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139B1 -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139B1
KR102575139B1 KR1020230007407A KR20230007407A KR102575139B1 KR 102575139 B1 KR102575139 B1 KR 102575139B1 KR 1020230007407 A KR1020230007407 A KR 1020230007407A KR 20230007407 A KR20230007407 A KR 20230007407A KR 102575139 B1 KR102575139 B1 KR 10257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ad tab
inspection
lead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심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심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심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0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65G57/04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 G01N2201/1042X, Y scan, i.e. object moving in X, beam in 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검사테이블과, 상기 검사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전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통로에 중심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검사테이블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되어, 안착된 리드탭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전공정에서 상기 검사유닛으로 리드탭을 이송하거나, 상기 검사유닛에서 후공정으로 리드탭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통로를 통해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과 접촉될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리드탭을 흡착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FOR LEAD TAB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 리드탭의 메탈에 필름 부착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드탭은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외부회로의 접속단자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리드탭은 이차전지의 전극에 연결되며, 이차전지의 케이스 외부의 밀봉과 절연을 위해 전도성 부재인 메탈 양면에 수지로 구성된 필름이 열융착된다.
리드탭이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구조는, 외부로 돌출되는 리드(Lead)가 부착된 전지판이 전해액이 충진된 전해액튜브 속에 밀봉되는 구조이다. 통상적으로 리드는 전기 양도체인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메탈 소재의 판)으로 제작되고, 전해액튜브는 합성수지계통의 튜브로 제작되는데, 금속판과 합성수지재료 사이에 접합이 용이하지 않아 전해튜브에서 리드가 위치한 부위에서 전해액이 누설될 염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드에 금속재료와 합성수지재료에 모두 잘 부착되는 성질을 가진 리드 필름(Lead Film)을 먼저 융착한 후, 리드 필름이 부착된 리드를 전해액튜브의 입구에 두고 입구를 열 등으로 융착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메탈로 이루어진 리드에는 리드 필름이 아주 일정한 간격으로 접착되어 있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리드필름의 간격 오차가 0.1mm이내일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제조 과정에서, 리드 필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리드와 리드필름의 융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또는 리드필름의 절단부위가 고르지 못한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즉, 융착불 량, 리드필름의 접합간격 오차, 리드필름의 절단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리드에 리드필름이 융착되어 완성된 리드탭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수단이 필요하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리드탭 불량 검사 장치에서, 리드탭을 비전 카메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리드탭의 상측에서 실린더바가 하강하여 흡착패드와 리드탭이 인접해지도록 하고, 그 후에 흡착패드가 리드탭을 흡착하고, 흡착패드가 리드탭을 흡착한 상태에서 실린더바가 상승하여 리드탭을 들어올려서 비전 카메라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 이후 다시 실린더바가 하강하고, 흡착패드가 리드탭의 흡착을 중단하여 리드탭을 비전 카메라에 안착시켜 검사를 진행한다.
이처럼 종래의 검사 장치는 리드탭의 이동하는데 많은 단계가 필요하여, 공정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6492호(2018.07.03)
본 발명은, 종래의 상측에서 리드탭을 들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여 내려놓는 방식을, 리드탭 하측에서 리드탭을 들어올려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방식으로 대체하여, 리드탭 이송과정에서 택 타임(takt time)을 0.5 줄여주는 효과로, 전체 공정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검사테이블과, 상기 검사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전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통로에 중심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검사테이블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되어, 안착된 리드탭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전공정에서 상기 검사유닛으로 리드탭을 이송하거나, 상기 검사유닛에서 후공정으로 리드탭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통로를 통해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과 접촉될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리드탭을 흡착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을 상기 진공패드가 흡착 고정하면, 상기 받침부가 상승하여, 리드탭과 상기 검사테이블을 이격 시킨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가 후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리드탭의 일 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유닛; 및 리드탭의 타 면을 검사하는 제2 검사유닛;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검사유닛에서 상기 제2 검사유닛으로 리드탭이 이동될 때,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유닛과 상기 제2 검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검사유닛에서 검사 완료된 리드탭이 상기 제2 검사유닛으로 이송되기 전, 리드탭의 상하면을 뒤집는 반전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에 리드탭의 일 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안착되어, 리드탭 일 면의 불량 검사가 진행된 후, 상기 반전부로 상기 제1 검사유닛에서 양품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이송되면, 상기 반전부는 리드탭의 상하면을 뒤집어서, 상기 제2 검사유닛으로 이송되는 리드탭이 상기 제2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에 안착될 때, 리드탭의 타 면이 상측을 바라보며 안착되도록 하여, 리드탭 타 면의 불량 검사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전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제1 안착테이블과 제2 안착테이블; 및 상기 제1 안착테이블과 상기 제2 안착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을 그립한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이 불량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불량품을 회수하는 불량회부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회수부는, 치수가 불량인 리드탭을 수거하는 제1 수거함; 형상이 불량인 리드탭을 수거하는 제2 수거함; 및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불량품을 상기 제1 수거함 또는 상기 제2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 상기 제2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 및 상기 제1 안착테이블과 제2 안착테이블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는 동일 높이 상에서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유닛 및 상기 제2 검사유닛에서 양품인 것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적재되는 양품적재부; 및 상기 양품적재부에 적재된 양품이 이송되어, 양품의 리드탭이 트레이에 적재되기 전에 정렬되도록 하는 얼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검사유닛 및 상기 제2 검사유닛을 통과한 리드탭을 상기 양품적재부에 적재하는 운반부; 및 상기 양품적재부에 적재된 복수의 양품 리드탭을 상기 얼라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얼라인부에 적재된 복수의 양품 리드탭을 트레이에 적재되도록 이동시키는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품적재부는, 리드탭이 안착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단에 배치되며 리드탭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한 쌍이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이 서로 이격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인접해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안착된 리드탭의 양측부를 정렬하는 측부정렬부;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안착된 리드탭의 전방부를 정렬하는 전방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라인부는, 리드탭이 안착되는 지그; 상기 지그의 후단에 배치되며 리드탭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하는 후판; 상기 지그의 일 측에 설치되어, 리드탭의 일 측부를 지지하는 고정측벽; 상기 지그의 타 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측벽과 이격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인접해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그에 안착된 리드탭의 측부를 정렬하는 이동측벽; 상기 지그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에 안착된 리드탭의 전방부를 정렬하는 정렬가압부; 및 복수의 리드탭이 상기 지그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적층된 리드탭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지그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리드탭의 외측이 위치되는 홀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탭 하측에서 리드탭을 들어올려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방식으로 이송하여, 리드탭 이송과정에서 택 타임(takt time)을 0.5 줄여주는 효과로, 전체 공정 시간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설계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의 진입부 및 제1 검사유닛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의 진입부, 제1 검사유닛 및 반전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부의 그립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부 및 제2 검사유닛을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검사유닛, 로딩부, 양품적재부 및 얼라인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 및 얼라인부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를 나타낸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 및 얼라인부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가 작동되는 것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에 리드탭이 적재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부를 나타낸 사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부가 작동되는 것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를 측면에서 바라본 설계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는 진입부(10), 운반부(20), 이송부(30), 검사유닛(40), 반전부(50), 로딩부(60), 양품적재부(70), 얼라인부(80) 및 그리퍼(90)를 포함한다.
