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939B1 - 다목적 가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939B1
KR100577939B1 KR1020030012347A KR20030012347A KR100577939B1 KR 100577939 B1 KR100577939 B1 KR 100577939B1 KR 1020030012347 A KR1020030012347 A KR 1020030012347A KR 20030012347 A KR20030012347 A KR 20030012347A KR 100577939 B1 KR100577939 B1 KR 10057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late
shelf
desk
furnitu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989A (ko
Inventor
신석수
Original Assignee
신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수 filed Critical 신석수
Priority to KR102003001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9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47B83/045Tables combined with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가구에 관한것으로서, 종래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 여러가지 가구가 필요하게 되면서 실내공간이 협소해지고 가구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며, 가구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선반(230) 하측으로 지지선반(25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40)을 몸체(100)의 양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40)의 전방 상측에는 몸체(100)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힌지축 기능의 축봉(340)을 설치하며, 상기 축봉(340)에는 브라켓(330)을 이용하여 책상판(300)의 일측 끝단을 연결시켜 책상판(3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책상판(300)의 저면에는 거울(310)과 고정수단(320)을 구비토록 하므로서, 지지선반(250)을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책상판(300)을 수평상태로 고정시켜 책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책상판(300)을 상측으로 회전시킨 후 직각상태로 고정시켜 화장대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인출된 지지선반(250)을 후방으로 밀어넣고 책상판(300)은 하측으로 회전시켜 두면 진열장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실내공간을 절약하면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가구의 용도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가구, 책상, 화장대, 진열장, 공간, 거울, 슬라이딩, 봉, 선반

Description

다목적 가구{Multipurpose furnitur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의 정면을 예시한 정면도.
도 4a와 도 4b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a 는 도 4 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 6b 는 도 4 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7a 와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210,220 : 보조선반
230 : 고정선반 240 : 가이드레일
241 : 홈 250 : 지지선반
251 : 돌기 300 : 책상판
310 : 거울 320 : 고정수단
330 : 브라켓 340 : 축봉
본 발명은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가구의 내부구조를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집안 내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가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다양한 용도의 각종 가구가 필요하다. 즉, 각종 책 등을 보관하기 위한 책장이나 이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이불장, 그리고 옷 등을 수납하기 위한 옷장 또는 각종 장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장식장 등 여러가지 용도의 가구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용도에 맞는 가구를 구매하여 개별적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종 용도에 따라 가구를 개별적으로 구매할 경우 구매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여러가지 가구를 일정한 공간에 수용해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종래의 가구들은 내부공간 또는 용도가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어 사용자가 가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구 내부의 공간이 여러가지 용도로 간단히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활공간을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옷걸이봉과 보조선반과 고정선반이 구비되어 있는 가구 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선반의 하측으로 몸체의 양측면에 대향된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지지선반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지지선반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 상면과 저면에는 대향된 홈을 형성하고 지지선반의 끝단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 상측에는 몸체의 양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힌지축 기능의 축봉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에는 책상판의 끝단을 접면시킨 상태에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축봉과 책상판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책상판의 저면에는 거울과 고정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지지선반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 시킨 상태에서 책상판의 저면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책상의 용도나 컴퓨터책상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책상판을 들어올려 직각상태로 고정시켜 놓게 되면 책상판의 저면에 구비된 거울이 전방으로 배치되면서 화장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인출된 지지선반을 후방으로 밀어넣고 책상판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둔 후 고정선반이나 보조선반을 이용하여 TV 또는 오디오와 같은 가전제품이나 장식품 등을 올려놓으면 장식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가구를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정면을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4a 와 도 4b 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를 화장대, 컴퓨터책상, 진열장의 용도로 사용하는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a 는 도 5 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며, 도 6b 는 도 5 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옷걸이봉과 보조선반과 고정선반이 구비되어 있는 가구 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선반(230)의 하측으로 몸체(100)의 양측면에 대향된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4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40)에는 지지선반(250)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지지선반(250)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레일(240)의 내부 상면과 저면에는 대향된 홈(241)을 형성하고 지지선반(250)의 끝단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돌기(251)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레일 (240)의 전방 상측에는 몸체(100)의 양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힌지축 기능의 축봉(340)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340)에는 책상판(300)의 끝단을 접면시킨 상태에서 브라켓 (330)을 이용하여 축봉(340)과 책상판(300)을 서로 연결시켜 축봉(340)을 중심으로 책상판(300)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책상판(300)의 저면에는 거울 (310)과 고정수단(32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40)은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이고, (1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이며, (210)(220)은 몸체(100)로부터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보조선반이고, (211)은 몸체 (100)의 상측에 위치한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홈부이며, (212)(213)는 상기 보조선반(210)의 선단 내면에 설치된 볼과 스프링이다.
