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501B1 -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501B1
KR102556501B1 KR1020200021527A KR20200021527A KR102556501B1 KR 102556501 B1 KR102556501 B1 KR 102556501B1 KR 1020200021527 A KR1020200021527 A KR 1020200021527A KR 20200021527 A KR20200021527 A KR 20200021527A KR 102556501 B1 KR102556501 B1 KR 102556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lecithin
parts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950A (ko
Inventor
정서희
김문주
신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0010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합성 고분자를 대체하여 천연 고분자를 사용하면서도, 조성물 내에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와 입자 크기 변화가 적으면서도 고온 및 저온에서 조성물이 석출되지 않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polymers}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와 입자 크기 변화가 적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poly ethylene glycol, PEG)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는 제형 안정성 및 점도 형성에 도움을 주는 원료로, 일반 수중유형 에멀전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1,4-다이옥산(1,4-dioxane) 성분이 발암물질로 규제되었고, 원료 내 부산물의 잔여 우려로 인해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져 소비자들은 합성 원료보다는 천연 또는 유기농 원료를 사용한 제품을 선호하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 파라벤류의 방부제와 같이 인체에 유해하다고 알려진 원료뿐만 아니라 합성 고분자와 같은 합성 원료를 포함하는 제품에도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 및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은 천연 화장품이나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나 합성 고분자와 같은 합성 성분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일반 에멀전과 비교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를 함유하지 않은 에멀전의 안정성과 품질력은 떨어진다. 이는 제형 안정성 및 점도 형성에 도움을 주는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없고 적은 양으로도 안정성을 잡을 수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천연 고분자는 합성 고분자에 비하여 점도 형성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량이 많아지고 천연 고분자 만으로는 원하는 점도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방 알코올, 천연 왁스 등을 일반 에멀전보다 더 많이 사용해야 한다.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형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과량의 지방 알코올과 천연 왁스류를 사용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해서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저온에서의 석출 문제, 고온에서의 유동 안정성이 부족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성물에 레시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지방 알코올이나 천연 왁스류를 적게 사용하여도 초기 점도가 상승되고 안정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여전히 시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은 남아있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현상은 초기 사용감과 후기 사용감의 변화로 인한 품질 관리 및 용기 내 잔량 문제 등 제품의 전반적인 품질력과 직결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KR 공개특허 제10-2015-0108198호(2015.09.25.)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지방 알코올과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면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게 되면 조성물의 안정성과 점도 증가의 문제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가 적고, 고온/저온에서의 유화 안정성이 좋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 변화가 크지 않은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은 C6 내지 C22의 사슬 또는 분지형의 지방 알코올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방 알코올은 아라키딜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 알코올은 조성물의 점도 형성과 제형 안정성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지방 알코올은 아라키딜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 알코올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내지 10 중량부, 예컨대 0.5 내지 8 중량부, 0.5 내지 5 중량부, 0.3 내지 3 중량부, 0.3 내지 5 중량부, 1 내지 8 중량부, 1.5 내지 6 중량부, 2 내지 4 중량부, 2.5 내지 3.5 중량부, 3.2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소피빈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애씨드, 라이소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포스파티딜콜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포스포리피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초기 점도를 상승시키고 제형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2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2 중량부, 0.005 내지 1.8 중량부, 0.01 내지 1.5 중량부, 0.05 내지 1.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3 내지 0.8 중량부, 0.4 내지 0.6 중량부,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 조성물이 불안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설페이트계 계면활성제, 설포네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포스페이트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올레핀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설포네이트, 메틸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설포 지방산, 알킬 설페이트, 지방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설페이트, 지방산 에테르 설페이트, 하이드록실 혼합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에테르)설페이트, 지방산 아마이드(에테르)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 모노- 및 디알킬 설포석시나메이트, 설포트리글리세라이드, 아마이드 비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지방산 이세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리드, N-아실아미노산(예컨대, 아실락틸레이트, 아실타르트레이트, 아실글루타메이트 및 아실아스파르테이트), 알킬올리고글루코사이드설페이트, 알킬 글루코오스카르복실레이트, 단백질 지방 축합물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알킬 및/또는 아실 사슬 길이는 탄소수 8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6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세틸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소듐라우릴설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또는 소듐세틸설페이트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0.15 중량부, 예컨대 0.005 내지 0.13 중량부, 0.01 내지 0.1 중량부, 0.03 내지 0.08 중량부, 0.04 내지 0.0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제조 직후 초기 점도를 상승시켜 안정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0.0001 내지 1:0.25의 함량비, 