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662B1 -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662B1
KR102553662B1 KR1020220080498A KR20220080498A KR102553662B1 KR 102553662 B1 KR102553662 B1 KR 102553662B1 KR 1020220080498 A KR1020220080498 A KR 1020220080498A KR 20220080498 A KR20220080498 A KR 20220080498A KR 102553662 B1 KR102553662 B1 KR 10255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uter ring
link
bearing out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범종
Original Assignee
조범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범종 filed Critical 조범종
Priority to KR102022008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베어링을 필요로 하는 구동장치에 쉽게 설치될 수 있는 외형을 제공하며, 구동장치에서 베어링을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베어링 외륜, 및 상기 제1 베어링 외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의 상면에 접촉되는 외부 걸림턱,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의 하면에 접촉되는 내부 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1 베어링 외륜과 함께 금형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 베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베어링 외륜이 내장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베어링 외륜이 장착될 공간에 대한 밀링작업이 생략되고, 베어링 외륜과 베어링 외륜의 조립 공정이 생략되고, 숙련공의 반복 조립을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BEARING HOUSING WITH BEARING OUTER RING AND AUXILIARY FOOTREST SYSTEM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어링을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을 필요로 하는 구동장치에 베어링을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동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외형을 제공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회전하는 요소와 회전하지 않는 요소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요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회전하고 있는 회전 요소의 축을 지지하는 기계요소이다.
이러한 베어링은 축과 접촉하는 상태에 따라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으로 대분되는 한편, 하중이 걸리는 방향에 따라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과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구름 베어링은 회전하는 축을 볼 또는 롤러와 같은 전동체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구름 베어링은 축의 일부에 직접 접촉하는 미끄럼 베어링에 비하여 마찰 저항이 작은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구름 베어링은 현재 전동체의 형상에 따라 볼 베어링(ball bearing),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ed roller bearing), 그리고 니들 베어링(needle bearing)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전동체가 대체적으로 테이퍼진 원통 형상이며, 회전축 방향 및 반경 방향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 액슬(axles)과 같은 동력 전달 장치의 축을 지지하거나, 자동변속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10), 외륜(20), 상기 내륜(10)과 외륜(20) 사이에 개재된 전동체로서의 테이퍼 롤러(30) 및, 상기 테이퍼 롤러(30)를 수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지(40) 혹은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2개의 궤도륜 사이에 몇 개의 전동체를 넣고, 이들 전동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적당한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기 위하여 케이지(40) 혹은 리테이너를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름 베어링은 베어링 자체가 하우징의 역할도 하게 되나, 구름 베어링은 대개가 규격품으로서 그에 맞는 베어링 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베어링 규격에 맞는 하우징을 별도로 제작 의뢰하여 제작한 후, 베어링을 베어링 하우징 내의 베어링 장착홈에 끼운 다음 베어링 이탈 내지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멍용 스냅링을 장착시키고, 그 다음에 베어링과 스냅링이 장착된 하우징을 설치 대상물에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의하면, 베어링 외륜을 베어링 장착홈에 조립하는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조립 시간이 길어지며, 전문 업체에서 작업해야 하므로 조립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베어링 외륜과 베어링 하우징이 별도로 제작되므로 베어링 장착홈에 베어링 외륜을 조립함에 있어 공차 관리가 어려워서 부품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8906호(2005.05.1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6859호(2017.02.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2636호(2006.12.0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3031호(2017.08.14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495호(2020.05.2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베어링 외륜을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베어링 외륜의 조립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가공 및 설치시의 정밀도를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 어셈블리를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자체의 구동부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동력전달축을 축 회전시키는 과정 중 동력전달축의 마모를 줄여줄 수 있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베어링 외륜, 및 상기 제1 베어링 외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의 상면에 접촉되는 외부 걸림턱,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의 하면에 접촉되는 내부 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1 베어링 외륜과 함께 금형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 베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베어링 외륜이 내장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베어링 외륜이 장착될 공간에 대한 밀링작업이 생략되고, 베어링 외륜과 베어링 외륜의 조립 공정이 생략되고, 숙련공의 반복 조립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 외륜이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줄어들고 불량률이 현저하게 떨어져 생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립의 난이도가 낮아져 전문 제조업체가 아닌 곳에서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어링 어셈블리가 내삽된 베어링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베어링 어셈블리가 내삽된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파이프가 포함된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어셈블리가 포함된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이 포함된 프론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이하, '베어링 하우징'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베어링 어셈블리가 내삽된 베어링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은 베어링 어셈블리(400),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이 내삽될 수 있는 제1 베어링 외륜(100), 및 회전봉이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202)이 형성되고 관통홀(202)의 내부에 상기 제1 베어링 외륜(100)이 결합되도록 제1 베어링 외륜(100)과 함께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 베이스 몸체(2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관통홀(20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400)와 다른 베어링 어셈블리가 내삽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베어링 외륜(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어셈블리(400)는 베어링 외륜이 불포함되며, 베어링 내륜과 케이지 및 전동체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베어링 어셈블리(400)는 베어링 내륜과 케이지 및 전동체가 먼저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 후,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제1 베어링 외륜(1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내륜은 회전봉이 상하 방향으로 내삽될 수 있도록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이 