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311B1 -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311B1
KR102552311B1 KR1020210111343A KR20210111343A KR102552311B1 KR 102552311 B1 KR102552311 B1 KR 102552311B1 KR 1020210111343 A KR1020210111343 A KR 1020210111343A KR 20210111343 A KR20210111343 A KR 20210111343A KR 102552311 B1 KR102552311 B1 KR 10255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main
auxiliar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166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102021011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3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4Double foot controls, e.g. for instructi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Arrangements of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with respect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습자가 가하는 답력이 운전자의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방식에 있어서, 와이어를 통한 전달 방식이 아닌 일체화된 프레임 구조를 통해 전달하여 답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큰 답력이 요구되는 차량에서도 적합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BRAKE SYSTEM FOR DRIVING LESSONS WITH IMPROVED LEG STRENGTH}
본 발명은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습자가 가하는 답력이 운전자의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방식에 있어서, 와이어를 통한 전달 방식이 아닌 일체화된 프레임 구조를 통해 전달하여 답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큰 답력이 요구되는 차량에서도 적합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운전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학원, 연수시설 등에서 운전자가 운전 연습을 해야 한다. 이러한 운전 연습 과정에서는, 운전이 능숙한 교습자가 동승하게 된다.
이때, 운전 연습용 차량의 조수석에는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자의 주 브레이크 페달과 교습자의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연동시켜, 교습자가 보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 답력이 운전자의 주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어 운전자가 직접 주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운전 연습용 차량에 제동이 걸리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운전 연습용 브레이크 장치는,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하는 상황에서 제대로 밟지 못하는 경우, 교습자가 대신하여 운전 연습용 차량의 제동을 가하는 것으로, 안전을 위해 운전 연습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필수 장치이다.
이러한 운전 연습용 브레이크 장치는, 통상적으로 보조 브레이크 페달과 주 브레이크 페달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보조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답력을 주 브레이크 페달로 전달하는 구조로 장치가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전 연습용 브레이크 장치는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구조 특성 상, 반복적인 사용 시 와이어가 끊어지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장치의 수명 문제뿐 만 아니라, 운전자 및 교습자의 안전 문제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와이어 방식을 탈피한 운전 연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56844호
본 발명은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습자가 가하는 답력이 운전자의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방식에 있어서, 와이어를 통한 전달 방식이 아닌 일체화된 프레임 구조를 통해 전달하여 답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큰 답력이 요구되는 차량에서도 적합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는 회동 가능한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의 일단과 맞닿되, 주 페달과 체결되는 주 브레이크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교습자가 상기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여 회동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유닛이 회동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이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주 페달이 가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프레임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일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프레임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가 상기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가압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제2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과 맞닿고,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가압부와 맞닿는 제1 패널부; 상기 제1 패널부와 연결되는 제2 패널부; 상기 제2 패널부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블록부; 및 상기 제1 블록부와 대향되는 제2 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부 및 상기 제2 블록부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 페달과 연결된 주 페달암이 상기 홈을 관통하여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과 상기 주 페달암이 연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상기 보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타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페달암; 및 상기 보조 페달암과 연결되되, 상기 교습자가 압력을 가하는 보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교습자가 상기 보조 페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보조 페달암이 하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1 프레임부가 상기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가압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와이어 방식의 답력 전달 방식을 탈피하여 일체화된 프레임 구조 및 회동 방식으로 답력을 전달하여 장치 수명을 증대시키고, 큰 답력이 요구되는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브레이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b)는 가압부가 주 브레이크 장를 가압하여 교습자의 답력이 주 브레이크 장치에 전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 부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 페달암이 회동할 때의 스프링부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는 프레임 유닛(100), 주 브레이크 유닛(200) 및 보조 브레이크 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 차량(1)에 기본적으로 주 브레이크 장치(2)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 브레이크 장치(2)는 주 페달(20) 및 주 페달(20)과 연결된 주 페달암(21)을 포함한다. 이는 공지된 기술인 바, 발명의 설명의 서두에서 미리 언급한다.
