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891B1 -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891B1
KR101891891B1 KR1020160144814A KR20160144814A KR101891891B1 KR 101891891 B1 KR101891891 B1 KR 101891891B1 KR 1020160144814 A KR1020160144814 A KR 1020160144814A KR 20160144814 A KR20160144814 A KR 20160144814A KR 101891891 B1 KR101891891 B1 KR 10189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late
die
module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448A (ko
Inventor
황만용
김기린
안병위
Original Assignee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891B1/ko
Priority to CN201780068045.4A priority patent/CN109937492B/zh
Priority to HUP1900200A priority patent/HU231404B1/hu
Priority to PCT/KR2017/011388 priority patent/WO2018084450A1/ko
Publication of KR2018004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2/04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4

Abstract

본 발명은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는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는 캡플레이트피더와, 안전벤트 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이동시키는 안전밴트피더와, 멤브레인 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키기는 멤브레인피더의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플레이트 공급부와, 상기 캡플레이트공급부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밀폐검사부와,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는 정렬이송부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탑플레이트공급부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와, 상기 터미날플레이트 홀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코킹부와,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 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 및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밀폐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의할 때, 파레트나 메거진을 통해 캡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캡플레이트 부품 자체를 이송할 수 있어, 완충존에 의하여 단위공정설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조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속생산이 효율적이며,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품종 생산이나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을 변경하는 잡체인지(job-change)가 용이하여 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초 설비설치비용과 부품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Device of manufacturing simultaneously cap-assemblie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레트(pallet)나 메거진(magazine)을 통해 캡조립체를 이송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캡플레이트 부품 자체를 이송할 수 있어, 완충존(buffer zone)에 의하여 단위공정설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조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속생산이 효율적이며,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품종 생산이나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을 변경하는 잡체인지(job-change)가 용이하여 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초 설비설치비용과 부품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장치(UPS)등과 같은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중이, 향후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에서, 리튬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고,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폴리머전지라고 한다.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전지부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 원통형 및 각형으로 된 캔형 전지와,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형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전지는 복수개가 직렬 및 병렬로 접속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공간효율이 좋은 각형 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셀룰라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나,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운동의 고조를 배경으로 이산화탄소 가스 등의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고출력, 대용량의 에너지가 요구되는 전원 장비 전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자동차 업계에서는 가솔린, 디젤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대체하는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개발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화석연료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이러한 EV나 HEV의 개발을 추진시키는 힘이 되기도 한다.
이에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9-124933호에서는 정극 집전부재(16) 및 부극 집전부재(18)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절연 시트(32)와 접촉하여 편평 형상 전극체(11)와 전지 외장캔(12)의 위치를 고정하는 돌기(29Ab,29Bb)로 이루어진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29Aa,29Ab,29Ba,29Bb)와 상기 전지 외장캔(12) 사이에 절연 시트(32)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돌기(29Ab,29Bb)의 선단부는 상기 편평 형상 전극체(11)보다 상기 전지 외장캔(12) 측에 돌출하고 있는 동시에, 이 돌출부의 높이가 절연 시트(32)의 두께보다 작은 높이가 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여, 정극 집전부재 내지 부극 집전부재와 전지 외장캔 사이의 단락 고장이 억제되어, 안전성이 뛰어난 EV용 내지 HEV용의 각형전지로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리튬이온전지 내부의 이상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리튬이온전지가 폭발하는 위험성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5-66159호에서는 도 2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벤트플레이트와 멤브레인플레이트가 덮도록 부착되는 평판형상으로 벤트홀, 멤브레인홀, 제1, 2전극홀을 구비한 캡플레이트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전극인 금속체로 된 제1집전판조립부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전극인 금속체로 된 제2집전판조립부 및 제1전극과 제2전극에서 연장된 전극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제2전극은 제1, 2전극연결부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2전극연결부는 제1, 2전극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2전극연결부중 하나와 캡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절연체가 개재되며, 상기 제 1, 2전극연결부의 상부에 제1, 2전극단자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고출력 리튬이온전지 캡 조립체를 개시하며, 캡플레이트용접부, 제2집전판조립부, 제1집전판조립부, 전극단자조립부에 관한 일련의 제조공정을 개시하고 있으나, 다품종 캡조립체의 동시 제조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파레트나 메거진을 통해 캡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캡플레이트 부품 자체를 이송할 수 있어, 완충존에 의하여 단위공정설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조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속생산이 효율적이며,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품종 생산이나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을 변경하는 잡체인지(job-change)가 용이하여 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초 설비설치비용과 부품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파레트나 메거진을 통해 캡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캡플레이트 부품 자체를 이송할 수 있어, 완충존에 의하여 단위공정설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조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속생산이 효율적이며,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품종 생산이나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을 변경하는 잡체인지가 용이하여 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초 설비설치비용과 부품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는 캡플레이트피더와, 안전벤트 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이동시키는 안전밴트피더와, 멤브레인 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키기는 멤브레인피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플레이트 공급부와, 상기 캡플레이트공급부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밀폐검사부와,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는 정렬이송부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탑플레이트공급부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와, 상기 터미날플레이트 홀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코킹부와,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 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 및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밀폐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피더는 집게이송모듈과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은 대향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보조다이로 적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리벳홀에 대면하는 부분에 에어핀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핀모듈은 내부에 압축공기유로가 형성된 에어핀을 캡플레이트다이의 리벳홀에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에어핀삽입홈에 삽입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가 적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에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이송시키고 복귀하며, 캡플레이트다이의 2개 블럭이 대향되어 이격고정되어 있고, 상기 블럭들 외측으로 이동블럭들이 왕복운동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밴트피더는 안전밴트흡입모듈, 안전밴트정렬모듈 또는 안전밴트용접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밴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의 절편으로 안전밴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밴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되어 하부가이드로부터 캡플레이트로 이송되어 안전밴트홀에 용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접은 안전밴트 테두리의 일부에만 용접하는 가용접과 안전밴트 테두리 전부에 걸쳐 용접하는 본용접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멤브레인흡입모듈, 멤브레인정렬모듈 또는 멤브레인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 절편에 의하여 멤브레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된 채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에 정렬되어 용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캡플레이트회전모듈과 캡플레이트보조다이를 포함하는 캡플레이트반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밀폐검사부는 1차검사다이, 흡착이송모듈, 흡착전달모듈 또는 승강다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검사다이는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를 포함하고,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나 멤브레인에 대향되는 위치에 밀폐벽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다이는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나 멤브레인다이보다 아래로 하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부는 컨베이어모듈,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의 제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식별인식자를 캡플레이트상에 표시하는 바코드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코드표시부는 승강다이와 컨베이어벨트와의 사이에 바코드다이를 구비하는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렬이송부는 정렬이송다이, 정렬이송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이송모듈이 정렬이송다이에 캡플레이트간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이격 거리로 배열하는 것일 수 있다.
<식 1>
n×D
(캡플레이트 종류의 수 : n, 캡플레이트들 간 이격간격거리 : 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벳피더는 리벳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리벳집게이송모듈은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로 리벳을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은 상호 직교되어 집거나 벌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연체피더는 중앙에 핀홀이 관통된 절연체흡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핀홀에는 얼라인핀이 내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플레이트공급부는 OSD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여 OSD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플레이트공급부는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은 탑플레이트집게팔와 탑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탑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는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은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과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터미날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킹부는 프레스헤드, 측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고정모듈의 측이동블럭들에 의해 캡플레이트가 정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밀폐검사부는 분류전송모듈, 밀폐이동셔틀모듈, 대기다이, 투입모듈, 취출모듈 또는 취출분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이동셔틀모듈은 대기다이의 안착홈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인접안착홈으로 이송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입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를 2차밀폐다이로 적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밀폐다이는 밀폐상부다이, 밀폐하부다이를 포함하고, 밀폐상부다이또는 밀폐하부다이에는 밀폐룸 또는 밀폐돌기홈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취출모듈은 분류셔틀을 포함하고, 상기 분류셔틀은 캡플레이트를 취출분류다이에 적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취출분류모듈은 후공정다이로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전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출하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하검사부는 출하분류모듈, 출하컨베이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플레이트피더를 통해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고, 안전밴트피더의 안전벤트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정렬하여 용접하거나 멤브레인피더의 멤브레인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켜 용접하여 캡플레이트를 공급하는 S1단계와, 상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1차밀폐검사를 수행하는 S2단계와,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컨베이어부로 이송하는 S3단계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기 위해 리벳조립체를 정렬하는 S4단계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S5단계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S6단계와, 상기 터미날플레이트홀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S7단계와,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S8단계와,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S9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1단계에서 먼저 멤브레인을 용접하고, 나중에 안전밴트를 용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1단계에서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이 용접된 캡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품종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피더는 집게이송모듈과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은 대향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보조다이로 적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가 적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에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이송시키고 복귀하며, 캡플레이트다이의 2개 블럭이 대향되어 이격고정되어 있고, 상기 블럭들 외측으로 이동블럭들이 왕복운동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밴트피더는 안전밴트흡입모듈, 안전밴트정렬모듈 또는 안전밴트용접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밴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의 절편으로 안전밴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밴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되어 하부가이드로부터 캡플레이트로 이송되어 안전밴트홀에 용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접은 안전밴트 테두리의 일부에만 용접하는 가용접과 안전밴트 테두리 전부에 걸쳐 용접하는 본용접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멤브레인흡입모듈, 멤브레인정렬모듈 또는 멤브레인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 절편에 의하여 멤브레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된 채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에 정렬되어 용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캡플레이트회전모듈과 캡플레이트보조다이를 포함하는 캡플레이트반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밀폐검사에는 흡착이송모듈에 의하여 1차검사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이송하고, 1차검사를 마치고 흡착전달모듈에 의하여 승강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검사다이는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를 포함하고,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나 멤브레인에 대향되는 위치에 밀폐벽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승강다이는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나 멤브레인다이보다 아래로 하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부는 컨베이어모듈,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의 제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식별인식자를 캡플레이트상에 표시하는 바코드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코드표시부는 승강다이와 컨베이어벨트와의 사이에 바코드다이를 구비하는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4단계의 정렬은 정렬이송모듈로 캡플레이트를 정렬이송다이로 이송하고, 정렬이송다이에 캡플레이트들간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이격 거리로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식 1>
n×D
(캡플레이트 종류의 수 : n, 캡플레이트들 간 이격간격거리 : 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4단계의 리벳은 리벳집게이송모듈의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로 정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은 상호 직교되어 집거나 벌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4단계의 절연체는 중앙에 핀홀이 관통된 절연체흡입판에 의하여 흡착되고, 상기 핀홀에는 얼라인핀이 내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S5단계의 안착은 OSD집게이송모듈로 OSD를 정렬하거나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은 탑플레이트집게팔와 탑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탑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플레이트공급부는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6단계의 터미날플레이트 안착은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의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과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터미날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7의 코킹은 캡플레이트를 측고정모듈로 정렬하여 프레스헤드로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9단계의 캡플레이트는 분류전송모듈에 의하여 대기다이의 안착홈에 적재되고, 밀폐이동셔틀모듈이 대기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인접안착홈으로 이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기다이에 안착된 캡플레이트를 투입모듈에 의해 2차검사다이로 적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검사다이는 밀폐상부다이, 밀폐하부다이를 포함하고, 밀폐상부다이또는 밀폐하부다이에는 밀폐룸 또는 밀폐돌기홈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검사다이로부터 2차밀폐검사를 마치고, 취출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하여 2차컨베이어모듈로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컨베이어모듈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캡플레이트조립체는 취출분류모듈에 의하여 최출분류다이로 적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캡플레이트의 전기적 특성검사후 출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출하는 출하분류모듈에 의하여 출하컨베이어모듈로 동일한 캡플레이트조립체가 분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레트(pallet)나 메거진(magazine)을 통해 캡조립체를 이송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캡플레이트 부품 자체를 이송할 수 있어, 완충존(buffer zone)에 의하여 단위공정설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조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서 연속생산이 효율적이며,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 품종 생산이나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을 변경하는 잡체인지(job-change)가 용이하여 혼류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초 설비설치비용과 부품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캡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전체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캡플레이트공급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본명의 캡플레이트공급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캡플레이트다이에 삽입된 에어핀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a선을 따라 절취하고 확대한 그림이며,
도 7 내지 9는 도 5의 Ⅰ, Ⅱ,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1차밀폐검사부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이송컨베이어부와 정렬이송부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12은 도 8의 이송컨베어부를 분리하여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정렬이송부, 탑플레이트공급부,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 코킹부,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 2차밀폐검사부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정렬이송부에서 사이징부에 이르는 제조장치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셔틀모듈을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의 A, 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의 C, D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8은 2차밀페검사부의 투입모듈이 캡조립체를 대기다이로 적재하는 형상을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2차밀폐검사부의 분류전송모듈이 캡조립체를 2차밀폐다이로 적재하는 형상을 측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0은 2차밀폐검사부의 취출모듈이 2차컨베이어모듈로 캡조립체를 이송하는 형상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21은 출하검사부의 출하분류모듈이 출하컨베이어모듈로 캡조립체를 이송하는 형상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며,
도 22은 종래 캡조립체의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캡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전체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캡플레이트공급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본명의 캡플레이트공급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캡플레이트다이에 삽입된 에어핀모듈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a선을 따라 절취하고 확대한 그림이며, 도 7 내지 9는 도 5의 Ⅰ, Ⅱ,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1차밀폐검사부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이송컨베이어부와 정렬이송부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도 12은 도 8의 이송컨베어부를 분리하여 확대해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정렬이송부, 탑플레이트공급부,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 코킹부,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 2차밀폐검사부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정렬이송부에서 사이징부에 이르는 제조장치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셔틀모듈을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6은 도 14의 A, B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의 C, D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8은 2차밀페검사부의 투입모듈이 캡조립체를 대기다이로 적재하는 형상을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2차밀폐검사부의 분류전송모듈이 캡조립체를 2차밀폐다이로 적재하는 형상을 측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0은 2차밀폐검사부의 취출모듈이 2차컨베이어모듈로 캡조립체를 이송하는 형상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그림이고, 도 21은 출하검사부의 출하분류모듈이 출하컨베이어모듈로 캡조립체를 이송하는 형상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그림인데,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20000)는 캡플레이트트레이(1110)로부터 캡플레이트(1120)를 캡플레이트다이(1130)에 적재하는 캡플레이트피더(1100)와, 안전벤트트레이(1210)로부터 안전밴트(1220)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1122)로 이동시키는 안전밴트피더(1200)와, 멤브레인트레이(1310)로부터 멤브레인(1320)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로 이동시키기는 멤브레인피더(130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플레이트 공급부(1000)와, 상기 캡플레이트공급부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2100)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밀폐검사부(2000)와,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부(30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는 정렬이송부(4000)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탑플레이트공급부(5000)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6000)와 상기 터미날플레이트 홀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코킹부(7000)와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 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8000) 및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밀폐검사부(9000)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캡조립체(8020)은 캡플레이트(1120)상 멤브레인(1320), 안전밴트(1220)을 먼저 용접하고, 절연체(4120, 4120')에 리벳(4110, 4110')을 각각 삽입한 리벳조립체를 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하고, 리벳의 상돌기로 OSD(5120), 탑플레이트(5320), 터미날플레이트(6120, 6120')을 조립하여 리벳을 가압하여 코킹한 후 그 부위를 용접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 생산장치로서, 상기 캡플레이트공급부(1000, cap plate)는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캡플레이트 공급부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2개의 캡플레이트 공급부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3개의 캡플레이트공급부가 구비되고, 더 많은 캡플레이트 공급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캡플레이트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캡플레이트, 안전밴트 또는 멤브레인이 용접된 캡플레이트, 후공정에서 리벳조립체가 삽입된 캡플레이트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가 결합된 캡플레이트, 코킹된 캡플레이트, 코킹 용접된 탑플레이트로 다양하게 언급할 수 있으나, 코킹된 캡플레이트까지는 캡플레이트로 언급하고, 코킹후 용접된 캡플레이트는 캡조립체로 설명한다.
