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683B1 -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683B1
KR102549683B1 KR1020220081893A KR20220081893A KR102549683B1 KR 102549683 B1 KR102549683 B1 KR 102549683B1 KR 1020220081893 A KR1020220081893 A KR 1020220081893A KR 20220081893 A KR20220081893 A KR 20220081893A KR 102549683 B1 KR102549683 B1 KR 102549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information
target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홍
김의석
김덕수
심상규
이종국
유병일
우승옥
조은정
정광수
Original Assignee
모빌리전트 주식회사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리전트 주식회사, 아우토크립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빌리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BOAT SHARING PLATFOR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OAT SHAR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원은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해양 레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레저 선박을 포함한 해양 레저 관련 산업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선박용 전기엔진 관련 기술은 미래형 친환경 기술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전기추진 선박은 친환경적인 에너지 활용, 캐비테이션 발생 및 진동·소음에 대한 문제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전기추진시스템의 초기 설치비용이 높아 특수목적선박에만 주로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기엔진 관련 기술의 발전과 융합, 전술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크루즈선 및 일반상선으로 보급이 급격히 확대 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국민소득의 증대 및 여가 문화의 관심증대 등으로 해양레저 활동인구 및 요트, 보트 등의 마리나(marina) 선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국내 해양레저산업은 관련 사업장이 매년 증가 추세이며, 해양레저 활동인구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레저보트를 사용자가 예약/대여하고, 운행 중인 레저보트를 관제하기 위한 기존의 시스템은 복잡한 이용 절차, 미비한 관제 기능 등의 한계점이 존재하여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절차와 수단이 많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함에 따라 고객 접근과 사업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레저보트의 실시간 위치, 연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모니터링 기능, 보트에 탑재되는 각 부품 별 세부 진단 기능,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등을 갖춘 관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소형 선박은 다량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어 각종 친환경 정책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보트에 특화된 간편한 공유 및 관리를 수행하여 친환경 정책 기준을 충족하고 사용자 편의를 개선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225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보트 대여 요청에 따른 보트의 운행을 관리하고, 보트의 운행 시 획득되는 운항 데이터를 관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 배송 서비스,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 등 사용자가 대여한 보트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대여한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을 위한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보트의 연료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코드 정보가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하여 생성된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시동을 온(On)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보트는 전기 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에 구비된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상기 부품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소모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관제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전원을 충전 가능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종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보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면,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 정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코드 관리부,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트 제어부,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보트 관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코드 정보가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하여 생성된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시동을 온(On)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대상 보트에 구비된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상기 부품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소모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관제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전원을 충전 가능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종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보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 제어부는,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면,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이력을 생성하고, 상기 운행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요금 정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은,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상 보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형 정보에 따른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로 상기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대상 보트의 정박 예정 위치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지정 반납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유형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의 서비스는, 물품 배송 서비스 및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 정보가 상기 물품 배송 서비스의 유형이면, 상기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령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 정보가 상기 물품 배송 서비스의 유형이면, 상기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물품에 대한 배송지 정보, 배송 도착 시간 정보 및 배송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 정보가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의 유형이면, 상기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 