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732B1 -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732B1
KR102557732B1 KR1020217002642A KR20217002642A KR102557732B1 KR 102557732 B1 KR102557732 B1 KR 102557732B1 KR 1020217002642 A KR1020217002642 A KR 1020217002642A KR 20217002642 A KR20217002642 A KR 20217002642A KR 102557732 B1 KR102557732 B1 KR 10255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pet
information
family tree
pet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623A (ko
Inventor
이청 장
옌웨이 장
싱 허
웨이 펑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58Virtual breeding, e.g. tamagotch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가상펫의 정보는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
본원 발명은 2018년 8월 30일에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811003685.X이고 발명의 명칭이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매체”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 발명에 결합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넷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게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는 가상펫의 번식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진실한 애완동물 기르기 체험을 제공한다.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기르는 가상펫은 알을 낳을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거쳐 이 알을 부화시켜 새로 태어난 가상펫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번식방식 하에서 가상펫 및 이의 새로운 애완동물은 완전히 동일한 펫 이미지를 가진다.
상기 관련 기술에 의한 가상펫의 번식방법은 제품 기능이 비교적 단일하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운행되는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가상펫이 제공되어 있고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펫 이미지를 가지는 상기 가상펫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운행되는 단말기에 응용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가상펫이 제공되어 있고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펫 이미지를 가지는 상기 가상펫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타겟 가상펫에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명령 획득 모듈;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계도 획득 모듈;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계도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요청 수신 모듈;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 전송 모듈;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계도 수신 모듈;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가계도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실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측면의 방법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측면의 방법을 수행한다.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는데 이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진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블럭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블럭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가계도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의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부모와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가계도 정보의 생성저장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도이다.
도 9는 가계도 정보의 획득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도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구조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조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진일보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100)의 구조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컴퓨터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120), 서버 클러스터(140) 및 제2 단말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20)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클러스터(140)와 연결된다. 제1 단말기(120)는 스마트 폰, 게임 콘솔,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전자 책 리더, 멀티미디어 재생 기기 및 랩톱 컴퓨터중의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20)에는 가상펫을 서포트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장착되어 운행된다. 제1 단말기(120)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고 제1 단말기(120)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제1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되어 있다.
서버 클러스터(140)는 하나의 서버, 다수의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및 가상화 센터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서버 클러스터(140)는 가상펫을 서포트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서버 클러스터(140)가 주요한 컴퓨팅 작업을 담당하고 제1 단말기(120)와 제2 단말기(160)가 이차적인 컴퓨팅 작업을 담당하거나; 또는 서버 클러스터(140)가 이차적인 컴퓨팅 작업을 담당하고 제1 단말기(120)와 제2 단말기(160)가 주요한 컴퓨팅 작업을 담당하거나; 또는 서버 클러스터(140), 제1 단말기(120)와 제2 단말기(160)사이에 분포식 컴퓨팅 구조를 사용하여 협동 컴퓨팅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서버 클러스터(140)는 액세스 서버(141)와 백그라운드 서버(142)를 포함한다. 액세스 서버(141)는 제1 단말기(120)및 제2 단말기(160)의 액세스 정보와 정보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용한 정보를 단말기와 백그라운드 서버(142)사이에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백그라운드 서버(14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백그라운드 서비스, 예를 들면 게임 로직 서비스, 소재 제공 서비스, 가상펫의 생성 서비스, 가상펫의 거래 서비스, 가상펫의 번식 서비스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백그라운드 서버(142)는 한 대 또는 여러 대일 수 있다. 백그라운드 서버(142)가 여러 대일 경우, 적어도 두 대의 백그라운드 서버(142)가 서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적어도 두 대의 백그라운드 서버(142)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단말기(160)에는 가상펫을 서포트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장착되어 운행된다. 제2 단말기(160)는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제2 단말기(16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에는 제2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 계정과 제2 사용자 계정은 동일한 가상 소셜 네트워크에 위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 계정과 제2 사용자 계정은 동일한 팀, 동일한 조직에 속하고 친구관계를 가지거나 또는 임시적인 통신권한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 계정과 제2 사용자 계정은 서로 다른 팀, 서로 다른 조직 또는 적대적인 두 단체에 속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기(120)와 제2 단말기(160)에 장착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동일한 것이거나, 또는 두 개의 단말기에 장착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제어 시스템 플랫폼의 동일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20)는 다수의 단말기중의 하나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단말기(160)는 다수의 단말기중의 하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단지 제1 단말기(120)와 제2 단말기(16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단말기(120)와 제2 단말기(160)의 단말기의 유형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제1 단말기(120) 및/또는 제2 단말기(160)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 단말기의 개수가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는 단지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수십 개 또는 수백 개 또는 더 많은 개수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개수와 기기의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서버 클러스터(140)는 각 가상펫의 정보, 예를 들면 역할 정보, 가계도 정보, 거래 기록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역할 정보는 가상펫을 유일하게 표기하는 역할 아이디(예하면 이름), 가상펫을 표현하는 펫 이미지의 이미지 파라미터, 가상펫을 표현하는 프리뷰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클러스터(140)는 블록체인 시스템(180)과 통신 연결할 수도 있고 각 가상펫의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18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는, 서버 클러스터(140) 자체도 블록체인 시스템(180)중의 하나의 노드로서 운행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우선 본원 발명에서 언급한 관련 명사를 설명하고자 한다.
