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936B1 - 창호 구조체 - Google Patents

창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936B1
KR102556936B1 KR1020220177700A KR20220177700A KR102556936B1 KR 102556936 B1 KR102556936 B1 KR 102556936B1 KR 1020220177700 A KR1020220177700 A KR 1020220177700A KR 20220177700 A KR20220177700 A KR 20220177700A KR 102556936 B1 KR102556936 B1 KR 10255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ece
support
coupl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파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파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파큐
Priority to KR102022017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개의 창문측 프레임 바아(132)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측 프레임(131)에 유리(13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창문(130);을 포함하며,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은, 내부 프레임(132AF);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프레임(132CF);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134)가 창문측 프레임(131)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유리 고정테(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 구조체{Windows and doors system}
본 발명은 창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부인 창문측 프레임에 글라스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유리 고정테의 양단부가 45도 각도로 절단되어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성의 창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다가구 주택과 아파트 등의 각종 건축물에는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는 기능 및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기능을 하도록 시스템 창호 또는 슬라이드창호가 설치된다. 창호 구조체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창문을 일정량 정도 개방시켜 실외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실내의 냉방 및 난방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출입문뿐만 아니라 창문을 닫아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단열창호는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아파트나 사무실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벽체에 고정되는 창틀과 그 창틀에 힌지 결합하는 창문틀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단열창호는 PVC나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율을 높인다.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단열창호는 화재시에도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공공 건물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고급 주택에도 점차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시스템 창호나 슬라이드 창호에서 창문을 형성하는 창문측 프레임에 유리 고정테를 일자로 절단해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창문을 창문측 프레임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전하여 단열 기능을 높이고자 하지만 단열재 내장 구조는 단열 기능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있고, 창문측 프레임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서 강도와 내마모성 등에 있어서도 취약한 등의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6315호(2011년02월14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19659호(2014년07월0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79269호(2016년11월1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765548호(2017년08월01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측 프레임에 글라스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유리 고정테의 양단부가 45도 각도로 절단되어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성의 창호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요부인 창문측 프레임을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 프레임과 금속 재질의 외피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강도와 내마모성과 단열성 등의 측면에서 여러 모로 유리한 새로운 구성의 창호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의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와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로 구성한 창호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창문측 프레임 바아(132)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측 프레임(131)에 유리(13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창문(130);을 포함하며,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은, 내부 프레임(132AF);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프레임(132CF);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결합되어 유리(134)가 창문측 프레임(131)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유리 고정테(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 유리 고정테(150)는 45도 각도로 절단되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132AF)과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의해 단열성과 강도를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문(1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는 유리 고정테 결합부와 글라스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에는 유리 고정테(150)가 결합되며,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 사이에 글라스(134)가 삽입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이 창문(130)의 글라스(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전후 단부 사이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구비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전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고정 결합 지지 돌편(132FCSSP)을 구비한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GRBP);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GRBP)과 상기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 상기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고정테(150)는,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결합 지지 후크편(152);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 바아편(182CB)(153); 상기 연결 고정테 포밍편(153)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 상기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 상기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 상기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과의 사이에 지지 단턱을 형성하는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 상기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을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 지지부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후단부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132FRGSP); 상기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132FRGSP)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SRGSP);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결합 지지 후크편(152)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내측면에 구비된 상기 고정 결합 지지 돌편(132FCSSP)의 내측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상기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은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과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 사이의 결합 스페이스에 들어가서 상기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유리 고정테(150)가 결합되며,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 사이에 글라스(134)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과 상기 글라스 지지부의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SRGSP)이 각각 글라스(134)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이 글라스(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3GR)의 바깥면에 돌출된 보강 연결편(172); 상기 보강 연결편(172)의 