과, 상기 한 쌍의 띠판 사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단품세트 각각의 상기 웹들과, 상기 제1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마주보는 대향면 중 상기 제1 헤드 또는 상기 제2 헤드와 상기 한 쌍의 띠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우선, 본 발명은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물이나 슬레브 벽 기초 등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의 전단파괴를 방지하고 연성파괴를 유도할 수 있는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수행 가능한 특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축 현장은 물론이고 토목 현장에서도 모두 활용 가능하므로 범용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련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자동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전단보강재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 가능한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높으며 신뢰도가 높은 제품을 다양한 수요처에 제공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불필요한 공정을 대폭 줄이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정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5는 도 4의 v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 개념도
도 6은 도 4의 vi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피치 컨베이어 주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 개념도
도 7(a)는 도 4의 vii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피치 컨베이어에 구비된 제1 받침편과 제2 받침편에 제1 헤드와 제2 헤드 및 웹이 고정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7(b)는 도 7의 vi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중 피치 컨베이어에 구비된 제1 받침편과 제2 받침편에 제1 헤드와 제2 헤드 및 웹이 고정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9는 도 8의 ix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정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v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vi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피치 컨베이어(240) 주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도 4의 viia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피치 컨베이어(240)에 구비된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3)에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 및 웹(513)이 고정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7(b)는 도 7의 viib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중 피치 컨베이어(240)에 구비된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3)에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 및 웹(513)이 고정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9는 도 8의 ix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그려진 투명한 굵은 직선 화살표는 공정이 진행되는 방향을, 도 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그려진 투명한 굵은 곡선 화살표는 후술할 턴 테이블(302)이 회전하는 방향을, 도 9에서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그려진 투명한 굵은 직선 화살표는 전단보강재(500)가 이송되는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
또한, 도 4에서 미설명부호로 "uw"는 후술할 단품세트(510)의 제작을 위한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 및 웹(513)이 서로 용접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구간을 가리킨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이 평철(400)을 특정 크기만큼 절단하고 제2 유닛(200)은 절단된 평철(400)을 서로 용접하여 단품세트(510)를 제작하며 제3 유닛(300)은 단품세트(510)에 띠판(520)을 용접하여 전단보강재(500)를 제작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진 평철(400)을 제1 길이만큼 절단하여 생산된 복수의 헤드(head)와,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만큼 절단하여 생상된 복수의 웹(513, web)을 일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으로부터 복수의 헤드와 복수의 웹(513)을 공급받아 복수의 웹(513)중 하나의 웹(513) 일단부에 복수의 헤드중 하나의 헤드(이하 제1 헤드(511))를 직교되게 용접하고, 하나의 웹(513) 타단부에 복수의 헤드중 또 하나의 헤드(이하 제2 헤드(512))를 직교되게 용접하여 단품세트(510)를 제작하게 된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되는 복수의 단품세트(510)들을 일방향으로 공급받아 웹(513)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헤드(511) 또는 제2 헤드(512)의 양측에 각각 띠판(520)을 용접하여 전단보강재(500)를 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통하여 제작된 전단보강재(500)는, 도 1과 같이 한 쌍의 띠판(520)과, 한 쌍의 띠판(520) 사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단품세트(510) 각각의 웹(513)들과,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가 마주보는 대향면 중 제1 헤드(511) 또는 제2 헤드(512)와 한 쌍의 띠판(520)과 접촉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용접부(530, 이하 도 1 참조)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베이스(101)와,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평철(400)들을 정렬 고정시키는 번들 가이드(110)와, 복수의 평철(400)들 중 하나의 평철(400)을 일정 거리만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리핑 서보이송구(120)와, 제1 베이스(101)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리핑 서보이송구(120)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하나의 평철(400)을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커팅 프레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핑 서보이송구(120)는,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린더지지 프레임(121)과, 실린더지지 프레임(12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번들 가이드(110)측으로 승강 가능한 갠트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리핑 