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855B1 -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 Google Patents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55B1
KR102555855B1 KR1020210054642A KR20210054642A KR102555855B1 KR 102555855 B1 KR102555855 B1 KR 102555855B1 KR 1020210054642 A KR1020210054642 A KR 1020210054642A KR 20210054642 A KR20210054642 A KR 20210054642A KR 102555855 B1 KR102555855 B1 KR 10255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ing
bracket
outer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774A (ko
Inventor
김성술
김동의
장병구
최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21005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Side mounting radiator bracket with press-in bush}
본 발명은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폭 방향 양측에 쿨링모듈 고정을 위한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공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한 집합체를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모듈과 헤드램프 및 범퍼빔을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중앙에 배치된 캐리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의 쿨링모듈 장착부에 라디에이터와 콘덴서 및 팬슈라우드를 포함한 쿨링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헤드램프 장착부에는 헤드램프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전면에는 범퍼빔이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일반적으로 쿨링모듈을 캐리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쿨링모듈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는 마운팅 브래킷을 캐리어에 상부 및 하부에 형성하여 쿨링모듈을 캐리어에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감소 측면에서 유리한 사이드 마운팅 브래킷을 적용한 캐리어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사이드 마운팅 구조를 갖는 캐리어(10)와 쿨링모듈(20)의 결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사이드 마운팅 구조를 갖는 캐리어(10)와 쿨링모듈(2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쿨링모듈(20)은 라디에이터의 좌우측에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캐리어(10)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사이드 마운팅(11)에 끼움 결합된다.
도 3에는 사이드 마운팅(1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마운팅(11)은 몸체(11a)와, 몸체(11a)에 끼움 결합되는 방진부재(11b) 및 방진부재(11c)의 중앙에 형성된 모듈결합홀(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1a)는 수지재로 이루어져 쿨링모듈(2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방진부재(11b)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쿨링모듈(20)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고 좌우 유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11)은 인서트 사출 형태로 제조 단가가 높고, 일체형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차량 특성(대형, 소형 등)에 따라 새로운 사이드 마운팅을 제작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5016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1418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748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612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일체형 구조보다 낮은 단가를 갖는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립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측성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부시에 후크를 구비하여 브라켓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이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10)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10)에는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아우터링(600)의 양쪽 테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후크(620)가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620)는 상기 아우터링의 외주면(610)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후크(620) 중의 하나의 후크(620a)는 상기 아우터링 외주면(610)의 한쪽 테두리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후크경사부(622a)와, 상기 후크경사부(622a)가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크턱부(621a)가 구비되고,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후크(620) 중의 나머지 하나의 후크(620b)는 상기 아우터링 외주면(610)의 다른 쪽 테두리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후크경사부(622b)와, 상기 후크경사부(622b)가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크턱부(621b)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후크(620a)의 후크턱부(621a)와 나머지 하나의 후크의 후크턱부(621b)가 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800)은 상기 내주면(81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링부(840)와, 상기 제1링부(840)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2링부(850)와, 상기 제1링부(840)와 상기 제2링부(850)를 연결하는 연결부(8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링부(840)의 양쪽 테두리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620)가 끼워지도록 오목부(820)가 구비되고,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의 제1링부(84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후크(620)의 양쪽에는 제1절개선(631)과 제2절개선(632)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절개선(631) 및 제2절개선(632)은 상기 후크턱부(621)보다 안쪽으로 더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절개선(631)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1절개선(631)이 안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소공(6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선(632)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2절개선(632)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소공(6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1소공(633a,633b)의 중심선 및 상기 제2소공(634a,634b)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 즉 서로 마주보는 제1절개선(631)들의 중심선 및 상기 제2절개선(632)들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L1이라 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후크턱부(621a,621b) 사이의 거리를 L2 라 할 때 L1 < L2 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620)가 상기 제1절개선(631)과 상기 제2절개선(632)에 의해,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의 제1링부(840)에 결합될 때에 상기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500)에는 상기 아우터링(600)에 형성된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620)가 형성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를 제거하여 후크홈부(5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일체형 구조보다 낮은 단가를 갖는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형으로 제작하여 차량 특성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시에 후크를 구비하여 브라켓에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 캐리어와 쿨링모듈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 