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305B1 -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 Google Patents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305B1
KR102553305B1 KR1020210178763A KR20210178763A KR102553305B1 KR 102553305 B1 KR102553305 B1 KR 102553305B1 KR 1020210178763 A KR1020210178763 A KR 1020210178763A KR 20210178763 A KR20210178763 A KR 20210178763A KR 102553305 B1 KR102553305 B1 KR 10255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panel
mortar layer
floor
buffer
finishing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420A (ko
Inventor
구본수
최영락
홍성신
정민호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305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부에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이 차례대로 구비되되,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에 상하로 관통 구비되는 통기구에 의하여 바닥 구조의 내외부를 연통되게 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 억제로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는 공동주택 바닥의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기 슬래브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패널; 및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적층되는 마감모르타르층; 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완충패널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상기 가이드관에 의해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에서 서로 연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Floor structure for low frequency resonance control}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부에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이 차례대로 구비되되,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에 상하로 관통 구비되는 통기구에 의하여 바닥 구조의 내외부를 연통되게 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 억제로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에 대한 것이다.
최근 주거용 건물로서 공동주택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구조상 세대 간 층간소음 발생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한 이웃 간 분쟁이 증가하면서 층간소음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층간소음을 유발하는 바닥충격음은 크게 가볍고 딱딱한 충격에 의한 경량충격음과 무겁고 부드러운 충격에 의한 중량충격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경량충격음은 일시적으로 거주자를 놀라게는 하지만 잔향이 없어 불쾌감이 상대적으로 적은 특징이 있다. 반면, 중량충격음은 발생 시 잔향이 남기 때문에, 불쾌감과 정신적 고통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어 공동주택에서 큰 문제가 된다.
저주파수 대역의 충격음인 중량충격음은 슬래브의 판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소음으로, 슬래브의 두께, 밀도, 강성, 지지 조건 등에 의한 슬래브의 동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종래에는 공동주택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완충재와 모르타르층 및 마감재를 순서대로 적층하였다(공개특허 제10-2018-0029335호 등).
그러나 완충재 시공은 경량충격음 저감에는 효과적이나 슬래브 판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중량충격음 저감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바닥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모르타르층 사이에 완충재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와 모르타르층은 차폐 부재로서, 완충재 내부 미세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가 하부의 콘크리트 슬래브와 상부의 모르타르층 사이에 갇히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 상부 가진 시, 상부 모르타르층의 판 진동이 갇힌 공기에 의해 하부 콘크리트 슬래브 층으로 전달되어 충격음 저감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 구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 억제로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바닥의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기 슬래브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패널; 및 상기 완충패널의 상부에 적층되는 마감모르타르층; 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완충패널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가이드관이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상기 가이드관에 의해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에서 서로 연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완충패널은 하부에 복수의 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공기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완충패널 및 마감모르타르층의 측단부와 벽체의 사이에는 내부에 일단은 완충패널 측으로 개방되고 타단은 마감모르타르층의 상부로 개방되는 측면통기구가 형성된 측면완충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 상부에 완충패널과 마감모르타르층이 차례대로 구비되되, 마감모르타르층과 완충패널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기구가 구비된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구에 의하여 바닥 구조 내외부가 연통되므로, 완충패널이 구비된 층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마감모르타르층의 진동이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공진을 억제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아울러 완충패널의 하면에 돌부가 형성되는 경우, 이웃하는 돌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하여 상부에서 가진되는 충격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바닥충격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통기구가 이웃하는 돌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과 연통되는 경우, 완충패널이 구비된 층의 공기가 적극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저주파 공진 제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상하부완충패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완충패널 관통형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가이드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는 공동주택 바닥의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 상기 슬래브(1)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패널(3); 및 상기 완충패널(3)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H)가 형성된 마감모르타르층(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 구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기구(H)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판 진동 억제로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 완충패널(3) 및 마감모르타르층(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조체인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의 상부에는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고 단열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완충패널(3)이 시공된다.
상기 완충패널(3)의 하부에는 기초모르타르층(2)이 선 타설되어, 기초모르타르층(2)의 상부에 완충패널(3)이 시공될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의 상부에 선 타설된 기초모르타르층(2)에 의하여 바닥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상면 평활도를 맞춘 상태에서 기초모르타르층(2) 상부에 완충패널(3)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패널(3)은 구조체인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와 뜬바닥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기초모르타르층(2)은 밀도가 높고 유동성이 좋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특히, 고유진동수는 질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중량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바닥의 고유진동수 대역을 낮은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중량충격음 가진파와의 공명(공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널(3)의 상부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없이 마감모르타르층(4)이 바로 시공된다.
