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205B1 -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205B1
KR102555205B1 KR1020200174433A KR20200174433A KR102555205B1 KR 102555205 B1 KR102555205 B1 KR 102555205B1 KR 1020200174433 A KR1020200174433 A KR 1020200174433A KR 20200174433 A KR20200174433 A KR 20200174433A KR 102555205 B1 KR102555205 B1 KR 10255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silica
sunscreen
porous silica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702A (ko
Inventor
이성호
정태은
쿠마 시리바스타바 닐리쉬
Original Assignee
선진뷰티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뷰티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선진뷰티사이언스(주)
Priority to KR102020017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2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에 담지된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가지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및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기공에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코팅된 Silicic Acid를 이용한 실리카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건강과 생태계 위협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카 코팅층의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분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Ultraviolet protecting pow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건강과 생태계 위협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카 코팅층의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빛의 약 1%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다.
이러한 자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 비해 파장이 짧은 빛으로, 빛이 갖는 에너지는 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자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 비해 에너지가 큰 빛이다.
따라서 사람에게 자외선이 많이 조사될수록 자외선의 큰 에너지로 인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생리적인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자외선은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여러 가지 화학물질들을 활성화시켜 그들의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킨다.
특히 화장품이나 생활용품 등에 많이 사용되는 유기 색소는 자외선에 의해 증감되어 활성화됨으로써 그 본래의 기능을 쉽게 잃는 물질이다.
이런 이유로 해서 화장품이나 생활용품 등의 배합에는 오래전부터 자외선 차단제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지표의 자외선 조사량이 증가됨에 따라 자외선 차단을 주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시장이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 생리학적인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는 열과 광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며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좋지 않아 사용 방법에 한계가 있으며 사용감이 나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9107호에서는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중공형 실리카에 담지시킨 복합안료가 개시되기도 하였으나 실리카에 담지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화장료에 적용시 실리카로부터 용출되어 피부에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피부안정성이 떨어지며, 광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0890428호에서는 고분자 내부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하이브리드시킨 복합입자를 개시하였으나 최근 미세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한 인체 건강과 생태계의 위협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하여 요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34640호에서는 중형기공성 실리카 분자체 및 상기 실리카 분자체 상의 이산화티탄(TiO2) 코팅층을 포함하는 중형기공성 실리카복합분체가 개발되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8-0126270호에서는 다공성 실리카;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 내부의 표면에 도핑된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 내부에 함침된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 및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외부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실리카계 복합분체가 공개되기도 하였으나, 코팅층의 표면강도가 약하여 쉽게 표면 코팅층이 깨져 피부자극의 우려가 높으며, 사용감이 떨어져 이에 대한 개선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건강과 생태계 위협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카 코팅층의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분체에 있어서,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에 담지된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가지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및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기공에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코팅된 Silicic Acid를 이용한 실리카 코팅층;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분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는 상기 실리카 코팅층 표면에 유기코팅층 또는 무기코팅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는 상기 다공성 실리카와 실리카 코팅층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는 50 내지 900 g force / um2의 점탄성(제품명: MCT-W500-E, 제조사: shimadzu사)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S1)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에 담지시키는 단계;
S2) Silicic Acid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S3)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에 Silicic Acid 수용액을 반응시켜 실리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3) 단계는 계면활성제를 더욱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3) 단계는 반응안정화제를 더욱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S3) 단계 이후에 S4) 상기 실리카 코팅층의 표면에 유기코팅층 또는 무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건강과 생태계 위협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실리카 코팅층의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분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분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분체 제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분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분체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분체 제조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는
자외선 차단분체에 있어서,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10);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에 담지된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가지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 및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기공에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코팅된 Silicic Acid를 이용한 실리카 코팅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의 기공은 10 내지 90%인 것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품의 용도에 따라 담지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에 담지되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의 함량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공성 실리카(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 중량부로 담지시킬 수 있다.
상기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가지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는 공지의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실리케이트, 옥틸디메칠 파라-아미노벤조익산,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에서는 Silicic Acid를 이용하여 실리카 코팅층(30)을 형성한다. 상기 Silicic Acid는 TEOS를 pH 2 내지 3의 증류수에 용해시켜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Silicic Acid를 이용하여 실리카 코팅층(30)을 형성하여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의 표면에 실리카 코팅층(30)이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으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며, 코팅층의 강도가 우수하다.
