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68B1 - 자동차용 롤로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롤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68B1
KR101315768B1 KR1020110123313A KR20110123313A KR101315768B1 KR 101315768 B1 KR101315768 B1 KR 101315768B1 KR 1020110123313 A KR1020110123313 A KR 1020110123313A KR 20110123313 A KR20110123313 A KR 20110123313A KR 101315768 B1 KR101315768 B1 KR 10131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insulator
opening
roll rod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549A (ko
Inventor
박정훈
김효석
박용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68B1/ko
Priority to JP2012057212A priority patent/JP2013112333A/ja
Priority to DE102012102201A priority patent/DE102012102201A1/de
Publication of KR2013005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F16F1/3849Mounting brackets therefor, e.g. stamped steel brackets; Restraining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1Cl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롤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각기 가류접합 방식과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하여 조립시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방청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롤로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브라켓과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 중 어느 하나는 가류접합 방식으로 브라켓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인서트 방식으로 브라켓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롤로드 {Roll r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롤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각기 가류접합 방식과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하여 조립시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방청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롤로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경량화를 통한 연비 향상을 위하여 관성 3점 지지 방식을 적용하여 파워트레인을 마운팅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관성 3점 지지 방식에서 롤방향 제어를 위해 롤로드(1,2)가 사용되고 있으며, 토크가 큰 차량에서는 엔진마운트 위쪽에 어퍼 롤로드(2)를 추가로 장착하여 엔진의 과대변위를 제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워트레인의 롤로드는 브라켓의 재질에 따라 스틸 또는 알루미늄 타입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상기 어퍼 롤로드(2)는 도 2와 같이 스틸 브라켓(3)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퍼 롤로드(2)는 엔진마운트의 상단에서 차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파워트레인의 과대변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부시를 사용하여 차량의 전후방향 거동을 제어(진동/소음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 롤로드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어퍼 롤로드는 간단하게 브라켓(3)과 브라켓(3)의 양측에 장착되는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4,5)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3)은 전술하였듯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 인슐레이터(4,5)는 외측파이프(6,9)와 내측파이프(7,10) 및 고무부시(8,11)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어퍼 롤로드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슐레이터(4,5)의 각 구성부품을 별도 제작하고 도 3과 같이 일체로 조립하며, 제작한 인슐레이터(4,5)를 스틸 브라켓(3)에 강제 압입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렇게 제작되는 종래의 어퍼 롤로드는 인슐레이터(4,5)를 스틸 브라켓(3)에 강제로 압입시킬 시 인슐레이터(4,5)의 외측파이프(6,9)와 스틸 브라켓(3)이 접촉됨에 따라 스틸 브라켓의 도장이 벗겨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고무부시(8,11)가 외측 및 내측파이프(6,9 및 7,10) 사이에 사출성형되므로 외측파이프를 별도로 도장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퍼 롤로드는 완성차량의 도장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그에 따른 고객 불만을 유발할 우려가 큰 문제가 있다.
통상 어퍼 롤로드는 엔진마운트 상단에 배치됨에 따라 고객이 엔진룸에서 육안으로 쉽게 인지가능한 상태로 차량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각기 가류접착 방식과 인서트 방식 또는 인서트 방식과 가류접착 방식으로 장착하여 기존의 강제압입식 장착에 의해 발생되는 표면 도장 손상을 방지하고 방청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롤로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라켓과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 중 어느 하나는 가류접합 방식으로 브라켓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인서트 방식으로 브라켓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상기 브라켓의 테이퍼진 개구부에 상응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외주면에 상기 브라켓의 홈턱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은 인슐레이터가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에 삽설될 시 브라켓의 홈턱에 걸림 고정되어 인슐레이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브라켓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상기 인슐레이터는 내측파이프와 외측파이프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파이프 사이에 삽설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류접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상기 인슐레이터는 탄성체와 탄성체에 축선방향으로 삽설되는 내측파이프로 구성되며, 내측파이프가 삽설된 탄성체가 브라켓의 개구부에 일체로 가류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 및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외측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로드는 기존의 강제압입식 장착에 의해 구성되는 롤로드 대비 브라켓과 인슐레이터 간에 조립시 표면 도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류접합 및 인서트 방식에 의해 결합 구성되므로 브라켓 및 인슐레이터의 표면 손상에 의한 방청성능 저하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롤로드는 가류접합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기존의 