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536B1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6536B1 KR102556536B1 KR1020160127121A KR20160127121A KR102556536B1 KR 102556536 B1 KR102556536 B1 KR 102556536B1 KR 1020160127121 A KR1020160127121 A KR 1020160127121A KR 20160127121 A KR20160127121 A KR 20160127121A KR 102556536 B1 KR102556536 B1 KR 102556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zone
- heating
- heat
- cook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41—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llowing the input of coded operation instructions, e.g. bar code read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05B6/645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the sensors being infrared detect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8—Microwave heating devices connected to a telecommunic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의 구역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복수의 구역 중 제1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구역에 열을 공급하는 제1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오븐은,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및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조리 대상을 굽거나, 튀기거나, 찌거나, 끓이거나 또는 해동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가 조리실에 조리 대상을 투입하고 조리실을 밀폐시키면, 오븐은 조리실에 투입된 조리 대상에 소정의 열을 인가하여 조리 대상을 조리한다. 오븐은, 크게 가스를 연소하여 인가될 열을 획득하는 가스 오븐과,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인가될 열을 획득하는 전기 오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열 여부, 가열 시간 또는 가열 정도와 같이 조리 조건이 상이한 복수의 식품을 하나의 조리 공간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조리 기기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의 구역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복수의 구역 중 제1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구역에 열을 공급하는 제1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따라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2 구역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2 구역에 상기 제1 구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제2 구역에 인접한 제3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2 구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을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방향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천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측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열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 및 상기 조리실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열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슬릿을 차폐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및 측면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역 위치 감지부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각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상기 입력부, 상기 온도 감지부, 상기 구역 위치 감지부 및 상기 회전각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열부의 열의 크기 및 열 공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조리 기기는, 상기 회전판 상면 전반에 열을 공급하는 제2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가열부가 회전판 상면 전반에 열을 공급한 후, 상기 회전판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상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리실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이 회전하는 단계, 상기 회전판에 마련된 복수의 구역 중 제1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실 내부에 설치된 제1 가열부가 상기 제1 구역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따라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1 구역에 인접한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제2 구역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2 구역에 상기 제1 구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제2 구역에 인접한 제3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제3 구역에 대한 열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구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을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방향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천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및 측면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 또는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열부의 열의 크기 및 열 공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회전판 상면 전반에 열을 공급하는 제2 가열부가 회전판 상면 전반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이한 조리 조건의 복수의 식품을 하나의 조리 공간에서 조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조리 공간의 복수의 조리 대상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더 가열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조리 대상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조리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서로 상이한 조리 조건을 갖는 복수의 조리 대상을 하나의 조리 공간에서 조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리 품질과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리실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회전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회전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1 열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b는 제1 열원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제1 열원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d는 제1 열원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6e는 제1 열원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7은 반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9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부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부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2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13은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4a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14b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4c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a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흐름도이다.
도 17b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흐름도이다.
도 18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19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2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도이다.
도 21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4 도이다.
도 2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 도이다.
도 2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6 도이다.
도 24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7 도이다.
도 25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8 도이다.
도 26은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리실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회전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회전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1 열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b는 제1 열원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제1 열원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d는 제1 열원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6e는 제1 열원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7은 반사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9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부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부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2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13은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4a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도 14b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4c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7a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흐름도이다.
도 17b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흐름도이다.
도 18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19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2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도이다.
도 21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4 도이다.
도 2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 도이다.
도 2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6 도이다.
도 24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7 도이다.
도 25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8 도이다.
도 26은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또는 부재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또는 부재는 하나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 용어에 의해 구성요소가 특별한 순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리 기기(1)에 있어서 도어(30)가 설치된 방향을 전 방향이라고 하고, 전 방향의 반대 방향을 후 방향이라 한다. 또한, 조리 기기(1)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설치된 경우 지면 방향을 향하는 쪽을 하 방향, 하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상 방향과 하 방향을 잇는 선분과, 전 방향과 후 방향을 잇는 선분 모두와 직교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좌 방향이라 하고, 좌 방향의 반대 방향을 우 방향이라고 칭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조리 기기(1)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조리 기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 하우징(20)과, 외장 하우징(20)의 전면 방향에 마련된 도어(30)와, 외장 하우징(20)의 전면에서 도어(30)의 측면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하우징(20)의 전면은 조리 대상의 출납이 가능하고 도어(30)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는 개구(24a)가 마련된다. 개구(20a)는 연장되어 외장 하우징(20) 내측에 조리실(10)을 형성한다. 개구(24a)가 개방된 경우 사용자는 개방된 개구(24a)를 통하여 조리 대상을 조리실(1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도어(30)는, 외장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20a)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어(30)는 실시예에 따라서 외장 하우징(2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따라 회동하여 개구(24a)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 있고, 또는 외장 하우징(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구(20a)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어(3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외장 하우징(20)의 개구(20a)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외장 하우징(2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30)에는 사용자가 조리실(1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과창(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에는 도어(30)가 개구(20a)에 안정적으로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 삽입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 삽입부(32)는 투과창(31) 주변을 둘러 싸며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40)은 조리 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40)에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80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거나 또는 조리 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필요에 따라 각종 생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화상의 형태로 제공하는 표시부(810), 외부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정보를 입력 받는 바코드 스캔부(830),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8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810)는, 기호, 문자, 도형,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810)는, 현재 시각, 설정된 전체적인 조리 기간, 조리가 수행된 기간, 잔여 조리 기간, 설정된 조리 온도, 현재 조리 온도, 조리 기기(1)의 동작 모드, 제1 가열부(도 16의 100)의 동작 여부, 제2 가열부(도 16의 200)의 동작 여부, 현재 조리가 되고 있는 피조물의 종류나 상태, 조리실(10) 내부 온도 및 기타 조리 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시적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810)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이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81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810)는 입력부(850)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캔부(830)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도 16의 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일차원 바코드나, QR 코드 등과 같은 이차원 바코드나 또는 컬러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캔부(830)는, 적외선 광 등을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스캔부(830)는 바코드 스캔부(830)의 렌즈(831) 앞에 조리 대상(9)의 용기(90)나 덮개 등에 인쇄된 바코드가 접근하면 적외선 광 등을 방출할 수도 있다.
바코드 스캔부(830)는 바코드 스캔부(830)의 렌즈(831) 앞에 바코드가 접근하면, 바코드를 인식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바코드에 대한 영상 또는 바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제어부(400)는 전달 받은 바코드에 대한 영상 또는 바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조리 기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조리 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여기서 조리 기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조리 온도나 조리 시간과 같은 조리 대상의 조리 조건, 조리 대상의 종류, 조리 대상의 양 또는 조리 기기의 동작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에 대한 정보의 해독 결과, 바코드로부터 특정한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 일례로 조리 대상의 조리 조건에 대한 정보가 취득되면, 제어부(400)는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조리 기기(1)가 특정한 조리 대상의 조리에 적합하게 설정되도록 조리 기기(1) 내의 각종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850)는, 조리 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이나 또는 각종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22)는, 각종 물리 버튼, 키보드 장치 노브, 스틱형 조작 장치, 마우스 장치, 조그 셔틀, 트랙 볼, 트랙 패드,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850)는, 예를 들어,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나, 조리 기기(1)의 동작 모드에 대한 선택 명령이나, 조리의 개시 및/또는 종료에 대한 명령이나, 설정 온도나 조리 시간의 변경 및/또는 조절에 대한 명령 등과 같이 조리 기기(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사운드 출력 장치나, 조명 장치나,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나, 화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스피커 장치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조명 장치는, 소정 색의 광을 출력하거나, 또는 소정 패턴으로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예를 들어, 백열 전구, 할로겐 램프, 형광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 램프, 형광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아크 조명등, 네온관 램프, 이엘 램프(EL lamp, electroluminescent lamp),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램프, 냉음극 형광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또는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을 채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RFID 리더는, RFID 리더에 근접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와 통신을 수행하여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태그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RFID 태그는 조리 대상이 수납된 용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부착된 거일 수 있다. RFID 리더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400)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400)가 조리 대상에 따라서 조리 기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RFID 리더는, 상술한 바코드 스캔부(830)를 대신하거나, 또는 바코드 스캔부(830)에 부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40)에 설치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에 대한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는, 예를 들어, 조리 대상이 수납된 용기에 부가된 바코드나 또는 용기에 기재된 문자 등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대상의 종류 또는 조리 대상의 조리 조건 등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리 대상의 종류나 조리 조건 등을 기초로 조리 기기(1)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부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촬영 장치는, 상술한 바코드 스캔부(830)를 대신하거나, 또는 바코드 스캔부(830)에 부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조리실 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리실(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으며,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조리실(10) 내부 공기는 제1 가열부(100) 및/또는 제2 가열부(200)에 의해 공급되는 열이나 또는 마이크로 파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실(10) 내부에 수납된 조리 대상이 가열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조리실(10)은 복수의 프레임(10a 내지 10e)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에(10a 내지 10e)에 의해 일면은 개방되고 다른 면은 폐쇄됨으로써 조리실(10) 내부에는 조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0) 내부에는 조리실(10) 하부 공간(10a)에 소정의 방향(R1, R2)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300)과, 회전판(300) 중 일부의 구역에 열을 공급하는 제1 가열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회전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회전판(300)은, 조리실(10)의 하단 프레임(10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회전판(300)은 원형 또는 타원형 패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조리실(10)의 하단에 하단 프레임(10a)과 평행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된다.
