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700B1 -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 Google Patents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700B1
KR102474700B1 KR1020200159010A KR20200159010A KR102474700B1 KR 102474700 B1 KR102474700 B1 KR 102474700B1 KR 1020200159010 A KR1020200159010 A KR 1020200159010A KR 20200159010 A KR20200159010 A KR 20200159010A KR 102474700 B1 KR102474700 B1 KR 10247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bracket
gear case
wor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646A (ko
Inventor
김하연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7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공간의 천장에 고정되면서, 시스템 벽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공간의 바닥에 고정되면서, 상기 시스템 벽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 또는 상기 하부지지부와 맞닿으면서 배치되고, 벽면을 형성하며,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벽판부;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물건을 놓아두기 위한 수납부;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및 상기 제2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홈을 포함하는 포스트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사이 및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단면의 형태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단면의 형태와 동일하며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서랍장, 망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바스켓(basket), 메모를 하기 위한 메모보드, 수납홀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납홀을 통과하여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퀵보드 걸이,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 상에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바지 걸이, 및 책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VERSATILE SYSTEM WALL STRUCTURE}
본 출원은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거 공간 내에서 인간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인 생활도구 중의 하나로 가구를 들 수 있는바, 보다 윤택하고 쾌적한 생활 공간의 연출을 위해 가구를 통하여 자신들의 주거 생활 이미지 또는 생활 양식을 구현하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현대에 이르러 개성화, 다양화되는 시대임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식, 기호에 따라 실내 공간 연출의 욕구가 지대한바, 가구는 이러한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환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즉, 오늘날의 가구 형태는 기존과 같이 옷장, 서랍장, 선반, 진열장, 책상 등 단일화된 제품으로 제작, 공급되는 형태에서 탈피하여 주거 공간 내에서 인간의 생활을 원활하게 영위하며 각종 물품, 생활도구, 의류, 서재 등을 포함하는 물품의 용이한 수납 및 보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 중의 하나인 가구를 시스템화하여 제작, 설치 시공되어 공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가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식장, 책장, 드레스룸, 서랍장, 붙박이장, 진열대 등 각종 가구류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 포스트와, 이 포스트를 고정하는 선반받침대 및 선반받침대에 고정되는 선반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 하부는 실내의 바닥면과 천장면에 밀착되어 수직상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 가구는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에서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공간의 천장에 고정되면서, 시스템 벽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공간의 바닥에 고정되면서, 상기 시스템 벽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 또는 상기 하부지지부와 맞닿으면서 배치되고, 벽면을 형성하며,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벽판부;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물건을 놓아두기 위한 수납부;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및 상기 제2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홈을 포함하는 포스트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사이 및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단면의 형태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단면의 형태와 동일하며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서랍장, 망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바스켓(basket), 메모를 하기 위한 메모보드, 수납홀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납홀을 통과하여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퀵보드 걸이,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 상에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바지 걸이, 및 책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웜휠 및 상기 웜휠과 치합하는 웜을 포함하는 제1 웜기어케이스; 및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제2 웜기어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웜기어케이스는, 단면이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의 단면과 동일한 덮개부; 및 외측면이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웜휠 및 상기 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단면과 상기 제2 웜기어케이스의 단면은, 정사각 형상에 기초하되 상하좌우 각각의 측면에 요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는, 상기 웜이 통과하며, 상기 웜이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웜기어케이스는, 상기 웜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웜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승강부에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하부가 개방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상기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측면에서, 상기 포스트프레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를 덮기 위한 측면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프레임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좌측선, 중심선, 및 우측선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선과 상기 우측선은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좌측선과 상기 우측선 상의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상기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 상에서 상기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단면이 F자형이며 상기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1 F자형 브라켓; 단면이 F자형이며 상기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F자형 브라켓; 및 상기 제1 F자형 브라켓 및 상기 제2 F자형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며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선반, 서랍장, 바스켓, 메모보드, 퀵보드 걸이, 바지 걸이, 책상 등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어, 기존의 조립 형태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수납부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하고, 실내 인테리어의 변화로 분위기 연출의 다양성을 