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190B1 - 조립식 정리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정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190B1
KR102548190B1 KR1020210105827A KR20210105827A KR102548190B1 KR 102548190 B1 KR102548190 B1 KR 102548190B1 KR 1020210105827 A KR1020210105827 A KR 1020210105827A KR 20210105827 A KR20210105827 A KR 20210105827A KR 102548190 B1 KR102548190 B1 KR 10254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zer
pillar
vinyl film
main body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934A (ko
Inventor
김석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Priority to KR102021010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1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리함과 정리함을 다단으로 받쳐주는 사방의 기둥 내부에 두루마리 식으로 인출되어 펼쳐지는 비닐막을 내장하여서 정리함과 정리함 사이의 개방된 측면을 닫는 도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닐막이 기둥으로 들어가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정리함을 항상 개방 상태로 유지시킬 때 편리하고 또한 도어를 별도 사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출금형이 간소화되는 조립식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사방 측면 및 밑면이 막힌 본체는 상하측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이 구비되어서, 다수의 상기 본체가 다단으로 상기 기둥을 통하여 적층 되는 조립식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중공상으로 구성되어서 비닐막이 두루마리 식으로 내장되고; 상기 기둥 측면에는 상기 비닐막 선단의 살대가 인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살대를 잡아 당겨 대응하는 다른 기둥의 측면에 걸어주면 상기 비닐막이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와 본체 사이의 개방된 측면이 가려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정리함{The assembly type organizer}
본 발명은 조립식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리함과 정리함을 다단으로 받쳐주는 사방의 기둥 내부에 두루마리 식으로 인출되어 펼쳐지는 비닐막을 내장하여서 정리함의 개방된 측면을 닫는 도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닐막이 기둥으로 들어가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정리함을 항상 개방 상태로 유지시킬 때 편리하고 또한 도어를 별도 사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출금형이 간소화되는 조립식 정리함을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정리함은 의류, 장난감 또는 기타 소모품 등을 넣어 보관하는 것으로서 정리함이 다단으로 적층 구성된다. 최근에는 기저귀 등을 따로 보관하기 위해 정리함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정리함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 정리함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품은 개별 사출되어 가정에서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 물류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종래 특허 제1212322호는 제품이 커져도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고 부피로 인한 물류비용을 해결하는 조립식 수납박스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복수의 측판을 상자형으로 조립하여 나사체결하는 방식으로 정리함이 완성되는데, 각 정리함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상층 정리함만 위쪽으로 개방되므로 중간층이나 하부층의 정리함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해 위쪽 정리함을 들어내야 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정리함과 정리함 사이를 떨어뜨리고 이들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설치하여 모든 정리함이 위쪽 정리함과 무관하게 개방되도록 하는 추세이다. 특히 정리함과 정리함 사이에는 사방으로 문을 설치하여 물건을 더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 정리함의 외측 사방 모서리에 기둥설치부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기둥을 포함한 표면적이 동일하다 가정할 경우 정리함의 내용적은 실질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둥과 문이 따로 제작되다 보니 부품수가 증가되고, 또한 가정에서 조립할때 조립 공수가 증가되어 사용이 번거로운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의 실용공개 제20-2020-0002311호는 다수 정리함이 서로 떨어져 다단으로 적층 되게 사방모서리를 기둥으로 연결하되 상기 각 정리함 상단 내측에 놓이는 받침대에 상기 각 기둥이 놓이도록 함으로써, 정리함의 내용적을 최대한 키울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떨어진 정리함 사이 사방 측면을 여닫는 문의 한쪽이 상기 각 기둥과 일체로 사출되어 별도의 기둥 없이 문이 열리도록 한 조립식 다단 정리함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정리함은 문이 기둥과 일체로 사출되기 때문에 문을 제거할 수 없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리함이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선 문을 정리함에서 분리시켜야 되는데, 문이 기둥과 일체로 사출되므로 문을 열고 사용하지 않는한 문을 정리함에서 제거할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문을 열고 사용하면 정리함에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미관상 좋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리함과 정리함을 다단으로 받쳐주는 사방의 기둥 내부에 두루마리 식으로 인출되어 펼쳐지는 비닐막을 내장하여서 정리함과 정리함 사이의 개방된 측면을 닫는 도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비닐막이 기둥으로 들어가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정리함을 항상 개방 상태로 유지시킬 때 편리하고 또한 도어를 별도 사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출금형이 간소화되는 조립식 정리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사방 측면 및 밑면이 막힌 본체는 상하측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이 구비되어서, 다수의 상기 본체가 다단으로 상기 기둥을 통하여 적층 되는 조립식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중공상으로 구성되어서 비닐막이 두루마리 식으로 내장되고; 상기 기둥 측면에는 상기 비닐막 선단의 살대가 인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살대를 잡아 당겨 대응하는 다른 기둥의 측면에 걸어주면 상기 비닐막이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와 본체 사이의 개방된 측면이 가려지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리함과 정리함을 다단으로 받쳐주기 위하여 정리함의 사방 모서리 마다 조립되는 기둥에 두루마리 식으로 감겨 보관되는 비닐막을 내장하되, 비닐막이 태엽스프링을 통하여 자동으로 감겨 보관되기 때문에 비닐막이 기둥에서 인출되지 않으므로 정리함과 정리함 사이 측면 공간을 항상 개방상태로 유지시킬 때 편리하다.