이러한 캡플레이트공급부(1000)는 캡플레이트트레이(1110, cap plate tray)로부터 캡플레이트(1120)를 캡플레이트다이(1130, cap plate die)에 적재하는 캡플레이트피더(1100, cap plate feeder)와, 안전벤트트레이(1210, safety vent tray)로부터 안전밴트(1220)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1122, safety vent hole)로 이동시키는 안전밴트피더(1200, safety vent feeder)와, 멤브레인트레이(1310, membrane tray)로부터 멤브레인(1320)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 membrane hole)로 이동시키기는 멤브레인피더(1300)의 포함한다.
상기 캡플레이트피더(1100)는 캡플레이트트레이(1110)로부터 캡플레이트(1120)를 캡플레이트다이(1130)에 적재하는데, 상기 캡플레이트트레이(1110)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캡플레이트(1120)는 집게이송모듈(1140)이 대향된 집게팔(1141, 1142)이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은 채로 이송되어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의 대향된 2개의 회전체(1151, 1152)가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고, 집게팔이 벌어진 후 회전체가 90도 회전하며, 캡플레이트다이의 블럭(1132, 1133)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된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가 상승하며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회전체는 벌어지게 지며,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가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다이의 블럭(1132, 1133)의 위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플레이트다이(1130), 캡플레이트다이의 블럭(1132, 1133)은 고정된 블럭으로 특별하게 다르게 언급하지 아니하는 한, 이후 설비, 모듈이나 공정에서 사용되는 다이나 블럭은 고정된 블럭을 의미한다.
또한, 전진, 후진, 상승, 하강과 같이 구동되어 움직이는 기구적 이동은 구동원으로 모터, 에어밸브를 사용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는 캡플레이트다이를 이루는 블럭(1132, 1133)들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가능한 보조다이로서,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이 수평상태로 캡플레이트를 회전시킨후 상승하여 캡플레이트를 받치고, 회전체가 원리상태로 벌어지고, 하강하면 캡플레이트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안착시킬 수 있고,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음각부를 두어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대향된 2개의 블럭(1431, 1432)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플레이트가 적재되는 캡플레이트다이(1130)는 캡플레이트(1120)의 외형에 대응되는 음각부(1131)를 구비할 수 있어, 캡플레이트를 짧은 방향(H)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2개의 블럭(1132, 1133)을 대향한 채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블럭에 마련된 음각부에 캡플레이트가 안착할 수 있으며, 이후에 설명하는 이동하는 블럭이나 다이와 같은 캡플레이트 받침대는 동일하게 음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음각부는 다이에 복수개의 캡플레이트가 일정간격(D)을 두고 이격되어 적재되는 단일품종 캡플레이트들의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나 다품종 캡프레이트들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로 공정이나 설비, 모듈에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간격(D)으로 배치되는 음각부는 캡플레이트다이뿐만 아니라, 후술한 다양한 셔틀모듈의 블럭에 구비되는 음각부에도 적용될 수 있어, 연속생산중에 단일품종 캡플레이트로 조립하는 공정이나 설비, 모듈 또는 다품종 캡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공정, 설비, 모듈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캡플레이트 다이(1130)의 구조와 역할은 이후에 언급되는 다른 공정이나 설비, 모듈에 사용되는 다이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캡플레이트 다이(1130)에는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이 정확한 위치에서 용접이 되어야 밀폐성이 확보될 수 있는 관계상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는 것이 중요하여서, 캡플레이트다이에 리벳홀(1126, 1126')에 대면하는 부분에 에어핀모듈(11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어핀모듈은 내부에 압축공기유로(1135)가 형성된 에어핀(1136)을 캡플레이트다이의 리벳홀(1126, 1126')에 대면하는 부분에 에어핀삽입홈(1137)에 삽입고정하고, 상기 압축공기유로(1135)에서 연장된 토출홀(1138)을 에어핀측부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에어핀 측면에서 나오는 압축공기의 미는 힘에 의하여 리벳홀과 에어핀 외면과 거리는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결국 캡플레이트를 정확한 위치에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압축공기유로(1135)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진입하여 토출홀을 통하여 분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홀(1138)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에어핀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핀에 의하여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리벳홀을 미는 힘을 균등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에어핀의 리벳홀 내면과 대향하는 부분에 둘레홈(1139)을 마련하여 공기안내홈에 토출홀을 복수개 구비하여 캡플레이트의 정렬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은 캡플레이트다이(1130)에서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1130')로 캡플레이트를 이송시키고 복귀하는 수단으로서, 캡플레이트 다이(1130)의 2개 블럭(1132, 1133)이 대향되어 이격고정되어 있고, 상기 블럭들 외측으로 이동블럭(1410, 1420)들이 인라인 공정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운동방향(P, processing direction)과 상하방향(UD)로 기동할 수 있고,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구동모터, 에어실린더 등 구동원(미도시)으로 PLC와 같은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다음에 설명하는 공정이나 설비, 모듈에서 셔틀의 작동은 이와 같은 구동원과 제어부의 역할로 이루어지므로 유사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고, 다른 점이나 특이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의 이동블럭(1132, 1133)은 셔틀바디(1440)에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될 수 있고, 복수개 배치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캡플레이트다이(1130)에서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1130')까지 이동블럭들을 배치하고, 그 간격만큼 왕복운동을 하여 연속공정이나 설비, 모듈에 효과적으로 캡플레이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캡플레이트다이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구비하도록 하여, 왕복운동의 전진과 후진의 거리는 결국 캡플레이트 다이들 사이의 간격이 될 수 있다.
상기 셔틀바디(1440)는 앞서 언급한 구동원으로 왕복운동방향(P, processing direction)과 상하방향(UD)은 물론 후술한 수축팽창방향(S)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10, 1420)은 왕복운동을 반복하며 2개의 고정된 블럭(1132, 1133)과 대면하여 수없이 지나게 되므로, 이러한 블럭과의 마찰이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수㎛ 내지 수㎝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왕복운동방향(P)으로 작동시에는 상승된 상태(UP)로 진행하고, 다음에 캡플레이트다이(1130)와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1130')에 이르러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를 안착시키고, 하강된 그 상태(DOWN)에서 원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블럭은 캡플레이트(1120)를 적재하여 상승하고, 진행방향(P)으로 전진한 다음, 인접캡플레이트다이(1130')에 위치하여 정지하고 하강하여 인접캡플레이트다이(1130')에 캡플레이트를 정렬시킨 후 원래위치로 후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가 이송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플레이트다이(1130)와 마찬가지로 캡플레이트(1120)의 외형에 대응되는 음각부(1131)를 구비하여, 캡플레이트를 짧은 방향(H)으로 고정할 수 있어, 2개의 블럭(1132, 1133)의 외측으로 이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된 이동블럭(1410, 1420)은 인접한 캡플레이트다이들(1130, 1130')을 왕복운동하며 캡플레이트를 인라인(in-line)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은 왕복운동을 하며, 캡플레이트와 후술한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운송하는 셔틀로, 다음의 공정이나 모듈에서 특별하게 언급하는 경우외에는 동일한 구성의 이동블럭과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밴트피더(1200)는 안전벤트트레이(1210)로부터 안전밴트(1220)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1122)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안전밴트흡입모듈(1240)의 흡입판(1241)이 안전밴트를 흡착한 후 안전밴트정렬모듈(1230)로 안전밴트를 정렬하게 된다.
상기 흡입판(1241)은 고무재질의 흡착판 형상으로 안전밴트의 표면에 눌리며 눌리며 외기로 이탈된 내기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압력 만큼의 차압이 발생하여 안전밴트를 흡착할 수도 있고, 흡입판에 내부에 진공유로를 형성하여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흡착을 강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전밴트정렬모듈(1230)은 안전밴트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 하부가이드(1232)와 상부가이드(1233)를 포함하는데, 안전밴트가 흡입모듈에 의하여 트레이로부터 이동하여 상승되어 있는 하부가이드(1232)에 적재되고 상부가이드(1233)의 절편(12331, 12332)이 안전밴트 측면을 누르도록 상호 대향되게 수축하여 안전밴트를 정렬시키고 팽창하여 복귀하며, 안전밴트가 정렬된 상태로 하부가이드가 하강하여 정렬을 유지하고, 이후 용접기(1250)가 용접을 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용접이 가능하다.
이렇게 정렬된 안전밴트는 안전밴트용접기(1250)의 흡착헤드(1251)에 흡착된 채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1122)에 정렬되어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고, 택타임단축과 자동화공정에 유리한 레이저광원(L)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착헤드(1251)은 안전밴트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로 진공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흡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흡착헤드는 레이저광원의 레이저빔이 근접한 거리에서 조사되므로 금속, 합금 재질로 하여 용접시 발생하는 고열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용접은 레이저에 의한 용접이 택타임 단축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안전밴트(1220)가 캡플레이트(1120)의 안전밴트홀(1122)에 정렬된 후 용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용접은 안전밴트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용접과 본용접을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용접은 안전밴트 테두리 용접개소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하여 부분 스팟용접을 수행하여 안전밴트의 용접위치를 고정한 이후에 본용접으로 안전밴트 테두리 용접부위 전체를 용접하게 되는 것으로 각각 가용접기(1250), 본용접기(1250')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밴트 설계에 따라 열변형과 같은 불량이 우려가 없는 상태라면 본용접만으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용접이나 본용접을 수행하는 안전밴트용접기(1250, 1250')는 하나로 구비되어 한자리에서 가용접후 본용접을 수행할 수 있고, 2개로 구비되어 가용접기(1250)에 의해 가용접후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로 이동후 이어진 다른 인접다이(1130')에서 본용접기(1250')로 본용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은 캡플레이트다이에 인접하여 연이어 인접한 다이들(1130, 1130')로 캡플레이트를 이송하는 것처럼, 안전밴트 용접시 캡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다이도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멤브레인피더(1300)는 멤브레인트레이(1310)로부터 멤브레인(1320)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이 안전밴트 용접시 캡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연이어 인접한 다이들(1130, 1130')로 왕복운동을 하며, 안전밴트가 용접된 캡플레이트(1120)를 멤브레인피더(1300)로 이송하고, 멤브레인 용접을 위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로 멤브레인(1320)을 정렬시키는데, 멤브레인흡입모듈(1340)의 흡입판(1341)이 멤브레인(1320)을 흡착한 후 멤브레인정렬모듈(1330)로 멤브레인을 정렬하게 된다.