정보가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의 유형이면, 상기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정보 및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반한 상기 대상 프로그램과 연계된 리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상 보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형 정보에 따른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로 상기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요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처리부는,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대상 보트의 정박 예정 위치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지정 반납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유형 정보가 상기 물품 배송 서비스의 유형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수령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처리부는, 상기 대상 물품에 대한 배송지 정보, 배송 도착 시간 정보 및 배송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유형 정보가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의 유형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처리부는, 상기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정보 및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반한 상기 대상 프로그램과 연계된 리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상 보트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청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유형 정보에 따른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로 상기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상기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 및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대상 보트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 가능한 충전 모듈에 대한 검색 요청을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청에 포함된 상기 대상 보트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트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의 상기 모듈 위치 정보 간의 이격 거리와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연료 잔량 정보에 따른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가능 거리 이내인 충전 모듈을 상기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상태 정보는 상기 충전 모듈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대상 보트의 예상 도달 시점에 미점유 상태에 해당하는 충전 모듈을 상기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점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점유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의 상기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출발 위치로부터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의 상기 모듈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도착 위치까지의 예상 도달 시간 정보 및 운행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모듈은 전기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은 상기 대상 보트의 정박이 가능한 선착장에 대하여 구비된 제1유형 충전 모듈 및 해상에 구비된 제2유형 충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의 유형에 따라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출되는 형상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고갈 위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1실시에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상 보트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 가능한 충전 모듈에 대한 검색 요청을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검색 요청에 포함된 상기 대상 보트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충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정보 제공부는, 상기 보트 위치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의 상기 모듈 위치 정보 간의 이격 거리와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정보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연료 잔량 정보에 따른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가능 거리 이내인 충전 모듈을 상기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대상 보트의 예상 도달 시점에 미점유 상태에 해당하는 충전 모듈을 상기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점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점유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충전 모듈의 상기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고갈 위험을 감지하는 보트 관제부 및 상기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고,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충전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보트 대여 요청에 따른 보트의 운행을 관리하고, 보트의 운행 시 획득되는 운항 데이터를 관제하는 기능을 구비한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물품 배송 서비스,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 등 사용자가 대여한 보트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대여한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을 위한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보트의 연료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통해 참여 주체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구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의 보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 한다.), 보트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관제자 단말(400),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 및 충전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운용을 위한 서버 장치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보트 공유 서비스와 관련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100)'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즉,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도면부호 100은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100),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장치(100),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100) 등에 대하여 혼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통합적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보트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관제자 단말(400),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 및 충전 모듈(600)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300), 