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218B1 -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218B1
KR102558218B1 KR1020220059599A KR20220059599A KR102558218B1 KR 102558218 B1 KR102558218 B1 KR 102558218B1 KR 1020220059599 A KR1020220059599 A KR 1020220059599A KR 20220059599 A KR20220059599 A KR 20220059599A KR 102558218 B1 KR102558218 B1 KR 10255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ab
mixing
stone
slab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조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호 filed Critical 조영호
Priority to KR102022005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1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and applying pressure otherwise than by the use of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6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profiling, e.g. mak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2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installation or service material, e.g. tubes for electricity o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3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product 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on test products or integrated circuit tags inside products RF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30Constru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은, 블록성형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성형단계; 천연석재를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로 절단가공하는 석판재 획득단계; 및 상기 석판재 획득단계로부터 제작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을 안착시킨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석판재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 그대로의 천연석재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파손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e Stone Block Having Safet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그대로의 천연석재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안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보차도(步車道) 일부는 투수(透水)콘크리트를 도포하여 포장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조립블록(인터로킹블록)을 깔아 포장하게 되는데, 그 블록은 시멘트콘크리트블록, 점토블록 또는 다양한 유기소재와 무기소개가 혼합되거나 이들 유기 소재 또는 무기 소재가 각각 상하층을 이루어 결합된 복합블록이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대개 직육면체를 기본 형상으로 하지만 직육면체 형상 외에도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의 조각 모으기형 블록(소위 모자이크 인터로킹 블록)이 있다. 이러한 보차도 블록은 보차도 블록으로 갖추어야 할 물리적 특성, 예컨대 보차도 위를 지나가는 다양한 동하중(動荷重)에 대하여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압축강도, 휨강도 등을 가져야 한다.
종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보차도 블록들은 대부분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여러 소재나 성분을 혼합하여 인공으로 만드는 것이어서, 그 제조비가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은 천연석재 블록에 비해 훨씬 저렴한 이점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시간이 지날수록 외관이 나빠지고 균열이나 파손이 심해, 일정한 주기로 바닥 전체를 새 블록으로 교체하여 깔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천연석재로 된 블록이나 판재, 예컨대 화강석이나 대리석 블록 또는 판재들은 역학적 강도가 좋고 중후하고 미려하며 내구성, 내후성(耐朽性)이 좋으며 불연성이어서 대표적인 토목 건축용 구조재나 내장재 및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석재는 무엇보다 시멘트콘크리트블록 또는 점토블록에 비해 값이 비싼 단점이 있으며, 석산을 개발하여 소재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자원의 유한함이나 자연훼손과 같은 문제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천연의 석재를 건축용 구조재나 내장재 및 외장재로 사용하는 외에 보차도 블록처럼 더 광범위한 범위의 공공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그 이점(역학적 우수성, 중후하고 미려함, 내구성, 내후성 등)의 매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그 경제성, 시공성 측면의 단점이 더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천연석재 블록이 보차도 블록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조차도 단지 대형건물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처럼 그 도포 면적이 매우 작거나 시공되는 각 판재의 두께를 얇게 할 수밖에 없어서 쉽게 깨지는 등 그 이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종래제품 소형고압블록(시멘트와 모래)을 개선하여 인조화강블록(백시멘트와 모래, 화강석, 종석 등을 사용하고, 블록표면을 워싱 또는 쇼트블라스팅 가공하여 외관을 개선한 제품)을 개발사용하고 있으나, 천연석재와 같은 장점을 가질 수는 없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포함하는 보도블록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본 층은 일반적인 시멘트 몰탈 재료로 이루어지고, 표면층은 화강석, 석회석, 대리석 등의 쇄석재료가 혼합된 몰탈 층으로 구성되고, 표면층의 표면 부는 평활면으로 연마 가공되는 보도블록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보도블록의 경우, 제작함에 있어 다수의 공정이 필요하여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 제작과정이 필요하며, 제작된 보도블록의 물리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사용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9041호 (등록일자: 2000년02월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그대로의 천연석재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파손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은, 블록성형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성형단계; 천연석재를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로 절단가공하는 석판재 획득단계; 및 상기 석판재 획득단계로부터 제작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을 안착시킨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석판재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성형단계는, 기설정된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콘크리트 