연통된 것으로, 외주면에 전동체가 회전하는 내륜 궤도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궤도면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베어링 내륜은 베어링으로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사용하는 경우,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내륜 궤도면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지는 베어링 내륜과 베어링 외륜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서로 이웃하는 롤러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원주면 전체에 복수 개의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장치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금형으로 사출하여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고리부와, 제1 고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고리부의 외경보다 축소된 외경을 갖는 제2 고리부, 및 상기 제1 고리부와 제2 고리부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며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된 창살부를 포함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격벽들 사이에는 테이퍼 롤러 포켓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동체는 각 격벽에 수용되어 창살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롤러(roller) 또는 볼(ball)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동체는 케이지의 포켓에 삽입되어 케이지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일측이 내륜 궤도면에 지지되고 상기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은 외륜 궤도면에 지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베어링 하우징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은 제1 베어링 외륜(1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어링 외륜(100)은 베어링 내륜과 케이지 및 전동체가 조립된 베어링 어셈블리(4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종류에 적합한 내측 궤도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베어링 어셈블리(400)가 테이퍼 롤러 베어링인 경우, 제1 베어링 외륜(100)은 베이스 몸체(200)의 상부에서 역 원뿔형 구조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베어링 외륜(100)의 상면 방향에서 하면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되게 내측 궤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어링 외륜(100)은 금형의 베어링 장착홈에 거치된 상태에서 금형으로 주입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베이스 몸체(2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자체적인 위치변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 몸체(200)에 대한 가공 정밀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은 제2 베어링 외륜(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어링 외륜(300)은 회전봉의 길이에 따라 임의의 제1 베어링 어셈블리(400)와 별개로 제2 베어링 어셈블리(70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베어링 외륜(100)과 함께 베이스 몸체(200)에 장착되는 것으로,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종류에 적합한 내측 궤도면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베어링 외륜(300)은 베이스 몸체(200)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베어링 외륜(100)과 달리 베이스 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베어링, 바람직하게는 원뿔형 구조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베어링 외륜(300)의 하면 방향에서 상면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되게 내측 궤도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어링 외륜(300)은 제1 베어링 외륜(10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 베어링 외륜(100)과 상하 방향이 뒤집어진 구조로 베이스 몸체(200)에 장착된다.
아울러, 제2 베어링 외륜(300)은 제1 베어링 외륜(10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금형의 베어링 장착홈에 거치된 상태에서 금형으로 주입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베이스 몸체(20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자체적인 위치변동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베이스 몸체(200)에 대한 가공 정밀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베어링이 내삽된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은 베이스 몸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200)는 베어링 하우징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봉을 내삽시키는 관통홀(202)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봉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봉을 지지하는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내삽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관통홀(202)은 회전봉이 축회전될 수 있도록 횡축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200)는 제1 베어링 외륜(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측벽부(210)와, 상기 측벽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외부 걸림턱(220), 및 상기 측벽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100)의 하면에 접촉되는 내부 걸림턱(2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1 베어링 외륜(100)과 함께 금형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다.
이때, 외부 걸림턱(220)과 내부 걸림턱(230)은 베이스 몸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돌출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는 고리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200)는 제1 베어링 외륜(100)의 상면과 하면 및 외측면을 감싸도록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1 베어링 외륜(100)이 베이스 몸체(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 몸체(200)는 제1 베어링 외륜(100)과 별개로 제작되는 대신 제1 베어링 외륜(100)이 관통홀(202)에 장착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제1 베어링 외륜(100)이 설치될 공간을 마련하는 연마 또는 절삭공정이 불필요하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제1 베어링 외륜(100)을 조립하는 조립공정이 생략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베어징 하우징이 포함된 베어링 어셈블리(400) 및 베어링 하우징의 포괄구성은 그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20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나일론(Nylon)/폴리아마이드(PA), 폴리아세탈(POM),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mPPO),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200)는 회전봉이 관통될 수 있도록 원통형 또는 다각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몸체(200)는 체결수단을 통해 베어링 하우징을 조립대상물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체결수단이 조립되는 조립홀(250)이 그 상부와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몸체(200)는 제1 베어링 외륜(100) 및 제2 베어링 외륜(300)이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몸체(200)는 제1 베어링 외륜(100)과 제2 베어링 외륜(30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측벽부(210)와, 상기 측벽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1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외부 걸림턱(220)과, 상기 측벽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100)의 하면과 제2 베어링 외륜(300)의 상면에 접촉되는 내부 걸림턱(230), 및 상기 측벽부(2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베어링 외륜(300)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2 외부 걸림턱(2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1 베어링 외륜(100) 및 제2 베어링 외륜(300)과 함께 금형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은 이물질 차단링(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차단링(500)은 베어링 외륜에 안착된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베이스 몸체(200)의 관통홀(202)에 내삽되는 것으로, 베어링 외륜과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상면에서 베어링 외륜과 베어링 어셈블리(400)의 사이 공간을 차단한다.