가상펫: 카툰 형식과 동물 형식의 펫 이미지중의 적어도 하나로 표현하는 디지털 펫이다. 이 가상펫은 2차원 디지털 펫 또는 3차원 디지털 펫인 바, 예를 들면 가상펫은 카툰 고양이 형식의 펫 이미지로 표현하는 3차원 가상펫이다. 선택적으로, 일부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랜덤으로 생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초기 세대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랜덤으로 생성된 것이고, 일부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부모 가상펫 및/또는 기타 선조 가상펫의 펫 이미지에 근거하여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생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초기 세대 가상펫을 제외한 후대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생성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가상펫마다 모두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데, 이 유전자 서열은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결정하는 생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이미지 파라미터라고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 가상펫의 펫정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되고 블록체인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노드의 합의 메커니즘을 거쳐 저장되고 인증된다. 펫 정보는 적어도 가상펫의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고, 가상펫의 식별 정보, 가상펫의 부모 정보, 가상펫의 세대지간정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 가상펫의 역사적 거래 흐름 정보, 가상펫의 사건 흐름 정보 및 가상펫의 기타 정보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각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은 유일무이하고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는 진실하고 유일한 것이므로 가상펫은 수집 속성을 가진다. 그리고, 가상펫의 펫 정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되므로, 가상펫이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설계되어 사용되는 디지털 펫일지라도 간편하게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제2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상펫은 단말기에서 운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표시하는 디지털 펫이다.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가상펫 캐치, 가상펫 생성, 가상펫 번식, 가상펫 거래, 가상펫을 사용하여 작전하기, 가상펫을 사용하여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AR) 대화를 실현, 가상펫을 사용하여 교제하기, 가상펫을 사용하여 AR 교육을 실현 등 기능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기반하여 가상펫의 획득, 번식 및/또는 거래를 진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지리적 위치에 기반한 소셜 게임 프로그램인 바, 이 소셜 게임 프로그램은 가상펫을 이용하여 수집, 성장 및/또는 작전을 진행하는 것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전자 서열은 가상펫이 가진 특징을 결정한다. 상기 특징은 외적 특징 및/또는 내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외적 특징은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구현하는 특징을 말한다. 선택적으로, 가상펫은 피부, 얼룩무늬, 귀, 수염, 꽃무늬, 눈 및 입 등 서로 다른 신체부위를 포함하고 신체부위마다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외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적 특징은 색채, 형상, 무늬 등 시각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부의 외적 특징은 흰색 피부, 붉은색 피부, 주황색 피부, 노란색 피부, 초록색 피부, 청색 피부, 남색 피부와 보라색 피부 등 서로 다른 색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귀의 외적 특징은 긴 귀, 짧은 귀, 굽은 귀, 접힌 귀, 정상적인 귀 등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적인 특징은 가상펫의 내적 속성을 구현하는 특징을 말한다. 예를 들면, 내적 속성은 지능 값, 공격력 값, 방어력 값, 영력 값, 마법력 값, 힘값, 지구력 값, 민첩성 값, 잠재력 값, 속도 값, 수명 값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은 가상펫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한 그룹의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는 바, 이미지 파라미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가상펫이 3D가상펫인 경우를 예로 들면 가상펫의 펫 이미지마다 여러 가지 유형의 3D 이미지 소재를 포함하고 각 유형의 3D 이미지 소재마다 서로 다른 역할 부위 및/또는 무늬등급과 대응되며, 3D 이미지 소재마다 하나의 소재 아이디와 대응하고 각 유형의 3D 소재 아이디마다 유전자 서열중의 한 파라미터 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3D가상펫의 3D신체 모델이 동일하면, 3D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적어도 3D신체 모델, 귀 모델, 피부 소재, 눈 소재, 코 소재, 입 소재, 수염 소재, 신체 얼룩무늬 소재, 가슴 복부 꽃무늬 소재와 같은 8가지 3D이미지 소재(국부 특징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3D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꼬리 소재, 외부 펜던트 소재와 전반 특징을 더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꼬리 소재는 가상펫의 꼬리 모델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펫 이미지가 동물 유형일 경우 꼬리 소재는 가늘고 긴 꼬리 또는 짧고 굵은 꼬리이고; 외부 팬턴트 소재는 가상펫의 액세서리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액세서리는 가방, 안경, 핸드헬드 소품, 허리띠, 옷, 모자, 신발 및 머리 액세서리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반 특징은 가상펫의 신체 모델을 커버하는 전반적인 이미지 특징을 말하는 바, 제일 높은 표시 우선순위를 가진다. 타겟 이미지 파라미터에 전반 특징이 포함될 경우, 전반 특징은 국부 특징을 커버하여 완전한 표시를 진행하는 바, 즉 국부 특징은 은폐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느 한 펫 고양이가 슈퍼맨의 전반 특징을 가질 경우 자신의 고양이 이미지를 나타내지 않고 하나의 슈퍼맨 외모를 가진 펫 이미지를 나타내게 된다.
이와 대응되게, 유전자 서열은 전반 특징 파라미터, 피부 무늬 특징 파라미터, 피부 색채 특징 파라미터, 복부 무늬 특징 파라미터, 복부 색채 특징 파라미터, 눈 무늬 특징 파라미터, 눈 색채 특징 파라미터, 입 무늬 특징 파라미터, 입 색채 특징 파라미터, 수염 무늬 특징 파라미터, 수염 색채 특징 파라미터, 귀 특징 파라미터, 꼬리 특징 파라미터, 펜던트 특징 파라미터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유전자 서열은 다수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키-값 쌍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이 키-값 쌍은 (유전자 명칭, 파라미터 값)의 형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예에서, 유전자 서열은 Gene=[(3D신체모델 특징, 디폴드), (피부 특징, 매끄럽다), (뱃가죽 특징, 꽃무늬1), (입 무늬특징, 송곳니1), (입 색채특징, 붉은 색), (꼬리 특징, 굵고 짧은 형상)]으로 나타낸다.
유전자 유전법칙은 유전법칙, 유전자 알고리즘 또는 유전자 유전 알고리즘이라고도 하는데, 부모 가상펫 및/또는 기타 선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진짜 생물의 유전 법칙을 본받아 전송함으로써 아이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생성시키는 규칙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상펫마다 모두 유일무이한 개성적인 가상펫이 되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가상펫마다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유전자 유전법칙은 부모 가상펫 및/또는 기타 선조 가상펫의 펫 이미지가 유전 법칙에 따라 재조합과 중복 제거를 진행한 후 아이 가상펫이 유일한 특성을 가지는 펫 이미지를 생성하는 규칙이다. 중복 제거는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이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을 다시 생성하여 이 가상펫의 유전자 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유전자 유전법칙이 진짜 생물의 유전법칙을 본받은 것이므로 번식과정에는 임신 기간, 근친 사이에는 번식할 수 없는 등 제한조건이 존재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에는 유전적 유전자가 존재한다. 유전적 유전자는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에서의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유전시킨 유전자를 말한다. 유전적 유전자가 결정하는 특징을 즉 유전적 특징이라고 한다.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에는 동일한 유전적 특징이 존재하는 바, 즉 동일한 이미지 소재 특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은 모두 황색 피부를 가진다. 또 예를 들면,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은 모두 붉은 색 피부와 접힌 귀를 가진다. 유전적 특징의 개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다수일 수도 있는데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경우,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의 촌수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특징이 더 많고, 이와 반대로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의 촌수가 멀수록 유전적 특징이 더 적다.
가상펫의 세대지간정보는 가상펫이 전체적인 가상펫 세계관에서의 촌수정보를 말하는 바, 가상펫의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의 세대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중 제일 큰 세대지간 수에 1을 더하여 얻은 것으로, 예를 들면 아빠 가상펫이 0세대 가상펫이고 엄마 가상펫이 4세대 가상펫이면 아이 가상펫은 5세대 가상펫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초기 세대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제일 낮은데, 예를 들면 초기 세대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0이다. 초기 세대가 아닌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그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에 의해 결정된다. 부모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한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그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보다 높다. 일 예시에서, 동일한 세대지간의 부모 가상펫만이 아이 가상펫(즉 차세대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도록 허용하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에 1을 더한 것이다. 예를 들면,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모두 1이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2이고, 또 예를 들면,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모두 0이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1이다. 다른 한 예시에서, 동일한 세대지간의 부모 가상펫이 아이 가상펫(즉, 차세대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세대지간의 부모 가상펫이 아이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도록 허용하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부모 가상펫중 세대지간이 더 높은 쪽의 세대지간에 1을 더한 것과 같다. 예를 들면, 아빠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0이고 엄마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2이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3이다. 이 외에, 초기 세대 가상펫은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된 것이 아니라 가상펫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초기 세대 가상펫에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이 존재하지 않고, 촌수가 초기 세대 가상펫보다 높은 동시에 이와 유전관계를 가지는 기타 가상펫은 더 존재할 리가 없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번식 생성된 가상펫의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메커니즘에서 부모 가상펫의 유전자는 유전자 유전법칙에 근거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차세대에 유전하게 되고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그 부모 가상펫으로부터 얻은 유전적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것이므로, 이러한 번식방식은 진실한 세계에서의 생물의 번식에 더 근접하여 제품 기능이 보다 진실성과 다양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이러한 번식방식 하에서 가상펫의 가계도 표시기능을 독창적으로 제공하는데,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연장자의 펫 이미지를 알게 되고, 더 나아가 이 가상펫의 혈통정보를 획득하며, 가상펫의 번식시장과 거래시장에서의 가치 평가에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더 풍부하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방법은 단말기,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에 응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301, 302, 3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1에서,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한다.
