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493B1 -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493B1
KR102556493B1 KR1020220101591A KR20220101591A KR102556493B1 KR 102556493 B1 KR102556493 B1 KR 102556493B1 KR 1020220101591 A KR1020220101591 A KR 1020220101591A KR 20220101591 A KR20220101591 A KR 20220101591A KR 102556493 B1 KR102556493 B1 KR 10255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electronic device
wearable device
wear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563A (ko
Inventor
류종현
채한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563A/ko
Priority to KR102023009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웨어러블 장치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태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들은 각 장치의 특성에 따라 이용되는 상황이나 환경이 상이하다. 또한 서로 다른 형태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 통신 가능한 형태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과 스마트 워치가 통신 가능한 형태로 함께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전자 장치의 이용 중, 사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알림을 받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 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SNS 어플리케이션의 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전자 장치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확인할 가능성이 낮은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알림을 확인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통신하면서 동작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에 적절한 형태의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 1 측면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웨어러블 장치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2 측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착용 중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웨어러블 장치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부; 및 착용 중인 경우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제공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확인할 가능성이 낮은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알림을 확인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가 통신하면서 동작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에 적절한 형태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기준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부(2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에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에 알림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중인이지 여부를 고려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장치가 사용중인 경우에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b)의 센서부(20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b)의 센서부(21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확인 가능 장치 및 확인 불가 장치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시선을 검출하는 방법은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상태를 고려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은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알림이 부적합한 상황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식이 미리 결정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스마트 워치(120)와 전자 장치(110)를 함께 이용 중인 경우, 전자 장치(110)와 스마트 워치(120)의 통신이 끊긴 경우의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법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준의 일례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 변경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110),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120)가 상호 통신하며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지(110)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발생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카메라, 텔레비전, 홈시스템 제어 장치, 자동차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이어폰, 스마트 신발, 스마트 반지, 스마트 팔찌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이 발생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상태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20)가 알림을 제공하거나, 전자 장치(110)가 알림을 제공하거나, 전자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가 모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하나이고, 웨어러블 장치(1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알림 이벤트는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림을 제공해야 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상기 알림 이벤트는 예를 들면, 전화 수신, 문자메시지 수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수신, 메일 수신, 일정 알림,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알림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의 종류는 전자 장치(100a)의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a)는 처리부(210), 알림 제공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a)의 동작을 총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210)는 알림 이벤트를 검출하고,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는 전자 장치(110a) 및 전자 장치(110a)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일 수 있다. 처리부(210)는 후술할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연결된 특정 채널을 통하여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이면 웨어러블 장치(120)에 검출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고, 착용 상태가 아니면, 전자 장치(110a)의 알림 제공부(220)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때,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10a)에서 함께 알림을 제공하거나, 전자 장치(110a)는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착용 상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20)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미착용 상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2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에 구비된 센서들의 센싱값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값은 예를 들면, 착탈 구조가 체결된 상태인지 여부, 움직임 검출에 대한 정보, 생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수신된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20)에 요청해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주기적으로 전자 장치(110a)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a)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a)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미도시) 등에 저장하고,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때, 처리부(210)가 저장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알림 제공부(220)는 전자 장치(110a)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은 예를 들면, 소리, 진동, 화면 켜짐, LED(light emitting diode) 등 점멸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와 통신한다. 통신부(230)는 웨어러블 장치(120)로 제어 신호, 전자 장치(110a)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제어 신호,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전자 장치(110a)와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모두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로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 요청을 전송한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a)로부터 알림 요청을 수신하면, 알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 요청은 알림의 종류, 알림의 내용, 및 알림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의 종류는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 전화, 이메일, 메신저 메시지, SNS 알림, 어플리케이션 알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의 내용은 예를 들면, 문자 메시지의 발송자 및 내용, 전화의 발송자, 메신저 메시지의 발송자 및 내용, SNS 알림의 내용, 어플리케이션 알림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의 내용은, 상기 알림을 제공할 때 표시될 아이콘, 그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의 방식은 예를 들면, 소리, 진동, 화면 켜짐, LED 점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는 기준을 설명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는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10a)의 처리부(2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판단될 수 있다. 착용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구조가 체결된 상태이고, 웨어러블 장치(120)의 움직임이 검출된 후,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생체 신호 검출되고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구조가 체결된 상태이고,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생체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구조가 체결된 상태인지 여부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구조에 구비된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착탈 구조에 구비된 센서는 예를 들면, 도전 센서, 홀 센서, 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의 움직임은, 웨어러블 장치(120)에 구비된 움직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를 구비하여,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센서는 예를 들면, 심박 센서, 맥박 센서, 혈압 센서, 땀 센서, 체온 센서,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부(2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부(220)는, 진동부(410), 스피커(420), 표시부(430), 및 LED(44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410), 스피커(420), 표시부(430), 및 LED(440)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부(410)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10a)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410)는 알림을 진동으로 제공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패턴의 진동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420)는 소리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을 소리로 제공하는 경우, 스피커(420)는 미리 설정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음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음의 종류는 알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430)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을 화면 켜짐 또는 메시지 표시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표시부(430)는 알림을 제공하는 시점에 화면을 켜거나,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LED(440)는 LED를 켜거나 점멸하는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510), 블루투스(Bluetooth) 모듈(520),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모듈(530), RF(radio frequency) 모듈(540), 및 이동 통신 모듈(55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LE 모듈(510), 블루투스 모듈(520), NFC 모듈(530), RF 모듈(540), 및 무선 통신 모듈(550)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550)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화,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를 들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CD(Personal Digital Cellular) 등의 2세대 이동통신,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등 3세대 이동통신, 및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 4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통신망을 포함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a)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a)는 처리부(610), 알림 제공부(620), 및 통신부(630)를 포함한다.
처리부(610)는 웨어러블 장치(120a)의 동작을 총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610)는 전자 장치(110) 또는 다른 웨어러블 장치(120a)로부터 알림 요청이 수신되면, 알림 제공부(620)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은 상기 알림 요청에 포함된 알림의 종류, 알림의 내용, 및 알림의 방식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610)는 해당 웨어러블 장치(120a)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림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전자 장치(110)로 통지한다. 알림 이벤트에 대한 통지는, 알림 이벤트의 종류 및 알림 이벤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이벤트의 종류는 예를 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알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알림 이벤트의 내용은, 심박동 증가, 분실 위험, 배터리 부족, 네트워크 신호 약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610)는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a)에 구비된 센서들의 센싱값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값은 예를 들면, 착탈 구조가 체결된 상태인지 여부, 움직임 검출에 대한 정보, 생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610)는 상기 센싱값을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a)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610)는 상기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20a)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610)는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610)는 전자 장치(110)에서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알림 제공부(620)는 해당 웨어러블 장치(120)a)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은 예를 들면, 소리, 진동, 화면 켜짐, LED(light emitting diode) 등 점멸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30)는 전자 장치(110)와 통신한다. 통신부(630)는 전자 장치(110)로 제어 신호, 웨어러블 장치(120a)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어 신호, 전자 장치(1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처리부(210), 알림 제공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10a)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알림 제공 방법이 수행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예가 도 2의 구조의 전자 장치(110a)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의 구조의 전자 장치(110a)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70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에 구비된 센서들의 센싱값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수신된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20)에 요청해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주기적으로 전자 장치(110a)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a)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a)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미도시) 등에 저장하고,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때, 처리부(210)가 저장된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이면(S704),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706).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120)가 없는 경우, 전자 장치(110a)의 알림 제공부(230)가 알림을 제공한다(S708).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할 확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에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S802), 처리부(210)는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06).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상태가 하나인 경우(S806),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요청한다(S808).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S806), 착용 상태인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 중, 사용중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0).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에 사용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사용중인 웨어러블 장치가 있는 경우, 착용 상태이고 사용중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812). 착용 상태인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 중, 사용중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착용 상태인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 중 하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81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사용자의 상태, 배터리 잔량 등을 고려한 판단 기준일 수 있다. 착용 상태인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추가적인 판단 기준을 적용하여 어느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는 설계자가 미리 지정한 우선 순위이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우선 순위이다.
본 실시예예 따른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는, 알림의 종류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웨어러블 장치의 우선 순위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소리 알림의 경우,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순으로 우선 순위를 갖고, 진동 알림의 경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순으로 우선 순위를 갖고, 화면 알림의 경우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순으로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알림의 종류에 상관 없이 웨어러블 장치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에 알림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 상태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 상태 및 설정된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하여, 착용 상태인 복수의 웨어러블 장치 중 하나에만 알림을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에게 과도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20-1)와 스마트 워치(120-2)의 두 개의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 상태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중인이지 여부, 설정된 우선 순위 등을 고려하여, 스마트 글래스(120-1)에만 알림을 제공한다. 만약 도 10과 같은 경우, 스마트 글래스(120-1)와 스마트 워치(120-2)에 모두 알림을 제공한다면, 사용자가 놀라거나 필요 이상의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고, 적절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은,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함께, 사용중인 전자 장치 또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려한다.
