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815A -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815A
KR20070090815A KR1020070020887A KR20070020887A KR20070090815A KR 20070090815 A KR20070090815 A KR 20070090815A KR 1020070020887 A KR1020070020887 A KR 1020070020887A KR 20070020887 A KR20070020887 A KR 20070020887A KR 20070090815 A KR20070090815 A KR 2007009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service system
sensor
healthcar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식
장성익
Original Assignee
(주)티미스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미스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티미스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07009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것으로, 착용 대상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 변환하여 제 1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는 휴대용 검사기; 제 2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상황 정보를 무선 인증 및 무선 데이터 보안 변환을 거쳐서 전송하는 정보 전송기; 및 상기 개인 상황 정보를 특정화된 가상사설망 터널링(VPN tunneling)을 통해 수신받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환자의 상태를 검사한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사 및 체크할 수 있다.
RFID, GPS, 헬스 케어, 센서, 체온검출센서, 맥박감지센서

Description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Adaptiv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검사기를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검사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 검출센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박 검출센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정보 전송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검사기 200 : 정보 전송기
300 : 메인 서버
본 발명은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감시 및 실시간 정보 체크가 필요한 환자의 상태를 필요한 시기에 검사하고 그에 따른 정보수집이 가능한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여 우리 생활과 문화를 변화시켜가는 모토가 되어가고 있다. 유비쿼터스란 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1988년 미국의 사무용 복사기 제조회사인 제록스의 와이저(Mark Weiser)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유비쿼터스화가 이루어지면 가정·자동차는 물론, 심지어 산 꼭대기에서도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 사용자의 수도 늘어나 정보기술산업의 규모와 범위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광대역통신과 컨버전스 기술의 일반화, 정보기술 기기의 저가격화 등 정보기술의 고도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약들로 인해 2003년 현재 일반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휴대성과 편의성뿐 아니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 고도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장점들 때문에 세계적인 개발 경쟁이 일고 있다. 특히, 웰빙에 관련된 관심 즉, 여가시간의 활용과 자신의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자보호 및 치료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개념에 관한 폭넓은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헬스케어 시스템은 단순히 환자의 정보를 전산화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한 후, 환자의 검사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실시간 환자의 상태정보를 검사하고, 검사된 정보를 바탕으로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들에게는 별다른 도움이 되고 있지 않다. 즉, 집에서 기거하며 통원치료 등에 의해 질병치료를 서비스 받는 환자들은 실시간으로 검사 및 치료 서비스를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병원에 입원하여 집중관리를 받는 환자라 하더라도, 많은 환자를 관리 및 통제하는 간호사 및 의사들의 숫적 제한에 따라, 관리 및 통제의 사각지대가 형성되어 모든 환자의 상태를 검사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실시간 및 적절한 시기에 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상태를 검사한 정보를 USB, Serial등을 통해 입력받아 무선 인증과 데이터 보안 형식으로 변환하여 무선랜, 블루투스 또는 Zigbee를 통해 송수신하며, 그에 따른 정보를 특정화된 가상사설망 터널링을 통해 메인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사 및 체크할 수 있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정보 수집을 위해 제공되는 검사기의 착용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환자에게 알람함으로서, 검사기의 이탈 및 불완전한 착용을 방지하여 검사기착용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위치 파악이 어려운 치매성 또는 정신질환 관련 환자들의 검사기에 위치추적장치를 부가적으로 추가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필요한 시기에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 대상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 변환하여 제 1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는 휴대용 검사기; 제 2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상황 정보를 무선 인증 및 무선 데이터 보안 변환을 거쳐서 전송하는 정보 전송기; 및 상기 개인 상황 정보를 특정화된 가상사설망 터널링을 통해 수신받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검사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한 후, 상기 검사기에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휴대용 검사기가 상기 착용 대상으로부터 이탈 또는 이 탈위험이 발생하거나,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알람하는 알람부; 상기 착용 대상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및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전원부, 상기 알람부 및 상기 센서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휴대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간 정보는 상기 착용 대상의 체온정보, 맥박정보, 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착용 대상의 체온을 검출하는 체온 검출센서, 상기 착용 대상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검출센서, 상기 착용 대상의 혈당을 검출하는 혈당 검출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온 검출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전원부, 상기 알람부,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모듈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케이블; 상기 착용 대상의 특정 부위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동선 띠; 및 상기 동선 띠와 연결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검사기는 상기 착용 대상의 손목부위에 띠 형태로 부착되며,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검사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보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근거리 통신모듈은 CNET의 규약에 따른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은 휴대용 검사기 가 착용 대상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제 1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정보 전송기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개인 상황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 대상자(99)의 특정 부위에 착용되는 휴대용 검사기(100), 휴대용 검사기(100)로부터의 상태 정보(S_Info)를 수신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기(200), 정보 전송기(200)로부터의 개인 상황 정보(P_Info)를 수신하는 메인 서버(300)를 구비한다.
