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383A -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 Google Patents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383A
KR20180137383A KR1020170100241A KR20170100241A KR20180137383A KR 20180137383 A KR20180137383 A KR 20180137383A KR 1020170100241 A KR1020170100241 A KR 1020170100241A KR 20170100241 A KR20170100241 A KR 20170100241A KR 20180137383 A KR20180137383 A KR 2018013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door
unit
ai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진
황영민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00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7383A/ko
Publication of KR2018013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급기 가압된 제연공간의 출입문 해정을 위한 장치는, 제연공간에 구비되는 출입문에 형성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회전되는 경우 출입문 외부와 내부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루버부; 루버부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출입문의 외부 바닥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면 해정신호를 출력하는 발판부; 및 발판부로부터 해정신호가 수신되면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Releasing device for door of smoke control area}
본 발명은 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제연구역의 급기 가압에 의한 출입문 개방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출입문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층 건축물에는 화재 시 피난로가 연기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 또는 피난계단 부속실 등의 제연공간을 구비하도록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속하게 공기압을 높여 화재 발생에 의한 오염된 공기가 제연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기 가압 시스템이 구비되며, 동시에 과도한 압력에 의해 제연공간으로 대피하려는 거주자들이 출입문을 개방시키기 어려워 탈출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압방지 시스템이 함께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과압방지 시스템은 압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노인, 어린이 등의 노약자가 출입문을 개방하지 못하는 상황 등이 발생하여 그 성능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7398 (공개일자 2015년02월17일)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연구역의 급기 가압에 의한 출입문 개방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출입문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기 가압된 제연공간의 출입문 해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연공간에 구비되는 출입문에 형성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회전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 외부와 내부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루버부; 상기 루버부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상기 출입문의 외부 바닥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면 해정신호를 출력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로부터 상기 해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발판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센싱되는 경우에만 상기 해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연공간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측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을 상기 공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에 대응되도록 설정하여 상기 발판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출입문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송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힌지구조로 바닥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1 전자변 및 제2 전자변; 상기 제1 전자변이 구동됨으로 인해 상기 루버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일단에 실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을 외부 방향으로 가하기 위한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전자변이 구동됨으로 인해 상기 루버부의 타단에 실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을 내부 방향으로 가하기 위한 제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버부의 상기 회전축은 중앙보다 위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보다 하부의 무게가 더 나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버부는 사람의 얼굴높이에 형성되는 제1 루버, 무릎높이에 구비되는 제2 루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루버에 비해 상기 제2 루버에 의한 공기 통로의 크기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에만 구동되는 해정장치로 인해 제연구역의 급기 가압에 의한 출입문 개방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정장치가 구비된 제연구역의 출입문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되는 발판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공간 출입문 해정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변을 이용하여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해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해정장치의 루버부를 도시한 측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해정장치가 구비된 출입문을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정장치가 구비된 제연구역의 출입문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연공간의 출입문(10)의 내측은 화재 발생 시 가압 시스템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존재한다. 가압된 공기로 인해 제연공간 방향으로 개방되는 출입문(10)을 개방시키기 위한 힘이 크게 필요하게 되어, 어린이, 노인 등의 노약자가 출입문(10)을 개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즉, 제연공간의 급기 가압된 공기로 인해 출입문(10)이 마치 잠금상태가 되는 것과 유사하게 되어, 그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출입문(10)이 가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한 잠금상태를 해제(이하에서는 해정이라 칭함)하기 위한 해정장치(100)가 출입문(10)에 구비된다. 해정장치(100)는 제연공간 내의 가압된 공기가 출입문(10)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제연공간의 압력을 낮춤으로써 출입문(10)을 보다 작은 힘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해정장치(100)는 평소에는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며, 화재 발생시에만 제연공간으로부터 출입문(10) 외부로 공기가 통하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차후 관련 도면(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시에도 특정한 시점에만 해정장치(100)가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일례에 따르면 출입문(10) 외부의 바닥에 구비되는 발판부(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해정장치(100)가 공기 통로를 형성한다.
