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178B1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178B1
KR102523178B1 KR1020180056557A KR20180056557A KR102523178B1 KR 102523178 B1 KR102523178 B1 KR 102523178B1 KR 1020180056557 A KR1020180056557 A KR 1020180056557A KR 20180056557 A KR20180056557 A KR 20180056557A KR 102523178 B1 KR102523178 B1 KR 102523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mode
wearable device
operating stat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758A (ko
Inventor
김경동
이철우
장우석
장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05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17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11393954.4A priority patent/CN115718538A/zh
Priority to US16/415,429 priority patent/US11190912B2/en
Priority to CN201980028180.5A priority patent/CN112042176B/zh
Priority to EP19804021.4A priority patent/EP3759904A4/en
Priority to PCT/KR2019/005958 priority patent/WO2019221562A1/en
Publication of KR2019013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758A/ko
Priority to US17/509,616 priority patent/US11622247B2/en
Priority to US18/193,132 priority patent/US20230239664A1/en
Priority to KR1020230049016A priority patent/KR102561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8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combined with other device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e.g. wa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을 수립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면, 식별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에 기재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 변경 기술과 관련된다.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가 일반화되면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워치)의 보급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또는 동작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의성 때문에 최근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보급 속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신호 수신 또는 내부에서 생성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알림은, 예를 들면, 진동, 소리, 화면 표시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를 연동(예: 컴페니언(companion) 모드)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알림을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할 경우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알림을 확인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통해 알림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여부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다르게 설정하고자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의 착탈 또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 여부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을 수립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면, 식별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이 수립된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착용 여부에 따라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알림 모드와 전자 장치의 위치에 따른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알림 모드와 시간에 따른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알림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 따른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경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가 변경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알림 모드의 변경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경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가 변경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 수립과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장소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하나의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시간에 따른 알림 모드와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하나의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도 1은 일 실시예 따른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하우징(11), 디스플레이(12), 또는 스피커(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구성 요소(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 또는 스피커(13))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space)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전면(1)에는 디스플레이(12)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는 터치 패널과 중첩된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는 굴곡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는 모서리에 인접한 에지 영역에 굴곡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의 전면(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의 상측으로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3)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의 아래쪽 표시 영역에는 소프트 키 형태로 홈 키(14)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홈 키(14)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의 전면 일 영역에 별도의 물리 키를 배치시키고, 홈 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스피커(13)의 주변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을 실장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전자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는 하우징(21), 스트랩(25),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센서 모듈(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예를 들면, 구성 요소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센서 모듈(23))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b)는 하우징(21)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 가능한 원형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는 웨어러블 장치(2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웨어러블 장치(2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우징(21)의 전면의 일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스트랩(25)은 하우징(21)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트랩(25)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를 손목에 체결할 수 있다.
센서 모듈(23)은 웨어러블 장치(20)의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23)은 웨어러블 장치(20)의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해 하우징(21)의 후면 또는 전면의 일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23)은 웨어러블 장치의 스트랩(25)에 위치할 수 있다. 후면은 전면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b)에서는 센서 모듈(23)이 배치된 면이 후면이고,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면이 전면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경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가 변경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상호 간에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각각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의 각각에 포함된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모듈은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에 포함된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 (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 (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 (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상기의 제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와 통신을 수립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20)는 상기의 제2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하면서,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와 통신을 수립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통신이 수립된 후,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면, 식별된 동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 착용 여부, 또는 전자 장치(10)와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사용자 착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센서 모듈(2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 착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20) 착용 여부의 변화에 대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통신 상태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와의 정기적인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이 시작되는 경우에 통신이 수립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통신 상태 시작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면, 통신이 시작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와의 정기적인 데이터 또는 신호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경우에 통신이 종료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통신 상태 종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면, 통신이 종료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알림 모드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가 내부에서 이벤트가 발생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 또는 신호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제공하는 알림 모드는, 예를 들면, 진동 모드, 소리 모드, 무음 모드, 또는 진동과 소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 또는 신호의 수신을 알리기 위하여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햅틱 모듈(또는, 진동 모듈)이 진동하여 알림을 알리는 모드이다. 