혼합물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 1차혼합단계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에 접착제를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하는 2차혼합단계; 1차혼합단계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에 모래 또는 규사 배합물을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하는 3차혼합단계; 2차혼합단계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을 블록성형기에 주입한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블록형상을 성형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부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다수의 돌기구조를 블록과 일체형 구조로 성형하는 1차성형단계; 및 1차성형단계로부터 획득한 블록의 상부면에 3차혼합단계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을 주입한 후, 1차성형단계로부터 획득한 블록구조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 두께를 가지고 상부면이 평평한 블록구조를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2차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판재 부착단계는, 블록성형기에 석판재를 안착시키는 석판재 안착단계; 석판재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 성형단계로부터 획득한 블록을 안착시키는 블록 안착단계; 및 블록성형기를 작동시켜 석판재와 블록에 기 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가압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석판재 부착단계는, 상기 석판재 안착단계 이전에 실시하는 석판재 후가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석판재 후가공단계는, 상기 석판재 획득단계로부터 획득한 석판재의 상부면에 다수의 만입구조를 형성하도록 가공처리하는 만입구조 가공단계; 평면상 석판재의 도심을 기준으로 사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십자구조의 장착홈을 석판재 상부면에 형성하는 장착홈 형성단계; 및 상기 장착홈 형성단계로부터 형성된 장착홈에 선형 구조의 파손감지부를 장착하는 감지부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손감지부는,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표면에 탑재되고, 장착홈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도전라인; 상기 장착홈의 정중앙에 장착되고, 도전라인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검지수단; 상기 검지수단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장착홈의 나머지 공간을 채우는 액체흡착층; 및 상기 검지수단 내부에 탑재되고,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여 검지수단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한 상기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석재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블록 성형단계, 석판재 획득단계 및 석판재 부착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자연 그대로의 천연석재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안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1차혼합단계, 2차혼합단계, 3차혼합단계, 1차성형단계 및 2차성형단계를 수행하는 블록 성형단계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강한 강도를 가지는 1차 층과 함께 개선된 외관과 내구성이 향상된 2차 층을 일체형 구조로 성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현저히 향상된 품질의 블록을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만입구조 가공단계, 장착홈 형성단계 및 감지부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석판재 후가공단계를 블록과 접착하는 공정 바로 전에 실시함으로써, 석판재와 블록을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에 따르면, 특정역할을 수행하는 파손감지부를 석판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탑재함으로써, 복합석재블록 시공 후 석판재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절단되거나 심각한 크랙이 발생할 경우, 이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고, 관리자는 파손 또는 손상이 감지된 복합석재블록만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 관리 및 보수 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석재블록의 석판재와 만입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판재와 만입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착홈에 장착되는 파손감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블록 성형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석판재 부착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석판재 후가공단계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S10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블록 성형단계(S110), 석판재 획득단계(S120) 및 석판재 부착단계(S130)를 구비함으로써, 자연 그대로의 천연석재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 안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S100)을 통해 제조된 복합석재블록(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1차 층(111)과 2차 층(112)을 가지는 블록(110)의 상부면에 석판재(120)가 적층되어 부착 및 고정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블록(110)의 제1차 층(111)과 제2차 층(112)은 블록성형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블록 성형단계(S110)를 통해 제작된다. 이때, 제1차 층(111)은 기설정된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혼합된 콘크리트 혼합물에 접착제를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블록성형기에 주입하여 제작된다. 이때, 제1차 층(111)의 상부면에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다수의 돌기구조가 제1차 층(111)과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형성된 돌기구조는 제1차 층(111)과 제2차 층(112)을 서로 견고히 결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2차 층(112)은 기설정된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혼합된 콘크리트 혼합물에 모래 또는 규사 배합물을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한 후 제1차 층(111)의 상부면에 소정 높이만큼 적층한 후 블록성형기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1차 층(111)과 제2차 층(112)이 일체화된 하나의 블록(111)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석판재(120)는 블록(110)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받아 블록(110)과 일체화된다. 이때, 블록(110)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기 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120)와 블록이(110)이 일체화된다.