회전판(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등속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각속도를 증가시키면서 회전한 후 일정 시간 후에 각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회전할 수도 있고, 또는 가속 및 감속을 반복하면서 회전할 수도 있다. 회전판(300)의 회전 속도는 바코드 스캔부(830) 및/또는 입력부(850)를 통해 입력된 조리 대상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제어부(400)에 의해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상면(3001)은 조리 대상이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판(300)의 상면(3001)은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역(301 내지 303)을 구획하는 구획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획선은 홈이나 돌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각종 도료를 인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두 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은 넷 이상의 구역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판(300)의 중심(307)은 회전판 구동부(320)의 회전축 부재(321)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판(300)은 회전판 구동부(320)의 구동에 따라 중심(307)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R1) 및 제2 회전 방향(R2)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하단 프레임(10a)에는 회전판 구동부(320)의 회전축 부재(321)가 삽입 가능한 홀(10f)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 부재(321)는 홀(10f)을 통해 조리실(10) 내부로 노출되어 회전판(300)의 저면에서 중심(307)에 채결된다.
회전판 구동부(320)는 하단 프레임(10a)의 하단에 설치된다. 회전판 구동부(32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구동을 개시하여 소정 방향(R1, R2)으로의 회전력을 생성하고, 생성한 회전력을 회전판(300)에 전달한다. 이 경우, 회전판 구동부(320)는 회전판(300)이 등속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가속 및/또는 감속 중 적어도 하나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회전판 구동부(320)는 전동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동기는 직류 전동기, 교류 전동기 또는 직교류 전동기 등 회전판(300)의 회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동기는 예를 들어, BLDC 전동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회전판 구동부(32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각종 기어, 일례로 웜 기어 등을 이용하여 동력을 회전축 부재(321)에 전달할 수도 있다.
회전판(30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하여, 조리 기기(1)에는 구역 위치 감지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역 위치 감지부(340)는, 예를 들어, 각종 센서나, 가시 광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회전판(300)의 저면 또는 하단 프레임(10a)의 상면에 형성된 홈 및 홈에 대응하여 하단 프레임(10a)의 상면 또는 회전판(300)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과 같은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역 위치 감지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309)와, 하단 프레임(10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회전판(300)이 회전하는 동안, 돌기(309)가 적어도 하나의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에 도달하면, 돌기(309)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를 압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 적어도 하나의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를 식별함으로써, 소정의 위치, 일례로 가열 위치에 어느 구역(301 내지 303)이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조리 기기(1)에는 회전판(300)의 회전 각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각 감지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각 감지부는 회전판 구동부(320)에 설치되고 회전판(300)의 회전 정도를 측정 가능한 엔코더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회전각 감지부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회전판(300)의 회전각을 감지함으로써, 회전판(300)의 회전 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소정의 위치에 어느 구역(301 내지 303)이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회전각 감지를 위한 회전판(30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구역 위치 감지부(340)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회전판(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방향(m1) 및 하 방향(m2)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판(300)의 하단에는 모터(미도시)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하는 각종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부품은,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선이 형성된 회전바(146)나 가이드 바(14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각종 기어 등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회전판(300)은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이 가열 위치에 도달하면, 제1 가열부(100)의 제1 열원(110)에 의해 보다 적절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상 방향(m1)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300)은 각 구역(301 내지 303)이 별도로 가열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하 방향(m2)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회전판(300)의 상하 이동 제어는 제어부(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회전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300a)은 용기(9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돌기(301a, 302a, 303a)와, 회전판 격벽(304)이 상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판(300)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309)는 안착 돌기(301a, 302a, 303a)의 위치에 따라 회전판(300)의 저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300)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309)는 제1 안착 돌기(301a)가 형성된 일 면의 반대 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복수의 안착 돌기(301a, 302a, 303a) 중 어느 안착 돌기가 특정 감압 센서(341a 내지 341c)에 위치하거나 또는 통과하였는지 알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회전판(300) 상단의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각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용기(90)에는 용기(90)의 저면에서부터 함몰되어 용기(9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91a, 92a, 9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91a, 92a, 93a)는 용기(90)의 상면을 복수의 구역(91, 92, 93)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용기(90)에는 조리 대상 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94)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돌기(301a, 302a, 303a, 304)는, 용기(90)의 돌기(91a, 92a, 93a) 반대 편에 형성된 함몰 구역이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또한 회전판 격벽(304)은 용기(90)의 격벽(94)이 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용기(90)는 회전판(300a)에 적절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또한 용기(90)의 각 구역(91, 92, 93)이 회전판(300a) 상의 각각의 구역(301 내지 303)에 대응하여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제1 가열부(100)는 제1 열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원(110)은 외부에서 인가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에 따른 열을 조리실(10) 내부의 일부 공간 또는 모든 공간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1 열원(110)은 전기 저항에 의해 줄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히터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세기는 각각 인가된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히터는 씨즈 히터, 세라믹 히터, 쿼츠 히터, 면상 히터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의 히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a는 제1 열원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도 6b는 제1 열원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제1 열원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제1 열원(110)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원(110)은 복수 회수로 만곡되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된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열원(11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코일이 적어도 4회 이상 만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110c 내지 110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만곡부(110c 내지 110e)는 대체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마름포의 형상을 이루도록 가열 코일을 만곡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만곡부(110c 내지 110e)의 폭(w11 내지 w13)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열원(110)은, 가열 코일이 적어도 4회 이상 만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110f 내지 110h)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만곡부(110f 내지 110h)는 대체적으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마름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만곡부(110f 내지 110h)의 폭(w21 내지 w2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제1 만곡부(110f)의 폭(w21)은, 다른 만곡부(110g, 110h)의 폭(w22, w23)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을 수 있다. 제1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에 가장 근접한 제3 만곡부(110h)의 폭(w23)은 다른 만곡부(110f, 110g)의 폭(w21, w22)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또한, 제1 만곡부(110f) 및 제3 만곡부(110h) 사이에 배치된 제2 만곡부(110g)의 폭(w22)은, 제1 만곡부(110f)의 폭(w21)보다 길고, 제3 만곡부(110h)의 폭(w23)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원(110)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직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열원(110)은, 가열 코일이 적어도 4회 이상 만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만곡부(110i 내지 110n)를 포함하되, 복수의 만곡부(110i 내지 110n) 중 일부의 만곡부(110i 내지 110k)는 다른 만곡부(110l 내지 110n)와 제1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 사이의 중심선(c)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대응하는 만곡부, 일례로 제4 만곡부(110i) 및 제7 만곡부(110l)와, 제5 만곡부(110j) 및 제8 만곡부(110m)와, 제6 만곡부(110k) 및 제9 만곡부(110n)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각각의 만곡부(110i 내지 110n)는 대체로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마름포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만곡부(110i 내지 110n)의 폭(w31 내지 w36)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제4 만곡부(110i) 및 제7 만곡부(110l) 각각의 폭(w31, w34)은, 다른 만곡부(110j, 110k, 110m, 110n)의 폭(w32, w33, w35, w36)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고, 제1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에 가장 근접한 제6 만곡부(110k) 및 제9 만곡부(110n)의 폭(w33, w36)은 다른 만곡부(110i, 110j, 110l, 110m)의 폭(w31, w32, w34, w35)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또한, 제4 만곡부(110i) 및 제6 만곡부(110k) 사이에 배치된 제5 만곡부(110j)의 폭(w32)은, 제4 만곡부(110i)의 폭(w31)보다 길고, 제6 만곡부(110k)의 폭(w33)보다 짧을 수 있으며, 동일하게 제7 만곡부(110l) 및 제9 만곡부(110n) 사이에 배치된 제8 만곡부(110m)의 폭(w35)은, 제7 만곡부(110l)의 폭(w34)보다 길고, 제9 만곡부(110n)의 폭(w36)보다 짧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열원(110)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상 제1 열원(100)의 다양한 형상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 열원(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열원(110)은, 원, 타원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한 복수 개의 동심원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열원(110)은 실시예에 따라서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열원(110)의 일 말단(110a) 및 타 말단(110b)은 각각 외부의 전원 공급부(도 16의 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600)에서 공급된 전류가 제1 열원(110)을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열원(110)의 일 말단(110a) 및 타 말단(110b)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 공급부(600)에서 공급된 전류가 유입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제1 열원(110)을 진행한 전류가 전원 공급부(600)로 방출된다.
