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629B1 -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629B1
KR102549629B1 KR1020220140487A KR20220140487A KR102549629B1 KR 102549629 B1 KR102549629 B1 KR 102549629B1 KR 1020220140487 A KR1020220140487 A KR 1020220140487A KR 20220140487 A KR20220140487 A KR 20220140487A KR 102549629 B1 KR102549629 B1 KR 10254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nspection
unit
cap assembl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조광희
Original Assignee
(주)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 filed Critical (주)성우
Priority to KR102022014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 이송유닛, 검사유닛, 픽업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트레이 이송유닛은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를 투입위치에서 검사대기위치로 이송하고,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를 검사대기위치에서 배출위치로 이송한다. 검사유닛은 트레이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캡조립체를 향해 검사가스를 분사하여 검사가스가 캡조립체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캡조립체의 품질을 검사한다. 픽업유닛은 검사대기위치에서 트레이에 적재된 검사전의 캡조립체를 픽업하여 검사유닛으로 전달하고, 검사유닛에서 검사완료된 캡조립체를 픽업하여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로 전달한다. 제어부는 검사유닛을 통해 검출된 검출가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가스량보다 클 경우 캡조립체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품질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조립체를 가진다.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활성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배치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배치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또는 각형 이차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극 중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특히,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금속 캔에 내장한 원통형 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와 같이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캡조립체(10)는 전극조립체가 삽입되는 캔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가 개방된 캔의 내부에 전극조립체를 삽입하고, 전해액을 주입한 다음 캔의 개방된 상부에 캡조립체(10)를 장착함으로써 이차전지를 제조될 수 있다.
캡조립체(10)는 캡플레이트(11), 전류차단필터(12), 상부캡(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캡플레이트(11)는 전류가 통하는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 회로와의 접속를 위한 단자(양극 단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캡플레이트(11)는 캔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되고, 이차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보다 높아질 경우 일부분이 변형되면서 벤트부 영역이 분리될 수 있어 이차전지의 열폭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류차단필터(12)는 일부분이 캡플레이트(11)의 하부에 밀착(예컨대,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캔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캡플레이트(11)와 전류차단필터(12)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데, 용접부(w)의 용접 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강도보다 낮거나 용접부(w)에 크랙이 존재할 경우, 캡플레이트(11)와 전류차단필터(12)는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차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이차전지 제품의 품질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9369호(2019.07.31.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에 검사가스를 통과시켜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품질 불량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차전지 제품의 최종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캔과 조립되기 이전에 불량인 캡조립체를 필터링하여 이차전지 제품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를 투입위치에서 검사대기위치로 이송하고,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를 상기 검사대기위치에서 배출위치로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유닛;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캡조립체를 향해 검사가스를 분사하여 검사가스가 상기 캡조립체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캡조립체의 품질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대기위치에서 트레이에 적재된 검사전의 캡조립체를 픽업하여 상기 검사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검사유닛에서 검사완료된 캡조립체를 픽업하여 상기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로 전달하는 픽업유닛; 및 상기 검사유닛을 통해 검출된 검출가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가스량보다 클 경우 상기 캡조립체를 불량으로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캡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하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에 안착된 캡조립체의 가장자리부를 밀착하여 상기 캡조립체와의 사이에 밀폐된 밀폐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폐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어댑터 유로를 구비하는 어댑터와, 복수의 어댑터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그 측으로 승강하는 상부지그와, 상기 캡조립체에 밀착된 어댑터가 다시 상승할 때, 상기 캡조립체가 상기 어댑터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지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하부지그의 안착부 측으로 검사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캡조립체를 통과하여 상기 밀폐공간부 및 상기 어댑터 유로를 경유한 검사가스를 검출하는 가스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지그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상부지그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캡조립체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걸림홀을 구비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지그가 면접촉되도록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틸팅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은,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가 적층되어 배치되는 트레이 투입부와,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가 적층되어 배치되는 트레이 배출부와, 상기 트레이 투입부로부터 전달된 트레이의 캡조립체가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되기 전 미리 설정된 정렬위치로 트레이를 정렬하는 트레이 정렬부와,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투입부에서 상기 트레이 정렬부로 이송하고,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정렬부에서 상기 트레이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투입부는, 상기 투입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고,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트레이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트레이 지지부재와, 상기 투입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1초기위치와, 