추구 및 견고성과 공간 활용성 및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조절가능한 높이조절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므로, 높이가 상이한 어떠한 환경에서도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벽면을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고, 명세서의 일부가 되고,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웜기어케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하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승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하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승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각선반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각선반형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프레임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상부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하부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보강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마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마감틀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마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마감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가드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자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자형 바스켓의 조립에 사용되는 유동방지 파이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조립에 사용되는 처짐방지 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조립에 사용되는 탈락방지 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보드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 걸이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선반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선반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선반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 서랍장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나의 방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드레스룸과 침실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넓은 거실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학습실 등과 같이 다른 용도의 공간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설치 방법과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상부지지부(110), 하부지지부(120), 높이조절부(130), 포스트프레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지부(110)는 공간의 천장에 고정되면서,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부(120)는 공간의 바닥에 고정되면서,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지지부(110)와 하부지지부(120)의 형상과 치수 등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며, 또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높이조절부(130)는 상부지지부(110)와 포스트프레임부(140)의 사이 및 하부지지부(120)와 포스트프레임부(140)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부(130)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위쪽에 배치되거나, 아래쪽에 배치되거나, 또는 위쪽 및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130)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높이가 부족한 경우, 위쪽 또는 아래쪽에 높이조절부(130)가 두 개 이상 구현될 수 있음도 자명하다. 이에, 사용자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다양한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30)의 단면의 형태는 포스트프레임부(140)의 단면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부(130)의 단면은 복수 개의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상부지지부(110) 및 하부지지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제1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및 제2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은 벽판부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된 브라켓이고, 제2 브라켓은 수납부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일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좌측선, 중심선, 및 우측선을 포함하고, 좌측선과 우측선은 중심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좌측선과 우측선 상의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제1 홈을 포함하고, 중심선 상에서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벽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벽판부(150)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벽판부(150)는 제1 브라켓(151)을 포함할 수 있다. 벽판부(150)는 부착된 제1 브라켓(151)을 사용하여 포스트프레임부(140)의 제1 홈에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다.
벽판부(150)는 대칭되도록 짝수 개의 제1 브라켓(151)(예를 들어, 도 2에서는 4개)을 포함하므로, 벽판부(150)의 복수 개의 제1 브라켓(151) 중 절반은 포스트프레임부(140)의 제1 홈에 체결되고, 나머지 절반은 다른 쪽의 포스트프레임부의 제1 홈에 체결될 수 있다.
벽판부(150)는 상부지지부(110) 또는 하부지지부(120)와 맞닿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벽판부(150)를 사용함으로써 일 공간의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를 차지하여,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에 벽판부(150)가 설치되고나면, 포스트프레임부(140)에서 노출되는 제2 홈의 피어싱은 5.5mm 이하일 수 있다.
벽판부(150)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벽판부(150)를 사용하여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를 막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벽판부, 세 개의 벽판부, 네 개의 벽판부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선반(160) 및 측면마감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160)은 물건을 올려두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선반(160)은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60)은 부착된 제2 브라켓을 사용하여 포스트프레임부(140)의 제2 홈에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을 위하여 두 개의 제2 브라켓이 제2 홈에 체결될 수 있고, 제2 홈의 피어싱 넓이는 7mm일 수 있다.
선반(160)은 대칭되도록 짝수 개의 제2 브라켓을 포함하므로, 선반(160)의 복수 개의 제2 브라켓 중 절반은 포스트프레임부(140)의 제2 홈에 체결되고, 나머지 절반은 다른 쪽의 포스트프레임부의 제2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선반(160)은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측면마감부(170)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측면에서, 포스트프레임부(140) 및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130)를 덮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측면마감부(170)를 사용하여 구성품들을 내부에 숨김으로써 깔끔하게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측면마감부(17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는 서랍장(180) 및 책상(19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랍장(180)은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랍장(180)이 2단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단, 3단, 4단 등 희망하는 단 수로 서랍장(180)을 설치할 수 있다.
