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155Y1 -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155Y1
KR200402155Y1 KR20-2005-0024619U KR20050024619U KR200402155Y1 KR 200402155 Y1 KR200402155 Y1 KR 200402155Y1 KR 20050024619 U KR20050024619 U KR 20050024619U KR 200402155 Y1 KR200402155 Y1 KR 200402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fixing
wind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수
Original Assignee
주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수 filed Critical 주진수
Priority to KR20-2005-0024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구된 수납가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정이나 사무실, 도서관 및 공공기관의 서고에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어 각종 책이나 물품들을 정리 수납하게 되는 다단의 선반이 구비된 수납가구에 소비자가 직접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한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각종 서적 및 문서나 물품들 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구된 수납가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책이나 물품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개폐망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에 타단이 결합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드 개폐되는 개폐수단과, 개구된 수납가구의 일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omitted}
본 고안은 개구된 수납가구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 도서관 및 공공기관의 서고에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어 각종 책이나 물품들을 정리 수납하게 되는 다단의 선반이 구비된 수납가구에 소비자가 직접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한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각종 서적 및 문서나 물품들 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각종 서적이나 물품들을 잘 정돈되게 진열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책장, 진열장, 신발장, 부엌가구, 조립가구, 붙박이 가구 등의 수납가구는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좌. 우측면판 및 후면판 등이 결합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함체 또는 전면에 유리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미닫이 또는 여닫이문이 장착된 함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선반을 다단으로 구비하여 이들 선반을 통하여 각종 서적이나 물품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가지 형태의 가구 중에서, 전면에 유리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미닫이 또는 여닫이문이 장착된 함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납가구는 주로 장식용 가구 형태로서 구입하기에는 가격의 부담이 있기 때문에 전면이 개구된 함체로 형성된 수납가구가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개구된 함체로 형성된 수납가구는 상기 수납가구에 보관된 책이나 물품들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먼지가 쌓이지 않아 청소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지만, 상기 책이나 물품들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책이나 물품들 위에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상기 수납가구에 쌓인 먼지를 제거해주는 청소를 자주해야만 한다.
하지만, 다수의 선반의 칸칸을 청소하기란 수월하지가 않고, 또 청소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서관 및 공공기관의 서고의 서가 및 기타 수납가구들은 개구된 상태가 대부분으로 도서를 장기간 보관하면서 쌓인 먼지와 습기로 인하여 변질되고 훼손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도서관 및 공공기관의 서고에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어 각종 서적 및 문서나 물품들을 정리 수납하게 되는 다단의 선반이 구비된 수납가구에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각종 책이나 물품 주변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수납된 책이나 물품들을 깨끗하게 보관시켜 먼지나 이물질의 청소를 수월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미 사용 중에 있는 개구된 수납가구에 투명, 반투명 개폐망을 이용하여 수납된 물품들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으로서 인테리어 환경조성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이미 사용 중에 있는 내부구조와 전체 크기가 천차만별인 수납가구에 설치를 하기에 적합도록 DIY(Do It Yourself)방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개구된 수납가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책이나 물품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개폐망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수단(20)과; 상기 권취수단에 타단이 결합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드 개폐되는 개폐수단(50)과; 개구된 수납가구의 일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을;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혹은, 종방향의 좌우양단에 고정대(355)가 부착되고, 내측에 종방향의 가변고정대(356)가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357)으로 구성된 개폐수단(350)과; 상기 고정대(355) 및 가변고정대(356)의 후면과 상기 개폐망(357) 좌우 테두리 및 상기 개폐망(357) 상하 테두리 양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377)와,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3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37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체결상태 요부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권취수단(20)은, 종방향의 양측단부가 절첩된 후크부(22)가 횡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a)이 일체 형성되고, 내부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홈(23a)이 구비된 제1바(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바의 후크부(22) 내측으로 슬라이딩 장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b)이 일체 형성되고, 내부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홈(23b)이 구비된 제2바(2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바(21a)와 제2바(21b)의 타단부가 기밀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지지틀(24a)(24b)이 서로 이격되게 대칭을 이루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양쪽 외측면 일측에 나사못으로 체결이 가능한 체결편(25a)(25b)이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틀(24a)(24b)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형축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관(27a)(27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관(27a)(27b)의 외주면에 권취스프링(31a)(31b)이 삽입되고,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의 일단에 구비된 결착홈(32a)(32b)이 상기 지지틀(24a)(24b) 내측면 일측의 돌기(26a)(26b)에 결착된다.