알림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S1101),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2).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에 사용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중인 장치에 알림을 제공한다(S1104).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102), 처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S1106),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8).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1110).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전자 장치(110) 또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1112).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210)는 예를 들면,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중인 경우,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고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사용자 명령을 받아 화면 갱신 중인 경우, 또는 화면 켜짐 상태인 경우에 해당 장치가 사용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 중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더 추가되거나,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a)의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에 사용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각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 중인지 사용 중이지 않은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각 웨어러블 장치에서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중인 경우,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고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사용자 명령을 받아 화면 갱신 중인 경우, 또는 화면 켜짐 상태인 경우 등에 해당 장치가 사용 중이라고 판단하고, 사용 중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사용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a)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중인지 여부, 마지막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시점, 화면 갱신 중인지 여부, 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10a)의 처리부(210)는 상기 사용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웨어러블 장치가 사용 중인지 사용 중이지 않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사용중인이지 여부를 고려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호 통신하는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사용중인이지 여부를 고려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가능성이 높은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중인 장치에 알림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현재 관심을 보이고 있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알림의 확인을 위해 다른 장치를 조작해야 할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은, 도 11의 실시예와 달리,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없다면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알림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S1402), 처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S1404),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6).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1408).
착용 상태인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10).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중인 장치에 알림을 제공한다(S1412).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410),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전자 장치(110) 또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1414).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장치가 사용중인 경우에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5의 실시예는,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S1502), 복수의 장치가 사용중인이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6). 사용중인 장치가 하나인 경우(S1506), 사용중인 하나의 장치에 알림을 제공한다(S1508). 사용중인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S1506), 사용중인 복수의 장치 중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예를 들면, 착용 중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502),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한다(S1504).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착용 중인 웨어러블 장치에 알림을 제공,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때,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고려하는 경우,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2).
사용 중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이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4).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인 경우(S1604),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장치에 알림을 제공한다(S1606).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인 경우(S1604),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장치 이외의 장치 중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1608).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602), 처리부(210)는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1610).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7은 전자 장치(110)가 게임을 실행하는 중에 전자 장치(110)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입력이 기준 시간 내에 검출되어 전자 장치(110)가 사용 중이라고 판단된다 하더라도, 게임 중 알림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게임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처리부(210)는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전자 장치(110) 대신 웨어러블 장치(120)로 알림을 제공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중인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8은 전자 장치(110)로 통화 중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10)가 통화중인 경우, 화면이 켜져서 전자 장치(110)가 사용 중이라고 판단된다 하더라도, 통화 중 알림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통화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처리부(210)는 실행중인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처리부(210)는 사용중인 전자 장치(110) 대신 웨어러블 장치(120)로 알림을 제공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미리 결정되어 저장된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실행 중이 기능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의 리스트는, 게임, 네비게이션, 동영상 재생, 프레젠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을 받을 수 없는 기능의 리스트는 저장부(미도시) 등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b)는 처리부(210), 알림 제공부(220), 통신부(230), 및 센서부(2010)를 포함한다.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b)의 동작을 총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210)는 알림 이벤트를 검출하고,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는 전자 장치(110b) 및 전자 장치(110b)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장치일 수 있다.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이면 웨어러블 장치(120)에 검출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고, 착용 상태가 아니면, 전자 장치(110b)의 알림 제공부(220)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때,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10b)에서 함께 알림을 제공하거나, 전자 장치(110b)는 알림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알림 제공부(220)는 전자 장치(110b)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은 예를 들면, 소리, 진동, 화면 켜짐, LED(light emitting diode) 등 점멸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와 통신한다.
처리부(2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되거나, 전자 장치(110a)와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모두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로 통신부(230)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 요청을 전송한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b)로부터 알림 요청을 수신하면, 알림을 제공한다.
센서부(20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처리부(210)는 센서부(2010)에 구비된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또는 전자 장치(110b)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는 처리부(610), 알림 제공부(620), 및 통신부(630), 및 센서부(2110)를 포함한다.
처리부(610)는 웨어러블 장치(120b)의 동작을 총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610)는 전자 장치(110) 또는 다른 웨어러블 장치(120b)로부터 알림 요청이 수신되면, 알림 제공부(620)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은 상기 알림 요청에 포함된 알림의 종류, 알림의 내용, 및 알림의 방식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610)는 해당 웨어러블 장치(120b)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알림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전자 장치(110)로 통지한다. 알림 이벤트에 대한 통지는, 알림 이벤트의 종류 및 알림 이벤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610)는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센서부(2110)의 센서들의 센싱값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b)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10)는 센서부(2110)에서 획득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20b)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센서부(2110)의 센서들의 센싱값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처리부(610)가 센서부(2110)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를 판단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610)는 센서부(2110)에서 획득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를 사용자가 손에 들고 있음, 차량 거치대에 있음, 가방 안에 있음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알림 제공부(620)는 해당 웨어러블 장치(120b)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 상기 알림은 예를 들면, 소리, 진동, 화면 켜짐, LED(light emitting diode) 등 점멸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30)는 전자 장치(110)와 통신한다. 통신부(630)는 전자 장치(110)로 제어 신호,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등을 전송하거나,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어 신호, 전자 장치(1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21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처리부(610)는 센서부(2110)에 구비된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b)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b)의 센서부(20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b)의 센서부(21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10 또는 2110)는 조도 센서(2202), 바이오 센서(2204), 기울기 센서(2206), 위치 검출 모듈(2208), 근접/터치 센서(2210), 터치 스크린(2212), 카메라(2214), 온도 센서(2216), 적외선 센서(2218), 및 가속도 센서(222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센서 종류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들이 센서부(2010 또는 211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2010 또는 2110)는 전자 장치(110b) 및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b)가 스마트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센서부(2010)는 조도 센서(2202), 기울기 센서(2206), 위치 검출 모듈(2208), 근접/터치 센서(2210), 터치 스크린(2212), 카메라(2214), 및 가속도 센서(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20b)가 스마트 워치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센서부(2110)는 바이오 센서(2204, 예를 들면, 심박 센서, 혈압 센서, 땀 센서 등), 기울기 센서(2206), 터치 스크린(2212), 온도 센서(2216), 및 가속도 센서(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20b)가 스마트 글래스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센서부(2110)는 조도 센서(2202), 바이오 센서(2204, 예를 들면, 맥박 센서, 홍채 센서 등), 기울기 센서(2206), 위치 검출 모듈(2208), 근접/터치 센서(2210), 카메라(2214), 및 가속도 센서(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 모듈(2208)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WPS(Wi-Fi Protected Setup)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b)는 스마트 워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시계 판 밑, 시계줄(2310) 내주면, 체결부(2326) 등에 센서부(2110)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계판 밑(2322)에 심박 센서, 온도 센서, 땀 센서, 혈압 센서, 근접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시계줄 내주면(2324)에 근접/접촉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2326)에 체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도전 센서, 홀센서, 자기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시계판(2330) 부분에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시계줄(2310)이 시계판(23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계줄(2310)과 시계판(2330)의 결합 부위에, 시계줄(2310)과 시계판(2330)의 결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예를 들면, 도전 센서, 근접 센서, 홀센서, 자기 센서 등)가 배치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의 처리부(61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610)는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의 패턴에 기초하여, 운동 중인지 여부, 운전 중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의 처리부(610)는 체결부(2326)가 체결 상태인지 여부와 심박 센서 등의 바이오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스마트 워치가 착용 상태인지, 미착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b)는 스마트 글래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글래스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안경테(2410), 안경 다리(2420), 안경 다리의 관자놀이와 접촉하는 부분(2430), 코받침(2440), 안경알(2450) 등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경테(2410)에 터치 센서가 배치되거나, 안경 다리(2420)에 터치 센서가 배치되거나, 관자놀이와 접촉하는 부분(2430)에 맥박 센서가 배치되거나, 코받침(2440)에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등이 배치되거나, 안경알(2450)에 홍채 센서가 배치되는 등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다리(2420) 또는 안경테(2410)의 소정의 위치에 카메라(246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글래스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카메라(2460)를 이용하여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460)에서 책이 촬영된 경우, 사용자가 독서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b)는 이어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폰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외주부(2510), 울림판(2520) 등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주부(2510)에 심박 센서가 배치되고, 울림판(2520)에 온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b)는 스마트 신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신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몸체(2610), 밑창(2620), 깔창(2630) 등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깔창(2630)에 심박 센서, 온도 센서, 땀 센서, 압전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2610), 밑창(2620), 깔창(2630) 등에 가속도 센서, 움직임 센서, 위치 검출 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b)는 스마트 반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반지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표시부(2710), 몸체(2720), 내주면(2730), 외주면(2740) 등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2710)에 터치 스크린이 배치되거나, 내주면(2730)에 온도 센서, 심박 센서 등이 배치되거나, 몸체(2720)에 가속도 센서, 위치 검출 모듈, 움직임 센서, 조도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주면(2740)에 터치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2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b)는 스마트 팔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팔찌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120b)는, 몸체(2810), 체결부(2820), 내주면(2830) 등의 위치에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2810)에 가속도 센서, 움직임 센서, 위치 검출 모듈 등이 배치되거나, 체결부(2820)에 체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도전 센서, 홀센서, 자기 센서 등이 배치되거나, 내주면(2830)에 온도 센서, 심박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a, 110b)의 처리부(210)는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때, 확인 가능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고려한다.