상기 흡입판(1341)은 고무재질의 흡착판 형상으로 멤브레인 표면에 누르며 눌린 만큼의 차압이 발생하여 안전밴트를 흡착할 수도 있고, 흡입판에 내부에 진공유로를 형성하여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흡착을 강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멤브레인정렬모듈(1330)은 멤브레인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하부가이드(1332)와 상부가이드(1333)를 포함하는데, 멤브레인이 흡입모듈에 의하여 흡착되어 트레이로부터 상승된 하부가이드에 적재되고 상부가이드 절편들(13331, 13332)이 멤브레인 측부를 누르도록 상호 대향되게 수축하여 멤브레인을 정렬시키고 팽창하여 복귀하며, 멤브레인이 정렬된 상태로 하부가이드가 하강하여 이후 용접기(1350)가 용접을 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용접이 가능하다.
이렇게 정렬된 멤브레인(1320)은 멤브레인용접기(1350)의 흡착헤드(1351)에 흡착된 채로 다이(136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에 정렬되어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렬된 멤브레인은 멤브레인용접기(1350)의 흡착헤드(1351)에 흡착된 채로 멤브레인다이(136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에 정렬되어 용접되며, 레이저광원(L)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착헤드(1351)은 멤브레인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로 진공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흡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흡착헤드는 금속재질로 하여 용접시 발생하는 고열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용접은 택타임 단축에 유익한 레이저용접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320)이 캡플레이트(1120)에 정렬된 후 용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용접은 앞선 안전밴트(1220) 용접과 유사하게 멤브레인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용접과 본용접을 나누어 수행할 수 있으나, 노치(notch)가 형성된 안전밴트(1220)와는 달리 멤브레인은 노치가 형성되지 아니한 일정 곡률을 가진 판형 형태이어서 본용접을 바로 수행할 수 있어, 멤브레인 테두리 용접부위 전체를 용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은 이차전지의 이상작동으로 고열과 고압이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경우에 폭발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안전밴트를 파단에 의하여 내부 압력을 해소하고, 멤브레인은 고압으로 곡면을 가진 부분의 형상이 역전되어 단자에 통전이 되는 구성이므로,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이 캡플레이트와 용접되는 방향이 캡플레이트면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면에 용접이 될 경우가 있으므로, 안전밴트 용접후에 멤브레인 용접전이나 반대로 멤브레인 용접후 안전밴트 용접전에 캡플레이트를 180° 뒤집어 다이에 적재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앞서 설명한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과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를 포함하는 캡플레이트반전부(15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작동은 앞과 유사하게,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의 대향된 2개의 회전체가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고, 블럭(1132, 1133)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된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가 상승하며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회전체는 벌어져 복귀하며,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가 하강하여 다이 위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으며, 캡플레이트공급부에서는 9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점과는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밀폐검사부(2000)는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이 용접된 캡플레이트(1120)를 다이(1130)로부터 1차검사다이(2100)로 적재하여 각각의 용접된 부분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으로, 일정한 압력의 양압(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이나 차압(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인가하여 설치된 압력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내부압력이 변화가 없으면 양품으로, 압력변화가 생기면 불량으로 판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1차밀폐검사부(2000)도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8020)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상기 캡플레이트공급부(1000)와 마찬가지로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하나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두개가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세개가 구비되고, 더 많은 1차밀폐검사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캡플레이트셔틀(1400)에 의하여 안전밴트, 멤브레인 용접을 마치고 다이(113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2100)로 이송은 흡착이송모듈(2200)이 캡플레이트흡착판(2201)으로 캡플레이트(1120)를 흡착한 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이(1130)에 적층된 캡플레이트를 흡착이송모듈이 흡착하여 1차검사다이(2100)로 이송시키는데, 상기 1차검사다이는 상부다이(2110)와 하부다이(21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상부다이가 하강한 후 캡플레이트의 사양에서 요구하는 압력과 시간에 해당하는 차압이나 양압을 인가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상부다이가 상승하고, 흡착전달모듈(2300)의 흡착판(2301)이 캡플레이트를 흡착한 채, 승강다이(2460)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흡착을 해제한 채, 복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착판(2201, 2301)은 캡플레이트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단부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로 진공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한 진공 차압력에 의하여 흡착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나 멤브레인에 대향되는 위치에 안전밴트 또는 멤브레인의 외주보다 넓은 외주를 형성하는 고무재와 같은 밀착재로 밀폐벽(2130)으로 멤브레인밀폐벽(2131), 안전밴트밀폐벽(2132)을 0.1 내지 5㎜ 높이로 형성하여 상부다이와 하부다이가 캡플레이트를 개재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할 때, 그 안전밴트, 멤브레인과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가 이루는 공간이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가 확보된 상태로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압력변화를 검사할 수 있어, 밀폐성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1차검사다이는 적어도 하나이상을 구비하여, 밀폐검사시 소용되는 검사시간에 따른 공정상 병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다이(2460)는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2100)나 멤브레인피더의 다이(1130)보다 아래로 하강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서, 후술한 이송컨베이어부(3000)의 완충존 역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리벳조립체 이후 공정에서 캡플레이트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원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상기 승강다이가 없이 캡플레이트를 검사시 다이나 멤브레인 용접시 다이와 같은 높이에서 바로 캡플레이트를 후공정이나 설비, 모듈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이어지는 단위공정 어디에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전체 공정 및 설비를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제조효율이 감소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승강다이(2460)를 1차검사다이(2100)나 멤브레인 다이(1130) 보다 위로 구비하여도 완충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에너지적으로 불리하고 제조라인의 품위에도 이익이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뒤로 이어지는 상기 1차밀폐검사부(2000)의 1차검사다이(2100)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부(3000)는 캡조립체(8020) 인라인 제조공정에서 어떤 단위공정설비에 비상발생시(emergency) 그 단위공정설비의 에러해소를 위해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여 단위공정설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제조중단을 방지할 수 있어 연속생산이 효율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송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모듈(3100)에는 캡플레이트(1120)와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1120')가 밀착되게 적재되어 이송되고, 컨베이어(310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3110)의 회전을 따라 컨베이어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이송컨베이어부(3000)는 다품종 캡조립체(8020)를 단일 라인으로 생산토록 할 수 있도록 하나의 품종 캡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피더(feeder)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컨베이어모듈(3100)는 상기 승강다이(2460)로부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을 통하여 캡플레이트(1120)를 받아 이송하게 되는데, 컨베이어모듈은 일정거리(d) 이격되어 회동축(3110)에 감긴 채 회전하는 대향된 2개의 컨베이어벨트(3101, 3102)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들 사이를 진퇴하는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이 캡플레이트를 컨베이어벨트 위로 적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은 컨베이어벨트 후단부에 진입하여 하강하며 캡플레이트를 컨베이어벨트에 적재하고 후진하면, 캡플레이트가 컨베이어벨트 적재되어 전단부로 진행하고, 후진한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은 하강하는 승강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어서, 이송컨베이어부(3000)로 연속적인 캡플레이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의 이동블럭을 복수개로 셔틀바디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하여 이송컨베이어부로 전달하기 전에 캡플레이트의 제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식별인식자를 캡플레이트상에 표시하는 바코드표시부(1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별인식자는 1차원이나 2차원바코드일 수 있으며, 제조정보를 개개의 캡플레이트 마다 표시하여, 제조공정중 불량과 양품의 현황 이력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 조립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필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라도 특별한 상황에서 이차전지를 분석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줄 수 있다.
즉, 상기 바코드표시부(1600)는 상기 승강다이(2460)가 하강하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이 전진하여 하강하는 위치, 즉 상기 승강다이와 컨베이어벨트(3101, 3102)와의 사이에 바코드다이(1630)를,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의 왕복방향이나 승강방향이 갖는 동선과 간섭이 없도록 상호 대향되는 2개의 바코드블럭(1630)으로 구성하고, 상기 바코드블럭 상부로 바코드인쇄모듈(1640)을 배치하여 바코드를 비접촉으로 인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바코드인쇄모듈은 광(光)을 이용한 무접촉식 인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코드는 뒤에 이어지는 공정이나 설비, 모듈에 바코드스캐너와 같은 바코드인식부를 추가로 배치하여 공정관리에 도움이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다이(2460)는 2개의 대향하는 승강블럭을 포함하고 있어,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아니한 채 상승하강이 가능하고, 반대로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이 2개의 대향하는 전송블럭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승강다이가 간섭없이 그 사이를 승하강할 수 있도록 승강다이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다이가 하강하며 캡플레이트를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에 적재하고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이 진행방향(P)으로 전진하여 하강하며 캡플레이트를 바코드다이(1630)에 적재하여 바코드인쇄모듈로 바코드를 인쇄하고, 바코드가 인쇄된 캡플레이트를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이 들어올려 컨베이어벨트에서 하강하며 적재하고 후진하여 다시 승강다이로부터 다음 캡플레이트를 전달받도록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반복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셔틀바디에 고정된 전송컨베이어셔틀은 2개일 수 있고, 다른 작업모듈이 추가되면 그에 따른 전송컨베이어셔틀의 갯수를 셔틀바디에 고정하여 연속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 품종 생산이외에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으로 제조공정을 변경하는 잡체인지가 용이하고, 혼류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의 다이에 여러 품종 모델의 캡플레이트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부(3000)는 후술할 정렬이송부(4000)에 이르도록 컨베이어모듈(3100)를 연장하고 있어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를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정렬이송부(40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부(3000)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1126, 1126')에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를 적재한 이송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모듈(3100)에서 하나의 캡플레이트를 컨베이어셔틀모듈(4200)에 안착하여 정렬이송다이(4460)에 적재시키고, 정렬이송모듈(4350)의 흡착헤드(4351)가 캡플레이트를 흡착한 채 이동하여 리벳조립체다이(4140)의 리벳조립체의 상돌기가 리벳홀에 삽입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흡착헤드는 캡플레이트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단부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로 진공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흡착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이송다이는 다품종 캡조립체(8020)의 생산을 하나의 연속공정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서, 다이 상부에 배치되는 캡플레이트들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A,B 두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이에 정렬되는 캡플레이트는 순서대로 1, 3번째가 모델A, 2, 4번째가 모델B가 될 것이고, A, B, C 세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이들에 정렬된 캡플레이트는 순서대로 1, 4번째가 모델A, 2, 5번째가 모델B, 3, 6번째가 모델C로 정할 수 있다.
즉, 제조하는 캡조립체(8020)의 품종이 n개인 경우에, 다이에 적재되는 순서는 캡플레이트1은 1번째와 (n+1)번째에, 캡플레이트2은 2번째와 (n+2)번째에, 캡플레이트3은 3번째와 (n+3)번째에, .. 캡플레이트n은 n번째와 (n+n)번째에 배치되며, 이러한 캡플레이트 품종에 따라 조립되는 리벳, 절연체,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도 동일한 규칙에 따라 배치할 수 있어, 이들은 통칭하여 부품이라 하면, 다품종 n개 품종의 부품을 다이에 적재하는 배열은 부품n은 n번째와 (n+n)번째 순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대로, 부품들이 다이나 셔틀에 적재되어 작업되거나 이송되는 단위를 캡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단일품종 캡플레이트들을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로, 다품종 캡프레이트들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로 통칭할 수 있으며, 캡조립체(8020)로서 2차밀폐검사시나 전기특성검사 그리고 출하검사시에도 다품종 단일제조라인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구별은 중요하다.
하나의 캡플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하여 고정다이에 적재되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로 하고,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하여 고정다이에 적재되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인데, 예컨대 A,B 두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이들에 정렬되는 4개의 캡플레이트나, A, B, C 세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이들에 정렬되는 6개의 캡플레이트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로 볼 수 있으며, 1차밀폐검사부(2000)에 이르는 안전밴트, 멤브레인이 용접된 캡플레이트들이 복수개로 4개, 6개 단위로 이송되는 경우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이나 설비, 모듈의 표준화를 위하여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들간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 거리(D)를 두고 이격된 채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여 앞서 설명한 대로 다양한 다이, 셔틀, 블럭들에 구비되는 음각부들의 일정간격(D)과도 대응될 수 있다.
