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808B1 -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08B1
KR102555808B1 KR1020210053689A KR20210053689A KR102555808B1 KR 102555808 B1 KR102555808 B1 KR 102555808B1 KR 1020210053689 A KR1020210053689 A KR 1020210053689A KR 20210053689 A KR20210053689 A KR 20210053689A KR 102555808 B1 KR102555808 B1 KR 10255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op plate
chain
chains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880A (ko
Inventor
방성미
Original Assignee
방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성미 filed Critical 방성미
Priority to KR102021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25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with rectilinearly-moving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차선 사이에 터널 사이를 연결시킨 피난통로 상에 탈출도어를 설치하고, 그 탈출도어의 진입 방향 바닥 상에 차량의 무게를 전달받아 탈출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사형 발판을 설치하여, 차량이 경사형 발판 측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면 그 가압에 의해 탈출도어가 개방되고, 차량이 탈출도어를 통과하는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탈출도어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비상상황 시 차량이 반대 차선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Vehicle emergency exi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ide the tunnel}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방향 차선 사이에 터널 사이를 연결시킨 피난통로 상에 탈출도어를 설치하고, 그 탈출도어의 진입 방향 바닥 상에 차량의 무게를 전달받아 탈출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사형 발판을 설치하여, 차량이 경사형 발판 측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면 그 가압에 의해 탈출도어가 개방되고, 차량이 탈출도어를 통과하는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탈출도어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비상상황 시 차량이 반대 차선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터널은 양방향 차선이 서로 분리되어 시공되며, 좌우 양 차선 각각을 위한 터널이 인접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터널에는 어느 하나의 차선에서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차선으로 대피하기 위해 양방향 차선 사이에 터널 사이를 연결시킨 피난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피난통로에는 차단문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문은 평상 시 폐쇄된 상태로 주행 중인 차량에 의한 소음 및 풍압이 다른 차선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재난 발생 시 차단문의 도어를 개방하여 재난이 발생하지 않은 다른 차선으로 차량이 대피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터널용 차량 차단문은 사람의 손에 의해 개폐되므로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려 작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터널 내 긴급상황 시 작동문을 찾기 조차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13097호 특허등록 제10-0750715호
이에 본 발명은 양방향 차선 사이에 터널 사이를 연결시킨 피난통로 상에 탈출도어를 설치하고, 그 탈출도어의 진입 방향 바닥 상에 차량의 무게를 전달받아 탈출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사형 발판을 설치하여, 차량이 경사형 발판 측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면 그 가압에 의해 탈출도어가 개방되고, 차량이 탈출도어를 통과하는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탈출도어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비상상황 시 차량이 반대 차선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비상탈출구측에 설치되는 양측 도어(10,20)와, 양측 도어(10,20)의 상단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15,25)와, 양측 도어(10,20)의 마주하는 인접한 위치 상단에 각각 설치되는 