관제자 단말(400),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 등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여 보트에 대한 대여를 요청/예약하고, 대여 요청에 따라 할당된 대상 보트의 주행에 따른 관제 정보를 제공받고, 대상 보트의 대여 등에 따른 요금을 정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트 공유 서비스에 참여하는 주체(사용자, 도 2의 'a' 참조)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관제자 단말(400)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대여 및 운행될 수 있는 보트(대상 보트)에 대한 소유자, 관리 책임자 등 대상 보트의 운행 상태, 정비/부품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주체(관제자, 도 2의 'b' 참조)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보트에 대한 대여 및 주행 서비스와 연계하여 제공될 수 있는 각종 편의 서비스(예를 들면, 후술하는 물품 배송 서비스,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주체(예를 들면, 물품 판매자, 관광 프로그램 담당자 등)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통해 참여 주체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는 서비스 구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특정 보트(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 보트'로 지칭하도록 한다.)를 대여 및 이용하려는 사용자(도 2의 a)에 대하여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기 위한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가입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보트 공유 플랫폼(10)과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약관 제공 및 동의를 포함하는 회원가입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가 보유한 면허 정보(예를 들면, 동력수상레저기구(모터보트, 수상 오토바이, 고무보트 등)를 주행하기 위한 면허인 조종면허 등)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도 2의 b 및 c를 참조하면,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운영 주체 또는 대상 보트의 관리자 등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가입한 사용자가 제공한 면허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양경찰 측에서 운용하는 조종면허 조회 시스템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회원 가입 시 기입된 정보의 조회 및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유효성이 인증된 면허 정보의 세부 정보(예를 들면, 조종면허 종류(1종, 2종, 요트 등) 및 유효기간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1)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대상 보트(1)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여 요청을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는 사용자는 해당 대여 요청을 통해 할당되는 대상 보트(1)를 운전하게 될 운전자와 동일한 주체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특정 사용자의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대한 계정에 복수의 운전자에 대한 면허 정보가 등록 및 유효성이 검증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자신 이외의 다른 운전자가 운행할 대상 보트(1)를 대여하기 위한 대여 요청을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대여 요청에는 대상 보트(1)에 대한 선택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대상 보트(1)에 대한 이용시간 정보, 해당 대상 보트(1)를 주행하기 위해 숙지할 것이 요구되는 규정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 사실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여 요청이 수신되면, 대상 보트(1)를 운행하는 것으로 지정된 운전자의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대상 보트(1)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은 대여 요청에 따른 대상 보트(1)의 할당이 완료되면, 할당된 대상 보트(1)를 지정된 운전자만이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정 운전 방지를 위해 디지털 키(Digital Key) 형태의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300)로 발급하고, 발급된 디지털 키 형태의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대상 보트의 운행을 요청(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300)과 보트 단말(200)의 연동(태깅, 페어링 등)을 통해 보트 단말(200)로 전송된 디지털 키의 정보를 보트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등)하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시된 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해당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키를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300)과 보트 단말(200)의 이격 거리 등에 비추어 디지털 키를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300)이 대상 보트(1)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물리적인 잠금 해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보트(1)를 대여한 사용자가 디지털 키를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300)을 보트 내 또는 보트와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위치로 위치시키기만 하면, 디지털 키 기반의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한다는 것은 획득한 코드 정보가 대상 보트(1)에 대응하여 생성된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대상 보트(1)의 구동을 위한 시동을 온(On)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로 발급된 디지털 키 형태의 암호화된 코드 정보는 대상 보트(1)의 운행 종료 요청이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보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면,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즉, 대상 보트(1)의 시동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을 통해 대상 보트(1)의 이용이 종료되면 발급된 코드 정보가 사용자 단말(300) 내에 미저장 또는 삭제되거나 해당 코드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상태가 갱신됨으로써 디지털 키의 자동 회수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고 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되는 운항 데이터는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실시간 위치), 연료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대상 보트(1)가 전기 보트 유형인 경우, 운항 데이터는 해당 전기 보트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배터리 잔량, 배터리 예상 방전 시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의 보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트 단말(200)은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센서(201), 대상 보트(1)의 운행 시 획득되는 각종 운항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 관제자 단말(400) 등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220) 및 대상 보트(1)의 속도 정보, 가속/감속 정보, 조향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온보드 진단기(On-Board Diagnostics, OBD) 단말(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220)은 LTE Dongle 유형일 수 있으며, 온보드 진단기 단말(230)은 WiFi 기반의 