예컨대 1:0.001 내지 1:0.2의 함량비, 1:0.0001 내지 1:0.1의 함량비, 1:0.0001 내지 1:0.05의 함량비, 1:0.0001 내지 1:0.02의 함량비, 1:0.0001 내지 1:0.01의 함량비, 1:0.0001 내지 1:0.005의 함량비, 1:0.0001 내지 1:0.002의 함량비, 1: 0.0002 내지 1:0.25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2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1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05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02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01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005의 함량비, 1:0.0002 내지 1:0.002의 함량비, 1:0.001 내지 1:0.25의 함량비, 1:0.001 내지 1:0.2의 함량비, 1:0.001 내지 1:0.1의 함량비, 1:0.001 내지 1:0.05의 함량비, 1:0.001 내지 1:0.02의 함량비, 1:0.001 내지 1:0.01의 함량비, 1:0.001 내지 1:0.005의 함량비, 1:0.001 내지 1:0.002의 함량비, 1:0.002 내지 1:0.25의 함량비, 1:0.002 내지 1:0.2의 함량비, 1:0.002 내지 1:0.1의 함량비, 1:0.002 내지 1:0.05의 함량비, 1:0.002 내지 1:0.02의 함량비, 1:0.002 내지 1:0.01의 함량비, 1:0.002 내지 1:0.005의 함량비, 1:0.02 내지 1:0.25의 함량비, 1:0.02 내지 1:0.2의 함량비, 1:0.02 내지 1:0.1의 함량비, 1:0.02 내지 1:0.05의 함량비, 1:0.1 내지 1:0.25의 함량비, 1:0.1 내지 1:0.2의 함량비, 1:0.05 내지 1:0.005의 함량비, 1:0.01 내지 1:0.1의 함량비, 1:0.01 내지 1:0.2의 함량비, 1:0.01 내지 1:0.25의 함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레시틴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상기와 같은 함량비로 조성물 내 포함될 때, 저온 및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개선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상승 현상 및 에멀전 입자 크기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합성 고분자,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합성 고분자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거나, 합성 고분자를 완전히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는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150다이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120메틸글루코스다이올리에이트, 피이지-7글리세롤코코에이트, 피이지-7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또는 피이지-30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13,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브이피/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에틸렌디아민/스테아릴 다이머 탈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아마이드-3, 폴리아마이드-4, 폴리아마이드-5, 폴리아마이드-6, 폴리아마이드-8,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 비스-스테아릴 에틸렌디아민/네오펜틸글리콜/스테아릴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 코폴리머 비스-Di-C14-18 알킬 아마이드, 브이피/메타크릴아마이드/비닐이미다졸 코폴리머 또는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뿐만 아니라 점증제, 점도 조절제 또는 피막 형성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고분자 원료들 중, 천연 유래가 아닌 화학적으로 합성 과정을 거친 원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합성 고분자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상기 합성 고분자를 대체하는 천연 첨가제로서 천연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가 갖는 유해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천연 고분자가 갖는 점도 형성능 저하 등의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에 과량의 지방 알코올과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 및 조성물의 고온/저온에서의 안정성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과량의 지방 알코올과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면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와 에멀전 입자 크기 변화가 작고, 고온과 저온에서도 조성물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첨가제는 점증제, 점도 조절제 및 피막 형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일 수 있으며, 예컨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 스클레로튬검, 잔탄검, 아라비아고무, 젤란검, 라이조비안검, 카라기난검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첨가제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3 중량부, 예컨대 0.05 내지 2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첨가제는 천연물 또는 자연물로부터 수득되거나 천연물 또는 자연물 유래의 성분을 간단히 개질시킨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공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화학적 합성 성분을 배제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합성 고분자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점도 변화 및 시간이 지남에 따른 에멀전 입자의 크기 변화를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점도 변화의 안정'은 조성물 제조 4주 경과 후의 점도가 조성물의 초기 점도(제조 직후의 점도)의 90 내지 140% 범위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조성물 제조 4주 경과 후의 점도가 4500 내지 6500 cps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에멀전 입자 크기 변화의 안정'은 조성물 제조 4주 경과 후의 에멀전 입자 크기가 조성물의 초기 에멀전 입자 크기의 75 내지 120%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적정량의 레시틴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와 에멀전 입자 크기 변화 및 다양한 온도에서의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와 에멀전 입자 크기의 변화가 작았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보관하여도 조성물의 분리 및 석출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와 유상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은 오일 또는 왁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및 왁스는 당업계에서 화장품의 성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로는 에스테르계 오일, 트라이글리세라이드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성분을 하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류 오일로는 아스코빌팔미테이트, 아스코빌리놀레이트, 아스코빌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라우레이트, 부틸렌글리콜스테아레이트, 부틸아이소스테아레이트, 세테아 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세테아릴노나노에이트, 세틸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에틸헥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헥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프로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노나노에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아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카프레이트, 네 오펜틸글리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아이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펜타에리스리틸헥사애씨드에스터,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세스퀴아이 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트라이에틸헥사노인을 사용할 수 있다.