상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죠오(172JA);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의 안쪽면에 구비된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174); 상기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174)의 상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측 죠오(174JA); 상하부 연결 바아편(182B)의 마주하는 안쪽면에 결합 코어부재(182CM)를 구비한 연결 보강 바아(182); 상기 연결 보강 바아(182)의 상하부 연결 바아편(182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보강 바아측 죠오(182JA)(172J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보강 바아(182)의 상하부 연결 바아편(182B)을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가이드 레일(143GR)에 돌출된 보강 연결편(172)과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의 안쪽면에 돌출된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174)에 끼우고, 복수개의 죠오(172JA)와 복수개의 받침측 죠오(174JA)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전후 위치에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를 더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프레임(132AF)은 상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좌우 측방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외피 프레임(132CF)은 복수개의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의 내부에는 전후로 마주하는 측면 코어 채널벽(132AFBSCW)의 안쪽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채널측 죠오(132AFBJW)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의 공간부에는 롤러(192)가 배치되고, 상기 롤러(192)는 브라켓(194)에 중심부의 롤축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94)의 전후로 나란한 사이드 롤러 브라켓편(194SP)의 바깥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롤러측 죠오(194JA)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의 아래에서 롤러(192)를 삽입하여 상기 롤러(192)의 브라켓(194)에 구비된 복수개의 롤러측 죠오(194JA)가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에 구비된 복수개의 채널측 죠오(132AFBJW)에 맞걸려짐으로써,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 공간부에 롤러(192)가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측 프레임에 글라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창문을 포함하되, 창문측 프레임은, 내부 프레임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열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강도와 내마모성 등에 있어서도 강하고 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의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와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로 구성하여 창문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고 조립성이 우수한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유리한 면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의 주요부인 창문과 유리 고정테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리 고정테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창문측 프레임을 구성하는 내부 프레임과 외피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에서 주요부인 창문을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에 두 개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의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에 결합된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가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의 전후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창문측 프레임 바아와 유리 고정테의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리 고정테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창문측 프레임 바아의 후방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제1창문과 제2창문을 구성하는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창문측 프레임 바아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제1창문과 제2창문을 구성하는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와 유리 고정테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창문 개폐 프레임에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제1창문과 제2창문을 구성하는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와 롤러를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리 고정테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유리 고정테가 외피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유리 고정테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의 주요부인 창문과 유리 고정테를 45도 각도로 절단하여 조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리 고정테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창문측 프레임을 구성하는 내부 프레임과 외피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에서 주요부인 창문을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의 내측 공간부에 두 개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의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에 결합된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가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의 전후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창문측 프레임 바아와 유리 고정테의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리 고정테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창문측 프레임 바아의 후방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창호 구조체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제1창문과 제2창문을 구성하는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창문측 프레임 바아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호 구조체는 복수개의 창문측 프레임 바아(132)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측 프레임(131)에 글라스(13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창문(130);을 포함하며,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은, 내부 프레임(132AF);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프레임(132CF);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결합되어 유리(134)가 창문측 프레임(131)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유리 고정테(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요 특징으로서 유리 고정테(150)는 양단부가 45도 각도로 절단되어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132AF)과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의해 단열성과 강도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외피 프레임(132CF)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창문(1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는 유리 고정테 결합부와 글라스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에는 유리 고정테(150)가 결합되며,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 사이에 글라스(134)가 삽입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이 상기 창문(130)의 글라스(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전후 단부 사이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구비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전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고정 결합 지지 돌편(132FCSSP)을 구비한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GRBP);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GRBP)과 상기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 상기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 고정테(150)는,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결합 지지 후크편(152);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 고정테 포밍편(153); 상기 연결 고정테 포밍편(153)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 상기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 상기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 상기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과의 사이에 지지 단턱을 형성하는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 상기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을 포함한다.