OBD-II(v2.2, esp32)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대상 보트(1)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관제 데이터는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 및 연료(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관제자 단말(400)에 대하여 제공되는 관제 데이터는 위치 정보와 연료(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대상 보트에 구비된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상기 부품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소모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일반 사용자와 관제자 각각에 대하여 제공되는 정보의 유형이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전원을 충전 가능한 충전소(예를 들면, 충전 모듈(600)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운항 지역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 및 관제자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대상 보트(1)가 운항 지역을 이탈하였다는 정보와 운항 지역 내로 진입하도록 운행할 것을 요청하는 경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되는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단말(300)(여기서는,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대상 보트(1)를 운행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300) 및 관제자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대상 보트(1)로부터의 사용자의 이격 거리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초과한다는 정보와 대상 보트(1)로의 위치로 복귀할 것을 요청하는 경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운행 종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300) 및 보트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로 발급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되면, 대상 보트(1)의 운행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의 시동이 온(On)된 위치(운행 개시 위치)로부터 운행 종료 후 대상 보트(1)의 시동이 오프(Off)된 위치(운행 종료 위치)까지의 지도 기반의 경로 정보, 총 운행 거리 정보, 소모한 연료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행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도 기반의 경로 정보 생성시, 대상 보트(1)의 경로 정보 내에서 대상 보트(1)의 운행 과정에서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안 소정의 위치를 유지한 체류 위치를 특정하고, 체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경로 정보를 이루는 나머지 위치 대비 구분되는 방식(아이콘, 색상, 배지 등)으로 표시하고, 해당 운항 지역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보트의 주행 시 수집된 체류 위치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해당 운항 지역 내에서 추천 정박 위치 등을 선별하여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운행 이력을 사용자 단말(300) 및 관제자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되고 나면, 해당 운행 시 수집된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금 정산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대상 보트(1)의 대여 및 이용에 따른 대금을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운영 주체 내지 대상 보트(1)의 소유 주체에 대하여 결제하도록 중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용 시간 기준의 제1정산 방식 또는 이용 시간 및 주행 거리 기준의 제2정산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제1정산 방식은 대여 요청에 따라 할당(예약)된 대상 보트(1)의 유형, 운행 목적 등을 고려하여 사전 설정되는 시간 별 요금을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이루어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요금 정산 정보를 제공하여 선결제 처리하고, 선결제 처리된 이용 시간 대비 초과된 이용 시간만큼 대상 보트(1)가 추가로 운행된 경우, 초과된 이용 시간 만큼의 추가 요금을 사용자 단말(300)에 부과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정산 방식은 대여 요청에 따라 할당(예약)된 대상 보트(1)의 유형, 운행 목적 등을 고려하여 사전 설정되는 시간 별 요금을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이루어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요금 정산 정보를 제공하여 선결제 처리하고, 대상 보트(1)의 주행이 완료되고 나면, 미리 설정된 보트 운항 거리 별 요금이 추가 요금으로서 사용자 단말(300)에 부과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은 개인 소유주가 보유한 개인 보트를 플랫폼 상에 등록하고, 개인 보트를 대상 보트(1)로서 사용자에게 대여 및 이용토록 한 후, 해당 사용자(운전자)로부터 수령한 요금을 해당 개인 보트의 소유주에게 분배하는 방식으로 개인 보트 공유 서비스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보트 기반 공유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개인 보트에 대한 예약/결제 과정만을 선택적으로 중계하고, 해당 개인 보트에 대한 관리/정비/예약 확인 등은 소유주(선주) 측에서 별도로 직접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편의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대상 보트(1)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발급된 암호화된 코드 정보(디지털 키 정보)를 대상 보트(1)에 대한 식별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한 서비스 신청에 포함된 대상 보트(1)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 신청에 포함된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에 따른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 대상 보트의 정박 예정 위치 및 대상 보트의 지정 반납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이격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가 보유한 단말인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 해당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정하기 위한 공간적 기준인 이격 거리는 사용자가 신청한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편의 서비스는 물품 배송 서비스 및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품 배송 서비스 유형의 경우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선정을 위한 이격 거리가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 유형에 대하여 적용되는 이격 거리 대비 작은 값으로 설정됨으로써, 사용자가 배송을 요청한 물품을 수령하기까지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청한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가 물품 배송 서비스의 유형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수령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요청 수신 시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신청한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가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의 유형이면,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요청 수신 시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부터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는 물품 배송 서비스의 경우, 대상 물품에 대한 주문 완료 정보, 대상 물품을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 대상 보트의 정박 예정 위치 및 대상 보트의 지정 