이러한 이물질 차단링(500)은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 파이프(600)가 포함된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은 사각 파이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각 파이프(60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봉이 내삽될 수 있도록 상면 및 하면에 중앙홀(610)이 구비되고, 상면 및 하면에 체결수단이 조립될 수 있는 보조조립홀(62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200)가 내부로 투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조립홀(620)은 사각 파이프(600)의 내부로 내삽된 베이스 몸체(200)의 조립홀(25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 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보조조립홀(620)과 조립홀(250)에 조립되면 사각 파이프(600)에 베이스 몸체(200)가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어셈블리가 포함된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 하우징이 포함된 프론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은 전술한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발판 시스템은 도 7과 같이 차량의 정차 시에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승하차하는 승객의 발을 지지하는 보조발판(10)과, 상기 보조발판(10)이 차량의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고 보조발판(10)을 차체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프론트 어셈블리(20)와, 상기 프론트 어셈블리(20)를 중심으로 보조발판(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프론트 어셈블리(20)와 보조발판(10)을 연결하는 제1 암블럭(30)과, 상기 프론트 어셈블리(20)와 함께 보조발판(10)을 차체의 하부에 결합시키는 리어 어셈블리(40), 및 상기 리어 어셈블리(40)를 중심으로 보조발판(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리어 어셈블리(40)와 보조발판(10)을 연결하는 제2 암블럭(50)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보조발판(10)과 제1 암블럭(30)의 사이에 구비된 제1 어댑터부(60), 및 보조발판(10)과 제2 암블럭(50)의 사이에 구비된 제2 어댑터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론트 어셈블리(20)는 도 8과 같이 전술한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어셈블리(20)는 모터브라켓(21)과, 상기 모터브라켓(21)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2)와, 상기 모터브라켓(21)에 조립되고 상기 구동부(22)에 연결되어 구동부(2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축 회전하는 동력전달축(23)과, 상기 동력전달축(23)에 일단이 연결되어 동력전달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터링크(24)와, 상기 모터링크(24)가 미리 설정된 정회전 멈춤지점을 넘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모터링크(24)의 정회전 멈춤지점 상에 위치한 상기 모터브라켓(21)의 상면에 설치된 링크스토퍼(25)와, 상기 모터링크(24)가 상기 링크스토퍼(25)에 접촉될 때 링크스토퍼(25)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모터링크(24)와의 사잇각이 180°를 초과하도록 그 일단이 모터링크(24)의 타단과 제1 힌지로 조립되는 회전링크(26)와, 상기 회전링크(26)의 타단과 일단이 제2 힌지로 조립되어 회전링크(26)를 통해 모터링크(24)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동링크(27)와, 상기 연동링크(27)의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어 연동링크(27)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회전봉(28), 및 상기 회전봉(28)이 내삽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봉의 안정적인 축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1 베어링 외륜 200 : 베이스 몸체
202 : 관통홀 210 : 측벽부
220 : 외부 걸림턱 230 : 내부 걸림턱
240 : 제2 외부 걸림턱 250 : 조립홀
300 : 제2 베어링 외륜 400 : 베어링 어셈블리
500 : 이물질 차단링 600 : 사각 파이프
610 : 중앙홀 620 : 보조조립홀
700 : 제2 베어링 어셈블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모터브라켓과, 상기 모터브라켓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모터브라켓에 조립되고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축 회전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동력전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터링크와, 상기 모터링크가 미리 설정된 정회전 멈춤지점을 넘어서 회전되지 않도록 모터링크의 정회전 멈춤지점 상에 위치한 상기 모터브라켓의 상면에 설치된 링크스토퍼와, 상기 모터링크가 상기 링크스토퍼에 접촉될 때 링크스토퍼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모터링크와의 사잇각이 180°를 초과하도록 그 일단이 모터링크의 타단과 제1 힌지로 조립되는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의 타단과 일단이 제2 힌지로 조립되어 회전링크를 통해 모터링크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연동링크와, 상기 연동링크의 타단에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어 연동링크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이 내삽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봉의 안정적인 축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포함된 프론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베어링 내륜과 케이지 및 전동체가 조립된 베어링 어셈블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며, 베어링 어셈블리가 탈부착 될 수 있도록 베어링 어셈블리를 안착시키는 제1 베어링 외륜; 및