경우에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단면 구조를 가지는 만입구조(121)를 석판재(120)의 하부면에 형성함으로써, 석판재(120)와 블록(110)의 더욱 안정적인 결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상 석판재(120)의 내부로 진입한 후 측방으로 굴곡지는 형태의 만입구조(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석판재(120)와 블록(110)의 일체화 시키는 압착함과 동시에 진동시키는 과정에서 만입구조(121a)의 내부를 따라 접착제층이 유동하여 진입한 후 고착되어 석판재(120)와 블록(110)이 더욱 안정적인 구조적 결속 관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판재(120)의 하부면에는 석판재(120)의 내부로 폭이 넓어지는 물방울 모양의 절단면 형상을 가지는 장착홈(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2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감지부(130)가 장착되어 석판재(120)의 손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석판재(120)의 하부면 정중앙에는 파손감지부(13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력저장부(124)가 탑재된다. 전력저장부(124)는 무선충전가능한 구조로서, 내부에 전력을 저장한 후 대략 1년 내지 2년 정도 유지할 수 있는 2차전지 구조이다. 파손감지부(130)로부터 석판재(120)의 손상이 검출될 경우 해당 복합석재블록(100)만을 탈거하여 교체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복합석재블록(100)이 시공 후 파손되지 아니하고 1년이 경과할 경우,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복합석재블록(100) 내부에 탑재된 전력저장부(124)를 충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전력저장부(124)는 자기공진방식에 의해 충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복합석재블록(110)를 동시에 충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파손감지부(130)는, 특정 구조의 베이스층(131), 도전라인(132), 검지수단(133), 액체흡착층(134) 및 무선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베이스층(131)은, 장착홈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절연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도전라인(132)은, 베이스층(131)의 표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장착홈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검지수단(133)은, 장착홈의 정중앙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도전라인(132)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구조이다. 액체흡착층(134)은, 검지수단(13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장착홈의 나머지 공간을 채우는 구조이다. 또한, 무선통신모듈은 검지수단(133) 내부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여 검지수단(133)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역할을 수행하는 파손감지부(130)를 석판재의 상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탑재함으로써, 복합석재블록 시공 후 석판재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절단되거나 심각한 크랙이 발생할 경우, 이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고, 관리자는 파손 또는 손상이 감지된 복합석재블록만을 정확하게 구분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 관리 및 보수 작업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S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성형단계(S110)는, 블록성형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석판재 획득단계(S120)는, 블록 성형단계(S110)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블록 성형단계(S110)에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판재 획득단계(S120)는, 천연석재를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로 절단가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수행되는 석판재 부착단계(S130)는, 석판재 획득단계(S120)로부터 제작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을 안착시킨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7에는 도 6의 블록 성형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6의 석판재 부착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성형단계(S110)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1차혼합단계(S111), 2차혼합단계(S112), 3차혼합단계(S113), 1차성형단계(S114) 및 2차성형단계(S11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성형단계(S110)의 1차혼합단계(S111)는, 기설정된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콘크리트 혼합물을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2차혼합단계(S112)는, 1차혼합단계(S111)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에 접착제를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3차혼합단계(S113)는, 1차혼합단계(S111)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에 모래 또는 규사 배합물을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성형단계(S110)의 1차성형단계(S114)는, 2차혼합단계(S112)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을 블록성형기에 주입한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블록형상을 성형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부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다수의 돌기구조를 블록과 일체형 구조로 성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1차성형단계(S114) 수행이후 2차성형단계(S115)가 수행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2차성형단계(S115)는, 1차성형단계(S114)로부터 획득한 블록의 상부면에 3차혼합단계(S113)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을 주입한 후, 1차성형단계(S114)로부터 획득한 블록구조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 두께를 가지고 상부면이 평평한 블록구조를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1차혼합단계(S111), 2차혼합단계(S112), 3차혼합단계(S113), 1차성형단계(S114) 및 2차성형단계(S115)를 수행하는 블록 성형단계(S110)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강한 