기준대(11,21)와, 기준대(11,21)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 도어(10,20)의 개방 수평방향으로 제1,3체인(16,26)이 연결되고, 제1,3체인(16,26)은 각 도어(10,20)의 문틀 외측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B체인기어(17B,27B)에 연결되어 수직하향되는 다른측단에 중량추(300,400)가 고정되고, 연결B체인기어(17B,27B)에 축연결되어 동일방향 회전하는 연결A체인기어(17A,27A)와, 연결A체인기어(17A,27A)의 수직위치에 구비되어 양측 도어(10,20)의 문틀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전달B체인기어(53B,54B) 사이에 제2,4체인(18,28)이 연결되고, 전달B체인기어(53B,54B)와 축연결되어 동일 회전하는 전달A체인기어(53A,54A)가 구성되고, 양측 전달A체인기어(53A,54A) 사이에 2개의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가 축으로 연결되어 동일 회전하고, 일측편 전달A체인기어(53A)는 방향전환1체인기어(50A)에 제5체인(51)을 교차하게 연결하여 방향전환1체인기어(50A)와 회전이 반대로 돌게 연결되고, 다른측편 전달A체인기어(54A)는 방향전환2체인기어(50B)에 제6체인(52)으로 연결되고,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는 감속장치(91)에 축연결되여 구동된다. 양측 도어(10,20)의 전후방에서 차량이 진입하면서 누름가압할 수 있는 경사가압판체(61,61-1)을 도어(10,20)의 앞과 뒤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고, 경사가압판체(61,61-1)의 경사하단에 지면에 설치된 힌지(60,6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경사가압판체(61)의 경사상단 하부에 경사가압판체(61-1)를 같이 들어 올리는 상판들개(83)을 설치하며, 상판들개(83)의 하부에 추고리(84)를 설치하여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을 걸어서 설치한다. 작동무게추(85)는 감속장치(91)의 회전판(93)에 설치된 이동대(95)위쪽에 설치하고, 작동무게추(85)를 상판들개(83)의 추고리(84)에 걸어서 설치하고, 이동대(95)의 밑에 복귀스프링(90)를 설치한다. 상판들개(83)를 내리고 올리는 상판들개대(82)의 끝에는 상판무게추(80)를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 중간에는 지면에 설치된 힌지(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감속장치(91)는 회전판(93)에 연결된 감속장치(91)에 축연결되어 동일 회전하는 2개의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를 회전시키는 역할로 설치되고,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는 경사가압판체(61,61-1)의 어느쪽위에서나 차량에 의해 가압되면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 제5,6체인(51,52), 제2,4체인(18,28), 제1,3체인(16,26)의 연결작동에 따라 기준대(11,21)를 양측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 양측 도어(10,20)를 개방하고, 양 기준대(11,21)에서 제1,3체인(16,26)의 각 반대방향으로 제7,8체인(12,22)을 연결하고, 제7,8체인(12,22)은 수평연결되어 체인기어(13,23)를 따라 수직 연결되고, 수직 연결된 제7,8체인(12,22)의 하단에 중량추(14,24)가 고정되고, 체인기어(13,23)에 타임제어부재(40)가 설치되며, 경사가압판체(61)의 상단점 하부에 경사가압판재(61-1)를 같이 내리고 들어올릴 수 있는 상판들개(83)을 설치하여,상판들개(83)의 밑에는 상판들개대(82)를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 끝에는 상판무게추(80)을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중앙에는 지상에 설치된 힌지(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상판들개(83)에 추고리(84)을 설치하고,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를 걸어놓으며,작동무게추(85)아래쪽에 감속장치(91)에 축연결된 회전판(93)의 이동대(95)를 설치하고, 이동대(95)아래에는 복귀스프링(90)를 설치한다. 상판들개대(80)가 상판들개(83)를 내리고 올려서, 경사가압판체(61,61-1)를 내리고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양방향 차선 사이에 터널 사이를 연결시킨 피난통로 상에 탈출도어를 설치하고, 그 탈출도어의 진입 방향 바닥 상에 차량의 무게를 전달받아 탈출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사형 발판을 설치하여, 차량이 경사형 발판 측으로 진입하여 가압하면 그 가압에 의해 탈출도어가 개방되고, 차량이 탈출도어를 통과한 후에 탈출도어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비상상황 시 차량이 반대 차선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비상탈출구측에 설치되는 일측도어(10)와 다른측도어(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렸다가 일정시간 후에 닫히는 구조이다.