서랍장(18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책상(190)은 사용자가 읽기, 쓰기와 같은 독서, 학습 등의 활동을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책상(190)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상으로, 도 1 내지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가 물건을 놓아두기 위한 수납부로서 선반(160), 서랍장(180), 책상(19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납부는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서랍장, 망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바스켓(basket), 메모를 하기 위한 메모보드, 수납홀을 포함하면서 수납홀을 통과하여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퀵보드 걸이,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파이프 상에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바지 걸이, 및 책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와 수납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2 브라켓의 예로서는 도 6, 7, 및 15 내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웜기어케이스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하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승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하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웜기어케이스가 승강하였을 때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130)는, 웜휠(133) 및 웜휠(133)과 치합하는 웜(132)을 포함하는 제1 웜기어케이스(131) 및 제1 웜기어케이스(131)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제2 웜기어케이스(135)를 포함한다.
제1 웜기어케이스(131)는, 웜(132)이 통과하며, 웜(132)이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웜기어케이스(135)는, 웜(132)이 회전하는 동안 웜(132)과 접촉하지 않도록, 승강부(137)에서 상하 방향으로 하부가 개방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의 모양은 사각형, 아치형, 타원형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2 웜기어케이스(135)는, 단면이 제1 웜기어케이스(131)의 단면과 동일한 덮개부(136)와, 외측면이 제1 웜기어케이스(131)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제1 웜기어케이스(131)의 내부에서 웜휠(133) 및 웜(1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36)의 단면과 제2 웜기어케이스(135)의 단면은, 정사각 형상에 기초하되 상하좌우 각각의 측면에 요부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정사각형에서, 4개의 모서리 각각에 동일한 제2 정사각형을 배치한 형상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정사각형의 지름은 제1 정사각형의 지름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높이조절부(130)는 포스트프레임부(140)와 접하므로, 단면이 포스트프레임부(140)의 단면과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웜(13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웜기어케이스(135)를 상승시켜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웜(13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웜기어케이스(135)를 하강시켜 높이조절부(13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이한 높이의 다양한 환경에서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이르는 공간을 가득 채우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드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각선반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각선반형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7b에서 설명된 브라켓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포스트프레임부의 제2 홈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a 내지 도 7b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합판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포스트프레임부가 있을 수 있으며, 각 포스트프레임부의 동일한 위치에 두 개 이상의 브라켓이 설치되어 그 위에 선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의 브라켓의 홀 가공에 있어서는 사라 홀 가공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프레임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상부지지부(110) 및 하부지지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제1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홈(141-1 및 141-2) 및 제2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은 벽판부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된 브라켓이고, 제2 브라켓은 수납부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일 수 있다. 제1 홈(141-1 및 141-2)은 홈가공으로 가공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좌측선, 중심선, 및 우측선을 포함하고, 좌측선과 우측선은 중심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부(140)는 좌측선과 우측선 상의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제1 홈(141-1 및 141-2)을 포함하고, 중심선 상에서 제2 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상하부 지지부는 오픈 양면장에 사용되는 기둥형 포스트 상하부 지지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하부 지지부,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 그리고 조립볼트를 사용하여 상하부 지지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하부 지지부는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부지지부(110) 또는 하부지지부(120)와 동일할 수 있다.
상하부 지지부의 홀에 있어서는, M3 탭가공이 사용되며, 연결부속의 홀에 있어서는 사라 홀 가공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상하부 지지부는 백판 양면장에 사용되는 기둥형 백판 양면 상하부 지지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하부 지지부, 상하부 지지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 그리고 조립볼트를 사용하여 상하부 지지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하부 지지부는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부지지부(110) 또는 하부지지부(120)와 동일할 수 있다.
상하부 지지부의 홀에 있어서는, M3 탭가공이 사용되며, 연결부속의 홀에 있어서는 사라 홀 가공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상부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하부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보강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벽판부는 벽부형 백판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벽부형 백판 상부브라켓, 벽부형 백판 하부브라켓, 벽부형 백판 보강부속을 사용하여 벽판부를 설치할 수 있다.
벽부형 백판 보강구속에 있어서는 5mm 관통 보링이 사용되며, 백판 상부 브라켓에 있어서는 백판 브라켓 유도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판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벽판부는 기둥형 백판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백판) 브라켓을 사용하여 벽판부를 조립할 수 있다.
