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43B1 -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 Google Patents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943B1
KR102555943B1 KR1020207033369A KR20207033369A KR102555943B1 KR 102555943 B1 KR102555943 B1 KR 102555943B1 KR 1020207033369 A KR1020207033369 A KR 1020207033369A KR 20207033369 A KR20207033369 A KR 20207033369A KR 102555943 B1 KR102555943 B1 KR 10255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tube
wire
overhead wire
guide rail
inse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837A (ko
Inventor
히로키 이시바시
토모히로 오리카와
히로아키 츠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경량이며 컴팩트한 구성이면서, 삽입 시의 방호관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방호관 삽입기를 제공한다. 방호관 삽입기(1)는, 2 방향으로부터 끼움지지(挾持)하는 전선 끼움지지부(10)에 의해 가공 전선(100)에 고정된다. 전선 끼움지지부(10)의 고정 끼움지지편(挾持片)측에는, 방호관의 슬릿에 끼워 넣는 삽입판(4)이 세워져 설치(立設)되어 있다. 고정 끼움지지편측에는 가공 전선(100)에 대어지는 전선받이부(2)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판(4)의 가장자리(4b)에는, 삽입측인 일단(一端)을 전선받이부(2)로 근접시켜 가공 전선(100)으로 경사지도록 가이드 레일(6)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6)의 일단과 전선받이부(2) 사이에 예각(銳角)으로 형성된 모서리부(隅部)(4a)에는, 방호관의 슬릿을 확장하는 폭확장구(擴幅具)(8)가 설치되어 있다. 전선 끼움지지부(10)의 가동(可動) 끼움지지편(14)측에는, 전선받이부(2)와 거의 평행하게, 가이드 레일(6)의 일단측을 향해 지지 핸들(16)이 연장 설치(延設)되어 있다.

Description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0001] 본 발명은, 전신주(電柱) 등에 가설된 전선을 덮는 방호관을 삽입하거나 또는 빼내기 위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0002] 수목(樹木) 등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가공 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방호관이 사용된다. 또한, 가공 전선의 근방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 또는 작업 기기가 전선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방호관은 이용된다.
[0003] 도 6은, 연결된 방호관(101)의 사시도이다.
[0004] 이 도 6에 나타낸 방호관(101)을 구성하는 본체부(102)와, 이 본체부(102)의 일단(一端)측에 형성된 암형(雌型) 끼움결합부(嵌合部)(103) 및 타단(他端)측에 형성된 수형(雄型) 끼움결합부(104)는,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절연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공 전선(10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내경(內徑)을 갖는 동시에, 본체부(102)의 상방(上方)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슬릿 형상의 개구부(開口部)(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질·형상에 의해, 개구부(107)를 열어 내측에 가공 전선(100)을 수용하고, 방호관(101)이 갖는 탄성에 근거한 복원력에 맡겨 닫게 함으로써, 가공 전선(100)을 덮을 수 있다. 개구부(107)를 형성하는 대향한 양단 가장자리부(兩端緣部)로부터는, 각각, 원통의 직경확장(擴徑, diameter expansion)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핀부(fin portion)(109)가 형성되어 있다.
[0005] 또한, 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호관(101)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수형 끼움결합부(10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 수형 끼움결합부(104)를 갖는 다른 방호관(101)과 접속 가능한 암형 끼움결합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연결되는 방호관(101)은 각각 소정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서로의 암수형(雌雄型) 끼움결합부(103, 104)에 의해 복수 개가 이어져 연장되어, 긴 가공 전선(100)을 덮을 수 있다.
[0006] 여기서, 수형 끼움결합부(104)는, 본체부(102)보다 외경(外徑)이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끼움결합부(103)에는, 끼움결합 시에 수형 끼움결합부(104)를 수용할 수 있고, 내부에서 결합시킬 수 있는 수용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형 끼움결합부(103)의 수용부(106)는, 수형 끼움결합부(104)보다 더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0007]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방호관(101)을 가공 전선(100)에 장착할 때는, 우선 1번째 방호관(101)을 가공 전선(100)에 삽입한 후, 이어서 2번째 방호관(101)의 선단(先端)을 가공 전선(100)에 삽입하고, 가공 전선(100)에 삽입된 상태로, 이들 2개의 방호관(101)을 서로의 암수형 끼움결합부(103, 104)에 의해 접속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가공 전선(100)에 복수 개의 방호관(101)이 삽입된다.