상기 글라스 지지부는,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후단부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132FRGSP); 상기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132FRGSP)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SRGSP);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결합 지지 후크편(152)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내측면에 구비된 상기 고정 결합 지지 돌편(132FCSSP)의 내측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유리 고정테(150)의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은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과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 사이의 결합 스페이스에 들어가서 상기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유리 고정테(150)가 결합된다.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 사이에 글라스(134)가 배치된 상태에서 유리 고정테(150)의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과 글라스 지지부의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SRGSP)이 각각 글라스(134)의 표면에 접촉되어 외피 프레임(132CF)이 글라스(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외피 프레임(132CF)이 글라스(134)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창문측 프레임(131)에 글라스(134)가 견고하고 안전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유리 고정테(150)는 45도 각도로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유리(134)를 창문(130)에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유리 고정테(150)의 양단부가 45도 각도로 절단되어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네 군데의 유리 고정체(150)을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리 고정테(150)는 45도 각도로 절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창문(130)의 조립 작업이 원활하고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리 고정테(150)는,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 결합 지지 후크편(152); 연결 고정테 포밍편(153);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을 포함함으로써, 유리(134)를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계단형 고정 지지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창문(130)에 유리(134)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본 발명의 창호 구조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더욱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창문측 프레임(131)의 프레임 바아(122)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122A)와 상부 프레임 바아(122B)와 하부 프레임 바아(122C)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아(122A)와 상부 프레임 바아(122B)와 하부 프레임 바아(122C)는 모두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이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의 사이드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와 상부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와 하부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의 내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나란한 가이드 레일(143GR)이 구비되고, 상기 창문(130)은,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의 내측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3GR) 중에서 하나의 가이드 레일(143GR)에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의 상부 프레임 바아(132C)의 슬라이드 레일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1창문(130A); 상기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의 내측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3GR) 중에서 다른 가이드 레일(143GR)에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의 상부 프레임 바아(132C)의 슬라이드 레일홈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2창문(130B);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창문측 프레임 바아(132)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측 프레임(131)에 글라스(13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창문(130);을 포함하되, 창문측 프레임(131)은,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프레임(132CF)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단열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강도와 내마모성 등에 있어서도 강하고 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내부 프레임(132AF)은, 상하 좌우 네 개의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는, 내부에 하부로 관통된 내부쪽 공간부를 구비한 코어 채널(132AFBCC); 상기 코어 채널(132AFBCC)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하단부가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의 안쪽면과 코어 채널(132AFBCC)의 바깥면에 연결된 전후 한 쌍의 보강 리브편(132AFBRRP);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 상기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의 상면에 돌출된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 상기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결합 지지홈(132AFBCRG);을 포함한다.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상하 좌우 네 개의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는, 전후 단부 사이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구비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상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글라스 지지부와 외피 프레임(132CF)의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 사이에 배치된 외피 후방 지지편(132CFBRSP); 상기 외피 후방 지지편(132CFBRSP)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외피 후방 보강 지지편(132CFBRRP);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의 가운데에 돌출된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이 외부 프레임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형성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형성하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전후 내측단은 상기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의 전후면에 형성된 결합 지지홈(132AFBCRG)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의 전후면은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의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과 글라스 지지부의 외피 후방 지지편(132CFBRSP)에 각각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결합 지지 블록이 전후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의 상면에는 전후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홈(132AFBCRSG)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저면에는 전후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 돌기(132CFBCRP)가 더 구비되며,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 돌기(132CFBCRP)가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홈(132AFBCRSG)에 결합된다.
따라서,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이 서로 맞걸려서 결합된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홈(132AFBCRSG)과 결합 보강 지지 돌기(132CFBCRP)로 인하여 전후로 유동됨이 없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고 강도를 보다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창호 구조체의 강도를 보다 더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코어 채널(132AFBCC)의 하부에는 전후 한 쌍의 하부 결합 지지편(132AFBLCSP)이 돌출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을 구성하는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는, 전후 단부 사이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구비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전후단부에 상단부가 각각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외피 사이드 바아편(132CFBSBP); 상기 외피 사이드 바아편(132CFBSBP)의 하단부에 전후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외부 상부 내측 프레임편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에 형성된 내부쪽 공간부와 연통된 외피 프레임(132CF)측 관통홀을 구비한 외피 하부 프레임편(132CFBLFP); 상기 외피 하부 프레임편(132CFBLFP)에 구비된 전후 한 쌍의 모헤어 결합 채널(132CFBHBC); 상기 모헤어 결합 채널(132CFBHBC)의 바깥면에 돌출된 외부쪽 결합 지지편(132CFBOCP);을 포함하며,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전후 한 쌍의 외부쪽 결합 지지편(132CFBOCP)이 내부 프레임(132AF)의 전후 한 쌍의 하부 결합 지지편(132AFBLCSP)의 안쪽면에 걸려져서 결합된다.
따라서, 외피 프레임(132CF)의 전후 한 쌍의 외부쪽 결합 지지편(132CFBOCP)과 내부 프레임(132AF)의 전후 한 쌍의 하부 결합 지지편(132AFBLCSP)의 맞걸림 결합으로 인하여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의 전후로 상대 유동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을 더욱더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고 강도를 더욱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은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132AF) 내부의 중공부에는 보강심(160)이 내장된다.