진입부(10)로 전공정에서 완성품 상태의 리드탭이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 커팅 장치에서 메탈에 부착된 필름의 트리밍 작업이 완료되어 완성품 상태의 리드탭이 진입부(1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필름 트리밍 공정까지 완료된 완성된 상태의 리드탭이 진입부(10)로 공급될 수 있다. 진입부(10)로 공급된 리드탭은 검사유닛(40)으로 이송되기 전 대기될 수 있다.
운반부(20)는 진입부(10)의 상측 및 로딩부(60)의 상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반부(20)는 제1 운반부(20a) 및 제2 운반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운반부(20a)는 진입부(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 운반부(20b)는 로딩부(6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진입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운반부(20a)는 전공정(예를 들어, 필름 트리밍 장치)에서 진입부(10)로 리드탭을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반부(20)는 리드탭을 진입부(10)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운반부(20)는 진입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로딩부(6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운반부(20b)는 로딩부(60)에 안착된 리드탭을 양품적재부(70)에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운반부(20)는 로딩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송부(30)는 전공정에서 검사유닛(40)으로 리드탭을 이송하거나, 상기 검사유닛(40)에서 후공정으로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30)의 전공정은 진입부(10)일 수 있고, 이송부(30)의 후공정은 반전부(50)나 로딩부(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30)는 진입부(10)에서 제1 검사유닛(40a)으로, 제1 검사유닛(40a)에서 반전부(50)로, 반전부(50)에서 제2 검사유닛(40b)으로, 제2 검사유닛(40b)에서 로딩부(60)로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30)는 진입부(10), 검사유닛(40), 반전부(50) 및 로딩부(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통로(L)를 따라 이동하며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검사유닛(40)은 리드탭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유닛(40)은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은 각각 마련되며,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 각각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은 리드탭의 일 면을 검사하고, 제2 검사유닛(40b)은 리드탭의 타 면을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유닛(40a)은 리드탭의 상면을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리드탭 상면에서, 리드탭의 커팅 라인의 커팅 상태나, 리드탭 전체 치수(사이즈), 필름 치수, 필름이 융착된 지점, 상면의 형상이나 형태 등 리드탭 상면의 전반적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즉, 리드탭 상면을 촬영하여 상기의 리드탭 불량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은 리드탭의 하면을 검사할 수 있다. 리드탭 하면에서 리드탭의 커팅 라인의 커팅 상태나, 리드탭 전체 치수(사이즈), 필름 치수, 필름이 융착된 지점, 상면의 형상이나 형태 등 리드탭 상면의 전반적인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즉, 리드탭 하면을 촬영하여 상기의 리드탭 불량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반전부(50)는 리드탭을 180도 회전시켜, 상면과 하면을 뒤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전부(50)는 제1 검사유닛(40a)과 제2 검사유닛(40b)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검사유닛(40a)에서 검사가 완료된 리드탭을 180도 회전시켜, 상하면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반전부(50)는, 제1 검사유닛(40a)에서 리드탭의 상면 검사가 완료되어, 리드탭의 상면이 양품인 것으로 판정된 리드탭을 18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검사유닛(40a)에서는 리드탭의 상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를 받고, 반전부(50)에서 리드탭이 180도 회전되어 제2 검사유닛(40b)으로 이송되면, 제2 검사유닛(40b)에서는 리드탭의 하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로딩부(60)는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에서 검사가 완료된 양품의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로딩부(60)에 안착된 리드탭은 운반부(20)에 의해 양품적재부(70)로 이송될 수 있다. 즉, 로딩부(60)는 검사가 완료된 양품 리드탭이 안착되어, 양품적재부(70)로 이송되기 위해 대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양품적재부(70)는 양품의 리드탭이 적재될 수 있다.
얼라인부(80)는 양품적재부(70)에 적재된 리드탭이 안착되어, 트레이(T)로 공급되기 전 최종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얼라인부(80)에서 정렬된 복수의 리드탭은 트레이(T)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퍼(90)는 양품적재부(70)의 리드탭을 얼라인부(80)로 이송하고, 얼라인부(80)에서 정렬된 리드탭을 트레이(T)에 적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를 통해 불량이 검사되는 리드탭은, 진입부(10), 제1 검사유닛(40a), 반전부(50), 제2 검사유닛(40b), 로딩부(60), 양품적재부(70) 및 얼라인부(80)로 차례대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의 각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의 진입부(10) 및 제1 검사유닛(40a)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의 이송부(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0)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3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부(10), 검사유닛(40), 반전부(50) 및 로딩부(60) 각각에는 이송통로(L)가 형성될 수 있다. 이송통로(L)를 통해 이송부(30)가 리드탭을 진입부(10), 검사유닛(40), 반전부(50) 및 로딩부(60)로 이송할 수 있다. 진입부(10), 검사유닛(40), 반전부(50) 및 로딩부(60) 각각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는 동일 높이 상에서 일직전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진입부(10)는 진입테이블(11)을 포함할 수 있다.
진입테이블(11)은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L)가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의 상면에는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입테이블(1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은 동일한 높이 상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진입테이블(11)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진입테이블(11)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이 이격된 사이 공간이 이송통로(L)일 수 있다.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될 때, 이송통로(L)에 리드탭의 중심부가 위치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가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진입테이블(11)과 그 사이에 형성된 이송통로(L)에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고, 이송통로(L)를 통해 이송부(30)의 받침부(31)가 이동되며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진입테이블(11) 상면에는 리드탭 두개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후방향이란, 리드탭이 진입부(10)에서 양품적재부(70)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공정의 진행방향을 따른다. 리드탭이 이동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한다. 즉, 진입부(10)가 설치된 방향이 후방이고, 양품적재부(70)가 설치된 방향이 전방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운반부(20)는 실린더부(21) 및 흡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21)는 흡착부(22)를 승하강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21)는 진입테이블(11)에 안착된 리드탭과 흡착부(22)가 인접해지도록 흡착부(22)를 하강시키거나, 진입테이블(11)에 안착된 리드탭과 흡착부(22)가 이격되도록 흡착부(22)를 상승시킬 수 있다.