인슐레이터를 구성하던 외측파이프의 삭제가 가능하여 중량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 롤로드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 롤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어퍼 롤로드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롤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인슐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인슐레이터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은 강제 압입식으로 조립되는 기존의 자동차용 롤로드를 개선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와 리어 인슐레이터를 가류일체형 및 인서트형으로 장착하여 방청성능을 근본적으로 개선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로드는 기존의 롤로드가 갖는 압입구조에 의한 표면 손상을 방지하여 브라켓 및 인슐레이터의 방청성능을 개선하고, 부품 생략에 의한 중량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롤로드가 갖는 강도 및 강성 등의 측면에서도 동등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기존의 스틸 프레스(steel press) 롤로드는 가격이 저가이나 중량이 많이 나가고 방청성능 개선에 한계를 가지며, 기존의 알루미늄 스퀴즈 캐스팅(Aluminum Squeeze Casting) 롤로드는 방청성능 개선이 가능하긴 하나 중량 및 원가 상승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근본적으로 방청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기존의 롤로드 대비 경량형 및 저가형으로 구성되고, 아울러 강도 및 강성 등의 성능을 기존의 롤로드 대비 동등 이상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롤로드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로드는 플라스틱 재질의 브라켓(100)과, 브라켓(100)의 양측에 장착 구성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110) 및 리어 인슐레이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110,120) 중 어느 하나는 가류접합 방식으로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인서트 방식으로 브라켓(100)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인슐레이터(110)가 가류접착 방식으로 장착되어 구성되고, 리어 인슐레이터(120)는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어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110)는 기존의 외측파이프가 생략되고 고무 재질의 탄성체(112)와 탄성체(112)에 축선방향으로 삽설되는 내측파이프(111)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파이프(111)가 삽설된 탄성체(112)가 브라켓(100)의 일측 개구부(101)에 일체로 가류접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110)는 소정 형태로 성형된 브라켓(100)을 몰드금형에 일체로 조립한 다음, 상기와 같이 내측파이프(111)와 탄성체(112)를 일체로 조립한 상태로 브라켓(100)의 개구부(101)에 직접 가류접착된다.
상기 프론트 인슐레이터(110)는 가류접착 방식으로 브라켓(100)의 개구부(101)에 설치됨에 따라 기존의 외측파이프를 삭제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중량 및 재료비를 절감함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20)는 원통형의 내측파이프(122)와 외측파이프(123)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파이프(122,123) 사이에 삽설되는 고무 재질의 탄성체(121)로 구성되며, 일체로 조립되어 인서트 방식으로 브라켓(100)의 타측 개구부(102)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20)는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 삽설되는데 있어 기존의 강제압입 방식에 의해 인위적으로 억지 끼움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끼워진다.
다시 말해,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20)는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 삽입될 시 강제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단순히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개구부(102) 내측에 위치되어진다.
이러한 인서트형 장착구조를 위하여,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20)의 외주면과 브라켓(100)의 개구부(102)는 도 7과 같이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20)는 외표면 즉, 탄성체(121)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파이프(123)가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고, 브라켓(100)의 개구부(102) 역시 외측파이프(123)의 형태에 상응하여 테이퍼지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리어 인슐레이터(120)의 외측파이프(123)와 브라켓(100)의 개구부(102)는 테이퍼진 구조에 따라 각각 축선방향으로 직경 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직경 차에 의해 리어 인슐레이터(120)를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리어 인슐레이터(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파이프(123)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턱(125)이 돌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는 홈턱(105)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외측파이프(123)는 브라켓(100)과 동일하게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됨으로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 삽입될 시 걸림턱(125)이 상기 개구부(102)와 미끄럼 접촉을 하게 되며,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 삽입된 리어 인슐레이터(120)는 도 8과 같이 걸림턱(125)이 브라켓(100)의 홈턱(105)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조립 후 이탈이 방지되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턱(125)은 하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파이프(123)는 상단 가장자리에 브라켓(100)의 안착홈(104)에 안착되는 가이드 핀(124)을 갖는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0)의 개구부(102)는 일측에 안착홈(104)이 함몰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외측파이프(123)는 소정 위치에 가이드 핀(12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핀(124)은 안착홈(104)에 안착됨으로써 리어 인슐레이터(120)를 브라켓(100)의 개구부(102)에 삽설할 시 조립방향을 안내하여 오조립을 방지하고 방향성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차량 전후방향의 토크 제어 역할을 하는 롤로드의 특성상 인슐레이터의 방향성 유지는 NVH 성능의 강건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로드는 이러한 인서트형 조립구조를 적용하여 기존의 압입구조를 삭제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외측파이프(123)와 브라켓(100)을 사용함에 의해 기존의 롤로드 대비 방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량 및 원가 절감에 유리하며, 강도뿐만 아니라 강성 측면에서 기존과 동등 수준을 가질 수 있다.