따라서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없이 기초모르타르층(2)과 마감모르타르층(4)의 이중 모르타르층으로 구성하여 중량충격음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상부에 난방배관을 설치하여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의 단열 성능에 의해 난방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대신 마감모르타르층(4) 하부에 위치하는 완충패널(3)의 단열 성능에 의해 난방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기초모르타르층(2)에 전기 배관을 설치하면, 완충패널(3)이 난방 배관의 열을 차단하여 전기 배관 주변 온도가 허용온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 타설 기초모르타르층(2)이 시공되는 경우, 기초모르타르층(2)은 두께 20~60㎜, 완충패널(3)은 두께 40㎜ 이상, 마감모르타르층(4)은 두께 35~6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모르타르층(2)과 마감모르타르층(4)을 형성하는 모르타르는 셀프레벨링을 통한 평활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로우치 230~270㎜ 범위의 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모르타르층(4)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구(H)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H)는 하부는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되고, 상부는 마감모르타르층(4) 상면 측으로 개방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 구조 상부에서 가진 시, 완충패널(3)이 구비된 층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H)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마감모르타르층(4)의 진동이 하부의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로 전달되어 공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통기구(H) 자체가 가진점에서 마감모르타르층(4) 자체의 진동이 수평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해하여 투과 손실(transmission loss)을 높임으로써 충격음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통기구(H)는 거실 외곽 측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름 15~25㎜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기구(H)의 지름이 15㎜ 이하인 경우, 공진 제어 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통기구(H)의 지름이 25㎜ 이상인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마루패널(5)의 변형이나 손상 우려가 있다.
아래 [표 1]은 KS 기준 측정 방법에 의한 바닥충격음의 역A값에 대한 측정 결과이다(단위 dB).
구분 뱅머신
통기구 미형성 48.1 44.7 48.8
통기구 형성 47.9 43.5 48.5
차이 -0.2 -1.2 -0.3
뱅머신, 볼, 탭에 의해 각각 측정한 결과, 통기구(H) 형성시 각각에 대해 0.2dB, 1.2dB, 0.3dB 바닥충격음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마감모르타르층(4)의 상부에는 마감패널(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5)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끼워 맞추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강화마루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마감모르타르층(4)에 부착 시공되는 강마루 등일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5)이 강화마루인 경우, 강화마루의 패널 사이에 틈새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통기구(H)를 통해 빠져나온 공기는 강화마루패널 사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마감패널(5)이 강마루인 경우, 접착제 도포 시 접착제 자체에 골을 형성함으로써 골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구(H)는 완충패널(3)을 관통하여 완충패널(3)과 마감모르타르층(4)에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H)를 완충패널(3)까지 연장 형성하면, 바닥 가진 시 완충패널(3)이 구비된 층의 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공진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통기구(H)가 완충패널(3)까지 연장되면, 통기구(H)와 완충패널(3)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공기 배출 효율이 우수하며 저주파 공진 제어 효과가 증진된다.
도 3은 상하부완충패널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널(3)은 하부에 복수의 돌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부(31) 사이에 공기층(3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H)는 상기 공기층(32)과 연통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널(3)의 하면에는 복수의 돌부(31)가 돌출 형성되어 돌부(31) 사이에 공기층(3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서 가진되는 충격이 상쇄되어 효율적으로 바닥충격음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통기구(H)를 돌부(31) 사이의 공기층(32)과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완충패널(3)이 구비된 층의 공기를 적극적으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저주파 공진 제어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널(3)은 하부완충패널(3a)과 상부완충패널(3b)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완충패널(3a)의 하면에는 제1돌부(31a)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되고, 상부완충패널(3b)의 하면에는 제2돌부(31b)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각 돌부(31a, 31b)는 서로 이격 형성되어 제1돌부(31a) 사이 및 제2돌부(31b) 사이에는 각각 제1공기층(32a)과 제2공기층(3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패널(3)이 상하부완충패널(3a, 3b)의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하부로 형성된 이중 공기층(32a, 32b)에 의해 상부에서 가진되는 충격이 상쇄되므로, 바닥충격음을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완충패널로 많이 사용되는 EPS 등의 연질완충재는 소재 자체로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은 우수하지만, 하중 작용 시 처짐 및 잔류 변형이 크다. 이에 연질완충재만으로 완충 구조를 형성하면 사용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EPS는 밀도가 16㎏/㎥에 불과하여 국부적인 하중에 큰 변형이 발생한다.
