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43B1 -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043B1
KR102513043B1 KR1020210113071A KR20210113071A KR102513043B1 KR 102513043 B1 KR102513043 B1 KR 102513043B1 KR 1020210113071 A KR1020210113071 A KR 1020210113071A KR 20210113071 A KR20210113071 A KR 20210113071A KR 102513043 B1 KR102513043 B1 KR 10251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horizontal frame
connecting member
typ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878A (ko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김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영 filed Critical 김건영
Priority to KR1020210113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0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1Furniture units made of wire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수평으로 다단 연결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조립식 가구 프레임을 소비자가 구매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에 따라 소비자 자신의 미적 감각, 요구에 맞도록 설치 가능하므로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소비자 자신만의 가구 연출에 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가구를 소비자의 기호 변화 및 실내 인테리어 변경 욕구가 발생되는 등의 변화에 의해 기 설치되어 있는 가구재의 분해 및 재설치시, 용이하게 분해 및 재조립에 의한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Assembly Type System Furniture Frame}
본 발명은 시스템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간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변화 및 변경에 의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주거 공간내에서 인간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필수적인 생활도구 중의 하나로 가구를 들 수 있는바, 보다 윤택하고 쾌적한 생활 공간의 연출을 위해 가구를 통하여 자신들의 주거 생활 이미지 또는 생활 양식을 구현하며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현대에 이르러 개성화, 다양화되는 시대임을 반영하여 다양한 양식, 기호에 따라 실내 공간 연출의 욕구가 지대한바, 가구는 이러한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환되는 트랜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오늘날의 가구 형태는 기존과 같이 옷장, 서랍장, 선반, 진열장, 책상 등 단일화된 제품으로 제작, 공급되는 형태에서 탈피하여 주거 공간은 물론이고,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의 실내 공간내에서 인간의 생활 및 활동을 원활하게 영위하며 각종 물품, 생활도구, 의류, 서재 등을 포함하는 물품의 용이한 수납 및 보관은 물론, 전시장 등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전시 상품 등을 수용하고자 하는 도구 중의 하나인 가구를 시스템화하여 제작, 설치 시공되어 공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수요자의 니즈(Nedds)가 시장에 반영되는 결과로 볼 수 있는데, 전형적인 가구 형태 및 구조 보다는 가구의 목적이나 배치 형태와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시도에 의한 시스템 가구 또는 시스템 가구로 구현되기 위한 가구 프레임 구조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며 개시되고 있다.
예컨데 기존의 가구, 수납장, 진열장 등은 통상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정형화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는바, 목재 또는 합성수지 및 철재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주 골조를 구성한 후, 상기 지주 골조에 물건 등을 진열·전시할 수 있는 재치대(또는 거치패널 등)을 거치시키는 형태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한 통상적 구조의 가구 또는 전시용 가구, 수납장, 진열장 등은 나사나 못 등의 체결도구를 사용하여 조립되므로, 조립과 분해 작업시 망치, 드라이버 및 특수 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시간 또한 오래 걸리며, 한 번 설치된 가구(조립식 가구를 포함하여)는 다시 분해하여 새로운 형태로 변형하여 재설치 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통상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조립식 가구의 경우 미리 설계된 형태의 가구를 분해한 부속품으로 생산, 유통되어 소비자가 이를 구입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에서 조립·사용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공구가 필요하고 혼자서 가구를 조립하거나 분해하기 힘들고, 또한 미리 정해진 형태로만 조립을 해야 하므로 사용 장소에 따라 가구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이와 달리 정형화된 형태와 수납공간을 갖는 일체형의 완성된 구조를 갖도록 외형과 수납공간이 동일한 수납함을 제공하여 사용자 자신의 설치공간과 물품의 종류 및 양을 고려하여 적정 개수로 조립할 수 있도록 판넬과 이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조립형 수납함 구조로 제공되기도 한다.