브라켓에 있어서는 5mm 관통 보링이 사용되며, 조립 시에는 백판 브라켓 유도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마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마감틀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마감부의 조립에 사용되는 연결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마감부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 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양면장 측면 마감틀, 연결부속을 사용하여 측면 마감부를 조립할 수 있다.
측면 마감틀의 경우, 기둥형 백판형에서 백판이 시공되면 양쪽 측면에 포스트프레임부(140)가 노출이 되는 부분을 측면 마감틀 시공을 통해 백판과 일체감을 주도록 마감하는 것이다. 안쪽의 측면 마감틀 내부 구성품(측면 마감틀 연결부속)은, 측면 마감틀을 포스트프레임부(140)의 기둥에 고정하는 방식이 아닌, 백판을 해체 할 수 있는 것처럼 측면 마감틀 또한 해체가 가능하도록 포스트프레임부(140)에 클립 형태로 끼워서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에, 상부지지부(110), 하부지지부(120), 포스트프레임부(140)의 노출되는 부분에 측면 마감틀을 시공함으로써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가 일체화 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속의 조립에 있어서는 M4 탭가공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가드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벽판부의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후면가드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후면가드는 벽판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벽판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자형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자형 바스켓의 조립에 사용되는 유동방지 파이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두 개의 F자형 브라켓을 사용하여 선반을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이 F자형이며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1 F자형 브라켓이 고정된 제1 포스트프레임부가 있고, 단면이 F자형이며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F자형 브라켓이 고정된 제2 포스트프레임부가 있을 수 있다. 제1 F자형 브라켓과 제2 F자형 브라켓은 다른 포스트프레임부의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F자형 브라켓 및 제2 F자형 브라켓의 사이에 합판이 위치할 수 있다. 즉, F자형의 브라켓에서 ㄷ자형의 부분이 합판을 잡는 형상으로 합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합판 위에 물건을 올려둘 수 있다.
F자형 브라켓에는 3.5mm 탭가공과, 5mm 관통 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조립에 사용되는 처짐방지 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의 조립에 사용되는 탈락방지 부속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바스켓, 바스켓 처짐방지 부속, 바스켓 탈락방지 부속을 사용하여 바스켓을 조립할 수 있다.
바스켓은 망 형태로 되어있을 수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a는 1단 서랍장(브론즈 유리형)을 나타내고, 도 17b는 2단 서랍장(브론즈 유리형)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더에 있어서, 3단 볼레일, 5T 브론즈 강화유리, MDF 9T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랍장에 디바이더를 사용하여 공간을 더 나누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서는 동일한 간격의 디바이더를 사용하여 서랍장을 나누어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이한 간격, 상이한 수의 칸을 사용하는 디바이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보드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보드 걸이 브라켓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선반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선반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선반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 걸이 서랍장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정면도, 상면도, 측면도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메모보드, 퀵보드 걸이, 박스 선반, 경사 선반, 유리 선반, 바지 걸이 서랍장, 책상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상부지지부
120: 하부지지부
130: 높이조절부
131: 제1 웜기어케이스
132: 웜
133: 웜휠
135: 제2 웜기어케이스
136: 덮개부
137: 승강부
140: 포스트프레임부
141-1: 제1 홈
141-2: 제1 홈
143: 제2 홈
150: 벽판부
151: 제1 브라켓
160: 선반
170: 측면마감부
180: 서랍장
190: 책상

Claims (8)

  1. 공간의 천장에 고정되면서, 시스템 벽면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
    상기 공간의 바닥에 고정되면서, 상기 시스템 벽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 또는 상기 하부지지부와 맞닿으면서 배치되고, 벽면을 형성하며,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벽판부;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물건을 놓아두기 위한 수납부;
    상기 상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1 홈 및 상기 제2 브라켓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홈을 포함하는 포스트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사이 및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단면의 형태가 상기 포스트프레임부의 단면의 형태와 동일하며 복수의 요철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선반,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서랍장, 망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물건을 넣어두기 위한 바스켓(basket), 메모를 하기 위한 메모보드, 수납홀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납홀을 통과하여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퀵보드 걸이, 복수 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 상에 물건을 걸어두기 위한 바지 걸이, 및 책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웜휠 및 상기 웜휠과 치합하는 웜을 포함하는 제1 웜기어케이스, 및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제2 웜기어케이스를 포함하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웜기어케이스는,