즉, 연속공정으로 조립되는 캡플레이트 등 부품은 단위공정이나 설비, 모듈이 셔틀을 통하여 이송될 때, 복수개로 단위공정이나 설비를 거치게 되는데, 여러개로 배치되는 인접한 캡플레이트들 사이는 일정간격(D)로 이격된 배열을 가지게 되며, 이 간격은 특별히 예외적인 공정을 제외하고는 연속공정이나 설비 전반에 걸쳐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이들의 상부에 배열될 수 있고, 다품종 모델이 적용되는 경우에 모델별 캡플레이트를 교번하여 배치하는 것이 모델이 변경되거나 생산되는 품종 모델 수의 증감에 따라 잡체인지가 간편한 장점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정렬이송다이(4460)는 2 품종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경우에는 한칸을 띤 채로, 즉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들 간의 간격이 2×D를 유지한 채로 캡플레이트들을 적재하고, 3품종 모델 캡플레이트의 경우에는 두칸 3×D를 띠어 적재하게 되는데, 이후에서는 2품종이 제조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앞 공정이나 설비, 모듈에서의 다이에 캡플레이트들이 이격된 거리를 D라 하면, 2품종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정렬이송다이(4460)에 적재되는 캡플레이트의 간격은 2×D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다품종의 종류를 n개라 하면, 인접한 캡플레이트들간 이격된 간격은 n×D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이송부(4000)는 리벳피더(4100)와 절연체피더(4300)를 포함할 수 있어, 리벳(4110)의 상돌기(4112)에 절연체(4120)가 삽입된 리벳조립체가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벳(4110)은 판상의 리벳날개(4111)의 중앙부에서 상향 돌출된 상돌기(4112)와 하향돌출된 하돌기(4113)을 포함하여 중앙에 관통된 돌기홀(4122)을 구비한 절연체(4120)의 돌기홀에 상돌기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리벳피더(4100)는 리벳트레이(4130)로부터 리벳(411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에 적재하는데, 상기 리벳트레이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리벳은 리벳집게이송모듈(4150)이 대향된 리벳집게팔(4151, 4152)이 밀착되며 리벳을 집고, 1쌍의 리벳정렬집게(4161, 4162)가 밀착되어 날개(4111)측부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지며 복귀한 후, 리벳조립체다이의 안착홈(4142)에 하돌기(4113)가 삽입되고 날개(4111)가 걸리도록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벳정렬집게(4161, 4162)는 리벳집게팔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리벳을 집을 수 있어, 리벳과 탑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피더(4300)는 절연체매거진(4330)로부터 절연체(432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 상부에 적재된 리벳의 상돌기(4112)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절연체매거진의 삽입바(4132)에 삽입된 절연체를 중앙에 핀홀(4342)이 관통된 절연체흡입판(4340)은 핀홀에 얼라인핀(4344)를 내장하고 얼라인핀(4344) 헤드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삽입바(4132)의 단부에 대면한 채 진공을 핀홀로 인가하여(즉, 핀홀과 얼라인핀의 표면과의 사이가 진공유로가 된다), 절연체를 흡착하고 리벳의 상돌기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핀홀에 내장된 얼라인핀(4344)이 후퇴(핀홀 내부로 진입)하며 상돌기(4112)로 절연체흡입판이 하강하여 상돌기로 돌기홀(4122)을 끼우고 흡입판은 진공을 해제하고 상승하며 복귀하게 된다.
상기 리벳피더, 절연체피더를 왕복하며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운반하는 리벳조립체셔틀모듈(4400)은 리벳조립체다이(4140)를 이루는 2개의 블럭의 사이에서 앞서 본 블럭들과 마찬가지로 왕복운동(P), 상하운동(UD) 그리고 수축팽창운동(S)을 하며,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이송하는데, 이를 후술할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에 적용되는 셔틀과 같이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리벳조립체를 적재한 리벳조립체다이(4140)상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를 정렬이송모듈(4350)을 통하여 적재하게 되는데, 상기 정렬이송모듈은 n×D 간격으로 구비된 캡플레이트들을 정렬이송다이(4460)에서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흡착헤드(4351)로 흡착하여 이송하게 되며, 정렬이송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갯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2품종인 경우에는 2×D 간격으로 캡플레이트들이 정렬이송다이에 배열되고 2개의 흡착헤드가 2×D 간격으로 배열된 캡플레이트를 리벳조립체다이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플레이트들의 간격이 2×D가 되기 위해, 컨베이어어셔틀모듈(4200)는 2×D간격에 해당되는 만큼의 왕복운동을 할 수 있어, 컨베이어로 이송되어 오는 캡플레이트를 하나씩 들어올려, 정렬이송다이에 2×D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흡착헤드는 캡플레이트면에 대면하여 흡착헤드 내에 형성된 진공유로(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의 진공압이 공급되면 그 흡입력으로 캡플레이트를 흡착할 수 있어, 리벳조립체가 적재된 다이로 이동하여 리벳조립체의 상돌기로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을 정렬시켜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리벳조립체는 캡플레이상 양단부에 구비된 리벳홀(1126, 1126')에 구비되는데 음극리벳(4110')은 멤브레인홀(1124)와 가까이 있는 음극용 리벳홀(1126' 것이고, 양극리벳(4110)은 양극용 리벳홀(1126)에 삽입되며, 안전밴트홀(1122)을 중심으로 캡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주로 음극용 리벳은 구리재로, 양극용 리벳은 알루미늄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리벳, 절연체뿐만 아니라 이후에 조립되거나 용접되는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도 음극용, 양극용으로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에 대응되는 개수로 준비되며, 다이나 셔틀모듈의 작업이나 제조공정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벳조립체를 조립한 캡플레이트의 리벳 상돌기에 음극의 절연성을 확보하고 멤브레인 역전에 의한 비상시 단락을 위해 구비되는 OSD를 적층하거나 양극의 리벳 상돌기에 삽입되는 탑플레이트 적재하는 탑플레이트공급부(5000)를 보면, 먼저 음극단자의 형성을 위해, OSD 트레이(5110)나 OSD 매거진(5110')에 안치된 OSD(512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상부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리벳 상돌기에 OSD홀(5122)정렬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OSD(5120)는 이차전지의 음극단자 부분에 형성되는 음극 리벳에 삽입되는 OSD홀(5122)과 멤브레인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되는 통전홀(5124)을 포함하는 절연체로서, 이차전지의 이상작동으로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에 안전밴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아니하여 압력이 커지면 멤브레인의 곡면이 역전되며 통전홀을 통하여 캡플레이트나, 터미날플레이트와 역전된 곡면이 닿게 되어 이차전지를 단락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OSD집게이송모듈은 OSD집게팔과 OSD정렬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OSD는 OSD 트레이(5110)나 OSD 매거진에 복수개 정렬배치될 수 있고, OSD집게이송모듈(5200)이 대향된 OSD집게팔(5221, 5222)을 밀착하여 OSD를 집고, OSD집게팔이 밀착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1쌍의 OSD정렬집게(5261, 5262)를 밀착시켜 OSD(5120)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져 복귀한 후, 상기 OSD집게팔(5221, 5222)을 이송시켜 다이상 리벳조립체의 상돌기(4112, 4112')를 OSD홀(5122)에 끼워 적재할 수 있다.
아울러, 양극단자의 형성을 위해, 상기 탑플레이트트레이(5310)나 탑플레이트매거진(5310')에 배열된 탑플레이트(532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상 캡플레이트에 적재할 수 있는데, 상기 탑플레이트트레이나 탑플레이트매거진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탑플레이트(5320)는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5300)이 대향된 탑플레이트집게팔(5351, 5352)이 밀착되며 탑플레이트를 집고, 1쌍의 탑플레이트정렬집게(5361, 5362)가 밀착되어 탑플레이트(5320)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지며 복귀한 후, 다이(4140)상 리벳의 상돌기(4112, 4112')에 캡플레이트홀(5322) 끼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정렬집게(5361, 5362)는 탑플레이트집게팔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탑플레이트를 집게 되어, 탑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플레이트나 OSD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가 적재시키는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6000)는 상기 터미날플레이트트레이(6110)나 터미날플레이트매거진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터미날플레이트(6120)는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6200)이 대향된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6251, 6252)이 밀착되며 터미날플레이트를 집고, 1쌍의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6261, 6262)가 밀착되어 터미날플레이트(6120)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지며 복귀한 후, 터미날플레이트다이상 리벳의 상돌기(4112, 4112')에 터미날홀(6122)끼워 정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6261, 6262)는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집게 되어, 터미날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앞서, OSD집게팔과 OSD정렬집게, 탑플레이트집게팔과 탑플레이트정렬집게 그리고,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과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정렬을 행하게 되는데, 이는 캡플레이트의 리벳 상돌기로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를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진행방향(P)을 따라 다이나 셔틀이 배열되고 같은 방향으로 집고 펴는 집게에 정열집게들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집거나 펼 수 있도록 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부품들의 정확한 정렬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터미날플레이트가 정렬된 이후 리벳의 상돌기(4112, 4112')를 코킹(caulking)하여 리벳의 상돌기를 가압하며 펴서 터미날홀 주변에 밀착하는 동시에 하부의 캡플레이트, OSD를 밀폐를 확보하며 조이게 된다.
상기 코킹을 수행하는 코킹부(7000)는 상기 터미날홀(6122)로 돌출된 리벳의 상돌기를 압착하는 프레스모듈(7100)의 프레스헤드(7110)가 리벳의 상돌기(4112, 4112')를 가압하여 터미날플레이트를 누르며 변형시켜 하부의 캡플레이트나 OSD를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 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8000)는 코킹된 리벳의 상돌기가 눌리며 퍼진부분과 터미날플레이트의 터미날홀(6122) 주변을 용접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고, 여기서 용접은 택타임 단축을 위하여 레이저광에 의한 용접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8000)에 이어서 캡플레이트의 평탄도를 교정하는 사이징부(85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안전밴트, 멤브레인의 용접 그리고, 코킹시 가압과 터미날플레이트와 리벳의 용접으로 인하여 캡플레이트 조립체의 평탄도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캡플레이트의 터미날플레이트와 터미날플레이트의 사이 부분을 가압롤러(8510)를 이용하여 가압하며 회전시켜 캡플레이트의 평평하게 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리벳조립체다이(4140)로 리벳조립체상 캡플레이트를 적재하는 것외에도 OSD 정렬, 탑플레이트 정렬, 터미날플레이트 정렬에 이어 코킹, 용접까지 리벳, 리벳조립체,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운송하며 왕복하는 셔틀모듈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리벳조립체셔틀모듈(4400)은 리벳조립체다이(4140)에서 인접한 인접리벳조립체다이(4140')로 리벳조립체를 이송시키고 복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리벳조립체셔틀모듈(4400)은 2개의 대향하는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을 구비하여, 리벳조립체다이(4140)의 고정된 다이블럭(4142, 4143)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이 다이블럭을 향해 팽창하고 수축하는 경우에 일정거리간격(D)를 유지하며 형성된 다이블럭의 리벳 하돌기(4113, 4113')가 삽입되는 안착홈(41420)을 구비한 측향돌기(41421)와 상기 측향돌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열린 긴 홀의 리벳슬릿(44321)을 구비한 삽입암(44320)을 리벳조립체블럭에 구비하여, 상기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이 팽창하는 경우에 다이블럭으로 진입하는 리벳슬릿(44321)의 열린 긴 홀이 측향돌기 상 리벳 하돌기(4113, 4113')를 리벳슬릿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즉, 리벳조립체블럭이 다이블럭으로 향하는, 즉 팽창하면, 측향돌기로 삽입암이 접근하며 지나게 되고,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을 상승시키며, 리벳날개(4111, 4111')가 리벳슬릿에 걸리게 하여 리벳조립체셔틀모듈을 상승시키고 다음 인접한 인접리벳조립체다이(4140')에서 하강하여 리벳조립체다이에 적재한 후 수축하고 후진하여 리벳조립체다이(4140)로 복귀할 수 있고, 이런 반복된 전진과 후진을 통하여 인접한 리벳조립체다이(4140, 4140')를 왕복운동하며 리벳조립체를 인라인(in-line)공정으로 조립하고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리벳조립체다이(4140)에 리벳이 적재되고, 그 상돌기에 절연체가 순서대로 끼워지도록 하는 받침대이므로 특별하게 다른 구성이나 기능이 언급되지 아니하는 한 리벳조립체다이로 통칭한다.
즉, 상기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 다이블럭(4142, 4143)은 리벳, 절연체의 이송과 결합을 위하여, 리벳조립체블럭이 왕복운동을 반복하며 다이블럭(4142, 4143) 사이를 수없이 지나게 되므로, 이러한 블럭들의 마찰이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왕복운동방향(P)으로 작동시에는 수축상태를 유지하며,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들어올리거나 다이블럭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내려오는 상하방향(UD)으로 기동하고, 특히 들어올리는 동작시에는 캡플레이트의 정렬상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다이블럭에 최대한 밀착하도록 리벳조립체블럭이 벌어지는 팽창운동을 하여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데, 즉, 상기 리벳조립체블럭은 팽창상태로 리벳을 적재하여 상승하고, 진행방향(P)으로 전진한 다음다이블럭에 위치하여 정지하고 하강하여 다이블럭에 리벳을 정렬시킨 후 수축한 채 원래위치로 후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축팽창운동은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들어올리려 상승과 동시에 벌어져 팽창하고,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다이블럭에 내려놓는 하강과 동시에 오므라져 수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정렬이송부(4000)의 정렬이송모듈(4350)의 흡착헤드(4351)가 캡플레이트를 흡착하여 리벳조립체다이(4140)의 리벳조립체의 상돌기가 리벳홀에 삽입되도록 이송하는데, 즉 상기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이 리벳조립체를 리벳조립체다이의 다이블럭(4142, 4143)에 안착시킨 상태로 정지하여 다이블럭에 위치한 리벳조립체 상돌기로 캡플레이트 리벳홀을 끼울 수 있으며, 안착후 하강한 상태에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도 있다.