도 6d는 제1 열원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제1도 이고, 도 6e는 제1 열원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제2 도로, 조리 기기(1)의 조리실(10) 내부를 상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d에 있어서, 도면의 우측 하 방향을 전 방향이라고 칭하고, 반대 방향을 후 방향이라고 칭하며, 도면의 우측 상 방향을 좌 방향이라고 칭하고, 반대 방향을 우 방향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그 방향은 임의적으로 정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d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4 실시예에 의한 제1 열원(111)은, 복수 회수로 만곡된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원(111)의 가열 코일은 제1 만곡 지점(111c)에서 좌 방향으로 만곡되고, 이어서 제2 만곡 지점(111d)에서 후 방향으로 만곡된다. 가열 코일은 제3 만곡 지점(111e)에서 우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4 만곡 지점(111f)에서 전 방향으로 만곡되고, 다시 제5 만곡 지점(111g)에서 우 방향으로 만곡된다. 제5 만곡 지점(111g)은 제4 만곡 지점(111f) 및 일 말단(111a) 사이에 위치한다. 가열 코일은 제6 만곡 지점(111h)에서 후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7 만곡 지점(111i)에서 우 방향으로 만곡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6 만곡 지점(111h)과 제7 만곡 지점(111i) 사이의 거리(w43)는 제4 만곡 지점(111f)과 제5 만곡 지점(111g) 사이의 거리(w42)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열 코일은 제8 만곡 지점(111j)에서 전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9 만곡 지점(111k)에서 좌 방향으로 만곡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8 만곡 지점(111j) 및 제9 만곡 지점(111k) 사이의 거리(w44)는, 제2 만곡 지점(111d) 및 제3 만곡 지점(111e) 사이의 거리(w41)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열 코일은 제10 만곡 지점(111l)에서 전 방향으로 만곡된 후, 타 말단(111b)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열원(111)이 형성됨으로써, 제1 열원(111)은 사각형에서 일 면이 오목하게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과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열원(111)은 대략 제3 만곡 지점(111e)에서부터 제9 만곡 지점(111k) 사이의 부분이 회전판(300) 상단에 배치되도록 후면 프레임(10e)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원(111)의 제2 만곡 지점(111d) 내지 제3 만곡 지점(111e) 사이의 부분은 측면 프레임(10d)과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열원(111)의 제1 만곡 지점(111c)과 제2 만곡 지점(111d) 사이의 부분과, 제9 만곡 지점(111k)과 제10 만곡 지점(111l) 사이의 부분은 후면 프레임(10e)에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경우, 제1 열원(111)의 일 부분, 일례로 제3 만곡 지점(111e)에서부터 제9 만곡 지점(111k) 사이의 부분의 하단에 위치한 회전판(300)의 일 구역(308)은, 제1 열원(111)의 동작에 따라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되는 회전판(300)의 일부 구역(308)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원(111)의 형상에 따라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는 회전판(300)의 일부 구역(308)은 제1 열원(111)에 의해서 가열되고, 이외의 구역은 제1 열원(111)에 의해 전혀 또는 거의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판(300)의 일 구역(308), 일 구역(308)에 배치된 조리 대상 및/또는 용기만이 주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제1 열원(111)의 일 말단(111a) 및 타 말단(111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열 코일 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 가열부(100)는 회전판(300, 300a)의 일부 구역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조리실(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0b, 10d, 10e)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열부(100)는 제1 열원(110)뿐만 아니라, 제1 열원(110)에서 방출된 열이 소정의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열 반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반사부(120)는 열원(110)에서 방출된 열 중 하부 프레임(10a)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는 열을 반사하여, 하부 프레임(10a)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는 열이 하부 프레임(10a) 방향, 즉 회전판(3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반사부(120)는 상부 프레임(10c) 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을 하부 프레임(10a)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열 반사부(120)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외 설계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평면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열원(110)은 열 반사판(120)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열 반사판(120) 및 하부 프레임(10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판의 네 개의 경계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 방향(10a)으로 소정의 각도로 만곡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만곡된 부분의 내측에는 제1 열원(110)이 배치된다. 이 경우, 만곡 부분의 경계는, 제1 열원(110)이 온전히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1 열원(110)보다 하부 프레임(10a) 방향에 더 인접하여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반사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방향이 개방된 박스의 형상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박스 형상의 열 반사부(121)는, 복수의 열 반사부 프레임(121a 내지 121c)을 포함하되, 어느 하나의 열 반사부 프레임(121c)은 조리실(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프레임 또는 배면 프레임(10b, 10d, 10e)에 접하여 설치되고, 다른 두 개의 열 반사부 프레임(121a, 121b)는 조리실(10) 내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열 반사부 프레임(121c)이 설치되는 조리실(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프레임은, 일례로 조리실(10)과 전장실을 구획하는 일 측면(10b)에 대향하는 측면(10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열 반사부 프레임(121a 내지 121c)의 하단에는 개구(121f)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열 반사부 프레임(121a 내지 121c) 내측에 형성된 제1 가열부(100)로부터 방출된 열은 개구(121f)를 통하여 하 방향으로 전달되고, 반사판(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301 내지 303)에 도달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열 반사부 프레임(121a 내지 121c) 중 적어도 하나의 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1f)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21d, 121e)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21d, 121e)에 의해 개구(121f)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더 축소될 수 있다. 제1 가열부(100)로부터 방출된 열은, 경사부(121d, 121e)에 의해 반사되어 개구(121f) 방향으로 이동한 후 개구(121f)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로 열이 상대적으로 더욱 집중되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판(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301 내지 303)에는, 상대적으로 더 강한 열이 상대적으로 더 축소된 범위로 입사될 수 있으며, 회전판(300)의 특정한 구역(301 내지 303) 및/또는 특정한 구역(301 내지 303)에 배치된 조리 대상이나 용기는 보다 집중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박스 형상의 열 반사부(121)는 열을 적절하게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가열부(100)의 자세한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리 기기(1)는 조리실(10)의 전반적인 공간에 열을 공급하는 제2 가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열부(200)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제2 열원(210)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조리실(10) 내부에 마이크로파를 방출하여 조리실(10) 내부의 조리 대상을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방사부(도 16의 23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열원(210)은 조리실(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열부(200)의 제2 열원(220)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0)의 상부 프레임(10c)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열원(220)은 측면 프레임이나 배면 프레임(10b, 10d, 10e)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부 프레임(10c) 및 측면 프레임이나 배면 프레임(10b, 10d, 10e) 모두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가열부(200)의 제2 열원(220)은, 제어부(400)의 동작에 따라 열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2 열원(220)에서 방출된 열은 회전판(300)의 상면(3001)의 전부 또는 대부분에 입사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 가열부(200)는 회전판(300) 위에 거치된 조리 대상(도 16의 9)의 대부분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제2 열원(210)은 제1 열원(11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원(110)은 조리실(10)의 내부 공간의 일부에 대해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제2 열원(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 열원(210)은 조리실(10)의 내부 공간 전부에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열원(110)보다 만곡된 지점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도 있다.