또한, 전동관(34a)(34b)은 외주면이 정다각형인 원통형상으로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을 감싸 덮는 전동캡(35a)(35b)과, 중앙에 지지축관(27a)(27b)이 연통되는 축관통공(36a)(36b)과, 상기 전동캡(35a)(35b) 내부면 일측에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의 타단에 구비된 결착홈(33a)(33b)이 결착되는 돌기(37a)(3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관(27a)(27b)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홈(28a)(28b)이 선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이들 절개홈(28a)(28b)사이의 외주면에 결착돌기(29a)(29b)들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전동관(34a)(34b)을 관통축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전동관(34a)(34b)을 관통축 결합시키는 고정핀(38a)(38b)에는 고정돌기(39a)(39b)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개폐수단(50)은, 내주면이 정다각형인 중공의 원통체로서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절단선(52a)이 다수 형성된 권취봉(51)과, 상기 권취봉(51)에 일단이 권취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고, 타단에 절단선(52b)이 다수 형성된 고정대(55)가 부착된 개폐망(57)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규격화되지 않은 임의의 개구된 수납가구(10)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일체화된 상기 권취봉(51), 개폐망(57) 및 고정대(55)의 양단부의 길이를 규격화시킴이 가능하고, 필요한 경우에 상기 권취봉(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선(52a)에 맞추어 균일하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55)는 상기 개폐망(57)이 편평하게 펴지도록 하고, 손잡이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망(57)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투명과 반투명을 선택할 수 있고, 반투명인 경우에는 무늬나 그림 등으로 내부 인테리어 환경에 맞도록 꾸밀 수 있는 만큼 두루마리형태로 권취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뿐만이 아니라 직물로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고정수단(70)은, 상기 고정대(55)의 일측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가동걸림편(71)과, 수납가구(10)의 횡방향 선반(1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걸림편(71)과 상호 걸림 결합되는 고정걸림편(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55)의 손잡이 후면과 상기 개폐망(57) 양쪽 테두리 후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77)와,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7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고정부재(77)와, 상기 제1,2고정부재(75),(76)는 접착고무자석 또는 벨크로띠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설치 및 작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설치하고자 하는 수납가구(10)의 상하, 좌우길이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에 대응되는 지지틀(24a)(24b)의 지지축관(27a)(27b)에 권취스프링(31a)(31b)이 장착되고, 전동관(34a)(34b)이 삽입되고, 고정핀(38a)(38b)으로 고정되어,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의 탄력에 의해 상기 전동관(34a)(34b)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제 1,2바(21a)(21b)(이하 '제1,2회전바'로 칭함)로 구성된 권취수단(20)과, 권취봉(51), 고정대(55) 및 개폐망(57)이 일체로 형성된 개폐수단(50)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개폐수단(50)은 좌우길이를 절개할 것을 감안하여 상기 수납가구(10)의 크기보다 큰 것을, 재활용을 감안하여 상기 개폐망(57)의 상하길이는 수납가구(10)의 길이보다 긴 것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가구(10)의 좌우길이에 맞추어, 상기 권취봉(51), 고정대(55) 및 개폐망(57)이 일체로 형성된 개폐수단(50)의 좌우길이를 정확하게 절개한 후, 상기 권취봉(51)에 상기 개폐망(57)을 상기 고정대(55)가 권취봉(51)에 맞닿을 때까지 두루마리식으로 감는다.