소리 모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 또는 신호의 수신을 알리기 위하여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스피커에서 설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모드이다. 무음 모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 또는 신호의 수신을 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2)에 알림과 관련된 객체들을 표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면, 현재 설정된 제1 알림 모드를 현재 알림 모드와 다른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가 변화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된 상태와 착용이 해제 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웨어러블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검출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의 착용 여부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되었다가 착용이 해제 된 상태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는 동작 상태의 변화(예를 들면, 착용 상태 변화)를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전자 장치(10)와 데이터 싱크(sync)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송수신 하는 데이터에 동작 상태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측정된 헬스 관련 데이터를 지정된 주기로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20)의 변경된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전자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수신된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식별하고,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이 해제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식별된 신호에 따라서, 현재 설정된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를 제1 알림 모드와 다른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창(200)에 표시되는 무음 모드를 나타내는 무음 모드 아이콘(210)을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진동 모드 아이콘(220)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들에 맞추어 지정된 알림 모드에 기반하여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된 경우, 전자 장치(10)의 지정된 알림 모드는 무음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서 착용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10)의 지정된 알림 모드는 진동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 내용은 도 5에서 후술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의 변화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서 착용이 해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서 착용이 해제되었다는 신호가 지정된 시간 이상 수신 되는 경우 또는 착용이 해제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 되는 경우에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를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서 착용이 해제되었다는 신호가 5분 이상 수신되는 경우 또는 착용이 해제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5분이 경과하는 경우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를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정된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은 10분, 20분, 또는 30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지정된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알림 모드에서 변경된 제2 알림 모드를 제3 알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에서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절전 모드 상태인 것을 식별하면, 진동 모드(예: 제2 알림 모드)를 소리 모드(예: 제3 알림 모드)로 변경하여 전자 장치(10)의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을 해제한 경우에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알림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지 않을 때마다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알림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알림 모드의 변경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상호 간에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각각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통신이 수립된 후, 각각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를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동작 상태에 따라 설정된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를 알리는 신호의 수신이 식별되면, 현재 설정된 제1 알림 모드를 현재 알림 모드와 다른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된 상태와 착용이 해제 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웨어러블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검출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의 착용 여부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착용이 해제된 상태였다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된 상태 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는 동작 상태의 변화(예를 들면, 착용 상태 변화)를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수신된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라서 알림 모드의 변경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식별하고, 웨어러블 장치(20)가 착용이 해제된 상태였다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식별된 신호에 따라서, 현재 설정된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를 제1 알림 모드와 다른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로 변경할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팝업 정보창의 형태로 알림 모드의 변경이 발생될 것을 알리는 알림 모드 변경 정보(300)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의 변경이 발생된 것을 알리는 음성 또는 진동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알림 모드 변경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을 식별하면,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팝업 정보창 형태의 알림 모드 변경 정보(300)에 표시된 "확인"(310)을 터치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알림 모드 변경 정보를 확인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확인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계속하여 종래의 알림 모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확인"(310)을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면, 5분 이상) 터치하지 않는 경우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추가 기능을 포함하는 팝업 정보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 정보창은 알림 모드 변경 정보(300)의 표시와 함께,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 실행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으로 변경되는 알림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또는 기능 실행 객체를 선택하여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추가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가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 변경을 알리는 모드 변경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는 팝업 정보창의 형태로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 변경을 알리는 모드 변경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27)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20)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 변경이 발생된 것을 알리는 음성이나 진동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의 변화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되었다는 신호가 지정된 시간 이상 수신 되는 경우 또는 착용 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지정된 시간 이상 유지 되는 경우에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소리 모드)를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었다는 신호가 1분 이상 수신되는 경우 또는 착용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1분이 경과하는 경우에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소리 모드)를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정된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은 5분, 또는 10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지정된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경에 따라서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가 변경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의 (a)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된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전원이 종료되는 상태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20)의 전원이 꺼지는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없다. 