상기 실리카 코팅층(30)의 두께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실리카 코팅층(30)은 다공성 실리카(10)와 자외선 차단제(20)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기공의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의 색감을 훼손하지 않으며, 수형제형에 따른 사용이 제한이 없으며,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사용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는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100)는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와 실리카 코팅층(30) 사이에 계면활성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구체적인 예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계 계면활성제인 것이 좋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tween 60 또는 tween 80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의 표면에 실리카 코팅층(30)이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으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는 상기 실리카 코팅층(30) 표면에 유기코팅층(40) 또는 무기코팅층(4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코팅층(40)은 공지의 유기재료를 이용하여 유기코팅층(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코팅층(40)의 두께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코팅층(40)의 코팅물질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라우릴-미리스틸 알코올, 라우릴-세틸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Caprylic alcohol), 카프릭 알코올(Capric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및 데실 알코올(decyl alcohol)을 포함하는 1가 알코올 및/또는 헥산디올(Hexanedi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부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포함하는 2가 알코올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기코팅층(40)은 세틸알콜로 코팅된 유기코팅층(40)인 것일 수 있으며, 유기코팅층(40)은 다공성 실리카(10)와 자외선 차단제(20)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료의 사용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코팅층(40)으로는 공지의 무기코팅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코팅층(40)의 두께는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코팅층(40)은 실란화합물로 형성하거나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무기코팅층(40)은 다공성 실리카(10)와 자외선 차단제(20)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료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는 50 내지 900 g force / um2의 점탄성(제품명: MCT-W500-E, 제조사: shimadzu사)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기공의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화장료의 사용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는 300 내지 900 g force / um2의 점탄성(제품명: MCT-W500-E, 제조사: shimadzu사)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의 제조방법은
S1)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를 다공성 실리카(10)의 기공에 담지시키는 단계;
S2) Silicic Acid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S3)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10)에 Silicic Acid 수용액을 반응시켜 실리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 이전에 다공성 실리카(10)를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를 다공성 실리카(10)의 기공에 담지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헨셀믹서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와 다공성 실리카(10)를 혼합한 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의 멜팅 포인트 이상의 온도이면서 열분해 온도 아래에서 교반 후 냉각하면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다공성 실리카(10)의 기공 내부로 담지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60 내지 100 ℃를 유지하며 200 내지 500 RPM으로 교반 후 냉각하면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다공성 실리카(10)의 기공 내부로 담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2) 단계는 Silicic Acid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카 코팅층(30)은 Silicic Acid 수용액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Silicic Acid 수용액은 TEOS를 pH 2 내지 3의 증류수에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Silicic Acid로 실리카 코팅층(30)을 형성할 경우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자외선 차단분체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3)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10)에 Silicic Acid 수용액을 반응시켜 실리카 코팅층(30)을 형성하는 단계는 공지의 코팅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반응기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10)와 Silicic Acid 수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반응은 pH 5.5 내지 6.8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의 표면에 실리카 코팅층(30)이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으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S3) 단계는 계면활성제를 더욱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구체적인 예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계 계면활성제인 것이 좋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tween 60 또는 tween 80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다공성 실리카(10)의 표면에 실리카 코팅층(30)이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으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아보벤존인 경우 상기 S3) 단계는 반응안정화제를 더욱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안정화제는 EDTA-Na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반응안정화제는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10)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화학적 부반응을 방지하고, 실리카 코팅층(30)을 균일하게 형성시키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S3) 단계 이후에 S4) 상기 실리카 코팅층(30)의 표면에 유기코팅층(40) 또는 무기코팅층(4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코팅층(40)의 코팅물질은 구체적으로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미리스틸알코올(Myristyl alcohol), 라우릴-미리스틸 알코올, 라우릴-세틸알코올, 카프릴릭 알코올(Caprylic alcohol), 카프릭 알코올(Capric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및 데실 알코올(decyl alcohol)을 포함하는 1가 알코올 및/또는 헥산디올(Hexanediol), 프로판디올(propanediol), 부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포함하는 2가 알코올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기코팅은 세틸알콜을 이용한 