흡착부(22)는 리드탭과 인접 또는 접촉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리드탭을 흡착할 수 있다.
제1 운반부(20a)는 진입부(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운반부(20a)는 전공정(일 예로, 필름 커팅 장치 또는 필름 트리밍 장치)에서 진입부(10)로 리드탭을 운반할 수 있다. 제1 운반부(20a)는 진입부(10)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진입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운반부(20a)는 흡착부(22)가 2개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흡착부(2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입테이블(11)에 안착되는 2개의 리드탭이 이격되는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2개의 흡착부(2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흡착부(22) 각각은 2개의 리드탭 각각의 중심부를 흡착할 수 있다.
제2 운반부(20b)는 로딩부(6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운반부(20b)는 로딩부(60)에서 양품적재부(70)로 리드탭을 운반할 수 있다. 제2 운반부(20b)는 로딩부(60)와 양품적재부(70)의 상측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로딩부(6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운반부(20b)는 흡착부(22)가 1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운반부(20b)의 흡착부(22)는 로딩부(60)의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되는 1개의 리드탭의 중심부를 흡착하여 운반할 수 있다.
운반부(20)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리드탭의 상측에서 실린더부(21)에 의해 흡착부(22)가 하강하여, 흡착부(22)와 리드탭이 인접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착부(22)가 공기를 흡입하며 리드탭이 흡착부(22)에 흡착될 수 있다.
이 후, 실린더부(21)가 다시 상승한다. 흡착부(22)가 리드탭을 흡착한 상태에서 실린더부(21)에 의해 흡착부(22)가 상승된 상태가 되면, 운반부(2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 운반부(20a)의 경우, 진입테이블(11)에서 검사테이블(41)의 상측으로 이동되고, 제2 운반부(20b)의 경우, 로딩부(60)에서 양품적재부(7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후, 실린더부(21)에 의해 흡착부(22)가 하강한다.
흡착부(22)가 하강하여 리드탭이 검사테이블(41) 또는 양품적재부(70)와 인접해지면, 흡착부(22)는 흡착을 중단하여 리드탭을 검사테이블(41) 또는 양품적재부(70)에 안착시킨다.
이 후, 실린더부(21)에 의해 흡착부(22)가 다시 상승한 후,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1 운반부(20a)의 경우 다시 진입부(10)로 이동되고, 제2 운반부(20b)의 경우 다시 로딩부(6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송부(30)는 진입부(10), 검사유닛(40), 반전부(50) 및 로딩부(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통로(L)를 따라 이동하며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30)는 진입부(10)에서 제1 검사유닛(40a)으로 리드탭을 이송하고, 제1 검사유닛(40a)에서 반전부(50)로 리드탭을 이송하고, 반전부(50)에서 제2 검사유닛(40b)으로 리드탭을 이송하고, 제2 검사유닛(40b)에서 로딩부(60)로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30)는 받침부(31), 진공패드(32), 바디(33) 및 가이드레일(34)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31)는 이송통로(L)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통로(L)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부(31)는 한 쌍의 진입 테이블이 이격된 거리 사이의 이송통로(L)에 위치되어, 이송통로(L)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진입테이블(1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31)는 이송통로(L)를 통해 리드탭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송통로(L)를 통해 진입테이블(11)에 안착된 리드탭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받침부(31)의 상면에 리드탭의 하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받침부(31)가 상승됨에 따라 리드탭이 진입테이블(11)에서 이격될 수 있다.
진공패드(32)는 받침부(31)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리드탭을 흡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패드(32)는 받침부(31)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진공패드(32)는 리드탭의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패드(32)의 상면에 리드탭에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바디(33)의 상부에는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33)의 내부에는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 각각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 구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바디(33)의 하부는 가이드레일(34)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4)을 통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34)은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가 설치된 바디(33)가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바디(33)는 가이드레일(3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4)은 진입테이블(11), 검사테이블(41), 안착테이블, 로딩테이블(61) 각각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디(33)가 가이드레일(34)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가 이송통로(L)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입테이블(11)에 안착된 리드탭을 검사테이블(41)로 이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이송부(3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될 때, 이송통로(L)에 리드탭의 중심부가 위치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가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진입테이블(1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가 이송통로(L)에서 리드탭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진공패드(32)가 상승될 수 있다. 진공패드(32)가 받침부(31)보다 상승하여 리드탭의 하면과 접촉되며 리드탭을 흡착 고정할 수 있다. 진공패드(32)에 리드탭이 흡착되어 고정되면, 받침부(31)가 상승하여 리드탭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받침부(31)의 상면이 접촉패드의 상면과 동일 높이 상에 위치되도록 받침부(31)가 상승하여, 진공패드(32)가 리드탭을 흡착한 상태에서 받침부(31)가 리드탭의 전방부와 후방부와 접촉되도록 상승하여 리드탭을 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바디(33)가 가이드레일(3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디(33)가 가이드레일(3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받침부(31)는 이송통로(L)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디(33)는 검사테이블(41)의 하측에 위치하며, 받침부(31)는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사이의 이송통로(L)에 위치될 수 있다. 이 후,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가 하강하고, 진공패드(32)에서 흡착을 중단할 수 있다. 받침부(31)와 진공패드(32)는 리드탭과 이격되도록 검사테이블(41)의 상면 높이보다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송부(30)는 진입테이블(11)에서 검사테이블(41)로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테이블(41)에서 안착테이블(51, 52)로, 안착테이블(51, 52)에서 로딩테이블(61)로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의 진입부(10), 제1 검사유닛(40a) 및 반전부(5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부(50)의 그립부(53)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부(50) 및 제2 검사유닛(40b)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검사유닛(40)은 리드탭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유닛(40)은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은 리드탭의 일 면을 검사하고, 제2 검사유닛(40b)은 리드탭의 타 면을 검사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은 진입부(10)와 반전부(50) 사이에 설치되고, 제2 검사유닛(40b)은 반전부(50)와 로딩부(6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은 상응하는 구성을 포함하나, 각 구성의 배치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 각각은 검사테이블(41), 비전검사부(42) 및 불량회수부(4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 각각의 검사테이블(41) 및 비전검사부(4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 각각의 불량회수부(43)는 포함하는 구성 및 배치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검사테이블(41)은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L)가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의 상면에는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은 진입테이블(11)과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는 한 쌍의 진입테이블(1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와 일직전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검사테이블(4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은 동일한 높이 상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검사테이블(41)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검사테이블(41)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이 이격된 사이 공간이 이송통로(L)일 수 있다.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될 때, 이송통로(L)에 리드탭의 중심부가 위치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가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검사테이블(41)과 그 사이에 형성된 이송통로(L)에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고, 이송통로(L)를 통해 이송부(30)의 받침부(31)가 이동되며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상면에는 한 개의 리드탭이 안착되어, 불량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비전검사부(42)는 검사테이블(41)의 상측에 설치되어, 리드탭을 검사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전검사부(42)는 제품 불량 검사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전 카메라 구성일 수 있다.