웨어러블 장치(20)의 전원이 꺼지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의 물리적인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와 같은 이유로 전자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변화(예를 들면, 통신 해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확인 된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예: 통신 해제)에 따라서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와의 통신이 단절된 것으로 식별하고, 현재 설정된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를 제1 알림 모드와 다른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창(400)에 표시되는 무음 모드를 나타내는 무음 모드 아이콘(410)을 진동 모드를 나타내는 진동 모드 아이콘(420)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의 변경이 발생될 것을 알리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팝업 정보창의 형태로 알림 모드의 변경이 발생될 것을 알리는 알림 모드 변경 정보(예: 도 3의 알림 모드 변경 정보(310))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의 변경이 발생된 것을 알리는 음성 또는 진동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의 변화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이 지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를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황이 10분 이상 수신되는 경우에 제1 알림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를 제2 알림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지정된 시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은 20분, 또는 30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지정된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의 물리적인 거리가 줄어들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0)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와 다시 통신을 수립하고, 데이터(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를 제1 모드(예를 들면, 진동 모드)에서 제2 모드(예를 들면, 무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장치(20))는 상호 간에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장치(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장치(20))는 각각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장치(20))가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에 기 저장된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500)이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에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500)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는 지정된 서버(예를 들면, play 스토어™, 또는 app 스토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500)을 내려 받아 설치할 것을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50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를 위한 다양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500)은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알림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 동작 상태에 기반한 알림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520)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521), 웨어러블 장치(20)를 사용자가 착용 해제 한 경우(530)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531), 또는 웨어러블 장치(20)와 통신 해제 된 경우(540)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541)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알림 모드를 표시하는 항목들(521, 531, 541)을 각각 선택하여 원하는 알림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알림 모드를 표시하는 항목들(521, 531, 541)을 터치 하는 경우에. 알림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팝업창의 형식으로 복수 개의 알림 모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알림 모드를 해당 항목의 알림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와 처음으로 통신 관계를 수립하는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알림 모드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가 통신하고 있는 중에도,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 수립과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변화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6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상호 간의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는 각각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가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에 지정된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를 위한 다양한 설정(예를 들면, 통신 방식)을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동작 6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알림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 모드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 웨어러블 장치(20)를 사용자가 착용 해제 한 경우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 또는 웨어러블 장치(20)와 통신 해제 된 경우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를 설정하고(동작 620),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 상호 간의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동작 63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된 상태와 착용이 해제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 간의 통신이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의 전원이 종료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의 물리적인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 간의 통신이 중단될 수 있다.
동작 64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는 동작 상태에 대한 변화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는 동작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 내용을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전자 장치(10)와 데이터 싱크(sync)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송수신 하는 데이터에 동작 상태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측정된 헬스 관련 데이터를 지정된 주기로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20)의 변경된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전자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한 변화를 스스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의 통신이 단절 되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동작 6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신호에 따라서 현재 설정된 제1 알림 모드를 제1 알림 모드와 다른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또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장치(20)의 전원이 종료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장치(20)와 전자 장치(10)의 물리적인 거리가 증가하여 전자 장치(10)와 웨어러블 장치(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단절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예를 들면, 통신 해제)가 발생된 것으로 식별하고, 알림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10)와 통신이 수립된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사용자 착용 여부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와 상기 전자 장치(10)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상황에서,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상황에서,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10)와 통신이 수립된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착용이 해제된 상태인 것을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모드는 무음 모드이고, 상기 제2 알림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소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장소 정보에 기반하여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위치한 장소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는 장소(720)와 알림 모드(730)를 대응하여 저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회사(721)를 장소(720)에 추가하고 알림 모드(730)를 무음 모드(731)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소"(720)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는 추가하고자 하는 장소의 명칭, 추가하고자 하는 장소의 주소, 및 추가하고자 하는 장소에서의 알림 모드(예: 무음, 소리, 또는 진동)를 입력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추가하고자 하는 장소의 명칭에 회사를 추가하고, 회사에 대응하는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회사에서의 알림 모드를 무음 모드로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상기 팝업창을 통해 새롭게 회사, 회사에 대응하는 주소, 및 회사에서의 알림 모드가 추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710)에 회사(721), 회사(721)에서의 알림 모드로 결정된 무음 모드(731)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이용하여, 집(722), 도서관(723), 극장(724), 및 운동센터(725)를 장소(720)에 추가하고, 각각의 장소에 대하여 결정된 알림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710)는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GPS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을 식별하고, 장소 리스트(729)에 추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GPS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의 이동 패턴을 식별하고, 식별된 장소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등록할 수 있는 장소 리스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GPS를 