그런 다음에, 상기 제1회전바(21a)의 후크부(22)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틀(24a)(24b)이 조립 형성된 제2회전바(21b)를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결합시킨 후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긴 상기 개폐수단(50)의 권취봉(51) 양단부를 상기 고정대(55)가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제1,2회전바(21a)(21b)의 전동관(34a)(34b)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정다각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전동관(34a)(4b) 외주면과, 정다각형인 상기 권취봉(51)의 양단 내주면이 면결착에 의해 기밀하게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서, 상기 권취수단(20)에 있는 권취스프링(31a)(31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망(57)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기 권취수단(20)과 개폐수단(50)을 상기 수납가구(10)에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가구(10)에 고정수단(70)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수단(70)의 부착은, 먼저 수납가구(10) 전면에 제1고정부재(75)와, 제2고정부재(76)를 부착시킨 후에 상기 제1,2고정부재(75),(76)위로 개폐망(57)을 펼친 다음 상기 제1고정부재(75)가 상기 개폐망(57)에 대응되는 테두리에 제3고정부재(77)를 고정시킨다.
이는 본 고안의 목적에 상응하는 역할로서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대(55)에는 가동결림편(71)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납가구(10) 횡방향 선반 일측에 고정걸림편(72)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대의 가동걸림편(71)을 상기 고정걸림편(72)에 걸어 용이하게 개폐망(57)이 하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개구된 수납가구(10) 상부에 설치하여 이물질이나 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평상시에는 개폐망(57)을 하방으로 당겨 고정대(55)의 가동림편(71)을 수납가구(10)의 선반에 부착한 고정걸림편(72)에 걸어 차단상태를 유지시키면 되고, 필요시, 가동걸림편(71)을 고정걸림편(72)에서 벗겨 개폐망(57)을 권취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권취스프링(31a)(31b)에 감기게 하여 감긴 상태를 유지시키면 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반투명 개폐망(57)을 사용한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권취수단(20)과 개폐수단(50)이 분리가 되어 권취수단(20)의 좌우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개폐수단(50)의 좌우길이 절개가 가능함으로서 규격화되지 않은 임의의 수납가구에 맞춤 설치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천차만별인 이미 사용 중에 있는 수납가구에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장착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개폐망을 취사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상기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실시예의 권취수단에 있어서, 지지수단을 제1,2바(21a)(21b)의 형태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권취수단(20)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이 관체(121a)(121b)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221)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다른 변형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다른 변형 설치상태 사시도로서, 저면이 개구되고 후면의 하단부와 전면의 하단부가 절첩된 후크부(122)가 횡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a)이 일체 형성된 제1관체(121a)와, 상기 제1관체의 후크부(122) 내측으로 슬라이딩 장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b)이 일체 형성된 제2관체(121b)로 형성되고, 상기 제1관체(121a)와 제2관체(121b)의 타단부가 기밀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지지틀(24a)(24b)이 서로 이격되게 대칭을 이루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양쪽 외측면 일측에 나사못으로 체결이 가능한 체결편(25a)(25b)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틀(24a)(24b) 내측면 중심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형축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지지축관(27a)(27b)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서로 격리되게 양단에 결착홈(32a)(33a),(32b)(33b)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내측면 일측과 전동관(34a)(34b)의 전동캡(35a)(35b) 내부면 일측의 결착돌기(26a)(26b),(37a)(37b)에 결착되는 한 쌍의 권취스프링(31a)(31b)과, 외주면이 정다각형인 원통형상으로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을 감싸 덮는 전동캡(35a)(35b)과, 중앙에는 상기 지지축관(27a)(27b)이 연통되는 축관통공(36a)(36b)이 형성된 한 쌍의 전동관(34a)(34b)과, 일축에 고정돌기(39a)(39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전동관(34a)(34b)을 관통축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핀(38a)(38b)으로 구성되는 권취수단(120)을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 6의 설치 및 작용 과정은 도 1내지 도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결합된 상기 권취수단(20)과 개폐수단(50)을 상기 수납가구(10)에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지지틀(24a)(24b)의 양쪽 외측면 일측에 형성된 체결편(25a)(25b)과, 제1,2바(21a)(21b)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홈(23a)(23b)에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권취수단(20)의 다른 변형의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21a)(121b)로 구성된 권취수단(120)은 지지틀(24a)(24b)의 양쪽 외측면 일측에 형성된 체결편(25a)(25b)만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장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또 다른 변형 설치상태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또 다른 변형 종단면도로서,
내측에 한 쌍의 권취스프링(231)으로 탄력된 권취축(251)이 유착되고 외측양단에 나사못으로 고정하기위한 체결편(225)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함체(221)로 구성된 권취수단(220)과; 상기 함체(210)의 권취축(251)에 일단이 권취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고, 타단에 고정대(255)가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257)으로 구성된 개폐수단(250)과; 상기 고정대(255)의 일측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가동걸림편(71)과, 상기 고정대(255)의 손잡이 후면과 상기 개폐망(257) 양쪽 테두리 후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77)와, 수납가구(10)의 횡방향 선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250)의 고정대(255)에 부착된 가동걸림편(71)과 상호 걸림 결합되는 고정걸림편(72)과,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7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는 권취수단(220)과 개폐수단(250)이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 맞춤식 수납가구 개폐장치로서 주문생산에 적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설치 및 작용은 상기 일실시예의 설명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생략한다.