불량회수부(43)는 검사테이블(41)에 안착된 리드탭이 비전검사부(42)에 의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불량품인 리드탭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불량회수부(43)는 불량품으로 판단된 리드탭을 검사유닛(40)에서 회수하지 않고, 리드탭이 그 다음 단계로 이송된 후에 회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유닛(40a)에서 리드탭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리드탭이 이송부(30)에 의해 제1 검사유닛(40a)에서 반전부(50)로 이송된 후에 불량회수부(43)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에서 리드탭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리드탭이 이송부(30)에 의해 제2 검사유닛(40b)에서 로딩부(60)로 이송된 후에 불량회수부(43)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불량회수부(43)는 반출부(431), 제1 수거함(432), 제2 수거함(433) 및 레일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반출부(431)는 불량으로 판정된 리드탭을 회수하여 수거함(432, 43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검사유닛(40a)은 반출부(431)를 포함하나, 제2 검사유닛(40b)의 경우 반출부(43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은 제2 운반부(20b)가 반출부(43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검사유닛(40a)에서 불량품으로 판단된 리드탭은 반출부(431)에 의해 수거함(432, 433)으로 이동되고, 제2 검사유닛(40b)에서 불량품으로 판단된 리드탭은 제2 운반부(20b)에 의해 수거함(432, 433)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출부(431)는 반전부(50)의 안착테이블(51, 52)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출부(431)는 제2 안착테이블(52)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반출부(43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안착테이블(52)의 상측과 수거함(432, 433)의 상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반출부(431)는 액츄에이터(4311) 및 흡입부(431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311)는 흡입부(4312)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흡입부(4312)에는 리드탭이 흡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수거함(432) 및 제2 수거함(433) 각각은 불량인 리드탭이 적재될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은 외관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리드탭이 적재되는 공간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거함(432)에는 치수가 불량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적재될 수 있고, 제2 수거함(433)에는 형상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적재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불량으로 판단되는 리드탭이 적재되는 제1 수거함(432) 및 제2 수거함(433)은 제2 안착테이블(52)의 좌측에서 제2 안착테이블(52)과 동일 높이상에 설치되며, 반출부(431)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레일부(434)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에서 불량으로 판단되는 리드탭이 적재되는 제1 수거함(432) 및 제2 수거함(433)은 로딩부(60)의 전방에서 로딩부(60)의 로딩테이블(61)과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되거나 로딩테이블(61)보다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레일부(434)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일부(434)는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불량으로 판단되는 리드탭이 적재되는 제1 수거함(432) 및 제2 수거함(433)을 가이드하는 레일부(434)는 제2 안착테이블(52)의 좌측에서 제1 수거함(432) 및 제2 수거함(433)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이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에서 불량으로 판단되는 리드탭이 적재되는 제1 수거함(432) 및 제2 수거함(433)을 가이드하는 레일부(434)는 로딩부(60)의 로딩테이블(61)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이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불량회수부(43)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리드탭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검사가 완료된 불량품인 리드탭이 반전부(50)의 안착테이블(51, 52)로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다. 안착테이블(51, 52)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2 안착테이블(52)의 좌측에 설치된 반출부(431)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안착테이블(51, 52)에 안착된 리드탭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반출부(431)가 안착테이블(51, 52)의 상면에 안착된 리드탭을 흡입부(4312)를 통해 흡착시킬 수 있다.
흡입부(4312)가 불량품인 리드탭을 흡착한 상태에서 반출부(431)가 제2 안착테이블(52)의 좌측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반출부(431)의 하측에는 제1 수거함(432) 또는 제2 수거함(433)이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리드탭의 치수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 수거함(432)이 반출부(43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흡입부(4312)가 흡입을 중단하면 리드탭이 흡입부(4312)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며 제1 수거함(432)에 적재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리드탭의 형상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2 수거함(433)이 반출부(43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수거함(432, 433)이 레일부(43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수거함(433)이 반출부(43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부(4312)가 흡입을 중단하면 리드탭이 흡입부(4312)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며 제2 수거함(433)에 적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검사유닛(40b)에서 리드탭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 검사유닛(40b)에서 검사가 완료된 불량품인 리드탭이 로딩부(60)의 로딩테이블(61)로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에 리드탭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2 운반부(20b)가 로딩테이블(61) 상측으로 이동하여 로딩테이블(61)의 상면에 안착된 리드탭을 흡입부(4312)를 통해 흡착시킬 수 있다.
흡입부(4312)가 불량품인 리드탭을 흡착한 상태에서 제2 운반부(20b)는 로딩테이블(61)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로딩테이블(61)의 전방에 제1 수거함(432) 또는 제2 수거함(433)이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에서 리드탭의 치수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 수거함(432)이 제2 운반부(20b)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흡입부(4312)가 흡입을 중단하면 리드탭이 흡입부(4312)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며 제1 수거함(432)에 적재될 수 있다.
제2 검사유닛(40b)에서 리드탭의 형상이 불량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2 수거함(433)이 제2 운반부(20b)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레일부(43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 수거함(433)이 제2 운반부(20b)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부(4312)가 흡입을 중단하면 리드탭이 흡입부(4312)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며 제2 수거함(433)에 적재될 수 있다.
반전부(50)는 제1 검사유닛(40a)과 제2 검사유닛(40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검사유닛(40a)에서 검사 완료된 리드탭이 제2 검사유닛(40b)으로 이송되기 전, 리드탭의 상하면을 뒤집을 수 있다. 즉, 리드탭의 상하면을 반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유닛(40a)의 검사테이블(41)에 리드탭의 일 면(일 예로, 상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안착되어, 리드탭 일 면의 불량 검사가 진행된 후, 제1 검사유닛(40a)에서 양품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반전부(50)로 이송된다. 반전부(50)는 리드탭의 상하면을 뒤집어서, 제2 검사유닛(40b)으로 이송되는 리드탭이 제2 검사유닛(40b)의 검사테이블(41)에 안착될 때, 리드탭의 타 면(일 예로, 하면)이 상측을 바라보며 안착되도록 하여, 제2 검사유닛(40b)에서는 리드탭 타 면의 불량 검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반전부(50)는 제1 안착테이블(51), 제2 안착테이블(52) 및 그립부(53)를 포함한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되,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L)가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의 상면에는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검사테이블(41)이 이격된 사이 공간이 이송통로(L)일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은 진입테이블(11) 및 검사테이블(41)과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는 한 쌍의 진입테이블(1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와 일직전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될 때, 이송통로(L)에 리드탭의 중심부가 위치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가 좌우로 배치된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과 그 사이에 형성된 이송통로(L)에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고, 이송통로(L)를 통해 이송부(30)의 받침부(31)가 이동되며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 상면에는 한 개의 리드탭이 안착되며, 안착된 리드탭은 그립부(53)에 의해 상하면이 반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의 좌우 폭은 제2 안착테이블(52)의 좌우 폭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의 좌우 폭은, 제1 안착테이블(51)에 안착된 리드탭을 그립부(53)가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에는 그립부(53)의 그립바(532, 533)가 위치될 수 있는 홀 형태의 게이트(5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안착테이블(51)의 전후방향의 중심부에 홀 형태의 게이트(511)가 형성되어, 그립바(532, 533)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립부(53)는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된 리드탭을 그립한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여, 리드탭을 뒤집어서 상하면을 반전시킬 수 있다.