서보이송구(120)는, 갠트리(1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평철(400)을 자력으로 그리핑하는 전자석(123)과, 실린더지지 프레임(121)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갠트리(122)를 왕복 이송시키는 갠트리이송 실린더(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제1 유닛(100)의 배출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베이스(201)와, 이송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된 받침편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 이송 가능하게 제2 베이스(201)에 장착되는 피치 컨베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닛(200)은,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1 헤드(511)들이 수용되어 이송 방향의 양측중 일측의 받침편(이하 제1 받침편(242))이 피치 컨베이어(240)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오면, 복수의 제1 헤드(511)들 중 하나의 제1 헤드(511)를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제1 헤드 공급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유닛(200)은,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제2 헤드(512)들이 수용되어 이송 방향의 양측중 타측의 받침편(이하 제2 받침편(242))이 피치 컨베이어(240)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오면, 복수의 제2 헤드(512)들 중 하나의 제2 헤드(512)를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제2 헤드 공급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헤드 공급부(210)와 제2 헤드 공급부(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웹(513)들이 수용되어 제1 헤드(511) 및 제2 헤드(512)와 함께 복수의 웹(513)들 중 하나의 웹(513)을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웹 공급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유닛(200)은,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가 고정 거치된 제1 받침편(242) 및 제2 받침편(242) 상에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웹(513)의 양단부에 직교되게 배치된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를 용접 고정하는 제1 용접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2) 각각의 상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2) 사이에 장착되며,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2) 각각의 상면에 거치된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 및 웹(513)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복수의 지그(241)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우선, 제1 헤드 공급부(210)는,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1 헤드(511)들이 수용되는 제1 헤드 공급 매거진(211)과, 제1 헤드 공급 매거진(211)의 일측에 제1 받침편(242)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 지그 슬롯(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헤드 공급부(210)는, 제1 헤드 공급 매거진(2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헤드 공급 매거진(211)에 수용된 복수의 제1 헤드(511)들 중 하나의 제1 헤드(511)를 제1 받침편(242)측으로 밀어내는 제1 푸셔 실린더(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헤드 공급부(220)는,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2 헤드(512)들이 수용되는 제2 헤드 공급 매거진(221)과, 제2 헤드 공급 매거진(221)의 일측에 제2 받침편(242)의 상면 일측 가장자리을 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2 지그 슬롯(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헤드 공급부(220)는, 제2 헤드 공급 매거진(2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 헤드 공급 매거진(221)에 수용된 복수의 제2 헤드(512)들 중 하나의 제2 헤드(512)를 제2 받침편(242)측으로 밀어내는 제2 푸셔 실린더(2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웹 공급부(230)는,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1 헤드(511)들이 수용되는 제1 헤드 공급 매거진(211)과 복수의 제2 헤드(512)들이 수용되는 제2 헤드 공급 매거진(221)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웹(513)들이 수용되는 웹 공급 매거진(2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웹 공급부(230)는, 웹 공급 매거진(231)의 일측에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2) 각각의 상면 사이를 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웹 지그 슬롯(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공급부(230)는, 웹 공급 매거진(231)의 일측에 구비되어 웹 공급 매거진(231)에 수용된 복수의 웹(513)들 중 하나의 웹(513)을 제1 받침편(242)과 제2 받침편(242)측으로 밀어내는 웹 푸셔 실린더(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피치 컨베이어(2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퓨셔 실린더(212) 및 제2 푸셔 실린더(222)와 웹 푸셔 실린더에 의하여 밀려나온 제1 헤드(511)와 제2 헤드(512) 및 웹(513)을 젖혀 피치 컨베이어(240)의 이송 방향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 직교되게 젖혀 세우는 플리퍼(260, 이하 도 5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2 유닛(200)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단품세트(510)들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품이송 컨베이어(304)와, 제1 내지 4 스테이지 모듈(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3 유닛(300)은, 제3 베이스(301)와, 제3 베이스(301)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턴 테이블(3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유닛(300)은, 턴 테이블(302) 상에 배치되어 턴 테이블(302)의 회전 및 정지에 따라 제1 스테이지 모듈(310)과 제2 스테이지 모듈(320)과 제3 스테이지 모듈(330) 및 제4 스테이지 모듈(340)에 순차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의 작업 스테이지(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3 베이스(301)와 턴 테이블(302) 사이에 구비되어 턴 테이블(30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 액추에이터(30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스테이지 