프레임 유닛(100)은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가압부(14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 바(bar)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프레임부(110)는 제1 프레임부(110)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후술하겠지만, 제1 프레임부(110)의 회동은 보조 브레이크 유닛(300)의 가압에 따른 회동 방향에 대응하여 회동된다.
이때, 제1 프레임부(110)는 차량(1)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베어링부(500)를 관통하며, 베어링부(500)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가상의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베어링부(500)는 차량(1)과 볼트(511, 521)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볼트(511, 521)와 후술할 지지부(400)와 결합되는 제1 볼트(600) 및 제2 볼트(800)는 도면부호를 달리하여 구분하며, 제1 볼트(600) 및 제2 볼트(800)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 프레임부(110)의 일단은 제2 프레임부(120)와 연결되고, 제1 프레임부(110)의 타단은 보조 브레이크 유닛(300)과 결합된다.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의 일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직교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 프레임부(110)의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의 회동에 대응하여, 제2 프레임부(120)는 상, 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예컨대, 제1 프레임부(1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 프레임부(120)는 하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 프레임부(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2 프레임부(120)는 상방향으로 회동한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회동으로 주 브레이크 장치(2)를 가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14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가압부(14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가압부(140)는 제2 프레임부(120)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압부(140)는 주 브레이크 유닛(200)과 맞닿을 수 있어, 맞닿는 경우 주 브레이크 유닛(200)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140)는 가압부(140)의 중심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제2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제2 프레임부(120)와 결합되어 제2 프레임부(120)의 상, 하 방향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 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140)로 인해, 주 브레이크 장치(2)를 가압하거나 그 반대로 수행되는 동작에 있어서 가압부(140) 및 프레임 유닛(100) 전체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여 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브레이크 유닛(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주 브레이크 유닛(2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 브레이크 유닛(200)은 제1 패널부(210), 제2 패널부(220), 제1 블록부(230), 제2 블록부(240), 관통볼트부(250) 및 고정부재부(260)를 포함한다.
제1 패널부(210)는 용어 그대로와 같이 패널(panel) 형상이며, 전술한 가압부(140)와 맞닿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패널부(220)는 제1 패널부(210)와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의 제2 패널부 홀(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블록부(230)는 제2 패널부(220)의 하부에 위치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블록부(240)는 제1 블록부(230)와 대향하여 위치되며, 제2 블록부(240) 또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블록부(230)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방으로 함몰되는 제1 블록부 오목홈(2311)이 형성되며, 제2 블록부(240)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방으로 함몰되는 제2 블록부 오목홈(24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블록부(230)와 제2 블록부(240)의 접점에서 제1 블록부 오목홈(2311)과 제2 블록부 오목홈(2411)은 원형의 홈을 형성한다. 전술한 홈에, 주 페달암(21)이 관통되어, 주 페달암(21)과 결합된 주 페달(20)이 주 브레이크 유닛(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관통볼트부(25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관통볼트부(250)는 각각 제2 블록부(240), 제1 블록부(230) 및 제2 패널부(220)의 제2 패널부 홀(221)을 관통하여 고정부재부(260)와 결합된다.
위와 같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인해, 관통볼트부(250)와 고정부재부(26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제1 블록부 오목홈(2311)과 제2 블록부 오목홈(2411)이 형성하는 원형의 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 페달암(21)의 크기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교습자가 주 페달암(21)으로 가하는 답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a) 및 (b)는 가압부(140)가 주 브레이크 장치(2)를 가압하여 교습자의 답력이 주 브레이크 장치(2)에 전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교습자가 후술할 보조 브레이크 유닛(300)을 통해 답력을 가하면, 제1 프레임부(110)는 가상의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프레임부(120)는 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부(120)가 하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부(140) 또한 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4(a)는 가압부(140)가 회동되기 전의 모습이며, 도 4(b)는 가압부(140)가 회동된 후의 모습이다.