반면, 경질완충재는 처짐이나 잔류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동탄성계수가 높아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이 떨어져 완충패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초산 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로, 동탄성계수가 높아 125Hz에서 바닥충격음 저감 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되는 상하부완충패널(3a, 3b)을 연질완충재와 경질완충재를 조합함으로써, 바닥충격음 전달을 줄이면서도 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연질완충재는 연질 소재 자체의 충격음 저감 성능과 돌부(31) 사이 공기층(32)에 의해 바닥충격음을 저감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질완충재와 경질완충재를 조합하여 상하부완충패널(3a, 3b)을 구성함으로써, 기존 단일 소재 완충재에 비해 연질완충재의 두께가 감소해 처짐 및 잔류 변형으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질완충재의 두께 감소로 인한 충격음 저감 성능 저하는 경질완충재 하부의 공기층(32)에 의해 보완되어 전체적으로 충분한 충격음 저감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때, 연질완충재가 하부에 구비되고, 경질완충재가 상부에 구비되면, 경질완충재의 돌부(31) 가압에 의해 하부의 연질완충재에 처짐이 발생한다. 이에 경질완충재의 돌부(31)가 연질완충재에 묻혀, 충분한 공기층(32)이 형성되지 못한다.
따라서 하부완충패널(3a)을 경질완충재로, 상부완충패널(3b)을 연질완충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완충 구조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공기층(32a)과 제2공기층(32b)을 충분히 확보하여 바닥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하부완충패널(3a)은 EVA로 구성할 수 있다. EVA는 밀도가 50㎏/㎥으로, 재료의 조직이 치밀하여 접지면적 대비 큰 하중이 작용해도 반발력과 지지력이 높다.
상기 상부완충패널(3b)은 EPS로 구성할 수 있다. EPS은 낮은 탄성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EPS를 사용함으로써 바닥 구조의 단열 성능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부 충격에 대해 상부완충패널(3b)에서 1차로 진동을 저감하고, 상부완충패널(3b)의 제2돌부(31b)에 의해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구(H)는 마감모르타르층(4)의 내부에 매립되는 가이드관(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H)는 마감모르타르층(4)을 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하부 배관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마감모르타르층(4) 타공 시 배관 손상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신설 바닥에서는 마감모르타르층(4) 타설 시 통기구(H)를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거푸집 역할을 하는 가이드관(6)에 의해 통기구(H)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6)은 PVC, 지관 등으로 제작 가능하며, 상하가 개방된 원형, 각형 등의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6)의 상단이 마감모르타르 타설 시 마감모르타르층(4) 내부로 완전 매립되어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관(6)은 마감모르타르층(4)의 상면보다 소정 높이만큼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모르타르층(4)의 상면 위로 돌출된 가이드관(6) 부분은 마감모르타르층(4) 시공 완료 후 현장에서 절단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관(6)을 설치면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가이드관(6)의 하단에는 플랜지(6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완충패널 관통형 가이드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6)의 하단은 완충패널(3)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가이드관(6)의 하부 외주면에는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6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H)를 완충패널(3)까지 관통하여 형성하는 경우, 가이드관(6)은 완충패널(3)을 관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패널(3)의 내부 또는 이웃하는 돌부(31) 사이 공기층(3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관(6)의 외주면에는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6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모르타르층(4) 타설 시 가이드관(6) 내부로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기공(62)은 완충패널(3) 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가이드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가이드관에 의해 통기구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6)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6)은 완충패널(3)을 미리 타공한 후 타공된 구멍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별도로 가이드관(6) 고정을 위해 완충패널(3)을 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시공이 번거롭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관(6)의 하부를 좁게 형성하면, 완충패널(3)을 먼저 설치한 후 가이드관(6)의 하부를 완충패널(3)의 상부에 꽂아 가이드관(6)의 위치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6)은 역원뿔 형상이나 역원뿔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을 사선으로 절단하여 가이드관(6)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과 같은 형태의 가이드관(6)은 절단된 하부면에도 복수의 통기공(62)을 형성할 수 있다(도 10).