예컨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41156 호인 '조립식 다단 수납장'은 다수개의 패널이 고정구로 결합되어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장을 제공하여, 수납공간의 크기 조절에 의한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8-0109296 호인 '조립식 수납장치'는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각 수납부를 분해하지 않고 직접 연결 조합(조립) 할 수 있어 내부 수납 물품을 별도로 정리할 필요 없이 수납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태로의 조합 및 조립에 의한 변형 설치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 조립식 수납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수납장의 구조는 판넬이 두꺼워 조립이 쉽지 않고 판넬과 결합 부속품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 수납 물건의 하중에 의해 쉽게 해체되는 등 사용상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정형화된 규격을 갖는 수납장의 제공에 의해 소비자가 다수의 수납장을 연결하며 실내에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판매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수납장 형식의 가구는 주로 사용자가 사용 도중 수납대상 물품의 증가 또는 집안의 가구 배치 변경을 하고자 하는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이미 설치된 가구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경하고자 할 때 용이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수납장 형식의 가구 크기 또는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 등이 판매되고 있지만, 조립식 가구의 크기 또는 형태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숙련도를 가진 사람만이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불편함과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기술 이외에 앞서 언급한 시스템 가구 즉 가구를 시스템화하여 제작, 설치 시공되어 공급되는 트랜드도 시장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가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식장, 책장, 드레스룸, 서랍장, 붙박이장, 진열대 등 각종 가구류를 구성하도록 하기 위해 포스트와, 이 포스트를 고정하는 선반받침대 및 선반받침대에 고정되는 선반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상,하부는 실내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밀착되어 수직상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시스템가구와 관련하여 제시될 수 있는 종래 기술 중의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461778 호인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779호인 '시스템 가구용 선반 받침대'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 가구는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고, 시각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여 인테리어적 연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심미감과 상품 진열 기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전시장과 같은 진열장 형태로의 구조로는 다소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841156 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8-0109296 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461778 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461779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등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립식 가구 프레임을 소비자가 구매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의 공간에 따라 소비자 자신의 미적 감각 및 요구에 맞도록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내 인테리어의 우수한 효과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 소비자의 기호 변화 및 실내 인테리어 변경 욕구가 발생되었을 때 기 설치되어 있는 가구를 용이하게 분해 및 재조립에 의한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다단 연결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조립식 가구 프레임을 소비자가 구매 후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에 따라 소비자 자신의 미적 감각, 요구에 맞도록 설치 가능하므로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고, 소비자 자신만의 가구 연출에 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가구를 소비자의 기호 변화 및 실내 인테리어 변경 욕구가 발생되는 등의 변화에 의해 기 설치되어 있는 가구재의 분해 및 재설치시, 용이하게 분해 및 재조립에 의한 설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일실시 형태를 보인 가구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연결부재 중 수직프레임이 두 방향으로 연결되어질 때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연결부재 중 수직프레임이 세 방향으로 연결되어질 때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연결부재 중 수직프레임이 네 방향으로 연결되어질 때 사용되는 연결부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 2에 의한 연결부재를 활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도 3에 의한 연결부재를 활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도 4에 의한 연결부재를 활용하여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연결되는 상태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네 방향으로 수평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활용한 각 실시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듯이,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수직프레임(100)간을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00)과, 사기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도 1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가구재(1)를 이루는 기본 골조 중의 하나를 의미하며, 둥근 환봉 형태로 구성된다.
수직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실내의 바닥면과 접하는 바닥고정부재(110)가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마감캡(120)에 의해 마감처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직프레임(100)은 실내의 바닥면에서부터 실내 천정까지 이어질수도 있고, 실내 천정까지 미치지 않는 길이를 갖을 수도 있다.