트라이글리세라이드계 오일로는 C8-C12 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2-C18 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라우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40 아이소알킬애씨드트라이글리세라이드, C10-C18 트라이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트라이아세틸하이드로스테아레이트, 소이빈글리세라이드, 트라이베헤닌, 트라이카프린, 트라이에틸헥사노인, 트라이헵타노인,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린, 트라이팔미틴 또는 트라이스테아린을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리퀴드 파라핀, 미네랄오일), 파라핀,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스쿠알렌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오일로는 아보카도 오일, 밀배아 오일, 로즈힙 오일, 쉐어버터,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르간 오일, 메도우폼 오일, 해바라기 오일, 피마자유, 동백 오일, 옥수수 오일, 잇꽃 오일, 대두 오일, 유채꽃 오일, 마카다미아넛츠 오일, 호호바 오일, 팜 오일, 팜핵 오일 또는 코코넛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탄화수소계 왁스, 식물성 왁스 또는 실리콘 왁스 등의 모든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비즈 왁스, 라놀린,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합성 왁스, 폴리글리세릴-3비즈 왁스, 서양장미꽃 왁스, 쌀겨 왁스, 올리브오일불검화물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상성분은 그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 내 앞서 기술한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정제수 및 천연 고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성분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 예컨대 3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상성분은 천연 오일 및/또는 천연 왁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점증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또는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스프레이 타입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스틱,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험예 및 제조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합성 고분자를 대체하여 천연 고분자를 사용하면서도, 조성물 내에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와 입자 크기 변화가 적으면서도 고온 및/또는 저온에서 조성물이 석출되지 않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해 성분에 대한 우려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원료 및 합성 원료를 배제한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하여 품질력을 높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활성제와 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없는 천연 화장품, 저자극 화장품 또는 유기농 화장품의 품질력 및 안정성을 개선하여 일반 제품과 같은 품질력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및 2의 조성으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원료 1(정제수)에 원료 2 및 3(천연 고분자)를 서서히 투입한 후 30분간 혼합기(disper)로 분산하였다(수상). 이때, 1.에서의 상기 천연 고분자는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수용성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2. 수상에 원료 4(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투입한 후 75℃로 가온하였다.
3. 원료 7(천연 오일)에 원료 5(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6(지방 알코올)을 함께 투입한 후, 75℃로 가온하였다(유상).
4. 75℃에서 2.의 혼합물에 1.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500 rpm으로 5분간 혼합하였다.
5. 75℃에서 4.의 혼합물에 3.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500 rpm으로 7분간 유화하였다.
6. 유화된 혼합물을 30℃까지 냉각시킨 후 탈포하였다.