[0008]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방호관(101)을 가공 전선(100)에 삽입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0009] 도 7은, 종래의 관 삽입기(110)의 정면도이다. 이 관 삽입기(110)는, 상단(上端)의 전선 누름 앵글(111)과 가이드 본체(112)에 의해 끼우도록 하여 가공 전선(100)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112)로부터 연장되는 안내봉(113)을 따라 안내된 방호관(101)은, 가이드 본체(112)와 구동 타이어(116)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더 변위가 진행된 방호관(101)은, 확관(擴管)용 판(115)에 의해 개구부(107)(도 6 참조)가 확장되어 가공 전선(100)으로 인도된다.
[0010] 여기서, 가이드 본체(112)에는, 측면 및 하단(下端)측에, 방호관(101)과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해 롤러(roller)(127)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접촉(摺接, sliding contact) 저항을 저감하고, 구동 타이어(116)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손실하는 일 없이, 스무스하게 방호관(101)을 가공 전선(10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관 삽입기(110)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08-182135호
[0012] 상술한 바와 같은 관 삽입기(110)에는, 구동 타이어(116)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여, 그만큼 전체의 중량이 증대된다. 또한, 관 삽입기(110) 전체의 중량이 증대되는 데다가, 구동계(驅動系)의 설치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은 좋지 않다.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구동 타이어(116)를 포함하는 구동계의 구성을 생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0013] 한편, 파지(把持)되는 가공 전선(100)에 대해 안내봉(113)이 경사져 있으므로, 방호관(101)을 안내봉(113)을 따라 가공 전선(100)에 부딪칠 때, 방호관(101)은 가공 전선(100)측으로부터 큰 반력을 받는다. 이 때문에, 구동 타이어(116)를 생략한 구성에서는, 확관용 판(115)에서 방호관(101)이 탈락되지 않도록 가공 전선(100)측으로 눌러대면서 작업할 필요가 있다.
[0014] 따라서, 본 발명은, 경량이며 컴팩트한 구성이면서, 삽입 시의 방호관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방호관 삽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5]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는, 슬릿이 형성된 방호관을, 상기 슬릿의 일부를 확장하면서 가공 전선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부터 삽입하는 방호관 삽입기로서, 상기 가공 전선에 대어지는 전선받이부와, 상기 전선받이부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슬릿 내에 끼워 넣는 삽입판과,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전선받이부와의 사이에서 예각(銳角)의 모서리부(隅部)를 형성하도록 상기 삽입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방호관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삽입판의 상기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측을 향해 서서히 두께를 늘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전선받이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급경사(急勾配)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폭확장구(擴幅具)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또한, 본 발명의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삽입판이 일체로 설치된 고정 끼움지지편(挾持片), 및 가동(可動) 끼움지지편에 의해 두 방향으로부터 상기 가공 전선을 끼움지지하는 전선 끼움지지부와, 상기 전선 끼움지지부의 상기 가동 끼움지지편측에 있어서, 상기 일단측을 향해 연장 설치(延設)된,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또한, 본 발명의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폭확장구의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에지(edge) 중, 상기 일단측의 영역 쪽이 상기 삽입판에 대해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과 전선받이부 사이의 삽입판 상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폭확장구에는, 가이드 레일보다 급경사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릿이 확장되면서 폭확장구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는 방호관은, 단차를 따라 가공 전선측으로 유도된다. 이에 의해, 단차를 토대로 하여 방호관을 가공 전선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선단이 가공 전선에 부딪힐 때의 반동에 대해 방호관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9]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전선 끼움지지부에는, 삽입판이 일체로 설치된 고정 끼움지지편과는 가공 전선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인 가동 끼움지지편측에 지지 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공 전선에서 떨어진 위치를 통과하는 방호관의 무게에 의해 흔들리는 방호관 삽입기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핸들은, 설치되는 가공 전선이 연장되는 방향인 가이드 레일의 일단측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고, 가공 전선에 대해 거의 평행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꿔 잡거나 크게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어느 각도에서나 안정적으로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폭확장구 상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에지는, 가이드 레일의 일단측, 즉, 방호관의 삽입측 쪽이, 삽입판에 대해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확장된 방호관은 단차에 걸리는 일 없이 스무스하게 폭확장구에서 벗어나, 가공 전선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호관 삽입기를 정면측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호관 삽입기의 일부(후술하는 폭확장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폭확장구 중 한쪽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저면도, (d)는 확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방호관 삽입기의 사용 상태로서, (a)는 삽입판 상에 방호관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 (b)는 폭확장구 상에 방호관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폭확장구를 통과하는 방호관의 상태를 비교하는 것으로, (a)는 방호관의 선단이 통과하는 상태, (b)는 방호관의 중간부가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방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관 삽입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0022] 이하, 본 발명의 방호관 삽입기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23]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호관 삽입기(1)를 정면측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방호관 삽입기(1)의 일부(후술하는 폭확장구(8))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방호관을 삽입하는 방향을 삽입측으로 하여 설명을 한다. 또한, 설명 중에 나오는 방호관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 6의 방호관(101)을 참조하기로 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릿(107)에 핀부(109)가 형성된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을 한다.