트레이의 측부가 상기 제1트레이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질만큼 상승하는 제1상승위치와, 상기 제1상승위치로부터 하강하는 제1하강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1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배출부는, 상기 배출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고,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트레이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트레이 지지부재와, 상기 배출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2초기위치와, 상기 제2초기위치와 상기 제2트레이 지지부재 사이의 높이로 상승하는 제2중간위치와, 상기 제2중간위치로부터 상승하는 제2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2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정렬부는, 상기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측부를 구속하는 트레이 정렬부재와, 상기 검사대기위치로 이송되는 트레이와 간섭되지 않는 홈위치와, 상기 픽업유닛과 트레이가 정렬되는 정렬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레이 정렬부재를 회전시키는 정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암부는, 상기 투입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를 상기 검사대기위치로 밀어주는 고정암과, 상기 고정암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를 상기 배출위치로 밀어주는 승강암과, 트레이를 상기 배출위치로 밀어줄 때는 트레이와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암을 상승시키고, 상기 이송암부가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는 트레이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암을 하강시키는 승강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은,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에 배치된 검사전의 캡조립체와, 상기 검사유닛에 배치된 검사후의 캡조립체를 동시에 픽업하기 위한 양팔 구조체와, 상기 양팔 구조체를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과 상기 검사유닛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픽업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스는 공기보다 분자량이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스는 헬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어댑터 유로가 관통되게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하강시 상기 캡조립체와 밀착되는 중공 형상의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공간부는 상기 본체부, 상기 탄성 밀착부 및 상기 캡조립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는 상기 하부지그의 안착부 측으로 공급되는 검사가스가 유동하는 검사가스 공급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캡조립체의 검사 후 상기 안착부 및 상기 검사가스 공급유로에 잔류하는 검사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검사가스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잔류가스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따르면, 이차전지 제품의 최종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캔과 조립되기 이전에 불량인 캡조립체를 필터링하여 이차전지 제품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트레이에 대한 투입과 배출 작업을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따르면, 작업자의 번거로운 수작업을 제거할 수 있고, 캡조립체를 떼어내는 작업으로 인해 공정을 중지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차단하여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따르면, 트레이 이송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트레이와 승강암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에 따르면, 캡조립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트레이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트레이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트레이 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이송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검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검사유닛의 검사가스 검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검사유닛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검사유닛의 상부지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검사유닛의 하부지그, 가스공급부 및 잔류가스 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트레이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트레이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트레이 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이송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품질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레이 이송유닛(100)과, 검사유닛(200)과, 픽업유닛(3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100)은 검사전의 캡조립체(10)가 적재된 트레이(20)를 투입위치(P1)에서 검사대기위치(P2)로 이송하고, 검사후의 캡조립체(10)가 적재된 트레이(20)를 검사대기위치(P2)에서 배출위치(P3)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트레이 투입부(110)와, 트레이 배출부(120)와, 트레이 정렬부(130)와, 이송암부(140)를 포함한다.
트레이 투입부(110)에는 검사전의 캡조립체(10)가 적재된 트레이(20)가 적층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예를 들어, 약 100개)의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수평 방향으로 하나의 트레이(20)에 적재되고, 복수 개의 트레이(2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트레이 투입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트레이 투입부(110)는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와, 제1승강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는 투입위치(P1)에 배치된 트레이(20)의 측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트레이(20)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H1)와, 트레이(20)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H2) 사이에서 이동한다.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구동부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제1승강부재(112)는 투입위치(P1)에 배치된 트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초기위치(A1)와, 트레이(20)의 측부가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로부터 떨어질만큼 상승하는 제1상승위치(A2)와, 제1상승위치(A2)로부터 하강하는 제1하강위치(A3) 사이에서 승강한다. 제1승강부재(112)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구동부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는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H1)에 배치되고, 제1승강부재(112)는 트레이 이송유닛(100)의 이송레일(30)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한 제1초기위치(A1)에 배치된다.
이후, 제1승강부재(112)가 상승하면서 트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1승강부재(112)는 트레이(20)의 측부가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로부터 떨어질만큼 상승하는 제1상승위치(A2)로 이동하며,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는 지지위치(H1)를 유지한다.
이후,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는 트레이(20)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H2)로 이동하고, 제1승강부재(112)는 트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제1상승위치(A2)로부터 하강하는 제1하강위치(A3)로 이동한다.