가계도 표시명령은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명령을 말한다. 타겟 가상펫에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은 즉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명령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가상펫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임의의 한 가상펫일 수 있다. 타겟 가상펫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로그인한 현재 사용자 계정이 갖고 있는 가상펫일 수도 있고 기타 사용자 계정이 갖고 있는 가상펫일 수도 있으며, 그 어떤 사용자 계정도 갖고 있지 않는 가상펫, 예를 들면 그 어떤 사용자 계정에도 캐치되지 않은 가상펫, 펫 샵에서 그 어떤 사용자 계정에 의해서도 구매되지 않은 가상펫 등일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계도 표시명령의 형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이는 터치 동작, 음성, 제스처 등 임의의 형식의 명령일 수 있다. 터치 동작 형식을 예로 들면, 단말기는 타겟 가상펫의 디테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이 타겟 가상펫의 디테일 화면은 타겟 가상펫의 디테일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름, 세대지간, 속성 등을 포함하나 이 중에서의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타겟 가상펫의 디테일 화면에는 가계도 표시 컨트롤이 포함되는데, 이 가계도 표시 컨트롤은 가계도 표시명령을 트리거하기 위한 동작 컨트롤로서, 예를 들어 버튼, 슬라이더 등 동작 컨트롤인 바, 단말기는 가계도 표시 컨트롤과 대응되는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게 되고, 상기 동작 신호는 클릭, 누름, 슬라이딩 등 동작 신호일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한 예시에서, 단말기는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디테일 화면의 슬라이딩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되, 상기 슬라이딩 동작 신호의 방향은 상향, 하향, 좌향 또는 우향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슬라이딩 동작 신호의 방향이 상향인 경우를 예로 하면 타겟 가상펫의 디테일 화면을 위로 올려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트리거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0보다 큰 자연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상펫은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이다. 하나의 아빠 가상펫과 하나의 엄마 가상펫은 하나 또는 다수의 아이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할 수 있다. 아이 가상펫마다 아빠 가상펫의 일부 유전자 및 엄마 가상펫의 일부 유전자가 유전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전관계는 직접적인 유전관계와 간접적인 유전관계를 포함한다. 직접적인 유전관계는 인접한 두 세대 사이의 유전관계를 말하는 바, 즉 부모와 그 자녀 사이의 유전관계를 말한다. 간접적인 유전관계는 가운데 적어도 한 촌수가 차이나는 두 세대 사이의 유전관계를 말하는 바, 예를 들면 조부모와 손자, 손녀 사이의 유전관계, 증조부모와 증손자, 증손녀 사이의 유전관계를 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하나의 가계도 관계도를 도시한다. 가상펫A와 가상펫B는 가상펫C를 번식하여 생성하고, 가상펫D와 가상펫E는 가상펫F를 번식하여 생성하며, 가상펫C와 가상펫F는 가상펫G를 번식하여 생성한다. 이와 같이, 가상펫C와 가상펫A, 가상펫B와 가상펫G 사이에는 모두 유전관계가 존재하고, 가상펫F와 가상펫D, 가상펫E와 가상펫G 사이에는 모두 유전관계가 존재하며, 가상펫G와 가상펫C, 가상펫F, 가상펫A, 가상펫B, 가상펫D, 및 가상펫E 사이에는 모두 유전관계가 존재한다.
본원 발명의 일 예시에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n개의 가상펫은 단지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촌수가 타겟 가상펫보다 높은 기타 가상펫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가상펫이 가상펫C라고 가정하면, 가상펫C의 가계도 정보에는 가상펫A와 가상펫B만 포함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예시에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n개의 가상펫은 단지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촌수가 타겟 가상펫보다 낮은 기타 가상펫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가상펫이 가상펫C라고 가정하면 가상펫C의 가계도 정보에는 단지 가상펫G만 포함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예시에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n개의 가상펫은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촌수가 타겟 가상펫보다 높은 기타 가상펫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촌수가 타겟 가상펫보다 낮은 기타 가상펫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가상펫이 가상펫C라고 가정하면 가상펫C의 가계도 정보에는 가상펫A, 가상펫B, 및 가상펫G가 포함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에는 유전적 유전자가 존재한다. 유전적 유전자는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중의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유전시킨 유전자를 말한다. 유전적 유전자가 결정하는 특징은 유전적 특징이라고 한다.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에는 동일한 유전적 특징이 존재하는 바, 즉 동일한 이미지 소재 특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은 모두 황색 피부를 가진다. 또 예를 들면,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은 모두 붉은 색 피부와 접힌 귀를 가진다. 유전적 특징의 개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다수일 수도 있는데,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경우,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의 촌수가 가까울수록 유전적 특징이 더 많고, 이와 반대로 유전관계를 가지는 두 개의 가상펫 사이의 촌수가 멀수록 유전적 특징이 더 적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상펫이 갖고 있는 외적 특징에 근거하여 종류를 나눌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상펫이 갖고 있는 외적 특징의 품질에 근거하여 가상펫의 종류를 나누되, 서로 다른 종류의 가상펫은 서로 다른 품질 등급의 외적 특징을 가진다. 품질 등급의 개수는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품질 등급은 우수와 일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품질 등급은 고, 중, 저 3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품질 등급은 한 종류와 대응된다. 상기 단계302에서 획득한 n개의 가상펫은 타겟 가상펫과 유전과계를 가질 수 있고 특정된 종류의 가상펫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펫이 w(w는 1보다 큰 자연수)개의 서로 다른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상기 특정된 종류는 w개의 서로 다른 종류중의 어느 한 종류일 수도 있고 w개의 서로 다른 종류중의 적어도 2개의 종류일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가상펫이 갖고 있는 외적 특징의 품질에 근거하여 가상펫의 종류를 나눌 경우, 특정된 종류는 우수한 외적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이 속하는 종류를 말한다. 선택적으로, 우수한 외적 특징은 발생확률이 기설정 확률보다 작은 외적 특징 및/또는 특징 레벨이 기설정 레벨보다 큰 외적 특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발생확률이 기설정 확률보다 작은 외적 특징은 희유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가상펫 시스템 전체에서 작은 확률로 나타나는 외적 특징을 말한다. 특징 레벨이 기설정 레벨보다 큰 외적 특징은 전반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가상펫의 전체 펫 이미지 특징에 영향을 미치며 전반 특징의 레벨은 국부 특징의 레벨보다 크고 국부 특징은 가상펫의 국부 이미지 특징, 예를 들면 피부 특징, 복부 특징, 눈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가상펫의 종류가 우수와 일반 두 가지를 포함할 경우, 특정된 종류는 우수한 종류일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가상펫의 종류가 고품질, 중간 품질 및 저품질 3가지를 포함할 경우, 특정된 종류는 고품질 종류일 수 있다.
이 외에,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가상펫의 정보는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3D이미지 또는 2D이미지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상펫의 정보는 가상펫의 이름 및/또는 세대지간을 더 포함한다.
단계303에서,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가상펫의 정보는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펫 이미지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한 후, 이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한다.
일 예시에서, 단말기는 카드 형식으로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n개의 가상펫과 각각 대응되는 카드를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카드는 어레이 형식으로 배열되며, 예를 들면 3*x의 어레이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3은 열의 수를 나타내고 x는 행의 수를 나타내며 x는 0보다 큰 자연수이다. 예시적으로, n개의 가상펫중 i번째 가상펫과 대응하는 카드에는 i번째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고 i는n이하인 0보다 큰 자연수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타겟 가상펫의 디테일 화면에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화면에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가상펫 고양이를 예로 들면, 단말기에는 가상펫 고양이 Lucky의 디테일 화면(51)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디테일 화면(51)에 작용하는 상향 슬라이딩 동작 신호를 수행하고 단말기는 디테일 화면(51)에 가상펫 고양이 Lucky의 가계도 정보(52)를 표시한다. 이 가상펫 고양이 Lucky의 가계도 정보(52)에는 여러개의 카드(53)가 포함되는데, 각 카드(53)에는 가상펫 고양이 Lucky와 유전관계가 있는 한 가상펫 고양이의 펫 이미지, 이름 및 세대지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메커니즘 하에서 부모 가상펫의 유전자는 유전자 유전법칙에 근거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차세대에 유전하게 되고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그 부모 가상펫으로부터 얻은 유전적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것이므로, 이러한 번식방식은 진실한 세계에서의 생물의 번식에 더 근접하여 제품 기능이 보다 진실성과 다양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이러한 번식방식 하에서 가상펫의 가계도 표시기능을 독창적으로 제공하는데,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연장자의 펫 이미지를 알게 되고, 더 나아가 이 가상펫의 혈통정보를 획득하며, 가상펫의 번식시장과 거래시장에서의 가치 평가에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더 풍부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구조에 응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601, 602, 603, 604, 605, 606, 607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1에서, 단말기는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한다.
