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71B1 - 레일 걸이구 - Google Patents

레일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71B1
KR102601771B1 KR1020230042024A KR20230042024A KR102601771B1 KR 102601771 B1 KR102601771 B1 KR 102601771B1 KR 1020230042024 A KR1020230042024 A KR 1020230042024A KR 20230042024 A KR20230042024 A KR 20230042024A KR 102601771 B1 KR102601771 B1 KR 10260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ail
support
hang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앤지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앤지씨씨 filed Critical (주)케이앤지씨씨
Priority to KR102023004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86Picture rails; Accessories therefor, e.g. hoo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picture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가 한정되지 않은 레일에 걸이구를 걸어주고자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걸이구를 레일에 단순히 끼워주는 수단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레일에 걸려진 걸이구가 좌,우로 수월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도중에 걸이구가 레일로부터 임의로 빠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레일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에 있어서,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레일에 갖추어진 걸이편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일 걸이구{rail hanger}
본 발명은 레일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가 한정되지 않은 레일에 걸이구를 걸어주고자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걸이구를 레일에 단순히 끼워주는 수단에 의해 걸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레일에 걸어진 걸이구가 좌,우로 수월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도중에 걸이구가 레일로부터 임의로 빠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레일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걸이구는 사용용도에 맞는 길이를 갖는 레일에 끼워지는 상태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걸이구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레일에 걸려있는 걸이구에 이동형 조명, 장식용 선반, 액자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구를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일상생활이 여유로워짐에 따라 여가활동이 많아지게 되고, 많은 사람들이 카페, 공연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를 많이 찾아 휴식을 취하게 되었으며, 상기와 같이 많은 사람들의 취향을 한층 더 높여주기 위해서는 실내에 다양하게 장식을 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레일을 설치하여 상기 레일에 걸쳐진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걸이구에 조명이나,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 제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 및 액자 등을 설치하여 휴식공간을 한층 더 화려하게 꾸며주고 있으며, 이러한 장식은 공공장소 뿐만이 아니고, 각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장식용품 등을 걸어줄 수 있는 종래의 레일 걸이구는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기울어진 선단부분이 먼저 레일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도록 하여 걸이구에 갖추어진 걸림편이 레일의 공간부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한 걸이구를 수평이 되도록 하면 걸이구의 양측면에 갖추어진 걸림편이 레일에 갖추어진 걸이편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서, 걸이구가 레일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걸이구는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레일에 편리하게 걸어준 상태에서 사용을 할 수는 있으나, 걸이구를 레일에 끼움 결합시켜 주고자 할 때, 걸이구를 일측으로 기울어준 상태에서 삽입시켜 주고, 삽입이 완료되면 기울어져 있는 걸이구를 다시 수평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 취급상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레일의 걸이편에 걸쳐져 있는 걸이구의 걸림편이 걸이편으로부터 떨어져 걸이구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걸림편의 일측단부가 레일의 개방부로 빠지게 되는 일이 발생되어 걸이구가 레일로부터 빠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7-011972호(1995. 02. 28)
따라서, 본 발명은 걸이구가 수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레일의 하부에 갖추어진 개방부를 통해 밀어주기만 하면 삽입후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취급상의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도중 걸이구가 레일의 공간부내에서 상승하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걸이구가 레일로부터 임의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이구에 있어서,
축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레일에 갖추어진 걸이편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축핀을 기점으로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부가 레일의 걸이편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탄성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직사각 모양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중 어느 한쪽의 지지편 하면에 일체로 연장되는 제1지지돌편을 갖추고, 다른 지지편의 하면에 일체로 연장하되 중간지점에 제1지지돌편이 위치할 수 있도록 끼움공간부를 갖는 제2지지돌편을 갖추어 상기 제1,2지지돌편을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돌편의 하단부 양측면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갖추고, 상기 연장편에 갖추어지는 체결공에 나선 체결된 멈춤볼트에 의해 제2지지돌편을 잡아주어 지지편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돌편을 제2지지돌편에 비해 높은 길이를 갖도록 하여 연장편이 제2지지돌편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시켜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제2지지돌편이 연장편에 구애를 받지 않고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돌편의 저면 중앙에 체결공을 갖추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연결나사를 갖추어 상기 연결나사에 선반이 갖추어진 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나사와 연결나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갖추어진 제1지지돌편에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형성시켜 이에 각종의 조명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편 상단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돌출시켜 주되, 하단면이 레일에 갖추어진 걸이편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걸림면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에 걸이구를 걸어주고자 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레일의 하부에 걸이구가 수직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레일의 개방부를 통해 공간부내로 밀어주기만 하면, 삽입후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걸이구를 레일로부터 분리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걸이구의 양측면을 눌러주기만 하면 개방부를 통해 걸이구가 빠질수 있게 되어 취급상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걸이구가 레일내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도중 걸이구가 공간부내에서 상승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짐이 발생되더라도 걸이구가 레일의 개방부를 통해 임의로 빠지는 일이 없어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걸이구와 레일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인 걸이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걸이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인 걸이구가 레일에 걸리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4a는 걸이구가 레일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도.
도4b는 걸이구가 레일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도.
도4c는 걸이구가 레일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도.