[0024] 방호관 삽입기(1)는, 두 방향으로부터 가공 전선(100)을 끼움지지하는 전선 끼움지지부(10)를 갖고 있다. 이 전선 끼움지지부(10)는, 상방에 고정 끼움지지편으로서의 전선받이 금구(金具)(2)를 갖고, 하방(下方)측에는 전선받이 금구(2)와 대향하는 가동 끼움지지편(14)을 갖고 있다. 전선받이 금구(2)는, 가공 전선(100)의 외면(外面)을 따라 댈 수 있도록, 하방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0025] 전선받이 금구(2)에는 거의 삼각형의 판 형상(板狀)의 삽입판(4)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삽입판(4)은, 방호관(101)의 슬릿(107) 내에 끼워 넣어져 비틀림을 수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0026] 이 삽입판(4)의 상단의 가장자리(4b)를 따라 가이드 레일(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6)은, 삽입판(4)의 상단의 가장자리(4b)와 함께 방호관(101) 내에 들어가며, 방호관(101)을 내측으로부터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가이드 레일(6)에는,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재가 사용되고 있다.
[0027] 가이드 레일(6)의 일단이 전선받이 금구(2)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예각의 모서리부(4a)에는, 폭확장구(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폭확장구(8)는, 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삽입판(4)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폭확장구(8)는 삽입판(4)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삽입판(4)에서 떼어낸 상태는, 도 2의 분해도에 나타나 있다. 2개의 나사에 의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0028]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술한 전선받이 금구(2)는, 폭확장구(8)의 근방에서 폭을 증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호관(101)이 가이드 레일(6) 위를 미끄러져 가공 전선(100)측으로 옮겨 탈 때, 가공 전선(100)의 외피가 방호관(101)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29] 폭확장구(8)의 폭은, 가공 전선(100)에 대해 스무스하게 방호관(101)이 이동할 수 있는 사이즈로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 레일(6)의 폭보다 크며, 또한, 전선받이 금구(2)의 폭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폭확장구(8)의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6)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단차(8e)(도 3을 이용하여 후술함)가 형성되어 있다.
[0030] 다음으로, 폭확장구(8)의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0031] 도 3은, 2개의 파트(parts) 중 한쪽 폭확장구(8)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저면도, (d)는 우측면도이다. 또한, (d)의 우측면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언급한 단차(8e)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면에는 빗금을 침으로써 위치 관계를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방호관(101)의 삽입측은, 지면(紙面)의 좌측이다.
[0032] 우선 도 3의 (a)의 정면도를 참조하면, 폭확장구(8)에는 4개의 면이 나타나 있다. 이들 면 중, 지면의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면은, 가공 전선(100)에 삽입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6)(도 1 참조) 위를 이송되어 오는 방호관(101)이 최초로 올라타는 스쿱핑부(scooping portion)(8a)가 형성하는 면이다. 이 스쿱핑부(8a)에 의해, 선두에서 이송되어 오는 방호관(101)의 개구측인 슬릿(107)이 건져내어지듯이 넓혀진다.
[0033] 이 스쿱핑부(8a)에 대해 삽입측에 연결되는 면은, 제1 서변부(徐變部, gradual change portion)(8b)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다. 제1 서변부(8b)는, 삽입판(4)(도 1 참조)을 기준으로 보면, 스쿱핑부(8a)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스쿱핑부(8a)에 의해 확장의 계기가 얻어진 슬릿(107)은, 방호관(101)이 삽입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서변부(8b)에 올라타 완만하게 확장된다.