그리고 (2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가이드레일(240)로부터 연장 된 연장부이며, (32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320)에 설치된 끼움봉(321)이고, (3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책상판(300)에 형성된 구멍 (350)이며, (400)은 설합장이고, (500)은 옷걸이봉이며, (60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책상판(300)과 고정되는 고정구이며, (610)은 상기 고정구(600)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이고, (620)은 상기 고정구(600)의 전면에 형성된 축공이며, (630)은 상기 책상판(300)의 구멍(350)과 고정구(600)의 축공(620)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회전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구의 몸체(100) 내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지지선반(250)에 의해 지지 및 회전이 제어될 수 있는 책상판(300)을 설치하여 일반적인 책상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선반(25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책상판 (300)을 수평상태로 고정시켜 놓고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책상판(30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고정시켜 놓으면 책상판(300)의 저면에 설치된 거울(310)과 인출된 지지선반(250)을 이용하여 화장대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책상판(3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선반(250)을 후방으로 밀어넣고 책상판(300)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두고 몸체(100)의 상부에는 장식품이나 가전제품을 올려놓고 장식장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책상판(300)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가구를 다용한 용도로 변경하여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실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가구에 소비되는 비용 또한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과 도 2a 와 도 2b 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가구의 몸체를 예시한 것으로서, 몸체(100)의 내부에는 옷걸이봉(50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 는 2개 이상의 보조선반(210)(220)과 고정선반(2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선반(230)의 하측으로는 몸체(100)의 양측면으로 각각 서로 대향된 상태의 가이드레일(24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240)에는 지지선반(250)의 양단이 각각 끼워지므로서, 상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지지선반(25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선반(250)의 경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될 때 지지선반(250)이 가이드레일(240)로부터 완전히 빠지면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240) 상면과 저면에 대칭형태의 홈 (241)을 형성하고, 지지선반(250)의 끝단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돌기(251)를 형성하여 가이드레일(240)에 끼워져 전후방으로 작동되는 지지선반(250)이 가이드레일 (240)로부터 완전히 빠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40)에 형성되는 홈(241)을 한쌍으로 형성하지 않고 가이드레일(240)의 상면 또는 저면에만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지지선반 (250)에 형성되는 돌기(251) 또한 한쌍으로 형성하지 않고 지지선반(250)의 상측 또는 하측에만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지지선반(250)이 가이드레일(240)에 끼워져 슬라이딩될 때 지지선반(250)이 가이드레일(240)으로부터 완전히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40)의 전방 상측에는 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축봉(340)이 설치되며, 상기 축봉(340)에는 평판형태의 책상판(300) 일측 끝단이 접면되면서 "U" 형태의 브라켓(330)이 상기 축봉(340)을 감싸면서 그 양단 이 상기 책상판(300)의 일측 끝단 상면과 저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책상판(300)이 축봉(340)을 중심으로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회전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책상판(300)의 저면에는 거울(310)을 설치하여 상기 책상판(300)이 상측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거울(310)이 전면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와 같이 책상판(300)을 상측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책상판(30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후 그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선반(210)(220)중 상측에 위치한 보조선반(210)의 끝단 저면으로 스프링(213)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볼(212)이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책상판(300)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책상판(300)의 끝단 상면이 상측 보조선반(210)의 끝단 저면에 위치될 때 상기 책상판(300)의 끝단 상면이 상기 보조선반(210)의 끝단 저면에 설치된 볼(212)에 의해 탄성력을 받게 되면서 책상판(300)이 직각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단순히 보조선반(210)에 설치된 볼(212)에 의해서만 책상판(300)이 고정될 경우 몸체(100)의 유동이나 책상판(300)의 흔들림에 의해 직각상태로 세워져 있던 책상판(300)이 앞쪽으로 넘어지게 되면서 거울(310)이 깨지거나 소비자가 위험할 수 있으므로 책상판(300)의 저면 일측에는 끼움봉(321)이 탄성작용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수단(320)을 설치하고 몸체(100)의 측면에는 상기 책상판(300)이 직각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수단(320)의 끼움봉(321)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홈(241)을 형성하여 직각상태로 세워진 책상판(300)이 직각상 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직각상태로 고정되어 있던 책상판(300)을 하측으로 다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수단(320)을 해체한 상태에서 책상판(300)을 잡고 앞쪽으로 잡아당겨야 하는데, 이때 책상판(300)의 끝단 상면이 보조선반(210)의 끝단 저면과 전체적으로 완전히 밀착되어 있으므로 책상판(300)을 앞쪽으로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선반(210)의 