하나의 가구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상기한 수직프레임(100)들의 길이를 모두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수직프레임(1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100)을 수평 연결하는 프레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수평프레임(200)은 후술하게 되는 연결부재(300)의 연결방향 개수에 따라 그 구조가 도 5 내지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도 5 에 의한 수평프레임(200)은 중공(中空)의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평선상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211)을 이루고, 상기 몸체부(210) 하면으로 요홈부(212)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0)은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수평선상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211)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몸체부(210)는 도 5 에서 보듯이 수직면(213)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중공(中空) 의 반원호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210)가 반원호 형태를 갖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면(213)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수평연장편(211)이 연하여 이어지게 되고, 반원호 형태를 갖는 몸체부(210)의 하단면에 요홈부(212)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몸체부(210)를 도 7 에서 보듯이 중공(中空)의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사각형태의 몸체부(210)의 양측 하단에서 각각 수평선상으로 수평연장편(211)이 연하여 이어지게 하고, 상기 몸체부(210)의 하단면에 요홈부(2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상에 이격되는 복수의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각각 이격되는 위치상에 복수개 고정된 연결부재(300)와 연결부재(300) 사이를 수평프레임(200)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한 연결부재(300)는 수평프레임(200)이 연결되는 개수에 따라 연결방향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00)은 도면에서 보듯이 원봉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이 연결부재(300)를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00)의 적정 위치에 연결부재(300)가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연결부재(300)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311)을 갖는 연결부재몸체(310)와, 상기 연결부재몸체(310)의 측면으로 수평프레임(200)과 연결 고정되기 위한 수평프레임연결부(320)가 구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320)는 연결부재몸체(310)를 기준으로 최소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각각 직각 형태를 이루며 수평선상으로 분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300)와 수직프레임(100)간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부재(300)의 수평프레임연결부(320)와 연결부재몸체(310)를 연통하여 체결공(321)이 천공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체결공(321)을 통하여 연결부재(300)와 수직프레임(100)간을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의 수평프레임연결부(320) 하단 내주면으로 돌출부(323)를 구성하여,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몸체부(210)에 구성되는 요홈부(212)와 대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부재(300)의 돌출부(323)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몸체부(210) 저면에 형성되는 요홈부(212)와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되어,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연결부재(300)와 연결부재(300)들이 고정된 후, 그 연결부재(300) 사이에 수평프레임(200)을 안착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320)의 체결공(321)을 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00)을 따라 일정 간격 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소정 간격을 두며 상기 연결부재(30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간을 고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00) 및 그 인접되는 타 수직프레임(100)들에는 각각 동일한 위치에서 연결부재(300)가 고정 결합되어야 한다.
예컨데 선반패널(400) 등을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이용하여 고정 안착시킬 경우 최소 4개의 수직프레임(100)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부재(300)들은 수평선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야 상기 선반패널(400)이 수평을 이루며 고정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몸체(310)를 기준으로 최소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각각 직각 형태를 이루며 수평선상으로 분기되는데 최소 2개의 직각 방향으로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구성하거나, 또는 도 3 에서 보듯이 3개소로 구획되는 270°범위내에서 각각 90°방향으로 3방향 분기되거나 또는 도 4에서 보듯이 4개소로 구획되는 380°범위내에서 각각 90°방향으로 4방향 분기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는 연결부재몸체(310)를 기준으로 직각 형태를 이루며 2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를 도시한 것이다.
2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의 경우,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320)와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00)은 도 5에서 보듯이 수직면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중공(中空)의 반원호 형태를 갖는 몸체부(210)를 이루고, 상기 수직면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211)을 이루며, 상기 반원호 형태를 이루는 몸체부(210)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요홈부(212)의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수평프레임(200)과 2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가 각각 결합되어지면, 도 1에서와 같은 형태의 사각 프레임을 이루게 되고,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수평연장편(211) 상측으로 선반패널(400)을 안착하며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가 적용되는 영역은 도면에서 보듯이 전체 가구 프레임의 구성 중에서 주로 최상단 및 최하단과 외측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모퉁이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예컨데 3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가 적용되는 영역은 도 @에서 보듯이 전체 가구 프레임의 구성 중 모퉁이 영역을 제외한 전체 가구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양측면 중앙 영역에 해당 될 수 있다.
상기한 3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의 경우, 도 6에서 보듯이 양측방향으로 대향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는 몸체부(210)가 반원호 형태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고, 중앙의 수평프레임연결부(320)는 몸체부(210)가 사각 형태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이와 달리 4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가 적용되는 영역 도 7에서 보듯이 전체 가구 프레임의 전체 구성 영역 중 최외곽 모서리영역과 최외측면을 제외한 주로 중앙 영역에 해당 될 수 있다.