단계602에서, 단말기는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생성한다.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는 이 타겟 가상펫을 유일하게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펫마다 자신의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가상펫은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가진다. 가상펫의 식별 정보는 하나의 문자열일 수 있고 이 문자열은 숫자, 자모, 부호중의 적어도 한가지 원소로 구성될 수 있다.
가계도 획득 요청은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603에서, 단말기는 서버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604에서,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한다.
서버는 단말기가 송신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가계도 획득 요청에 포함된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되고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blockchain technology)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원장기술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인터넷 데이터 베이스 기술의 하나로서 특징은 분산화되고 공개적이며 투명하여, 사람마다 모두 데이터 베이스 기록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출하고 저장하며 분산형 노드의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하며 암호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액세스의 안전을 확보하고 자동화 스크립트 코드로 구성된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프로그래밍하고 작동시키는 분산형 기초 구조와 계산 방식일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는 매우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구비하고 블록체인 시스템은 고칠수 없는 신뢰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이용하는 전통적인 백그라운드 서버로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저장하는 것과 비교하면,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가계도 정보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가상펫은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이 가상펫이 구비하는 유전자 특징을 어느 정도 반영하게 되고 우수한 유전자와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은 거래시장에서 비교적 높은 가치를 가지므로,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은 가상펫의 가치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수행한다.
1.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제1 응답 조건은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것, 가상펫 시스템이 온 상태에 처하는 것, 타겟 가상펫이 초기 세대 가상펫이 아닌 것을 포함하나 이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계정은 활성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서만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조건은 사용자 계정이 지정된 등급에 도달하는 것, 사용자 계정이 지정된 기능 또는 권한을 개통하는 것, 사용자 계정에 지정된 액수를 충전하는 것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사용자 계정이 15급에 도달할 경우,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키게 되는데 가상펫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예를 들면 가상펫을 획득, 번식, 거래하는 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가상펫 시스템은 온 상태와 오프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는데 오픈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가상펫 시스템은 오픈된다. 상기 오픈조건은 특정된 시간에 속하는 것, 지정된 임무를 완성하는 것, 지정된 성과에 도달하는 것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가상펫 시스템은 매일 16: 00-22: 00 사이에 온 상태에 처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오프상태에 처한다.
초기 세대 가상펫은 세대지간이 0인 가상펫을 말하는 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된 것이 아니라 가상펫 시스템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초기 세대 가상펫에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이 존재하지 않고, 촌수가 초기 세대 가상펫보다 높은 동시에 이와 유전관계를 가지는 기타 가상펫은 더 존재할 리가 없다.
2.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단계604를 수행하는 단계
3.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과정을 끝내거나 또는 서버가 단말기로 요청 실패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방식을 통해 서버가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되,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여 서버측에서 가계도 획득 요청을 효율적으로 검출함으로써 일부 무효한 요청이 블록체인 시스템에 도달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이 불필요한 처리에 따른 오버헤드(overhead)의 사용을 회피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서버가 전송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이 가계도 획득 요청에 포함된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된 각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서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와 대응되게 저장된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여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로서 서버로 송신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이 서버로 송신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는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0보다 큰 자연수)개의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된다. 유전관계의 해석 설명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606에서, 서버가 단말기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607에서, 단말기가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한다.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 및 가계도 정보의 표시방식은 상기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수단에서는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충분히 확보한다.
또한 가상펫은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이 가상펫이 구비하는 유전자 특징을 어느 정도 반영하게 되고 우수한 유전자와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은 거래시장에서 비교적 높은 가치를 가지므로,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은 가상펫의 가치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저장할 경우 단말기가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이하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의 저장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저장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단말기가 배우자 가상펫과 대응되는 번식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배우자 가상펫은 배우자 관계가 있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을 포함한다.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은 서로 다른 성별을 가지는 바, 아빠 가상펫은 수컷(또는 웅성이라고 함)이고 엄마 가상펫은 암컷(또는 자성이라고 함)이다. 가상펫의 성별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도 있고 가상펫 시스템이 자동으로 결정할 수도 있는데,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배우자 관계가 있는 2개의 가상펫은 번식을 통해 아이 가상펫을 생성할 수 있다.
번식 명령은 배우자 가상펫이 번식하여 아이 가상펫을 생성하도록 트리거하는 명령을 말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번식 명령의 형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터치 동작, 음성, 제스처 등 임의의 형식의 명령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단말기는 펫 번식 화면를 표시하는데 펫 번식 화면에는 아빠 역할 필드와 엄마 역할 필드가 포함된다. 여기서 아빠 역할 필드는 이번 번식과정에서 아빠 역할의 가상펫을 선택하기 위한 컨트롤 필드이고 엄마 역할 필드는 이번 번식과정에서 엄마 역할의 가상펫을 선택하기 위한 컨트롤 필드이다. 단말기는 제1 동작에 근거하여 아빠 역할 필드에 아빠 가상펫을 부가하고 제2 동작에 근거하여 엄마 역할 필드에 엄마 가상펫을 부가한다. 상기 제1 동작은 드래그, 클릭 등 동작일 수 있고 제2 동작도 드래그, 클릭 등 동작일 수 있다. 단말기는 펫 번식 화면에서 대응되는 확인 컨트롤을 획득한 후, 배우자 가상펫과 대응되는 번식 명령을 획득한다. 확인 컨트롤은 번식 명령을 트리거하기 위한 동작 컨트롤, 예를 들면 버튼이다.
2. 단말기가 번식 명령에 근거하여 서버로 번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번식 요청에는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정보가 표함된다. 상기 부모 가상펫의 정보는 부모 가상펫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고, 부모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이거나 또는 기타 부모 가상펫을 유일하게 지시할 수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3. 서버가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정보에 근거하여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전자 유전법칙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각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는 전반적인 유일성을 가지고 임의의 두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는 모두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
일 예시에서, 서버는 아빠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에 근거하여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아이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를 결정한 다음, 아이 가상펫의 유전자 정보에 근거하여 아이 가상펫이 구비한 특징을 결정할 수 있으며 아이 가상펫이 구비한 특징에 근거하여 아이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묘사할 수 있다.
4. 서버가 단말기로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단말기로 송신한 아이 가상펫의 정보는 펫 이미지, 이름, 세대지간 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5. 단말기가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이 외에, 서버는 단말기가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신한 후 다음과 같은 단계6~단계8을 더 수행한다.
6.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송신할 수 있는데 이 가계도 획득 요청에는 아빠 가상펫의 식별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블록체인 시스템이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한 후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고, 그 다음 서버로 피드백한다.
7. 서버가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는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합병하여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모 가상펫과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 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71)에는 가상펫A와 가상펫B가 포함된다.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72)에는 가상펫C, 가상펫D, 가상펫E와 가상펫F가 포함된다.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71)와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72)를 합병하여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73)를 얻는데, 여기에는 아빠 가상펫, 엄마 가상펫, 가상펫A, 가상펫B, 가상펫C, 가상펫D, 가상펫E와 가상펫F가 포함된다. 상기 합병된 후 생성한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은 실제로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의 합집합일 수 있다.
8. 서버가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서버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가계도 저장 요청을 송신할 수 있는데 가계도 저장 요청에는 아이 가상펫의 식별 정보와 이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가 포함된다.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가계도 저장 요청을 수신한 후 아이 가상펫의 식별 정보와 이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대응되게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서버는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합병하여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한 후,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수행한다.