이용하여 식별된 장소들 중에서, 전자 장치(10)가 장시간 위치하는 장소들을 식별하고, 사용자가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장소(720)로 등록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위치했던 장소에서 설정했던 알림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누적하고,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각 장소에서 다수 설정되었던 복수 개의 알림 모드를 제공한 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장 많이 선택했던 알림 모드로 해당 장소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의 (b)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된 상황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와 착용이 해제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웨어러블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검출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의 착용 여부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되었다가 착용이 해제 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는 동작 상태의 변화(예를 들면, 사용자 착용 여부 또는 통신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의 변화(예를 들어, 사용자 착용 여부 또는 통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식별된 장소에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위치하는 장소가 회사, 운동센터, 집의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GPS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가 위치하는 장소를 식별하고,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무음 모드, 소리 모드, 및 진동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창(750)에 표시되는 알림 모드 아이콘(751)을 변경된 알림 모드에 맞추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수신된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전자 장치(10)의 장소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우선 순위에 따라서 하나의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이고, 전자 장치(10)의 장소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무음 모드인 경우에, 우선 순위에 따라서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창(750)에 표시되는 알림 모드 아이콘(751)을 변경된 알림 모드에 맞추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순위는 전자 장치(10)의 제조사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서 착용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수신된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알림 모드를 진동 모드로 변경하는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회사"인 것을 식별하고, 알림 모드를 무음 모드로 유지 또는 변경하는 준비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를 우선으로 알림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를 진동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위치한 장소를 우선으로 알림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를 무음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 및 시간에 따른 알림 모드에 기반하여 알림 모드를 선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시간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시간(820)과 알림 모드(830)를 대응하여 저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8:00 ~ 18:00 라는 시간 구간(821)을 시간(820)에 추가하고, 알림 모드(830)를 무음 모드(831)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간"(820)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추가하고자 하는 시간 구간, 추가하고자 하는 시간 구간에서의 알림 모드(예: 무음, 소리, 또는 진동)를 입력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이용하여 추가하고자 하는 시간 구간을 추가하고, 추가하는 시간 구간에서의 알림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통해 8:00 ~ 18:00 의 시간 구간을 입력하고, 8:00 ~ 18:00의 시간 구간(821)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무음 모드(831)로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상기 팝업창을 통해 새롭게 8:00 ~ 18:00의 시간 구간, 해당 시간 구간에서의 알림 모드가 추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810)에 8:00 ~ 18:00의 시간 구간(821) 및 해당 시간 구간에서의 알림 모드로 결정된 무음 모드(831)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이용하여 18:00 ~ 22:00의 시간 구간(822), 및 22:00 ~ 8:00의 시간 구간(823)을 시간(820)에 추가하고, 각각의 시간 구간에 대하여 결정된 알림 모드(830)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는 현재의 시간이 속해있는 시간 구간을 시간 리스트(829)에 추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1시간 또는 30분 단위로 시간 구간을 변경하여 시간 리스트(829)에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전자 장치(10)가 알림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변경했던 패턴을 시간에 대응하여 데이터로 저장한 후,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각 시간대에서 다수 설정되었던 복수 개의 알림 모드를 제공한 후,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는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장 많이 선택했던 알림 모드를 해당 시간대의 알림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b)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가 변경된 상황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와 착용이 해제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23))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웨어러블 장치의 근접 여부를 검출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의 착용 여부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 착용되었다가 착용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20)는 동작 상태의 변화(예를 들면, 착용 상태 변화)를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의 변화(예를 들어, 전원 꺼짐 또는 통신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식별된 시간에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17시부터 18시를 지나 23시로 시간이 변경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각각의 시간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무음 모드, 소리 모드, 및 진동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창(850)에 표시되는 알림 모드 아이콘(851)을 변경된 알림 모드에 맞추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수신된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우선 순위에 따라서 하나의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진동 모드이고,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소리 모드인 경우에, 우선 순위에 따라서 알림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순위는 전자 장치(10)의 제조사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면, 손목)에서 착용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웨어러블 장치(20)로부터 수신된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알림 모드를 진동 모드로 변경하는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현재 시간(예를 들면, 19시)인 것을 식별하고 알림 모드를 소리 모드로 유지 또는 변경하는 준비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우선 순위가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라면,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를 진동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우선 순위가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라면, 전자 장치(10)는 알림 모드를 소리 모드로 유지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창(850)에 표시되는 알림 모드 아이콘(851)을 변경된 알림 모드에 맞추어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900) 내의 전자 장치(901)의 블럭도이다. 도 9의 전자 장치(9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 및/또는 도 1의 웨어러블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900)에서 전자 장치(901)는 제 1 네트워크(9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9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서버(908)를 통하여 전자 장치(9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20), 메모리(930), 입력 장치(950), 음향 출력 장치(955), 표시 장치(960), 오디오 모듈(970), 센서 모듈(976), 인터페이스(977), 햅틱 모듈(979), 카메라 모듈(980), 전력 관리 모듈(988), 배터리(989), 통신 모듈(990), 가입자 식별 모듈(996), 또는 안테나 모듈(9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9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960) 또는 카메라 모듈(9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9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9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920)에 연결된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9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9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9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9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메인 프로세서(9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9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923)은 메인 프로세서(9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923)는 메인 프로세서(9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9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9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9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921)와 함께,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960), 