상기 보강심(160)은 내부 프레임(132AF)의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과 나란한 평행 보강심편(162)과, 상기 평행 보강심편(162)의 전후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사이드 보강심편(163)을 구비한 디귿자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심(160)이 내부 프레임(132AF)의 내부 중공부에서 내부 프레임(132AF)을 받쳐주고 있으므로, 내부 프레임(132AF)의 강도를 더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피 프레 임 바아(132CFB)의 전후 한 쌍의 외피 사이드 바아편(132CFBSBP)의 안쪽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싱 돌기(132CFBSAP)가 더 구비된다. 즉, 외피 프레임(132CF)의 전후 한 쌍의 외피 사이드 바아편(132CFBSBP)의 안쪽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싱 돌기(132CFBSAP)가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에서 창문측 프레임(131)은 복수개의 프레임 바아가 사각틀 형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프레임 바아는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 쪽으로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를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의 전후 한 쌍의 외피 사이드 바아편(132CFBSBP)의 안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싱 돌기(132CFBSAP)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전후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의 바깥면에 스페이싱 돌기(132CFBSAP)만이 접촉되어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전후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의 바깥면과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의 전후 한 쌍의 외피 사이드 바아편(132CFBSBP)의 안쪽면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바아를 형성하도록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 쪽으로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를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할 때에 상기 이격된 스페이스로 인하여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 사이의 삽입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외표면에서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를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의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는, 플라스틱 재질의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전후단부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금속 재질의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는, 상면에 한 쌍의 나란한 가이드 레일(143GR)이 돌출된 내측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ISP);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ISP)의 전후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의 하단부에 연결된 바텀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BSP);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는,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 상기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에 외측단이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 두 개의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ISP);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한 쌍의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에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돌편(144);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ISP)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에 구비된 두 개의 상기 결합 돌편(144)이 끼워지는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ISP)에는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보강 인서트편(148)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 인서트편(148)이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의 안쪽면에는 인서트 가이드홈(148GG)이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가이드홈(148GG)에 의해 두 개의 상기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두 개의 상기 결합 돌편(144)이 원활하게 삽입 결합된다.
한 쌍의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 중에서 한쪽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에는 상기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이 더 구비되고, 다른 쪽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에는 상기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과, 상기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보강 사이드 받침 돌출편(143BURSP)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창문(130)의 창문측 프레임(131)을 전후 두 개의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과 다른 쪽의 상부 보강 사이드 받침 돌출편(143BURSP)에 의해 받쳐주므로, 창문(130)(본 발명에서는 제1창문(130A)과 제2창문(130B)임)이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의 전후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은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이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인서트될 때에 상기 인서트 가이드홈(148GG)으로 인하여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이 원활하게 벌어져서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이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인서트되고,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은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을 바깥쪽에서 견고하게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전후 위치에 두 개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도록 한다.
상기 보강 인서트편(148)은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 두 개의 보강 인서트편(148)이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 사이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이 두 개의 보강 인서트편(148)을 바깥쪽에서 견고하게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전후 위치에 두 개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도록 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창문 개폐 프레임에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에 제1창문과 제2창문을 구성하는 창문측 프레임 바아가 결합된 상태와 롤러를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3GR)의 바깥면에 돌출된 보강 연결편(172); 상기 보강 연결편(172)의 상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죠오(172JA);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의 안쪽면에 구비된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174); 상기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174)의 상하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측 죠오(174JA); 상하부 연결 바아편(182CB)의 마주하는 안쪽면에 결합 코어부재(182CM)를 구비한 연결 보강 바아(182); 상기 연결 보강 바아(182)의 상하부 연결 바아편(182CB)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보강 바아측 죠오(182JA)(172JA);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보강 바아(182)의 상하부 연결 바아편(182CB)을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가이드 레일(143GR)에 돌출된 보강 연결편(172)과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의 안쪽면에 돌출된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174)에 끼우고, 복수개의 죠오(172JA)와 복수개의 받침측 죠오(174JA)를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전후 위치에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를 더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프레임(132AF)은 상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좌우 측방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외피 프레임(132CF)은 복수개의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의 내부에는 전후로 