끝단에 홈부(211)를 형성하므로서 직각상태의 책상판(300)을 하측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상기 홈부(211)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책상판(300)의 끝단을 잡은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간단히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의 사용상태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몸체의 책상판을 책상의 용도로 사용하는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책상판(300)을 일반적인 책상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가이드레일(240)에 끼워져 있는 지지선반(250)을 전방으로 충분히 인출시키고 책상판(300)을 수평상태로 놓게되면 책상판(300)의 저면이 상기 지지선반(250)에 의해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책상판(300)을 책상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도 4a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책상판(300)을 화장대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책상판(30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직각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고정수단 (320)을 이용하여 책상판(300)의 직각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면 책상판(300)의 저면에 설치되었던 거울(310)이 전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거울(310)을 보고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화장을 하기 위한 각종 용품들은 상기 책상판 (300)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선반(250)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책상판(300)을 수평상태로 놓고 책상판 (300)에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올려놓고 컴퓨터 본체는 몸체(10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선반(230)에는 모니터를 설치하여 컴퓨터 책상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4c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를 장식장이나 가전제품의 진열공간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방으로 인출되어 수평으로 놓여져 책상판 (300)을 지지하고 있던 지지선반(250)을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후방쪽으로 밀어넣게 되면 책상판(300)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책상판(300)에 의해 몸체(100)의 하부가 가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선반(230)이나 보조선반 (210)(220)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물건을 장식할 수 있는 것이며, TV 나 오디와 같은 가전제품을 진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종 가전제품을 진열시킨 상태에서 책상판(300)을 위쪽으로 회전시켜 직각상태로 고정시켜 놓게 되면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등이 책상판(300)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구 몸체(100)를 단순히 옷장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선반 (210)(220)들을 분리시켜 두고 옷걸이봉(500)을 이용하여 옷을 걸어놓고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때 책상판(30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걸려 있는 옷들이 책상판(300)에 의해 가려짐에 따라 옷장의 상태를 보기좋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와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지지선반 (250)과 고정선반(2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100) 양 측면에 소정길이의 슬라이딩홈(150)을 대향된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150)에는 양단에 고정돌기 (610)가 설치된 고정구(600)를 끼워넣어 고정구(600)가 슬라이딩홈(150)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고정구(600)의 전면 양측에는 축공(620)을 형성하고, 상기 축공(620)사이에 끼워지는 책상판(300)의 후미 양단에는 구멍 (350)이 형성되도록 한 다음 상기 책상판(300)의 구멍(350)을 고정구(600)의 축공 (620)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축(630)을 끼워넣어 고정시키므로서, 책상판(300)이 상기 고정구(600)의 회전축(630)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책상판(3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책상판(300)과 함께 고정구 (600)를 후방쪽으로 슬라이딩시켜 책상판(300)을 지지선반(250)과 고정선반(230) 사이에 위치시키므로서 몸체(100)의 상하부가 책상판(300)에 가려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100)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책상판(300)을 책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책상판(300)과 고정구(60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지지선반(250) 또한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책상판(300)이 지지되도록 하여 책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책상판(300)을 화장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책상판 (300)을 전방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고정구(6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책상판 (300)을 직각상태로 들어올려 고정시키게 되면 화장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진열장 등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책상판(300)을 몸체(100)의 후방으로 밀어넣어 고정선반(230)과 지지선반(250) 사이에 위치시켜 두거나 상기 인출된 지지선반(250)을 후방으로 집어넣은 다음 고정구(600)의 회전축(630)을 중심으로 책상판(300)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놓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책상판(300)을 책상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책상판(300)에 여러가지의 물품이 많이 놓여지게 되면 책상판(300)을 지지하는 지지선반(250)이 상기 하중을 충분히 견디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레일(240)의 상면을 전방쪽으로 더욱 연장시켜 연장부(242)가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책상판(300)의 하중을 상기 가이드레일(240)의 