제2 열원(210)으로 채용되는 히터는 제1 열원(110)으로 채용되는 히터와 동종의 히터일 수도 있고, 또는 이종의 히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10c)에는 반사판(1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반사판(130)은, 제2 열원(220)에서 방출되고 상부 프레임(10c) 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이 하부 프레임(10a) 방향, 즉 회전판(300)의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열을 반사시킨다. 반사판(130)은 상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함몰된 부분에 반사된 열은 조리실(10) 내부 공간의 중심으로 보다 집중하여 이동하게 된다.
마이크로파 방사부(230)에 대해선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제1 가열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가열부 구동부(140, 160, 18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9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부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열부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 구동부(14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터(141)와, 슬릿(143)과, 열원 지지지부(145)와, 회전바(146)와, 가이드 바(148)를 포함할 수 잇다.
구동 모터(141)는,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설치되고, 회전바(146)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열원 지지부(145)가 수직 상 방향(m11) 및 수직 하 방향(m12)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구동 모터(141)는,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BLDC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회전바(146)는,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141)의 회전 부재(141a)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141)의 동작에 따른 회전 부재(141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회전바(146)의 외곽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열원 지지부(145)는,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설치되며, 열원(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열원(110)이 결합 설치된다. 또한, 열원 지지부(145)는 또한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이 외부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600)에서 공급된 전력이 열원(110)에 전달될 수 있다.
열원 지지부(145)의 중단에는 회전바(146)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내측에 형성된 홀(146h)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바(146)의 회전 운동은 회전바(164) 및 홀(146h)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배면 프레임(10e)의 일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43)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열원(110)은 슬릿(143)을 관통하여 열원 지지부(145)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열원(110)은 두 개의 말단(110a, 110b)을 가지므로, 배면 프레임(10e)에는 두 개의 슬릿(143a, 143b)이 설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슬릿(143a, 143b)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110)이 상 방향(m11) 및 하 방향(m12)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면 프레임(10e)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배면 프레임(10e)에 형성될 수 있다. 열원(110)은, 구동 모터(141), 회전바(146) 및 열원 지지부(145)에 의해 두 개의 슬릿(143a, 143b)을 따라서 상 방향(m11) 및 하 방향(m12)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한다.
두 개의 슬릿(143a, 143b)은 배면 프레임(10e)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배면 프레임(10e)을 제조할 때 미리 배면 프레임(10e)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원 지지부(145)에는 슬릿(14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15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차폐부(151)는, 평면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의하면, 평면판 중단이 열원 지지부(145)에 설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차폐부(151)는 예를 들어 금속 매쉬망 등과 같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각종 부품이나 재질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차폐부(1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 지지부(145)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열원 지지부(145)의 상 방향 이동(m11) 및 하 방향 이동(m12)에 대응하여 상 방향(m11) 및 하 방향(m12)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바(148)는 열원 지지부(145)가 이탈 없이 수직 상 방향(m11) 및 수직 하 방향(m1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열원 지지부(145)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45a, 154b)을 통과하여 마련된다. 가이드 바(148)는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상 제1 가열부 구동부(140)가 배면 프레임(10e)에 설치된 일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1 가열부 구동부(14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하여 제1 가열부 구동부(140)는 다른 측면(10b, 10d)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제1 가열부(100)는 상 방향(m11) 및 하 방향(m1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00)는 목표 위치(L1) 및 초기 위치(L2)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목표 위치(L1)는, 제1 가열부(100)에 의한 조리가 필요할 경우 제1 가열부(100)가 회전판(300)에 적절하게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이고, 초기 위치(L2)는 제1 가열부(100)에 의한 조리가 불필요할 경우 제1 가열부(100)가 배치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2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고, 도 13은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 구동부(160)는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형성된 곡선 형상의 슬릿(1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미도시)나 각종 기어(미도시) 등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의 회전축은 제1 가열부(100)의 열원(110)의 일 말단(110a)과 근접하거나 일치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축은 열원(110)의 일 말단의 열선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구동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에 마련된 회전축 부재 및/또는 각종 기어에 의해 제1 가열부(100)의 열원(110)은 회전축을 따라 회동할 수 있으며,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곡선 형상의 슬릿(16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m21, m22)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가열부(100)는 일 측면(10d)에 접하는 초기 위치(L2) 및 목표 위치(L1) 중 적어도 하나로 회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위치(L1)는 회전판(300)에 근접하여 마련된다.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곡선 형상의 슬릿(163)을 통해 조리실(10)의 후면으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외부의 도선이나 회로 등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600)나 제1 열원 스위칭부(199)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곡선 형상의 슬릿(163)이 형성된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는 곡선 형상의 슬릿(16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는 차폐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 위치(L2)에 인접한 일 측면(10d)에는 제1 가열부(100)의 열 반사판(12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0g)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10g)은 열 반사판(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도 14a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고, 도 14b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2 도이며, 도 14c는 제1 가열부 구동부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제3 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 구동부(180)는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형성된 원 형상의 슬릿(1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미도시), 액츄에이터 및 각종 기어(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 및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의해, 제1 가열부(100)의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원 형상의 슬릿(183)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방향(m31) 또는 하 방향(m32)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원 형상의 슬릿(183)을 통해 조리실(10)의 후면으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열원(110)의 양 말단(110a, 110b)은 외부의 도선이나 회로 등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600)나 제1 가열부 스위칭부(199)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슬릿(183)이 형성된 배면 프레임(10e)의 후면에는 차폐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초기 위치(L2)에 인접한 일 측면(10d)에는 제1 가열부(100)의 열 반사판(12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0g)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안착면(10g)은 열 반사판(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도 14a 내지 도 14c에는 슬릿(183)이 원형인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슬릿(18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이나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감지부(99)는 회전판(300), 회전판(300)에 안착된 용기(99) 및 용기(99)에 마련된 조리 대상(9)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열 위치 또는 목표 위치(L1)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온도 감지부(99)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99)는 회전판(300), 회전판(300)에 안착된 용기(99) 및 용기(99)에 마련된 조리 대상(9)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가 측정되면, 측정 결과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측정된 온도 및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가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제1 가열부(100)가 동작을 중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목표 온도는 조리 대상이 적절히 조리되었을 때의 온도를 의미한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조리 기기의 동작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조리 기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조리실(10), 온도 감지부(99), 제1 가열부(100), 제1 가열부 구동부(140, 160, 180), 제1 열원 스위칭부(199), 제2 가열부(200), 회전판(300), 회전판 구동부(320), 구역 위치 감지부(340), 제어부(400), 저장부(410), 전원 공급부(600), 사용자 인터페이스(800) 및 통신부(8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조리실(10)은 조리 대상이 수납되고 조리 대상이 조리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온도 감지부(99)는 회전판(300)이나, 회전판(300)에 거치된 용기(90)나, 및/또는 용기(90)에 거치된 조리 대상(9)의 전부 또는 일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00)는, 회전판(300)이나, 회전판(300)에 거치된 용기(90)나, 및/또는 용기(90)에 거치된 조리 대상(9)의 일부에 열을 제공한다.