상기 가이드관(6)은 마감모르타르층(4)이나 완충패널(3)에 설치되어 영구 존치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통기구(H) 형성 후 제거될 수도 있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패널(3) 및 마감모르타르층(4)의 측단부와 벽체(7)의 사이에는 내부에 일단은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되고 타단은 마감모르타르층(4)의 상부로 개방되는 측면통기구(81)가 형성된 측면완충재(8)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 공동주택 중량 바닥충격음이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824호에서는 바닥 마감모르타르가 벽에 직접 닿지 않게 바닥 마감모르타르와 벽체(7) 사이에 측면완충재(8)를 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 측면완충재(8)를 이용하여 바닥 단부 측을 통해서도 완충패널(3) 측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완충재(8)에 측면통기구(8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통기구(81)는 측면완충재(8)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인 하부가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되어 완충패널(3)이 구비된 층과 연통되고, 타단인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통기구(81)의 상부는 마감모르타르층(4)의 상부로 개방되게 구비된다.
1: 슬래브 2: 기초모르타르층
3: 완충패널 3a: 하부완충패널
3b: 상부완충패널 31: 돌부
31a: 제1돌부 31b: 제2돌부
32: 공기층 32a: 제1공기층
32b: 제2공기층 4: 마감모르타르층
5: 마감패널 6: 가이드관
61: 플랜지 62: 통기공
7: 벽체 8: 측면완충재
81: 측면통기구 H: 통기구

Claims (7)

  1. 공동주택 바닥의 공진을 제어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1);
    상기 슬래브(1)의 상부에 적층되는 완충패널(3); 및
    상기 완충패널(3)의 상부에 적층되는 마감모르타르층(4); 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감모르타르층(4)과 완충패널(3)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통기공(62)이 형성되는 가이드관(6)이 마감모르타르층(4)과 완충패널(3)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상기 가이드관(6)에 의해 완충패널(3)과 마감모르타르층(4)에서 서로 연통되는 통기구(H)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완충패널(3)은 하부에 복수의 돌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돌부(31) 사이에 공기층(3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H)는 상기 공기층(32)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관(6)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7. 제1항에서,
    상기 완충패널(3) 및 마감모르타르층(4)의 측단부와 벽체(7)의 사이에는 내부에 일단은 완충패널(3) 측으로 개방되고 타단은 마감모르타르층(4)의 상부로 개방되는 측면통기구(81)가 형성된 측면완충재(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KR1020210178763A 2021-12-14 2021-12-14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KR10255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63A KR102553305B1 (ko) 2021-12-14 2021-12-14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763A KR102553305B1 (ko) 2021-12-14 2021-12-14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420A KR20230090420A (ko) 2023-06-22
KR102553305B1 true KR102553305B1 (ko) 2023-07-07

Family

ID=8698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763A KR102553305B1 (ko) 2021-12-14 2021-12-14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396B1 (ko) * 2013-12-27 2014-05-02 최근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건축물 바닥 시공구조
KR102221119B1 (ko) * 2020-08-12 2021-02-26 윤이중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948B1 (ko) * 2015-09-24 2017-06-14 주식회사 포스코 바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396B1 (ko) * 2013-12-27 2014-05-02 최근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건축물 바닥 시공구조
KR102221119B1 (ko) * 2020-08-12 2021-02-26 윤이중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420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KR20210017532A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102553305B1 (ko)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
KR100931511B1 (ko) 건물용 방음 및 단열 조립체
KR102137373B1 (ko)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감쇄 구조물을 포함하는 난방패널
KR20210157063A (ko) 차음 공간이 형성된 완충재를 이용한 바닥 충격음 저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12958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KR100645116B1 (ko) 제진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102553306B1 (ko) 저주파 공진 제어용 통기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용 합성 바닥 시스템
KR20060078348A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 다중패널
KR100629249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KR102361506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제조방법
KR100473834B1 (ko) 뜬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140030513A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JP2006316459A (ja) 重量衝撃音低減用二重天井
KR20240037644A (ko) 측면 이격형 통기성 바닥 구조의 시공 방법
KR20210047101A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JP5178937B2 (ja) 遮音二重床及び建築物
KR102098787B1 (ko) 진공 흡음판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646808U (zh) 一种楼板用隔声保温垫
JP2004293065A (ja) 低音響放射型内装構造及び内装パネル材
JP3755442B2 (ja) 際根太構造体および床構造体
KR102334371B1 (ko) 층간소음 차단구조의 시공방법
CN213626237U (zh) 一种具有隔音功效的预制叠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