원료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잔탄검 0.08 0.08 0.08 0.08
3 마이크로스탈린셀룰로오스 0.68 0.68 0.68 0.68
3 셀룰로오스검 0.12 0.12 0.12 0.12
4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 - 0.2 0.2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 0.5 0.5 -
6 아라키딜알코올 1 1 1 1
6 세테아릴알코올 1 1 1 1
6 베헤닐알코올 1 1 1 1
7 오일 7 7 7 7
총합 100 100 100 100
원료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잔탄검 0.08 0.08 0.08 0.08
3 마이크로스탈린셀룰로오스 0.68 0.68 0.68 0.68
3 셀룰로오스검 0.12 0.12 0.12 0.12
4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001 0.01 0.05 0.1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5 0.5 0.5 0.5
6 아라키딜알코올 1 1 1 1
6 세테아릴알코올 1 1 1 1
6 베헤닐알코올 1 1 1 1
7 오일 7 7 7 7
총합 100 100 100 100
실험예 1. 레시틴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에멀전의 경시 안정성 및 점도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1) 경시에 따른 점도 평가
제조 직후부터 제조 후 4주차까지의 점도 변화를 25℃에서 브룩필드점도계(DV-III Ultra Rheometer) RVT형으로 스핀들 4번(#4spindle)을 이용하여 30 rpm의 속도로 60초간 회전한 후 점도 값을 측정하였다(단위: cps).
2) 안정성 평가
제조 직후부터 제조 후 4주차까지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25℃, 고온(50℃), 저온(0℃), F/T(Freeze-and-thaw), cycle 조건에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F/T 시험은 -20℃에서 냉동보관하여 완전히 얼렸다가 상온에 방치하여 녹이는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cycle은 챔버 온도가 6시간마다 -15℃, 5℃, 25℃ 및 45℃로 변하고, 이 cycle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
◎: 안정(면상태 양호, 분리 없음, 석출 없음)
△: 불안정(완전히 분리, 석출되지는 않았지만 면상태에 이상이 있음)
X: 분리 또는 석출됨
상기 평가 기준에서 석출은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던 지방 알코올 또는 왁스류 등이 안정화되어 에멀젼 상태로 있었다가, 분리 혹은 불안정해지면서 다시 고체 상태로 석출됨을 의미한다.
3) 입자 크기 측정
에멀전 입자의 크기는 입도 분석기(mastersizer 2000 ) 를 통해 직경을 측정하였다(단위: nm).
상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안정성 및 입자 크기의 결과는 아래 표 3 및 4에 나타내었으며, 도 1에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점도
(cps)
제조 직후 2600 5600 4300 3900
1주차 5000 7000 3600 3400
2주차 6300 7600 2200 3000
4주차 7100 8300 1900 2900
점도 변화(%) 273 148 44 74
입자 크기
(nm)
제조 직후 1430 2110 1000 355
4주차 1020 1040 15600 848
입자 크기 변화(%) 71 49 1560 239
경시
안정성
1일차 25℃
4주차 25℃ X
F/T X X
50℃ X
Cycle X X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점도
(cps)
제조 직후 5300 5000 4800 4300
1주차 5400 6000 5300 4900
2주차 5300 6200 5500 4800
4주차 5700 6000 5400 4800
점도 변화(%) 108 120 113 112
입자 크기
(nm)
제조 직후 800 775 850 820
4주차 776 690 717 875
입자 크기 변화(%) 97 89 84 107
경시
안정성
1일차 25℃
4주차 25℃
F/T
50℃
Cycle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안정성 및 입자 크기의 결과를 확인한 결과,
비교예 1의 경우, 4주 경과 후 저온과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조성물의 점도 상승은 제조 후 8주차까지 관찰되었다. 비교예 1의 조성에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한 비교예 2의 경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에 따라 초기의 점도와 안정성이 개선됨과 동시에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상승 폭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상승 문제가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조성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과량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3의 경우, 초기 점도가 상승하며 저온 안정성이 개선되는 듯 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적정량의 레시틴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넣은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저온과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개선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상승 현상과 에멀전 입자 크기 변화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5의 조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 실시예 3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잔탄검 0.08 0.08 0.08
3 마이크로스탈린셀룰로오스 0.68 0.68 0.68
3 셀룰로오스검 0.12 0.12 0.12
4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0.05 - -
4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 0.05 -
4 소듐세틸설페이트 - - 0.05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5 0.5 0.5
6 아라키딜알코올 1 1 1
6 세테아릴알코올 1 1 1
6 베헤닐알코올 1 1 1
7 오일 7 7 7
총합 100 100 100
실험예 2.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에멀전의 경시 안정성 및 점도 평가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1) 경시에 따른 점도 평가
제조 직후부터 제조 후 4주차까지의 점도 변화를 25℃에서 브룩필드점도계(DV-III Ultra Rheometer) RVT형으로 스핀들 4번(#4spindle)을 이용하여 30 rpm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점도 값을 측정하였다(단위: cps).