제1 가열부 구동부(140, 160, 180)는, 제1 가열부(100)가 직선 이동하거나, 또는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가열부(100)가 회전판(3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가열부 구동부(140, 160, 18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액츄에이터 등을 더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판(300)은 조리 대상(9)이 수납된 용기(90) 또는 조리 대상(9)이 직접 거치되고 회전판 구동부(32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구역 위치 감지부(340)는 회전판(300)이 회전한 정도, 일례로 회전판(300)의 기준 지점으로부터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표시부(810), 바코드 스캔부(830) 및 입력부(8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RFID 리더나 화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RFID 리더 또는 화상 촬영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 스캔부(830)를 대신하여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이들 조리실(10), 온도 감지부(99), 제1 가열부(100), 회전판(300), 회전판 구동부(320), 구역 위치 감지부(3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800)에 대해선 기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한다.
제1 열원 스위칭부(199)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600)와 제1 가열부(100)를 연결하거나 또는 단선시킴으로써 제1 가열부(100)에 소정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가열부(100)는 공급된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세기의 열을 방출한다. 이 경우, 제1 가열부 스위칭부(199)는 제1 가열부(100)로 전달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또는 전류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제1 가열부(100)에 다양한 세기의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00)는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서 다양한 세기의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제2 가열부(200)는 회전판(300)에 거치된 용기(90)나, 및/또는 용기(90)에 거치된 조리 대상(9)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가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가열부(200)는, 조리 대상(9)의 전부 또는 대부분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제2 열원(210)과 제2 열원(210)과 전원 공급부(600)를 연결하는 제2 열원 스위칭부(29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원(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생성 및 방출한다. 제2 열원(210)은 기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제2 열원 스위칭부(299)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전원 공급부(600)와 제2 가열부(200)를 연결하거나 또는 연결을 끊음으로써 제2 가열부(200)에 소정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열원(210)은 공급된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세기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열원 스위칭부(299) 역시 필요에 따라 제2 열원(210)로 전달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또는 전류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가열부(200)는,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조리실(10) 내부로 방사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부(231), 급전부(232) 및 안테나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부(231)는 전원 공급 장치(1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급전부(232)로 전달한다. 발진부(231)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발진부(231)와 급전부(232) 사이에는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급전부(232)는 안테나부(233)에 마이크로파 전력을 급전한다. 급전부(232)는 안테나(233)에 출력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계된 다양한 구조의 급전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부(233)는 급전부(232)에서 급전된 마이크로파 전력에 따라서 대응하는 주파수의 마이크로파를 조리실(10) 내부의 조리 공간으로 방사할 수 있다. 안테나부(233)는 마이크로파를 생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부(233)에 방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조리실(10) 내부로 적절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조리 기기(1)에는 마이크로파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마이크로파 가이드 장치(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파 가이드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부가 함몰된 소정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리실(10)의 상부 프레임(10c)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방사부(230)에 의해 방사된 마이크로파는 조리실(10) 내부의 대부분의 공간에 방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실(10) 내부에 배치된 조리 대상(9) 및/또는 용기(90)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제2 가열부(2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열원(210), 제2 열원 스위칭부(299) 및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2 열원(210) 및 제2 열원 스위칭부(29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조리 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1 열원 스위칭부(199)와, 제2 열원 스위칭부(299)를 제어하여 제1 가열부(100) 및/또는 제2 열원(210)이 열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제1 가열부(100) 및 열원(210)이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제2 열원(210)이 먼저 열을 방출하도록 제어하고, 제2 열원(210)의 열 방출이 종료되면, 순차적으로 제1 가열부(100)가 열을 방출하도록 제1 가열부 스위칭부(199) 및 제2 가열부 스위칭부(299)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1 가열부(100) 및 제2 열원(210)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가열부(100)가 먼저 동작하고, 순차적으로 제2 열원(210)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를 제어하여 조리실(10) 내부에 수납된 조리 대상(9)이 마이크로파 방사부(230)에서 방사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어부(400)는 제1 가열부(100) 및 마이크로파 방사부(230)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방사부(230)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제1 가열부(100)가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1 가열부(100) 및 마이크로파 방사부(23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가열부(100)가 먼저 동작하고, 순차적으로 마이크로파 방사부(23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가열부(100)의 위치 이동 역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회전판 구동부(32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판(30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한 구역 위치 감지부(34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회전판(300)이 회전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거나, 및/또는 제1 가열부(100)가 회전판(300)의 일부 구역에 열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온도 감지부(99)의 온도 감지 결과를 기초로 제1 가열부(100)가 열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열원 스위칭부(199)를 제어하여 제1 가열부(100)가 온도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열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이루어진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채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조리 기기(1)의 전장실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장실 내부에 장착된 기판에 설치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어부(400)의 각종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동시킴으로써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은, 저장부(401)에 저장된 후, 필요에 따라 제어부(400)에 의해 호출되어 제어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저장부(410)는, 제어부(400)와 회로나 도선 등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어부(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10)는 조리 대상의 조리 조건에 대한 정보나, 또는 조리 기기(1)의 조리 동작 모드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저장부(410)의 조리 대상의 조리 조건에 대한 정보나, 또는 조리 기기(1)의 조리 동작 모드에 관한 각종 정보를 기초로 각 부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410)는, 주기억장치 및/또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기억장치로는 롬(ROM)이나 램(RAM)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보조기억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나,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00)는 조리 기기(1)의 각 부품에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600)는 외부의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각 부품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류 기능이나 승압/강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00)는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870)는, 외부의 단말 장치나 또는 다른 조리 기기 등과 통신을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스마트폰, 셀룰러폰,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내비게이션 장치, 태플릿 피씨,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컴퓨팅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70)는 외부의 단말 장치나 다른 조리 기기 등으로부터 조리 기기(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조리 기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조리 대상의 조리 조건, 조리 대상의 종류, 조리 대상의 양 또는 조리 기기의 동작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 기기(1)에 조리 기기(1)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말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9)의 용기(90) 등에 인쇄된 바코드를 촬영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촬영된 바코드에 대한 영상 또는 바코드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통신부(870)를 통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87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 장치나 다른 조리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알에프아이디(RFID), 와이 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및/또는 근거리 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기술은, 3GPP, 3GPP2 및/또는 와이맥스 계열 등의 각종 이동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된 각종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70)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이하 도 17a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제어부의 동작에 따라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a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흐름도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조리 기기(1)가 동작을 개시하면(900), 조리 기기(1)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910). 조리 기기(1)는 바코드 스캔부(830), 입력부(850), 통신부(870), 화상 촬영 장치 및 RFID 리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조리 기기(1)의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의 수신 이전이나 이후 또는 동시에, 조리 기기(1)의 조리실(10) 내부에는 조리 대상이 수납된다. 여기서, 조리 대상은, 서로 상이한 조리 조건을 갖는 복수의 음식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10) 내부를 전체적으로 가열한다(920). 조리 기기(1)는, 제2 가열부(200), 일례로 제2 열원(210)이나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를 이용하여 조리실(10) 내부의 대부분의 공간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조리실(10) 내부를 전체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실(10)에 투입된 모든 음식물은 가열 및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조리실(10) 내부의 전체적인 가열이 종료되면, 회전판(300)은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일례로 제1 구역(301)이 가열 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하고, 제1 가열부(100)는 제1 가열부 구동부(140, 160, 180)의 구동에 따라 가열 위치에 인접한 목표 위치(L1)로 이동한다(930). 회전판(300)의 회전과 제1 가열부(100)의 이동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회전판(300)의 어느 하나의 구역이 가열 위치에 도달하고, 또한 제1 가열부(100)가 목표 위치에 도달하면, 제1 가열부(100)는 열 방출을 개시하고, 가열 위치에 도달한 회전판(300)의 제1 구역(301)은 제1 가열부(100)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940).
제1 가열부(100)에 의한 가열 종료에 선행하거나 또는 가열 종료 이후에, 제어부(400)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열된 구역, 일례로 제1 구역(301) 이외의 다른 구역, 일례로 제2 구역(302)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950).