제1승강부재(112)가 제1상승위치(A2)에서 제1하강위치(A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하측에 적층된 트레이(20)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다음 공정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승강부재(112)는 트레이(20)의 두께만큼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1트레이 지지부재(111)는 지지위치(H1)로 이동하여 이탈된 트레이(20)의 상측에 적층된 다음 트레이(20)를 지지하고, 제1승강부재(112)는 제1초기위치(A1)로 다시 이동한다. 이때, 이탈된 트레이(20)는 이송레일(30)에 놓여지고, 이송암부(140)는 트레이(20)를 트레이 정렬부(120) 측으로 이송한다.
트레이 배출부(120)에는 검사후의 캡조립체(10)가 적재된 트레이(20)가 적층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수평 방향으로 하나의 트레이(20)에 적재되고, 복수 개의 트레이(2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트레이 배출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트레이 배출부(120)는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와, 제2승강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는 배출위치(P3)에 배치된 트레이(20)의 측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트레이(20)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H1)와, 트레이(20)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H2) 사이에서 이동한다.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구동부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제2승강부재(122)는 배출위치(P3)에 배치된 트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2초기위치(B1)와, 제2초기위치(B1)와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 사이의 높이로 상승하는 제2중간위치(B2)와, 제2중간위치(B2)로부터 상승하는 제2상승위치(B3) 사이에서 승강한다. 제2승강부재(122)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구동부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는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H1)에 배치되고, 제2승강부재(122)는 트레이 이송유닛의 이송레일(30)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한 제2초기위치(B1)에 배치된다. 이때, 이송암부(140)는 트레이(20)를 트레이 정렬부(130)에서 트레이 배출부(120)로 이송하고, 트레이(20)는 이송레일(30)에 놓여진다.
이후,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는 트레이(20)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H2)로 이동하고, 제2승강부재(122)는 상승하면서 이송레일(30)에 놓여진 트레이(20)를 지지하고, 제2초기위치(B1)와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 사이의 높이로 상승하는 제2중간위치(B2)로 이동하면서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로부터 이탈된 트레이(20) 역시 함께 지지한다.
만약 제2승강부재(122)가 제2중간위치(B2)로 이동하지 않고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로부터 이탈된 트레이(20)가 이송레일(30)에 놓여진 트레이(20)까지 떨어지면, 큰 낙하거리의 충격으로 인해 트레이(20)가 손상되거나, 트레이(20)가 이송레일(30)로부터 이탈되거나, 캡조립체(10)가 트레이(20)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제2승강부재(122)가 제2중간위치(B2)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로부터 이탈된 트레이(20)를 지지하는 것이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후,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는 이탈위치(H2)를 유지하고, 제2승강부재(122)는 트레이(2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제2중간위치(B2)로부터 상승하는 제2상승위치(B3)로 이동한다.
제2승강부재(122)가 제2중간위치(B2)에서 제2상승위치(B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미 적층된 트레이(20)의 하측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다음 트레이(20)가 적층될 수 있도록 제2승강부재(122)는 트레이(20)의 두께만큼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2트레이 지지부재(121)는 지지위치(H1)로 이동하여 이미 적층되어 있던 트레이(20)의 하측으로 적층되는 다음 트레이(20)를 지지하고, 제2승강부재(122)는 제2초기위치(B1)로 다시 이동한다.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는 트레이 배출부(120)의 배출위치(P3)에서 다음 공정장비로 전달될 수 있다.
트레이 정렬부(130)는 트레이 투입부(110)로부터 전달된 트레이(20)의 캡조립체가 후술할 픽업유닛(300)에 의해 픽업되기 전 미리 설정된 정렬위치로 트레이(20)를 정렬한다.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가 트레이 투입부(110)에서 트레이 정렬부(13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마찰, 진동 등에 의해 트레이(20)의 위치 이탈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픽업유닛(300)의 흡착부(311)의 위치와 트레이(20)의 캡조립체(10)의 위치가 서로 매칭되지 않아 캡조립체(10)에 대한 픽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전의 캡조립체(10)가 픽업유닛(300)에 의해 픽업되기 전 미리 설정된 정렬위치로 트레이(20)를 정렬하여, 픽업유닛(300)의 흡착부(311)의 위치와 트레이(20)의 캡조립체(10)의 위치 각각이 틀어지지 않고 서로 매칭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트레이 정렬부(130)는 트레이 정렬부재(131)와, 정렬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구동부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트레이 정렬부재(131)는 검사대기위치(P2)에 배치된 트레이(20)의 측부를 구속한다. 정렬 구동부는 검사대기위치(P2)로 이송되는 트레이(20)와 간섭되지 않는 홈위치(C1)와, 픽업유닛(300)과 트레이(20)가 정렬되는 정렬위치(C2) 사이에서 트레이 정렬부재(131)를 회전시킨다.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가 검사대기위치(P2)로 이송되는 과정에서는, 트레이(20)와 트레이 정렬부재(311)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트레이 정렬부재(311)는 홈위치(C1)에 배치되고, 트레이(20)가 검사대기위치(P2)로 이송되고 픽업유닛(300)에 의해 캡조립체(10)가 픽업되기 전에는, 정렬 구동부가 트레이 정렬부재(311)를 회전시켜 트레이(20)가 트레이 정렬부재(311)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정렬위치(C2)에 트레이(20)가 정렬될 수 있다.