그립부(53)는 프레임(531), 제1 그립부(532), 제2 그립부(533), 회전부(534) 및 상하이동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31)은 제1 그립부(532)와 제2 그립부(53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531)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531)은 소정 두께의 직육면체, 즉, 단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531)은 제1 안착테이블(51)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531)의 전면은 좌측을 바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그립부(532)는 프레임(5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그립부(533)와 평행하게 마주보거나 제2 그립부(533)와 소정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그립부(532)는 제1 안착테이블(51)의 우측에 설치된 프레임(531)에서, 일 단의 자유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531)의 상측 또는 프레임(531)의 하측에서 프레임(531)과 수평 선상에 위치되도록 회동되거나, 프레임(531)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1 그립부(532)의 단부가 좌측을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그립부(532)는 제1 회동부(5321) 및 제1 파지부(5322)를 포함한다.
제1 회동부(5321)는 일 측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531) 둘레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동부(5321)의 양 단이 프레임(531)의 양 측 중심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회동부(5321)는 프레임(531)의 중심부에서부터 상부 둘레 또는 하부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1 파지부(5322)는 제1 회동부(5321)의 개방된 면과 대향하는 면의 중심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파지부(5322)가 돌출되는 길이는 게이트(511)의 좌우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부(5321)의 양 단이 프레임(531)의 양 측면에서 회동됨에 따라, 제1 파지부(5322)가 프레임(531)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프레임(531)과 일직선상에 위치되거나, 제1 파지부(5322)의 단부가 좌측을 향하도록 프레임(531)과 수직일 이룰 수 있다.
제2 그립부(533)는 상술한 제1 그립부(532)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립부(533)는 제2 회동부(5331) 및 제2 파지부(5332)를 포함한다. 제2 회동부(5331) 및 제2 파지부(5332) 각각은 제1 회동부(5321) 및 제1 파지부(532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회동부(5321)가 프레임(5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2 회동부(5331)가 프레임(531)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부(534)는 프레임(531)의 후면(즉,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531)은 회전부(534)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531)이 회전부(534)를 기준으로 축회전 함에 따라, 제1 그립부(532)와 제2 그립부(533)의 상하가 바뀔 수 있다. 일 예로, 제1 그립부(532)가 하측에 위치되고 제2 그립부(533)가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프레임(531)이 회전됨에 따라 제1 그립부(532)가 상측에 위치되고 제2 그립부(533)가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과 모터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531)은 회전부(534)에 회전축에 의해 연결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535)는 회전부(534)가 상하이동부(535)를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이동부(535)는 회전부(534)의 후면(즉, 우측면)에 설치되되, 회전부(534)가 상하이동부(535)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하이동부(535)와 회전부(534)는 상하방향의 레일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그립부(53)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그립부(532)는 프레임(531)과 수직을 유지하며 제1 파지부(5322)가 게이트(511)에 위치되고, 제2 그립부(533)는 프레임(531)과 일직선을 유지하며 제2 파지부(5332)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리드탭이 안착되면, 제2 그립부(533)가 프레임(531)과 수직을 유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지부(5322)와 제2 파지부(5332) 사이에 리드탭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파지부(5322)와 제2 파지부(5332)가 리드탭의 상하면에서 리드탭을 파지할 수 있다.
이후, 회전부(534)가 상하이동부(535)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534)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부(534)에 설치된 프레임(531)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프레임(531)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프레임(531)에 설치된 제1 그립부(532)와 제2 그립부(533)도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511) 내에 위치되어 있던 제1 파지부(5322)가 제1 안착테이블(5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1 파지부(5322)가 게이트(511)를 이탈하여 게이트(511)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리드탭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의 제1 파지부(5322)와 제2 파지부(5332)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드탭은 제1 안착테이블(51) 및 제2 안착테이블(52)과 이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531)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높이는, 제1 파지부(5322)와 제2 파지부(5332)에 의해 리드탭이 180도 회전할 때, 리드탭이 제2 안착테이블(52)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간섭 또는 충돌되지 않을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파지부(5322), 제2 파지부(5332) 및 리드탭이 제1 안착테이블(51) 및 제2 안착테이블(52)과 상측으로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부(534)에 의해 프레임(531)이 180도 회전될 수 있다.
프레임(531)이 회전됨에 따라, 리드탭의 상하면이 뒤집히고, 제2 파지부(5332)가 하측에 위치되고 제1 파지부(5322)가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리드탭의 상하면이 뒤집힌 후에, 회전부(534)가 상하이동부(535)를 따라 다시 하강할 수 있다. 회전부(534)가 하강함에 따라 프레임(531)도 하강하게 되고, 프레임(531)의 하측에 위치된 제2 파지부(5332)가 게이트(5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회전부(534)가 하강하는 높이는, 상하면이 뒤집힌 리드탭이 제1 안착테이블(51) 및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되는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하면이 뒤집힌 리드탭이 제1 안착테이블(51) 및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될 수 있다.
상하면이 뒤집힌 리드탭은 제2 검사유닛(40b)으로 이송되어, 불량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로딩부(60)는 제2 검사유닛(40b)에서 검사가 완료된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부(60)에는 제1 검사유닛(40a)에서 통과된 후에, 제2 검사유닛(40b)에서 검사가 진행된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로딩부(60)는 로딩테이블(61)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은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L)가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로딩테이블(61)은 동일한 높이 상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로딩테이블(61)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 로딩테이블(61) 한 쌍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딩테이블(61)이 이격된 사이 공간이 이송통로(L)일 수 있다.