마주하는 측면 코어 채널벽(132AFBSCW)의 안쪽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채널측 죠오(132AFBJW)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의 공간부에는 롤러(192)가 배치되고, 상기 롤러(192)는 브라켓(194)에 중심부의 롤축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194)의 전후로 나란한 사이드 롤러 브라켓편(194SP)의 바깥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롤러측 죠오(194JA)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의 아래에서 롤러(192)를 삽입하여 상기 롤러(192)의 브라켓(194)에 구비된 복수개의 롤러측 죠오(194JA)가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에 구비된 복수개의 채널측 죠오(132AFBJW)에 맞걸려짐으로써, 상기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 공간부에 롤러(192)가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프레임(132AF)을 구성하는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에 롤러(192)를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아래에서 원터치식으로 손쉽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의 공간부에 롤러(192)를 결합한 다음에는 복수개의 채널측 죠오(132AFBJW)와 롤러측 죠오(194JA)가 맞물리게 되어서 하부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의 코어 채널(132AFBCC) 내부의 공간부에 롤러(192)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리 고정테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유리 고정테가 외피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유리 고정테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유리 고정테(150)는,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하부 고정 삽입편(152LIP);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하부 고정 삽입편(152LIP)과 위쪽에서 마주하는 상부 고정 지지편(152USP); 상기 상부 고정 지지편의 타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며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과 마주하는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을 포함한다.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하부 고정 삽입편(152LIP)은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과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 사이의 결합 스페이스에 들어가서 상기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유리 고정테(150)가 결합된다.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 사이에 글라스(134)가 배치된 상태에서 유리 고정테(150)의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과 글라스 지지부의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SRGSP)이 각각 글라스(134)의 표면에 접촉되어 외피 프레임(132CF)이 글라스(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외피 프레임(132CF)이 글라스(134)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창문측 프레임(131)에 글라스(134)가 견고하고 안전하게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30. 창문 130A. 제1창문
130B. 제2창문 131. 창문측 프레임
132. 창문측 프레임 바아
132AF. 내부 프레임 132AFB. 내부 프레임 바아
132AFBCC. 코어 채널 132AFBLCSP. 하부 결합 지지편
132AFBSIF. 측면 내부 프레임편
132AFBSCW. 측면 코어 채널벽 132AFBJW. 채널측 죠오
132AFBRRP. 보강 리브편
132AFBIUP. 내부 상부 프레임편 132AFBCRSG. 결합 보강 지지홈
132AFBCRB. 결합 보강 블록 132AFBCRG. 결합 지지홈
132CF. 외피 프레임 132CFB. 외피 프레임 바아
132CFBUP. 외피 상부 프레임편
132CFBSBP. 외피 사이드 바아편 132CFBSAP. 스페이싱 돌기
132CFBLFP. 외피 하부 프레임편 132CFBHBC. 모헤어 결합 채널
132CFBOCP. 외부쪽 결합 지지편
132CFBRSP. 외피 후방 지지편
132CFBRRP. 외피 후방 보강 지지편
132CFBCRP. 결합 보강 지지 돌기
132GRBP.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
132FCSSP. 고정 결합 지지 돌편
132FRGBP.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
132SRGBP. 제2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걸림편
132FRGSP.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
132SRGSP.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
134. 글라스 140.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
143.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 143A.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
143GR. 가이드 레일
143AISP. 내측 지지 프레임 바아편
143ASSP.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
143ABSP. 바텀 지지 프레임 바아편
143B. 창문 결합 받침 바아
143BSCP.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
143BCCP.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
143BISP.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
143BUCP.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
143BURSP. 상부 보강 사이드 받침 돌출편
144. 결합 돌편 146.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
148. 보강 인서트편 148GG. 인서트 가이드홈
150. 유리 고정테 151. 전방 고정테 포밍편
153. 연결 고정테 포밍편 154.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
155.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 156.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
157.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 158.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
159.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 160. 보강심
162. 평행 보강심편 163. 사이드 보강심편
172. 보강 연결편 172JA. 죠오
174. 받침측 보강 연결 지지편 174JA. 받침측 죠오
182. 연결 보강 바아 182CB. 연결 바아편
182CM. 결합 코어부재 182JA. 보강 바아측 죠오
192. 롤러 194. 브라켓
194SP. 사이드 롤러 브라켓편 194JA. 롤러측 죠오

Claims (5)

  1. 복수개의 창문측 프레임 바아(132)가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창문측 프레임(131)에 유리(13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창문(130);을 포함하며,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은,
    내부 프레임(132AF);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프레임(132CF);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결합되어 유리(134)가 창문측 프레임(131)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유리 고정테(150);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전후 단부 사이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구비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와 글라스 지지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유리 고정테 결합부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전단부에서 상향 돌출되며 내측면에는 고정 결합 지지 돌편(132FCSSP)을 구비한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GRBP);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GRBP)과 상기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
    상기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고정테(150)는,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결합 지지 후크편(152);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 고정테 포밍편(153);
    상기 연결 고정테 포밍편(153)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
    상기 경사 지지 고정테 포밍편(154)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
    상기 교차 연결 고정테 포밍편(155)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
    상기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결합 고정테 포밍편(156)과의 사이에 지지 단턱을 형성하는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의 상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
    상기 제1전방 글라스 지지편(158)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전방 고정테 포밍편(151)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을 포함하고,
    글라스 지지부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후단부에서 상향 돌출된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132FRGSP);