한편, 도 1내지 도 9에서는 횡방향 장착으로 설명이 되었지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종방향으로 장착하여 가로, 세로방향으로 열고 닫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설치상태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체결상태 요부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종방향의 좌우양단에 고정대(355)가 부착되고, 내측에 종방향의 가변고정대(356)가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357)으로 구성된 개폐수단(350)과; 상기 고정대(355) 및 가변고정대(356)의 후면과 상기 개폐망(357) 상하 테두리 양면과 가운데 횡방향 양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377a)(377b)와,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3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37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조립, 설치가 가능한 착탈식으로, 상기 개구된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제1고정부재(3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제2고정부재(376)를 부착하고, 상기 수납가구(10)의 크기에 맞는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357)을 구비하여 상기 개폐망(357)의 좌우양단에 고정대(355)와 중앙에 가변고정대(356)를 부착하여 상기 수납가구(10)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변고정대(356)는 개폐망(357)의 좌우 길이를 길게 형성시킨 경우에 상기 개폐망(35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2a는 부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b, 12c는 상기 개폐망(357)의 상하 및 내측 양면에 횡방향으로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의 전면(377a)과 후면(377b)에 부착한 벨크로띠의 접착력 또는 접착고무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고정대(355)를 결합 시킨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선반을 가구의 하나인 책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선반이 진열장, 신발장, 조립 가구, 붙박이 가구 등 선반을 구비하는 모든 가구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두 벽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언급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 도서관 및 공공기관의 서고 등에 개구된 상태로 각종 서적 및 문서나 물품들이 수납된 가구에 각종 책이나 물품 주변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여 줌으로써, 수납된 책이나 물품들을 깨끗하게 보관시켜 먼지나 이물질의 청소를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미 사용 중에 있는 개구된 수납가구에 투명, 반투명 개폐망을 이용하여 수납된 물품들을 분위기에 맞추어 외관을 미려하게 함으로서 인테리어 환경조성에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이미 사용 중에 있는 내부구조와 전체 크기가 천차만별인 수납가구에 설치를 하기에 적합도록 DIY(Do It Yourself)방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쉽게 조립, 설치가 가능한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체결상태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다른 변형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다른 변형 설치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또 다른 변형 설치상태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권취수단의 또 다른 변형 종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설치상태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체결상태 요부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가구
20, 120, 220 : 권취수단
21a : 제1바 21b : 제2바 22, 122 : 후크부 23a, 23b : 체결홈 24a, 24b : 지지틀 25a, 25b : 체결편 26a, 26b, 37a, 37b : 돌기 27a, 27b : 지지축관 28a,28b : 절개홈 29a, 29b : 결착돌기 31a, 31b: 권취스프링 32a, 32b, 33a, 33b : 결착홈 34a, 34b : 전동관 35a, 35b : 전동캡 36a, 36b : 축관통공 38a, 38b : 고정핀 39a, 39b : 고정돌기
50, 250, 350 : 개폐수단
51 : 권취봉 52a, 52b : 절단선 55 : 고정대 56 : 손잡이 57 : 개폐망
70, 270, 370 : 고정수단
71 : 가동걸림편 72 : 고정걸림편 75, 375 : 제1고정부재 76, 376 : 제2고정부재 77, 377a, 377b : 제3고정부재
121a : 제1관체 121b : 제2관체
221 : 함체 231 : 권취스프링 225 : 체결편 251 : 권취축 255 : 고정대 257 : 개폐망
355 : 고정대 356 : 가변고정대 357 : 개폐망

Claims (10)