[0034] 제1 서변부(8b)의 상방에 나타나 있는 면은, 제2 서변부(8c)인 측면이다. 제2 서변부(8c)는, 제1 서변부(8b)보다 약간 경사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자 간에는 단차(8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각의 크기의 차이는, 도 3의 (b)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제1 서변부(8b)의 경사면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경사각의 크기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8e)는, 도 3의 (c)의 저면도에 빗금을 쳐서 나타내어져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d)에 있어서도, 단차(8e)를 형성하고 있는 면에 빗금이 쳐져 있다.
[0035] 마지막으로, 제2 서변부(8c)의 좌측에 나타나 있는 면은, 폭확장구(8)에 의한 확장폭을 규정하는 폭규정부(8d)인 외면이다. 폭확장구(8) 중에서, 이 폭규정부(8d)가 가장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폭규정부(8d)인 외면은, 삽입판(4)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0036] 여기부터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0037] 도 4는, 방호관 삽입기(1)의 사용 상태로서, (a)는 삽입판(4) 상에 방호관(101)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 (b)는 폭확장구(8) 상에 방호관(101)의 선단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0038] 수지재로 형성된 방호관(101)의 슬릿(107)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닫혀 있으므로, 폭확장구(8)에 도달할 때까지는, 삽입면에 대해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송되어 온다. 가이드 레일(6)은, 이 닫혀진 슬릿(107)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러프(rough)한 조작이더라도 빠지는 일 없이, 폭확장구(8)까지 도달할 수 있다.
[0039]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호관(101)의 선단이 폭확장구(8)에 도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슬릿(107)인 개구측이 스쿱핑부(8a)에 올라타고, 제1 서변부(8b)로 이동한다. 여기서, 도 3의 (a)로 되돌아와, 스쿱핑부(8a)와 제1 서변부(8b) 사이에 형성되는 능선은, 가이드 레일(6)과 동일한 측으로 경사지며, 또한, 가이드 레일(6)보다 급격한 경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쿱핑부(8a)로부터 제1 서변부(8b)로 이동할 때, 방호관(101)의 개구인 슬릿(107)은, 능선을 따라 가공 전선(100)측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가이드 레일(6)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이송되어 온 방호관(101)은, 어떤 높이이더라도, 제1 단계로서 스쿱핑부(8a)와 제1 서변부(8b) 사이의 능선에 의해 가공 전선(100)측으로 위치 수정된다.
[0040] 계속해서, 제1 서변부(8b) 위를 방호관(101)의 슬릿(107)이 통과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서변부(8c)와의 사이에 단차(8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단차(8e)에 슬릿(107)의 단부(端部)가 부딪힌다. 부딪힌 슬릿(107)은, 단차(8e)에 형성되어 있는 에지를 따라 유도된다. 여기서, 이 에지에 대해, 제1 서변부(8b)와 제2 서변부(8c) 사이의 에지를 제1 에지(8f)라고 하고, 폭규정부(8d)와 제1 서변부(8b) 사이의 에지를 제2 에지(8g)라고 칭하기로 한다.
[0041] 즉, 스쿱핑부(8a)로부터 이동해 온 방호관(101)은, 우선, 제1 에지(8f)를 따라 제1 서변부(8b) 위를 이동한다. 이 제1 에지(8f)는, 상술한 능선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6)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또한, 가이드 레일(6)보다 급경사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능선과 비교하면 경사는 작으므로, 완만하게 가공 전선(100)측으로 유도된다.
[0042] 방호관(101)이 제1 서변부(8b)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는 단계에서, 방호관(101)의 핀부(109)의 일부가 전선받이 금구(2)의 상측에 걸리기 시작한다. 스쿱핑부(8a)로부터 제1 서변부(8b)로 나아가며 슬릿(107)의 폭이 확장되고 있는 단계에서, 핀부(109)는 가공 전선(100)의 외경을 따르는 데 충분한 폭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서서히, 가공 전선(100)측의 확장 작용이 지배적이 되므로, 방호관(101)은 폭확장구(8)로부터 가공 전선(100)측으로 스무스하게 옮겨 타는 것이 가능하다.