처리부(210)는 확인 가능 장치가 존재하면(S2902), 확인 가능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확인 가능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902), 처리부(210)는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고(S2906),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2908).
도 29의 실시예는 예를 들면, S814, S1112, S1414, S1504, S1510, S1610 단계에서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때, 설정된 우선 순위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확인 가능 장치 및 확인 불가 장치를 판단하는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확인 가능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처리부(210)는 확인 가능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만 판단하고, 확인 가능 장치가 없으면 확인 불가 상태라고 판단한다. 확인 가능 장치는 손에 들고 있는 장치, 차량 거치대에 거치되고 네비게이션 실행 중이지 않은 장치, 음악 재생중인 장치, 대화 중인 장치, 시선이 검출되는 장치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확인 불가능한 상태에 속하는지 여부는 판단하지 않는다.
장치의 하우징에 구비된 압력 센서에서 기준 레벨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고, 움직임이 있는 경우, 손에 들고 있는 장치라고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지문이 인식된 경우, 체온이 감지된 경우 등에 손에 들고 있는 장치라고 판단될 수 있다.
차량 거치대와 결합 여부는, 차량 거치대와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결합 부분에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거치대와 접촉 또는 체결되는 전자 장치(110)의 하우징 부분에 구비된 자기 센서, 홀 센서, 도전 센서, 압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 거치대와 결합 여부를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량 거치대의 전극과,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전극과의 접촉을 검출하여, 또는 전극을 통한 신호 교환을 통해,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가 차량 거치대에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음악 재생중인 경우는,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을 통해 알 수 있다.
대화 중인 경우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외부 음성을 입력 받고, 음성의 일정한 패턴을 인식하여, 대화 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인물의 반복적인 음성을 감지하여 대화 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시선 검출은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표시부 주변에 배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눈을 검출함에 의해, 시선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시선을 검출하는 방법은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는 표시부(3120)와 표시부(3120)가 향하는 면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31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의 처리부(2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처리부(610)는 카메라(3110)을 이용하여 표시부(3120)가 향하는 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10)를 이용해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눈을 검출하여, 시선이 해당 장치를 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의 시선이 전자 장치(110)를 향하고 있고, 웨어러블 장치(120)를 향하고 있지 않음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확인 불가능한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확인 불가능한 장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확인 가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처리부(210)는 확인 가능 경우에 속하는지 여부는 판단하지 않는다. 처리부(210)는 예를 들면, 운전 중인 경우, 이동 중인 경우, 영화관에 있는 경우, 장치의 모드가 방해 금지 모드 또는 에어플레인 모드인 경우, 통화 중인 경우, 가방/주머니에 있는 경우 등에 확인 불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운전 중인 경우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반지, 스마트 팔찌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반지, 스마트 팔찌에서 핸들을 조작하는 움직임이 검출되면 운전 중인 경우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 중인 경우, 처리부(210)는 운전 중인 경우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의 카메라에서 자동차 전면 유리를 통해 보이는 영상, 자동차 계기판, 사이드 미러의 영상 등이 검출되면 운전중인 경우가 검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의 불규칙적인 움직임과 위치 이동이 함께 검출되면, 이동 중인 경우라고 판단될 수 있다.
기준값 이하의 조도와, 영화관에 있는 것으로 위치 검출 모듈에서 검출되면, 영화관에 있는 경우라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의 카메라에서 영화관의 영상이 촬영되면 영화관에 있는 경우라고 판단될 수 있다.
방해 금지 모드, 에어플레인 모드 등은 장치에서 설정된 모드를 통해 알 수 있다.
통화중인 경우는, 장치에서 실행중인 기능을 검출하여 알 수 있다.
조도 센서에서 검출된 조도가 기준 레벨 이하이고, 근접 센서에서 장치 주변에 근접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가방/주머니에 있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확인 가능 상태에 속하는 경우들 및 확인 불가 상태에 속하는 경우들을 검출하고,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으면, 확인 가능 여부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S3202), 전자 장치(110)가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S3204), 알림을 제공하지 않는다(S3206).
방해 금지 모드는, 사용자가 알림을 받지 않기로 설정한 모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해 금지 모드에서 전화를 포함한 모든 알림 이벤트 대한 알림을 생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해 금지 모드에서 전화에 대한 알림은 제공하고, 전화 이외의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은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을 생략한 경우(S3206), 알림 이벤트의 내용을 전자 장치(110)가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전자 장치(110)의 화면을 켜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방해 금지 모드가 아닌 경우(S3204), 처리부(210)는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기준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고(S3208),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3210).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3302),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4). 전자 장치(110)의 처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가 방해 금지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장치가 있는 경우(S3304),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장치를 제외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3306).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가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10)를 제외하고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웨어러블 장치(120)는 제외하고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방해 금지 모드로 설정된 장치가 없는 경우(S3304),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를 대상으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3310).
알림을 제공할 장치가 결정되면,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요청한다(S3308).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3402),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배터리가 부족한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4). 배터리가 부족한 상태라 함은, 배터리 잔량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기준 레벨은 장치마다 같게 설정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처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가 배터리 부족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장치에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가 부족한 장치가 있는 경우(S3404), 배터리가 부족한 장치를 제외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3406).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가 배터리가 부족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110)를 제외하고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배터리가 부족한 웨어러블 장치(120)는 제외하고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배터리가 부족한 장치가 없는 경우(S3404),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를 대상으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3410).
알림을 제공할 장치가 결정되면,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요청한다(S3408).
도 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3502),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1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4). 전자 장치(110)의 처리부(210)는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12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웨어러블 장치(120)와 통신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S3504),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10) 및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120) 중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고(S3506),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요청한다(S3508).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120)가 없는 경우(S3504), 전자 장치(110)가 알림을 제공한다(S3510).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상태를 고려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 및 120-3)과 통신 가능하게 동작하는 동안,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제3 웨어러블 장치(120-3)가 전자 장치(110)와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제3 웨어러블 장치(120-3) 또는 전자 장치(110)에서 제3 웨어러블 장치(120-3)와 전자 장치(110)의 통신을 해제할 것을 설정하는 경우 등에 통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우선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 120-3)의 통신 상태를 점검함에 의해, 통신 상태를 고려하지 않아 알림이 요청이 실패하거나, 알림을 제공할 장치의 결정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S3702), 알림 이벤트의 종류를 판단하여(S3704), 해당 알림 이벤트에 대해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결정된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706). 예를 들면, 전화는 무조건 전자 장치(110) 및 스마트 워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알림 이벤트에 대해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결정된 장치가 존재하면(S3706), 미리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3712).
해당 알림 이벤트에 대해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결정된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3706),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고(S3708),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3710).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이벤트에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가 미리 결정되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화의 경우 전자 장치(110) 및 스마트 워치(120)에 알림을 제공하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통신이 끊긴 경우, 전자 장치(110)로 어떤 장치의 통신이 끊겼는지 알려주는 알림을 제공하고, 배터리 부족 장치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110) 및 배터리 부족 장치로 배터리가 부족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도 32, 33, 34, 35, 37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알림 이벤트가 발생되면, 앞서 설명한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 상태인지 여부, 사용중인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 확인 가능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 등의 기준에 비해 우선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37의 실시예에 따라 알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설정된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 35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 32 또는 33의 실시예에 따라 방해 금지 모드에 대해 판단하고, 도 34에 따라 배터리 부족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우선 순위에 따라 판단하되, 모든 판단 기준을 모두 적용할 필요는 없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설정된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의 판단으로 인한 처리 로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도 35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 37의 실시예에 따라 알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미리 설정된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 32 또는 33의 실시예에 따라 방해 금지 모드에 대해 판단하고, 도 34에 따라 배터리 부족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우선 순위에 따라 판단하되, 모든 판단 기준을 모두 적용할 필요는 없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실패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도 32, 33, 34, 35, 37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순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은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를 검출하고(S3902),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를 검출한 후(S3904),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식을 결정한다(S3906).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식을 결정한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따라 알림의 방식도 함께 고려함에 의해, 사용자가 알림을 바로 확인할 확률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식이 결정되면,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을 요청한다(S3908).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또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대해 설정된 알림 방식이 있는 경우, 설정된 알림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된 알림 방식은 이벤트 종류에 따라서 달리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설정된 알림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S4002), 처리부(210)는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설정된 알림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4004).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설정된 알림 방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부(21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결정하고(S4006),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결정된 알림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4008).