연장부(242)와 지지선반(250)이 충분히 지지해주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책상판(300)이 하측으로는 회전되지 못하고 상측으로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책상의 용도 또는 화장대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구 몸체에 책상판을 설치하고 상기 책상판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직각상태로 고정시켜 놓고 화장대로 사용을 하거나 책상판을 수평상태로 위치시켜 놓고 일반적인 책상의 용도나 컴퓨터 책상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책상판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몸체에 구비된 고정선반이나 보조선반을 이용하여 각종 진열품을 진열하거나 가전제품 등을 진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선반을 제거하고 옷걸이봉을 이용하여 옷장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실내공간에 필요한 여러가지 가구를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가구를 이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가구에 지출되던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아울러 소비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가구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옷걸이봉과 보조선반과 고정선반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선반(230)의 하측으로 몸체(100)의 양측면에 대향된 상태로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40)이 각각 설치되고며, 상기 가이드레일(240)에는 거울(310)이 구비된 책상판(300)을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선반(250)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40)을 따라 지지선반(250)이 전후방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가구 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40)의 내부 상면과 저면에는 대향된 홈(241)을 형성하고 지지선반(250)의 끝단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돌기(251)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레일(240)의 전방 상측에는 몸체(100)의 양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힌지축 기능의 축봉(340)을 설치하고, 그 축봉(340)에는 상기 책상판(300)의 끝단을 접면시킨 상태에서 브라켓 (330)을 이용하여 축봉(340)과 책상판(300)을 서로 연결시켜 축봉(340)을 중심으로 책상판(300)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책상판(300)의 저면에는 고정수단(32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선반(230)과 지지선반(250)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100)의 양측면으로 서로 대향되는 슬라이딩홈(15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홈(150)에는 전면에 축공(620)이 형성되고 후면 양측에 고정돌기(610)가 구 성된 고정구(600)를 설치하여 고정구(600)가 슬라이딩홈(150)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며, 책상판(300)의 후면에는 구멍(350)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600)의 축공(620)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회전축(630)을 끼워넣어 상기 회전축(630)을 중심으로 책상판(3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가구.
  3. 삭제
KR1020030012347A 2003-02-27 2003-02-27 다목적 가구 KR10057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347A KR100577939B1 (ko) 2003-02-27 2003-02-27 다목적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347A KR100577939B1 (ko) 2003-02-27 2003-02-27 다목적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989A KR20040076989A (ko) 2004-09-04
KR100577939B1 true KR100577939B1 (ko) 2006-05-10

Family

ID=3736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347A KR100577939B1 (ko) 2003-02-27 2003-02-27 다목적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68B1 (ko) 2012-11-22 2014-07-17 고영찬 보조책상
KR102086671B1 (ko) 2019-05-02 2020-03-09 (주)제이와이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와 이를 적용한 책상 및 걸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70Y1 (ko) * 2013-11-08 2015-07-21 박건태 탁구연습대 겸용 책장
KR102393192B1 (ko) * 2021-11-12 2022-05-02 주식회사 에스엠하이텍 반도체 작업용 기능성 작업대
CN114365914B (zh) * 2021-12-20 2024-04-19 广东森原蒙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具伸缩调节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368B1 (ko) 2012-11-22 2014-07-17 고영찬 보조책상
KR102086671B1 (ko) 2019-05-02 2020-03-09 (주)제이와이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와 이를 적용한 책상 및 걸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989A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64791A1 (en) Universal Furniture System (UFS)
KR100577939B1 (ko) 다목적 가구
EP3551010B1 (en) Kit for providing modular kitchens
KR102474700B1 (ko)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EP2777430A1 (en) Mountable furniture system
KR100750904B1 (ko) 조립식 진열대 결합구조
KR200277646Y1 (ko) 벽면장착용 다용도 수납장
KR20100045038A (ko) 개선된 선반 구조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KR20090115376A (ko) 장식장
KR101850399B1 (ko) 소파용 장식장
KR20200074722A (ko) 다용도 거치대
KR200252530Y1 (ko) 거실장
KR102601771B1 (ko) 레일 걸이구
CN216135733U (zh) 一种镜柜
KR102474167B1 (ko) 블록 조립식 가구
KR100583615B1 (ko) 선반
KR200287510Y1 (ko) 진열장
KR20080000833U (ko) 책장 겸용 책상
KR200256073Y1 (ko) 책장이 부착된 책상
CN208610215U (zh) 一种具有折叠餐桌的储物柜
TWM554305U (zh) 床邊櫃改良結構
KR20180003131U (ko) 조립식 스탠드형 옷걸이대
KR100633800B1 (ko) 다목적 수납장
KR101866383B1 (ko) 접이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