한편, 리벳조립체와 조립된 캡플레이트에 OSD, 캡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를 순서대로 적재하는 OSD다이, 탑플레이트다이, 터미날플레이트다이는 앞선 리벳조립체블럭(4432, 4433)과 다이블럭(4142, 4143)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순서대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리벳조립체, 캡플레이트, OSD, 탑플레이트 또는 터미날플레이트의 정렬이 틀어질 수 있어서, 측고정모듈(7200)의 측이동블럭들(7210, 7220)이 상호 밀착되며 캡플레이트의 양단변(1120', 1120")을 가압할 수 있고, 특히 코킹부(7000)의 경우는 프레스가 리벳의 상돌기를 가압하여 터미날플레이트에 밀착시키는 관계상, 큰 가압력이 캡플레이트에 가해지므로 더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렇듯이, 코킹부(7000)에서 조립된 부품들이 정렬이 유지된 상태로 코킹되어 캡플레이트에 고정되므로, 이후 공정이나 설비에서 사용되는 셔틀은 수축팽창운동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이블럭들 사이나 외측으로 셔틀바디에 이동블럭(8400)을 고정하여, 승강운동과 왕복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리벳의 하돌기가 캡플레이트 하면 아래로 돌출된 모양으로 인하여 다이블럭들 외측으로 셔틀을 배치하면 캡플레이트를 정렬시켜 이송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다이블럭들(4142, 4143) 사이로 이동블럭을 배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8000)의 이동블럭(8400)은 다이블럭(4142, 4143)들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다이블럭들 사이로 승강운동과 왕복운동을 하며 캡플레이트를 이송할 수 있는데, 이동블럭이 상승하여 캡플레이트(1120)를 다이블럭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다음 인접한 다이블럭으로 전진하고 하강하여 다이블럭에 캡플레이트를 적재시키고, 후진하여 원래 다이블럭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본 것과 같이, 상술한 캡플레이트에 안전밴트, 멤브레인, 리벳, 절연체, 캡플레이트, OSD 및 터미날플레이트를 적재하여 터미날플레이트 용접을 마친 캡플레이트조립체의 2차적으로 밀폐성을 확인하고, 밀폐성이 확보된 조립체에 대하여는 전기적 특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성을 2차적으로 검사하는 2차밀폐검사부(9000)는 1차밀폐검사부(2000)와는 달리,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9500)를 포함하여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도록 터미날플레이트가 돌출된 캡플레이트조립체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하므로, 돌출된 터미날플레이트가 함입되도록 밀폐룸(9511)이 형성된 2차검사다이(9500)를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이송하고 검사된 양품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전기특성검사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1차밀폐검사부와 마찬가지로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8020)의 2차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상기 1차밀폐검사부와 마찬가지로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하나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두개가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세개가 구비되고, 더 많은 2차밀폐검사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밀폐성 검사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연속제조인 경우에 품종 모델별로 밀폐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8000)를 거치거나 사이징부(8500)를 거치고 나온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캡플레이트들을 품종 모델별로 즉,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로 분류하여 2차검사다이(9500)로 투입하는 분류전송모듈(9100)에 의하여 대기다이(9200)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류전송모듈(9100)은 그 분류흡입판(9110)으로 동일 모델의 캡플레이트를 흡착하여 대기다이(9200)의 안착홈(9210)으로 이송하고 복귀하며, 상기 대기다이에는 밀폐이동셔틀모듈(930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밀폐이동셔틀모듈이 상기 동일 모델의 캡플레이트를 상승시키고 상기 안착홈과 일정거리(D)만큼 이격된 다음 인접안착홈(9220)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며, 다음의 동일모델의 캡플레이트를 대기다이(9200)의 안착홈(9210)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A, B 두모델이 4개로 각각 1, 3번째와 2, 4번째 배열 적재되어 있고, 분류전송모듈(9100)의 분류흡입판(9110)이 1, 3번째 캡플레이트를 안착홈에 적재하고 밀폐이동셔틀모듈(9300)이 이 1, 3번째 캡플레이트를 다음 인접안착홈(9220)으로 이송하며, 분류전송모듈(9100)이 다음에 이송된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에서도 마찬가지로 1, 3번째 캡플레이트를 안착홈(9210)으로 적재할 수 있어서 대기다이의 1~4번째 안착홈에는 모두 동일모델의 캡플레이트, 즉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가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개 모델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경우에는 상기 분류전송모듈은 그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조립체는 투입모듈(9400)의 투입흡입판(9410)에 의해 흡착되어, 투입모듈이 2차검사다이(9500)에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정렬하고 흡입판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투입흡입판(9410)은 복수개 마련되어,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의 복수개의 캡플레이조립체에 대응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검사다이(9500)는 밀폐상부다이(9510)와 밀폐하부다이(9520)를 대향되게 구비하고, 밀폐상부다이에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조립체의 갯수만큼 터미날플레이트의 형상을 함입하는 밀폐룸(9511)를 포함하고, 밀폐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조립체의 리벳조립체의 하돌기(4113, 4113'), 절연체가 함입될 수 있는 밀폐돌기홈(9521)을 마련하여 캡플레이트조립체를 밀폐상부다이쪽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는데, 반대로 밀폐상부다이에 밀폐돌기홈이, 밀폐하부다이에 밀폐룸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2차밀폐검사는 밀폐룸(9511)에 연통된 양압이나 차압 유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경로상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미도시)를 두고 있어, 밀폐상부다이와 밀폐하부다이가 닺히며 밀폐룸에 1차밀페검사와 마찬가지로 캡조립체의 사양에 따른 압력과 시간에 해당하는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일정시간동안 압력변화를 압력센서로 감지하여 양불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1차검사다이와 마찬가지로 2차검사다이도 적어도 하나이상을 구비하여, 밀폐검사시 소용되는 검사시간에 따른 공정상 병목을 해소할 수 있다.
2차밀폐검사를 마치면, 밀폐상부다이(9510)와 밀폐하부다이(9520)가 열리고 취출모듈(9600)이 캡조립체(8020)를 2차컨베이어모듈(9700)로 이송하는데, 상기 취출모듈의 취출흡입판(9610)이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하여 2차컨베이어모듈(9700)의 컨베이어벨트(9710)로 적재하고 흡입을 해제후 복귀하게 된다.
상기 2차컨베이어모듈(9700)도 하나의 벨트로 컨베이어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취출흡입판으로부터 공급되어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된 캡조립체(8020)들을 컨베이어벨트의 단부에 마련된 취출분류모듈(9800)에 의하여 멈춤다이(9830)에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취출흡입판(9610)은 캡플레이트조립체에 대면하여 진공압으로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할 수 있는 구성인한 특별하게 한정할 것은 아니며, 그 내부로 형성된 진공유로(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압으로 흡착력을 발휘하여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분류모듈(9800)은 스톱바밸브(9810)와 정렬바밸브(9820)를 포함하고 있어, 스톱바밸브의 스톱바(9811)가 돌출되면 캡조립체들(8020)이 연접하여 컨베이어벨트상 대기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스톱바(9811)가 후퇴하면 대기상태의 캡조립체(8020)가 진행하며 후퇴된 정렬바밸브의 정렬바(9821)를 지나 캡조립체(8020)를 멈추게 하는 멈춤다이(9830)에 이르러 캡조립체(8020)는 멈추게 된다.
이어서, 스톱바가 후퇴하면 캡조립체가 진행하고 정렬바가 돌출되어 그 자리에 정지한 상태가 되며, 이때 취출분류다이에 있는 캡조립체와 정렬바에 걸려 있는 캡조리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이후 후공정다이에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톱바밸브(9810)와 정렬바밸브(9820)은 컨베이어밸트의 측부에 대향되게 배치하여 스톱바, 정렬바를 진토시키며 캡조립체의 이격거리를 제어할 수 있음음 물론이다.
이러한 취출분류모듈은 캡조립체의 품종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바에서 멈춤다이에 적재된 캡조립체의 이격거리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즉, A,B 두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이들에 정렬되는 캡플레이트를 4개로 하면, 순서대로 1, 3번째가, A, B, C 세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캡플레이트를 6개로 하면, 순서대로 1, 4번째가 동일 모델이 될 것이므로,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모델의 수에 따라 한칸(D), 두칸(2D) 등의 이격거리를 가진 채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바에서 멈춤다이에 적재된 캡조립체는 취출분류모듈의 이송흡입판(9840)에 흡착되어 전기특성검사를 위한 출하검사부(10000)의 후공정다이(10100)로 적재되고, 이송흡입판은 흡입을 해제하고 복귀할 수 있으며, 이의 갯수는 적재된 캡조립체의 갯수에 대응된다.
한편, 상기 후공정다이(1010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조립체는 후공정셔틀모듈(10200)을 타고 면저항검사모듈(10300), 접촉저항검사모듈(10400) 또는 절연검사모듈(10500)에 거치며 해당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후공정셔틀모듈(10200)은 후공정다이(10100)의 대향된 2개의 전기검사블럭(10101, 10102)들 사이에 배치되는 왕복운동과 상하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하검사부에는 전기검사를 마친 양품 캡플레이트조립체를 모델별로 포장하고 출하하여야 하므로, 출하분류모듈(10600)의 출하흡입판(10610)의 흡입구(미도시)는 캡조립체를 흡착하여 이송한 후 흡착을 해제하고 복귀하는 것으로, 흡입구는 캡조립체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그 흡입구들의 간격은 동일한 모델의 캡조립체의 간격은 앞서 본 바와 같이, nD이므로 2모델의 경우에는 2D만큼 이격시켜 구비할 수 있다.
즉, 2D만큼 이격된 흡입구들을 구비한 출하흡입판이 캡조립체들을 흡착하여 출하컨베이어모듈(10700)의 출하컨베이어벨트(10710)로 적재하고 흡입을 해제하게 되며, 출하컨베이벨트를 타고 흘러가는 동일모델의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다.
이러한 출하검사부도 앞서 본 캡플레이트 공급부, 1, 2차밀폐검사부와 마찬가지로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하나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두개가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세개가 구비되고, 더 많은 2차밀폐검사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데, 앞서 제조장치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캡플레이트피더를 통해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고, 안전밴트피더의 안전벤트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정렬하여 용접하거나 멤브레인피더의 멤브레인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켜 용접하여 캡플레이트를 공급하는 S1단계와, 상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1차밀폐검사를 수행하는 S2단계와,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컨베이어부로 이송하는 S3단계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기 위해 리벳조립체를 정렬하는 S4단계와,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S5단계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S6단계와, 상기 터미날플레이트홀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S7단계와,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S8단계와,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S9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이 구비되어 이에 의하여 캡플레이트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S1단계를 보면, 캡플레이트피더를 통해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고, 안전밴트피더의 안전벤트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정렬하여 용접하거나 멤브레인피더의 멤브레인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켜 용접하여 캡플레이트를 공급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은 단일 품종 캡조립체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조립체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안전밴트나 멤브레인을 용접하여 공급되는 캡플레이트는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캡플레이트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2개의 캡플레이트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3개의 캡플레이트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피더(1100)는 캡플레이트트레이(1110)로부터 캡플레이트(1120)를 캡플레이트다이(1130)에 적재하는데, 상기 캡플레이트트레이(1110)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캡플레이트(1120)는 집게이송모듈(1140)이 대향된 집게팔(1141, 1142)이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은 채로 이송되어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의 대향된 2개의 회전체(1151, 1152)가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고, 집게팔이 벌어진 후 회전체가 90도 회전하며, 캡플레이트다이의 블럭(1132, 1133)의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된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가 상승하며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회전체는 벌어지게 지며,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가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다이의 블럭(1132, 1133)의 위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는 캡플레이트다이를 이루는 블럭(1132, 1133)들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가능한 보조다이로서,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이 수평상태로 캡플레이트를 회전시킨후 상승하여 캡플레이트를 받치고, 회전체가 원리상태로 벌어지고, 하강하면 캡플레이트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안착시킬 수 있고,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음각부를 두어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대향된 2개의 블럭(1431, 1432)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캡플레이트다이(1130)는 캡플레이트(1120)의 외형에 대응되는 음각부(1131)를 구비할 수 있어, 캡플레이트를 짧은 방향(H)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2개의 블럭(1132, 1133)을 대향한 채 이격시켜 고정하고, 상기 블럭에 마련된 음각부에 캡플레이트가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가 적재되는 캡플레이트다이에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가 일정간격(D)을 두고 이격되어 음각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밴트피더(1200)는 안전벤트트레이(1210)로부터 안전밴트(1220)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1122)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안전밴트흡입모듈(1240)의 흡입판(1241)이 안전밴트를 흡착한 후 안전밴트정렬모듈(1230)로 안전밴트를 정렬하고, 상기 안전밴트정렬모듈(1230)은 하부가이드(1232)와 상부가이드(1233)를 포함하는데, 안전밴트가 흡입모듈에 의하여 상승된 하부가이드(1232)에 적재되고 상부가이드(1233)의 절편(12331, 12332)이 안전밴트 측면을 누르도록 상호 대향되게 수축하여 안전밴트를 정렬시키고 팽창하여 복귀하며, 안전밴트가 정렬된 상태로 하부가이드가 하강하여 이후 용접기(1250)가 용접을 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고, 안전밴트는 안전밴트용접기(1250)의 흡착헤드(1251)에 흡착된 채로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1122)에 정렬되어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헤드(1251)은 안전밴트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헤드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로 진공유로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진공발생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흡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흡착헤드는 레이저빔이 근접한 거리에서 조사되므로 금속, 합금 재질로 하여 용접시 발생하는 고열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용접은 레이저에 의한 용접이 택타임 단축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안전밴트(1220)가 캡플레이트(1120)의 안전밴트홀(1122)에 정렬된 후 용접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용접은 안전밴트의 정렬이 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용접과 본용접을 나누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은 캡플레이트다이에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구비된 다이들(1130, 1130')로 캡플레이트를 이송하는 것처럼, 안전밴트 용접시 캡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다이도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멤브레인피더(1300)는 멤브레인트레이(1310)로부터 멤브레인(1320)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가 안전밴트 용접시 캡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다이들(1130, 1130')로 왕복운동을 하며, 안전밴트가 용접된 캡플레이트(1120)를 멤브레인피더(1300)로 이송하고, 멤브레인 용접을 위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로 멤브레인(1320)을 정렬시키는데, 멤브레인흡입모듈(1340)의 흡입판(1341)이 멤브레인(1320)을 흡착한 후 멤브레인정렬모듈(1330)로 멤브레인을 정렬하게 된다.