알림의 방식을 결정하는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면, 알림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결정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알림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하는 등의 기준을 포함한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에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든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의 알림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S4102).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120-1)의 알림 방식은 소리로 설정하고,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은 오프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의 알림 방식이 설정되면(S4102), 설정된 알림 방식을 알림 방식이 변경된 웨어러블 장치에 통지한다(S4104).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에서 스마트 글래스(120-1)의 알림 방식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은 변경된 경우, 알림 방식이 변경된 스마트 워치(120-2)에 알림 방식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방식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웨어러블 장치(120-1 또는 120-2)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S4106, S4108).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웨어러블 장치에서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을 설정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이 설정되면(S4202), 해당 웨어러블 장치(120)는 설정된 알림 방식을 전자 장치(110)로 통지할 수 있다(S4204).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120)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120)의 알림 방식을 진동으로 설정한 경우(S4204), 스마트 워치(120)는 스마트 워치(120)의 알림 방식이 진동으로 설정되었다는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통지한다(S4204). 전자 장치(110)는 스마트 워치(120)로부터 스마트 워치(120)의 알림 방식이 진동으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스마트 워치(120)의 알림 방식이 진동 방식이라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4206).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 방식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을 제공할 장치가 결정되면, 처리부(210)는 알림을 제공할 장치가 소리 알림을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2). 여기서 소리 알림을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상황이라 함은, 주변이 시끄러워서 사용자가 소리 알림을 인지할 가능성이 낮거나, 소리 알림을 제공하는 경우 방해가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소리 알림을 제공하는 경우 방해가 되는 상황은 예를 들면 강의 중, 영화관 등의 상황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리 알림이 부적합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는,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의 중인지, 영화관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스마트 글래스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전자 장치(110)의 처리부(210) 또는 스마트 글래스가 스마트 글래스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황을 인식하고, 강의중인 경우, 처리부(210)가 전자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가 모두 소리 알림이 부적합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소리 알림을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상황이 아닌 경우(S4302), 처리부(210)는소리 알림을 포함하여 알림 방식을 결정한다(S4304). 소리 알림을 제공하기에 부적합한 상황인 경우(S4302), 처리부(210)는 소리 알림을 제외하고 알림 방식을 결정한다(S4306).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 알림이 부적합한 상황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소음이 기준 레벨 이상이 경우, 강의 중인 경우, 영화관인 경우 등에 소리 알림이 부적합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처리부(210)는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음을 입력 받고, 그 레벨을 판단하여, 소음이 기준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강의 중인지 여부, 영화관인지 여부는, 스마트 글래스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황을 인식하여 알 수 있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식이 미리 결정된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10)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5는 스마트 워치(120)와 전자 장치(110)를 함께 이용 중인 경우, 전화 이외의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법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준의 일례이다.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하우징에 구비된 압력 센서에서 기준 레벨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고, 테이블 위에 놓아둔 경우가 아니며, 주머니/가방에 있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손에 들고 있는 경우라고 판단할 수 있다.
테이블 위에 놓아 둔 경우는, 중력 방향에 수직인 가속도가 검출되고,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이다.
도 46은 스마트 워치(120)와 전자 장치(110)를 함께 이용 중인 경우, 전자 장치(110)와 스마트 워치(120)의 통신이 끊긴 경우의 알림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 알림의 방법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준의 일례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장치가 알림을 제공한 경우(S4702), 한 장치에서 알림이 확인되면(S4704), 알림이 확인된 장치가 알림이 확인되었다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S4706), 알림이 제공된 나머지 장치들에서 알림을 해제한다(S4708).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알림이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장치(110, 120-1, 120-2)가 알림을 제공한 경우, 한 장치에서 알림이 확인되면, 알림이 확인된 장치가 전자 장치(110)에 알림이 확인됨을 통지하고, 전자 장치(110)가 알림이 제공된 나머지 장치들에 알림의 해제를 요청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 알림이 제공되었는데,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서 알림이 확인된 경우(S4802),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전자 장치(110)에 알림이 확인됨을 통지한다(S4804). 전자 장치(110)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로부터 알림이 확인되었다는 통지를 받으면(S4804), 제2 웨어러블 장치(120-2) 및 전자 장치(110) 이외에 알림이 제공된 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장치가 있다면, 해당 장치에 알림의 해제를 요청한다(S4806). 도 48에서는 전자 장치(110)가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 알림의 해제를 요청한다(S4806). 다음으로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와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이 해제된다(S4808), S4810).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장치(110, 120-1, 120-2)가 알림을 제공한 경우, 한 장치에서 알림이 확인되면, 알림이 확인된 장치가 모든 장치에 또는 알림이 제공된 다른 장치에 알림이 확인됨을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 알림이 제공되었는데,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서 알림이 확인된 경우(S4902),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전자 장치(110) 및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 알림이 확인됨을 통지한다(S4904). 전자 장치(110) 및 제1 웨어러블 장치(120-1)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로부터 알림이 확인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고, 알림을 해제한다(S4906, S4908).
도 5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장치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알림을 제공할 장치의 결정 또는 알림 방식의 결정을 전자 장치(110)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 120-3)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모두 전자 장치(110)로 전송되고, 전자 장치(110)에서 수신된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 120-3)의 상태에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발생될 수 있다(S5102, S5104). 만약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S1504), 웨어러블 장치(120)가 전자 장치(110)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통지한다(S5106). 전자 장치(110)는 알림 이벤트가 통지된 시점에 또는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5108).
전자 장치(110)는 전자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S5110). 만약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5112). 다음으로 전자 장치(110)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한다(S5114, S5116).
도 5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은 도 51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체화된 일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심박수를 모니터링하는 중, 심박수가 증가되어 알림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S5202), 웨어러블 장치(120)는 심박수 증가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전자 장치에 통지한다(S5204).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심박수가 증가하였다는 이벤트를 통지 받으면, 어느 장치에서 어떤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지 결정한다(S5206).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전자 장치(110)에서 화면 켜짐, 소리, 및 메시지 표시의 방식으로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110)는 결정된 방식에 따라 알림을 제공한다(S5208).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추가적으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다른 장치에서 제공하기로 결정하였다는 통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가 전자 장치(110)에게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10)는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는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S5302, S5306),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5304, S5308).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구조가 체결된 상태인지 여부, 움직임 검출에 대한 정보, 생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가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장치(120)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와의 통신이 수립되면,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의 변화가 검출되면(S5302, S5306),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상태에 대한 정보의 변화값을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S5304, S5308).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의 통신이 수립된 때에, 웨어러블 장치(12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10)로 전송되고, 이후에 상태에 대한 정보가 변화될 때마다, 웨어러블 장치(120)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기준 값 이상 변화된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120)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박수에 대한 정보는 10%이상 변화된 경우에만, 웨어러블 장치(120)가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면(S5310), 저장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S5312),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의 방식을 결정한다(S5314). 전자 장치(1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실시예들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출되거나,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 검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S5316),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S5316), 웨어러블 장치(120)는 알림 요청이 수신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S5320).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을 제공한다(S5318).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없이 바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하여 알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알림이 지연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 전자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공유한다.
전자 장치(110)는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면(S5402),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5404).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상태에 대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를 검출하여(S5408),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S5410). 또한 전자 장치(110)는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면(S5402), 전자 장치(1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S5406).
전자 장치(110)는 전자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면, 이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의 방식을 결정한다(S5412).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5414). 웨어러블 장치(120)는 알림 요청이 수신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S5418).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장치(110)가 알림을 제공한다(S5416).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에만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태 검출로 인한 로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에서 어느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지를 결정한다. 도 55에서는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동작하는 중에,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한다.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S5502),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5506). 상태 정보의 획득(S5504) 시점은 실시예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 또는 다른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S5508). 전자 장치(110)는 알림 요청을 수신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S5510). 웨어러블 장치(120)는 해당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알림을 제공한다(S5512).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의 로드가 감소되고, 장치들 사이의 통신으로 인한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체화된 일례를 나타낸다.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심박수를 모니터링하는 중, 심박수가 증가되었음을 알려야 하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S5602), 심박수 증가의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기초하여, 어느 장치에 알림을 제공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S5604). 만약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S5604),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로 알림 요청을 전송한다(S5606).
전자 장치(110)는 알림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알림 요청의 내용에 기초하여, 심박수가 증가하였다는 알림을 제공한다(S5608). 예를 들면, 알림 요청이 알림 방식으로 화면 켜짐, 소리, 심박수 증가 메시지 표시의 방법을 지정하는 경우,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가 출력되며 심박수 증가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 57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가 각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도 57a에서는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장치(110),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상태를 검출하여(S5702, S5706, S5710), 다른 장치들에 검출된 상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S5704, S5708, S5712)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의 검출 및 브로드캐스팅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의 검출 및 브로드캐스팅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전자 장치(110),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순으로 상태 검출 및 브로드캐스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의 검출 및 브로드캐스팅은 상태 정보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어러블 장치(120-1)는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의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만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의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만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는 전자 장치(110)의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만 전자 장치(110)의 변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의 착탈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의 착탈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브로트캐스팅 외에 유니캐스팅, 멀티캐스팅 등의 다른 형태의 전송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심박수가 기준 레벨 이상 변화된 경우,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심박수에서 검출된 심박수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10) 및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20)가 스마트 워치인 경우에,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워치의 버클에 구비된 센서(예를 들어, 도전 센서, 홀 센서, 자기 센서 등)를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버클의 연결 상태를 센싱하거나, 스마트 워치 내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움직임을 센싱하거나, 스마트 워치 내의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스마트 워치의 착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워치의 착용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20)가 스마트 글래스인 경우에, 스마트 글래스는, 스마트 글래스의 안경테에 배치된 터치 센서, 안경 다리에 배치된 터치 센서, 안경 다리 중에서 관자 놀이와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된 맥박 센서, 코받침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및 안경알에 배치된 홍채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값에 기초하여, 스마트 글래스의 착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는 스마트 글래스의 착용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20)가 이어폰인 경우에, 이어폰은, 이어폰의 외주부에 배치된 심박 센서 및 울림판에 배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센싱 값에 기초하여, 이어폰의 착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은 이어폰의 착용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20)가 스마트 신발인 경우에, 스마트 신발은, 스마트 신발의 깔창에 배치된 심박 센서, 온도 센서, 땀 센서 및 압전 센서, 및 스마트 신발의 몸체, 밑창 및 깔창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 움직임 센서, 및 위치 검출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센싱 값에 기초하여, 스마트 신발의 착용 상태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신발은 스마트 신발의 착용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용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120)가 착용 상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12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20)는 웨어러블 장치(120)가 사용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웨어러블 장치(120)에서 실행 중인 동작에 관한 정보 등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중 하나에서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면(S5714),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5716). 만약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되면(S5714), 제1 웨어러블 장치(120-1)가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5716).