검사유닛(200)에 의해 검사완료된 캡조립체(10)는 트레이 정렬부(130)에 대기하고 있는 빈 트레이(20)에 다시 적재되고, 검사후의 캡조립체(10)가 적재된 트레이(20)는 이송레일(30)을 따라 트레이 배출부(120)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암부(140)는 트레이(20)를 트레이 투입부(110)에서 트레이 정렬부(130)로 이송하고, 트레이(20)를 트레이 정렬부(130)에서 트레이 배출부(120)로 이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암부(140)는 트레이(20)를 트레이 정렬부(130)로 이송하는 과정과, 트레이(20)를 트레이 배출부(120)로 이송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송암부(140)는 고정암(141)과, 승강암(142)과, 승강암 구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고정암(141)은 투입위치(P1)에 배치된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를 검사대기위치(P2)로 밀어주고, 승강암(142)은 고정암(141)의 전방에 배치되어, 검사대기위치(P2)에 배치된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를 배출위치(P3)로 밀어줄 수 있다.
이때,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20)를 배출위치(P3)로 밀어줄 때 승강암 구동부(143)는 승강암(142)과 트레이(20)가 접촉되도록 승강암(142)을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이송암부(140)가 초기위치(고정암(141)은 투입위치(P1), 승강암(142)은 검사대기위치(P2))로 복귀할 때 승강암 구동부(143)는 승강암(142)과 트레이(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승강암(142)을 하강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암(142)이 검사대기위치(P2)로 복귀한 후에는 승강암 구동부(143)는 승강암(142)을 다시 상승시킨다.
승강암 구동부(143)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검사유닛(200)은 트레이 이송유닛(100)으로부터 전달된 캡조립체(10)를 향해 검사가스(1)를 분사하여 검사가스(1)가 캡조립체(10)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캡조립체(10)의 품질을 검사한다. 본 실시예의 검사유닛(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상기 픽업유닛(300)은 검사대기위치(P2)에서 트레이(20)에 적재된 검사전의 캡조립체(10)를 픽업하여 검사유닛(200)으로 전달하고, 검사유닛(200)에서 검사완료된 캡조립체(10)를 픽업하여 검사대기위치(P2)에 배치된 트레이(2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양팔 구조체(310)와, 픽업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양팔 구조체(310)는 트레이 이송유닛(100)에 배치된 검사전의 캡조립체(10)와, 검사유닛(200)에 배치된 검사후의 캡조립체(10)를 동시에 픽업한다. 양팔 구조체(310)를 이용하여 검사전의 캡조립체(10)를 트레이 이송유닛(100)에서 검사유닛(200)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검사완료된 캡조립체(10)를 검사유닛(200)에서 트레이 이송유닛(100)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양팔 구조체(310)는 한번에 검사하고자 하는 캡조립체(10)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흡착부(311)를 구비하고, 흡착부(311)를 통해 진공을 형성 또는 파기함으로써 캡조립체(10)를 전달할 수 있다.
픽업 구동부(320)는 양팔 구조체(310)를 트레이 이송유닛(100)과 검사유닛(200)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픽업 구동부(320)는 모터나 실린더 등의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검사유닛(200)을 통해 검출된 검출가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가스량보다 클 경우 캡조립체(10)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한편, 도 7은 도 2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의 검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검사유닛의 검사가스 검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검사유닛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검사유닛의 상부지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검사유닛의 하부지그, 가스공급부 및 잔류가스 제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검사유닛(200)은 하부지그(210), 어댑터(220), 상부지그(230), 가스공급부(240), 가스검출부(250), 이탈방지부(260) 및 잔류가스 제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그(210)는 캡조립체(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1)를 구비한다.