터널 내부의 비상탈출구측에 설치되는 양측 도어(10,20)와, 양측 도어(10,20)의 상단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15,25)와, 양측 도어(10,20)의 마주하는 인접한 위치 상단에 각각 설치되는 기준대(11,21)와, 기준대(11,21)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 도어(10,20)의 개방 수평방향으로 제1,3체인(16,26)이 연결되고, 제1,3체인(16,26)은 각 도어(10,20)의 문틀 외측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B체인기어(17B,27B)에 연결되어 수직하향되는 다른측단에 중량추(300,400)가 고정되고, 연결B체인기어(17B,27B)에 축연결되어 동일방향 회전하는 연결A체인기어(17A,27A)와, 연결A체인기어(17A,27A)의 수직위치에 구비되어 양측 도어(10,20)의 문틀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전달B체인기어(53B,54B) 사이에 제2,4체인(18,28)이 연결되고, 전달B체인기어(53B,54B)와 축연결되어 동일 회전하는 전달A체인기어(53A,54A)가 구성되고, 양측 전달A체인기어(53A,54A) 사이에 2개의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가 축으로 연결되어 동일 회전하고, 일측편 전달A체인기어(53A)는 방향전환1체인기어(50A)에 제5체인(51)을 교차하게 연결되여,방향전환1체인기어(50A)와 회전이 반대로 돌게 연결하고, 다른측편 전달A체인기어(54A)는 방향전환2체인기어(50B)에 제6체인(52)으로 평행되게 연결되고, 양측 도어(10,20)의 전후방에서 차량이 진입하면서 누름가압할 수 있는 경사가압판체(61,61-1)가 도어(10,20)의 앞과뒤에 양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경사가압판체(61)의 하부에 경사가압판체(61-1)를 같이 내리고 올릴 수 있는 상판들개(83)을 설치하고, 상판들개(83)아래에 추고리(84)를 설치하고,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를 걸어서 설치한다. 상판들개(83)을 내리고 올리는 상판들개대(82)의 끝에 상판무게추(80)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 중앙에는 지면에 고정된 힌지(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작동무게추(85)아래쪽에 이동대(95)를 설치하고 이동대(95)아래에 복귀스프링(90)을 설치하고, 이동대(95)를 감속장치(91)의 회전판(93)에 연결하고 감속장치(91)의 축에 동일 회전하는 2개의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를 회전시킬수 있게 설치되고,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는 경사가압판체(61,61-1)위에 차량에 의해 가압되면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 제5,6체인(51,52), 제2,4체인(18,28), 제1,3체인(16,26)의 연결작동에 따라 기준대(11,21)를 양측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 양측 도어(10,20)를 개방하고, 양 기준대(11,21)에서 제1,3체인(16,26)의 각 반대방향으로 제7,8체인(12,22)을 연결하고, 제7,8체인(12,22)은 수평연결되어 체인기어(13,23)를 따라 수직 연결되고, 수직 연결된 제7,8체인(12,22)의 하단에 중량추(14,24)가 고정되고, 체인기어(13,23)에 타임제어부재(40)가 설치되며, 경사가압판체(61)의 상단점 하부에 경사가압판체(61-1)를 같이 내리고 들어올릴수 있는 상판들개(83)를 설치하여 경사가압판체(61,61-1)을 가압하향 작동한후에, 상판들개대(80)가 상판들개(83)을 상판무개추(80)의 힘으로 상향복귀 하도록 실시된다.
위 구조에서 제1,3체인(16,26)은 일단이 기준대(11,21)에 고정되고, 다른측단이 중량추(300,400)의 추무게로 인하여 도어(10,20)의 개방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3체인(16,26)이 중량추(300,400)의 추무게로 인해 중량추(300,400)를 따라 아래로 내려 갔다가 경사가압판체(61,61-1)위를 차량이 지나고 간 뒤에 경사가압판체(61,61-1)가 원위치로 이동할때는 다음과 같이 순서로 작동된다. 경사가압판체(61,61-1)위에 차량이 올라가면 상판들개(83)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판들개대(82)도 아래로 내려가고 상판들개대(82)의 반대쪽 끝에 있는 상판무게추(80)는 힌지(81)를 중심으로 해서 올리게되며, 경사가압판체(61,61-1)위에 있던 차량이 지나간후에, 경사가압판체(61,61-1)가 상판들개대(82)의 끝에 있는 상판무게추(80)의 들어올리는 힘으로 힌지(81)를 중심으로 같이 올라가게 되었을때,이때 감속장치의 회전판(93)에 장착된 이동대(95)위에 올려저있던 작동무게추(85)가 추고리(84)에 걸려서 위로 올라가게 되고,작동무게추(85)의 압력이 없어 지면서 이동대(95)도 복귀스프링(90)의 압축된 힘으로 올라가게된다. 이때가 타임제어부재(50)가 작동하기전 도어(10,20)가 열려있는 위치이다. 이시점에서 제1,3체인(16,26)은 도 3에서처럼 꼬이지 않고 아래로 처지게 된다.
이후에 후술되는 타임제어부재(40)에 제어시간이 해제되면 도어(10,20)가 닫히면서 제1,3체인(16,26)이 처져 있다가 도 1에서처럼 도어(10,20)가 닫히면 원상태로 위로 올라간다.
그리고 상기 타임제어부재(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임제어장치로 사용자가 설정하는 20~60초 사이에서 도어(10,20)가 닫히는 시간을 조절 제어하는 장치로 양측 도어(10,20)의 개방 후부터 닫히는 시간을 제어하기 시작하며, 중량추(14,24)의 무게로 인해 작동이 시작되여 폐쇄까지의 시간을 조절한다.