100 : 브라켓
101,102 : 개구부
104 : 안착홈
105 : 홈턱
110 : 프론트 인슐레이터
111 : 내측파이프
112 : 탄성체
120 : 리어 인슐레이터
121 : 탄성체
122 : 내측파이프
123 : 외측파이프
124 : 가이드 핀
125 : 걸림턱

Claims (7)

  1. 브라켓과 브라켓의 양측에 구성되는 프론트 인슐레이터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인슐레이터 중 어느 하나는 가류접합 방식으로 브라켓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는 인서트 방식으로 브라켓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개구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상기 브라켓의 테이퍼진 개구부에 상응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외주면에 상기 브라켓의 홈턱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는 상단 가장자리에 상기 브라켓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상기 인슐레이터는 내측파이프와 외측파이프 그리고 상기 내측 및 외측파이프 사이에 삽설되는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류접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상기 인슐레이터는 탄성체와 탄성체에 축선방향으로 삽설되는 내측파이프로 구성되며, 내측파이프가 삽설된 탄성체가 브라켓의 개구부에 일체로 가류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인서트 방식으로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외측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로드.
KR1020110123313A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롤로드 KR10131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13A KR101315768B1 (ko)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롤로드
JP2012057212A JP2013112333A (ja) 2011-11-24 2012-03-14 自動車用ロールロッド
DE102012102201A DE102012102201A1 (de) 2011-11-24 2012-03-15 Drehstabvorrichtung eines Fahrzeu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13A KR101315768B1 (ko)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롤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49A KR20130057549A (ko) 2013-06-03
KR101315768B1 true KR101315768B1 (ko) 2013-10-10

Family

ID=4828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313A KR101315768B1 (ko) 2011-11-24 2011-11-24 자동차용 롤로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112333A (ko)
KR (1) KR101315768B1 (ko)
DE (1) DE1020121022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774A (ko) * 2021-04-27 2022-11-04 주식회사 디엠씨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820B1 (ko) * 2020-08-25 2021-11-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거동 제어기능 강화 마운팅 로워구조
KR102341484B1 (ko) * 2020-09-24 2021-12-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로워 구조
KR102341478B1 (ko) * 2020-09-24 2021-12-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 로워 구조
KR102440702B1 (ko) * 2020-10-08 2022-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5971A (ja) * 2003-02-25 2004-09-16 Yamashita Rubber Co Ltd 樹脂製連結部材
KR100534912B1 (ko) * 2004-06-17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JP2006112537A (ja) * 2004-10-15 2006-04-27 Bridgestone Corp トル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3870A (ja) 2005-03-31 2006-10-19 Tokai Rubber Ind Ltd トルクロ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5971A (ja) * 2003-02-25 2004-09-16 Yamashita Rubber Co Ltd 樹脂製連結部材
KR100534912B1 (ko) * 2004-06-17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JP2006112537A (ja) * 2004-10-15 2006-04-27 Bridgestone Corp トルク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3870A (ja) 2005-03-31 2006-10-19 Tokai Rubber Ind Ltd トルクロッ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774A (ko) * 2021-04-27 2022-11-04 주식회사 디엠씨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KR102555855B1 (ko) 2021-04-27 2023-07-17 주식회사 디엠씨 압입형 부시를 갖는 사이드 마운팅 라디에이터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02201A1 (de) 2013-05-29
JP2013112333A (ja) 2013-06-10
KR20130057549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68B1 (ko) 자동차용 롤로드
US9422003B2 (en) Subframe mounting bush
US20050254888A1 (en) Torque ro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722018B2 (en) Rear and/or front axle subframe bear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 rear and/or front axle subframe bearing
US20160221409A1 (en) Polymer composite strut insulator and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applying the same
US8979082B2 (en) Vibration damping bus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794467B2 (en) Fuel filler door module
CN106945476B (zh) 将片簧紧固至车体的紧固卸扣
US20170167559A1 (en) Structure of mounting bracket
JP6785612B2 (ja) 防振装置構造
KR20160022560A (ko) 허니콤 구조의 하이브리드 이너코어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JP2006242289A (ja) 防振ブッシュ
JP6257389B2 (ja) 筒型防振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148864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KR102283774B1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JP6867773B2 (ja) 防振装置
JP2007263148A (ja) メンバ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795303B (zh) 一种发动机悬置
US10814918B2 (en) Sub-frame mounting structure
JP7079784B2 (ja) 電気自動車用の筒形モータマウント
JP3932025B2 (ja) 防振ブッシュ
JP2007056898A (ja) 液封防振部材の製造方法
JP5622467B2 (ja) 防振ブッシュ及び防振ブッシュ組付体の製造方法
KR20100106733A (ko) 부시 일체형 튜브 및 그 제조방법
JP3838126B2 (ja) ストッパ付き防振ブッシュ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