    상기 제1후방 글라스 지지편(132FRGSP)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SRGSP);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결합 지지 후크편(152)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내측면에 구비된 상기 고정 결합 지지 돌편(132FCSSP)의 내측면에 걸려지고 동시에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상기 제2결합 고정테 포밍편(157)은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구비된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과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 사이의 결합 스페이스에 들어가서 상기 제2후방 글라스 고정 바아 결합 걸림편(132SRGBP)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에 유리 고정테(150)가 결합되며,
    상기 유리 고정테(150)와 상기 글라스 지지부 사이에 글라스(134)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 고정테(150)의 제2전방 글라스 지지편(159)과 상기 글라스 지지부의 제2후방 글라스 지지편(132SRGSP)이 각각 글라스(134)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이 글라스(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문(1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고,
    창문측 프레임(131)의 프레임 바아(122)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122A)와 상부 프레임 바아(122B)와 하부 프레임 바아(122C)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바아(122A)와 상부 프레임 바아(122B)와 하부 프레임 바아(122C)는 모두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와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로 구성되어, 상기 창문측 프레임(131)이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으로 구성되고,
    내부 프레임(132AF)은, 상하 좌우 네 개의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바아(132AFB)는, 내부에 하부로 관통된 내부쪽 공간부를 구비한 코어 채널(132AFBCC); 상기 코어 채널(132AFBCC)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하단부가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의 안쪽면과 코어 채널(132AFBCC)의 바깥면에 연결된 전후 한 쌍의 보강 리브편(132AFBRRP); 한 쌍의 측면 내부 프레임편(132AFBSIF)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 상기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의 상면에 돌출된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 상기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결합 지지홈(132AFBCRG);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상하 좌우 네 개의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가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 바아(132CFB)는, 전후 단부 사이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구비한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상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글라스 지지부와 외피 프레임(132CF)의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 사이에 배치된 외피 후방 지지편(132CFBRSP); 상기 외피 후방 지지편(132CFBRSP)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외피 후방 보강 지지편(132CFBRRP);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의 가운데에 돌출된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이 외부 프레임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에 형성된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 결합 지지홀을 형성하는 상기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전후 내측단은 상기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의 전후면에 형성된 결합 지지홈(132AFBCRG)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결합 보강 블록(132AFBCRB)의 전후면은 상기 유리 고정테 결합부의 제1후방 유리 고정테 결합 지지편(132FRGBP)과 글라스 지지부의 외피 후방 지지편(132CFBRSP)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의 내부 상부 프레임편(132AFBIUP)의 상면에는 전후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홈(132AFBCRSG)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의 외피 상부 프레임편(132CFBUP)의 저면에는 전후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 돌기(132CFBCRP)가 더 구비되며,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 돌기(132CFBCRP)가 한 쌍의 결합 보강 지지홈(132AFBCRSG)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창문 개폐 지지 프레임(140)의 창문 지지 프레임 바아(143)는, 플라스틱 재질의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전후단부에 결합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금속 재질의 한 쌍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는, 상면에 한 쌍의 나란한 가이드 레일(143GR)이 돌출된 내측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ISP); 상기 내측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ISP)의 전후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전후 한 쌍의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의 하단부에 연결된 바텀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BSP);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는,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 상기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에 외측단이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 두 개의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ISP);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한 쌍의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에서 돌출된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돌편(144);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ISP)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에 구비된 두 개의 상기 결합 돌편(144)이 끼워지는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ISP)에는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보강 인서트편(148)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 인서트편(148)이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의 안쪽면에는 인서트 가이드홈(148GG)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 중에서 한쪽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에는 상기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이 더 구비되고, 다른 쪽의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에는 상기 크로스 결합 받침 바아편(143BC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과, 상기 상부 크로스 받침 돌출편(143BUCP)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결합 받침 바아편(143BSCP)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보강 사이드 받침 돌출편(143BURSP)이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은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이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인서트될 때에 상기 인서트 가이드홈(148GG)으로 인하여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이 원활하게 벌어져서 상기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이 창문 결합 받침 바아(143B)의 두 개의 인서트 결합 지지 돌편(146) 사이에 인서트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강 인서트편(148)은 상기 측면 지지 프레임 바아편(143ASS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어, 두 개의 보강 인서트편(148)이 메인 서포트 프레임 바아(143A)의 두 개의 결합 돌편(144) 사이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두 개의 결합 돌편(144)이 두 개의 보강 인서트편(148)을 바깥쪽에서 견고하게 받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고정테(150)는 양단부가 45도 각도로 절단되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132AF)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 프레임(132CF)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132AF)과 외피 프레임(132CF)에 의해 단열성과 강도를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구조체.