휴대용 검사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고정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손목 장착방식을 채택하며, 사이드를 실리콘 재질로 처리하고, 상하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로 및 배터리를 설치한다. 또한, 휴대용 검사기(100)는 장치에 포함되는 회로의 연결라인을 플랙시블 케이블(102)을 이용하여 설계하며, 슬림화와 경량화 및 상시 온도조건에서 최적의 동작과 온도차에 의한 에러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손목 띠 형태로 내부회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휴대용 검사기(100) 는 포함되는 다양한 센서들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손목의 양사이드 부분에 회전방지용 보조장치(10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 검사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 제 1 전원부(120), 알람부(130), 센서(140), 휴대장치 제어부(160) 등을 구비하며, GPS 모듈(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정보 전송기(200) 간에 제 1 통신채널(150)을 형성하여, 센서(140)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정보(RT_Info)를 정보 전송기(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블루투스, 지그비, 인프라 레드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이 RFID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자체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패시브 타입 또는 자체 전원을 구비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액티브 타입 등 타입의 특성에 관계없이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이 액티브 타입의 RFID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간 통신방식은 CNET의 규약에 의한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전원부(120)는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 알람부(130), 센서(140), 휴대장치 제어부(160), 및 GPS 모듈(170)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 1 전원부(120)는 휴대용 검사기(100)의 특성에 부합되도록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장 배터리 형태로 제조되며, 내장 배터리로 1차 전지 및 충전용 전지가 이용될 수 있으나, 환경 및 에너지 절약의 측면에서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이용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전원부(12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챠징될 수 있다.
알람부(130)는 휴대용 검사기(100)가 착용 대상자(99)의 특정 부위에 정확하고 올바르게 착용되었는지 착용여부를 확인하거나, 제 1 전원부(120)의 배터리 잔량에 따른 알람을 실시한다. 즉, 알람부(130)는 휴대용 검사기(100)가 착용 대상자(99)로부터 이탈 또는 이탈할 위험을 가지도록 착용되었거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램프 및 경고음 등으로 착용 대상자(99)에게 알람하거나, 착용 대상자(99)를 관리하는 관리자 등의 메인 서버(300)에 알람한다.
센서(140)는 착용 대상자(99)의 실시간 정보(RT_Info)를 수집한다. 여기서 실시간 정보(RT_Info)는 착용 대상자(99)의 체온에 관련된 정보 및 맥박에 관련된 정도 등 착용 대상자(99)의 육체적 변화에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정보이다. 센서(140)는 수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잡음 필터링후 정신호 산출 및 증폭 후 디지털 부호화하여 정보 전송기(200)에 전달하도록 하는 A/D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0)에 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체온 검출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온 검출센서는 손목부위의 체온을 검출하기 위하여 손목 영역과의 접촉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플랙시블 케이블(102) 위에 서로 직교되며 동선 띠(104) 형태로 여러가닥을 인쇄하여 배치하고 그 중앙부분에 온도센서(106)를 설치하여 각 부분에서 전달되어진 서로 다른 온도차에 의한 데이터가 온도센서(106)로 전달된 후, 평균치 온도를 측정 한다.