캐리어와 쿨링모듈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사이드 마운팅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B"부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B"부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이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10)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과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10)에는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아우터링(600)의 양쪽 테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후크(620)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620)는 상기 아우터링의 외주면(610)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후크(620) 중의 하나의 후크(620a)는 상기 아우터링 외주면(610)의 한쪽 테두리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후크경사부(622a)와, 상기 후크경사부(622a)가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크턱부(62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후크(620) 중의 나머지 하나의 후크(620b)는 상기 아우터링 외주면(610)의 다른 쪽 테두리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후크경사부(622b)와, 상기 후크경사부(622b)가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크턱부(621b)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하나의 후크(620a)의 후크턱부(621a)와 나머지 하나의 후크의 후크턱부(621b)가 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800)은 상기 내주면(81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링부(840)와, 상기 제1링부(840)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2링부(850)와, 상기 제1링부(840)와 상기 제2링부(850)를 연결하는 연결부(8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링부(840)의 양쪽 테두리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620)가 끼워지도록 오목부(8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의 제1링부(84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후크(620)의 양쪽에는 제1절개선(631)과 제2절개선(6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개선(631) 및 제2절개선(632)은 상기 후크턱부(621)보다 안쪽으로 더 절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절개선(631)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1절개선(631)이 안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소공(6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절개선(632)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2절개선(632)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소공(634)이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1소공(633a,633b)의 중심선 및 상기 제2소공(634a,634b)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L1 이라 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후크턱부(621a,621b) 사이의 거리를 L2 라 할 때 L1 < L2 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620)가 상기 제1절개선(631)과 상기 제2절개선(632)에 의해,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의 제1링부(840)에 결합될 때에 상기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500)에는 상기 아우터링(600)에 형성된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620)가 형성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를 제거하여 후크홈부(5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은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에 삽입되어 끼워질 때 억지 끼워 맞춤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부시부(700)가 상기 브라켓(800)에 결합될 때, 상기 아우터링(600)의 후크(620)는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10)과 접촉하여 눌리면서 압입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620)는 후크홈부(520) 측으로 눌려 후크홈부(520) 내로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800)의 오목부(820)에 도달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후크(620)는 오목부(820) 끼워져 상기 부시부(700)와 브라켓(800)이 견고히 결합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의 결합수단은 상기 아우터링(600)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끼움부(640)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640)는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640)는 상기 아우터링(600)의 하나의 테두리에서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650)의 끝단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나머지 하나의 테두리 쪽으로 외주면과 평행하도록 돌출된 평행돌출부(660)가 구비되어 상기 평행돌출부(660)와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사이에는 끼움공간부(67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행돌출부(660)에서 상기 연장부(650)의 반대쪽 끝단(669)에는 제1간극(664)과 제2간극(6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간극(664)과 상기 제2간극(665)으로 형성된 외팔보(666)에서 상기 끝단(669)에는 제3후크부(66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800)은 상기 내주면(81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링부(840)와, 상기 제1링부(840)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2링부(850)와, 상기 제1링부(840)와 상기 제2링부(850)를 연결하는 연결부(8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링부(840)와 상기 제2링부(850) 사이에는 상기 평행돌출부(660)가 끼워져 조립되는 평행홈부(8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평행돌출부(660)와 상기 아우터링의 외주면(610) 사이의 끼움공간부(670)에는 상기 연장부(650)에서 튀어나온 리브부(651)가 구비되어 상기 리브부(651)는 상기 평행돌출부(660)와 상기 아우터링의 외주면(610)을 연결시켜 평행돌출부(660)의 강성을 높이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800)의 상기 제1링부(840)에서 상기 평행홈부(870)를 형성하는 부위에는 상기 리브부(651)가 끼워지는 리브홈부(841)가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링(600)에 형성된 리브부(651)가 상기 리브홈부(841)에 끼워져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에 타이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800)의 상기 제2링부(850)에서 상기 평행홈부(870)를 형성하는 부위에는 상기 제3후크부(661)가 끼워지는 제3후크홈부(851)가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링(600)에 형성된 리브부(651)가 상기 리브홈부(841)에 끼워져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에 타이트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차량용 캐리어 200 : 쿨링모듈
210 : 결합부 300 :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
400 : 이너링 410 : 통공부
500 : 탄성부 520 : 후크홈부
600 : 아우터링 610 : 외주면
620 : 후크 621 : 후크턱부
622 : 후크경사부 631 : 제1절개선
632 : 제2절개선 633 : 제1소공
634 : 제2소공 640 : 끼움부
650 : 연장부 651 : 리브부
660 : 평행돌출부 661 : 제3후크부
664 : 제1간극 665 : 제2간극
666 : 외팔보 669 : 끝단
670 : 끼움공간부 700 : 부시부
800 : 브라켓 810 : 내주면
820 : 오목부 840 : 제1링부
850 : 제2링부 851 : 제3후크홈부
860 : 연결부 870 : 평행홈부

Claims (10)