만약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이외의 다른 구역, 일례로 제2 구역(302)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면(950의 예), 회전판(300)은 회전을 재개하여 제2 구역(302)이 가열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960).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1 가열부(100)는 열 방출을 개시하고 가열 위치에 도착한 제2 구역(302)은 제1 가열부(100)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940). 이에 따라 복수의 구역(301, 302)이 가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가열부(100)는 제1 구역(301)에 방출된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제2 구역(302)에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구역(301) 및 제2 구역(302)은 서로 상이하게 가열 및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열된 구역, 일례로 제1 구역(301) 및 제2 구역(302) 이외의 다른 구역, 일례로 제3 구역(303)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950). 이와 같이 제어부(400)는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각각마다 가열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회전판(300)의 회전 및 제1 가열부(100)의 동작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구역이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940, 950, 960).
만약 다른 구역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지 않다면, 조리 기기(1)는 조리 동작을 종료한다(97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로 상이한 가열 조건의 조리 대상을 하나의 조리실(10) 내부에서 서로 상이하게 가열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조리 기기(1)에 의한 조리 품질이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서로 상이하게 가열 조리된 복수의 음식물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7b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2 흐름도이다.
도 18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19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2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3 도이고, 도 21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4 도이다. 도 22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5 도이고, 도 2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6 도이다. 도 24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7 도이고, 도 25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회전판 및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8 도이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나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조리 기기(1)는 동작을 개시하고, 조리에 필요한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준비를 할 수 있다(1000).
이어서 조리 기기(1)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조리 기기(1)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1000). 조리 기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 스캔부(830), 입력부(850), 통신부(870), 화상 촬영 장치 및 RFID 리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 및/또는 조리 기기(1)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조리 기기(1)가 수행할 동작을 결정한다(1020). 예를 들어, 조리 대상이 육류, 곡류 및 야채와 같이 조리 조건이 상이한 음식물이고, 조리 조건이 상이한 복수의 음식물을 하나의 조리 공간(1) 내에서 조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과정을 통해 조리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가열부(100) 및/또는 제2 가열부(200)에서 발생될 열의 크기, 열 공급 시간, 마이크로파 주파수 및/또는 마이크로파 방사 시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조리 기기 동작 개시 단계 내지 조리 대상에 따른 동작 결정 단계(1000 내지 1020) 중 임의의 단계에 선행하거나 후행하거나 또는 임의의 단계와 동시에 사용자는 도어(30)를 개방하여, 조리 대상을 조리실(10) 내부에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대상은, 조리 조건이 상이한 복수의 음식물을 포함한다.
이 경우, 조리 대상은 각각 회전판(300)의 상이한 구역(301 내지 303)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육류와 같이 조리에 있어 다량의 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1 구역(301)에 배치되고, 곡류와 같이 조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적은 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2 구역(302)에 배치되며, 야채와 같이 열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제3 구역(30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열부(200)가 소정의 열로 소정의 시간 동안 조리실(10) 내부를 가열하도록 제어한다(1030). 제2 가열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0)의 상부 프레임(10c)에 설치된 제2 열원(210)일 수도 있고, 또는 조리실(10) 내부에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방사부(230)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실(10) 내부에 투입된 조리 대상, 즉 복수의 음식물 모두에는 열이 공급된다.
제어부(400)에 의해 정해진 시간, 즉 제2 가열부(200)의 동작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400)는 제2 가열부(200)의 동작을 종료시킨다(1040).
이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회전판(30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1050). 회전판(300)은 회전 구동부(320)의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R1, R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구역 위치 감지부(34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기초로 회전판(300) 상의 각 구역, 즉 제1 구역 내지 제3 구역(301 내지 303)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만약 육류가 배치된 제1 구역(301)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위치에 도달하면(1060), 다시 말해서 제1 구역(301)이 제1 가열부(100)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구역에 도달하면, 제어부(400)는 회전판 구동부(32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판(300)이 회전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1070)가 가열 위치에 인접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1 가열부(1070)를 제어한다(1070).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70)는 회전판(300)이 회전 동작을 개시하기 전 또는 회전판(300)이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1 구역(301)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위치에 인접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이동하여 가열 위치에 인접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회전판(300)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가열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제1 가열부(100)가 가열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400)는 제1 열원 스위칭부(199)를 제어하여 제1 가열부(100)에 전원 공급부(60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1080).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의 제1 구역(301)에 대한 가열 동작을 개시한다.
제1 가열부(100)는 목표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 일례로 회전판(300)의 일부 구역을 중심으로 열을 공급하고, 다른 구역에는 열을 상대적으로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구역(301)에 배치된 육류 등의 음식물에는 제1 가열부(100)에 의해 발생된 추가적인 열이 제공되고 다른 구역(302, 303)에 배치된 곡류나 야채 등의 음식물에는 이와 같은 추가적인 열이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구역(301)에 배치된 육류 등의 음식물만이 보다 더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제1 가열부(100)는 제어부(400)에서 결정한 바에 따라서 소정 크기의 열을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한다. 제1 가열부(100)는 제2 구역(302)이나 제3 구역(303)보다 제1 구역(301)에 더 많은 열을 공급하거나, 및/또는 더 오랜 시간 동안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가열부(100)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동작하거나, 또는 온도 감지부(99)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온도와 일치하면, 제1 가열부(100)는 동작을 종료한다(1090). 다시 말해서, 제1 가열부(100)는 더 이상 열을 방출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또는 가열 위치에 계속해서 대기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00)은 다시 회전을 개시한다(1100). 회전판(300)의 회전 동작은, 제1 가열부(100)의 동작이 종료된 이후, 제1 가열부(100)가 초기 위치로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제1 가열부(100)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 이동이 종료된 이후, 또는 제1 가열부(100)의 동작이 종료되기 전에 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판(300)의 회전 방향은 단계 1050에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회전판(300)은, 회전판(300)의 제2 구역(302)이 가열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해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판(300)의 제2 구역(302)이 가열 위치에 도착하면, 회전판(300)의 회전 동작은 종료된다(1110).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112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서, 가열 위치에 배치된 제2 구역(302)에 열을 제공한다(1120). 만약 제1 가열부(100)의 동작 종료 후에 제1 가열부(10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된 경우라면, 제1 가열부(1120)가 제2 구역(302)에 열을 제공하기 전에, 제1 가열부(1070)는 수직 이동 또는 회전 이동하여 가열 위치에 인접한 목표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만약 제1 가열부(100)가 가열 위치에 계속해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라면, 제1 가열부(100)는 이동되지 않고 열의 방출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100)는 가열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 일례로 회전판(300)의 일부 구역을 중심으로 열을 공급하고, 다른 구역에는 열을 상대적으로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제2 구역(302)에 배치된 곡류 등의 음식물에는 제1 가열부(100)에 의해 발생된 추가적인 열이 제공되고 다른 구역(301, 303)에 배치된 육류나 야채 등의 음식물에는 열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가열부(100)는, 제2 구역(302)에 열을 공급하는 경우, 제1 구역(301)에 열을 공급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은 시간 동안 동작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제2 구역(302)에 배치된 곡류 등의 조리 대상은, 제1 구역(301)에 배치된 육류 등의 조리 대상보다 상대적으로 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구역(301)의 조리 대상과 제2 구역(302)의 조리 대상이 서로 상이하게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제1 가열부(100)가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제2 구역(302)에 열을 공급하면, 제1 가열부(100)는 동작을 종료하고 열의 공급을 중단한다(1130).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는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부(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 위치에 계속해서 대기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 구역(303)에 배치된 조리 대상에도 열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가열부(100)는 가열 위치에 대기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육류 및 곡류와 같이 제1 구역(301) 및 제2 구역(302)에 대한 가열이 종료되면,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는 종료된다(1140).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 만약 제3 구역(303)에 배치된 야채 등의 조리 대상 역시 추가적인 가열이 필요한 경우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구역(303)이 가열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회전판(300)이 다시 회전을 개시한다. 제3 구역(303)이 가열 위치에 도착하면, 제1 가열부(100)는 제3 구역(303)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열부(100)는 제1 구역(301) 및 제2 구역(302)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은 시간 동안 제3 구역(303)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제3 구역(303)에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제3 구역(303)에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3 구역(303)에 배치된 야채 등의 조리 대상은 제1 구역(301) 및 제2 구역(302)에 배치된 조리 대상과 상이하게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제3 구역(303)에 대한 조리가 종료되면, 제1 가열부(100)는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상 조리 기기(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서, 회전판(300)이 제1 구역 내지 제3 구역(301 내지 303)으로 구획된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회전판(300)에 구획되는 구역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판(300)은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구획될 수도 있고, 또는 넷 이상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만약 넷 이상의 구역으로 회전판(300)이 구획되도록 설계된다면, 네 개 이상의 상이한 조리 조건을 갖는 조리 대상을 하나의 조리실(10) 내에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가 동작을 개시하면(1200),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 기기(1)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 대상을 식별할 수 있다(1210). 조리 기기(1)는 바코드 스캔부(830), 입력부(850), 통신부(870), 화상 촬영 장치 및 RFID 리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의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의 수신 이전이나 이후 또는 동시에, 조리 기기(1)의 조리실(10) 내부에는 조리 대상이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대상은, 서로 상이한 조리 조건을 갖는 복수의 음식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조리 대상이 안착된 회전판(300)은, 회전판(300) 상의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일례로 제1 구역(301)이 가열 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하고, 제1 가열부(100)는 제1 가열부 구동부(140, 160, 180)의 구동에 따라 가열 위치에 인접한 목표 위치(L1)로 이동한다(1220). 회전판(300)의 회전과 제1 가열부(100)의 이동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회전판(300)의 어느 하나의 구역이 가열 위치에 도달하고, 또한 제1 가열부(100)가 목표 위치에 도달하면, 제1 가열부(100)는 열 방출을 개시하고, 방출된 열은 제1 구역(301)에 입사된다(1230). 이에 따라 제1 구역(301)은 다른 구역(302, 303)과 상이하게 더 가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열된 구역, 일례로 제1 구역(301) 이외의 다른 구역, 일례로 제2 구역(302)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240).