이때, 가압부(140)가 회동되기 전, 가압부(140)는 제1 패널부(210)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패널부(210)의 표면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가압부(140)가 회동되어 제1 패널부(210)와 맞닿을 때, 가압부(140)가 제1 패널부(210)를 가압함과 동시에 제1 패널부(210)의 표면을 따라 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습자가 답력을 가하면, 가압부(140)가 하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로 인해, 제1 패널부(210)를 가압한다. 또한, 제1 패널부(210)는 도 4(b)와 같이 하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때, 제1 패널부(210)와 연결된 제2 패널부(220), 제1 블록부(230) 및 제2 블록부(240) 또한 하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블록부(230)와 제2 블록부(240) 사이에 끼워진 주 페달암(21) 또한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어 차량에 제동이 걸리게 된다.
이때, 만약 가압부(140)가 가상의 제2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바, 가압부(14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이러한 결과로 가압부(140)와 연결된 구성 요소 모두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충격을 최소화하여 장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4(b)와 같이, 가압부(140)가 제1 패널부(210)의 표면에 맞닿아 제1 패널부(210)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제1 패널부(210)의 표면을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회동하지 않는 경우보다 가압부(140)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게 된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반대 동작으로 제1 패널부(210)가 상방으로 회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가압부(14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 패널부(210)의 표면과 점점 이격되므로 반대 동작에서도 가압부(14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답력 전달 전 가압부(140)의 위치는 제1 패널부(210)의 표면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140)에 답력이 전달되어 제1 패널부(21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패널부(210)의 하방으로 이동되는 바, 가압부(140)가 제1 패널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보조 브레이크 유닛(300)은 보조 페달암(310), 보조 페달(320) 및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보조 페달(320)은 보조 페달암(310)과 연결되며, 교습자가 답력을 최초로 가하게 된다.
보도 페달암(310)은 제1 프레임부(110)의 타단에 연결되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2 프레임부(120)와 같이, 제1 프레임부(110)와 직교되어 연결된다. 이로 인해, 보조 페달(320)로부터 전달된 교습자의 답력이 보조 페달암(310)의 상,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보조 페달암(310)의 상, 하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1 프레임부(1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보았을 때, 보조 페달(320)에 전달된 교습자의 답력은 보조 페달암(310) - 제1 프레임부(110) - 제2 프레임부(120) - 가압부(140) - 주 브레이크 유닛(200)을 거쳐 주 브레이크 장치(2)에 전달된다.
이때, 교습자가 보조 페달(320)을 가압하면, 보조 페달암(310)이 하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 프레임부(11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가상의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또한, 제2 프레임부(120)는 하방향으로 회동하고, 가압부(140)가 주 브레이크 유닛(20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주 브레이크 장치(2)를 누르게 되는 동력 전달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후술하겠지만, 스프링부(700)의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보조 페달(320)이 원래대로 복귀하면, 보조 페달암(310)이 상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 프레임부(110)는 시계 방향으로 가상의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또한, 제2 프레임부(120)는 상방향으로 회동하고, 가압부(140)가 주 브레이크 유닛(200)으로부터 떨어져 주 브레이크 장치(2)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어 차량에 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와이어를 통해 운전자의 주 브레이크 장치와 교습자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일체화되어(좀 더 상세하게는 바(bar)끼리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되는 바,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안전성 또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대형인 경우(예컨대 대형), 주 브레이크 장치(2)에 소형 차량보다 더 많은 답력이 가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와이어 장치는 큰 답력을 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답력 전달 과정에서 일체화되어 있는 바, 종래의 장치보다 큰 답력을 가할 수 있어, 차량 크기가 커져도 안정적인 큰 답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체결부(330)는 보조 페달암(310)의 일 지점에 형성된다. 체결부(330)는 완충프레임(331), 제1 스프링 결합홀(332) 및 완충부(333)를 포함한다.