본 발명은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로 도어(10,20)의 전후방에서 사람 또는 차량이 진입하면서 가압할 수 있는 경사가압판재(61,61-1)을 구성한다. 사람 또는 차량이 경사가압판체(61,61-1)을 가압하면 양측 도어(10,20)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경사가압판체(61.61-1)의 경사하단에 지면에 설치된 힌지(63,6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경사가압판체(61)의 경사상단 하부에 경사가압판체(61-1)를 같이 들어 올리는 상판들개(83)를 설치하며 상판들개(83)의 하부에 추고리(84)를 설치하여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를 걸어서 설치한다.
감속장치(91)의 회전판(93)에 설치된 이동대(95)위쪽에, 상판들개(83)의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를 걸어서 설치하고, 이동대(95)의 밑에 복귀스프링(90)를 설치한다.작동무게추(85)는 경사가압판체(61,61-1)위에 차량이 올라왔을 때 상판들개(83)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추고리(84)에 걸려있던 작동무게추(80)가 이동대(95)위에 놓이면서 이동대(95)를 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복귀스프링(90)은 경사가압판체(61,61-1)위에 차량이 지나간후에 경사가압판체(61,61-1)가 내려갔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했을 때, 작동무게추(85)가 추고리(84)에 걸려 같이 올라갔을 때, 작동무개추(85)에 압착된 복귀스프링(90)이 이동대(95)를 원위치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판들개(83)를 내리고 올리는 상판들개대(82)의 끝에는 상판무게추(80)를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 중앙에는 지면에 설치된 힌지(6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동대(95)가 설치된 회전판(93)에 연결된 감속장치(91)에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가 연결된다.
위 구조의 작동은 경사가압판체(61,61-1) 위에 사람이나 차량이 올라가면 경사가압판체(61,61-1)를 들어올리는 상판무게추(80)과 함께 경사가압판체(61,61-1), 상판들개(83),상판들개대(82),힌지(81)에 무게가 전달되여 경사가압판체(61,61-1)가 내려가면서 상판들개(830의 추고리(84)에 메달려있던 작동무게추(85)가 이동대(95)위에 놓이게 된다. 이동대(95)위에 있는 작동무게추(85)의 하중으로 이동대(95)가 일정한 속도로 아래로 구동이 된다. 이때 이동대(95)의 아래에 있는 복귀스프링(90)에 압력을 가하며 이동대(95)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회전판(93)을 서서히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판(93)의 기어이빨이 1회전하면 1:80~150의 감속비를 가진 감속기(91)를 통하여 작동1,2체인기어(94A,94B)은 1:80~150의 감속비 만큼 더 회전하여, 경사가압판(61,61-1)의 적은 이동거리로 작동1,2체인기어(94A,94B)을 많이 구동시킨다.
방향전환1체인기어(50A)는 제5체인(51)을 거쳐 전달A체인기어(53A)와 연결되어지되 제5체인(51)은 상하측이 X자로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또 방향전환2체인기어(50B)는 제6체인(52)을 거쳐 다른측 전달A체인기어(54A)와 연결되어지되 제6체인(52)은 상하측이 평행 형태로 연결되어 도 2에서처럼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가 시계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면 제2,4체인(18,28)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도어(10,2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리게하고, 경사가압판체(61,61-1) 위에 차량이 지나고 난 뒤에 이동대(95)가 전(원래)위치로 이동된 시점에서 타임제어부제(40)가 작동하기전에 도어(10,20)의 위치는 도 3과 같다.
도어(10,20)가 열리고 사람이나 차량이 통과한 후에 경사가압판체(61,61-1)에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경사가압판체(61,61-1)를 들어올리는 상판무게추(80)의힘으로 상판들개대(82)가 상판들개(83)을 들어올리면 경사가압판체(61,61-1)도 같이 올라가고 상판들개(83)의 추고리(84)도 같이 올라가면서 작동무게추(85)가 추고리(84)에 걸려서 같이 올라간다. 이동대(95)위에 있던 작동무게추(85)가 올라가면 이동대(95)밑에 있는 입축된 복귀스프링(90)의 힘으로 이동대(95)를 원상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어(10,20)의 위치는 도 2와 같으며, 이때부터 도어(10)는 중량추(14)의 당기는 힘으로 닫히는 힘이 작용되며, 도어(20)는 중량추(24)의 당기는 힘으로 닫히는 힘이 작용된다.