즉, 제연공간으로 대피하려는 건물 거주자가 출입문(10) 앞에 구비된 발판부(110)를 밟아 해정장치(100)를 구동시켜 공기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후 출입문(10)을 개방함으로써 보다 쉽게 출입문(1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되는 발판부(110)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와 같이 발판부(110)는 출입문(10) 방향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화재 발생 시 (b)와 같이 힌지부(112)에 의해 바닥방향으로 회동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발판부(110)가 출입문(10)에 붙어있는 형상이므로 출입문(10)을 개방하려는 사용자에게 밟히지 않게 되어 파손의 위험이 없으며 또한 해정장치(100)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이하, 해정장치(100)가 구동되는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연공간 출입문 해정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변을 이용하여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해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정장치(100)는 상술한 발판부(110) 외에도 루버부(120), 회전구동부(130), 공기압측정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루버부(120)는 출입문(10)에 형성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회전되는 경우 출입문(10) 외부와 내부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킨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루버부(120)는 회전축(122)이 구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출입문(10) 내부와 외부간의 공기 통로를 만들어낸다.
회전구동부(130)는 루버부(120)가 회전축(12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례에 따르면 모터(motor) 등에 의한 전기적 힘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구동부(130)의 구조를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회전구동부(130)는 두개의 전자변(제1 전자변(132-1, 제2 전자변(132-2)) 및 두개의 가압부(제1 가압부(134-1, 제2 가압부(134-2))를 구비한다.
전자변(132-1, 132-2)은 전자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밸브인데, 평소에는 밸브가 잠겨있어 가압부(134-1, 134-2)를 통해 공기가 흐르지 않지만, 화재 발생 시에는 전자변(132-1, 132-2)이 가동되어 밸브를 열어 가압부(134-1, 134-2)를 통해 공기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가압부(134-1, 134-2)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 의해 루버부(120)가 회전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 원리를 설명하자면, 제1 전자변(132-1)이 구동됨으로 인해 루버부(120)의 상단에 제1 가압부(134-1)를 통해 실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이 외부 방향으로 가해지며, 동시에 제2 전자변(132-2)이 구동됨으로 인해 루버부(120)의 타단(즉 하단)에 제2 가압부(134-2)를 통해 실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이 내부 방향으로 가해짐으로써, 도면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루버부(120)가 회전되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부(134-1)가 실외에서 실내 방향으로, 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부(134-2)가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루버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한 전자변(132-1, 132-2)과 기계적인 구조만으로 제연공간의 급기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을 이용하여 루버부(120)를 회전시켜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회전구동부(130)를 제어하는데, 일례에 따르면 발판부(110)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면 해정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하고,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회전구동부(130)를 구동시켜 공기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제어부(150)는 발판부(110)를 제어하는데, 발판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구동되며, 제어부(15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발판부(11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구비된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화재시스템으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발판부(110)로 구동명령을 전달하고, 구동명령을 수신한 발판부(110)는 도 3과 같이 발판이 회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발판부(110)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압력이 센싱되는 경우에만 해정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사람이 아닌 다른 물체 등에 의해 발판부(110)에 압력이 가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람의 무게보다는 작은 압력이 가해질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해정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임계값(예를 들어, 10kg에 의한 압력값 등)을 설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추가적인 실시에에 따르면 제어부(150)가 발판부(110)에서 이용하는 상술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를 들자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정장치(100)는 제연공간 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공기압측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150)는 임계값을 공기압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에 대응되도록 설정하고, 이를 발판부(110)로 제공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연공간의 공기압이 클 수록 임계값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제연공간의 공기압이 크다는 것은 해정장치(100)의 구동 없이는 출입문(10)을 개방하기 더욱 어렵다는 것이며, 또한 화재가 발생된지 시간이 더 지났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보다 적은 압력(즉, 몸무게가 적은 어린이 등에 의한 압력)이 발판부(110)에 가해지더라도 해정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해정장치의 루버부를 도시한 측면도들이다.