완충프레임(331)은 보조 페달암(310)의 일 지점에서 돌출되어 결합되며, 특히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333)는 완충프레임(331)에 결합되며, 후술할 지지부(400)와 맞닿을 때 보조 페달암(3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스프링 결합홀(332)은 보조 페달암(3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프링 결합홀(332)은 스프링부(700)의 일단이 결합되며, 스프링부(700)의 타단은 지지부(400)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부(700)의 탄성회복력이 보조 페달암(31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 부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400)의 구성 및 지지부(400) 부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400)는 제1 지지부(410), 제2 지지부(420), 제3 지지부(4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4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패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지지부(410)는 제1 프레임부(110) 및 보조 페달암(3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부(410)의 일측에는 제1 지지부 홀(411)이 형성되며, 제1 지지부(410)의 타측에는 제2 지지부 홀(412)이 형성된다. 제1 지지부 홀(411)에는 제1 볼트(600)가 삽입되며, 제2 지지부 홀(412)에는 제2 볼트(800)가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110)를 감싸는 복수 개의 베어링부(500)에는 홀이 형성되며, 홀에 볼트(511, 521)가 관통하여 차량(1)의 차체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베어링부(500)가 차량(1)의 차체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1 프레임부(11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프레임부(110)를 감싸는 베어링부(500) 중 지지부(400) 부근에 위치한 베어링부(520)에는 한 쌍의 홀(5211)이 형성되고, 한 쌍의 홀(5211) 중 전방에 위치된 홀(5211)은 전술한 볼트(521)가 관통되되, 후방에 위치된 홀(5211)에는 제2 볼트(800)가 관통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베어링부(520)의 홀(5211)의 상부에 제1 지지부(410)의 제2 지지부 홀(412)이 위치되도록 하고, 제2 볼트(80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베어링부(520)의 홀(5211) 및 제2 지지부 홀(41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구(801)를 통해 고정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베어링부(520)와 제1 지지부(410)가 연결되므로, 베어링부(520)와 지지부(400) 전체가 연결되게 된다. 또한, 베어링부(520)는 차량(1)의 차체와 결합된 바, 지지부(400) 전체가 차량(1)의 차체에 결합된다.
또한, 제1 볼트(600)가 제1 지지부 홀(411)을 관통하게 하여 차체와 결합되고, 이를 통해 지지부(400)의 차량(1)의 차체와의 고정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제2 지지부(420)는 패널 형상으로, 제1 지지부(410)와 직교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3 지지부(420)는 패널 형상으로, 제2 지지부(420)와 직교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3 지지부(420)에는 한 쌍의 제2 스프링 결합홀(4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부(700)의 일단은 보조 페달암(310)에 형성된 제1 스프링 결합홀(332)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3 지지부(420)에 형성된 제2 스프링 결합홀(431)과 결합된다. 이로 인해, 보조 페달암(310)과 지지부(400)가 연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보조 페달암(310)에 탄성 회복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8(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부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해, 보조 페달암(310)이 회동할 때의 스프링부(700)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8(a)는 교습자가 보조 페달(320)에 답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스프링부(700)가 수축되어 있다. 도 8(b)와 같이, 교습자가 보조 페달(320)에 답력을 가하면, 보조 페달암(310)이 하방으로 회동하면, 보조 페달암(310)과 제3 지지부(4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되, 스프링부(700)의 양단은 각각 제3 지지부(430)의 제2 스프링 결합홀(431) 및 제1 스프링 결합홀(33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프링부(700)가 인장되게 된다.
이때, 교습자가 더 이상 보조 페달(320)에 답력을 가하지 않으면, 스프링부(700)의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도 8(a)와 같은 상태로 원복되게 된다. 제동 장치의 특성 상 반드시 원복 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원복을 위한 별도의 유압 장치 등을 구비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페달(320) 및 보조 페달암(310)이 원복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스프링부(700)의 탄성회복력만으로 원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원가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이 향상되며, 교습자의 피로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보조 페달(320) 및 보조 페달암(310)이 원복되는 과정에서 보조 페달암(310)과 제3 지지부(430)가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조 페달암(310)의 상부에 결합된 완충부(333)가 제3 지지부(430)와 맞닿도록 하여, 보조 페달암(3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유닛,
200 : 주 브레이크 유닛,
300 : 보조 브레이크 유닛,
400 : 지지부,
500 : 베어링부,
600 : 제1 볼트,
700 : 스프링부,
800 : 제2 볼트.