하부지그(210)에는 안착부(211)와 가스공급부(240)를 연결하는 검사가스 공급유로(212)가 형성되어 있고, 검사가스(1)는 검사가스 공급유로(212)를 통해 가스공급부(240)로부터 안착부(211) 측으로 공급된다.
어댑터(220)는 하부지그(210)에 안착된 캡조립체(10)의 가장자리부를 밀착하여 캡조립체(10)와의 사이에 밀폐된 밀폐공간부(s1)를 형성하고, 밀폐공간부(s1)와 연통되는 어댑터 유로(221)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어댑터(220)가 결합된 상부지그(230)가 하부지그(210) 측으로 하강하고, 어댑터(220)는 하부지그의 안착부(211)에 안착된 캡조립체(10)의 가장자리부를 밀착한다. 이때, 어댑터(220)와 캡조립체(10)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밀폐공간부(s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어댑터(220)는 본체부(226)와, 탄성 밀착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26)는 그 중앙부에 어댑터 유로(221)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지그(2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밀착부(227)는 본체부(226)의 하면으로부터 하부지그(210) 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어댑터(220)의 하강시 캡조립체(10)의 가장자리부와 밀착되면서 내부에 밀폐공간부(s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 밀착부(227)와 캡조립체(10)의 밀착시 캡조립체(10)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탄성 밀착부(227)는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밀폐공간부(s1)는 상부에 배치된 본체부(226), 측부에 배치된 중공 형상의 탄성 밀착부(227), 하부에 배치된 캡조립체(10)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지그(230)는 그 하부면에 복수의 어댑터(220)가 결합되고, 하부지그(210) 측으로 승강한다. 밀폐공간부(s1)가 형성된 상태에서 캡조립체(10)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므로, 어댑터(220)가 캡조립체(10)에 밀착될 때까지 복수의 어댑터(220)가 결합된 상부지그(230)는 하부지그(210) 측으로 하강한다.
어댑터(220)와 캡조립체(10)의 밀착에 의해 밀폐공간부(s1)가 형성되면, 밀폐공간부(s1)와 연결된 진공 펌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밀폐공간부(s1)가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한다. 밀폐공간부(s1)가 진공 상태가 된 이후 검사가스가 공급되고 캡조립체(10)에 대한 검사가 수행된다.
이후, 캡조립체(10)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상부지그(230)는 하부지그(210)로부터 이격되면서 상승하고, 어댑터(220)와 캡조립체(10)가 분리되면서 밀폐공간부(s1)의 밀폐 상태는 해제된다.
상부지그(230)에는 승강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되고,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부지그(230)를 하부지그(110) 측으로 하강시키거나 하부지그(210)로부터 이격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구동부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모터 등 일반적인 직선왕복 이송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지그(230)에는 어댑터 유로(221)와 연통되는 제1상부유로(231)가 형성되어 있고, 제1상부유로(231)는 가스검출부(250)와 연결되어 있다. 하나의 제1상부유로(231)가 하나의 가스검출부(250)에 연결되어 복수의 캡조립체(10)에 대하여 집단적으로 검사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제1상부유로가 복수의 가스검출부에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캡조립체(10)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검사할 수도 있다.
가스공급부(240)는 하부지그(210)의 안착부(211) 측으로 검사가스(1)를 공급하고, 가스검출부(250)는 캡조립체(10)를 통과하여 밀폐공간부(s1) 및 어댑터 유로(221)를 경유한 검사가스(1)를 검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캡플레이트(11)와 전류차단필터(12)는 용접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w)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때, 용접부(w)의 용접 강도가 너무 낮아 틈새가 존재하거나 용접부(w)에 크랙이 존재할 경우 검사가스가 용접부(w)를 통과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검사가스가 용접부(w)를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캡조립체(1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용접부(w)에 틈새 또는 크랙이 존재할 경우, 안착부(211) 측으로 공급된 검사가스(1)는 용접부(w)의 틈새 또는 크랙을 통과하여 캡조립체(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검사가스(1)는 밀폐공간부(s1), 어댑터 유로(221) 및 제1상부유로(231)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가스검출부(250)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와 같이 가스검출부(250)를 통해 검출된 검출가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가스량보다 클 경우 해당 캡조립체(10)를 불량으로 판정한다. 가스검출부(250)를 통해 검출된 검출가스량이 없거나 기준가스량보다 적을 경우 해당 캡조립체(10)의 용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용접부(w)에 틈새 또는 크랙이 없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캡조립체(10)를 양품으로 판정한다.