중량추(14)의 당기는 힘을 타임제어부재(40)가 일정시간 잡는 역할을 하며, 중량추(24)의 당기는 힘을 타임제어부재(40)가 일정시간 잡는 역할을 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양쪽 중량추(14,24)의 잡는 힘을 해제하여 양쪽 도어(10,20)가 닫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10,20-도어
16,26-제1,3체인
18,28-제2,4체인
51,52-제5,6체인

Claims (4)

  1. 터널 내부의 비상탈출구측에 설치되는 양측 도어(10,20)와,
    양측 도어(10,20)의 상단에 회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15,25)와,
    양측 도어(10,20)의 마주하는 인접한 위치 상단에 각각 설치되는 기준대(11,21)와, 기준대(11,21)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 도어(10,20)의 개방 수평방향으로 제1,3체인(16,26)이 연결되고, 제1,3체인(16,26)은 각 도어(10,20)의 문틀 외측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B체인기어(17B,27B)에 연결되어 수직하향되는 다른측단에 중량추(300,400)가 고정되고,
    연결B체인기어(17B,27B)에 축연결되어 동일방향 회전하는 연결A체인기어(17A,27A)와, 연결A체인기어(17A,27A)의 수직위치에 구비되어 양측 도어(10,20)의 문틀 외측 하단에 설치되는 전달B체인기어(53B,54B) 사이에 제2,4체인(18,28)이 연결되고,
    전달B체인기어(53B,54B)와 축연결되어 동일 회전하는 전달A체인기어(53A,54A)가 구성되고,
    양측 전달A체인기어(53A,54A) 사이에 2개의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가 축으로 연결되어 동일 회전하고, 일측편 전달A체인기어(53A)는 방향전환1체인기어(50A)에 제5체인(51)으로 연결되고, 다른측편 전달A체인기어(54A)는 방향전환2체인기어(50B)에 제6체인(52)으로 연결되고,
    양측 도어(10,20)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차량이 진입하면서 누름가압할 수 있는 경사가압판체(61,61-1)을 경사지게 도어(10,20)앞뒤로 설치되고, 경사가압판체(61)의 하부에 상판들개(83)을 설치하고, 상판들개(83)밑에는 추고리(84)을 설치하고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을 걸어서 상하로 움직일수 있게 설치하며, 상판들개(83)을 내리고 올릴 수 있는 상판들개대(82)를 상판들개(83)아래에 설치하고,상판들개대(82)의 끝에는 상판무게추(80)을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 중앙에는 힌지(81)를 회전할수있게 설치하고, 작동무게추(85)아래쪽에 이동대(95)을 설치하고 이동대(95)는 감속장치(91)의 회전판(93)에 설치하고 감속장치(91)에 축연결되어 동일 회전하는 2개의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를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고,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는 경사가압판체(61,61-1)가 차량에 의해 가압되면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 제5,6체인(51,52), 제2,4체인(18,28), 제1,3체인(16,26)의 연결작동에 따라 기준대(11,21)를 양측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 양측 도어(10,20)를 개방하고,
    양 기준대(11,21)에서 제1,3체인(16,26)의 각 반대방향으로 제7,8체인(12,22)을 연결하고, 제7,8체인(12,22)은 수평연결되어 체인기어(13,23)를 따라 수직 연결되고, 수직 연결된 제7,8체인(12,22)의 하단에 중량추(14,24)가 고정되고, 체인기어(13,23)에 타임제어부재(40)가 설치되며,
    경사가압판체(61)의 상단점 하부에 경사가압판체(61-1)를 같이 내리고 올릴 수 있는 상판들개(83)을 설치하고, 상판들개(83)의 하부에 추고리(84)를 설치하고,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을 걸어서 설치하며, 상판들개(83)을 내리고 올리는 상판들개대(82)을 지면에 고정된 힌지(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반대쪽엔 상판들개(83)을 내리고 올릴 수 있는 무게가 있는 상판무게추(8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가압판체(61,61-1)의 경사하단은 지면에 설치된 힌지(63,6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경사가압판체(61)의 경사상단하부로 상판들개(83)을 설치하고 , 상판들개(83)에 추고리(84)를 설치하고, 추고리(84)에 작동무게추(85)을 걸어서 설치하며,상판들개(83)밑에는 상판들개대(82)를 지면에 고정된 힌지(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상판들개대(82)의 끝에는 상판무게추(80)을 설치하며, 작동무게추(85)아래쪽 밑에 이동대(95)을 설치하고, 이동대(95)밑에 복귀스프링(90)을 설치하고, 이동대(95)를 감속장치(91)의 회전판(93)에 설치하고,