도 5 는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5a는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5b는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걸이구와 레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레일 걸이구를 설명하기에 앞서 레일 걸이구가 걸리게 되는 레일(10)은 직사각 모양을 갖고 내부에 공간부(11)를 갖도록 하되, 저면 중간지점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부(12)를 갖도록 하여 상기 개방부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걸이편(13)이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레일(10) 내부에 본 발명인 레일 걸이구(100)가 끼워지는 상태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레일 걸이구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레일 걸이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레일 걸이구(100)는 지지부(200)와, 걸림부(300) 및 탄성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축핀(24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지지부(200)는 직사각 모양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210,210A)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편의 하면에는 일체로 연장된 상태에서 축핀(240)을 기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1,2지지돌편(220,220A)이 갖추어진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편(210,210A)은 제1,2지지돌편(220,220A)의 중심부를 기점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하므로서, 지지편의 상단부 외측면에 갖추어지는 걸림부(300)가 레일(10)의 걸이편(13)에 걸리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지지돌편(220)은 지지편(210)의 중간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이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하고, 제2지지돌편(220A)은 중간지점에 제1지지돌편(2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공간부(230)를 갖추어 상기 공간부(230)에 제1지지돌편(220)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제1,2지지돌편이 일직선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2지지돌편이 일직선 상태로 끼워지게 되면 축핀(240)에 의해 이들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축핀(240)은 제2지지돌편(220A)의 외측 상단측의 편심되는 지점에서 제1,2지지돌편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주는 것으로서, 지지편(210,210A)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지지편(210)의 저면 양측단면이 제2지지돌편(220A) 상면에 접지하는 상태가 되므로서 더 이상 외측으로는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돌편(220)의 하단부 양측면으로는 연장편(250)을 갖추고, 상기 연장편의 일측에는 멈춤볼트(260)가 체결되는 체결공(251)을 갖추어 멈춤볼트가 제2지지돌편(220A)의 저면에 접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편(210,210A)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한다.
이는 한 쌍의 지지편(210,210A) 선단부분이 레일(10)의 개방부(12)를 통해 공간부(11)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부(300)가 걸이편(130)에 걸쳐지면 멈춤볼트(260)를 돌려 이의 선단면이 제2지지돌편(220A)의 저면에 접지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면 한 쌍의 지지편(210,210A)이 축핀(2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지 못하게 되어 레일(10)에 끼워져 있는 레일 걸이구(100)가 빠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지지돌편(220)은 제2지지돌편(220A)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시켜 제2지지돌편(220A)의 저면과 연장편(250)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축핀(240)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편이 회동시 제2지지돌편(220A)의 회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돌편(220)의 저면 중앙에 갖추어진 체결공(221)에는 연결나사(270)를 체결시켜 선반(30) 등이 고정된 구조물(20)을 체결시켜 주어 선반에 다양한 진열용품 등을 진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나사(270)와 체결공(221)이 갖추어진 제1지지돌편(220)에는 전기선 등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22,271)을 갖추어 레일 걸이구(100)를 사용하여 각종의 조명을 설치 사용하고자 할 때 관통공(222,271)에 전선이 관통하도록 하여 조명을 달아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00)는 한 쌍의 지지편(210,210A) 상단부 외측면에 돌출되는 상태를 갖게 되는데, 이때 하단면을 걸이편(13)에 얹혀지는 상태로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림면(310)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400)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자체의 탄성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한 쌍의 지지편(210,210A) 내측에 양측면이 각각 탄지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한쌍의 지지편(210,210A)이 항상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어, 이의 외측면에 갖추어진 걸림부(300)가 걸이편(13)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편(210,210A)의 내측면에 걸림홈부(211)를 갖추어 탄성부(400)의 양측단부가 각각 걸림홈부(21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탄성부가 지지편 사이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인 레일 걸이구(100)는 레일(10)에 끼움 결합되기 이전에는 도3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400)의 탄성력에 의해 축핀(240)을 기점으로 하여 지지편(210,210A)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편(210)의 양측 하단면은 제2지지돌편(220A)의 상면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서, 제1,2지지편(210,210A)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레일 걸이구(100)를 레일(10)에 걸어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편(210,210A)의 상단부분이 레일(10)의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12)측에 위치하도록 하면, 지지부(210,210A)의 상단부 외측에 갖추어져 있는 걸림부(300)가 개방부(12)의 내측면에 각각 접지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일 걸이부(100)를 상부로 밀어주게 되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2)의 양측 내측면에 접지하고 있는 걸림부(300)가 밀려 들어가려는 힘이 발생되어 축핀(240)을 기점으로 하여 탄성부(400)를 압축하면서 지지편(210210A)이 내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걸림부(300)가 개방부(12)의 내측면을 타고 밀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며, 걸림부(300)가 개방부(12)를 지나 공간부(11)내에 위치하게 되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4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지지편(210,210A)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지지편(210,210A)의 외측면이 개방부(12)의 내측면에 접하는 상태가 됨과 아울러, 걸림부(300)의 걸림면(310)이 걸이편(13)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므로서, 레일 걸이구(100)가 레일(10)에 끼워져 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장편(250)의 일측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멈춤볼트(260)를 돌려 이의 선단면이 제2지지돌편(220A) 저면에 접지되도록 하면 지지편(210,210A)이 축핀(240)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지 못해 사용도중 걸림부(300)가 걸이편(13)으로부터 이격되어 빠지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일(10)에 레일 걸이구(100)의 걸림이 완료되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돌편(220)의 저면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연결나사(270)에 선반(30)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물(20)을 연결시켜 주어 선반에 준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레일 걸이구(100)를 사용하여 조명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지지돌편(220)과 체결공(221)에 체결되는 연결나사(270)에 갖추어져 있는 관통공(222,271)을 통해 전선(도시되지 않음)이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에 조명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0:레일 걸이구 200:지지부
210,210A:지지편 220,220A:제1,2지지돌편
230:공간부 240:축핀
250:연장편 251:체결공
260:멈춤볼트 300:걸림부
310:걸림면 400:탄성부