2) 안정성 평가
제조 직후부터 제조 후 4주차까지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25℃, 고온(50℃), 저온(0℃), F/T(Freeze-and-thaw), cycle 조건에서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안정성은 육안 관찰로 진행하며, 면상태(면이 매끈한지, 우글거리는지)와 분리 및 석출 상태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때, F/T 시험은 -20℃에서 냉동보관하여 완전히 얼렸다가 상온에 방치하여 녹이는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cycle은 챔버 온도가 6시간마다 -15℃, 5℃, 25℃ 및 45℃로 변하고, 이 cycle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
◎: 안정(면상태 양호, 분리 없음, 석출 없음)
△: 불안정(완전히 분리, 석출되지는 않았지만 면상태에 이상이 있음)
X: 분리 또는 석출됨
상기 평가 기준에서 석출은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던 지방 알코올 또는 왁스류 등이 안정화되어 에멀젼 상태로 있었다가, 분리 혹은 불안정해지면서 다시 고체 상태로 석출됨을 의미한다.
3) 입자 크기 측정
에멀전 입자의 크기는 입도 분석기(mastersizer 2000)를 통해 직경을 측정하였다(단위: nm).
경시에 따른 점도, 안정성 및 입자 크기의 결과는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 실시예5 실시예6
점도
(cps)
제조 직후 4800 4600 3800
1주차 5300 5600 4400
2주차 5500 6200 5000
4주차 5400 6000 4900
점도 변화(%) 113 130 129
입자 크기
(nm)
제조 직후 850 1070 617
4주차 717 973 492
입자 크기 변화(%) 84 91 80
경시
안정성
1일차 25℃
4주차 25℃
F/T
50℃
cycle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 및 입자 크기를 확인한 결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사슬 길이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저온, 고온에서의 안정성과 점도 및 입자 크기의 안정화도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 지방 알코올, 레시틴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0.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레시틴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1:0.0001 내지 1:0.2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지방 알코올은 아라키딜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 알코올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고,
    조성물 제조 4주 경과 후의 점도가 조성물의 제조 직후의 점도의 90 내지 140%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소피빈포스포리피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애씨드, 라이소레시틴,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포스파티딜콜린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포스포리피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레시틴계 계면활성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글루타메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설포네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포스페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21527A 2019-02-22 2020-02-21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6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1051 2019-02-22
KR1020190021051 201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950A KR20200102950A (ko) 2020-09-01
KR102556501B1 true KR102556501B1 (ko) 2023-07-18

Family

ID=7247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527A KR102556501B1 (ko) 2019-02-22 2020-02-21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5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74B1 (ko) * 2010-11-26 2017-12-04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무기점증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32905B1 (ko) * 2013-02-18 2019-10-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펄 생성 화장료 조성물
KR101629505B1 (ko) 2014-03-17 2016-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체 유사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684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안정한 제형의 천연계면 활성제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0830A (ko) * 2016-04-22 2017-11-01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유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950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09446A1 (en) Oil-in-wateroil-in-water type emulsion having excellent stability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EP2415459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DE19924277A1 (de) Zubereitungen von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mit einem Gehalt an mittelpolaren Lipiden und Siliconemulgatoren und gegebenenfalls kationischen Polymeren
KR20060130215A (ko)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KR101989750B1 (ko) 발효 당지질과 오일을 포함하는 구상다중액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KR101561010B1 (ko) 유중 수형 유화화장료
JP5203623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2617410B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JP2006290762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265A (ko) 천연 스크럽 원료를 고함량 함유하는 안정한 폴리올중유형 조성물
JP7063265B2 (ja) クリーム状組成物
JP2010235514A (ja) 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562377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6908264B2 (ja) セラミド含有非水ゲル状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6133618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662794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2556501B1 (ko)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102343745B1 (ko) 과지방제 및 퍼스널 케어 조성물
CN114073648A (zh) 包含天然聚合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WO2019244500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