한편, 캡조립체(10)의 부품 사이에 형성된 용접부(w)의 틈새 또는 크랙은 상당히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11)에 안착된 캡조립체(10) 측으로 공기와 같이 분자량이 큰 검사가스를 공급하면 용접부(w)의 틈새 또는 크랙을 통과하지 못하여 용접부(w)에 틈새 또는 크랙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불량인 캡조립체(10)를 검사하지 못하게 되는 미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보다 분자량이 작은 검사가스(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헬륨(He) 등의 검사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공급부(240)는 헬륨 가스를 공급하는 펌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가스검출부(250)는 헬륨 가스 검출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60)는 캡조립체(10)에 밀착된 어댑터(220)가 다시 상승할 때, 캡조립체(10)가 어댑터(220)에 부착되어 하부지그(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와, 제1탄성부재(2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탈방지 플레이트(261)는 상부지그(230)로부터 이격되게 상부지그(230) 하측에 결합되고, 어댑터(220)의 수량만큼의 걸림홀(262)을 구비한다. 걸림홀(262)은 어댑터(220)는 통과할 수 있고 캡조립체(10)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캡조립체(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기 전 어댑터의 탄성 밀착부(227)가 걸림홀(262)을 통과하여 탄성 밀착부(227)와 캡조립체(10)가 밀착될 수 있다. 이후, 캡조립체(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후 어댑터의 탄성 밀착부(227)는 걸림홀(262)을 통과하여 상승하지만 캡조립체(10, 점착력 등에 의해 탄성 밀착부(227)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음)는 걸림홀(26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려 하부지그의 안착부(211)에 남게 되며, 어댑터(220)와 캡조립체(10)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된 캡조립체(10)는 다음 공정을 위해 복수의 캡조립체(10)로 구성된 로트(LOT) 단위로 한꺼번에 이동되어야 하는데, 일부 캡조립체(10)가 어댑터(220)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할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를 떼어내어 다시 하부지그(210)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260)를 이용함으로써, 어댑터(220)에 밀착된 캡조립체(10)가 검사가 완료된 후 어댑터(220)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번거로운 수작업을 제거할 수 있고, 캡조립체(10)를 떼어내는 작업으로 인해 공정을 중지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차단하여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탄성부재(263)는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의 측부에 설치되고,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와 하부지그(210)가 면접촉되도록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의 틸팅각을 조절할 수 있다.
어댑터(220)와 캡조립체(10)의 밀착 및 분리시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와 하부지그(210)는 평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면접촉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될 경우 일부 걸림홀(262)에서는 어댑터(220)가 걸리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의 측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탄성부재(263)에 의해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와 하부지그(210)가 서로 면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탈방지 플레이트(261)에 형성된 전체 걸림홀(262)에 대하여 어댑터(220)와 캡조립체(10)의 밀착 및 분리 과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잔류가스 제거부(270)는 검사가스 공급유로(212)와 연결되고, 캡조립체(10)의 검사 후 안착부(211) 및 검사가스 공급유로(212)에 잔류하는 검사가스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잔류가스 제거부(270)는 진공 펌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캡조립체(10)의 검사 후 안착부(211) 및 검사가스 공급유로(212)에 검사가스가 잔류하게 되면, 잔류한 검사가스는 안착부(211)의 상부, 즉 하부지그(210)와 어댑터(220) 사이의 공간으로 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출된 검사가스는 다음 캡조립체(10)의 검사를 위하여 밀폐공간부(s1)가 형성될 때 밀폐공간부(s1)로 흘러 들어가 가스검출부(250)에 의해 검출될 위험이 있다.