    회전판(93)에 연결된 감속장치(91)에 방향전환1,2체인기어(50A,50B)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경사가압판체(61,61-1)아래의 상판들개(83)에 추고리(84)를 설치하고 추고리(84)에 이동대(95)를 구동시키는 작동무게추(85)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경사가압판체(61,61-1)아래에 있는 상판들개(83)밑에 상판들개대(82)의 끝에는 상판무게추(80)를 설치하고, 상판들개대(82)의 중앙에는 힌지(8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KR1020210053689A 2021-04-26 2021-04-26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KR10255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89A KR102555808B1 (ko) 2021-04-26 2021-04-26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689A KR102555808B1 (ko) 2021-04-26 2021-04-26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80A KR20220146880A (ko) 2022-11-02
KR102555808B1 true KR102555808B1 (ko) 2023-07-13

Family

ID=8404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689A KR102555808B1 (ko) 2021-04-26 2021-04-26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16B1 (ko) 2013-02-25 2014-06-09 유한회사 삼신기업 터널 대피통로의 차량충돌 방지장치
KR102115562B1 (ko) 2020-04-10 2020-05-27 (주)해밀 터널용 피난갱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773U (ko) * 1995-03-06 1996-10-24 도어 개폐장치
KR200413097Y1 (ko) 2006-01-25 2006-04-05 서윤산업주식회사 피난갱문
KR100750715B1 (ko) 2006-02-01 2007-08-22 서윤산업(주) 다단 슬라이딩 행거도어
KR20130007247U (ko) * 2012-06-11 2013-12-19 대주기업 주식회사 쇼우 케이스의 슬라이딩 도어
KR101968755B1 (ko) * 2017-04-19 2019-04-15 (주)에스알디코리아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KR20180137383A (ko) * 2017-08-08 2018-12-27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KR102366950B1 (ko) * 2018-10-12 2022-02-25 한국도로공사 차량 및 보행자 사용이 가능한 터널용 차단문
KR102452727B1 (ko) * 2021-02-09 2022-10-06 방성미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KR20220146879A (ko) * 2021-04-26 2022-11-02 방성미 차량의 진입이 용이한 터널 비상연결통로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16B1 (ko) 2013-02-25 2014-06-09 유한회사 삼신기업 터널 대피통로의 차량충돌 방지장치
KR102115562B1 (ko) 2020-04-10 2020-05-27 (주)해밀 터널용 피난갱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80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99937Y (zh) 吊物口安全护栏装置
CN103986089B (zh) 可自动闭锁的跟斗滑车
CN211733511U (zh) 一种具有断绳保护装置的建筑施工升降机
CN205802734U (zh) 施工升降机翻板门
CN107445015B (zh) 一种电梯防下坠、超速、意外移动保护系统
CN201261674Y (zh) 具有翻转门的吊笼
CN101279121B (zh) 高楼逃生器
KR102555808B1 (ko)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CN204030413U (zh) 可自动闭锁的跟斗滑车
KR102452727B1 (ko)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CN206985476U (zh) 一种施工升降机吊笼自动翻板门
CN212454082U (zh) 轨道车辆翻板门的驱动牵引导向锁闭机构
CN210505182U (zh) 一种电梯层门解锁装置
CN106842468A (zh) 一种挂缆器
CN208448454U (zh) 一种环楼救援逃生装置
CN108584637A (zh) 电梯装置
CN201058188Y (zh) 平衡重一体多级分片式刚性升降防火幕
CN212712306U (zh) 吊笼停层安全保护装置
KR101471545B1 (ko) 이종 로프체결방식의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CN205302803U (zh) 一种新型坠落体验棚
KR20090010370U (ko) 대형 건축구조물용 도어의 추락방지장치
KR100460334B1 (ko) 수문 인상장치
CN105298086B (zh) 全自动安全型盖板
CN206069156U (zh) 电梯轿厢安保结构
CN214006922U (zh) 一种竖开重叠车库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