만약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 이외의 다른 구역, 일례로 제2 구역(302)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면(1240의 예), 제1 구역(301)에 대한 가열이 종료되기 전 또는 가열이 종료된 이후에, 제2 구역(302)이 상술한 가열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회전판(300)은 다시 회전을 구동한다(1250).
제2 구역(302)이 상술한 가열 위치에 도달하면, 제1 가열부(100)는 열 방출을 개시하고 가열 위치에 도착한 제2 구역(302)은 제1 가열부(100)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1230).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는 제1 구역(301)에 방출된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제2 구역(302)에 방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400)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가열된 구역, 일례로 제1 구역(301) 및 제2 구역(302) 이외의 다른 구역, 일례로 제3 구역(303)이 더 가열될 필요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1240).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1 가열부(100) 및 회전판(300)에 연결된 회전 구동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1230 내지1250).
회전판(300)의 회전 및 제1 가열부(100)의 동작 과정은, 필요에 따라 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구역은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조리 기기(1)의 제어부(400)는 제2 가열부(200), 일례로 제2 열원(210)이나 마이크로파 방사부(230)를 제어하여, 조리실(10)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가열되도록 한다(1260). 이에 따라, 상술한 복수의 구역(301 내지 303)에 거치된 모든 음식물에 열이 공급되게 된다.
조리 시간의 경과 여부나 조리실(10) 내부 온도 등을 기초로 조리 완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리 기기(1)의 제2 가열부(200)는 동작을 종료하고, 이에 따라 조리실(10) 내부의 전체적인 가열이 종료된다.
조리실(10) 내부의 전체적이 가열이 종료되면, 조리 기기(1)는 조리 동작을 종료한다(970).
상술한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컴팩트 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나,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magneto-optical media)나, 또는 롬, 램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역시 상술한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들 역시 상술한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 기기 10: 조리실
100: 제1 가열부 199: 제1 열원 스위칭부
200: 제2 가열부 210: 제2 열원
230: 마이크로파 방사부 300: 회전판
320; 회전판 구동부 340: 구역 위치 감지부
400: 제어부 401: 저장부
800: 사용자 인터페이스 810: 표시부
830: 바코드 스캔부 850: 입력부
870: 통신부
100: 제1 가열부 199: 제1 열원 스위칭부
200: 제2 가열부 210: 제2 열원
230: 마이크로파 방사부 300: 회전판
320; 회전판 구동부 340: 구역 위치 감지부
400: 제어부 401: 저장부
800: 사용자 인터페이스 810: 표시부
830: 바코드 스캔부 850: 입력부
870: 통신부
Claims (20)
-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의 구역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조리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복수의 구역 중 제1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구역에 열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 구역에 열을 공급하는 제1 가열부;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역 위치 감지부;
상기 회전판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각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온도 감지부, 상기 구역 위치 감지부 및 상기 회전각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판 및 상기 제1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판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구역에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상기 제1 가열부의 가열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재개시키고,
상기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판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구역에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상기 제1 가열부의 가열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재개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열을 공급하거나 서로 상이한 공급 시간 동안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와 상기 회전판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와 상기 제2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결정된 제1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에 기초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에 기초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2 구역에 인접한 제3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제3 구역에 상기 제2 구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공급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조리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방향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천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조리 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의 측면 또는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열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 및
상기 조리실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열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슬릿을 차폐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및 측면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조리 기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상기 제1 가열부의 열의 크기 및 열 공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조리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상면 전반을 가열하는 제2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가열부가 상기 회전판 상면 전반을 가열한 후, 상기 회전판을 회전 구동시켜 상기 회전판 상면의 일부 구역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조리 기기. - 조리실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의 구역이 형성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제1 구역이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판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구역에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부에 설치된 제1 가열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역에 대한 상기 제1 가열부의 가열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재개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회전판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구역에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상기 제1 가열부의 가열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재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에 서로 상이한 크기의 열을 공급하거나 서로 상이한 공급 시간 동안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와 상기 회전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와 상기 제2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결정된 제1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에 기초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에 공급될 열의 크기에 기초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가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상기 제2 구역에 인접한 제3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제3 구역에 대한 열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또는 상기 제3 구역에 상기 제2 구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상기 회전판의 상면의 일부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가열부가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 구동하여 상기 회전판의 상면의 일부 구역이 상기 가열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가열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방향 및 상기 조리실 내부의 천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바닥 및 측면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온도 또는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에 대한 상기 제1 가열부의 열의 크기 및 열 공급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제2 가열부가 상기 회전판의 상면 전반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7121A KR102556536B1 (ko) | 2016-09-30 | 2016-09-30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EP17856824.2A EP3472519B1 (en) | 2016-09-30 | 2017-09-29 |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
PCT/KR2017/010943 WO2018062938A1 (en) | 2016-09-30 | 2017-09-29 |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
CN201780057396.5A CN109716027B (zh) | 2016-09-30 | 2017-09-29 | 烹饪设备及控制烹饪设备的方法 |
US15/720,630 US11116348B2 (en) | 2016-09-30 | 2017-09-29 |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
US17/472,229 US20210401215A1 (en) | 2016-09-30 | 2021-09-10 |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
KR1020230090682A KR20230113697A (ko) | 2016-09-30 | 2023-07-12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7121A KR102556536B1 (ko) | 2016-09-30 | 2016-09-30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0682A Division KR20230113697A (ko) | 2016-09-30 | 2023-07-12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6448A KR20180036448A (ko) | 2018-04-09 |
KR102556536B1 true KR102556536B1 (ko) | 2023-07-17 |
Family
ID=617574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7121A KR102556536B1 (ko) | 2016-09-30 | 2016-09-30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KR1020230090682A KR20230113697A (ko) | 2016-09-30 | 2023-07-12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0682A KR20230113697A (ko) | 2016-09-30 | 2023-07-12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1116348B2 (ko) |