만약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 이외의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는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알림 요청을 전송한다(S5718, S5720).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알림 요청을 수신하면 알림을 제공한다(S5722, S5726).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 제1 웨어러블 장치(120-1)는 알림을 제공한다(S5724).
도 57b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 전자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공유하고,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도 57b에서는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중 하나에서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면(S5802), 알림 이벤트를 검출한 장치는 다른 장치들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5804). 만약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되면(S5802), 제1 웨어러블 장치(120-1)는 전자 장치(110)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 상태 정보의 요청을 전송한다(S5804, S5806).
상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장치는, 상태를 검출하여(S5808, S5812),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로 전송한다(S5814, S5816). 또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는 자신의 상태를 검출한다(S5810).
알림 이벤트가 검출된 제1 웨어러블 장치(120-1)는 전자 장치(110) 및 제2웨어러블 장치(120-2)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전자 장치(110), 제1 웨어러블 장치(120-1), 및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의 상태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S5818).
만약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 이외의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는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 알림 요청을 전송한다(S5820, S5822). 전자 장치(110) 또는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알림 요청을 수신하면 알림을 제공한다(S5824, S5828). 제1 웨어러블 장치(120-1)에서 알림을 제공하기로 결정된 경우, 제1 웨어러블 장치(120-1)는 알림을 제공한다(S5826).
도 5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580) 및 스마트 글래스(582)의 착용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스마트 워치(580) 및 스마트 글래스(582)가 착용 상태 변경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580)를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탈거하면, 스마트 워치(580)는 스마트 워치(580)가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580)는 스마트 워치(580)의 버클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580)의 버클이 분리됨을 판단하고, 스마트 워치(580)에 배치된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580)는 버클이 분리된 이후에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바이오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580)가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탈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580)가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580)는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탈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글래스(582)를 벗으면, 스마트 글래스(582)는 스마트 글래스(582)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582)는 사용자가 스마트 글래스(582)의 안경 다리를 잡는 것을 인식하면, 스마트 글래스(582)의 안경 다리에 배치된 맥박 센서를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582)는 사용자의 맥박이 감지되지 않으면 스마트 글래스(582)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탈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582)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글래스(582)는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탈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에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든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의 알림 방식을 설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110)는 알림 방식이 설정되면, 모든 장치들에 대한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를 모든 장치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에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든 웨어러블 장치들(120-1, 120-2)의 알림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S5902).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마트 글래스(120-1)의 알림 방식은 소리로 설정하고,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은 오프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의 알림 방식이 설정되면(S5902), 설정된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를, 모든 웨어러블 장치(120-1, 120-2)로 전송한다(S5904).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에서 스마트 글래스(120-1)에 대한 알림 방식은 변경되지 않고, 스마트 워치(120-2)에 대한 알림 방식만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워치(120-1) 및 스마트 워치(120-2)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알림 방식이 변경된 장치에는 알림 방식을 설정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장치는,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S5906, S5908). 만약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가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인 경우, 수신된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에서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이 변경되어 설정된 경우,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 글래스(120-1) 및 스마트 워치(120-2)로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 워치(120-2)는 알림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 방식을 변경하거나, 전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알림 방식을 설정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알림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S5908).
도 6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알림의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웨어러블 장치에서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을 설정하고, 해당 장치에서 설정된 알림 방식을 전자 장치(110) 및 다른 웨어러블 장치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웨어러블 장치(120-2)에서 해당 장치의 알림 방식이 설정되면(6002), 제2 웨어러블 장치(120-2)는 설정된 알림 방식을 전자 장치(110) 및 다른 웨어러블 장치(120-1)로 브로드캐스팅한다(S6004). 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120-2)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을 진동으로 설정한 경우(S6002), 스마트 워치(120-2)는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이 진동으로 설정되었다는 정보를 스마트 글래스(120-1) 및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S6004). 스마트 글래스(120-1)는 스마트 워치(120-2)로부터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이 진동으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이 진동 방식이라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6006). 또한, 전자 장치(110)는 스마트 워치(120-2)로부터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이 진동으로 설정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스마트 워치(120-2)의 알림 방식이 진동 방식이라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6008).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6110),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서버(6110)가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의 상태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611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6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하나에서 알림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S6202),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서버(6110)로 통지한다(S6204). 서버(6110)는 알림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6206).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는 상태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상태를 해당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고(S6208, S6210), 해당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6212, S6214).
서버(6110)는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각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의 방식을 결정한다(S6216).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의 방식이 결정되면(S6216), 서버(6110)는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의 요청을 전송한다(S6218).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알림의 요청을 수신한 장치는, 알림을 제공한다(S6220, S6222).
도 6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가 각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6110)로 전송하고,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버(6110)에서 수신되어 저장된 각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를 결정한다. 도 63에서는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는 상태를 검출하여(S6302, S6306), 서버(6110)로 각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630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의 검출 및 전송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의 검출 및 전송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의 검출 및 전송은 상태 정보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상태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의 착탈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버(6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하나에서 알림 이벤트가 검출되면(S6310),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서버(6110)에 통지한다. 만약 전자 장치(110)에서 알림 이벤트가 발생되면(S6310), 전자 장치(110)는 서버(6110)에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통지한다(S6312).
서버(6110)는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각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의 방식을 결정한다(S6314).
알림을 제공할 장치 또는 알림의 방식이 결정되면(S6314), 서버(6110)는 알림을 제공할 것으로 결정된 장치에 알림의 요청을 전송한다(S6316).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중 알림의 요청을 수신한 장치는, 알림을 제공한다(S6318, S6320).
도 6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는 서로 알림 이벤트의 통지, 상태에 대한 정보 요청, 상태에 대한 정보, 알림 요청 등의 신호들을 서로 교환한다. 이와 같은 신호들의 교환은 전자 장치(110)의 통신부(230, 도 2 참조) 및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의 통신부(63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통신은, 장치들 간의 통신에 이용되는 통신 표준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 사이의 통신은 전자 장치(11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는 다른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가 BLE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하고,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120-2, 120-3)는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역할을 하는 전자 장치(110)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 전자 장치(110)를 대신해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 중 하나가 마스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는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6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1, 120-2, 120-3)는 일부 장치와만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들 간에 통신 방식 다른 경우, 거리 등의 문제로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장치에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용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10) 및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의 운영체제 또는 프로토콜이 상이한 경우, 전자 장치(110)와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 간에 신호를 전송할 때, 신호를 수신할 장치의 운영체제에 따라 신호의 형식을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의 운영체제가 상이한 경우, 전자 장치(110)에서 상태 요청, 알림 요청 등의 신호를 생성하고(S6702), 웨어러블 장치(120)의 운영체제 또는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형식을 변환할 수 있다(S6704). 전자 장치(110)는 변환된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20)로 전송한다(S6706). 웨어러블 장치(12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변환할 수 있다(S6708).
상기 신호는 알림 이벤트의 통지, 상태에 대한 정보 요청, 상태에 대한 정보, 알림 요청 등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문서,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와 웨어러블 장치(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의 변환 동작(S6704 또는 S6708)은 전자 장치(11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6814, 683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운영체제(6810)에 구비된 알림 메니저(6812)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장치 및/또는 알림 방식을 결정하고 알림을 제공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알림 메니저(6812)는 알림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6814)를 통해 알림 요청을 상기 어플리케이션(6820)으로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6820)은 API(6814)를 통해 전달된 제어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20)의 운영체제 또는 프로토콜에 따라 제어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어플리케이션(6820)은 변환된 제어신호를 통신부(23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20)의 통신부(630)로 전송한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통신부(630)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6840)으로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6840)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해 변환이 필요한 경우, 변환을 수행한 후 API(6834)로 전달하고, 변환이 필요 없는 경우, 바로 수신된 제어신호를 API(6834)로 전달한다.