1. 서버는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의 개수가 기설정 임계값k(k는 0보다 큰 자연수)보다 큰지 검출하는 단계
기설정 임계값k의 값은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50, 100 또는 200일 수 있다.
2.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의 개수가 기설정 임계값k보다 크면, 서버가 세대지간이 제일 높은 k개의 가상펫을 선별하고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서 상기 k개의 가상펫을 제외한 가상펫을 삭제하는 단계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초기 세대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제일 낮으며, 예를 들면 초기 세대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0이다. 초기 세대가 아닌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그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에 의해 결정된다. 부모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한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그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보다 높다. 일 예시에서, 동일한 세대지간의 부모 가상펫만이 아이 가상펫 (즉 차세대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도록 허용하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에 1을 더한 것이다. 예를 들면,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모두 1이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2이고, 또 예를 들면, 부모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모두 0이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1이다. 다른 한 예시에서, 동일한 세대지간의 부모 가상펫이 아이 가상펫(즉, 차세대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세대지간의 부모 가상펫이 아이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도록 허용하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부모 가상펫중 세대지간이 더 높은 쪽의 세대지간에 1을 더한 것과 같다. 예를 들면, 아빠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0이고 엄마 가상펫의 세대지간이 2이면 아이 가상펫의 세대지간은 3이다.
서버는 부모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합병하여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얻은 후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의 개수가 기설정 임계값k보다 많으면,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각 가상펫을 세대지간에 따라 순서를 배열하며 배열결과에 근거하여 세대지간이 제일 높은 k개의 가상펫을 선택하여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남기고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서 상기 k개의 가상펫을 제외한 기타 가상펫을 삭제함으로써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는 제일 많아서 k개의 가상펫을 포함하도록 확보한다.
상기 방식을 통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의 데이터를 제어하여 한편으로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저장 리소스 및 가계도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소모되는 전송 리소스를 절약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단말기가 가계도 정보를 너무 길게 표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된 임의의 가상펫(예를 들면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는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특정된 종류에 속하는 가상펫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가상펫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상펫에서 특정된 종류에 속하는 가상펫을 기록한다. 서버가 단지 단말기로 가계도 정보에서 특정된 종류에 속하는 가상펫의 정보를 송신하면,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할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이 서버로 피드백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는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가상펫에서 특정된 종류에 속하는 가상펫을 기록하여 후속적으로 서버가 그 중에서 선별한 후 단말기로 피드백하거나, 또는 블록체인 시스템이 서버로 피드백한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단지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동시에 특정된 종류에 속하는 가상펫의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6~단계8과 단계3~단계4의 수행 선후 순서에 대해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6~단계8은 단계3~단계4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고 단계3~단계4 이후에 수행할 수도 으며 또는 단계3~단계4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버는 단말기가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행한 후 다음과 같은 단계를 더 수행한다.
1. 번식 요청이 제2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제2 응답 조건은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것, 가상펫 시스템이 온 상태에 처하는 것, 단말기에 로근인한 사용자 계정이 엄마 가상펫의 소유자인 것, 아이 가상펫이 이미 번식 출생 시간에 도달한 것을 포함하나 이 중의 적어도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2. 번식 요청이 제2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단계3~단계4와 단계6~단계8을 수행하는 단계
3. 번식 요청이 제2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과정을 끝내거나 또는 서버가 단말기로 요청 실패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방식을 통해 서버는 수신한 번식 요청에 대해 조건 검증을 진행하고, 번식 요청이 제2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다시 이 번식 요청을 처리하여 가상펫의 번식이 더 규범화되고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이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는 과정에서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하고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함으로써 필요할 때 획득하여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한다.
일 예시에서, 가상펫이 가상펫 고양이인 것을 예로 들면 그 가계도 정보의 생성저장과정과 획득과정은 각각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계도 정보의 생성저장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서버가 단말기에서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예를 들면, 번식 요청에는 아빠 고양이의 정보와 엄마 고양이의 정보가 포함된다.
2. 서버가 번식 요청에 대해 미리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예를 들면, 번식 요청에 대해 미리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고양이 시스템을 활성화시킨 것, 가상펫 고양이 시스템이 온 상태에 있는지 여부,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엄마 고양이의 소유자인지 여부, 새로 태어난 고양기가 이미 번식 출생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와 같은 정보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3. 미리 점검이 통과된 후,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아빠 고양이와 엄마 고양이의 가계도 정보를 포함하는 아빠 고양이와 엄마 고양이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아빠 고양이와 엄마 고양이의 상세 정보에는 아빠 고양이와 엄마 고양이의 유전자 정보가 더 포함되고, 서버는 아빠 고양이와 엄마 고양이의 유전자 정보에 근거하여 새로 태어난 고양이의 유전자 정보를 결정한다.
4. 아빠 고양이와 엄마 고양이의 가계도 정보를 합병하여 새로 태어난 고양이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새로 태어난 고양이의 가계도 정보에서는 세대지간에 따라 큰 것으로부터 작은 것으로 가는 순서로 고양이의 순서를 배열할 수 있다. 서열에 200마리의 고양이를 초과할 경우 세대지간이 제일 큰 200마리의 고양이를 서열에 남겨두고, 서열에 200마리의 고양이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 선별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다.
5. 새로 태어난 고양이의 가계도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계도 정보의 획득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서버가 단말기에서 송신한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예를 들면, 가계도 획득 요청에는 타겟 고양이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2. 서버가 가계도 획득 요청에 대해 미리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
예를 들면, 가계도 획득 요청에 대해 미리 점검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고양이 시스템을 활성화시킨 것, 가상펫 고양이 시스템이 온 상태에 있는지 여부, 타겟 고양이가 초기 세대 고양이인지 여부와 같은 정보를 검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3. 미리 점검을 통과한 후,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타겟 고양이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4. 서버가 단말기로 타겟 고양이의 가계도 정보를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하 내용은 본원 발명의 장치 실시예로서 본원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장치 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은 세부적인 내용은 본원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상기 단말기측의 방법 예시를 실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이 장치(1000)는 명령 획득 모듈(1010), 가계도 획득 모듈(1020), 가계도 표시 모듈(1030)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획득 모듈(1010)은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계도 획득 모듈(1020)은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0보다 큰 자연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한다.
가계도 표시 모듈(1030)은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메커니즘 하에서 부모 가상펫의 유전자는 유전자 유전법칙에 근거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차세대에 유전하게 되고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그 부모 가상펫으로부터 얻은 유전적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것이므로, 이러한 번식방식은 진실한 세계에서의 생물의 번식에 더 근접하여 제품 기능이 보다 진실성과 다양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이러한 번식방식 하에서 가상펫의 가계도 표시기능을 독창적으로 제공하는데,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연장자의 펫 이미지를 알게 되고, 더 나아가 이 가상펫의 혈통정보를 획득하며, 가상펫의 번식시장과 거래시장에서의 가치 평가에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더 풍부하게 한다.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n개의 가상펫은 특정된 종류에 속하는데,
여기서 상기 가상펫의 종류는 상기 가상펫이 가지는 외적 특징에 따라 나누어진 것이고 상기 특정된 종류의 가상펫은 우수한 외적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을 의미하며, 상기 우수한 외적 특징은 발생확률이 기설정 확률보다 작은 외적 특징 및/또는 특징 레벨이 기설정 레벨보다 큰 외적 특징을 포함한다.
도 10의 실시예 또는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계도 획득 모듈(1020)은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송신하고(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의 실시예 또는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계도 획득 모듈(1030)은
어레이 형식으로 상기 n개의 가상펫과 각각 대응되는 카드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n개의 가상펫중의 i번째 가상펫과 대응되는 카드에는 상기 i번째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i는 n이하인 양의 정수이다.