강도를 가지는 1차 층과 함께 개선된 외관과 내구성이 향상된 2차 층을 일체형 구조로 성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현저히 향상된 품질의 블록을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석판재 부착단계(S130)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석판재 안착단계(S132), 접착제 도포단계(S133), 블록 안착단계(S134) 및 가압고정단계(S13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판재 안착단계(S132)는, 블록성형기에 석판재를 안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접착제 도포단계(S133)는, 석판재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블록 안착단계(S134)는, 접착제가 도포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 성형단계(S110)로부터 획득한 블록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가압고정단계(S135)는, 블록성형기를 작동시켜 석판재와 블록에 기 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석판재 부착단계(S130)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석판재 후가공단계(S131)를 석판재 안착단계(S132)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석판재 후가공단계(S131)는,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요청구조 가공단계(S131a), 장착홈 형성단계(S131b) 및 감지부 장착단계(S131c)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만입구조 가공단계(S131a)는, 석판재 획득단계(S120)로부터 획득한 석판재의 상부면에 다수의 만입구조를 형성하도록 가공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장착홈 형성단계(S131b)는, 평면상 석판재의 도심을 기준으로 사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십자구조의 장착홈을 석판재 상부면에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감지부 장착단계(S131c)는, 장착홈 형성단계(S131b)로부터 형성된 장착홈에 선형 구조의 파손감지부(130)를 장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만입구조 가공단계(S131a), 장착홈 형성단계(S131b) 및 감지부 장착단계를 포함하는 석판재 후가공단계(S131)를 블록과 접착하는 공정 바로 전에 실시함으로써, 석판재와 블록을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복합석재블록
110: 블록
111: 1차 층
112: 2차 층
120: 석판재
121: 만입구조
121a: 만입구조
121b: 제2만입홈
122: 장착홈
123: 접착제층
124: 전력저장부
130: 파손감지부
131: 베이스층
132: 도전라인
133: 검지수단
134: 액체흡착층
S100: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
S110: 블록 성형단계
S111: 1차혼합단계
S112: 2차혼합단계
S113: 3차혼합단계
S114: 1차성형단계
S115: 2차성형단계
S120: 석판재 획득단계
S130: 석판재 부착단계
S131: 석판재 후가공단계
S131a: 만입구조 가공단계
S131b: 장착홈 형성단계
S131c: 감지부 장착단계
S132: 석판재 안착단계
S133: 접착제 도포단계
S134: 블록 안착단계
S135: 가압고정단계

Claims (5)

  1. 블록성형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블록 성형단계(S110);
    천연석재를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형 구조로 절단가공하는 석판재 획득단계(S120); 및
    상기 석판재 획득단계(S120)로부터 제작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을 안착시킨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석판재 부착단계(S130);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성형단계(S110)는,
    기설정된 콘크리트 배합에 따라 콘크리트 혼합물을 혼합하는 1차혼합단계(S111);
    1차혼합단계(S111)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에 접착제를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하는 2차혼합단계(S112);
    1차혼합단계(S111)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에 모래 또는 규사 배합물을 기설정된 혼합비율로 부가한 후 재차 혼합하는 3차혼합단계(S113);
    2차혼합단계(S112)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을 블록성형기에 주입한 후,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블록형상을 성형함과 동시에 블록의 상부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다수의 돌기구조를 블록과 일체형 구조로 성형하는 1차성형단계(S114); 및
    1차성형단계(S114)로부터 획득한 블록의 상부면에 3차혼합단계(S113)로부터 획득한 혼합물을 주입한 후, 1차성형단계(S114)로부터 획득한 블록구조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 두께를 가지고 상부면이 평평한 블록구조를 기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2차성형단계(S115);
    를 포함하고,
    상기 석판재 부착단계(S130)는,
    블록성형기에 석판재를 안착시키는 석판재 안착단계(S132);
    석판재의 상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133);
    접착제가 도포된 석판재의 상부면에 블록 성형단계(S110)로부터 획득한 블록을 안착시키는 블록 안착단계(S134); 및
    블록성형기를 작동시켜 석판재와 블록에 기 설정된 압력과 진동을 가하여 석판재와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가압고정단계(S135);
    를 포함하고,
    상기 석판재 부착단계(S130)는,
    상기 석판재 안착단계(S132) 이전에 실시하는 석판재 후가공단계(S13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판재 후가공단계(S131)는,
    상기 석판재 획득단계(S120)로부터 획득한 석판재의 상부면에 다수의 만입구조를 형성하도록 가공처리하는 만입구조 가공단계(S131a);
    평면상 석판재의 도심을 기준으로 사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십자구조의 장착홈을 석판재 상부면에 형성하는 장착홈 형성단계(S131b); 및
    상기 장착홈 형성단계(S131b)로부터 형성된 장착홈에 선형 구조의 파손감지부(130)를 장착하는 감지부 장착단계(S131c);
    를 포함하고,
    상기 파손감지부(130)는,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절연재질로 구성된 베이스층(131);
    상기 베이스층(131)의 표면에 탑재되고, 장착홈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도전라인(132);
    상기 장착홈의 정중앙에 장착되고, 도전라인(132)과 전기적으로 연통되는 검지수단(133);
    상기 검지수단(13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장착홈의 나머지 공간을 채우는 액체흡착층(134); 및
    상기 검지수단(133) 내부에 탑재되고,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연동하여 검지수단(133)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따른 복합석재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석재블록.