  5. 삭제
KR1020220177700A 2022-12-18 2022-12-18 창호 구조체 KR10255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700A KR102556936B1 (ko) 2022-12-18 2022-12-18 창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700A KR102556936B1 (ko) 2022-12-18 2022-12-18 창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936B1 true KR102556936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700A KR102556936B1 (ko) 2022-12-18 2022-12-18 창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814B1 (ko) * 2023-10-17 2024-06-03 주식회사알파큐 다기능성 창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15B1 (ko) 2010-09-01 2011-02-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단열창호
KR101387318B1 (ko) * 2013-11-05 2014-04-18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조립구조
KR101419659B1 (ko) 2013-11-19 2014-07-15 원종진 단열고정창호
KR101679269B1 (ko) 2014-12-09 2016-12-06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창호 프레임
KR101765548B1 (ko) 2015-11-12 2017-08-23 변광희 절곡조립식 단열창틀 및 단열창호 구조
KR102423581B1 (ko) * 2022-01-26 2022-07-21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15B1 (ko) 2010-09-01 2011-02-22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단열창호
KR101387318B1 (ko) * 2013-11-05 2014-04-18 김순석 이형프레임 구조를 갖는 복합창호장치 조립구조
KR101419659B1 (ko) 2013-11-19 2014-07-15 원종진 단열고정창호
KR101679269B1 (ko) 2014-12-09 2016-12-06 주식회사 빛나시스템창호 단열창호 프레임
KR101765548B1 (ko) 2015-11-12 2017-08-23 변광희 절곡조립식 단열창틀 및 단열창호 구조
KR102423581B1 (ko) * 2022-01-26 2022-07-21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단열기능을 향상시킨 단열복합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814B1 (ko) * 2023-10-17 2024-06-03 주식회사알파큐 다기능성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624B2 (en) Versatile hybrid window system
KR102003964B1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9292B1 (ko) 창호의 복합 단열 창틀
KR101072873B1 (ko) 고기밀성 하이단열바
KR102556936B1 (ko) 창호 구조체
KR101709700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짝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7829B1 (ko) 커튼월 프로젝트창 단열구조체
KR102590250B1 (ko) 단열 창호
KR102083323B1 (ko) 단열 도어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US20220162900A1 (en)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KR102506892B1 (ko)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102447524B1 (ko) 원목 자동문 장치
KR200492912Y1 (ko) 조립식 창틀용 가새 부분 고정 부재
CN111335797B (zh) 一种泄压门窗及其制造方法
JP2018168585A (ja) 戸体および建具
CN216767114U (zh) 高保温性能和高抗风压性能的门窗框架
KR20220013883A (ko)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JP6836463B2 (ja) 部品固定構造および建具
JP6756589B2 (ja) 断熱枠部材及び建具
KR102547113B1 (ko) 절곡 조립식 창호 조립 구조체
KR102528786B1 (ko) 창문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030411B1 (ko) 창호 시스템
JP6914222B2 (ja) ケーシング枠材、ケーシング枠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1914709B1 (ko) 합성수지를 구비한 폴딩도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