또한 비닐막은 기둥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대 기둥의 측면에 걸리면 정리함과 정리함 사이 측면을 닫아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도어를 별도 사출하여 기둥에 조립할 필요가 없으므로 금형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정리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기둥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정리함과 기둥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정리함의 평단면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정리함은 상부가 개방되고 사방 측면과 밑면이 막힌 정리함의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사방 모서리의 상단 및 하단에 기둥(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11)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2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데, 상단과 하단은 각 상기 본체(10)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연결홈(11)으로 끼워지는 축받이(21)가 돌출 구비된다.
상기 기둥(20)은 내부에 비닐막(30)이 두루마리 식으로 감겨 보관된다. 상기 비닐막(30)은 인출되면 다단으로 적층된 본체(10)와 본체(10) 사이의 개방된 사방 측면을 닫는 도어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기둥(20)은 중공상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비닐막(30)이 조립된다. 상기 비닐막(30)은 중심축(40)에 감겨 구비되고 선단은 살대(31)를 통하여 당겨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기둥(20)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마개(24)가 구비되며, 상기 마개(24)의 상단에는 상기 중심축(40)의 상단을 회전 지지하는 축받이(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20)의 하단에도 상기 중심축(40)의 하단을 회전 지지하는 축받이(21)가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40)은 측면에 상기 비닐막(30)이 인출되도록 개방된 절개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22)는 상기 살대(31)가 걸리는 폭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살대(31)가 중심축(4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마개(24) 및 중심축(40)의 대응되는 내주면에는 돌기(25) 및 홈(26)이 형성되어서 마개(24)가 이들 돌기(25) 및 홈(26)을 통하여 탈착식으로 기둥(20)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중심축(40)의 상단에는 태엽스프링(41)이 구비되어서 안쪽은 중심축(40)에 고정되고 바깥쪽 끝단은 마개(24)의 내주면에 고정되어서 비닐막(30)이 인출되는 동안 중심축(4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태엽스프링(41)이 감기고, 반대로 비닐막(30)을 놓으면 태엽스프링(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비닐막(30)이 중심축(40)에 자동으로 감겨 기둥(20)에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살대(31)의 중심에는 갈고리 형태로 꺾인 걸이부(32)가 형성되고, 기둥(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이부(32)가 걸리는 걸림부(23)가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20)은 마개(24)를 통하여 상단이 개방되는데, 상기 절개부(22)는 개방된 상단까지 연장되어서 절개부(22)의 상단이 터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개방된 기둥(20) 내부로 비닐막(30)이 감긴 중심축(40)을 끼워서 중심축(40) 하단이 기둥(20) 하단의 축받이(21)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비닐막(30)의 선단은 절개부(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살대(31)가 기둥(20) 외주면에 걸리도록 해준다. 이후 마개(24)를 기둥의 상부에 결합하되 태엽스프링(41)의 자유단이 마개(24)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해주고 또한 중심축(40)의 상단이 축받이(21)에 끼워지도록 돌기(25)와 홈(26)을 이용하여 마개(24)를 기둥(20)의 상단에 고정시키면 비닐막(30)이 기둥(20)에 내장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후 두개의 본체(10) 사이에 사방으로 기둥(20)을 배치시키고 기둥(20) 하단의 축받이(21)를 아래쪽 본체(10)의 연결홈(11)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기둥 상단의 축받이(21)를 위쪽 본체(10)의 연결홈(11)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다수의 본체(10)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처럼 본체(10)가 기둥(20)을 통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비닐막(30)은 각 기둥(20)에 내장된 상태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본체(10)와 본체(10) 사이의 사방 측면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기저귀나 수건 등의 소모품을 쉽게 인출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또한 소모품을 가려줄 필요가 있을 때 각 기둥(20)의 외주면에 걸린 살대(31)를 잡아 당겨 걸이부(32)를 상대 기둥(20)의 고정홈()에 걸어주면 비닐막(30)이 인출되어 개방된 측면을 가려준다. 이때 중심축(40)이 회전되면서 태엽스프링(41)이 감긴 상태가 되며, 반대로 비닐막(30)이 불필요할 때 걸이부(32)를 고정홈()에서 풀어주면 태엽스프링(41)에 의해 비닐막(30)이 자동으로 중심축(40)에 감기므로 비닐막(30)이 늘어지지 않고 기둥(20)에 보관되는 편리함이 있다.