도 5는 맥박 검출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맥박 검출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송수신 센서(101) 또는 압전 센서(103)를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한다. 이러한 백박 검출센서에 의한 맥박 검출방식은 적외선 송수신 센서(101)를 이용하는 혈류측정방식과 압전 센서(103)를 이용한 맥박감지방식이 있다. 혈류측정방식은 혈관속의 혈류의 농도를 측정하여 맥박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적외선 송수신 센서(101)를 플랙시블 케이블(102) 위에 직각교차하도록 배치한 후, 혈류를 검출하여 맥박을 검사한다. 맥박감지방식은 압전 센서(103)를 이용 심장으로부터 전달되어진 미세한 박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박동을 증폭한 후, 그 신호를 전자적으로 처리하여 박동수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GPS 모듈(170)은 착용 대상자(99)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착용 대상자(99)가 자신의 위치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대상자 즉, 정신질환자 이거나, 미아인 경우 착용 대상자(99)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휴대장치 제어부(160)는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 제 1 전원부(120), 알람부(130), 센서(140) 및 GPS 모듈(17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각 구성의 운영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장치 제어부(160)는 센서(140)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정보(RT_Info)와 장치의 고유 ID인 UID(Unique Identification)를 포함한 정보인 상태 정보(S_Info)를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기(2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장치의 UID는 별도로 지정된 식별번호이거나, RFID의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정보 전송기(200)는 휴대용 검사기(100)로부터 상태 정보(S_Info)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S_Info)를 확인 후, 이 정보를 메인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정보 전송기(200)는 무선랜 방식을 이용하거나, TCP/IP 개방형 네트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전송기(200)는 상태 정보(S_Info)를 포함하는 개인 상황 정보(P_Info)를 메인 서버(300)를 포함하는 원하는 단말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단말기로 대체하여 경제성과 별도의 운영체제 부팅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 전송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근거리 통신모듈(210), 통신모듈(220), 제 2 전원부(240), 전송기 제어부(260)를 구비하며, 휴대용 검사기(100)의 UID와 대응하는 착용 대상자(99) 정보를 보관하는 메모리(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2 근거리 통신모듈(210)은 휴대용 검사기(100)와 제 1 통신채널(150)을 형성하는 모듈로서 휴대용 검사기(100)에 포함되는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과 유사한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모듈(220)은 메인 서버(300) 간에 제 2 통신채널(250)을 형성하여 휴대용 검사기(100)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S_Info)를 제어부(260)의 제어하에 직접 또는 가공하여 메인 서버(30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모듈(220)은 개방형 네트웍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TCP/IP모듈, 이더넷 모듈, 무선랜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통신채널(250)은 인터넷 통신 또는 네트웍 통신 등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원부(240)는 내부 전원 또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기(200)의 각 구성이 운영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 2 전원부(240)는 상시전원 연결이 가능한 콘센트 연결 등이 바람직한다.
메모리(230)는 휴대용 검사기(100)가 가지는 UID 정보 및 UID와 매치되는 착용 대상자 정보(PID)를 저장한다. 메모리(230)는 정보 전송기(200)가 커버하는 영역 내에 다수의 착용 대상자를 관리하는 경우 착용 대상자들의 구분 및 구분된 착용 대상자들에 대한 적절한 대응 조치 및 처방을 전달하기 위하여 각각의 착용 대상자 정보(PID)를 보관하게 된다.
전송기 제어부(260)는 제 2 근거리 통신모듈(210), 통신모듈(220), 제 2 전원부(240) 및 메모리(230) 등의 신호흐름을 제어한다. 즉, 전송기 제어부(260)는 상태 정보(S_Info) 수신과 개인 상황 정보(P_Info)의 송신을 제어한다. 여기서, 개인 상황 정보(P_Info)는 상태 정보(S_Info)에 포함된 실시간 정보(RT_Info)와UID 및 메모리(230)로부터 검색된 UID와 매치되는 착용 대상자 정보(P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300)는 정보 전송기(200)가 지정하는 단말장치로서, 병원의 서버 또는 주치의의 단말장치, 착용 대상자(99)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단말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먼저, 휴대용 검사기(100)를 이용하여 착용 대상자(99)의 실시간 정보(RT_Info)를 수집한다(S101).