[0043]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에지(8f)의 삽입측에는, 삽입판(4)을 기준으로 한 경사가 제1 에지(8f)보다 완만한 제2 에지(8g)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핀부(109)가 가공 전선(100)측에 충분히 올라탄 상태에서는 방호관(101)의 내벽이 걸리는 일 없이 제1 에지(8f)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확장구(8)에 형성된 에지에 대해, 비교적 경사가 큰 제1 에지(8f)로부터, 삽입측이며 경사가 작은 제2 에지(8g)로 연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방호관(101)의 선단의 슬릿(107)이 스무스하게 가공 전선(100)을 타고 넘을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0044]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정면 뷰(正面視)에 의한 동작 설명을 한다.
[0045] 도 5는, 폭확장구(8)를 통과하는 방호관(101)의 상태를 비교하는 것으로, (a)는 방호관(101)의 선단이 통과하는 상태, (b)는 방호관(101)의 중간부가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호관(101)의 위치를 점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핀부(109)의 위치에 빗금을 쳐서 나타내고 있다.
[0046] 도 5의 (a)를 참조하여, 방호관(101)의 선단이 삽입될 때는, 선단의 개구부(107)의 가장자리가 가공 전선(100)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가이드 레일(6)을 따라 방호관(101)이 직선적으로 밀려나온다. 따라서, 밀려나와 전선받이 금구(2)에 접촉한 방호관(101)은, 전선받이 금구(2)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가공 전선(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와 같이, 아직 가공 전선(100)측으로 충분히 이행되지 않은 단계에서는, 전선받이 금구(2)(또는 가공 전선(100))로부터의 반동에 의해 방호관(101)이 가이드 레일(6)에서 빠지기 쉬운 상태에 있어, 종래부터 과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핀부(109)가 가공 전선(100)측에 충분히 걸릴 때까지, 바꿔 말하면, 핀부(109)가 가공 전선(100)과 교차할 때까지는, 제1 에지(8f)에 의한 가공 전선(100)측으로 밀어붙이는 작용이 유효하므로, 방호관(10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0047]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여, 방호관(101)의 선단이 가공 전선(100)을 수용하고, 방호관(101)의 중간 위치가 폭확장구(8) 근방을 통과하는 단계에 있어서는, 약간 휨을 일으켜 가이드 레일(6)을 따르면서도, 가이드 레일(6)과 전선받이 금구(2)의 교차 위치에서는 부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이미 삽입측에서 방호관(101)이 가공 전선(100)을 단단히 물고 있기 때문에, 방호관(101)이 탈락되는 일은 없다.
[0048] 여기서, 핀부(109)와 제2 에지(8g)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 도 5의 (a), (b)의 상태를 비교한다. 도 5의 (a)에서는, 핀부(109)의 상단측, 즉, 슬릿(107)의 위치는, 제1 에지(8f)에서 벗어나, 제2 에지(8g) 상으로 이동하고 있다. 즉, 방호관(101)의 선단이 전선받이 금구(2)로부터의 밀어올림을 받고 있는 단계(가장 저항이 커지는 단계)이며, 부상을 억제하기 위해 충분한 힘을 얻고 있는 단계이기도 하다.
[0049] 이에 반해, 도 5의 (b)에서는, 약간 방호관(101)이 떠오르기는 하지만, 이미 가공 전선(100)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열린 슬릿(107)이 복원력에 의해 닫히려고 하는 힘이 가해지고 있다. 즉, 이 복원력에 의해 부상이 억제되고 있으므로, 이 단계에 있어서는, 폭확장구(8)와 방호관(101) 간의 마찰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핀부(109)가 겹쳐 있는 제2 에지(8g)와의 사이에는, 제1 에지(8f)에 대한 마찰과 같은 걸림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방호관(101)에 가공 전선(100)이 수용되면, 제1 에지(8f)와의 사이의 마찰이 급격히 저감되므로, 거의 저항 없이 방호관(101)을 내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호관 삽입기(1)에 따르면, 방호관(101)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가공 전선(100)으로의 부딪침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며, 나아가, 걸림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스무스하게 방호관(101)을 내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1]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6)을 가공 전선(100)의 상방에 배치하여 스무스하게 방호관(101)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가이드 레일(6)을 하방에 배치하고 있던 구성의 대부분에서 채용되어 있던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6)에 대향하여 가이드 롤러 등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전체를 간이하고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0052]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방호관 삽입기(1)를, 가이드 레일(6)이 가공 전선(1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전체를 반전시켜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에지(8f) 및 제2 에지(8g)(주로 제1 에지(8f))에 의해 상방의 가공 전선(100)측을 향해 방호관(101)을 들어 올리도록 힘이 작용하므로, 방호관(101)을 탈락시키는 일 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0053] 그런데, 가이드 레일(6)이 가공 전선(100)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방호관(101)의 중량이 가이드 레일(6) 상에 가해지게 된다.