한 쌍의 로딩테이블(61)의 상면에는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딩테이블(61)은 진입테이블(11), 안착테이블(51, 52) 및 검사테이블(41)과 동일 높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로딩테이블(6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는 한 쌍의 진입테이블(1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및 안착테이블(51, 52)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와 일직전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로딩테이블(61)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될 때, 이송통로(L)에 리드탭의 중심부가 위치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가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로딩테이블(6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한 쌍의 로딩테이블(61)과 그 사이에 형성된 이송통로(L)에 리드탭이 안착될 수 있고, 이송통로(L)를 통해 이송부(30)의 받침부(31)가 이동되며 리드탭을 이송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리드탭은, 제2 검사유닛(40b)에서 판단된 리드탭의 불량 또는 양품 여부에 따라, 로딩테이블(61) 전방에 위치된 불량회수부(43)의 수거함(432, 433) 또는 양품적재부(70)로 이송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의 전방부에는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레일부(434)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로딩테이블(61)의 전방에 배치된 수거함(432, 433)의 전방에는 양품적재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의 상측에는 제2 운반부(20b)가 설치되며, 제2 운반부(20b)가 전후방향을 따라 로딩테이블(61)에서부터 수거함(432, 433)과 양품적재부(70)까지의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검사유닛(40b)에서 검사가 완료된 리드탭이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상태에서, 리드탭이 양품인 경우에는 제2 운반부(20b)가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리드탭을 흡착하여 양품적재부(70)로 이송할 수 있다. 리드탭이 불량인 경우에는 제2 운반부(20b)가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리드탭을 흡착하여 로딩테이블(61) 전방에 위치된 제1 수거함(432) 또는 제2 수거함(433)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운반부(20b)는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리드탭 중심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로딩테이블(61) 사이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수거함(432)과 제2 수거함(433)이 레일부(434)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제1 수거함(432) 또는 제2 수거함(433)이 제2 운반부(20b)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리드탭의 치수 불량 또는 형상 불량인지 여부에 따라, 제2 운반부(20b)의 하측에 제1 수거함(432) 또는 제2 수거함(433)이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검사유닛(40b), 로딩부(60), 양품적재부(70) 및 얼라인부(80)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70) 및 얼라인부(80)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70)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70) 및 얼라인부(80)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70)가 작동되는 것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품적재부(70)에 리드탭이 적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부(80)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부(80)가 작동되는 것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양품적재부(70)는 제1 검사유닛(40a) 및 제2 검사유닛(40b)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양품의 리드탭의 적재될 수 있다. 양품적재부(70)에는 양품의 리드탭 복수개가 적층되도록 적재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양품의 리드탭이 제2 운반부(20b)에 의해 양품적재부(70)로 이송될 수 있다.
양품적재부(70)는 거치프레임(71), 지지프레임(72), 측부정렬부(73), 전방정렬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71)은 리드탭이 안착되는 프레임(531)일 수 있다. 즉, 거치프레임(71)은 하측에 배치되어 리드탭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71)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72)은 거치프레임(71)의 후단에 배치되며 리드탭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72)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72)은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측부정렬부(73)는 한 쌍이 거치프레임(71)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이 서로 이격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인접해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측부정렬부(73)는 거치프레임(71)에 안착된 리드탭의 양측부를 정렬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측부정렬부(73)는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측부정렬부(73)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정렬부(74)는 거치프레임(71)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방정렬부(74)는 거치프레임(71)에 안착된 리드탭의 전방부를 정렬할 수 있다. 전방정렬부(74)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방정렬부(74)의 내부 중공부로 거치프레임(71)의 양 단이 관통할 수 있다. 즉, 전방정렬부(74)의 내주면이 거치프레임(71)의 양 측 단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정렬부(74)가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될 때, 전방정렬부(74)와 거치프레임(71)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양품적재부(70)가 적층된 복수의 리드탭을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71), 지지프레임(72), 측부정렬부(73) 및 전방정렬부(74) 내측에 복수의 양품 리드탭이 적층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71)의 상면에 복수의 리드탭이 적층된 후,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72)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리드탭의 후단과 밀착된다.
이후,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의 측부정렬부(73)이 리드탭의 양 측과 밀착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를 정렬한다. 이 후, 전방정렬부(74)가 리드탭의 전방 단부와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리드탭이 지지프레임(72)과 전방정렬부(74)에 의해 전후방 단부가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양품적재부(70)는 한 쌍이 마련되며, 한 쌍의 양품적재부(70)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좌우로 배치되는 양품적재부(70)는 좌우레일(700)을 따라 이동되어, 제2 운반부(20b)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운반부(20b)가 흡착하고 있던 리드탭의 흡착을 중단하여 리드탭을 낙하시킬 때, 낙하하는 리드탭이 거치프레임(71), 지지프레임(72), 측부정렬부(73) 및 전방정렬부(74)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양품적재부(70)는 좌우레일(7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양품적재부(70)에 복수의 리드탭이 적재되어 더 이상의 리드탭이 적재될 수 없을 때, 다른 하나의 양품적재부(70)에 리드탭이 적재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양품적재부(70)에 적재된 복수의 리드탭은 그리퍼(90)에 의해 얼라인부(80)로 이동될 수 있다.
얼라인부(80)는 양품적재부(70)에 적재된 양품이 이송되어, 양품의 리드탭이 트레이(T)에 적재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리드탭을 정렬할 수 있다.
얼라인부(80)는 지그(81), 후판(82), 고정측벽(83), 이동측벽(84), 정렬가압부(85) 및 홀드바(86)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81)는 리드탭이 안착되는 프레임(531)일 수 있다. 즉, 지그(81)는 하측에 배치되어 리드탭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그(8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후판(82)은 지그(81)의 후단에 배치되며 리드탭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다. 후판(82)은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판(82)은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고정측벽(83)은 지그(81)의 일 측에 설치되어, 리드탭의 일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측벽(83)은 지그(81)의 우측에서 리드탭의 우측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측벽(83)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측벽(84)은 지그(81)의 타 측에 설치되되, 고정측벽(83)과 이격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인접해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지그(81)에 안착된 리드탭의 측부를 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측벽(84)은 지그(81)에 안착된 리드탭의 측부를 정렬할 수 있다. 이동측벽(84)은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측벽(84)이 고정측벽(83) 쪽으로 이동되어, 지그(81)에 안착된 복수의 리드탭을 고정측벽(83) 측으로 밀어서 고정측벽(83)과 이동측벽(84) 사이에서 리드탭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정렬가압부(85)는 지그(81)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정렬가압부(85)는 지그(81)에 안착된 리드탭의 전방부를 정렬할 수 있다. 정렬가압부(85)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정렬가압부(85)의 내부 중공부로 지그(81)의 양 단이 관통할 수 있다. 즉, 정렬가압부(85)의 내주면이 지그(81)의 양 측 단의 외주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렬가압부(85)가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내에서 이동될 때, 정렬가압부(85)와 지그(81)는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얼라인부(80)가 복수의 리드탭을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81), 후판(82), 고정측벽(83), 이동측벽(84) 및 정렬가압부(85) 내측에 복수의 양품 리드탭이 적층될 수 있다.