반납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배송할 배송자, 배송 경로, 예상 도달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처리 정보, 예약 일시, 프로그램 내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물품 배송 서비스의 신청 및 처리가 완료되면, 대상 물품에 대한 배송지 정보, 배송 도착 시간 정보 및 배송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관광 프로그램 예약 서비스의 신청 및 처리가 완료되면,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 정보 및 운항 데이터에 기반한 대상 프로그램과 연계된 리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 정보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지역에서 운용되는 관광 프로그램을 참여한 데에 따른 혜택으로서, 관광 프로그램 요금에 대한 할인 정보, 향후의 보트 추가 대여 시에 적용될 수 있는 할인 정보, 보트 공유 플랫폼(10)에서 통용되는 마일리지, 쿠폰, 포인트 등을 폭넓게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은 단순히 보트의 운행에 대한 예약, 보트 이용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 등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가능한 해당 지역에서의 지역 상권이나 해양문화관광 산업 과의 연계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 및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촌 지역의 경제 및 관광자원을 활성화하는 어촌 환경 개선 기여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충전 서비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 가능한 충전 모듈(600)에 대한 검색 요청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요청에 포함된 대상 보트(1)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 중에서 대상 보트(1)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항 데이터로서 획득한 보트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간의 이격 거리와 운항 데이터로서 획득한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연료 잔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한 거리를 환산하고, 주행 가능 거리보다 보트 위치 정보 및 모듈 위치 정보 간의 이격 거리가 큰 충전 모듈(600)은 대상 충전 모듈로 미선정되도록 함으로써, 대상 보트(1)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대상 보트(1)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의 충전 모듈(6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이격 거리가 연료 잔량 정보에 따른 대상 보트(1)의 운행 가능 거리 이내인 충전 모듈(600)을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통해 획득하는 모듈 상태 정보는 충전 모듈(600)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대상 보트의 예상 도달 시점에 미점유 상태에 해당하는 충전 모듈(600)을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충전 모듈(600)의 위치와 대상 보트(1)의 위치의 이격 거리 측면에서는 근접한 충전 모듈(600)의 경우에도, 해당 충전 모듈(600)의 위치로 대상 보트(1)가 도달하는 시점에 해당 충전 모듈(600)이 다른 보트에 의해 충전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점유된 상태일 것으로 예측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충전 모듈을 대상 충전 모듈로 미선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대상 충전 모듈은 복수 개의 모듈일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복수 개의 대상 충전 모듈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표시(예를 들면, 대상 보트(1)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출발 위치로부터 대상 충전 모듈의 모듈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도착 위치까지의 예상 도달 시간 정보 및 운행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점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점유 요청을 수신하는 것은 특정 대상 충전 모듈로 대상 보트(1)가 이동하여 대상 충전 모듈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겠다는 의사 표시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획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점유 요청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 충전 모듈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 상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경(업데이트,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600)은 대상 보트의 정박이 가능한 선착장에 대하여 구비되는 제1유형 충전 모듈(지상 충전소) 및 해상에 부유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유형 충전 모듈(해상 충전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표출할 때, 대상 충전 모듈의 유형에 따라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표출되는 형상(아이콘, 배지, 색상, 중첩 표시되는 텍스트 등)을 구분할 수 있다.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연료 고갈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 가능 거리와 대상 보트(1)의 현재 위치로부터의 소정의 정박 위치까지의 거리를 상호 비교하여 정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가 모두 고갈될 것으로 예측되면,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대상 보트(1)에 탑재된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대상 보트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300)로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출발 위치로부터 대상 충전 모듈의 모듈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도착 위치까지의 예상 도달 시간 정보 및 운행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코드 관리부(120), 보트 제어부(130), 데이터 수집부(140), 보트 관제부(150), 정산부(160), 요청 처리부(170) 및 충전 정보 제공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보트 공유 플랫폼(10)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1)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대상 보트(1)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대상 보트(1)의 운행 종료 요청을 사용자 단말(300) 및 보트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대상 보트(1)에 대한 예약 과정에서 생성되거나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된 후 생성되는 요금 정산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대상 보트(1)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보트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대상 보트(1)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 가능한 충전 모듈(600)에 대한 검색 요청을 대상 보트(1)와 연계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코드 관리부(120)는 대여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또는 운전자의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면허 정보가 대상 보트(1)를 운행하는 것이 가능한 유효한 면허에 대한 것임을 확인(인증)하면, 대상 보트(1)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발급)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암호화 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코드 정보가 대상 보트(1)에 대하여 생성된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대상 보트(1)의 시동을 온(On)할 수 있다.