즉, 상기 멤브레인정렬모듈(1330)은 하부가이드(1332)와 상부가이드(1333)를 포함하는데, 멤브레인이 흡입모듈에 의하여 상승된 하부가이드에 적재되고 상부가이드 절편(13331, 13332)이 멤브레인 측부를 누르도록 상호 대향되게 수축하여 멤브레인을 정렬시키고 팽창하여 복귀하며, 멤브레인이 정렬된 상태로 하부가이드가 하강하여 이후 용접기(1350)가 용접을 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는데, 정렬 후 멤브레인(1320)은 멤브레인용접기(1350)의 흡착헤드(1351)에 흡착된 채로 다이(136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에 정렬되어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멤브레인용접기(1350)의 흡착헤드(1351)에 흡착된 채로 멤브레인다이(136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1124)에 정렬되어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앞선 기재와는 달리, 순서를 바꾸어서 먼저 멤브레인을 용접하고, 나중에 안전밴트를 용접할 수도 있다.
한편,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의 캡플레이트 상 용접면이 다른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캡플레이트회전모듈(1150)과 캡플레이트보조다이(1430)를 포함하는 캡플레이트반전부(1500)를 더 구비하여 캡플레이트를 180회전시켜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140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캡플레이트다이(1130)에서 인접한 캡플레이트다이(1130')로 캡플레이트를 이송시키고 복귀하는 수단으로서, 인라인 공정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운동방향(P, processing direction)과 상하방향(UD)로 기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2단계를 보면, 상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1차밀폐검사를 수행하는 공정으로,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이 용접된 캡플레이트(1120)를 1차검사다이(2100)로 적재하여 각각의 용접된 부분의 밀폐성을 검사한다.
여기서는, 단일 품종 캡플레이트조립체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조립체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투입되는 다른 품종 캡플레이트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종류별로 1차밀폐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캡플레이트셔틀(1400)에 의하여 안전밴트, 멤브레인 용접을 마치고 다이(113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2100)로 이송은 캡플레이트를 흡착이송모듈이 흡착하여 1차검사다이(2100)로 이송시키는데, 상기 1차검사다이는 상부다이(2110)와 하부다이(21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다이의 하부홈(2122)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상부다이가 하강한 후 압력을 인가하여 일정시간 경과후 상부다이가 상승하고, 흡착전달모듈(2300)의 흡착판(2301)이 캡플레이트를 흡착한 채, 승강다이(2460)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흡착을 해제한 채,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에는 밀폐벽이 있어, 상호 밀착하여 인가된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압력변화를 검사할 수 있어, 밀폐성 검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1차검사다이는 적어도 하나이상을 구비하여, 밀폐검사시 소용되는 검사시간에 따른 공정상 병목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승강다이(2460)가 없이 캡플레이트를 검사시 다이나 멤브레인 용접시 다이와 같은 높이에서 바로 캡플레이트를 후공정이나 설비, 모듈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이어지는 단위공정 어디에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전체 공정 및 설비를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제조효율이 감소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3단계를 보면,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컨베이어부로 이송하는 공정으로, 이송컨베이어부(3000)의 컨베이어모듈(3100)에는 캡플레이트(1120)와 인접한 캡플레이트(1120')가 밀접하게 적재되어 이송되고, 컨베이어(310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3110)의 회전을 따라 컨베이어의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이송컨베이어부는 다품종 캡조립체를 단일 라인으로 생산토록 할 수 있도록 하나의 품종인 캡플레이트를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피더(feeder)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컨베이어모듈(3100)는 상기 승강다이(2460)로부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을 통하여 캡플레이트(1120)를 받아 이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은 컨베이어벨트 후단부에 진입하여 하강하며 캡플레이트를 컨베이어벨트에 적재하고 후진하면, 캡플레이트가 컨베이어벨트들 상부에 적재되어 전단부로 진행하고, 후진한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은 하강하는 승강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어서, 이송컨베이어부(3000)로 연속적인 캡플레이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3200)의 이동블럭을 복수개로 셔틀모듈바디에 일정간격으로 고정하여 이송컨베이어부로 전달하기 전에 캡플레이트조립체의 제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식별인식자를 캡플레이트상에 표시하는 바코드표시부(1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4단계를 보면,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기 위해 리벳조립체를 정렬하는 공정인데, 단일 품종 생산이외에 여러 품종의 캡플레이트 부품 생산을 변경하는 잡체인지가 용이하여 혼류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의 다이에 여러 품종 모델의 캡플레이트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리벳조립체는 캡플레이상 양단부에 구비된 리벳홀(1126, 1126')에 구비되는데 음극용 리벳홀(1126')는 멤브레인홀(1124)와 가까이 있는 것이고, 양극용 리벳홀(1126)은 안전밴트홀(1122)을 중심으로 캡플레이트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주로 음극용 리벳은 구리재로, 양극용 리벳은 알루미늄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리벳, 절연체뿐만 아니라 이후에 조립되거나 용접되는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도 음극용, 양극용으로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에 대응되는 개수로 준비되며, 다이나 셔틀모듈의 작업이나 제조공정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부(3000)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1126, 1126')에 삽입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를 적재한 이송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모듈(3100)에서 하나의 캡플레이트를 컨베이어셔틀모듈(4200)에 안착하여 정렬이송다이(4460)에 적재시키고, 정렬이송모듈(4350)의 흡착헤드(4351)가 캡플레이트를 흡착하여 리벳조립체다이(4140)의 리벳조립체의 상돌기가 리벳홀에 삽입될 수 있어서, 다품종 모델별 캡플레이트를 구별하여 연속공정을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캡플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이에 적재되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로 하고,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를 생산하기 위하여 고정다이에 적재되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로 하며, 혼합캡플레이트는 제조하는 캡조립체의 품종이 n개인 경우에, 다이에 적재되는 순서는 캡플레이트1은 1번째와 (n+1)번째에, 캡플레이트2은 2번째와 (n+2)번째에, 캡플레이트3은 3번째와 (n+3)번째에, .. 캡플레이트n은 n번째와 (n+n)번째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캡플레이트 품종에 따라 조립되는 리벳, 절연체, OSD, 탑플레이트, 터미날플레이트도 동일한 규칙에 따라 배치할 수 있어, 이들은 통칭하여 부품이라 하면, 다품종 n개 품종의 부품을 다이에 적재하는 배열은 부품n은 n번째와 (n+n)번째 순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2개 모델 캡조립체의 제조는 캡플레이트 부품의 간격 거리를 D로 하면, 정렬이송다이(4460)에 적재되는 캡플레이트의 간격은 2×D가 될 수 있다.
즉, n개의 캡조립체 부품은 x번째 부품이 다이 상부에 배열되는 관계는 x번째와 (X+n)번째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고, 이격거리는 n×D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이송부(4000)는 리벳피더(4100)와 절연체피더(4300)를 포함할 수 있어, 리벳(4110)의 상돌기(4112)에 절연체(4120)가 삽입된 리벳조립체가 캡조립체의 리벳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리벳(4110)은 판상의 리벳날개(4111)의 중앙부에서 상향 돌출된 상돌기(4112)와 하향돌출된 하돌기(4113)을 포함하여 중앙에 관통된 돌기홀(4122)을 구비한 절연체(4120)의 돌기홀에 상돌기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리벳피더(4100)는 리벳트레이(4130)로부터 리벳(411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에 적재하는데, 상기 리벳트레이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리벳은 리벳집게이송모듈(4150)이 대향된 리벳집게팔(4151, 4152)이 밀착되며 리벳을 집고, 1쌍의 리벳정렬집게(4161, 4162)가 밀착되어 날개(4111)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지며 복귀한 후, 리벳조립체다이의 안착홈(4142)에 하돌기(4113)가 삽입되고 날개(4111)가 걸리게 적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벳정렬집게(4161, 4162)는 리벳집게팔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리벳을 집을 수 있어, 탑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체피더(4300)는 절연체매거진(4330)로부터 절연체(432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 상부에 적재된 리벳의 상돌기(4112)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절연체매거진의 삽입바(4132)에 삽입된 매거진을 중앙에 핀홀(4342)이 관통된 절연체흡입판(4340)으로 흡착하여 리벳의 상돌기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핀홀에 내장된 얼라인핀(4344)이 하강하여 상돌기(4112)에 대면한 후에 절연체흠입판이 하강하여 상돌기로 돌기홀(4122)을 끼우고 흡입판은 상승하며 복귀하게 된다.
상기 리벳피더, 절연체피더를 왕복하며 리벳이나 리벳조립체를 운반하는 리벳조립체셔틀모듈(4400)은 앞선 제조장치에서 설명한바,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리벳조립체를 적재한 리벳조립체다이(4140)상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를 정렬이송모듈(4350)을 통하여 적재하게 되는데, 상기 정렬이송모듈은 n×D 간격으로 구비된 캡플레이트를 정렬이송다이(4460)에서 캡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캡플레이트흡착헤드(4351)로 흡착하여 이송하게 되며, 상기 캡플레이트흡착헤드는 정렬이송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갯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5단계를 보면,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리벳조립체를 조립한 캡플레이트의 리벳 상돌기에 음극의 절연성을 확보하고 멤브레인 역전에 의한 비상시 단락을 위해 구비되는 OSD를 적층하거나 양극의 리벳 상돌기에 삽입되는 탑플레이트 적재한다.
먼저, 음극단자의 형성을 위해, OSD트레이(5110)나 OSD매거진(5110')에 안치된 OSD(512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상부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리벳 상돌기에 OSD홀(5122)정렬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OSD(5120)는 이차전지의 음극단자 부분에 형성되는 음극 리벳에 삽입되는 OSD홀(5122)과 멤브레인과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되는 통전홀(5124)을 포함하는 절연체로서, 이차전지의 이상작동으로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에 안전밴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아니하여 압력이 커지면 멤브레인의 곡면이 역전되며 통전홀을 통하여 캡플레이트나, 터미날플레이트와 역전된 곡면이 닿게 되어 이차전지를 단락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OSD집게이송모듈은 OSD집게팔과 OSD정렬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OSD는 OSD트레이(5110)나 OSD매거진(5110')에 복수개 정렬배치될 수 있고, OSD집게이송모듈(5200)이 대향된 OSD집게팔(5221, 5222)을 밀착하여 OSD를 집고, OSD집게팔이 밀착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1쌍의 OSD정렬집게(5261, 5262)를 밀착시켜 OSD(5120)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져 복귀한 후, 상기 OSD집게팔(5221, 5222)을 이송시켜 다이상 리벳조립체의 상돌기(4112')를 OSD홀(5122)에 끼워 적재할 수 있다.
아울러, 양극단자의 형성을 위해, 상기 탑플레이트트레이(5310)나 탑플레이트매거진(5310')에 배열된 탑플레이트(5320)를 리벳조립체다이(4140)상 캡플레이트에 적재할 수 있는데, 상기 탑플레이트트레이나 탑플레이트매거진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탑플레이트(5320)는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5300)이 대향된 탑플레이트집게팔(5351, 5352)이 밀착되며 탑플레이트를 집고, 1쌍의 탑플레이트정렬집게(5361, 5362)가 밀착되어 탑플레이트(5320)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지며 복귀한 후, 다이(4140)상 리벳의 상돌기(4112)에 캡플레이트홀(5322) 끼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탑플레이트정렬집게(5361, 5362)는 탑플레이트집게팔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탑플레이트를 집게 되어, 탑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6단계를 보면,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탑플레이트나 OSD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가 적재시키는데, 상기 터미날플레이트트레이(6110)나 터미날플레이트매거진(6110')에 복수개 정렬배치된 터미날플레이트(6120)는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6200)이 대향된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6251, 6252)이 밀착되며 터미날플레이트를 집고, 1쌍의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6261, 6262)가 밀착되어 터미날플레이트(6120)를 집어서 정렬하고 벌어지며 복귀한 후, 터미날플레이트다이상 리벳의 상돌기()에 터미날홀(6122)끼워 정렬할 수 있다.
상기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6261, 6262)는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이 밀착되거나 벌어지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집게 되어, 터미날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7단계를 보면, 상기 터미날플레이트 터미날홀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공정인데, 상기 터미날홀(6122)로 돌출된 리벳의 상돌기를 압착하는 프레스모듈(7100)의 프레스헤드(7110)가 리벳의 상돌기를 가압하여 터미날플레이트를 누르며 변형시켜 하부의 캡플레이트나 OSD를 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 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고, 코킹된 리벳의 상돌기가 눌리며 퍼진부분과 터미날플레이트의 터미날홀(6122) 주변을 용접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고, 여기서 용접은 택타임 단축을 위하여 레이저광원(L)에 의한 용접이 바람직하다.