S101 단계에서, 휴대용 검사기(100)는 센서(140)를 이용하여 착용 대상자(99)의 실시간 정보(RT_Info)를 수집하며, 이러한 실시간 정보(RT_Info)는 착용 대상자(99)의 체온, 맥박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간 정보는 착용 대상자(99)의 체온 및 맥박을 예들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착용 대상자(99)의 혈당이나, 특정 호르몬 변화량에 관련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휴대용 검사기(100)는 정보 전송기(200) 간에 제 1 통신채널(150)을 형성한다(S102).
S102 단계에서, 휴대용 검사기(100)는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기(200)와 제 1 통신채널(150)을 형성한다. 이때, 제 1 근거리 통신모듈(110)과 정보 전송기(200)의 제 2 근거리 통신모듈(210)은 통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유사 또는 동일한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 단가 및 이용가능성의 폭넓은 확대를 고려하여, RFID 통신모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휴대용 검사기(100)는 상태 정보(S_Info)를 정보 전송기(200)에 전송한다(S103).
S103 단계에서, 상태 정보(S_Info)는 실시간 정보(RT_Info) 및 휴대용 검사기(100)의 고유 ID인 U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ID는 정보 전송기(200)가 관리할 수 있는 착용 대상자(99)가 하나 이상일 경우, 각 착용 대상 자(99)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전송기(200)는 UID를 이용하여 착용 대상자의 정보(PID)를 검색한다(S104).
S104 단계에서, 정보 전송기(200)에는 UID와 매치되는 착용 대상자 정보(PID)를 메모리(23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단계는 UID를 메인 서버(300)에 직접 전송하는 경우, 실시되지 않을 수 있다. 착용 대상자 정보(PID)에는 착용 대상자(99)의 신상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며, 치료 또는 질병 관련 이력이나, 가족의 치료 또는 질병 관련 이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전송기(200)는 메인 서버(300) 간에 제 2 통신채널(250)을 형성한다(S105).
S105 단계에서, 정보 전송기(200)는 TCP/IP 통신모듈, 이더넷 통신모듈, 무선랜 등 개방형 네트웍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300)와 제 2 통신채널(25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 2 통신채널(250)은 인터넷 통신망 또는 네트웍 통신망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보 전송기(200)는 개인 상황 정보(P_Info)를 메인 서버(300)에 전송한다(S106).
S106 단계에서, 개인 상황 정보(P_Info)는 착용 대상자(99)의 정보인 실시간 정보(RT_Info)와, UID를 이용하여 검색한 착용 대상자 정보(PID)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개인 상황 정보(P_Info)는 UID를 이용하여 착용 대상자 정보(PID)를 검출하여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태 정보(S_Info)와 동일 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환자의 상태를 검사한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사 및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환자의 상태를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검사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상태 정보 수집을 보다 정확히 함으로서, 환자의 정보 수집을 보다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환자의 정보 수집을 위해 제공되는 검사기의 착용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환자에게 알람함으로서, 검사기의 이탈 및 불완전한 착용을 방지하여 검사기착용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은, 현재 위치 파악이 어려운 치매성 또는 정신질환 관련 환자들의 검사기에 위치추적장치를 부가적으로 추가함으로써, 환자의 위치를 필요한 시기에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2)

  1. 착용 대상의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 변환하여 제 1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하는 휴대용 검사기;
    제 2 근거리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상황 정보를 무선 인증 및 무선 데이터 보안 변환을 거쳐서 전송하는 정보 전송기; 및
    상기 개인 상황 정보를 특정화된 가상사설망 터널링을 통해 수신받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사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한 후, 상기 검사기에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휴대용 검사기가 상기 착용 대상으로부터 이탈 또는 이탈위험이 발생하거나,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알람하는 알람부;
    상기 착용 대상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및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전원부, 상기 알람부 및 상기 센서 간의 신호흐름을 제어하는 휴대장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정보는
    상기 착용 대상의 체온정보, 맥박정보, 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착용 대상의 체온을 검출하는 체온 검출센서, 상기 착용 대상의 맥박을 검출하는 맥박 검출센서, 상기 착용 대상의 혈당을 검출하는 혈당 검출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검출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전원부, 상기 알람부,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모듈을 연결하는 플랙시블 케이블;
    상기 착용 대상의 특정 부위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동선 띠; 및
    상기 동선 띠와 연결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맥박 검출센서는
    적외선 송수신 센서를 이용한 혈류측정센서 및 압전센서를 이용한 맥박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센싱에 의해 수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잡음 필터링후 정신호 산출 및 증폭 후 디지털 부호화하여 상기 정보 전송기에 전달하도록 하는 A/D 컨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사기는
    상기 착용 대상의 손목부위에 띠 형태로 부착되며,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사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용 보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실시간 정보와 상기 휴대용 검사기의 고유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근거리 통신모듈은
    CNET의 규약에 따른 통신방식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기는