[0054] 이에 대해 방호관 삽입기(1)는, 전선 끼움지지부(10)에 의해 가공 전선(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공 전선(100)에서 많이 떨어져 있는 가이드 레일(6)의 편측(상기 모서리부(4a)측인 일단과는 반대인 타단측)은 불안정해지기 쉽다.
[0055]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에서는, 전선 끼움지지부(10)의 가동 끼움지지편(14)측에 지지 핸들(1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도 1 참조), 가이드 레일(6)측의 방호관(101)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0056] 또한, 지지 핸들(16)이 연장되는 방향을 가공 전선(1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가공 전선(100)을 중심으로 하여 방호관 삽입기(1)가 회전하려고 하는 움직임을 억제하는 경우, 가공 전선(100)에 대한 평행 자세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지지 핸들(16)을 잡는 손목이 부자연스럽게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057]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이하와 같은 변형도 포함된다.
[0058]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폭확장구(8)의 측면에 형성된 에지는, 삽입판(4)에 대한 경사가 비교적 급격한 제1 에지(8f)의 삽입측에, 이보다 완만한 경사인 제2 에지(8g)가 연결 설치(連設)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에지는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0059]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폭확장구(8)의 제1 서변부(8b)에 연결 설치하여 스쿱핑부(8a)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삽입판(4)에서 제1 서변부(8b)로 직접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스쿱핑부(8a)가 형성됨으로써, 제1 서변부(8b)의 경사를 완만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60]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핸들(16)은, 가공 전선(100)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6)의 일단측인 삽입측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면, 지지 핸들(16)은 가공 전선(100)에 대해 완전하게 평행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0061]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선받이 금구(2)는, 전선 끼움지지부(10)에 있어서 가동 끼움지지편(14)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고정 끼움지지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가공 전선(100)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선받이 금구(2)와 가공 전선(100)을 고정하는 고정 끼움지지편은 별개의 개체(別體)로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0062] 본 발명의 방호관 삽입기(1)는, 가공 전선(100)에 대해 스무스하게 방호관(101)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므로, 방호관(101)을 삽입하는 용도뿐만 아니라, 방호관(101)을 빼내는 작업에도 유용하다.
1: 방호관 삽입기
2: 전선받이 금구(전선받이부, 고정 끼움지지편)
4: 삽입판
4a: 모서리부
4b: 가장자리
6: 가이드 레일
8: 폭확장구
8a: 스쿱핑부
8b: 제1 서변부
8c: 제2 서변부
8d: 폭규정부
8e: 단차
8f: 제1 에지
8g: 제2 에지
10: 전선 끼움지지부
14: 가동 끼움지지편
16: 지지 핸들
100: 가공 전선
101: 방호관
102: 본체부
103: 암형 끼움결합부
104: 수형 끼움결합부
106: 수용부
107: 개구부(슬릿)
109: 핀부
110: 관 삽입기
111: 앵글
112: 가이드 본체
113: 안내봉
115: 확관용 판
116: 구동 타이어
127: 롤러

Claims (3)

  1. 슬릿이 형성된 방호관을, 상기 슬릿의 일부를 확장하면서 가공 전선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부터 삽입하는 방호관 삽입기로서,
    상기 가공 전선에 대어지는 전선받이부와,
    상기 전선받이부에 세워져 설치(立設)되고, 상기 슬릿 내에 끼워 넣는 삽입판과,
    일단(一端)측에 있어서 상기 전선받이부와의 사이에서 예각(銳角)의 모서리부(隅部)를 형성하도록 상기 삽입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방호관의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摺接, sliding contact)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삽입판의 상기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측을 향해 서서히 두께를 늘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전선받이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 급경사(急勾配)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폭확장구(擴幅具)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이 일체로 설치된 고정 끼움지지편(挾持片), 및 가동(可動) 끼움지지편에 의해 두 방향으로부터 상기 가공 전선을 끼움지지하는 전선 끼움지지부와,
    상기 전선 끼움지지부의 상기 가동 끼움지지편측에 있어서, 상기 일단측을 향해 연장 설치(延設)된,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핸들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확장구의 상기 단차를 형성하는 에지(edge) 중, 상기 일단측의 영역 쪽이 상기 삽입판에 대해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KR1020207033369A 2018-05-21 2019-05-16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KR102555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97089A JP6970411B2 (ja) 2018-05-21 2018-05-21 簡易型防護管挿入器