지그(81)의 상면에 복수의 리드탭이 적층된 후,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82)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리드탭의 후단과 밀착되고, 정렬가압부(85)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리드탭의 전방 단부와 밀착된다. 따라서, 후판(82)과 정렬가압부(85) 사이에서 복수의 리드탭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가 정렬될 수 있다.
이후,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측벽(84)이 리드탭의 우측 단부를 가압하며, 리드탭의 좌측 단부가 고정측벽(83)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동측벽(84)과 고정측벽(83) 사이에서 리드탭의 양 측 단부가 밀착되며, 리드탭의 양 측부가 정렬될 수 있다.
홀드바(86)는 고정측벽(83)의 상측에서 설치되어, 복수의 리드탭이 지그(81)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그(81)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적층된 리드탭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지그(81)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리드탭의 외측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퍼(90)는 양품적재부(70) 또는 얼라인부(80)에 적층된 복수의 리드탭을 그립하여 이송할 수 있다. 그리퍼(90)는 양품적재부(70)에서 얼리인부로 복수의 리드탭을 한번에 그립하여 이송하거나, 얼라인부(80)에서 트레이(T)로 복수의 리드탭을 한번에 그립하여 이송할 수 있다. 그리퍼(90)는 좌우 방향,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도 있다. 그리퍼(90)는 일반적인 설비에 사용되는 그립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의 전체적인 공정 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리드탭이 진입부(10)의 진입테이블(11)에 안착되면, 이송부(30)에 의해 리드탭이 제1 검사유닛(40a)의 검사테이블(41)로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에 안착된 리드탭의 불량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제1 검사유닛(40a)에서 검사가 완료된 리드탭은 이송부(30)에 의해 반전부(50)로 이송되어,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된 리드탭은, 제1 검사유닛(40a)에서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안착테이블(52)의 측부에 설치된 불량회수부(43)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또는,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된 리드탭이 제1 검사유닛(40a)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립부(53)에 의해 뒤집힐 수 있다. 즉, 정상인 리드탭은 그립부(53)에 의해 상하면이 반전되어, 제1 안착테이블(51)과 제2 안착테이블(52)에 안착될 수 있다.
이렇게, 반전부(50)에서 상하면이 뒤집힌 리드탭은 이송부(30)에 의해 제2 검사유닛(40b)의 검사테이블(41)로 이송될 수 있다. 검사테이블(41)에 안착된 리드탭은 불량 검사가 진행된 후, 이송부(30)에 의해 로딩부(60)로 이송되어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될 수 있다.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리드탭은, 제2 검사유닛(40b)에서 불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운반부(20b)에 의해 로딩테이블(61)의 전방 설치된 수거함으로 운반될 수 있다.
또는, 로딩테이블(61)에 안착된 리드탭이 제2 검사유닛(40b)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운반부(20b)에 의해 양품적재부(70)로 이송될 수 있다.
양품적재부(70)로 이송된 리드탭은 복수개가 적층된 후, 양품적재부(70)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이후, 얼라인부(80)로 이송되어 다시 한번 정렬된 후, 트레이(T)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1)는 이송부(30)에 의해 리드탭이 각 단계의 테이블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송부(30)가 이동하는 통로인, 진입부(10)의 한 쌍의 진입테이블(1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제1 검사유닛(40a)의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반전부(50)의 제1안착테이블과 제2 안착테이블(52)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제2 검사유닛(40b)의 한 쌍의 검사테이블(4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 및 로딩부(60)의 한 쌍의 로딩테이블(61)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L)는 동일 높이 상에서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10: 진입부 11: 진입테이블
20: 운반부 20a: 제1 운반부
20b: 제2 운반부 21: 실린더부
22: 흡착부 30: 이송부
31: 받침부 32: 진공패드
33: 바디 34: 가이드레일
40: 검사유닛 40a: 제1 검사유닛
40b: 제2 검사유닛 41: 검사테이블
42: 비전검사부 43: 불량회수부
431: 반출부 4311: 액츄에이터
4312: 흡입부 432: 제1 수거함
433: 제2 수거함 434: 레일부
50: 반전부 51: 제1 안착테이블
511: 게이트 52: 제2 안착테이블
53: 그립부 531: 프레임
532: 제1 그립부 5321: 제1 회동부
5322: 제1 파지부 533: 제2 그립부
5331: 제2 회동부 5332: 제2 파지부
534: 회전부 535: 상하이동부
60: 로딩부 61: 로딩테이블
70: 양품적재부 71: 거치프레임
72: 지지프레임 73: 측부정렬부
74: 전방정렬부 700: 좌우레일
80: 얼라인부 81: 지그
82: 후판 83: 고정측벽
84: 이동측벽 85: 정렬가압부
86: 홀드바 90: 그리퍼
L: 이송통로 T: 트레이
P: 리드탭

Claims (11)

  1.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검사테이블과, 상기 검사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는 비전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통로에 중심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검사테이블의 상면에 리드탭이 안착되어, 안착된 리드탭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유닛; 및
    전공정에서 상기 검사유닛으로 리드탭을 이송하거나, 상기 검사유닛에서 후공정으로 리드탭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통로를 통해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과 접촉될 수 있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정 지점에 설치되어, 상측에 위치된 리드탭을 흡착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리드탭의 일 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유닛; 및
    리드탭의 타 면을 검사하는 제2 검사유닛;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검사유닛과 상기 제2 검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검사유닛에서 검사 완료된 리드탭이 상기 제2 검사유닛으로 이송되기 전, 리드탭의 상하면을 뒤집는 반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반전부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에 이송통로가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제1 안착테이블과 제2 안착테이블; 및
    상기 제1 안착테이블과 상기 제2 안착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을 그립한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테이블에는,
    상기 제1 안착테이블의 전후방향의 중심부에 상기 그립부가 위치될 수 있는 홀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 안착테이블의 우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제1 회동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그립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그립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그립부는 상기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제1 파지부가 게이트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프레임과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제2 파지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안착테이블과 상기 제2 안착테이블에 리드탭이 안착되면, 상기 제2 그립부가 상기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에 리드탭이 파지되고,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에 리드탭이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상기 상하이동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드탭을 파지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도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게이트 내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제1 파지부가 상기 제1 안착테이블보다 상측으로 이동되고,
    리드탭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드탭은 상기 제1 안착테이블 및 상기 제2 안착테이블과 이격되고,
    리드탭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안착테이블 및 상기 제2 안착테이블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180도 회전되어, 리드탭의 상하면이 뒤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을 상기 진공패드가 흡착 고정하면,