API(6834)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알림 메니저(6832)로 전달한다. 알림 메니저(6832)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알림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웨어러블 장치(120)로부터 전자 장치(110)로 알림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알림 메니저(6821), API(6834), 어플리케이션(6840), 및 통신부(630)를 거쳐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 전자 장치(110)는 통신부(230)에서 수신된 알림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어플리케이션(6820), API(3814)를 통해 알림 메니저(6812)에서 수신하고, 알림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 및 웨어러블 장치(120)는 처음으로 통신이 수립되었을 때 또는 처음으로 전자 장치(110)에 웨어러블 장치(120)가 등록되었을 때, 알림 방식에 대한 미리 결정된 기준(예를 들면 도 45, 도 46의 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알림과 관련된 설정값들을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0)는 처음으로 통신이 수립되었을 때, 웨어러블 장치(120)로 도 45, 도 46에 도시된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의 알림 메니저(6812) 및 웨어러블 장치(120)의 알림 메니저(6832)는 공유된 알림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도 6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9에 도시된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구성은 도 2 및 도 20의 전자 장치(110a, 110b) 및 도 6 및 도 21의 웨어러블 장치(120a, 120b)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구성은,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9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는 디스플레이부(6910), 제어부(6970), 메모리(6920), GPS 칩(6925), 통신부(6930), 비디오 프로세서(6935), 오디오 프로세서(6940), 사용자 입력부(6945), 마이크부(6950), 촬상부(6955), 스피커부(6960), 움직임 감지부(69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910)는 표시패널(6911) 및 표시 패널(69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69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6911)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910)는 사용자 입력부(6945)의 터치 패널(6947)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6911)과 터치 패널(6947)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92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6970)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97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920)는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동작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920)에는 잠금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970)는 메모리(69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부(691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69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어부(6970)는 메모리(6920)에 저장된 컨텐츠의 일부를 디스플레이부(69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6970)는 디스플레이부(6910)의 일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970)는 RAM(6971), ROM(6972), CPU(6973), GPU(Graphic Processing Unit)(6974) 및 버스(69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6971), ROM(6972), CPU(6973) 및 GPU(6974) 등은 버스(697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6973)는 메모리(692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69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69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697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는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6973)가 ROM(697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6920)에 저장된 OS를 RAM(697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6973)는 메모리(69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6971)에 복사하고, RAM(697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6974)는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6910)의 영역에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6974)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6974)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6974)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6974)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691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6910)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GPS 칩(6925)은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6970)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나 그 밖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필요할 경우에, GPS 칩(6925)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693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6930)는 와이파이칩(6931), 블루투스 칩(6932), 무선 통신 칩(6933), NFC 칩(69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970)는 통신부(693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6931), 블루투스 칩(69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6931)이나 블루투스 칩(693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69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693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비디오 프로세서(6935)는 통신부(69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69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693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6940)는 통신부(693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또는, 메모리(692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694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697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비디오 프로세서(6935) 및 오디오 프로세서(6940)를 구동시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6960)는 오디오 프로세서(6940)에서 생성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945)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945)는 키(6946), 터치 패널(6947) 및 펜 인식 패널(69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6946)는 전자 장치(69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694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6947)이 표시 패널(6911)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6948)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6948)은, 예로, EM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펜 인식 패널(6948)은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6948)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펜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인식 패널(6948)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6948)은 표시 패널(691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어, 표시 패널(691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6950)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6970)는 마이크 부(69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 동작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692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상부(6955)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부(6955)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상부(6955) 및 마이크부(6950)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6970)는 마이크부(69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촬상부(6955)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6970)는 촬상부(695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6970)는 마이크부(69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6965)는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본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6965)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및 각도, 기울기 등과 같은 움직임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69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는,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 내에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USB 포트나,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DMB 칩, 다양한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10c) 및 웨어러블 장치(120c)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9의 제어부(6970)는 전자 장치(110a, 110b)의 처리부(2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a, 120b)의 처리부(61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9의 통신부(6930)는 전자 장치(110a, 110b)의 통신부(23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a, 120b)의 통신부(63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9의 디스플레이부(6910) 및 스피커부(6960)는 전자 장치(110a, 110b)의 알림 제공부(22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a, 120b)의 알림 제공부(6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9의 터치 패널(6947), 마이크부(6950), 촬상부(6955), 및 움직임 감지부(6965)는 전자 장치(110b)의 센서부(2010) 및 웨어러블 장치(120b)의 센서부(21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110a, 110b, 110c: 전자 장치
120, 120a, 120b, 120c: 웨어러블 장치
210: 처리부
220: 알림 제공부
230: 통신부
610: 처리부
620: 알림 제공부
630: 통신부
2010: 센서부
2110: 센서부

Claims (1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을 통해 알림을 제공하도록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중 제1 웨어러블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림이 확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를 제외한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다른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확인되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제2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알림이 상기 전자 장치에서 확인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의 상태에 관련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의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7.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을 통해 알림을 제공하도록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중 제1 웨어러블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림이 확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웨어러블 장치를 제외한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다른 장치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확인되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는 요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상기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제2 알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이 상기 전자 장치에서 확인되었다고 판단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로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의 상태에 관련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웨어러블 장치 각각의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20220101591A 2014-05-23 2022-08-12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5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670A KR20230112591A (ko) 2014-05-23 2023-07-12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2622 2014-05-23
KR1020140062622 2014-05-23
KR1020150018873A KR102433619B1 (ko) 2014-05-23 2015-02-06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873A Division KR102433619B1 (ko) 2014-05-23 2015-02-06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670A Division KR20230112591A (ko) 2014-05-23 2023-07-12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563A KR20220119563A (ko) 2022-08-30
KR102556493B1 true KR102556493B1 (ko) 2023-07-18

Family

ID=545542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873A KR102433619B1 (ko) 2014-05-23 2015-02-06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220101591A KR102556493B1 (ko) 2014-05-23 2022-08-12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230090670A KR20230112591A (ko) 2014-05-23 2023-07-12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873A KR102433619B1 (ko) 2014-05-23 2015-02-06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670A KR20230112591A (ko) 2014-05-23 2023-07-12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009873B2 (ko)
EP (3) EP3146796B1 (ko)
KR (3) KR102433619B1 (ko)
CN (7) CN106465458B (ko)
AU (3) AU2014394452B2 (ko)
RU (2) RU2658794C1 (ko)
WO (2) WO2015178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4414B1 (en) 2013-07-19 2019-08-27 Kabam, Inc. Facilitating automatic execution of user interactions in a virtual space