도 10의 실시예 또는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000)는 펫 번식 모듈을 더 포함하는데 이 펫 번식 모듈은
배우자 관계를 가지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을 포함하는 배우자 가상펫과 대응되는 번식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번식 명령에 근거하여 서버로 상기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는 번식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서버가 송신한 정보인 상기 아빠 가상펫과 상기 엄마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한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상기 서버측의 방법 예시를 실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가 상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이 장치(1100)는 요청 수신 모듈(1110), 요청 전송 모듈(1120), 가계도 수신 모듈(1130), 가계도 송신 모듈(1140)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 모듈(1110)은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것이다.
요청 전송 모듈(1120)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한다.
가계도 수신 모듈(1130)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다.
가계도 송신 모듈(1140)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수단은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가상펫을 번식하여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메커니즘 하에서 부모 가상펫의 유전자는 유전자 유전법칙에 근거하여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차세대에 유전하게 되고 가상펫의 펫 이미지는 그 부모 가상펫으로부터 얻은 유전적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것이므로, 이러한 번식방식은 진실한 세계에서의 생물의 번식에 더 근접하여 제품 기능이 보다 진실성과 다양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이러한 번식방식 하에서 가상펫의 가계도 표시기능을 독창적으로 제공하는데,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연장자의 펫 이미지를 알게 되고, 더 나아가 이 가상펫의 혈통정보를 획득하며, 가상펫의 번식시장과 거래시장에서의 가치 평가에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더 풍부하게 한다.
도 11의 실시예에 의한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n개의 가상펫은 특정된 종류에 속하고,
여기서 상기 가상펫의 종류는 상기 가상펫이 가지는 외적 특징에 따라 나누어진 것이고 상기 특정된 종류의 가상펫은 우수한 외적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을 의미하며, 상기 우수한 외적 특징은 발생확률이 기설정 확률보다 작은 외적 특징 및/또는 특징 레벨이 기설정 레벨보다 큰 외적 특징을 포함한다.
도 11의 실시예 또는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100)는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응답 조건은 상기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킨 조건, 가상펫 시스템이 온 상태에 처한 조건, 상기 타겟 가상펫이 초기 세대 가상펫이 아닌 조건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 전송 모듈(1120)은 또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이 상기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한다.
도 11의 실시예 또는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에 의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1100)는 번식 요청 수신 모듈, 번식 수행 모듈, 및 정보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번식 요청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번식 요청에는 배우자 관계를 가지는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된다.
번식 수행 모듈은 상기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정보에 근거하여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생성한다.
정보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100)는 가계도 인출 모듈, 가계도 생성 모듈, 및 가계도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계도 인출 모듈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한다.
가계도 생성 모듈은 상기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한다.
가계도 저장 모듈은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100)는 개수 검출 모듈과 가계도 선별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개수 검출 모듈은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가상펫의 개수가 기설정 임계값k(k는 양의 정수)보다 큰 지 여부를 검출한다.
가계도 선별 모듈은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된 가상펫의 개수가 상기 기설정 임계값k보다 클 경우, 세대지간이 제일 높은 k개의 가상펫을 선별하고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서 상기 k개의 가상펫을 제외한 기타 가상펫을 삭제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그 기능을 실현시, 단지 상기 각 기능 모듈의 구분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 응용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기능을 서로 다른 기능 모듈로 분배하여 실현할 수 있는 바, 즉 기기의 내부 구조를 서로 다른 기능모듈로 나누어 이상에서 설명한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외에 상기 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방법 실시예는 동일한 사상에 속하며, 그 구체적인 실현과정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1200)의 구조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단말기(1200)는 휴대폰, 게임 콘솔, 태블릿 컴퓨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C (personal computer, 개인 컴퓨터) 등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1200)는 프로세서(1201)와 메모리(12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4 코어 프로세서, 8 코어 프로세서 등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1)는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데이터 신호 처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PLA(Programmable Logic Array,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형식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1)는 메인 프로세서와 보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메인 프로세서는 웨이크 상태에서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라고도 하고, 보조 프로세서는 대기 상태에서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저전력 프로세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1)는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는데 GPU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의 랜더링과 제작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1)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AI프로세서는 기계 학습에 관한 계산 동작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12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비일시적일 수 있다. 메모리(12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디스크 저장 기기, 플래시 메모리 저장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202)에서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되어 본원 발명에서의 방법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200)는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203)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203) 사이에는 버스 또는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주변장치는 버스, 신호 라인 또는 회로기판을 통해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203)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장치는 무선주파수 회로(1204),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 카메라(1206), 음성 수준 회로(1207), 포지셔닝 부품(1208) 및 전원(1209)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203)는 I/O(Input/Output, 입출력)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201)와 메모리(1202)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203)는 동일한 칩 또는 회로기판에 집적되고, 일부 기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20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 개는 단독적인 칩 또는 회로기판에서 실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무선주파수 회로(1204)는 RF (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발사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 신호라고도 한다. 무선주파수 회로(1204)는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기기와 통신한다. 무선주파수 회로(1204)는 전기 신호를 전자기 신호로 전환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한 전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한다. 선택적으로, 무선주파수 회로(1204)는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시버, 하나 또는 다수의 앰프, 튜너, 오실레이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덱 칩셋,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등을 포함한다. 무선주파수 회로(1204)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도시권 통신망, 각 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2G, 3G, 4G 및 5G),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Wi-Fi(Wireless Fidelity,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주파수 회로(1204)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과 관련된 회로를 더 포함하나 본원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은 UI(User Interface, 사용자 화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UI는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동영상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이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의 표면 또는 표면 상방의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능력을 더 구비한다. 이 터치 신호는 제어 신호로서 프로세서(1201)에 입력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또한 가상 버튼 및/또는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사용되어 소프트 버튼 및/또는 소프트 키보드라고 불릴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하나일 수 있고 단말기(1200)의 전면 패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적어도 두 개일 수 있고 각각 단말기(1200)의 서로 다른 표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폴딩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고 단말기(1200)의 굴곡된 표면 또는 폴딩된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진일보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직사각형이 아닌 불규칙 그래픽, 즉 이형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카메라 부품(1206)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수집한다. 선택적으로, 카메라 부품(1206)은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론트 카메라는 컴퓨터 기기의 전면 패널에 설치되고 리어 카메라는 컴퓨터 기기의 배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어 카메라는 적어도 두 개로서 각각 메인 카메라, 피사계 심도 카메라,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중의 어느 하나이며, 메인 카메라와 피사계 심도 카메라가 융합되어 배경 흐림 기능을 실현하고 메인 카메라와 광각 카메라가 융합되어 전경 촬영 및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촬영기능 또는 기타 융합 촬영 기능을 실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 부품(1206)은 플래시 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라이트는 단색온도 플래시 라이트일 수도 있고 이중색온도 플래시 라이트일 수도 있다. 이중색온도 플래시 라이트는 웜 플래시 라이트와 콜드 플래시 라이트의 조합을 말하는 바, 서로 다른 색온도에서의 광선의 보충에 사용될 수 있다.
음성 수준 회로(1207)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 및 환경의 음파를 수집하고 음파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프로세서(1201)에 입력하여 처리하거나 또는 무선주파수 회로(1204)에 입력하여 음성통신을 실현한다. 입체음 수집 또는 소음을 저하시키는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마이크는 다수일 수 있는데 각각 단말기(1200)의 서로 다른 부위에 설치된다. 마이크는 어레이 마이크 또는 전방향 수집형 마이크 일 수도 있다. 스피커는 프로세서(1201)또는 무선주파수 회로(1204)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음파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스피커는 전통적인 필름 스피커일 수도 있고 압전 세라믹 라우드 스피커일 수도 있다. 스피커가 압전 세라믹 라우드 스피커일 경우 전기 신호를 인류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신호를 인류가 들을 수 없는 음파로 전환하여 거리 측정 등 용도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수준 회로(1207)는 이어폰 잭일 수도 있다.