상기한 4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의 경우,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부재(300)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몸체부(210)가 반원호 형태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연결되면, 이와 대향되는 방향의 수평프레임연결부(320)는 몸체부(210)가 사각 형태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즉, 어느 한 방향의 몸체부(210)가 반원호 형태의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고 이와 대향되는 방향으로는 몸체부(210)가 사각 형태의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고, 직교되는 방향으로도 어느 한측의 방향에서 몸체부(210)가 반원호 형태의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는 구조일 경우 이와 대향되는 방향으로는 몸체부(210)가 사각 형태의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8 또는 도 9에서와 같은 형태의 연결부재(300)의 채택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4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에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4개의 방향으로 각각 동일하게 상부돌출편(325)과 하방으로 대향되는 베이스(32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322) 상면측 중앙으로 상기의 돌출부(32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4개의 방향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되는 베이스(322) 및 상부돌출편(325)을 갖는 연결부재(300)는 도 9에서 보듯이 사각형태의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2개 또는 3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나, 4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에서의 수평프레임연결부(320)에 반원호 형태의 몸체부(210)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연결되어질 때의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320)의 구성은 이와 대응되는 형태인 반원호 형태의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3개 또는 4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에서, 상기한 반원호 형태의 몸체부(210)를 갖는 수평프레임(200)과 사각 형태의 몸체부(210)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상기 연결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3개 또는 4개의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320)를 갖는 연결부재(300)의 구성에서 사각 형태의 몸체부(210)를 갖는 수평프레임(200)이 연결되는 부위의 경우 도 4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양측방이 개방되며 저면측으로 베이스(322)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322) 상면으로 돌출부(323)를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322)와 대향되는 상측으로는 상부돌출편(325)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각 형태의 수평프레임(200)이 결합되어질 때 상기 베이스(322) 상면의 돌출부(323)는 사각 형태의 상기 수평프레임(200) 저면에 구비되는 요홈부(212)와 결합 지지되며 사각 형태의 상기 수평프레임(200) 상단부를 상기 상부돌출편(325)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의 돌출부(323)를 관통하는 결속공(324)을 천공하여 상기 연결부재(300)와 결속되는 수평프레임(200)을 상기 결속공(324)을 통하여 피스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속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100)을 다수개 전후 좌우로 배열하며 배치한 다음, 각 수직프레임(100)들에 적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며 연결부재(300)를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각 연결부재(300)와 인접하는 타 연결부재(300)간을 수평프레임(200)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00)들의 하단부 양측 또는 일측에는 수평연장편(211)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수평연장편(211) 상면측으로 선반패널(400)을 안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패널(400)은 목재, 합성수지재, 유리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수평간 수평프레임(20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300)의 경우 상기한 수평타입의 선반패널(400)을 안착할 수 있는데, 수직간 연결부재(300)와 연결부재(300)에는 격벽패널(500)을 수평연장편(211)을 활용하여 고정 거치할 수 있다.
상기 격벽패널(500)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패널(500)과 상기 연결부재(300)에 의해 상하로 각각 구분되며 형성되어 있는 상하 수평프레임(200)간의 수평연장편(211)에 의해 상기 격벽패널(500)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스 등의 고정수단을 활용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에 의한 본 발명의 구성을 활용하여 조립 과정이 완료된 후, 필요에 따라 조립 상태를 변경·변형하고자 하는 경우 간단하게 선반패널(400)과 연결부재(300) 및 수평프레임(200), 수직프레임(100)수직프레임(100) 후 사용자가 원하는 배치타입이나 인테리어 효율성을 고려한 재조립시에도 간단한 작업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가구재 100; 수직프레임
110; 바닥고정부재 120; 마감캡
200; 수평프레임 210; 몸체부
211; 수평연장편 212; 요홈부
213; 수직면 300; 연결부재
310; 연결부재몸체 311; 관통공
320; 수평프레임연결부 321; 체결공
322; 베이스 323; 돌출부
324; 결속공 325; 상부돌출편
400; 선반패널 500; 격벽패널

Claims (15)

  1. 다수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수평으로 다단 연결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연결부재몸체 및 상기 연결부재몸체 측면으로 상기 수평프레임과 연결 고정되기 위한 수평프레임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재몸체를 연통하는 체결공이 천공되어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공(中空)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평선상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
    상기 몸체부 하면으로 형성되는 요홈부;
    를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공(中空)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수평선상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
    상기 몸체부 하면으로 형성되는 요홈부;
    를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수직면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중공(中空)의 반원호 형태를 갖는 몸체부;
    상기 수직면의 하단부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
    상기 반원호 형태를 이루는 몸체부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요홈부;