CN106465458B (zh) * 2014-05-23 2019-12-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提供通知的方法和设备
KR101645087B1 (ko) * 2014-07-10 2016-08-02 아이리텍 잉크 홍채인식용 착용 감지 기능을 가진 손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보안강화세트 및 그 제어방법
TWI547826B (zh) 2014-10-14 2016-09-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穿戴式電子裝置間之通知管理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US10139551B2 (en) 2014-11-14 2018-11-27 Rohinni, LLC Electronic device with light-generating sources to illuminate an indicium
US10475358B2 (en) 2014-11-14 2019-11-12 Rohinni, LLC Indicium illumination by light-generating sources
USD760738S1 (en) * 2015-01-15 2016-07-05 SkyBell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15003181A1 (de) * 2015-03-12 2016-09-15 Man Truck & Bu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Nutzfahrzeugs
CN104703148A (zh) * 2015-03-16 2015-06-10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反馈信息的方法及装置
CN104841130A (zh) * 2015-03-19 2015-08-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手表以及体感游戏运行系统
EP3280153B1 (en) * 2015-04-03 2020-03-11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CN105260015B (zh) * 2015-09-23 2017-09-1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智能终端脱落的方法及装置
US20180206281A1 (en) * 2015-10-10 2018-07-19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wearable device display information
US9854529B2 (en) * 2015-12-03 2017-12-26 Google Llc Power sensitive wireless communication radio management
US10827320B2 (en) * 2015-12-04 2020-11-03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user is in physical contact with device
CN105677490A (zh) * 2015-12-18 2016-06-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通知事件的方法及电子设备
US10300379B1 (en) 2015-12-28 2019-05-28 Electronic Arts Inc. Facilitating contextual game notifications and smart action options
US11657310B2 (en) * 2016-01-06 2023-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iation Utilizing stochastic controller to provide user-controlled notification rate of wearable-based events
US9912799B2 (en) * 2016-01-10 2018-03-06 Apple Inc. Switching between watches or other accessories
US10286322B1 (en) 2016-01-25 2019-05-14 Electronic Art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executing actions in an online game
KR102483836B1 (ko) * 2016-02-19 202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20039B2 (en) 2016-02-22 2017-11-14 Sonos, Inc. Default playback devices
US10095470B2 (en) 2016-02-22 2018-10-09 Sonos, Inc. Audio response playback
US9947316B2 (en) 2016-02-22 2018-04-17 Sonos, Inc.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US10264030B2 (en) 2016-02-22 2019-04-16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 control
US9811314B2 (en) 2016-02-22 2017-11-07 Sonos, Inc. Metadata exchange involving a networked playback system and a networked microphone system
US9965247B2 (en) 2016-02-22 2018-05-08 Sonos, Inc. Voice controlled media playback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US10475144B2 (en) 2016-02-26 2019-1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context-based guidance using electronic signs
US10469997B2 (en) * 2016-02-26 2019-1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a wireless signal based on context
WO2017149526A2 (en) 2016-03-04 2017-09-08 May Patents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usage of multiple distance meters
CN105812250A (zh) * 2016-05-11 2016-07-27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向可穿戴设备推送消息的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9478386A (zh) 2016-05-31 2019-03-15 罗茵尼公司 多功能照明设备
US9978390B2 (en) 2016-06-09 2018-05-22 Sonos, Inc.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CN106210011A (zh) * 2016-06-30 2016-12-07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提醒方法及装置
US10134399B2 (en) 2016-07-15 2018-11-20 Sonos, Inc. Contextualization of voice inputs
US10152969B2 (en) 2016-07-15 2018-12-11 Sonos, Inc.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JP6727976B2 (ja) * 2016-08-01 2020-07-22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メール受信通知システム、メール受信通知方法、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10115400B2 (en) 2016-08-05 2018-10-30 Sonos, Inc. Multiple voice services
US10349259B2 (en) * 2016-09-23 2019-07-09 Apple Inc. Broadcasting a device st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942678B1 (en) 2016-09-27 2018-04-10 Sonos, Inc.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US9743204B1 (en) 2016-09-30 2017-08-22 Sonos, Inc. Multi-orientation playback device microphones
US10181323B2 (en) 2016-10-19 2019-01-15 Sonos, Inc. Arbitration-based voice recognition
CN106658376A (zh) * 2016-12-23 2017-05-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事件共享方法及装置
TWI725097B (zh) 2016-12-27 2021-04-2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偵測生理資訊之穿戴式裝置
CN108498069A (zh) * 2017-02-23 2018-09-07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及其紧急求救方法
JP6795437B2 (ja) * 2017-03-24 2020-12-02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イベント送受信システム
US11183181B2 (en) 2017-03-2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multiple voice services
CN107007272A (zh) * 2017-04-21 2017-08-04 祁守岗 一种智能手环及其使用方法
CN111052198A (zh) 2017-06-05 2020-04-21 西提弗耶德公司 停放物体检测系统
CN107302630A (zh) * 2017-06-15 2017-10-27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信息提示方法和装置
US10475449B2 (en) 2017-08-07 2019-11-12 Sonos, Inc.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US11190374B2 (en) 2017-08-28 2021-11-30 Bright Data Lt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ent fetching by selecting tunnel devices
EP4199479A1 (en) 2017-08-28 2023-06-21 Bright Data Ltd. Improving content fetching by selecting tunnel devices grouped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US10048930B1 (en) 2017-09-08 2018-08-14 Sonos, Inc.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US10446165B2 (en) 2017-09-27 2019-10-15 Sonos, Inc. Robus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coustic echo cancellation during audio playback
US10482868B2 (en) 2017-09-28 2019-11-19 Sonos, Inc.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10621981B2 (en) 2017-09-28 2020-04-14 Sonos, Inc. Tone 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466962B2 (en) 2017-09-29 2019-11-05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voice assistance
US10880650B2 (en) 2017-12-10 2020-12-29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s with automatic do not disturb actuation capabilities
US10818290B2 (en) 2017-12-11 2020-10-27 Sonos, Inc. Home graph
WO2019152722A1 (en) 2018-01-31 2019-08-08 Sonos, Inc. Device designation of playback and network microphone device arrangements
US10848874B2 (en) * 2018-02-20 2020-11-24 Google Llc Panel audio loudspeaker electromagnetic actuator
US10841704B2 (en) 2018-04-06 2020-11-17 Google Llc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electromagnetic actuator with axially and radially magnetized circuit
US11175880B2 (en) 2018-05-10 2021-11-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ssisted media content selection
KR102523178B1 (ko) 2018-05-17 202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847178B2 (en) 2018-05-18 2020-11-24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US10959029B2 (en) 2018-05-25 2021-03-23 Sonos, Inc. Determining and adapting to changes in microphone performance of playback devices
US10681460B2 (en) 2018-06-28 2020-06-09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with voice assistant services
US11076035B2 (en) 2018-08-28 2021-07-27 Sonos, Inc. Do not disturb feature for audio notifications
US10461710B1 (en) * 2018-08-28 2019-10-29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maximum volume setting
US10587430B1 (en) 2018-09-14 2020-03-10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based on sound codes
US10878811B2 (en) 2018-09-14 2020-12-29 Sonos, Inc.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deactivating wake-word engines
US11024331B2 (en) 2018-09-21 2021-06-01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US10811015B2 (en) 2018-09-25 2020-10-20 Sonos, Inc.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based on selected voice assistant service
US11100923B2 (en) 2018-09-28 2021-08-24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ake word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s
US11231975B2 (en) * 2018-09-29 2022-01-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udio notifications
US10692518B2 (en) 2018-09-29 2020-06-23 Sonos, Inc.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1899519B2 (en) 2018-10-23 2024-02-13 Sonos, Inc. Multiple stage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processing load
EP3654249A1 (en) 2018-11-15 2020-05-20 Snips Dilated convolutions and gating for efficient keyword spotting
RU2695499C1 (ru) * 2018-12-03 2019-07-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МАРТЛАЙ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за соблюдением правил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сотрудниками
US11183183B2 (en) 2018-12-07 2021-11-2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US11132989B2 (en) 2018-12-13 2021-09-28 Sonos, Inc. Networked microphon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localized arbitration
US10602268B1 (en) 2018-12-20 2020-03-24 Sonos, Inc. Optimization of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ing noise classification
US10867604B2 (en) 2019-02-08 2020-12-15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US11315556B2 (en) 2019-02-08 2022-04-26 Sono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by transmitting sound data associated with a wake word to an appropriate device for identification
LT3780547T (lt) 2019-02-25 2023-03-10 Bright Data Ltd. Turinio parsisiuntimo, naudojant url bandymų mechanizmą, sistema ir būdas
US11411922B2 (en) 2019-04-02 2022-08-09 Bright Data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on-direct URL fetching service
CN109976693B (zh) * 2019-04-29 2022-09-16 上海均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联动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27687A (ko)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개설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20794B2 (en) 2019-05-03 2021-09-14 Sonos, Inc. Voice assistant persistence across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11361756B2 (en) 2019-06-12 2022-06-14 Sonos, Inc. Conditional wake word eventing based on environment
US11200894B2 (en) 2019-06-12 2021-12-14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eventing
US10586540B1 (en) 2019-06-12 2020-03-10 Sonos, Inc.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conditioning
US11138975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1138969B2 (en) 2019-07-31 2021-10-05 Sonos, Inc.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US10871943B1 (en) 2019-07-31 2020-12-22 Sonos, Inc. Noise classification for event detection
US11189286B2 (en) 2019-10-22 2021-11-30 Sonos, Inc. VAS toggle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11200900B2 (en) 2019-12-20 2021-12-14 Sonos, Inc. Offline voice control
US11562740B2 (en) 2020-01-07 2023-01-24 Sonos, Inc. Voice verification for media playback