KR1020220059599A 2022-05-16 2022-05-16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99A KR102558218B1 (ko) 2022-05-16 2022-05-16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99A KR102558218B1 (ko) 2022-05-16 2022-05-16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218B1 true KR102558218B1 (ko) 2023-07-24

Family

ID=8742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599A KR102558218B1 (ko) 2022-05-16 2022-05-16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2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41Y1 (ko) 1999-11-22 2000-04-15 이인환 표면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
KR20050083318A (ko) * 2004-02-23 2005-08-26 전진 폐자원 및 광촉매 코팅을 이용한 성형블럭 제조방법
KR101703913B1 (ko) * 2016-05-31 2017-02-08 (주) 에코제이피 천연 광물을 이용한 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도 블록
KR20180107820A (ko) * 2017-03-23 2018-10-04 문성순 경량화된 침대용 복합 판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178911B1 (ko) * 2019-07-29 2020-11-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도성 나노 충전제가 혼입된 침목 센서, 철도 침목, 이를 포함하는 철도 안전 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041Y1 (ko) 1999-11-22 2000-04-15 이인환 표면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
KR20050083318A (ko) * 2004-02-23 2005-08-26 전진 폐자원 및 광촉매 코팅을 이용한 성형블럭 제조방법
KR101703913B1 (ko) * 2016-05-31 2017-02-08 (주) 에코제이피 천연 광물을 이용한 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도 블록
KR20180107820A (ko) * 2017-03-23 2018-10-04 문성순 경량화된 침대용 복합 판재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178911B1 (ko) * 2019-07-29 2020-11-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도성 나노 충전제가 혼입된 침목 센서, 철도 침목, 이를 포함하는 철도 안전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4638A1 (en) Architectural concret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3866670B (zh) 一种装配式车载路面及其施工方法
ES2714825T3 (es) Revestimiento de suelo con losas de piedra integrales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CN109137666B (zh) 一种减振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EP0328639A1 (en) Frame for laying wooden bricks
KR101030221B1 (ko) 천연 석재 층과 이 천연 석재 층의 이면에 시멘트 몰탈층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복합석재블록 및 그제조방법
KR102558218B1 (ko)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복합석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8041B1 (ko) 외단열재가 일체화된 벽체모듈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CN205330078U (zh) 一种地面复合装饰板的铺装结构
KR20120114918A (ko) 합성목재와 콘크리트(우레탄, 고무)를 일체화한 보도블럭
KR200495747Y1 (ko)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CN111879581A (zh) 一种铺面钢纤维混凝土力学试件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021475B1 (ko) 프리케스트 콘크리트패널을 활용한 조립식 콘크리트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CN102337715A (zh) 一种花岗岩混凝土路面砖及其制作方法
KR102213237B1 (ko) 단열층이 형성된 벽돌
CN111945515A (zh) 拼装垫装置及拼装型跑道
KR101530601B1 (ko) 무늬 콘크리트패널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 및 그 무늬 콘크리트패널
KR10105208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보도판석 및 그 제작방법
KR101406295B1 (ko) 경계석
US11162229B1 (en) Paver system
CN218203670U (zh) 一种镶嵌式透水性路面砖
JPH08218304A (ja) 擬石小舗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46908B1 (ko) 자연석 판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