이렇듯이, 코킹시 조립된 부품들이 정렬이 유지된 상태로 코킹되어 캡플레이트에 고정되므로, 이후 공정이나 설비에서 사용되는 셔틀은 수축팽창운동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이블럭들 사이나 외측으로 셔틀바디에 이동블럭을 고정하여, 승강운동과 왕복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8단계를 보면,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경우에 터미날플레이트셔틀(8400)은 다이블럭(4142, 4143)들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다이블럭들 사이로 승강운동과 왕복운동을 하며 캡플레이트를 이송할 수 있는데, 터미날플레이트셔틀(8400)이 상승하여 캡플레이트(1120)를 다이블럭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다음 인접한 다이블럭으로 전진하고 하강하여 다이블럭에 캡플레이트를 적재시키고, 후진하여 원래 다이블럭으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터미날플레이트를 용접한 후에 캡플레이트의 평탄도를 교정하는 사이징하는 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안전밴트, 멤브레인의 용접 그리고, 코킹시 가압과 터미날플레이트와 리벳의 용접으로 인하여 캡플레이트 조립체의 평탄도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캡플레이트의 터미날플레이트와 터미날플레이트의 사이 부분을 가압롤러(8510)를 이용하여 가압하며 회전시켜 캡플레이트의 평평하게 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S9단계를 보면,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공정으로, 한편, 앞서 본 것과 같이, 상술한 캡플레이트에 안전밴트, 멤브레인, 리벳, 절연체, 캡플레이트, OSD 및 터미날플레이트를 적재하여 터미날플레이트 용접을 마친 캡플레이트조립체의 2차적으로 밀폐성을 확인하고, 밀폐성이 확보된 조립체에 대하여는 전기적 특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성을 2차적으로 검사하는 2차밀폐검사공정은 1차밀폐검사와는 달리,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9500)를 포함하여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도록 터미날플레이트가 돌출된 캡플레이트조립체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하므로, 돌출된 터미날플레이트가 함입되도록 밀폐룸(9511)이 형성된 2차검사다이(9500)를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이송하고 검사된 양품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전기특성검사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1차밀폐검사와 마찬가지로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8020)의 2차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상기 1차밀폐검사부와 마찬가지로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하나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두개가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세개가 구비되고, 더 많은 2차밀폐검사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밀폐성 검사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연속제조인 경우에 품종 모델별로 밀폐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8000)를 거치거나 사이징공정을 거친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캡플레이트들을 품종 모델별로 즉,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로 분류하여 2차검사다이(9500)로 투입하는 분류전송모듈(9100)에 의하여 대기다이(9200)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류전송모듈(9100)은 그 분류흡입판(9110)으로 동일 모델의 캡플레이트를 흡착하여 대기다이(9200)의 안착홈(9210)으로 이송하고 복귀하며, 상기 대기다이에는 밀폐이동셔틀모듈(930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밀폐이동셔틀모듈이 상기 동일 모델의 캡플레이트를 상승시키고 상기 안착홈과 일정거리(D)만큼 이격된 다음 인접안착홈(9220)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며, 다음의 동일모델의 캡플레이트를 대기다이(9200)의 안착홈(9210)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A, B 두모델이 4개로 각각 1, 3번째와 2, 4번째 배열 적재되어 있고, 분류전송모듈(9100)의 분류흡입판(9110)이 1, 3번째 캡플레이트를 안착홈에 적재하고 밀폐이동셔틀모듈(9300)이 이 1, 3번째 캡플레이트를 다음 인접안착홈(9220)으로 이송하며, 분류전송모듈(9100)이 다음에 이송된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에서도 마찬가지로 1, 3번째 캡플레이트를 안착홈(9210)으로 적재할 수 있어서 대기다이의 1~4번째 안착홈에는 모두 동일모델의 캡플레이트, 즉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가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개 모델의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의 경우에는 상기 분류전송모듈은 그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조립체는 투입모듈(9400)의 투입흡입판(9410)에 의해 흡착되어, 투입모듈이 2차검사다이(9500)에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정렬하고 흡입판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투입흡입판(9410)은 복수개 마련되어,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의 복수개의 캡플레이조립체에 대응되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검사다이(9500)는 밀폐상부다이(9510)와 밀폐하부다이(9520)를 대향되게 구비하고, 밀폐상부다이에는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캡플레이트조립체의 갯수만큼 터미날플레이트의 형상을 함입하는 밀폐룸(9511)를 포함하고, 밀폐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조립체의 리벳조립체의 하돌기(4113, 4113'), 절연체가 함입될 수 있는 밀폐돌기홈(9521)을 마련하여 캡플레이트조립체를 밀폐상부다이쪽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는데, 반대로 밀폐상부다이에 밀폐돌기홈이, 밀폐하부다이에 밀폐룸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2차밀폐검사는 밀폐룸(9511)에 연통된 양압이나 차압 유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경로상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미도시)를 두고 있어, 밀폐상부다이와 밀폐하부다이가 닺히며 밀폐룸에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일정시간동안 압력변화를 압력센서로 감지하여 양불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1차검사다이와 마찬가지로 2차검사다이도 적어도 하나이상을 구비하여, 밀폐검사시 소용되는 검사시간에 따른 공정상 병목을 해소할 수 있다.
2차밀폐검사를 마치면, 밀폐상부다이(9510)와 밀폐하부다이(9520)가 열리고 취출모듈(9600)이 캡조립체(8020)를 2차컨베이어모듈(9700)로 이송하는데, 상기 취출모듈의 취출흡입판(9610)이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하여 2차컨베이어모듈(9700)의 컨베이어벨트(9710)로 적재하고 흡입을 해제후 복귀하게 된다.
상기 2차컨베이어모듈(9700)도 하나의 벨트로 컨베이어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취출흡입판으로부터 공급되어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된 캡조립체(8020)들을 컨베이어벨트의 단부에 마련된 취출분류모듈(9800)에 의하여 멈춤다이(9830)에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취출흡입판(9610)은 캡플레이트조립체에 대면하여 진공압으로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할 수 있는 구성인한 특별하게 한정할 것은 아니며, 그 내부로 형성된 진공유로(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압으로 흡착력을 발휘하여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분류모듈(9800)은 스톱바밸브(9810)와 정렬바밸브(9820)를 포함하고 있어, 스톱바밸브의 스톱바(9811)가 돌출되면 캡조립체들(8020)이 연접하여 컨베이어벨트상 대기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스톱바(9811)가 후퇴하면 대기상태의 캡조립체(8020)가 진행하며 후퇴된 정렬바밸브의 정렬바(9821)를 지나 캡조립체(8020)를 멈추게 하는 멈춤다이(9830)에 이르러 캡조립체(8020)는 멈추게 된다.
이어서, 스톱바가 후퇴하면 캡조립체가 진행하고 정렬바가 돌출되어 그 자리에 정지한 상태가 되며, 이때 취출분류다이에 있는 캡조립체와 정렬바에 걸려 있는 캡조리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이후 후공정다이에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톱바밸브(9810)와 정렬바밸브(9820)은 컨베이어밸트의 측부에 대향되게 배치하여 스톱바, 정렬바를 진토시키며 캡조립체의 이격거리를 제어할 수 있음음 물론이다.
이러한 취출분류모듈은 캡조립체의 품종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바에서 멈춤다이에 적재된 캡조립체의 이격거리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즉, A,B 두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이들에 정렬되는 캡플레이트를 4개로 하면, 순서대로 1, 3번째가, A, B, C 세 모델을 생산하는 경우에는 캡플레이트를 6개로 하면, 순서대로 1, 4번째가 동일 모델이 될 것이므로,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를 이루는 모델의 수에 따라 한칸(D), 두칸(2D) 등의 이격거리를 가진 채 적재될 수 있다.
또한, 2차밀폐검사후에 출하검사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렬바에서 멈춤다이에 적재된 캡조립체는 취출분류모듈의 이송흡입판(9840)에 흡착되어 전기특성검사를 위한 출하검사를 위한 후공정다이(10100)로 적재되고, 이송흡입판은 흡입을 해제하고 복귀할 수 있으며, 이의 갯수는 적재된 캡조립체의 갯수에 대응된다.
한편, 상기 후공정다이(10100)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조립체는 후공정셔틀모듈(10200)을 타고 면저항검사모듈(10300), 접촉저항검사모듈(10400) 또는 절연검사모듈(10500)에 거치며 해당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후공정셔틀모듈(10200)은 후공정다이(10100)의 대향된 2개의 전기검사블럭(10101, 10102)들 사이에 배치되는 왕복운동과 상하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하검사는 전기검사를 마친 양품 캡플레이트조립체를 모델별로 포장하고 출하하여야 하므로, 출하분류모듈(10600)의 출하흡입판(10610)의 흡입구(미도시)는 캡조립체를 흡착하여 이송한 후 흡착을 해제하고 복귀하는 것으로, 흡입구는 캡조립체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그 흡입구들의 간격은 동일한 모델의 캡조립체의 간격은 앞서 본 바와 같이, nD이므로 2모델의 경우에는 2D만큼 이격시켜 구비할 수 있다.
즉, 2D만큼 이격된 흡입구들을 구비한 출하흡입판이 캡조립체들을 흡착하여 출하컨베이어모듈(10700)의 출하컨베이어벨트(10710)로 적재하고 흡입을 해제하게 되며, 출하컨베이벨트를 타고 흘러가는 동일모델의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포장하여 출하할 수 있다.
이러한 출하검사도 앞서 본 캡플레이트 공급부, 1, 2차밀폐검사부와 마찬가지로 단일 품종의 생산은 물론 다른 종류의 캡플레이트 부품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캡조립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것이므로, 품종의 종류에 상응되도록 구비할 수 있는데, 예컨대, 1개 품종 모델은 하나의 하나가, 2개의 다른 품종 모델들에 대해서는 두개가가, 3개의 다른 품종 모델에 대해서는 세개가 구비되고, 더 많은 2차밀폐검사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캡플레이트공급부 1000, 캡플레이트피더 1100,
캡플레이트트레이 1110, 캡플레이트 1120,
안전밴트홀 1122, 멤브레인홀 1124,
캡플레이트다이 1130, 안전밴트피더 1200,
안전벤트트레이 1210, 안전밴트 1220,
멤브레인피더 1300, 멤브레인트레이 1310,
멤브레인 1320, 캡플레이트셔틀모듈 1400,
캡플레이트보조다이 1430, 캡플레이트반전부 1500,
바코드표시부 1600, 바코드다이 1630,
바코드인쇄모듈 1640, 1차밀폐검사부 2000,
1차검사다이 2100, 승강다이 2460,
이송컨베이어부 3000, 컨베이어모듈 3100,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 3200, 정렬이송부 4000,
리벳피더 4100, 리벳 4110, 4110',
절연체 4120, 4120', 리벳조립체다이 4140,
컨베이어어셔틀모듈 4200, 절연체피더 4300,
절연체흡입판 4340, 정렬이송모듈 4350,
리벳조립체셔틀모듈 4400, 정렬이송다이 4460,
탑플레이트공급부 5000, OSD 5120,
탑플레이트트레이 5310, 탑플레이트 5320,
탑플레이트집게팔 5351, 5352, 탑플레이트정렬집게 5361, 5362,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 6000, 터미날플레이트 6120, 6120',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 6200,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6251, 6252,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 6261, 6262, 코킹부 7000,
측고정모듈 7200, 측이동블럭들 7210, 7220,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 8000, 캡조립체 8020,
이동블럭 8400, 사이징부 8500,
가압롤러 8510, 2차밀폐검사부 9000,
분류전송모듈 9100, 대기다이 9200,
밀폐이동셔틀모듈 9300, 투입모듈 9400,
2차검사다이 9500, 취출모듈 9600,
2차컨베이어모듈 9700, 취출분류모듈 9800,
스톱바밸브 9810, 스톱바 9811,
정렬바밸브 9820, 정렬바 9821,
멈춤다이 9830, 출하검사부 10000,
후공정다이 10100, 면저항검사모듈 10300,
접촉저항검사모듈 10400, 절연검사모듈 10500,
출하분류모듈 10600, 출하컨베이어모듈 10700,
캡조립체 제조장치 20000, 이격거리 D,
레이저광원 L, 왕복운동방향 P,
상하방향 UD, 수축팽창방향 S

Claims (72)

  1.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는 캡플레이트피더와, 안전벤트 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이동시키는 안전밴트피더와, 멤브레인 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키는 멤브레인피더의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플레이트 공급부;
    상기 캡플레이트공급부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1차밀폐검사부;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는 정렬이송부;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탑플레이트공급부;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
    상기 터미날플레이트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코킹부;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 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터미날플레이트용접부; 및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밀폐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에 의하여 이송되고,
    상기 정렬이송부는 리벳피더와 절연체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피더는 집게이송모듈과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집게이송모듈이 대향된 집게팔이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고, 상기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은 대향된 회전체가 상호 밀착하여 상기 캡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집게팔이 벌어지며 회전체가 회전하고 캡플레이트보조다이가 상승하여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대향된 회전체가 벌어지며, 캡플레이트보조다이가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다이의 2개 블럭이 대향되어 이격고정되어 있고, 블럭 외측으로 이동블럭이 상승하여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진행하여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에 이르러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를 안착시키고, 하강된 상태에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리벳홀에 대면하는 부분에 에어핀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핀모듈은 내부에 압축공기유로가 형성된 에어핀을 캡플레이트다이의 리벳홀에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된 에어핀삽입홈에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같은 품종의 캡플레이트들인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품종의 캡플레이트들인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에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피더는 안전밴트흡입모듈, 안전밴트정렬모듈 또는 안전밴트용접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의 절편으로 안전밴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되어 하부가이드로부터 캡플레이트로 이송되어 안전밴트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안전밴트 테두리의 일부에만 용접하는 가용접과 안전밴트 테두리 전부에 걸쳐 용접하는 본용접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멤브레인흡입모듈, 멤브레인정렬모듈 또는 멤브레인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 절편에 의하여 멤브레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된 채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에 정렬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캡플레이트회전모듈과 캡플레이트보조다이를 포함하는 캡플레이트반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밀폐검사부는 1차검사다이, 흡착이송모듈, 흡착전달모듈 또는 승강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검사다이는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를 포함하고,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나 멤브레인에 대향되는 위치에 밀폐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다이는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나 멤브레인다이보다 아래로 하강할 수 있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부는 컨베이어모듈,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의 제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식별인식자를 캡플레이트상에 표시하는 바코드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표시부는 승강다이와 컨베이어벨트와의 사이에 바코드다이를 구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이송부는 정렬이송다이, 정렬이송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이송모듈이 정렬이송다이에 캡플레이트간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이격 거리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식 1>