모듈(310)은 평철(400)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와, 평철(400)보다 작거나 같은 폭과,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제3 길이를 가진 띠판(520)을 한 쌍씩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 스테이지 모듈(310)은, 턴 테이블(302)의 외곽에 설치되어 복수의 작업 스테이지(303) 중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띠판(520)들이 적층된 띠판 스태커(3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지 모듈(310)은, 띠판 스태커(311)의 일측에 상하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수의 띠판(520)들 중 한 쌍의 띠판(520)을 각각 클램핑하여 복수의 작업 스테이지(303) 중 하나의 스테이지에 거치 가능한 척(chuck, 이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스테이지 모듈(320)은 제1 스테이지 모듈(310)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단품이송 컨베이어(304)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단품세트(510)들을 복수 개씩 한 쌍의 띠판(520) 사이에 일렬로 배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 스테이지 모듈(320)은, 턴 테이블(302)의 외곽과 단품이송 컨베이어(304)의 배출측 사이에 설치된 지지 칼럼(321, support colum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테이지 모듈(320)은, 지지 칼럼(32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 암(32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스테이지 모듈(320)은, 링크 암(322)의 단부에 장착되어 단품세트(51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 가능하며, 복수의 작업 스테이지(303) 중 한 쌍의 띠판(520)이 거치된 작업 스테이지(303)측으로 복수의 단품세트(510)들을 일렬로 거치시키는 단품이송 클램프(3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스테이지 모듈(330)은 제2 스테이지 모듈(320)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띠판(520) 사이에 일렬로 배열된 단품세트(510)들 각각의 제1 헤드(511) 또는 제2 헤드(512)와의 접촉부를 각각 용접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3 스테이지 모듈(330)은, 턴 테이블(302)의 외곽에 설치되어 복수의 작업 스테이지(303) 중 한 쌍의 띠판(520)을 따라 단품세트(510)가 복수로 일렬 배치된 스테이지 상에서 상하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단품세트(510)의 제1 헤드(511) 또는 제2 헤드(512)와 한 쌍의 띠판(520)의 접촉부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을 실시하는 제2 용접기(3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4 스테이지 모듈(340)은 제3 스테이지 모듈(330)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제3 스테이지 모듈(330)로부터 배출되는 전단보강재(500)를 취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4 스테이지 모듈(340)은, 턴 테이블(302)의 외곽에 설치되어 복수의 작업 스테이지(303) 중 용접이 마무리된 전단보강재(500)가 거치된 작업 스테이지(303)와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게 배치되고, 용접이 마무리된 전단보강재(500)를 밀어내거나 클램핑하는 취출구(3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스테이지 모듈(340)은, 취출구(341)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4 스테이지 모듈(340)로부터 취출되는 전단보강재(50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배출슈트(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단파괴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시공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건설 및 토목 현장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전단보강재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 가능한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베이스
110...번들 가이드
120...그리핑 서보이송구
121...실린더지지 프레임
122...갠트리
123...전자석
124...갠트리이송 실린더
130...커팅 프레스
200...제2 유닛
201...제2 베이스
210...제1 헤드 공급부
211...제1 헤드 공급 매거진
212...제1 푸셔 실린더
220...제2 헤드 공급부
221...제2 헤드 공급 매거진
222...제2 푸셔 실린더
230...웹 공급부
231...웹 공급 매거진
240...피치 컨베이어
241...지그
242...제1 받침편
243...제2 받침편
250...제1 용접기
260...플리퍼
300...제3 유닛
301...제3 베이스
302...턴 테이블
303...작업 스테이지
304...단품이송 컨베이어
305...회전 액추에이터
310...제1 스테이지 모듈
311...띠판 스태커
320...제2 스테이지 모듈
321...지지 칼럼
322...링크 암
323...단품이송 클램프
330...제3 스테이지 모듈
331...제2 용접기
340...제4 스테이지 모듈
341...취출구
400...평철
500...전단보강재
510...단품세트
511...제1 헤드
512...제2 헤드
513...웹
520...띠판
530...용접부

Claims (5)

  1.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진 평철을 제1 길이만큼 절단하여 생산된 복수의 헤드(head)와,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만큼 절단하여 생상된 복수의 웹(web)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헤드와 상기 복수의 웹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웹중 하나의 웹 일단부에 상기 복수의 헤드중 하나의 헤드(이하 제1 헤드)를 직교되게 용접하고, 상기 하나의 웹 타단부에 상기 복수의 헤드중 또 하나의 헤드(이하 제2 헤드)를 직교되게 용접하여 단품세트를 제작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작되는 복수의 상기 단품세트들을 일방향으로 공급받아 상기 웹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헤드 또는 상기 제2 헤드의 양측에 각각 띠판을 용접하여 전단보강재를 제작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단품세트들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품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평철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와, 상기 평철보다 작거나 같은 폭과, 상기 제2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제3 길이를 가진 띠판을 한 쌍씩 공급하는 제1 스테이지 모듈과,
    상기 제1 스테이지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단품이송 컨베이어의 배출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단품세트들을 복수 개씩 한 쌍의 상기 띠판 사이에 일렬로 배열시키는 제2 스테이지 모듈과,
    상기 제2 스테이지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띠판 사이에 일렬로 배열된 상기 단품세트들 각각의 상기 제1 헤드 또는 상기 제2 헤드와의 접촉부를 각각 용접시키는 제3 스테이지 모듈과,