    를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중공(中空)의 사각 형태를 갖는 몸체부;
    상기 사각 형태의 몸체부 양측 하단에서 각각 수평선상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수평연장편;
    상기 사각 형태의 몸체부 하단면에 구비되는 요홈부;
    를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재몸체를 기준으로 최소 2방향 내지 4방향으로 각각 직각 형태를 이루며 수평선상으로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2개의 직각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를 갖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 가구 프레임의 구성 중에서 최외측의 모서리 영역 수직프레임에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영역에 해당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270°범위내에서 각각 90°를 이루며 3개의 직각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를 갖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 가구 프레임의 구성 중에서 모서리 영역을 제외한 전면 및 후면, 양측면 중앙 영역에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영역에 해당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360°범위내에서 각각 90°를 이루며 4개의 직각 방향으로 수평선상 분기되는 수평프레임연결부를 갖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 가구 프레임의 구성 영역 중 내부 영역에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영역에 해당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와 결합되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몸체부가 반원호 형태를 이루는 경우, 상기 몸체부와 대응되는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는 반원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와 결합되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몸체부가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경우,
    상기 몸체부와 대응되는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는 양측방이 개방되며 저면측으로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상면으로 돌출부를 이루고,
    상기 베이스와 대향되는 상측으로 상부돌출편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연결부의 하단 내주면으로 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결속공을 포함하는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KR1020210113071A 2021-08-26 2021-08-26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KR10251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71A KR102513043B1 (ko) 2021-08-26 2021-08-26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71A KR102513043B1 (ko) 2021-08-26 2021-08-26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78A KR20230030878A (ko) 2023-03-07
KR102513043B1 true KR102513043B1 (ko) 2023-03-23

Family

ID=8551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71A KR102513043B1 (ko) 2021-08-26 2021-08-26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0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064B2 (ja) * 1991-06-13 2000-10-10 トピー工業株式会社 薄板ばねの改良オーステンパ熱処理方法
JP2003049814A (ja) * 2001-08-07 2003-02-21 Makiko Suematsu 角パイプジョイント部品
US20070052333A1 (en) * 2003-10-31 2007-03-0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rame construction for an air handl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5084B2 (ja) 2001-06-11 2004-08-1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基板に対するプラズマ処理方法及び半導体基板のためのプラズマ処理装置
JP3098064U (ja) * 2003-05-26 2004-02-19 王 滄洲 水平及び垂直連結機能を具えた管継手
KR100461778B1 (ko) 2003-12-20 2004-12-16 이복섭 광고용 바닥매트
KR20130002472A (ko) * 2011-06-29 2013-01-08 (주)메탈프린스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KR101841156B1 (ko) 2016-11-08 2018-03-22 (주)이화실업 조립식 다단 수납장
KR102349937B1 (ko) 2017-03-27 2022-01-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마스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064B2 (ja) * 1991-06-13 2000-10-10 トピー工業株式会社 薄板ばねの改良オーステンパ熱処理方法
JP2003049814A (ja) * 2001-08-07 2003-02-21 Makiko Suematsu 角パイプジョイント部品
US20070052333A1 (en) * 2003-10-31 2007-03-0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rame construction for an air handl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878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8515B2 (en) Modular interior design system
US8832917B1 (en) Method for assembly of structural system
US9930959B2 (en) Modular furniture and structures
US20100090567A1 (en) Storage furniture system and methods for assembling the storage furniture system
US7798076B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100004803U (ko) 수납공간의 높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책장(선반)
KR102474700B1 (ko) 다용도 시스템 벽면 구조
KR102513043B1 (ko) 조립 타입 시스템 가구 프레임
US10856658B2 (en) Kit for providing modular kitchens
KR20130103087A (ko) 선반 모듈 조립체
KR102092626B1 (ko) 시스템 가구 구조
GB2525255A (en) Mountable furniture system
US3829190A (en) Cabinet prefabrication system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US20040004417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of assembly
US20160262535A1 (en) Kit for assembling furniture, and piece of furniture thus obtained
KR102598229B1 (ko) 조립식 책장
KR200211411Y1 (ko) 조립식 수납구겸 책장
KR200191073Y1 (ko) 가구용 고정구조
KR200344269Y1 (ko) 가구용 기둥체
KR200346382Y1 (ko) 고정회동식 스탠드 행거
KR100241720B1 (ko) 시스템퍼니쳐
KR20140000265U (ko) 시스템 가구의 코너 도어
RU2812376C1 (ru) Мебельный модуль
CN212729479U (zh) 穿鞋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