즉, 현재 검사중인 캡조립체(10)의 용접부(w)는 정상 용접되어 캡조립체(10)를 통과한 검사가스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캡조립체(10)의 검사에 사용되고 남은 잔류가스가 밀폐공간부(s1)로 흘러 들어가 양품인 캡조립체(10)를 불량으로 오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가스 제거부(270)를 이용하여 캡조립체(10)의 검사 후 안착부(211) 및 검사가스 공급유로(212)에 잔류하는 검사가스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양품인 캡조립체(10)를 불량으로 오검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밸브 등을 이용하여 가스공급부(240)와 잔류가스 제거부(270)를 하부지그(210)에 병렬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검사가스 공급시에는 가스공급부(240)와 검사가스 공급유로(212)가 연결되도록 하고, 잔류가스 제거시에는 잔류가스 제거부(270)와 검사가스 공급유로(21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에 검사가스를 통과시켜 이차전지용 캡조립체의 용접 불량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이차전지 제품의 최종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캔과 조립되기 이전에 불량인 캡조립체를 필터링하여 이차전지 제품의 제조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트레이 이송유닛이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부재와 복수의 위치에 대하여 승강하면서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트레이에 대한 투입과 배출 작업을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어댑터에 밀착된 캡조립체가 검사가 완료된 후 어댑터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번거로운 수작업을 제거할 수 있고, 캡조립체를 떼어내는 작업으로 인해 공정을 중지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차단하여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서로 연결된 고정암과 승강암을 이용하여 트레이를 동시에 이송함으로써 트레이 이송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승강암의 승강 구동을 통해 트레이와 승강암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는, 양팔 구조체를 이용하여 검사전의 캡조립체와 검사후의 캡조립체에 대한 픽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캡조립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트레이 이송유닛
110 : 트레이 투입부
120 : 트레이 배출부
130 : 트레이 정렬부
140 : 이송암부
200 : 검사유닛
300 : 픽업유닛

Claims (15)

  1.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를 투입위치에서 검사대기위치로 이송하고,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를 상기 검사대기위치에서 배출위치로 이송하는 트레이 이송유닛;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캡조립체를 향해 검사가스를 분사하여 검사가스가 상기 캡조립체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캡조립체의 품질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대기위치에서 트레이에 적재된 검사전의 캡조립체를 픽업하여 상기 검사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검사유닛에서 검사완료된 캡조립체를 픽업하여 상기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로 전달하는 픽업유닛; 및
    상기 검사유닛을 통해 검출된 검출가스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가스량보다 클 경우 상기 캡조립체를 불량으로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캡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하부지그와, 상기 하부지그에 안착된 캡조립체의 가장자리부를 밀착하여 상기 캡조립체와의 사이에 밀폐된 밀폐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밀폐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어댑터 유로를 구비하는 어댑터와, 복수의 어댑터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지그 측으로 승강하는 상부지그와, 상기 캡조립체에 밀착된 어댑터가 다시 상승할 때, 상기 캡조립체가 상기 어댑터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지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하부지그의 안착부 측으로 검사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캡조립체를 통과하여 상기 밀폐공간부 및 상기 어댑터 유로를 경유한 검사가스를 검출하는 가스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부지그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상부지그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캡조립체는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걸림홀을 구비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지그가 면접촉되도록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의 틸팅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은,
    검사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가 적층되어 배치되는 트레이 투입부와,
    검사후의 캡조립체가 적재된 트레이가 적층되어 배치되는 트레이 배출부와,
    상기 트레이 투입부로부터 전달된 트레이의 캡조립체가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되기 전 미리 설정된 정렬위치로 트레이를 정렬하는 트레이 정렬부와,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투입부에서 상기 트레이 정렬부로 이송하고, 트레이를 상기 트레이 정렬부에서 상기 트레이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투입부는,
    상기 투입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고,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트레이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1트레이 지지부재와,
    상기 투입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1초기위치와, 트레이의 측부가 상기 제1트레이 지지부재로부터 떨어질만큼 상승하는 제1상승위치와, 상기 제1상승위치로부터 하강하는 제1하강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1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배출부는,
    상기 배출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고, 트레이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트레이의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이탈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트레이 지지부재와,
    상기 배출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고, 제2초기위치와, 상기 제2초기위치와 상기 제2트레이 지지부재 사이의 높이로 상승하는 제2중간위치와, 상기 제2중간위치로부터 상승하는 제2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는 제2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정렬부는,