Claims (5)

  1.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위치하는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한 프레임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의 일단과 맞닿되, 주 페달과 체결되는 주 브레이크 유닛; 및
    상기 프레임 유닛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동되는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고,
    교습자가 상기 보조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여 회동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유닛이 회동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이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주 페달이 가압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일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프레임부의 회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가 상기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가압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부는 제2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과 맞닿고,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가압부와 맞닿는 제1 패널부;
    상기 제1 패널부와 연결되는 제2 패널부;
    상기 제2 패널부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블록부; 및
    상기 제1 블록부와 대향되는 제2 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부 및 상기 제2 블록부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주 페달과 연결된 주 페달암이 상기 홈을 관통하여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과 상기 주 페달암이 연동되는 것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타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페달암; 및
    상기 보조 페달암과 연결되되, 상기 교습자가 압력을 가하는 보조 페달;을 포함하고,
    상기 교습자가 상기 보조 페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보조 페달암이 하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1 프레임부가 상기 제1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가압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주 브레이크 유닛을 가압하는 것인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KR1020210111343A 2021-08-24 2021-08-24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KR10255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43A KR102552311B1 (ko) 2021-08-24 2021-08-24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43A KR102552311B1 (ko) 2021-08-24 2021-08-24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66A KR20230029166A (ko) 2023-03-03
KR102552311B1 true KR102552311B1 (ko) 2023-07-06

Family

ID=8551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43A KR102552311B1 (ko) 2021-08-24 2021-08-24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3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7178A1 (zh) * 2010-05-28 2011-12-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教练车的副制动踏板装置及制动踏板总成
KR101512066B1 (ko) 2013-12-23 2015-04-14 학림공업 주식회사 장애인용 보조 악셀레이터 페달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2246A (en) * 1979-12-26 1982-01-26 Barresi Zina V Dual operating system for controlling a brake or the like, including a counter system to prevent or reverse operation
KR100199166B1 (ko) * 1994-12-29 1999-06-15 정몽규 도로 연수용 차량의 클러치 및 브레이크 페달장치
KR200150880Y1 (ko) * 1995-11-09 1999-07-15 정몽규 브레이크 아암용 보조브라켓트 체결장치
KR19980056844A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주입구의 오염방지구조
KR200161634Y1 (ko) * 1997-01-23 1999-12-01 김기수 운전교습용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보조조작장치
KR19990036754U (ko) * 1998-02-27 1999-09-27 홍종만 액셀레이터 페달 보조 구동장치
KR20050043373A (ko) * 2003-11-06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교습차량의 보조페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7178A1 (zh) * 2010-05-28 2011-12-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教练车的副制动踏板装置及制动踏板总成
KR101512066B1 (ko) 2013-12-23 2015-04-14 학림공업 주식회사 장애인용 보조 악셀레이터 페달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66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7285B1 (en)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xing mounting stand for use in vehicle test
DE102012207945B4 (de) Lenkrad mit eingebautem Schaltmodul
EP2682334B1 (en) Straddle type vehicle brake system and straddle type vehicle
US6186282B1 (en) Balanced braking system
KR102552311B1 (ko) 답력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EP2815955A1 (en) Saddle riding type vehicle
US6523649B1 (en) Synchronous braking system
KR20190045329A (ko) 이중연동 안전제동시스템
DE102005037623A1 (de) Fahrerrückhaltevorrichtung für Zweiradfahrzeug
DE10138969A1 (de) Parkbremse für Kraftfahrzeuge
CN1968834B (zh) 车辆上用于悬挂板簧的装置
US20200009465A1 (en) Single Seat Roller Coaster Car
KR101632157B1 (ko) 다중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브레이크장치
JP2012056560A (ja) 左足用ブレーキペダル
JP3897221B2 (ja) 車両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CN211684550U (zh) 一种前摆臂前衬套限位结构
JP2021127107A (ja) ブレーキリンキング及びブレーキ力分配装置
JP4148399B2 (ja) ブッシュ脱着装置
KR20220108707A (ko) 편의성이 향상된 운전교습용 브레이크 장치
JP2004286206A (ja) 車両のブレーキ
KR100383956B1 (ko) 차량용 주차케이블 장력 조절 수단
KR102148122B1 (ko) 파킹 브레이크용 케이블 관통 장치
KR20090039487A (ko) 쇽업소버의 스프링 압착장치
JP2000345576A (ja) 産業車輛
EP1621433B1 (en) Braking system for all terra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