  1. 개구된 수납가구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수납된 책이나 물품에 쌓이는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개폐망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에 타단이 결합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드 개폐되는 개폐수단과; 수납가구의 일측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20)은 종방향의 양측단부가 절첩된 후크부(22)가 횡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a)이 일체 형성되고, 내부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홈(23a)이 구비된 제1바(21a)와, 상기 제1바의 후크부(22) 내측으로 슬라이딩 장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b)이 일체 형성되고, 내부에 횡방향으로 다수개의 체결홈(23b)이 구비된 제2바(21b)와, 상기 제1바(21a)와 제2바(21b)의 타단부가 기밀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지지틀(24a)(24b)이 서로 이격되게 대칭을 이루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양쪽 외측면 일측에 나사못으로 체결이 가능한 체결편(25a)(25b)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틀(24a)(24b)의 내측면 중심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형축이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지지축관(27a)(27b)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서로 격리되게 양단에 결착홈(32a)(32b)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내측면 일측과 전동관(34a)(34b)의 전동캡(35a)(35b) 내부면 일측의 돌기(26a)(26b),(37a)(37b)에 결착되는 한 쌍의 권취스프링(31a)(31b)과, 외주면이 정다각형인 원통형상으로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을 감싸 덮는 전동캡(35a)(35b)과, 중앙에는 상기 지지축관(27a)(27b)이 연통되는 축관통공(36a)(36b)이 형성된 한 쌍의 전동관(34a)(34b)과, 일측에 고정돌기(39a)(39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전동관(34a)(34b)을 관통축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핀(38a)(38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120)은 저면이 개구되고 후면의 하단부와 전면의 하단부가 절첩된 후크부(122)가 횡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a)이 일체 형성된 제1관체(121a)와, 상기 제1관체의 후크부(122) 내측으로 슬라이딩 장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고, 일단부에 수직으로 지지틀(24b)이 일체 형성된 제2관체(121b)로 형성되고, 상기 제1관체(121a)와 제2관체(121b)의 타단부가 기밀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지지틀(24a)(24b)이 서로 이격되게 대칭을 이루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양쪽 외측면 일측에 나사못으로 체결이 가능한 체결편(25a)(25b)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틀(24a)(24b) 내측면 중심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형축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지지축관(27a)(27b)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서로 격리되게 양단에 결착홈(32a)(33a),(32b)(33b)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틀(24a)(24b)의 내측면 일측과 전동관(34a)(34b)의 전동캡(35a)(35b) 내부면 일측의 결착돌기(26a)(26b),(37a)(37b)에 결착되는 한 쌍의 권취스프링(31a)(31b)과, 외주면이 정다각형인 원통형상으로 상기 권취스프링(31a)(31b)을 감싸 덮는 전동캡(35a)(35b)과, 중앙에는 상기 지지축관(27a)(27b)이 연통되는 축관통공(36a)(36b)이 형성된 한 쌍의 전동관(34a)(34b)과, 일축에 고정돌기(39a)(39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관(27a)(27b)과 상기 전동관(34a)(34b)을 관통축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핀(38a)(38b)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50)은 내주면이 정다각형인 중공의 원통체로서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절단선(52a)이 다수 형성된 권취봉(51)과, 상기 권취봉(51)에 일단이 권취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고, 타단에 절단선(52b)이 다수 형성된 고정대(55)가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57)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고정대(55)의 일측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가동걸림편(71)과, 수납가구(10)의 횡방향 선반(12)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걸림편(71)과 상호 걸림 결합되는 고정걸림편(72)과, 상기 고정대(55)의 손잡이 후면과 상기 개폐망(57) 양쪽 테두리 후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77)와,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의 개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50)은 상기 권취봉(51), 개폐망(57) 및 고정대(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봉(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선(52a)에 맞추어 균일하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의 개폐장치.