포지셔닝 부품(1208)는 단말기(1200)의 현재 지리 위치를 포지셔닝하여 네비게이션을 실현하거나 또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 를 실현한다. 포지셔닝 부품(1208) 는 미국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중국의 베이더우 시스템, 러시아의 그레나스 시스템 또는 유럽의 갈릴레이 시스템에 기반한 포지셔닝 부품일 수 있다.
전원(1209)은 단말기(1200)에서의 각 부품를 위해 전기를 공급한다. 전원(1209)은 교류 전류, 직류 전류,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1209)이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경우 이 충전식 배터리는 유선 충전 배터리거나 무선 충전 배터리일 수 있다. 이 충전식 배터리는 빠른 충전 기술을 서포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2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1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1210)는 속도 센서(1211), 자이로스코프 센서(1212), 압력 센서(1213), 지문센서(1214), 광학센서(1215) 및 근접센서(1216)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속도 센서(1211)는 단말기(1200)에 의해 셋업된 좌표계의 세 개의 좌표축에서의 가속도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1211)는 중력 가속도가 세 개의 좌표축에서의 무게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1)는 가속도 센서(1211)가 수집한 중력 가속도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로 하여금 횡방향 투시도 또는 종방향 투시도로 사용자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211)는 게임 또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의 수집에 더 사용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 센서(1212)는 단말기(1200)의 본체 방향 및 회동 각도를 검출할 수 있고 자이로스코프 센서(1212)는 가속도 센서(1211)와 협동하여 사용자가 단말기(1200)에 대한 3D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1)는 자이로스코프 센서(1212)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동작 감응(예를 들면 사용자의 경사진 동작에 근거하여 UI를 변화시킴), 촬영할 때의 이미지 안정, 게임 제어 및 관성 네비게이션과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압력 센서(1213)는 단말기(1200)의 측면 테두리 및/또는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의 하층에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1213)가 단말기(1200)의 측면 테두리에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200)에 대한 홀딩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1)가 압력 센서(1213)가 수집한 홀딩 신호에 근거하여 왼손 오른손 인식 또는 빠른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압력 센서(1213)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의 하층에 설치될 경우 프로세서(1201)는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에 대한 압력동작에 근거하여 UI화면에서의 운용성 컨트롤에 대한 제어를 실현한다. 운용성 컨트롤은 버튼 컨트롤, 스크롤 바 컨트롤, 아이콘 컨트롤, 메뉴 컨트롤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지문센서(1214)는 사용자의 지물을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프로세서(1201)는 지문센서(1214)가 수집한 지문에 근거하여 사용자 신분을 인식하거나 또는 지문센서(1214)가 수집된 지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인식한다. 사용자의 신분이 신뢰 가능한 신분이라고 인식될 경우 프로세서(1201)는 이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관련 민감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 민감한 동작은 화면 잠금 해제, 암호화 정보 검색,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지불 및 설치 변경 등을 포함한다. 지문센서(1214)는 단말기(1200)의 정면, 배면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1200)에 물리 버튼 또는 공급업체 Logo가 설치될 경우 지문센서(1214)는 물리 버튼 또는 공급업체 Logo와 집적될 수 있다.
광학센서(1215)는 주변광 강도를 수집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1)는 광학센서(1215)가 수집한 주변광 강도에 근거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광 강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상향 조절하고; 주변광 강도가 비교적 낮을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하향 조절한다. 다른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1)는 광학센서(1215)가 수집한 주변광 강도에 근거하여 카메라 부품(1206)의 촬영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근접센서(1216)는 거리 센서라고도 하는데 통상적으로 단말기(1200)의 전면 패널에 설치된다. 근접센서(1216)는 사용자와 단말기(1200)의 정면 사이의 거리를 수집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근접센서(1216)가 사용자와 단말기(1200)의 정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검출할 경우 프로세서(1201)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를 제어하여 스크린이 켜진 상태로부터 꺼진 상태로 변화하도록 하고; 근접센서(1216)가 사용자와 단말기(1200)의 정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것을 검출할 경우 프로세서(1201)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1205)를 제어하여 스크린이 꺼진 상태로부터 켜진 상태로 변화하도록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는 단말기(1200)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품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부품를 조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부품를 이용하여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조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서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서버(1300)는 중앙 처리 유닛(CPU) (1301),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1302)와 읽기 전용 메모리(ROM) (1303)를 포함하는 시스템 메모리(1304)및 시스템 메모리(1304)와 중앙 처리 유닛(1301)을 연결하는 시스템 버스(1305)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300)는 컴퓨터 내의 각 소자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기본적인 입력/출력 시스템(I/O시스템)(1306), 운영체제(131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14)과 기타 프로그램 모듈(1315)을 저장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기기(13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기본적인 입력/출력 시스템(1306)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308)와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입력기기(13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308)와 입력기기(1309)는 모두 시스템 버스(1305)에 연결된 입출력 제어기(1310)를 통해 중앙 처리 유닛(1301)에 연결된다. 상기 기본적인 입력/출력 시스템(1306)는 입출력 제어기(1310)를 더 포함하여 키보드, 마우스 또는 전자 스타일러스 등 다수의 기타 기기의 입력을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입출력 제어기(1310)는 디스플레이, 프린터 또는 기타 유형의 출력기기에 더 출력한다.
상기 대용량 저장 기기(1307)는 시스템 버스(1305)에 연결된 대용량 저장 제어기(미도시) 를 통해 중앙 처리 유닛(1301)에 연결된다. 상기 대용량 저장 기기(1307)및 이와 관련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서버(1300)를 위해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대용량 저장 기기(1307)는 하드 디스크 또는 CD-ROM드라이버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와 통신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실현하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이동 가능과 이동 불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고체 상태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기타 광학 스토리지, 테이프 카세트, 자기 테이프, 디스크 저장 또는 기타 자성 저장 기기를 포함한다.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컴퓨터 저장매체가 상술한 몇가지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 메모리(1304)와 대용량 저장 기기(1307)는 메모리라고 총칭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근거하면 상기 서버(130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에서의 원격 컴퓨터와 연결되어 운행할 수 있다. 즉 서버(1300)는 상기 시스템 버스(1305)에 연결된 네트워크 화면 유닛(1311)을 통해 네트워크(1312)에 연결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화면 유닛(1311)을 이용하여 기타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원격 컴퓨터 시스템(미도시) 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기기를 더 제공하는데 상기 컴퓨터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컴퓨터 기기는 단말기 또는 서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는데 상기 저장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상기 명령 집합은 컴퓨터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수행될 경우 이는 상기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을 실현하는데 사용된다.