센서 모듈(976), 또는 통신 모듈(9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9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980) 또는 통신 모듈(9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 또는 센서모듈(9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30)는, 휘발성 메모리(9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9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940)은 메모리(9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942), 미들 웨어(944) 또는 어플리케이션(9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는, 전자 장치(9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9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9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9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960)는 전자 장치(9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9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9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970)은, 입력 장치(9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955), 또는 전자 장치(9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976)은 전자 장치(9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9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7)는 전자 장치(9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9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9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9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9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9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9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988)은 전자 장치(9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989)는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9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전자 장치(9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전자 장치(904), 또는 서버(9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990)은 프로세서(9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90)은 무선 통신 모듈(9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9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9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992)은 가입자 식별 모듈(9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998)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9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9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998) 또는 제 2 네트워크(9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9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9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999)에 연결된 서버(908)를 통해서 전자 장치(901)와 외부의 전자 장치(9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902, 904) 각각은 전자 장치(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902, 904, or 9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9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9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통신 모듈(990), 프로세서(92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930)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통신 모듈(99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와 통신을 수립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 변화를 식별하면, 식별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10)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사용자 착용 여부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와 상기 전자 장치(10)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예: 표시 장치(9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디스플레이(960)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96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디스플레이(960)에 표시된 상기 정보가 확인된 것을 식별하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전자 장치(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전자 장치(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920)가,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20)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통신 모듈(990), 프로세서(92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930)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920)가, 상기 통신 모듈(92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20)와 통신을 수립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2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착용이 해제 된 상태인 것을 식별하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모드는 무음 모드이고, 상기 제2 알림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소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9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936) 또는 외장 메모리(9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9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9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9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전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하우징
12: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20: 웨어러블 장치
21: 웨어러블 장치의 하우징
23: 센서 모듈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시작되는 상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 변경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시작되는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알림 모드를 상기 제1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를 더 포함하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알림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을 상기 제2 알림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알림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정보가 확인된 것을 식별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상기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경우에,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을 수립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의 통신을 수립한 후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상태로 변경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모드는 무음 모드이고, 상기 제2 알림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소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시작되는 상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 변경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시작되는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알림 모드를 상기 제1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자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변경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알림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을 상기 제2 알림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알림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상황에서,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와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알림 모드가 상이한 상황에서, 지정된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알림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을 수립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의 통신을 수립한 후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상태로 변경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이 해제된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림 모드는 무음 모드이고, 상기 제2 알림 모드는 진동 모드 또는 소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computer-readable)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되었을 때 전자 장치로 하여금: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시작되는 상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 변경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시작되는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알림 모드를 제2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이 종료되는 상태로의 변경이 식별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알림 모드를 상기 제1 알림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0056557A 2018-05-17 2018-05-1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23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57A KR102523178B1 (ko) 2018-05-17 2018-05-1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6/415,429 US11190912B2 (en) 2018-05-17 2019-05-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201980028180.5A CN112042176B (zh) 2018-05-17 2019-05-17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EP19804021.4A EP3759904A4 (en) 2018-05-17 2019-05-17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CESS