EP (1) | EP3472519B1 (ko) |
KR (2) | KR102556536B1 (ko) |
CN (1) | CN109716027B (ko) |
WO (1) | WO20180629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112019012930A8 (pt) | 2016-12-29 | 2023-02-28 |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 Etiquetas rfid com estrutura de proteção para incorporação em embalagem de produtos alimentícios utilizável em micro-ondas |
EP3782225A1 (en) | 2018-04-20 | 2021-02-24 |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 Rfid straps with a top and bottom conductor |
WO2019204694A1 (en) | 2018-04-20 | 2019-10-24 |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 Method of using shielded rfid straps with rfid tag designs |
JP2021522573A (ja) | 2018-04-20 | 2021-08-30 | アベリー・デニソン・リテイ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サービシ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 電子レンジ対応の食品包装に組み込むための遮蔽型rfidタグ |
JP2020035422A (ja) * | 2018-06-27 | 2020-03-05 | エイヴェリー デニソン リテール インフォメーション 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調理過程を制御するために製品に取り付けられる高電磁場放出耐性rfidタグ |
JP7037520B2 (ja) | 2018-06-27 | 2022-03-16 | エイヴェリー デニソン リテール インフォメーション 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高周波帯域で動作するrfidタグ |
KR102206680B1 (ko) * | 2019-02-11 | 2021-01-22 |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자레인지용 간편식 qr코드 |
KR102206679B1 (ko) * | 2019-02-11 | 2021-01-22 |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스마트 조리방법 |
KR102206678B1 (ko) * | 2019-02-11 | 2021-01-22 |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 Qr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전자레인지 |
US20200286757A1 (en) * | 2019-03-08 | 2020-09-10 | Dsgi Technologies, Inc. | Apparatus for anneal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afers |
CN110613318B (zh) * | 2019-10-22 | 2021-06-15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烹饪器具 |
CN110710889B (zh) * | 2019-10-27 | 2022-01-14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烹饪设备 |
CN111358306B (zh) * | 2020-04-30 | 2021-08-24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加热控制方法及烹饪设备 |
US11596032B2 (en) * | 2020-03-31 | 2023-02-28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Stackable pans for cooking appliance |
US20220030674A1 (en) * | 2020-07-27 | 2022-01-27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Microwave synchronization for cooking appliance meal cook cycle |
KR20220096970A (ko) * | 2020-12-31 | 2022-07-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CN114794893A (zh) * | 2021-01-27 | 2022-07-29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料理机的温度调节系统 |
KR20230033361A (ko) * | 2021-09-01 | 2023-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3075050A1 (ko) * | 2021-10-28 | 2023-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
EP4426062A1 (en) * | 2021-10-28 | 2024-09-04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US20230138859A1 (en) * | 2021-10-28 | 2023-05-04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WO2024058611A1 (ko) * | 2022-09-15 | 2024-03-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그릴 히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32521A1 (en) * | 2007-07-31 | 2009-02-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37442A (en) * | 1975-05-22 | 1979-01-30 | Sharp Kabushiki Kaisha | High-frequency oven having a browning unit |
US4357513A (en) * | 1979-07-30 | 1982-11-0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Microwave oven with a vertically translatable resistance heater or the like |
JPS59138822A (ja) | 1983-01-28 | 1984-08-09 | Toshiba Corp | 調理器 |
JPH0126973Y2 (ko) * | 1984-10-05 | 1989-08-11 | ||
EP0788296B1 (en) * | 1994-04-07 | 2005-03-2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
KR960002437U (ko) * | 1994-06-22 | 1996-01-22 | 전자레인지의 가동히터 장치 | |
KR0155597B1 (ko) | 1994-09-16 | 1998-12-15 | 이헌조 | 동시조리형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 웨이브 분배장치와 분배방법 |
KR970047156A (ko) * | 1995-12-22 | 1997-07-26 | 배순훈 | 전자레인지 |
US6469286B1 (en) * | 1997-11-13 | 2002-10-2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Variable-impedance unit, microwave device using the unit, and microwave heater |
JP3649591B2 (ja) | 1998-06-16 | 2005-05-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調理器 |
KR100395559B1 (ko) * | 1999-05-29 | 2003-08-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
JP2002013743A (ja) * | 2000-04-28 | 2002-01-18 | Sanyo Electric Co Ltd | 電子レンジ |
KR100500984B1 (ko) | 2002-12-02 | 2005-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
KR100630458B1 (ko) | 2006-04-21 | 2006-10-04 | 주식회사 홍초원 | 회전식 조리부를 구비한 테이블형 구이장치 |
NZ573440A (en) | 2006-06-08 | 2012-05-25 | Nestec Sa | Three compartment microwave tray with compartment variable cooking properties |
KR101388897B1 (ko) * | 2007-11-01 | 2014-04-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오븐 및 그 제어방법 |
JP2011038674A (ja) * | 2009-08-07 | 2011-02-24 | Sengoku:Kk | オーブントースター |
EP2618634A1 (en) * | 2012-01-23 | 2013-07-24 | Whirlpool Corporation |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US8837316B2 (en) * | 2012-06-14 | 2014-09-16 | Qualcomm Incorporated | RTT based ranging system and method |
US9420641B2 (en) * | 2013-01-23 | 2016-08-16 | Whirlpool Corporation | Microwave oven multiview silhouette volume calculation for mass estimation |
KR101520612B1 (ko) | 2013-04-30 | 2015-05-15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조리장치 |
US11252792B2 (en) * | 2014-06-18 | 2022-02-15 | Spot Labs, Llc | Device for selective heating of materials in an electromagnetic oven |
-
2016
- 2016-09-30 KR KR1020160127121A patent/KR1025565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9-29 US US15/720,630 patent/US11116348B2/en active Active
- 2017-09-29 CN CN201780057396.5A patent/CN109716027B/zh active Active
- 2017-09-29 EP EP17856824.2A patent/EP3472519B1/en active Active
- 2017-09-29 WO PCT/KR2017/010943 patent/WO2018062938A1/en unknown
-
2021
- 2021-09-10 US US17/472,229 patent/US20210401215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7-12 KR KR1020230090682A patent/KR20230113697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32521A1 (en) * | 2007-07-31 | 2009-02-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72519B1 (en) | 2022-03-30 |
EP3472519A4 (en) | 2019-06-26 |
KR20230113697A (ko) | 2023-08-01 |
CN109716027B (zh) | 2021-02-05 |
US20210401215A1 (en) | 2021-12-30 |
EP3472519A1 (en) | 2019-04-24 |
US11116348B2 (en) | 2021-09-14 |
WO2018062938A1 (en) | 2018-04-05 |
KR20180036448A (ko) | 2018-04-09 |
US20180092486A1 (en) | 2018-04-05 |
CN109716027A (zh) | 2019-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6536B1 (ko) |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 |
JP6997291B2 (ja) | スペクトル設定可能な調理器具を利用したマルチゾーン調理 | |
US11252792B2 (en) | Device for selective heating of materials in an electromagnetic oven | |
US9497819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based on user manipulation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 |
CA2998177C (en) | In-oven camera | |
US9414444B2 (en) | Interface for controlling energy application apparatus | |
CN105823096B (zh) |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 |
JP3617224B2 (ja) | 高周波加熱装置 | |
US9794994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touch-sensitive lighting control | |
CN109792802B (zh) | 带支撑托盘的可变峰值波长烹饪器具 | |
US20210353097A1 (en) | Cook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cooking system | |
CN101910733A (zh) | 烹调装置 | |
JP7181279B2 (ja) | 連続的な加熱調理 | |
JP2009129844A (ja) | 加熱調理器 | |
US11140754B2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10095419A (ko) |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10138478A (ko) | 조리 기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조리 시스템 | |
US11765797B2 (en) | Terminal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control system | |
CN111801986B (zh) | 烹饪器具中的功率密度射线操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