    n×D
    (캡플레이트 종류의 수 : n, 캡플레이트들 간 이격간격거리 : D)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피더는 리벳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리벳집게이송모듈은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로 리벳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은 상호 직교되어 집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피더는 중앙에 핀홀이 관통된 절연체흡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핀홀에는 얼라인핀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공급부는 OSD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여 OSD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플레이트공급부는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은 탑플레이트집게팔와 탑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탑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날플레이트공급부는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은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과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터미날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프레스헤드, 측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측고정모듈의 측이동블럭들에 의해 캡플레이트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밀폐검사부는 분류전송모듈, 밀폐이동셔틀모듈, 대기다이, 투입모듈, 취출모듈, 취출분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이동셔틀모듈은 대기다이의 안착홈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인접안착홈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를 2차검사다이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검사다이는 밀폐상부다이, 밀폐하부다이를 포함하고, 밀폐상부다이또는 밀폐하부다이에는 밀폐룸 또는 밀폐돌기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모듈은 분류셔틀을 포함하고, 상기 분류셔틀은 캡플레이트를 취출분류다이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분류모듈은 후공정다이로 캡플레이트조립체를 전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는 출하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하검사부는 출하분류모듈, 출하컨베이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37. 캡플레이트피더를 통해 캡플레이트트레이로부터 캡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다이에 적재하고, 안전밴트피더의 안전벤트트레이로부터 안전밴트를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홀로 정렬하여 용접하거나 멤브레인피더의 멤브레인트레이로부터 멤브레인을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로 이동시켜 용접하여 캡플레이트를 공급하는 S1단계;
    상기 캡플레이트를 이송하여 1차검사다이로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여 1차밀폐검사를 수행하는 S2단계;
    상기 1차검사다이로부터 양품판정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이송컨베이어부로 이송하는 S3단계;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에서 리벳과 절연체가 결합된 리벳조립체에 캡플레이트의 리벳홀에 삽입시키기 위해 리벳조립체를 정렬하는 S4단계;
    상기 캡플레이트에 탑플레이트 또는 OSD를 안착시키는 S5단계;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로 터미날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S6단계;
    상기 터미날플레이트로 돌출된 리벳을 압착하여 코킹하는 S7단계;
    상기 코킹된 리벳과 터미날플레이트홀을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S8단계;
    상기 용접부, 절연체와 캡플레이트와의 계면의 밀폐성을 검사하는 2차검사다이로 캡플레이트를 적재하여 양압이나 차압을 인가하는 S9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플레이트는 캡플레이트다이에서 인접캡플레이트다이로 왕복운동을 하는 캡플레이트셔틀모듈에 의하여 이송되며,
    상기 캡플레이트피더는 집게이송모듈과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집게이송모듈이 대향된 집게팔이 밀착되며 캡플레이트를 집고, 상기 캡플레이트회전모듈은 대향된 회전체가 상호 밀착하여 상기 캡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집게팔이 벌어지며 회전체가 회전하고 캡플레이트보조다이가 상승하여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대향된 회전체가 벌어지며, 캡플레이트보조다이가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상기 캡플레이트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다이의 2개 블럭이 대향되어 이격고정되어 있고, 블럭 외측으로 이동블럭이 상승하여 캡플레이트를 적재하고 진행하여 인접한 인접캡플레이트다이에 이르러 하강하여 캡플레이트를 안착시키고, 하강된 상태에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먼저 멤브레인을 용접하고, 나중에 안전밴트를 용접하는 것을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에서 안전밴트와 멤브레인이 용접된 캡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품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0. 삭제
  41. 삭제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다이에는 같은 품종의 캡플레이트들인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품종의 캡플레이트들인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가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캡플레이트운송체 또는 혼합캡플레이트운송체에는 복수개의 캡플레이트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4. 삭제
  4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피더는 안전밴트흡입모듈, 안전밴트정렬모듈 또는 안전밴트용접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의 절편으로 안전밴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되어 하부가이드로부터 캡플레이트로 이송되어 안전밴트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안전밴트 테두리의 일부에만 용접하는 가용접과 안전밴트 테두리 전부에 걸쳐 용접하는 본용접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4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멤브레인흡입모듈, 멤브레인정렬모듈 또는 멤브레인용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정렬모듈은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부가이드 절편에 의하여 멤브레인 측부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용접기의 흡착헤드에 흡착된 채로 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의 멤브레인홀에 정렬되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피더는 캡플레이트회전모듈과 캡플레이트보조다이를 포함하는 캡플레이트반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의 1차밀폐검사에는 흡착이송모듈에 의하여 1차검사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이송하고, 1차검사를 마치고 흡착전달모듈에 의하여 승강다이에 캡플레이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검사다이는 상부다이와 하부다이를 포함하고, 상부다이 또는 하부다이에는 캡플레이트의 안전밴트나 멤브레인에 대향되는 위치에 밀폐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다이는 캡플레이트를 1차검사다이나 멤브레인다이보다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6.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부는 컨베이어모듈,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컨베이어셔틀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의 제조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식별인식자를 캡플레이트상에 표시하는 바코드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표시부는 승강다이와 컨베이어벨트와의 사이에 바코드다이를 구비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5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의 정렬은 정렬이송모듈로 캡플레이트를 정렬이송다이로 이송하고, 정렬이송다이에 캡플레이트들간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이격 거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식 1>
    n×D
    (캡플레이트 종류의 수 : n, 캡플레이트들 간 이격간격거리 : D)
  6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의 리벳은 리벳집게이송모듈의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집게팔과 리벳정렬집게은 상호 직교되어 집거나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의 절연체는 중앙에 핀홀이 관통된 절연체흡입판에 의하여 흡착되고, 상기 핀홀에는 얼라인핀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5단계의 OSD 안착은 OSD집게이송모듈로 OSD를 정렬하거나 탑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은 탑플레이트집게팔와 탑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탑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6단계의 터미날플레이트 안착은 터미날플레이트집게이송모듈의 터미날플레이트집게팔과 터미날플레이트정렬집게를 직교되게 배치하여 터미날플레이트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7의 코킹은 캡플레이트를 측고정모듈로 정렬하여 프레스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6.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S9단계의 캡플레이트는 분류전송모듈에 의하여 대기다이의 안착홈에 적재되고, 밀폐이동셔틀모듈이 대기다이에 적재된 캡플레이트를 인접안착홈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다이에 안착된 캡플레이트를 투입모듈에 의해 2차검사다이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검사다이는 밀폐상부다이, 밀폐하부다이를 포함하고, 밀폐상부다이또는 밀폐하부다이에는 밀폐룸 또는 밀폐돌기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69.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검사다이로부터 2차밀폐검사를 마치고, 취출모듈은 캡플레이트조립체를 흡착하여 2차컨베이어모듈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컨베이어모듈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캡플레이트조립체는 취출분류모듈에 의하여 최출분류다이로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7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에는 캡조립체의 전기적 특성검사후 출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는 출하분류모듈에 의하여 출하컨베이어모듈로 동일한 캡플레이트조립체가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160144814A 2016-11-01 2016-11-01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89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14A KR101891891B1 (ko) 2016-11-01 2016-11-01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01780068045.4A CN109937492B (zh) 2016-11-01 2017-10-16 多品种盖组装体的制造装置及其方法
HUP1900200A HU231404B1 (hu) 2016-11-01 2017-10-16 Berendezés és eljárás kupak elrendezések több típusának gyártására másodlagos elemekhez
PCT/KR2017/011388 WO2018084450A1 (ko) 2016-11-01 2017-10-16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14A KR101891891B1 (ko) 2016-11-01 2016-11-01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448A KR20180049448A (ko) 2018-05-11
KR101891891B1 true KR101891891B1 (ko) 2018-08-27

Family

ID=6207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814A KR101891891B1 (ko) 2016-11-01 2016-11-01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91891B1 (ko)
CN (1) CN109937492B (ko)
HU (1) HU231404B1 (ko)
WO (1) WO2018084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8493A (zh) * 2018-10-29 2019-02-22 江苏逸飞激光设备有限公司 电芯配组输送装置及其输送方法
KR102184702B1 (ko) * 2020-10-06 2020-11-30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Ford TVM 차종 에어컨 클러치용 고정밀 플레이트 제조시스템
KR102503587B1 (ko) * 2020-11-10 2023-02-24 주식회사 디즈메카 디스플레이 반도체 제조용 화학물질 드럼의 인식수단 결합장치
CN112985998B (zh) * 2021-02-05 2024-02-27 浙江锦泰电子有限公司 一种分体式推力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03B1 (ko) * 2011-05-18 2012-08-31 주식회사 미르기술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JP5213030B2 (ja) 2008-04-17 2013-06-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密閉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965A (ko) * 1995-10-14 1997-05-30 김광호 모듈(module) 이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이송 방법
KR970023965U (ko) * 1995-11-10 1997-06-20 국 정 스프링 샷다 신형 링구
JP2002343315A (ja) * 2001-05-10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電池蓋ユニット
CN102376904A (zh) * 2010-08-12 2012-03-14 中山天贸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盖的自动组装机及组装方法
JP2012150985A (ja) * 2011-01-19 2012-08-09 Toyoda Gosei Co Ltd 電池蓋部材
JP5276685B2 (ja) * 2011-03-31 2013-08-28 日新製鋼株式会社 電池ケースの蓋体製造方法
KR101240459B1 (ko) * 2012-01-31 2013-03-11 김용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347975B1 (ko) * 2012-12-21 2014-01-08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자동화 제조라인
KR101711984B1 (ko) * 2013-07-16 2017-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50066415A (ko) * 2013-12-06 2015-06-16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고용량, 고출력 리튬이온전지 캡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캡조립체
KR20150066159A (ko) * 2013-12-06 2015-06-16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고용량, 고출력 리튬이온전지 캡 조립체
KR101631537B1 (ko) * 2014-09-05 2016-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결함 검출 능력을 향상시킨 인라인 스테이지
KR102284233B1 (ko) * 2015-02-25 2021-08-03 (주)테크윙 전자부품 처리 시스템
CN105895834B (zh) * 2016-05-03 2018-08-07 深圳市联赢激光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盖板的自动化加工设备
CN106058084B (zh) * 2016-06-16 2018-06-15 思柏精密模具注塑(无锡)有限公司 用于生产汽车动力电池端盖的生产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3030B2 (ja) 2008-04-17 2013-06-1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密閉型電池
KR101178403B1 (ko) * 2011-05-18 2012-08-31 주식회사 미르기술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31404B1 (hu) 2023-07-28
HUP1900200A2 (en) 2019-11-28
CN109937492A (zh) 2019-06-25
KR20180049448A (ko) 2018-05-11
WO2018084450A1 (ko) 2018-05-11
CN109937492B (zh)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891B1 (ko)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US9912004B2 (en) System for assembling a battery module
KR101734271B1 (ko)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JP5746899B2 (ja) 電池の組立システム、電池素子本体の位置決め搬送装置
CN106252698A (zh) 用于快速堆叠燃料电池堆的设备
KR102649307B1 (ko) 이차전지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180109576A (ko) 전극적층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극적층장치
KR20200118991A (ko)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시스템
KR102602205B1 (ko) 이차전지셀 디가스시스템
KR20200118992A (ko) 이차전지셀의 디가스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가스시스템
KR102602209B1 (ko) 이차전지셀 파우치성형모듈
KR101891893B1 (ko) 다품종 캡조립체의 제조장치
CN116780058B (zh) 一种电池盖板自动组装检测一体机
KR20200059614A (ko) 전극/분리막조립체 로딩장치 및 로딩방법
KR20200059616A (ko) 전극탭 재단장치
KR20200059617A (ko) 이차전지셀의 절연저항측정장치
KR101891892B1 (ko) 캡플레이트 반제품의 제조장치
WO2023207239A1 (zh) 一种焊接设备
CN217412750U (zh) 一种极耳翻折装置及焊接设备
CN114918601A (zh) 一种焊接设备
CN115683236B (zh) 一种双极板自动检测系统及其气密性检测机构
CN218890860U (zh) 一种电芯分选配对设备
CN219978419U (zh) 多功能检测一体化设备
CN214477578U (zh) 用于固态电池的堆叠设备及制备系统
US202103363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metal composite foils for battery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