또한, 보트 제어부(130)는 통신부(110)가 운행 종료 요청을 수신하면, 기 발급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달리 말해, 시동을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40)는 대상 보트(1)에 탑재된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140)는 대상 보트(1)의 위치 정보 및 대상 보트의 연료(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운항 데이터로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40)는 서비스 신청이 통신부(110)로 입력되면, 서비스 신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40)는 검색 요청이 통신부(110)로 입력되면, 검색 요청에 포함된 대상 보트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보트 관제부(150)는 대상 보트(1)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트 관제부(150)는 대상 보트에 구비된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부품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 및 대상 보트(1)의 연료 소모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관제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트 관제부(150)는 대상 보트(1)의 전원을 충전 가능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트 관제부(150)는 대상 보트(1)의 운행이 종료되면, 대상 보트(1)의 운행 이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 이력을 사용자 단말(300) 및 관제자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트 관제부(150)는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의 연료 고갈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정산부(160)는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요청 처리부(170)는 획득한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에 따른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요청 처리부(170)는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부터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충전 정보 제공부(180)는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대상 보트(1)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고, 사용자 단말(300)로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정보 제공부(180)는 보트 위치 정보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간의 이격 거리와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정보 제공부(180)는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보트 위치 정보 및 모듈 위치 정보 간의 이격 거리가 연료 잔량 정보에 따른 대상 보트(1)의 운행 가능 거리 이내인 충전 모듈을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상태 정보는 충전 모듈(600) 각각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 정보 제공부(180)는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대상 보트의 예상 도달 시점에 미점유 상태에 해당하는 충전 모듈(600)을 대상 충전 모듈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정보 제공부(180)는 통신부(11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점유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점유 요청에 기초하여 대상 충전 모듈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정보 제공부(180)는 보트 관제부(150)에 의해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 각각의 모듈 위치 정보 및 모듈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복수의 충전 모듈(600) 중에서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된 대상 보트(1)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하고, 사용자 단말(300)로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0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보트 선택 정보 및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2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3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4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5에서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시된 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5에서 보트 단말(200)은 판독 결과 또는 제시된 코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6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코드 정보의 유효성이 검증되면, 대상 보트(1)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7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보트 단말(200)로부터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8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한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 및 관제자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9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 및 보트 단말(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운행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행 종료 요청에 대응하여 대상 보트(1)의 운행 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1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여 단계 S110에서 생성된 운행 이력과 함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 내지 S111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편의 서비스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신청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2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3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청된 편의 서비스에 대한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4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의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 서비스 신청에 대응하는 서비스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5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처리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6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1 내지 S206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로 연료를 공급 가능한 충전 모듈(600)에 대한 검색 요청을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2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검색 요청에 포함된 대상 보트(1)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를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3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4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0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보트 공유 플랫폼(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8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보트(1)의 보트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운항 데이터를 보트 단말(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02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한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의 연료 고갈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03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단계 S402에서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대상 보트(1)의 운항 데이터 및 복수의 충전 모듈(600)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기초하여 대상 보트(1)에 대한 연료 공급이 가능한 대상 충전 모듈을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04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정된 대상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따른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트 공유 플랫폼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코드 관리부
130: 보트 제어부
140: 데이터 수집부
150: 보트 관제부
160: 정산부
170: 요청 처리부
180: 충전 정보 제공부
200: 보트 단말
300: 사용자 단말
400: 관제자 단말
500: 편의 서비스 제공 주체 단말
600: 충전 모듈
20: 네트워크
1: 대상 보트

Claims (19)

  1.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데이터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가 미리 설정된 운항 지역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해당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주행 가능 거리를 환산하고, 상기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한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코드 정보가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하여 생성된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시동을 온(On)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보트는 전기 보트를 포함하고,
    상기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에 구비된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상기 부품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소모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관제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보트의 전원을 충전 가능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종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보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면,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이력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운행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 정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10. 보트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보트 선택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코드 관리부;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트 제어부;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된 보트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보트 관제부,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데이터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가 미리 설정된 운항 지역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해당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연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주행 가능 거리를 환산하고, 상기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한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코드 정보가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하여 생성된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검증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시동을 온(On)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보트는 전기 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대상 보트에 구비된 부품에 대한 상태 정보, 상기 부품에 대한 점검 안내 정보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소모 현황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관제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전원을 충전 가능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관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종료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보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보트 제어부는,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 관제부는,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종료되면,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 이력을 생성하고, 상기 운행 이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에 따른 요금 정산 정보를 생성하는 정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요금 정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9. 보트 공유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보트 공유 플랫폼의 사용자가 대여하려는 대상 보트에 대한 대여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대상 보트를 운행할 운전자의 면허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상 보트에 대한 제어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운행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대상 보트의 운항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대상 보트에 탑재되는 보트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상 보트와 연계된 관제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운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제 데이터를 제공하되,
    상기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상 보트의 위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항 데이터를 상기 보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가 미리 설정된 운항 지역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해당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및 관제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경고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연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연료 고갈 위험이 감지되면,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보트의 주행 가능 거리를 환산하고, 상기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한 충전 모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보트 공유 플랫폼.