    상기 제1 베어링 외륜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의 상면에 접촉되는 외부 걸림턱, 및 상기 측벽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베어링 외륜의 하면에 접촉되는 내부 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1 베어링 외륜과 함께 금형에서 인서트 사출로 성형된 베이스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KR1020220080498A 2022-06-30 2022-06-30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KR10255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498A KR102553662B1 (ko) 2022-06-30 2022-06-30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498A KR102553662B1 (ko) 2022-06-30 2022-06-30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662B1 true KR102553662B1 (ko) 2023-07-12

Family

ID=8716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498A KR102553662B1 (ko) 2022-06-30 2022-06-30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66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239A (ja) * 1985-07-11 1987-01-22 Toyota Motor Corp 湯流れ変更鋳造法
JP2003530526A (ja) * 1999-11-12 2003-10-14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バーモールドモータベアリング
KR100488906B1 (ko) 2004-04-09 2005-05-10 정명구 베어링하우징
KR200432636Y1 (ko) 2006-09-11 2006-12-05 일산테크(주) 베어링 어셈블리
CN204828323U (zh) * 2015-08-04 2015-12-02 平阳县泰星传动机械有限公司 输入轴承座
KR101706859B1 (ko) 2015-09-08 2017-02-15 주식회사 만도 댐퍼 일체형 베어링 어셈블리
KR20170093031A (ko)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테이퍼 롤러 베어링
KR102114495B1 (ko) 2018-04-02 2020-05-21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테이퍼 롤러 베어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239A (ja) * 1985-07-11 1987-01-22 Toyota Motor Corp 湯流れ変更鋳造法
JP2003530526A (ja) * 1999-11-12 2003-10-14 ブラック アンド デッカ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バーモールドモータベアリング
KR100488906B1 (ko) 2004-04-09 2005-05-10 정명구 베어링하우징
KR200432636Y1 (ko) 2006-09-11 2006-12-05 일산테크(주) 베어링 어셈블리
CN204828323U (zh) * 2015-08-04 2015-12-02 平阳县泰星传动机械有限公司 输入轴承座
KR101706859B1 (ko) 2015-09-08 2017-02-15 주식회사 만도 댐퍼 일체형 베어링 어셈블리
KR20170093031A (ko)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테이퍼 롤러 베어링
KR102114495B1 (ko) 2018-04-02 2020-05-21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테이퍼 롤러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38945B (zh) 皮带轮装置制造方法、皮带轮装置及装有皮带轮的发动机
US20050157965A1 (en) Bearing with tapered rolling bodies provided with a sealing device
CA2661822C (en) Idler roll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JP6566167B2 (ja) 揺動鍛造装置、揺動鍛造方法、該揺動鍛造方法を用いたハブユニット軸受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の製造方法
US9903417B2 (en) Assembly procedure of a bearing unit—HUB flange
KR20100064376A (ko) 오버몰딩된 플라스틱제 환상 본체를 포함한 베어링 조립체
JP2019181571A5 (ko)
US5501533A (en) Roller bearing assembly having improved axial retention and angular clocking
US6082528A (en) Conveyor roller
JP2008169937A (ja) 軸受ユニット
KR102553662B1 (ko) 베어링 외륜이 내장된 베어링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조발판 시스템
JP2007205557A (ja) 転がり軸受、保持器セグメントおよび風力発電機の主軸支持構造
US4758101A (en) Bearing mounting
JP2014139455A (ja) 保持器及び保持器を備えたスラストころ軸受
JP4304771B2 (ja) 車輪支持用ハブ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US20070025654A1 (en) Tapered roller bearing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658451B2 (en) Aircraft wheel grease retainer and method for retrofitting the same
KR101779787B1 (ko) 휠 베어링
JP5092383B2 (ja) 工作機械の主軸本体旋回部用玉軸受
CN112292539B (zh) 具有tvp滚动元件轴承保持架和可倾斜滚动元件的圆锥滚子轴承
US6003661A (en) Roller conveyor and supporting roller
US20030118259A1 (en) Plastic bearing apparatus with split spanner bushing
JPH04118834U (ja) 車両用ミラーのミラーホルダー支持構造
JP2000002038A (ja) クロスランナー
JP2998626B2 (ja) アンギュラ型玉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