Claims (8)

  1. 레일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레일 걸이구에 있어서,
    하단부에 위치하는 축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단 부분이 외측을 향하여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외측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갖추어 레일에 갖추어진 걸이편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축핀을 기점으로 외측으로 벌어져 걸림부가 레일의 걸이편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자체의 탄성력을 갖춘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직사각 모양을 갖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중 어느 한쪽의 지지편 하면에 일체로 연장되는 제1지지돌편을 갖추고, 다른 지지편의 하면에 일체로 연장하되 중간지점에 제1지지돌편이 위치할 수 있도록 끼움공간부를 갖는 제2지지돌편을 갖추어 상기 제1,2지지돌편을 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돌편의 하단부 양측면에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갖추고, 상기 연장편에 갖추어지는 체결공에 나선 체결된 멈춤볼트에 의해 제2지지돌편을 잡아주어 지지편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돌편을 제2지지돌편에 비해 높은 길이를 갖도록 하여 연장편이 제2지지돌편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시켜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제2지지돌편이 연장편에 구애를 받지 않고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돌편의 저면 중앙에 체결공을 갖추고,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연결나사를 갖추어 상기 연결나사에 선반이 갖추어진 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와 연결나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갖추어진 제1지지돌편에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형성시켜 이에 각종의 조명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편 상단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돌출시켜 주되, 하단면이 레일에 갖추어진 걸이편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걸림면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걸이구.
KR1020230042024A 2023-03-29 2023-03-29 레일 걸이구 KR10260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024A KR102601771B1 (ko) 2023-03-29 2023-03-29 레일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024A KR102601771B1 (ko) 2023-03-29 2023-03-29 레일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771B1 true KR102601771B1 (ko) 2023-11-15

Family

ID=8874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024A KR102601771B1 (ko) 2023-03-29 2023-03-29 레일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76Y2 (ja) * 1991-12-25 1995-02-22 有限会社岡村 物品の壁面吊り下げ装置
JP2001074007A (ja) * 1999-07-07 2001-03-23 Masakatsu Oonishi 吊り具
KR20090032268A (ko) * 2007-09-27 2009-04-01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76Y2 (ja) * 1991-12-25 1995-02-22 有限会社岡村 物品の壁面吊り下げ装置
JP2001074007A (ja) * 1999-07-07 2001-03-23 Masakatsu Oonishi 吊り具
KR20090032268A (ko) * 2007-09-27 2009-04-01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509B2 (en) Display hanger for curtain rod
US5695078A (en) Adjustable standard system
BRPI0714485A2 (pt) cabide para pendurar em artigo em relaÇço a uma superfÍcie e cabide para pendurar um objeto
US7051984B2 (en) Assembly for supporting and displaying objects
US7118082B2 (en) Retractable hook assembly for mounting on a surface
US2538958A (en) Stand or display system
US1111304A (en) Wardrobe-fixture.
KR102601771B1 (ko) 레일 걸이구
US8439207B2 (en) Drapery display hanger
KR200310103Y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US3980228A (en) Plastic hanger
KR101797641B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02558206B1 (ko) 레일걸이구
JP2001149209A (ja) 衣服用ハンガー掛け具
KR100577939B1 (ko) 다목적 가구
KR102137578B1 (ko) 각도 조절형 신발용 선반
KR100570193B1 (ko) 조립식 장식용 수납선반
US5152230A (en) Joining means for securing articles together
JPH1080369A (ja) キッチン壁への小物品掛止構造
KR102439385B1 (ko) 선반용 옷걸이대
KR200363417Y1 (ko) 선반의 조립구조
JPH0522131Y2 (ko)
CN216135733U (zh) 一种镜柜
KR200258537Y1 (ko) 조립식 선반
JP3048768U (ja) ラック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