  7. 내측에 한 쌍의 권취스프링(231)으로 탄력된 권취축(251)이 유착되고 외측양단에 나사못으로 고정하기위한 체결편(225)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함체(221)로 구성된 권취수단(220)과; 상기 함체(210)의 권취축(251)에 일단이 권취되어 선택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고, 타단에 고정대(255)가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257)으로 구성된 개폐수단(250)과; 상기 고정대(255)의 일측에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가동걸림편(71)과, 상기 고정대(255)의 손잡이 후면과 상기 개폐망(257) 양쪽 테두리 후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77)와, 수납가구(10)의 횡방향 선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수단(250)의 고정대(255)에 부착된 가동걸림편(71)과 상호 걸림 결합되는 고정걸림편(72)과,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7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8. 종방향의 좌우양단에 고정대(355)가 부착되고, 내측에 종방향의 가변고정대(356)가 부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개폐망(357)으로 구성된 개폐수단(350)과; 상기 고정대(355) 및 가변고정대(356)의 후면과 상기 개폐망(357) 상하 테두리 양면과 가운데 횡방향 양면에 부착되는 제3고정부재(377a)(377b)와, 상기 수납가구(10)의 종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375)와, 횡방향 선반 전면에 부착되는 제2고정부재(37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9. 제 6,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망(57, 257, 357)은 두루마리형태로 권취가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이나 직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10. 제 5,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고정부재(75,375),(76,376),(77,377)는 접착고무자석 또는 벨크로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된 수납가구 개폐장치.
KR20-2005-0024619U 2005-08-26 2005-08-26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KR200402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19U KR200402155Y1 (ko) 2005-08-26 2005-08-26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19U KR200402155Y1 (ko) 2005-08-26 2005-08-26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35A Division KR20050094775A (ko) 2005-08-26 2005-08-26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155Y1 true KR200402155Y1 (ko) 2005-11-25

Family

ID=4370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619U KR200402155Y1 (ko) 2005-08-26 2005-08-26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1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934A (ko) *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조립식 정리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934A (ko) *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조립식 정리함
KR102548190B1 (ko) 2021-08-11 2023-06-27 주식회사 한진이앤지 조립식 정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VA20100007U1 (it) Frigorifero con contenitore di stoccaggio
US20200154884A1 (en) Cabinet structure for storing at least one shoe
US8967738B2 (en) Customizable expandable storage systems for the home
CN112690679A (zh) 悬挂式置物架系统
KR200402155Y1 (ko)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CN208075430U (zh) 冰箱、搁架、箱胆及固定块
USD523675S1 (en) Kit for hanging panel curtains
KR20050094775A (ko) 개구된 수납가구개폐장치
US20100033068A1 (en) Built-in sliding rotating element for modular corner cabinets
EP1680976A1 (en) Modular equipped wall
US6904714B1 (en) Decorative flower stand
KR100577939B1 (ko) 다목적 가구
KR200343537Y1 (ko) 흡착식 옷걸이
KR200416862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거실장
KR200206764Y1 (ko) 다용도 수납장
KR200252530Y1 (ko) 거실장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102091361B1 (ko) 선반용 고정 장치
JP2001286357A (ja) 引き出し付き収納家具
KR200233763Y1 (ko) 가구용 간이 옷걸이대
KR200169058Y1 (ko) 장롱 상부의 수납장치
KR200352288Y1 (ko) 가구용 선반 구조
CA1137151A (en) Cabinet with reversible doors, counter top, and drawers
KR200287510Y1 (ko) 진열장
KR100845012B1 (ko) 수납함이 구비된 거실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