    상기 받침부가 상승하여, 리드탭과 상기 검사테이블을 이격 시킨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가 후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유닛에서 상기 제2 검사유닛으로 리드탭이 이동될 때,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에 리드탭의 일 면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안착되어, 리드탭 일 면의 불량 검사가 진행된 후,
    상기 반전부로 상기 제1 검사유닛에서 양품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이송되면, 상기 반전부는 리드탭의 상하면을 뒤집어서, 상기 제2 검사유닛으로 이송되는 리드탭이 상기 제2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에 안착될 때, 리드탭의 타 면이 상측을 바라보며 안착되도록 하여, 리드탭 타 면의 불량 검사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리드탭이 불량품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불량품을 회수하는 불량회부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회수부는,
    치수가 불량인 리드탭을 수거하는 제1 수거함;
    형상이 불량인 리드탭을 수거하는 제2 수거함; 및
    상기 검사테이블에 안착된 불량품을 상기 제1 수거함 또는 상기 제2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반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 상기 제2 검사유닛의 검사테이블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 및 상기 제1 안착테이블과 제2 안착테이블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통로는 동일 높이 상에서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유닛 및 상기 제2 검사유닛에서 양품인 것으로 판단된 리드탭이 적재되는 양품적재부; 및
    상기 양품적재부에 적재된 양품이 이송되어, 양품의 리드탭이 트레이에 적재되기 전에 정렬되도록 하는 얼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사유닛 및 상기 제2 검사유닛을 통과한 리드탭을 상기 양품적재부에 적재하는 운반부; 및
    상기 양품적재부에 적재된 복수의 양품 리드탭을 상기 얼라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얼라인부에 적재된 복수의 양품 리드탭을 트레이에 적재되도록 이동시키는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양품적재부는,
    리드탭이 안착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단에 배치되며 리드탭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한 쌍이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이 서로 이격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인접해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안착된 리드탭의 양측부를 정렬하는 측부정렬부;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에 안착된 리드탭의 전방부를 정렬하는 전방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부는,
    리드탭이 안착되는 지그;
    상기 지그의 후단에 배치되며 리드탭의 후방 단부와 밀착되어 지지하는 후판;
    상기 지그의 일 측에 설치되어, 리드탭의 일 측부를 지지하는 고정측벽;
    상기 지그의 타 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측벽과 이격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인접해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그에 안착된 리드탭의 측부를 정렬하는 이동측벽;
    상기 지그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에 안착된 리드탭의 전방부를 정렬하는 정렬가압부; 및
    복수의 리드탭이 상기 지그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적층된 리드탭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상기 지그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되어 리드탭의 외측이 위치되는 홀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KR1020230007407A 2023-01-18 2023-01-18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KR10257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407A KR102575139B1 (ko) 2023-01-18 2023-01-18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407A KR102575139B1 (ko) 2023-01-18 2023-01-18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139B1 true KR102575139B1 (ko) 2023-09-06

Family

ID=8797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407A KR102575139B1 (ko) 2023-01-18 2023-01-18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5452A (zh) * 2024-01-18 2024-02-23 包头江馨微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磁铁载体加装盖板直立搬运装置
KR20240065802A (ko) 2022-11-07 2024-05-14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차동 제한 장치
KR20240106454A (ko) 2022-12-29 2024-07-08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130A (ko) * 2010-11-05 2012-05-15 (주)미래컴퍼니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KR101876492B1 (ko) 2017-06-28 2018-07-09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 제조방법
KR101902814B1 (ko) * 2018-05-29 2018-10-01 김경돈 부품의 불량을 자동으로 검사하면서 정확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부품 자동 검사 및 정위치 로딩 장치
KR102123280B1 (ko) * 2019-02-14 2020-06-26 유일에너테크(주)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장치에 이용되는 얼라인 장치
JP2021141046A (ja) * 2020-03-05 2021-09-16 クレバ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lever Co., Ltd. 二次電池セルのフォールディング工程用二次電池セル移送装置
KR102312730B1 (ko) * 2020-05-20 2021-10-15 (주) 인텍플러스 배터리 외관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8130A (ko) * 2010-11-05 2012-05-15 (주)미래컴퍼니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KR101876492B1 (ko) 2017-06-28 2018-07-09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 제조방법
KR101902814B1 (ko) * 2018-05-29 2018-10-01 김경돈 부품의 불량을 자동으로 검사하면서 정확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부품 자동 검사 및 정위치 로딩 장치
KR102123280B1 (ko) * 2019-02-14 2020-06-26 유일에너테크(주)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장치에 이용되는 얼라인 장치
JP2021141046A (ja) * 2020-03-05 2021-09-16 クレバ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lever Co., Ltd. 二次電池セルのフォールディング工程用二次電池セル移送装置
KR102312730B1 (ko) * 2020-05-20 2021-10-15 (주) 인텍플러스 배터리 외관 검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802A (ko) 2022-11-07 2024-05-14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차동 제한 장치
KR20240106454A (ko) 2022-12-29 2024-07-08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CN117585452A (zh) * 2024-01-18 2024-02-23 包头江馨微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磁铁载体加装盖板直立搬运装置
CN117585452B (zh) * 2024-01-18 2024-05-17 包头江馨微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磁铁载体加装盖板直立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139B1 (ko) 이차전지 리드탭의 검사장치
US6368040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ransporting substrates to be processed
KR100445457B1 (ko) 웨이퍼 후면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11366591A (zh) 一种检测生产线
KR20180046549A (ko)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WO2022126878A1 (zh) 曲面屏幕裂纹检测设备
KR102323539B1 (ko) 열압착 본딩장치 및 열압착 본딩방법
CN114643208B (zh) 一种光学镜片瑕疵自动检测设备
CN116544151B (zh) 一种用于芯片的检测、封装设备
CN114649241A (zh) 晶粒分选装置
CN111969169A (zh) 电芯自动加工设备
CN211927732U (zh) 一种检测生产线
JP2017037910A (ja) 半導体ウエハの搬送方法および半導体ウエハの搬送装置
JP2012171628A (ja) テーピング装置及びテーピング方法
KR101594965B1 (ko)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장치
CN211376792U (zh) 电芯自动加工设备
KR20200059614A (ko) 전극/분리막조립체 로딩장치 및 로딩방법
KR20200059616A (ko) 전극탭 재단장치
KR101601614B1 (ko) 반도체 소자 외관 검사장치
CN116698745A (zh) 全自动复测aoi设备
KR20230032413A (ko) Utg 검사용 utg 교환 시스템
CN212750825U (zh) 一种晶圆盒内晶圆分离装置
CN212695198U (zh) 用于电堆的制备系统
JP2011237530A (ja) パネル処理システム及びパネル処理方法
KR20100026748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웨이퍼 프레임 반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