  1. 차량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라디에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모듈(200)과,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도록 차량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을 포함하는 차량용 캐리어(10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300)은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 고정되는 부시부(700)와, 상기 부시부(700)와 결합되면서 상기 캐리어(100)에 장착되는 브라켓(8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시부(700)는 상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통공부(410)가 구비된 이너링(400)과 상기 이너링(4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탄성부(500)와 상기 탄성부(50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아우터링(6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이 상기 브라켓(800)의 내주면(810)에 끼워져 결합하기 위해 상기 아우터링(600)의 양쪽 테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후크(620)가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후크 중 하나의 후크(620a)는 상기 아우터링 외주면(610)의 한쪽 테두리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후크경사부(622a)와, 상기 후크경사부(622a)가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610)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크턱부(621a)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후크(620b)는 상기 아우터링 외주면(610)의 다른 쪽 테두리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부로부터 점점 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후크경사부(622b)와, 상기 후크경사부(622b)가 끝나는 부위에서 상기 아우터링(6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크턱부(621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800)은 상기 내주면(81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링부(840)와, 상기 제1링부(840)의 바깥쪽에 형성된 제2링부(850)와, 상기 제1링부(840)와 상기 제2링부(850)를 연결하는 연결부(86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부(840)의 양쪽 테두리에는 상기 한 쌍의 후크(620)가 끼워지도록 오목부(8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의 제1링부(84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후크(620)의 양쪽에는 제1절개선(631)과 제2절개선(632)이 형성되되,
    상기 제1절개선(631) 및 제2절개선(632)은 상기 후크턱부(621)보다 안쪽으로 더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선(631)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1절개선(631)이 안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소공(6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절개선(632)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2절개선(632)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소공(6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제1절개선(631)들의 중심선 및 상기 제2절개선(632)들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를 L1 이라 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후크턱부(621a,621b) 사이의 거리를 L2 라 할 때 L1 < L2 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620)가 상기 제1절개선(631)과 상기 제2절개선(632)에 의해, 상기 아우터링(600)이 상기 브라켓(800)의 제1링부(840)에 결합될 때에 상기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500)에는 상기 아우터링(600)에 형성된 후크(620)가 아우터링(600)의 안쪽으로 이동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620)가 형성된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를 제거하여 후크홈부(5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10. 삭제
KR1020210054642A 2021-04-27 2021-04-27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255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42A KR102555855B1 (ko) 2021-04-27 2021-04-27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42A KR102555855B1 (ko) 2021-04-27 2021-04-27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774A KR20220147774A (ko) 2022-11-04
KR102555855B1 true KR102555855B1 (ko) 2023-07-17

Family

ID=8410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42A KR102555855B1 (ko) 2021-04-27 2021-04-27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7152A1 (en) 2021-11-23 2023-12-2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ase having natural heat-dissipating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8101A (ja) 2008-09-27 2010-04-08 Tokai Rubber Ind Ltd 防振ゴムブッシュ
KR101315768B1 (ko) 2011-11-24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롤로드
KR101845215B1 (ko) 2016-09-30 2018-04-04 (주)화신 차량용 부시장치
KR101926936B1 (ko) 2016-12-15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쿨링모듈 사이드마운팅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477B1 (ko) 2003-11-25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라디에이터의 장착용 완충부재
KR101566128B1 (ko) 2014-11-27 2015-11-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쿨링 모듈 마운팅 구조
KR101974822B1 (ko) 2017-11-28 2019-05-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쿨링모듈 마운팅 브라켓
KR102394854B1 (ko) * 2017-12-12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라스틱 부시 및 그 제조장치
KR20190141822A (ko) 2018-06-15 2019-12-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사이드 마운팅 구조의 차량용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8101A (ja) 2008-09-27 2010-04-08 Tokai Rubber Ind Ltd 防振ゴムブッシュ
KR101315768B1 (ko) 2011-11-24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롤로드
KR101845215B1 (ko) 2016-09-30 2018-04-04 (주)화신 차량용 부시장치
KR101926936B1 (ko) 2016-12-15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쿨링모듈 사이드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774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6384B2 (en) Vibration prevention device
US10208847B1 (en) Structure of transmission mount
KR102555855B1 (ko)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JP4587249B2 (ja) ばね脚支承部
CN107921862B (zh) 微型剪切毂双环隔离器
JP2010060022A (ja) 防振ブッシュ
JP3893977B2 (ja) 防振装置
US9080632B2 (en) Bearing for a motor vehicle
JP376736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シート
JP4952922B2 (ja)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WO2018070505A1 (ja) 防振装置
KR102586922B1 (ko) 스트랩 센터 고정식 공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휠 어셈블리
US20080036205A1 (en) Piping joint
KR20210092553A (ko) 조립형 다이나믹 댐퍼
WO2020121537A1 (ja) 軸受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推進軸の製造方法
KR102555860B1 (ko) 힌지 분리형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2540586B1 (ko) 나사 조립되는 형태의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JP2773004B2 (ja) 筒形防振ゴム
JP2001295886A (ja) 防振装置
US10759263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0587203B1 (ko) 와이퍼 시스템
JP3932025B2 (ja) 防振ブッシュ
JP5829239B2 (ja) 防振装置
JP5437116B2 (ja) 防振装置
KR100405454B1 (ko) 라디에이터용 방진고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