먼저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소에는 루버부(120)가 회전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제연공간 내부의 가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도 6과 같이 루버부(1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써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상부에 비해 하부의 무게가 더 높도록 루버부(120)를 형성한다. 이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7에 의하면, 상부의 길이(d1) 보다 하부의 길이(d2)가 더 길도록 회전축(122)을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하부의 무게가 커 평소에는 도 5와 같이 공기 통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하면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제연공간의 가압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그로 인해 출입문(10) 내부(즉 제연공간)와 외부간의 공기압이 유사해지면 흐르는 공기의 양이 적어져 다시 공기 통로가 막히게 되는 도 5와 같은 형태가 될 것이다.
이와는 다른 방식을 예시한 도 8을 참조하면, 회전축(122)은 중심에 위치하되, 상부와 하부의 두께가 다르도록 루버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 7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해정장치가 구비된 출입문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연공간의 출입문(10)에는 복수개의 해정장치(100-1, 100-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일례에 따르면 사람의 얼굴높이에 형성되는 제1 루버(100-1), 무릎높이에 구비되는 제2 루버(100-2)를 포함하되, 제1 루버(100-1)에 비해 제2 루버(100-2)에 의한 공기 통로의 크기가 더 크도록 형성된다.
그 이유는, 제연공간의 출입문(10) 외부에는 화재로 인한 연기가 차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제1 해정장치(100-1)에 의한 공기의 흐름으로 사람의 얼굴로 맑은 공기를 분사하며, 동시에 해정의 목적 달성을 위해 더 많은 공기가 실내에서 실외로 유출되도록 출입문(10) 아래에 더욱 큰 공기 통로를 가진 제2 해정장치(100-2)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출입문
100 : 해정장치
110 : 발판부

Claims (5)

  1. 급기 가압된 제연공간의 출입문 해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연공간에 구비되는 출입문에 형성되어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회전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 외부와 내부간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루버부;
    상기 루버부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상기 출입문의 외부 바닥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면 해정신호를 출력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로부터 상기 해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제1 전자변 및 제2 전자변;
    상기 제1 전자변이 구동됨으로 인해 상기 루버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일단에 실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을 외부 방향으로 가하기 위한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전자변이 구동됨으로 인해 상기 루버부의 타단에 실내의 가압된 공기에 의한 압력을 내부 방향으로 가하기 위한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의 상기 회전축은 중앙보다 위쪽에 형성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보다 하부의 무게가 더 나가도록 형성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는 사람의 얼굴높이에 형성되는 제1 루버, 무릎높이에 구비되는 제2 루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루버에 비해 상기 제2 루버에 의한 공기 통로의 크기가 더 크도록 형성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KR1020170100241A 2017-08-08 2017-08-08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KR20180137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41A KR20180137383A (ko) 2017-08-08 2017-08-08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241A KR20180137383A (ko) 2017-08-08 2017-08-08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382A Division KR101785377B1 (ko) 2017-06-16 2017-06-16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83A true KR20180137383A (ko) 2018-12-27

Family

ID=6495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241A KR20180137383A (ko) 2017-08-08 2017-08-08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73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880A (ko) * 2021-04-26 2022-11-02 방성미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880A (ko) * 2021-04-26 2022-11-02 방성미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JP6475951B2 (ja) 圧力調整機能を有するダンパー装置、および圧力調整機能を有するダンパー装置を備えた防火扉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8297A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32622B1 (ko) 방화문
KR20180137383A (ko)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KR101785377B1 (ko) 제연구역의 출입문 해정장치
KR101711622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KR20070084910A (ko)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된 안전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683535B1 (ko)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893205B1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JPH06190076A (ja) 防煙装置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JP2000140141A (ja) 加圧防排煙設備における圧力調整機構
JPH08131569A (ja) 特別避難階段並びに非常用エレベーター用附室の加圧 給気装置
JP3283950B2 (ja) 防煙装置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20150053107A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JP2004142877A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加圧装置
JP3098177B2 (ja) 防火防煙設備
JP6782913B2 (ja) 建物の火災時煙制御システム
JP2000145176A (ja) 集合住宅建物
JP4055128B2 (ja) 加圧防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