US11556307B2 (en) 2020-01-31 2023-01-17 Sonos, Inc. Local voice data processing
US11308958B2 (en) 2020-02-07 2022-04-19 Sonos, Inc. Localized wakeword verification
US20210314768A1 (en) * 2020-04-01 2021-10-07 Google Llc Bluetooth multipoint algorithm and private notifications
US11308962B2 (en) 2020-05-20 2022-04-19 Sonos, Inc.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727919B2 (en) 2020-05-20 2023-08-15 Sonos, Inc. Memory allocation for keyword spotting engines
US11482224B2 (en) 2020-05-20 2022-10-25 Sonos, Inc. Command keywords with input detection windowing
US11698771B2 (en) 2020-08-25 2023-07-11 Sonos, Inc. Vocal guidance engines for playback devices
CN112040070B (zh) * 2020-08-31 2022-09-09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结合识别用户当前使用设备的信息传输方法
US11984123B2 (en) 2020-11-12 2024-05-14 Sonos, Inc. Network device interaction by range
JP2022081342A (ja) * 2020-11-19 2022-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ガネ型情報機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11942A (zh) * 2020-11-27 2021-02-02 珠海读书郎网络教育有限公司 一种电话手表的来电接听方法
CN112731176A (zh) * 2021-01-08 2021-04-30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电量提示方法、装置、可穿戴按摩设备及存储介质
CN112820222A (zh) * 2021-01-22 2021-05-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551700B2 (en) 2021-01-25 2023-01-10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efficient keyword detection
US20220375315A1 (en) * 2021-05-18 2022-11-24 Google Llc Adapting notifications based on user activity and environment
WO2023132624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및 크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155223A (ko) * 2022-05-03 2023-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5805A1 (en) 2004-03-08 2005-09-08 Iwatsu Electric Co., Ltd. Traffic distribuiton method and traffic distribution system of IP key telephone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A (en) * 1865-12-19 Improved hinge
US7444383B2 (en) 2000-06-17 2008-10-28 Microsoft Corporation Bounded-deferral policies for guiding the timing of alert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s using local sensory information
US6477117B1 (en) * 2000-06-30 2002-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arm interface for a smart watch
US7302280B2 (en) 2000-07-17 2007-11-2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phone operation based upon context sensing
US7302634B2 (en) 2001-03-14 2007-11-27 Microsoft Corporation Schema-based services for identity-based data access
JP2003050136A (ja) * 2001-08-07 2003-02-21 Denso Corp 交通障害報知システム及び交通障害通知プログラム
US6639516B1 (en) * 2002-05-14 2003-10-28 Shaun Michael Copley Personal tracking device
CN1679314A (zh) * 2002-09-02 2005-10-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超越勿扰模式的设备和方法
US8495678B2 (en) * 2002-12-10 2013-07-23 Ol2, Inc. System for reporting recorded video preceding system failures
US20050272408A1 (en) * 2004-06-04 2005-12-08 Deanna Wilkes-Gibbs Method for personal notification indication
US7587482B2 (en) * 2004-09-08 2009-09-08 Yahoo! Inc. Multimodal interface for mobile messaging
US20060282021A1 (en) * 2005-05-03 2006-12-14 Devaul Richard W Method and system for fall detection and motion analysis
KR100715668B1 (ko) * 2005-06-08 2007-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형 알람 발생 시스템 및 그 방법
US7298714B2 (en) * 2005-10-04 2007-11-20 Yahoo! Inc. Peer-to-peer message chaining for initiating a data exchange with a server
KR20070090815A (ko) 2006-03-03 2007-09-06 (주)티미스솔루션즈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8157730B2 (en) * 2006-12-19 2012-04-17 Valencell, Inc.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8116807B2 (en) * 2007-01-07 2012-02-14 Apple Inc. Airplane mode indicator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CN104469525A (zh) * 2007-05-29 2015-03-25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移动终端设备和电视显示方法及其程序
CN101159707B (zh) * 2007-10-30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短消息的传输方法、流媒体服务器以及终端
US8145574B1 (en) * 2008-01-16 2012-03-27 Bushland Hancock Enterprises LLC Recalled product inventory notification, removal, and verification system
US9357052B2 (en) * 2008-06-09 2016-05-31 Immersion Corporation Developing a notification framework for electronic device events
CN101325562B (zh) * 2008-06-18 2011-12-07 华为终端有限公司 家庭网络中消息应用方法、系统及设备
KR101511230B1 (ko) 2008-09-26 2015-04-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적응 양자화를 이용한 분산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JP4737263B2 (ja) * 2008-10-16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97738B2 (en) 2008-12-04 2015-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lected data through a locked display
US20100177599A1 (en) * 2009-01-11 2010-07-15 Yang Pan Determining location and survivability of a trapped person under a disaster situation by use of a wirst wearable device
US20100222645A1 (en) * 2009-02-27 2010-09-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Health and wellness monitoring system
WO2011021886A2 (en) * 2009-08-21 201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apable of notifying operation state change thereof through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device
KR20110020146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 상태 변경 알림이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통신 방법
US20110080289A1 (en) * 2009-10-05 2011-04-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utput device detection
EP2543031A1 (en) * 2010-03-01 2013-01-09 Noa Habas Visual and tactile display
US20110234414A1 (en) * 2010-03-26 2011-09-29 Luis Ojeda Wearable live electrical circuit detection device
US9749176B2 (en) * 2010-06-29 2017-08-29 Nokia Technologies O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daptive user notifications
US8676274B2 (en) * 2010-08-27 2014-03-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of event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20086578A1 (en) * 2010-10-07 2012-04-12 Moss Allen J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regarding status of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8814754B2 (en) * 2010-11-01 2014-08-26 Nike,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8683493B2 (en) 2010-11-15 2014-03-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utomatic annunciator allocation
US8787006B2 (en) * 2011-01-31 2014-07-22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CA3162051A1 (en) 2011-02-24 2012-08-30 9609385 Canada Inc. Situational marking and awareness tag (smart) beacon, system and method
KR101207386B1 (ko) * 2011-03-10 2012-12-04 위드로봇 주식회사 착용감지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20133882A (ko) * 2011-06-01 2012-12-11 김주영 사용자 맞춤형 손목밴드형 알람 전달 시계 장치
US9065922B2 (en) * 2011-06-29 2015-06-23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w battery notifications on mobile devices
US8783280B2 (en) 2011-07-19 2014-07-22 II S. Elwood Yandle Modular hydraulic hammer reduction system for railroad tank cars
CA2778157A1 (en) * 2011-07-20 2013-01-20 Thor's Oil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lk transport of proppant
KR20130047477A (ko) * 2011-10-31 2013-05-08 대덕위즈주식회사 착용형 무선통신장치와 이러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관심지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821726B2 (ja) * 2012-03-19 2015-1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イベント報知装置、及び、イベント報知システム
US9934713B2 (en) * 2012-03-28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wristband
US10210480B2 (en) 2012-05-31 2019-02-19 Apple Inc. Avoiding a redundant display of a notification on multiple user devices
KR20140008495A (ko) * 2012-07-11 2014-01-21 이성종 착용형 위험 감지 장치 및 위험 고지 장치
US8571539B1 (en) * 2012-07-30 2013-10-29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of a shutdown
CN102938787B (zh) * 2012-11-14 2015-01-07 王玉娇 事件源设备和事件展示设备及相关方法
US8744113B1 (en) * 2012-12-13 2014-06-03 Energy Telecom, Inc. Communication eyewear assembly with zone of safety capability
JP5414008B2 (ja) 2013-01-11 2014-02-1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116840A (zh) * 2013-03-07 2013-05-22 陈璟东 一种基于人形机器人的智能提醒方法及装置
US20150182113A1 (en) * 2013-12-31 2015-07-02 Aliphcom Real-time fatigue, personal effectiveness, injury risk device(s)
WO2014143776A2 (en) *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CN103249146A (zh) * 2013-05-10 2013-08-14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通知的方法及装置
CN103246062A (zh) * 2013-05-17 2013-08-14 崔培全 一种新型穿戴式智能电子设备
CN103458120B (zh) * 2013-08-27 2016-08-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事件处理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3533167B (zh) * 2013-10-15 2015-07-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根据用户当前状态智能关闭提醒的方法及系统
CN103731253A (zh) * 2013-12-20 2014-04-16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通信设备和与其配对的穿戴式设备的同步方法及通信系统
CN103809758A (zh) 2014-02-28 2014-05-2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内容显示方法及设备
US9183709B2 (en) * 2014-03-26 2015-11-10 Intel Corporation Wearable device as an ambient information display
CN106465458B (zh) * 2014-05-23 2019-12-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提供通知的方法和设备
CN104469662A (zh) * 2014-12-15 2015-03-25 王家城 多个移动通信终端之间自动通信转接方法及设备
CN104598130A (zh) * 2015-01-13 2015-05-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模式切换方法、终端、可穿戴设备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5805A1 (en) 2004-03-08 2005-09-08 Iwatsu Electric Co., Ltd. Traffic distribuiton method and traffic distribution system of IP key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66628A (zh) 2019-08-23
US11057866B2 (en) 2021-07-06
US20150341901A1 (en) 2015-11-26
EP3146796A4 (en) 2017-11-29
KR20150135057A (ko) 2015-12-02
EP3146796A1 (en) 2017-03-29
EP3146796B1 (en) 2021-10-27
CN110166627A (zh) 2019-08-23
CN106465458A (zh) 2017-02-22
CN110166627B (zh) 2021-03-12
CN105309040B (zh) 2019-06-18
CN110855836B (zh) 2022-05-31
WO2015178624A1 (en) 2015-11-26
KR102433619B1 (ko) 2022-08-18
RU2018119151A3 (ko) 2021-09-14
RU2658794C1 (ru) 2018-06-22
KR20220119563A (ko) 2022-08-30
EP2962518A4 (en) 2016-10-05
CN106465458B (zh) 2019-12-13
CN110138976A (zh) 2019-08-16
EP3422681A1 (en) 2019-01-02
WO2015178562A1 (en) 2015-11-26
RU2018119151A (ru) 2018-11-08
CN110839109A (zh) 2020-02-25
CN105309040A (zh) 2016-02-03
EP2962518A1 (en) 2016-01-06
EP2962518B1 (en) 2018-09-26
CN110839109B (zh) 2022-02-25
CN110138976B (zh) 2021-04-27
AU2014394452B2 (en) 2017-12-14
AU2020203393A1 (en) 2020-06-11
CN110855836A (zh) 2020-02-28
US20180027523A1 (en) 2018-01-25
AU2014394452A1 (en) 2016-11-24
US10009873B2 (en) 2018-06-26
US10051604B2 (en) 2018-08-14
EP3422681B1 (en) 2022-09-14
KR20230112591A (ko) 2023-07-27
RU2769974C2 (ru) 2022-04-12
AU2018201805A1 (en) 2018-04-05
US20180324756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493B1 (ko)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0292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9629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14454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KR102656528B1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2654621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