10 : 본체 11 : 연결홈
20 : 기둥 21 : 축받이
22 : 절개부 23 : 걸림부
24 : 마개 30 : 비닐막
31 : 살대 40 : 중심축
41 : 태엽스프링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사방 측면 및 밑면이 막힌 본체는 상하측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이 구비되어서, 다수의 상기 본체가 다단으로 상기 기둥을 통하여 적층 되는 조립식 정리함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중공상으로 구성되어서 비닐막이 두루마리 식으로 내장되고;
    상기 기둥 측면에는 상기 비닐막 선단의 살대가 인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살대를 잡아 당겨 대응하는 다른 기둥의 측면에 걸어주면 상기 비닐막이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와 본체 사이의 개방된 측면이 가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리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막은 중심축에 두루마리 식으로 감겨 기둥에 보관되고;
    상기 중심축 상단에는 태엽스프링이 구비되어서 상기 비닐막이 인출되는 동안 탄성력을 갖게되고;
    상기 살대가 상대 기둥에서 떨어지면 상기 태엽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중심축이 회전되고, 상기 비닐막이 상기 중심축에 감기면서 상기 기둥에 보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리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단이 개방된 중공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개방된 상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비닐막의 자유단은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기둥 외부로 돌출된 뒤 상기 살대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는 마개는 상기 어느 한 본체 하단의 연결홈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리함.
KR1020210105827A 2021-08-11 2021-08-11 조립식 정리함 KR10254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827A KR102548190B1 (ko) 2021-08-11 2021-08-11 조립식 정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827A KR102548190B1 (ko) 2021-08-11 2021-08-11 조립식 정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34A KR20230023934A (ko) 2023-02-20
KR102548190B1 true KR102548190B1 (ko) 2023-06-27

Family

ID=8532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827A KR102548190B1 (ko) 2021-08-11 2021-08-11 조립식 정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1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868U (ja) 2002-05-10 2002-11-15 ズイホ−産業株式会社 冷凍又は冷蔵タイプの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用のナイトカバー
KR200374164Y1 (ko) 2004-11-12 2005-01-24 문병성 휴대용 칸막이
KR200402155Y1 (ko) 2005-08-26 2005-11-25 주진수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US7438112B2 (en) 2006-11-28 2008-10-21 Shu-Chen Cheng Roll-up barrier
JP3187654U (ja) 2013-06-05 2013-12-12 伊川 夢起 物品落下防止ベルト
US20150282342A1 (en) 2014-03-27 2015-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rack retractable doo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11U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조립식 다단 정리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868U (ja) 2002-05-10 2002-11-15 ズイホ−産業株式会社 冷凍又は冷蔵タイプの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用のナイトカバー
KR200374164Y1 (ko) 2004-11-12 2005-01-24 문병성 휴대용 칸막이
KR200402155Y1 (ko) 2005-08-26 2005-11-25 주진수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US7438112B2 (en) 2006-11-28 2008-10-21 Shu-Chen Cheng Roll-up barrier
JP3187654U (ja) 2013-06-05 2013-12-12 伊川 夢起 物品落下防止ベルト
US20150282342A1 (en) 2014-03-27 2015-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rack retractable do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34A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8457A1 (en) Interlocking container
CN105083690B (zh) 容器
KR102548190B1 (ko) 조립식 정리함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200002311U (ko) 조립식 다단 정리함
KR20200000697U (ko) 수납 박스
US10172489B2 (en) Collapsible hook hanger
KR200453305Y1 (ko) 라운딩 모서리 구조를 갖는 욕실용 수납장
KR102043567B1 (ko) 연결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납함
KR101936050B1 (ko) 회전식 다단적재형 수납장
KR200399063Y1 (ko) 수납장
KR200335714Y1 (ko) 김치냉장고용 와인케이스
KR101733921B1 (ko) 수납함을 구비한 책꽂이
KR102305937B1 (ko) 조립식 서랍장의 절첩시스템
KR200401934Y1 (ko) 회전선반
KR100977144B1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JP6311208B2 (ja) 洗面化粧台
KR102462319B1 (ko) 다층 선반 조립구조
KR20190111507A (ko) 조립식 수납 박스
KR950007412Y1 (ko) 조립신발장
KR200291321Y1 (ko) 장롱의 측판 보강구조
KR102172503B1 (ko) 가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책장
CN208114349U (zh) 一种床头柜
CN213429175U (zh) 衣橱用滑轨侧边盒
KR102448760B1 (ko) 휴대가 간편하고 서랍이 구비된 조립식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