JPJP-P-2018-097089 2018-05-21
PCT/JP2019/019525 WO2019225478A1 (ja) 2018-05-21 2019-05-16 簡易型防護管挿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837A KR20210003837A (ko) 2021-01-12
KR102555943B1 true KR102555943B1 (ko) 2023-07-13

Family

ID=6861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369A KR102555943B1 (ko) 2018-05-21 2019-05-16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70411B2 (ko)
KR (1) KR102555943B1 (ko)
CN (1) CN112154583B (ko)
TW (1) TWI809105B (ko)
WO (1) WO2019225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239532A1 (ko) 2021-05-11 2022-11-17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28A (ja) 2000-12-22 2002-07-12 Kandenko Co Ltd 防護管装脱装置
JP2013051775A (ja) * 2011-08-30 2013-03-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防護管挿入機
JP2014158405A (ja) * 2013-02-18 2014-08-28 Nagaki Seiki Co Ltd 防護管挿入器
JP2016119744A (ja)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永木精機 防護管挿抜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2135A (ja) 1994-12-26 1996-07-12 Nishi Nippon Densen Kk 管挿入器
JP4150457B2 (ja) * 1998-12-25 2008-09-17 米沢電線株式会社 防護管挿入機
CN2520601Y (zh) * 2001-11-12 2002-11-13 霍晓林 架空电缆警示性保护套
JP4355595B2 (ja) * 2004-03-12 2009-11-04 中国電力株式会社 防護管脱着装置
DE102006062545B4 (de) * 2006-12-29 2008-09-18 Flexa Gmbh & Co. Produktion Und Vertrieb Kg Hilfswerkzeug, Set mit einem Hilfswerkzeug, einem Schutzschlauch sowie einem Verschlusselement und Anordnung mit einem Vorrat eines Schutzschlauchs sowie einem Hilfswerkzeug
JP5033846B2 (ja) * 2009-07-23 2012-09-26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取付補助具、装着方法、および脱着方法
JP2016111737A (ja) * 2014-12-02 2016-06-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装着治具
JP6710010B2 (ja) * 2016-07-11 2020-06-17 西日本電線株式会社 保護管装着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9528A (ja) 2000-12-22 2002-07-12 Kandenko Co Ltd 防護管装脱装置
JP2013051775A (ja) * 2011-08-30 2013-03-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防護管挿入機
JP2014158405A (ja) * 2013-02-18 2014-08-28 Nagaki Seiki Co Ltd 防護管挿入器
JP2016119744A (ja) 2014-12-19 2016-06-30 株式会社永木精機 防護管挿抜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205232A (ja) 2019-11-28
JP6970411B2 (ja) 2021-11-24
KR20210003837A (ko) 2021-01-12
CN112154583A (zh) 2020-12-29
TW202013844A (zh) 2020-04-01
WO2019225478A1 (ja) 2019-11-28
CN112154583B (zh) 2022-06-03
TWI809105B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801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가이드 레일
JP6669797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スライドレールのための取り付け方法
TW548382B (en) Protective guide for cables and the like
KR102555943B1 (ko)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
US20040203270A1 (en) Protective cover and electric outlet arrangement
US20060131048A1 (en) Continuous electric power-supplying device
JP2019181148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ラックシステム
SE466984B (sv) Elektrisk dammsugare med dammsugarroerhaallare
US6463728B1 (en) Cable guide
US6751828B2 (en) Device for bundling objects, such as cable bundles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NO133004B (ko)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EP3352314B1 (en) Cables and stacked cables including multi-joint supporting member
US11305441B2 (en) Tool for removing a head assembly or a knot of a tie secured around an object
US11266239B1 (en) Slide rail assembly
US6085959A (en) Nailer magazine with blocking device
CN210321419U (zh) 一种护甲器械
KR102160751B1 (ko)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KR20080020835A (ko)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US4089111A (en) Utility tool
CN211431930U (zh) 一种床护栏拼接结构
KR200312485Y1 (ko) 낚시대용 뒷 받침대
JP2783759B2 (ja) ボールリテーナ組立体
TWI808735B (zh) 防護管安裝器、防護管安裝裝置、及防護管安裝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