CN202211393954.4A CN115718538A (zh) 2018-05-17 2019-05-17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PCT/KR2019/005958 WO2019221562A1 (en) 2018-05-17 2019-05-1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7/509,616 US11622247B2 (en) 2018-05-17 2021-10-2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8/193,132 US20230239664A1 (en) 2018-05-17 2023-03-3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20230049016A KR102561635B1 (ko) 2018-05-17 2023-04-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57A KR102523178B1 (ko) 2018-05-17 2018-05-1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016A Division KR102561635B1 (ko) 2018-05-17 2023-04-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758A KR20190131758A (ko) 2019-11-27
KR102523178B1 true KR102523178B1 (ko) 2023-04-19

Family

ID=685332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57A KR102523178B1 (ko) 2018-05-17 2018-05-17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30049016A KR102561635B1 (ko) 2018-05-17 2023-04-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016A KR102561635B1 (ko) 2018-05-17 2023-04-1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190912B2 (ko)
EP (1) EP3759904A4 (ko)
KR (2) KR102523178B1 (ko)
CN (2) CN115718538A (ko)
WO (1) WO2019221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178B1 (ko) 2018-05-17 202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56270B1 (ko) * 2020-04-02 2020-09-15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동일한 픽셀 메모리를 이용하여 저화질 모드와 고화질 모드로 동작이 가능한 서브 픽셀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9880A1 (en) * 2013-07-30 2015-02-05 Google In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wear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utomatic access mod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263A (ja) * 2002-10-28 2004-05-20 Sharp Corp 移動体端末装置
US20040127198A1 (en) * 2002-12-30 2004-07-01 Roskind James A. Automatically changing a mobile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
JP4470415B2 (ja) * 2003-08-05 2010-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5109655B2 (ja) 2007-12-28 2012-12-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腕装着型端末
US8538376B2 (en) * 2007-12-28 2013-09-17 Apple Inc. Event-based modes for electronic devices
CN101866152A (zh) 2009-04-15 2010-10-20 叶葳 自动识别配件或/和移动通信终端位置以改变信息提醒模式的方法和装置
KR102171444B1 (ko)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KR102043200B1 (ko) 2013-05-07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CN104427101B (zh) 2013-08-27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可佩戴设备、状态切换及标识信息发送方法
US8738723B1 (en) 2013-12-10 2014-05-27 Google Inc. Predictive forwarding of notification data
KR102152711B1 (ko) * 2014-01-13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56925B1 (ko) * 2014-02-2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절전 방법
RU2769974C2 (ru) * 2014-05-23 2022-04-12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ведомления
US9629120B2 (en) * 2014-05-23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US9584645B2 (en) 2014-06-04 2017-02-28 Grandios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with wearable devices
KR20160001166A (ko) 2014-06-26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알람모드를 전환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JP2016019160A (ja) * 2014-07-08 2016-02-0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04218B2 (en) * 2014-09-23 2018-10-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6052513A1 (ja) 2014-09-30 2016-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状態変化通知装置、身体装着型通信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状態変化通知方法
CN104363557B (zh) * 2014-11-12 2018-04-27 北京国承万通信息科技有限公司 第一设备及其与第二设备通信的方法以及通信系统
KR102349691B1 (ko) 2014-11-24 2022-01-11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US9385953B1 (en) 2015-02-03 2016-07-05 Google Inc. Mesh network addressing
US10067734B2 (en) 2015-06-05 2018-09-04 Apple Inc. Changing companion communication device behavior based on status of wearable device
KR20170017407A (ko) 2015-08-06 201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알림 제공 방법
US10827320B2 (en) 2015-12-04 2020-11-03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user is in physical contact with device
KR20170081896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760252B1 (en) * 2016-02-23 2017-09-12 Pebble Technology, Corp. Controlling and optimizing actions on notifications for a mobile device
CN106100663B (zh) 2016-06-29 2019-08-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和移动终端的互动装置及方法
CN106027798A (zh) * 2016-07-04 2016-10-12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及其装置
KR20180032403A (ko) * 2016-09-22 2018-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791196B (zh) * 2017-02-21 2020-01-31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切换情景模式的方法、装置及终端
CN107566604B (zh) 2017-07-12 2020-04-0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消息提醒的控制方法及用户终端
US11503460B2 (en) * 2017-12-13 2022-11-15 Arris Enterprises Llc Method for wearable device to work as net disk of mobile phone to protect users private data
KR102523178B1 (ko) 2018-05-17 202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39880A1 (en) * 2013-07-30 2015-02-05 Google Inc. Mobile computing device and wearable computing device having automatic access mod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9904A1 (en) 2021-01-06
KR20190131758A (ko) 2019-11-27
KR102561635B1 (ko) 2023-08-01
CN112042176A (zh) 2020-12-04
US20220046395A1 (en) 2022-02-10
US11190912B2 (en) 2021-11-30
US11622247B2 (en) 2023-04-04
CN115718538A (zh) 2023-02-28
CN112042176B (zh) 2022-11-25
EP3759904A4 (en) 2021-03-24
WO2019221562A1 (en) 2019-11-21
US20190357021A1 (en) 2019-11-21
KR20230054645A (ko) 2023-04-25
US20230239664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63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60776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086687B2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56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51198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KR20200005849A (ko) 외부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10101702A (ko)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108440A (ko) 저전력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20026475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andwriting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14763B1 (ko) 입력 장치 활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527896B1 (ko) 알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91278A (ko) 음성 입력과 관련된 비주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4455A (ko)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102606041B1 (ko)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
KR102524027B1 (ko) 발열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68678B1 (ko)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101809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KR102329770B1 (ko)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0778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93561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102566143B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57708A (ko) 밝기 조절 방법 및 hmd 장치
KR20190118762A (ko) 사용 이력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10063786A (ko) 하드웨어 리셋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17247A (ko) 휘도를 조절하는 전자 장치 및 그 휘도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