    상기 착용 대상의 개인 신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개인 상황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모듈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부; 및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메모리, 상기 통신모듈 및 제 2 전원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TCP/IP 프로토콜, 이더넷, 무선랜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황 정보는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개인 신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인프라 레드 및 무선전파식별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6. 휴대용 검사기가 착용 대상의 실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제 1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정보 전송기에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개인 상황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정보는
    상기 착용 대상의 체온정보, 맥박정보, 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실시간 정보와 상기 휴대용 검사기의 고유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상황 정보는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개인 신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채널은
    CNET의 규약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인프라 레드 및 무선전파식별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채널은
    TCP/IP, 이더넷,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70020887A 2006-03-03 2007-03-02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90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0521 2006-03-03
KR1020060020521 2006-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815A true KR20070090815A (ko) 2007-09-06

Family

ID=3868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87A KR20070090815A (ko) 2006-03-03 2007-03-02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08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24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9622214B2 (en) 2014-05-23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9629120B2 (en) 2014-05-23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KR20180018787A (ko) * 2016-05-06 2018-02-21 상하이 유니버시티 오브 트레디셔널 차이니즈 메디신 블루투스 맥박 진단 팔찌 및 맥박 데이터 전송 방법 (bluetooth pulse diagnosis wristband and pulse data transmission method)
US10638452B2 (en) 2014-05-2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624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9622214B2 (en) 2014-05-23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9629120B2 (en) 2014-05-23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0009873B2 (en) 2014-05-23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0051604B2 (en) 2014-05-23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0136409B2 (en) 2014-05-23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0292134B2 (en) 2014-05-23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0638451B2 (en) 2014-05-2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0638452B2 (en) 2014-05-2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1057866B2 (en) 2014-05-23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11445475B2 (en) 2014-05-23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KR20180018787A (ko) * 2016-05-06 2018-02-21 상하이 유니버시티 오브 트레디셔널 차이니즈 메디신 블루투스 맥박 진단 팔찌 및 맥박 데이터 전송 방법 (bluetooth pulse diagnosis wristband and pulse data transmiss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1992A1 (en) Sensor patch and related smart device, systems, and methods
RU2336808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US20060293571A1 (en)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aring
EP1827214B1 (en) Mobile monitoring
RU2454924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жизненно важных показателей здоровья пациента
US201200293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racking of patients in a vital-signs monitor system
US20150305690A1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20060155173A1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of a patient
KR101030311B1 (ko)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JPH0349499B2 (ko)
CN102245084A (zh) 用于对患者远距诊断的监视和支持的方法以及设备和远程医疗中心
US20140135591A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ting biolog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KR10072365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200601785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and monito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and movement within an area of at least one person
JP2012027628A (ja) 医療機器管理システム
US9723986B1 (en) Physiological parameter measuring system
KR20070090815A (ko)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CN100581445C (zh) 移动监视
JP5289677B2 (ja) 少なくとも1人の人の生理的パラメータ及びある領域内での動きを捕捉し観察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20100049862A (ko)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P2007521030A6 (ja) 少なくとも1人の人の生理的パラメータ及びある領域内での動きを捕捉し観察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787148B1 (ko) 신체상태 무인 송출시스템
HU227955B1 (hu) Eljárás vitális életfunkciók figyelésére és folyamatos ellenõrzésére szolgáló adatátviteli és adatfeldolgozó rendszer valamint vezeték nélküli eszköz mûködtetésére
CN109730639A (zh) 患者移动环境下生命体征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