    상기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의 측부를 구속하는 트레이 정렬부재와,
    상기 검사대기위치로 이송되는 트레이와 간섭되지 않는 홈위치와, 상기 픽업유닛과 트레이가 정렬되는 정렬위치 사이에서 상기 트레이 정렬부재를 회전시키는 정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암부는,
    상기 투입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를 상기 검사대기위치로 밀어주는 고정암과,
    상기 고정암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검사대기위치에 배치된 트레이를 상기 배출위치로 밀어주는 승강암과,
    트레이를 상기 배출위치로 밀어줄 때는 트레이와 접촉되도록 상기 승강암을 상승시키고, 상기 이송암부가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는 트레이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암을 하강시키는 승강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은,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에 배치된 검사전의 캡조립체와, 상기 검사유닛에 배치된 검사후의 캡조립체를 동시에 픽업하기 위한 양팔 구조체와,
    상기 양팔 구조체를 상기 트레이 이송유닛과 상기 검사유닛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픽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스는 공기보다 분자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가스는 헬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어댑터 유로가 관통되게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하강시 상기 캡조립체와 밀착되는 중공 형상의 탄성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공간부는 상기 본체부, 상기 탄성 밀착부 및 상기 캡조립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는 상기 하부지그의 안착부 측으로 공급되는 검사가스가 유동하는 검사가스 공급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캡조립체의 검사 후 상기 안착부 및 상기 검사가스 공급유로에 잔류하는 검사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검사가스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잔류가스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KR1020220140487A 2022-10-27 2022-10-27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KR102549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87A KR102549629B1 (ko) 2022-10-27 2022-10-27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487A KR102549629B1 (ko) 2022-10-27 2022-10-27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629B1 true KR102549629B1 (ko) 2023-06-30

Family

ID=8695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487A KR102549629B1 (ko) 2022-10-27 2022-10-27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62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878A (ja) * 1997-05-22 1998-12-04 Nippon Sanso Kk ヘリウム気密試験装置における試験体保持装置
JP2007271558A (ja) * 2006-03-31 2007-10-18 Denso Corp 漏れ検査装置
JP2008209352A (ja) * 2007-02-28 2008-09-11 Denso Corp 漏洩検査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漏洩検査方法
KR101508516B1 (ko) * 2013-12-26 2015-04-08 미래산업 주식회사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KR20190089369A (ko) 2018-01-22 2019-07-31 세메스 주식회사 이차 전지 검사 장치
KR20210042842A (ko) * 2019-10-10 2021-04-20 (주)제이티 가압모듈 및 그를 가지는 소자 핸들러
KR20210125136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다열 리드탭 검사시스템
KR20220031314A (ko) * 2020-09-04 2022-03-11 (주)이티에스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878A (ja) * 1997-05-22 1998-12-04 Nippon Sanso Kk ヘリウム気密試験装置における試験体保持装置
JP2007271558A (ja) * 2006-03-31 2007-10-18 Denso Corp 漏れ検査装置
JP2008209352A (ja) * 2007-02-28 2008-09-11 Denso Corp 漏洩検査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漏洩検査方法
KR101508516B1 (ko) * 2013-12-26 2015-04-08 미래산업 주식회사 인라인 테스트 핸들러
KR20190089369A (ko) 2018-01-22 2019-07-31 세메스 주식회사 이차 전지 검사 장치
KR20210042842A (ko) * 2019-10-10 2021-04-20 (주)제이티 가압모듈 및 그를 가지는 소자 핸들러
KR20210125136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다열 리드탭 검사시스템
KR20220031314A (ko) * 2020-09-04 2022-03-11 (주)이티에스 디스플레이패널 검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2698B (zh) 用于快速堆叠燃料电池堆的设备
KR20190107933A (ko) 배터리 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리크 검사 방법
US85197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 battery module
KR101770009B1 (ko) 기판 분리 방법,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기판 분리 장치, 로드 락 장치 및 기판 접합 장치
KR102434123B1 (ko) 접합 방법, 프로그램, 컴퓨터 기억 매체, 접합 장치 및 접합 시스템
KR20200059618A (ko)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0696892B1 (ko) 폴리머 2차 전지의 전극판 적층 및, 조립 시스템
KR20200059615A (ko) 이차전지셀 파우치성형모듈
KR102549629B1 (ko)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장치
KR101891891B1 (ko)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15445955A (zh) 自动氦检设备
WO2020106031A1 (ko) 이차전지셀의 절연저항측정장치
KR102638743B1 (ko) 전극탭 재단장치
KR102409650B1 (ko) 다열 리드탭 검사시스템
KR20200059614A (ko) 전극/분리막조립체 로딩장치 및 로딩방법
KR20130081103A (ko) 배터리 팩 조립장치
KR102575139B1 (ko)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KR102549628B1 (ko) 이차전지용 캡조립체 검사유닛
CN116550639A (zh) 一种焊接检测系统及检测工艺
KR102403207B1 (ko) 다열 리드탭 검사 및 적재 시스템
KR101891893B1 (ko)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CN113810836A (zh) 一种音频自动测试系统及自动测试方法
CN219212995U (zh) 用于安装吸嘴和堵头的安装设备
CN115683236B (zh) 一种双极板自动检测系统及其气密性检测机构
KR101724140B1 (ko) 박형실리콘 태양전지 비파손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