    상기 제3 스테이지 모듈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3 스테이지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단보강재를 취출시키는 제4 스테이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제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평철들을 정렬 고정시키는 번들 가이드와,
    상기 복수의 평철들 중 하나의 평철을 일정 거리만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그리핑 서보이송구와,
    상기 제1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그리핑 서보이송구에 의하여 이송되어 온 상기 하나의 평철을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커팅 프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의 배출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베이스와,
    이송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배치된 받침편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 이송 가능하게 상기 제2 베이스에 장착되는 피치 컨베이어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헤드들이 수용되어 상기 이송 방향의 양측중 일측의 받침편(이하 제1 받침편)이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오면, 상기 복수의 제1 헤드들 중 하나의 제1 헤드를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제1 헤드 공급부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2 헤드들이 수용되어 상기 이송 방향의 양측중 타측의 받침편(이하 제2 받침편)이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오면, 상기 복수의 제2 헤드들 중 하나의 제2 헤드를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제2 헤드 공급부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헤드 공급부와 상기 제2 헤드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웹들이 수용되어 상기 제1 헤드 및 상기 제2 헤드와 함께 상기 복수의 웹들 중 하나의 웹을 공급하는 패턴을 반복 가능한 웹 공급부와,
    상기 피치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고정 거치된 상기 제1 받침편 및 상기 제2 받침편 상에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웹의 양단부에 직교되게 배치된 상기 제1 헤드와 상기 제2 헤드를 용접 고정하는 제1 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단보강재는,
    한 쌍의 상기 띠판과,
    상기 한 쌍의 띠판 사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단품세트 각각의 상기 웹들과,
    상기 제1 헤드와 상기 제2 헤드가 마주보는 대향면 중 상기 제1 헤드 또는 상기 제2 헤드와 상기 한 쌍의 띠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KR1020220147360A 2022-11-07 2022-11-07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KR10255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360A KR102558541B1 (ko) 2022-11-07 2022-11-07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360A KR102558541B1 (ko) 2022-11-07 2022-11-07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541B1 true KR102558541B1 (ko) 2023-07-20

Family

ID=8742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360A KR102558541B1 (ko) 2022-11-07 2022-11-07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940Y1 (ko) * 1999-10-15 2000-03-15 천원공업주식회사 판텍스 라티스 거더 자동제작 장치
KR200249491Y1 (ko) 2001-06-19 2001-11-16 우즈이십일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서의 휨/전단 겸용 보강재
KR101629229B1 (ko) * 2015-11-11 2016-06-10 (주) 선우 평철 자동절단장치
KR102204030B1 (ko) * 2020-09-01 2021-01-18 이성관 전단보강재 용접 장치
KR20220059029A (ko) * 2020-11-02 2022-05-10 이성관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940Y1 (ko) * 1999-10-15 2000-03-15 천원공업주식회사 판텍스 라티스 거더 자동제작 장치
KR200249491Y1 (ko) 2001-06-19 2001-11-16 우즈이십일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서의 휨/전단 겸용 보강재
KR101629229B1 (ko) * 2015-11-11 2016-06-10 (주) 선우 평철 자동절단장치
KR102204030B1 (ko) * 2020-09-01 2021-01-18 이성관 전단보강재 용접 장치
KR20220059029A (ko) * 2020-11-02 2022-05-10 이성관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43B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부재용 가공설비
JP3890486B2 (ja) 建築構造体におけるスラブ用デッキ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Z278740B6 (en) Process for producing heat exchanger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CN104353937B (zh) 一字型钢管束自动拼装焊接装置
CN104308447A (zh) 一字型钢管束结构构件自动翻转装置
CN112276404A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钢筋头焊接工作站
CN112475694A (zh) 一种钢筋桁架的钢筋头焊接装置
KR102558541B1 (ko) 토목 건축용 듀얼앵커 전단보강재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JP3947852B2 (ja) 搬送装置
KR100955700B1 (ko) 금속각재를 이용한 맨홀용 라이너 제조방법
JP2912116B2 (ja) 型枠付立体溶接鉄筋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287248B1 (ko) 세파타이 가공소재 이송장치
US4667452A (en) Reinforcing unit including steel mats connected by connector bars
CN214185788U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钢筋头焊接工作站
CN216227272U (zh) 角钢切割设备
KR101781354B1 (ko) 프리캐스트 아치부재의 제작을 위한 곡률가변형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아치부재의 제작방법
CN109692921A (zh) 大跨度箱梁主筋用自动化传输、弯曲、焊接一体化装置
KR200413038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부재용 노칭 가공장치
CN109262155B (zh) 一种夹芯复合墙体双层钢筋网焊接设备及焊接方法
KR200412415Y1 (ko) 알루미늄 거푸집 판넬부재용 펀칭 가공장치
KR20010069926A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패널 자동용접장치
JPH0663739A (ja) 変断面溶接h形鋼の組立溶接方法および組立装置
US3529346A (en) Method for making channel structure
KR102297554B1 (ko) 철근가공물 적치용 고정형 파렛트 장치
JP3240259U (ja) グレーチング切断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