    단면이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의 단면과 동일한 덮개부; 및
    외측면이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웜휠 및 상기 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단면과 상기 제2 웜기어케이스의 단면은,
    정사각 형상에 기초하되 상하좌우 각각의 측면에 요부를 갖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웜기어케이스는,
    상기 웜이 통과하며, 상기 웜이 상기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웜기어케이스는,
    상기 웜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웜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승강부에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하부가 개방된 홈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의 측면에서, 상기 포스트프레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부를 덮기 위한 측면마감부
    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프레임부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좌측선, 중심선, 및 우측선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선과 상기 우측선은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좌측선과 상기 우측선 상의 동일한 높이에서 각각 상기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선 상에서 상기 제2 홈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단면이 F자형이며 상기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1 F자형 브라켓;
    단면이 F자형이며 상기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2 F자형 브라켓; 및
    상기 제1 F자형 브라켓 및 상기 제2 F자형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하며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합판
    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KR1020200159010A 2020-11-24 2020-11-24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KR10247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10A KR102474700B1 (ko) 2020-11-24 2020-11-24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10A KR102474700B1 (ko) 2020-11-24 2020-11-24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46A KR20220071646A (ko) 2022-05-31
KR102474700B1 true KR102474700B1 (ko) 2022-12-05

Family

ID=8178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010A KR102474700B1 (ko) 2020-11-24 2020-11-24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87B1 (ko) * 2022-06-14 2023-03-16 전향자 포스트 높이조절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월
KR102542834B1 (ko) * 2022-12-09 2023-06-14 주식회사 미디자인건설 인테리어용 소품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04B1 (ko) 2006-12-21 2014-08-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벽체 가구 시스템
KR200484969Y1 (ko) 2017-06-15 2017-11-14 이용백 선반 조립체
WO2019215443A1 (en) 2018-05-08 2019-11-14 Infinitas R & D Limited Modular furniture assembly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917A (en) * 1991-12-02 1993-01-12 Castillo Haucke J M Del Modular panel wall structure
KR960000286U (ko) * 1994-06-11 1996-01-17 류근철 가구의 수평 조절 장치
US5899035A (en) * 1997-05-15 1999-05-04 Steelcase, Inc.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KR200445931Y1 (ko) * 2007-08-28 2009-09-10 김영미 건축물의 장식판넬 설치구조
KR20130080692A (ko) * 2012-01-05 2013-07-15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상하조절이 가능한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04B1 (ko) 2006-12-21 2014-08-0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벽체 가구 시스템
KR200484969Y1 (ko) 2017-06-15 2017-11-14 이용백 선반 조립체
WO2019215443A1 (en) 2018-05-08 2019-11-14 Infinitas R & D Limited Modular furniture assembly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46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700B1 (ko)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US20110115351A1 (en) Modular Case Goods and Components
US11147386B2 (en) Modular hidden bed cabinet
KR101715597B1 (ko) 복합형 가구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JP3116490U (ja) ウォークインクローゼット
KR102036140B1 (ko) 선반조립체
KR101460583B1 (ko) 시스템 가구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JP6984428B2 (ja) 住宅の収納構造
KR100577939B1 (ko) 다목적 가구
TWM554305U (zh) 床邊櫃改良結構
KR102513043B1 (ko)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KR200285496Y1 (ko) 옷장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JP7484360B2 (ja) 建築物
JP7421848B2 (ja) 住居構造
KR200495665Y1 (ko) 확장용 서가
KR200369562Y1 (ko) 벽면 설치구조물의 패널 지지구조
JP4290973B2 (ja) 収納棚
KR200457684Y1 (ko) 조립식 가구
RU196389U1 (ru) Предмет мебели с раскладным столом
KR200340855Y1 (ko) 선반을 구비한 침대
KR100241720B1 (ko) 시스템퍼니쳐
KR200363467Y1 (ko) 포스트 아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