코팅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분체의 화장료 내에서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코팅층(40)은 실란화합물로 형성하거나 이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무기코팅층(40)은 다공성 실리카(10)와 자외선 차단제(20)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장료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3) 단계 및/또는 S4) 단계; 이후에 형성된 자외선 차단분체(100)를 분리하는 단계; 또는 자외선 차단분체(100)를 건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또는 건조는 통상의 분체 분리방법 및 건조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100)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분체(100)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100)의 함량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실리카 코팅층(30)의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20)를 포함하면서도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인한 피부자극의 우려가 없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자외선 차단분체에 있어서,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에 담지된 상온에서 고체상태를 가지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및
    상기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기공에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코팅된 Silicic Acid를 이용한 실리카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Silicic Acid를 이용한 실리카 코팅층은 상기 다공성 실리카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코팅층 표면에 유기코팅층 또는 무기코팅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분체는 50 내지 900 g force/um2의 점탄성(제품명: MCT-W500-E, 제조사: shimadzu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
  5. S1)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다공성 실리카의 기공에 담지시키는 단계;
    S2) Silicic Acid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S3) 상기 기공에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실리카에 Silicic Acid 수용액을 반응시켜 실리카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Silicic Acid를 이용한 실리카 코팅층은 상기 다공성 실리카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계면활성제를 더욱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반응안정화제를 더욱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 이후에 S4) 상기 실리카 코팅층의 표면에 유기코팅층 또는 무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분체의 제조방법.
  9.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자외선 차단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0200174433A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5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3A KR102555205B1 (ko)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3A KR102555205B1 (ko)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2A KR20220084702A (ko) 2022-06-21
KR102555205B1 true KR102555205B1 (ko) 2023-07-14

Family

ID=8222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433A KR102555205B1 (ko) 2020-12-14 2020-12-14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2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160B1 (ko) * 2012-09-10 2018-11-02 (주)아모레퍼시픽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중형기공성 실리카 복합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3524B1 (ko) * 2017-05-17 2018-12-3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용 실리카계 복합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94433B1 (ko) * 2017-12-20 2023-02-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어-쉘 복합 마이크로입자의 제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2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3300T3 (es) Un procedimiento para obtener composiciones de filtros solares fotoestables.
ES2212258T5 (es) Filtros solares para proteger de la radiacion solar.
ES2210507T3 (es) Derivados insolubles de s-triazina y su utilizacion como filtros uv.
JP4162857B2 (ja) 紫外線光遮蔽組成物
US20020010179A1 (en) Novel insoluble S-triazin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uses thereof
WO2010098249A1 (ja) 紫外線遮蔽能を有する複合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を配合した化粧料
JP2013527209A (ja) ミクロスフェア及びそれを含む光保護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0294726B1 (ko) 벤조페논유도체,자외선흡수제및피부외용제
WO2005072680A2 (en) Surface-doped particles of ti02 or zno and their use
CN102327196A (zh) 一种防晒bb霜及其制备方法
KR101727527B1 (ko)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의 수분산액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304985T3 (es) Una particula que comprende una red hospedadora y un huesped, su preparacion y uso en composiciones de ientificacion de luz ultravioleta.
KR101404965B1 (ko) 기공 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복합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55205B1 (ko) 자외선 차단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520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
KR20090070454A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101835214B1 (ko)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01522785A (ja) ブチルメトキシジベンゾイルメタンを含む光安定性化粧製剤
EP1725301B1 (de) Kosmetisches pr parat mit uv-schutz und verwendung von effek tpigmenten mit schutzschicht
Lee et al. Systematic modulation of mesoporous silica particles with avobenzone and benzene-containing organosilica results in remarkable enhancement of UV protection efficiency
KR20140117243A (ko) 소수 처리된 다공성 실리카에 담지된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습식 성형 색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7431B1 (ko)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 코팅된 자외선차단 복합분체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3088224B2 (ja) シリコーン系ヒダントイン誘導体、紫外線吸収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30030521A (ko) 티타늄디옥사이드 중형기공성 무기 복합분체
KR100481374B1 (ko) 자외선 차단제용 산화티탄의 표면처리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