응당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내용에서 제기한 “다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말한다. “및/또는”은 관련 상대의 특수 관계를 설명하는 바, 세가지 관계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황,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이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문자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상대가 한가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원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원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Claims (20)

  1.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운행되는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가상펫이 제공되어 있고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펫 이미지를 가지는 상기 가상펫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고,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며, 상기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가상펫은 특정된 종류에 속하고,
    상기 가상펫의 종류는 상기 가상펫이 가지는 외적 특징에 따라 나누어지고 상기 특정된 종류의 가상펫은 우수한 외적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을 의미하며 상기 우수한 외적 특징은 발생확률이 기설정 확률보다 작은 외적 특징 및/또는 특징 레벨이 기설정 레벨보다 큰 외적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서버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인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어레이 형식으로 상기 n개의 가상펫과 각각 대응되는 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가상펫중의 i(i는 n이하인 양의 정수)번째 가상펫과 대응되는 카드에는 상기 i번째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우자 관계를 가지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을 포함하는 배우자 가상펫과 대응되는 번식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번식 명령에 근거하여 서버로 상기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는 번식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송신한 정보인 상기 아빠 가상펫과 상기 엄마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한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6.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며,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고, 상기 타겟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가상펫은 특정된 종류에 속하고,
    상기 가상펫의 종류는 상기 가상펫이 가지는 외적 특징에 따라 나누어지고 상기 특정된 종류의 가상펫은 우수한 외적 특징을 가지는 가상펫을 의미하며 상기 우수한 외적 특징은 발생확률이 기설정 확률보다 작은 외적 특징 및/또는 특징 레벨이 기설정 레벨보다 큰 외적 특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이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조건은 상기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킨 조건, 가상펫 시스템이 온 상태에 처한 조건, 상기 타겟 가상펫이 초기 세대 가상펫이 아닌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이 상기 제1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면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부터 수행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번식 요청에는 배우자 관계를 가지는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엄마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
    상기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정보에 근거하여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빠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가상펫의 개수가 기설정 임계값k(k는 양의 정수)보다 큰 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 포함되는 가상펫의 개수가 상기 기설정 임계값k보다 크면, 세대지간이 제일 큰 k개의 가상펫을 선별하고 상기 아이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에서 상기 k개의 가상펫을 제외한 기타 가상펫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송신한 번식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 다음에,
    상기 번식 요청이 제2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답 조건은 상기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이미 가상펫 시스템을 활성화시킨 조건, 가상펫 시스템이 온 상태에 처한 조건, 상기 단말기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이 상기 엄마 가상펫의 소유자인 조건, 아이 가상펫이 이미 번식 출생 시간에 도달한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번식 요청이 상기 제2 응답 조건을 만족시키면, 상기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정보에 근거하여 유전자 유전법칙에 따라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부터 수행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1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운행되는 단말기에 응용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가상펫이 제공되어 있고 유전자 유전법칙에 기반하여 생성된 펫 이미지를 가지는 상기 가상펫이 적어도 하나 존재하고,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며, 상기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타겟 가상펫에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명령 획득 모듈;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계도 획득 모듈;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계도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송신하되,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가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펫 번식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펫 번식 모듈은
    배우자 관계를 가지는 아빠 가상펫과 엄마 가상펫을 포함하는 배우자 가상펫과 대응되는 번식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번식 명령에 근거하여 서버로 상기 아빠 가상펫의 정보와 상기 엄마 가상펫의 정보가 포함되는 번식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서버가 송신한 정보인 상기 아빠 가상펫과 상기 엄마 가상펫이 번식하여 생성한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
  16.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요청 수신 모듈;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 전송 모듈;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며,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고, 상기 타겟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가계도 수신 모듈;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가계도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펫의 정보 표시 장치.
  17.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며, 상기 타겟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며,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고, 상기 타겟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타겟 가상펫과 대응되는 가계도 표시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계도 표시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며, 상기 타겟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20.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인 타겟 가상펫의 식별 정보를 지닌 가계도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은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것인 단계;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상기 가계도 획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이 송신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는 상기 타겟 가상펫과 유전관계를 가지는 n(n은 양의 정수)개의 가상펫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펫의 정보는 상기 가상펫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가상펫의 펫 이미지를 포함하며, 유전 과정에서 기존의 가상펫과 동일한 유전자 서열이 나타날 경우 중복 제거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가상펫의 유전자 서열이 새롭게 생성되고, 상기 타겟 가상펫은 유일무이한 유전자 서열을 가지는 단계; 및
    상기 타겟 가상펫의 가계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KR1020217002642A 2018-08-30 2019-07-19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 KR102557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03685.X 2018-08-30
CN201811003685.XA CN110019918B (zh) 2018-08-30 2018-08-30 虚拟宠物的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CT/CN2019/096629 WO2020042819A1 (zh) 2018-08-30 2019-07-19 虚拟宠物的信息展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623A KR20210024623A (ko) 2021-03-05
KR102557732B1 true KR102557732B1 (ko) 2023-07-24

Family

ID=6718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642A KR102557732B1 (ko) 2018-08-30 2019-07-19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26661B2 (ko)
JP (1) JP7090837B2 (ko)
KR (1) KR102557732B1 (ko)
CN (1) CN110019918B (ko)
SG (1) SG11202010924QA (ko)
WO (1) WO2020042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9918B (zh) 2018-08-30 2021-03-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宠物的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991553B (zh) * 2021-03-11 2022-08-26 深圳市慧鲤科技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148058B1 (en) * 2021-05-10 2021-10-19 Myth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ated in-game access based on collections of unique digital articles
CN113194329B (zh) * 2021-05-10 2023-04-25 广州繁星互娱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互动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822973A (zh) * 2021-11-24 2021-12-2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操作虚拟形象的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和程序
CN113822974A (zh) * 2021-11-24 2021-12-2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生成虚拟形象的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和程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987A (ja) 2000-10-31 2002-05-17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仮想生物飼育システム
JP2017189476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956A (ko) 2000-02-11 2002-12-12 딘 게라드 안소니 마로운 게임 장치 및 게임 방법
US20020082065A1 (en) * 2000-12-26 2002-06-27 Fogel David B. Video game characters having evolving traits
US20020082077A1 (en) * 2000-12-26 2002-06-27 Johnson Douglas R. Interactive video game system with characters that evolve physical and cognitive traits
US8287372B2 (en) * 2006-09-28 2012-10-16 Mattel, Inc. Interactive toy and display system
CN101676922A (zh) * 2008-09-19 2010-03-2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依据实体生物状态调整虚拟生物参数的系统及其方法
JP2012090928A (ja) * 2010-10-22 2012-05-17 Kazuyuki Fukushima 仮想ペットの育成ゲーム装置
US20130102379A1 (en) * 2011-01-07 2013-04-25 Candace Sargent Method of Simulation Reproductive Creatures
US20140114630A1 (en) * 2012-03-21 2014-04-24 Scott Brenner Brave Generating Artifacts based on Genetic and Breeding Simulation
JP5769884B2 (ja) 2012-06-27 2015-08-2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WO2017087769A1 (en) 2015-11-18 2017-05-26 Global Specimen Solutions, Inc. Distributed systems for secure storage and retrieval of encrypted biological specimen data
CN105825253A (zh) 2016-03-29 2016-08-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目标对象展示方法、装置以及系统
KR101733917B1 (ko) * 2016-03-31 2017-05-08 홍병환 관리 효율화를 위한 애완동물 관계망 인프라 시스템 및 이의 구축과 활용 방법
CN110019918B (zh) * 2018-08-30 2021-03-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宠物的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987A (ja) 2000-10-31 2002-05-17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仮想生物飼育システム
JP2017189476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バンダイ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더리움 킬러 DApp 크립토키티 CryptoKItties : 희귀 고양이 모으기", 인터넷 crytocoin 웹사이트 게시글(2018.02.24.)*
"크립토키티 수익모델 : 배우자 찾기와 판매하기", 인터넷 crytocoin 웹사이트 게시글(2018.0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2819A1 (zh) 2020-03-05
US11826661B2 (en) 2023-11-28
CN110019918B (zh) 2021-03-30
KR20210024623A (ko) 2021-03-05
SG11202010924QA (en) 2020-12-30
JP2021526282A (ja) 2021-09-30
US20210001235A1 (en) 2021-01-07
CN110019918A (zh) 2019-07-16
JP7090837B2 (ja)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344B1 (ko) 가상 펫의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단말기 및 저장 매체
KR102557732B1 (ko) 가상펫의 정보 표시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저장매체
JP7237096B2 (ja) 仮想ペットの情報表示方法並びにその、装置、端末、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09272380B (zh) 虚拟宠物商品的交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585726B (zh) 用户召回方法、装置、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57266B1 (ko) 가상펫의 번식 방법, 장치, 기기 및 기억매체
EP3383036A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420464B (zh) 虚拟宠物形象参数的确定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9495616A (zh) 一种拍照方法及终端设备
CN109815462A (zh) 一种文本生成方法及终端设备
CN109126136B (zh) 三维虚拟宠物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50286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based augmented reality
CN109189507B (zh) 虚拟宠物的繁育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91255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based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