KR1020220081893A 2022-07-04 2022-07-04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49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93A KR102549683B1 (ko) 2022-07-04 2022-07-04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93A KR102549683B1 (ko) 2022-07-04 2022-07-04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683B1 true KR102549683B1 (ko) 2023-06-30

Family

ID=8695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893A KR102549683B1 (ko) 2022-07-04 2022-07-04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6643A (zh) * 2023-07-14 2023-08-15 深圳市古石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器充电智慧管理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7456A1 (en) * 2006-09-22 2008-03-27 Derrick Meer Boat rental system
KR20110019647A (ko) * 2009-08-20 2011-02-28 엔지엘 주식회사 항만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EP2586696A1 (en) * 2011-10-31 2013-05-0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atercraft
KR20140026773A (ko) * 2012-08-23 2014-03-0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저 선박에 대한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예약 시스템
KR20200035670A (ko) * 2018-09-27 2020-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자동 연료 충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탑재된 선박
KR20210124877A (ko) * 2020-04-07 2021-10-15 김미경 무인 차량 대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7456A1 (en) * 2006-09-22 2008-03-27 Derrick Meer Boat rental system
KR20110019647A (ko) * 2009-08-20 2011-02-28 엔지엘 주식회사 항만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시스템 및 제공 방법
EP2586696A1 (en) * 2011-10-31 2013-05-01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atercraft
KR20140026773A (ko) * 2012-08-23 2014-03-06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저 선박에 대한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예약 시스템
KR20200035670A (ko) * 2018-09-27 2020-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자동 연료 충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이 탑재된 선박
KR20210124877A (ko) * 2020-04-07 2021-10-15 김미경 무인 차량 대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6643A (zh) * 2023-07-14 2023-08-15 深圳市古石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器充电智慧管理系统
CN116596643B (zh) * 2023-07-14 2023-10-20 深圳市古石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充电器充电智慧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3595B (zh) 共用车辆管理方法以及共用车辆管理装置
CN109532520B (zh) 协调自动驾驶的机动车的充电过程的方法,存储介质,移动终端设备和服务器设备
US20200072627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route planing for an electric vehicle
US20210209542A1 (en) System for selecting drivers for transportation requests with specified time durations
US10896401B2 (en) Coordinating shipments on freight vehicles
JP6237930B2 (ja) 共用車両管理装置及び共用車両管理方法
US10082793B1 (en) Multi-mode transportation planning and scheduling
CN104105947B (zh) 用于确定可用的提供商的系统和方法
US94884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trip and recharge planning
US8825354B2 (en) System for supporting a user of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WO20182336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PLANNING
CN104094178B (zh) 用于与车辆用户进行通信的系统和方法
CN110109448A (zh) 形成车队和在车队中定位车辆的系统和方法
JP703776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753947A (zh) 事件配车装置、事件配车方法、程序及管理系统
CN104574168A (zh) 用于为交通工具提供燃料购买选项的方法
KR102549683B1 (ko) 보트 공유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보트 공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73658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记录介质
US20220363157A1 (en) V2v charge mapping
JP2019015711A (ja) 自律走行車、走行制御装置、走行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3748446A (zh) 用于比较机动车辆行程的技术
CN109978219B (zh) 车辆运行管理装置
US9511678B2 (en) Facility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and facilit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CN111340984A (zh) 基于数字钥匙的约车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861301A (zh) 自动驾驶配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