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383B1 - 접이식 선반 - Google Patents
접이식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6383B1 KR101866383B1 KR1020170174705A KR20170174705A KR101866383B1 KR 101866383 B1 KR101866383 B1 KR 101866383B1 KR 1020170174705 A KR1020170174705 A KR 1020170174705A KR 20170174705 A KR20170174705 A KR 20170174705A KR 101866383 B1 KR101866383 B1 KR 101866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main frame
- connection
- folding
- hin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접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선반은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메인 프레임 내지 제4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 프레임에 고정 연결하거나, 제3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4 메인 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 부재;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1 연결프레임;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2 연결프레임; 상기 제2-1 연결프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2 연결프레임; 및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인입되어 관통되며, 타측은 상기 2-2 연결프레임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제4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선반은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메인 프레임 내지 제4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 프레임에 고정 연결하거나, 제3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4 메인 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 부재;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1 연결프레임;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2 연결프레임; 상기 제2-1 연결프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2 연결프레임; 및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인입되어 관통되며, 타측은 상기 2-2 연결프레임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제4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접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물건이나 물품을 올려놓고 진열하거나, 보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대개 벽면에 설치되는 선반과 바닥면에 놓여지는 선반으로 구분된다.
이 중 바닥면에 놓여지는 선반은 전면과 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이 막히거나 또는 전면과 측면은 물론 후면이 모두 개방되는 구조로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지는 복수개의 지주프레임과 복수개의 지주프레임 내부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주프레임과 내부에 다단으로 구비되는 선반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이 고정돌기나 고정홈 또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피스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선반은 다단으로 구비되는 선반에 물건이나 물품을 올려놓고 진열 또는 보관할 때 사용되고는 있으나, 선반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무거운 선반 전체를 들어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운반자로 하여금 무리하게 힘을 사용하도록 함에 따라, 피로감이나 근육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반들이 지주프레임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선반들도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 경우 역시 지주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연결 고정된 지주프레임을 옮기는 작업이 힘들고, 선반을 지주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후 지주프레임을 먼저 이동시킨 후 다시 분리된 선반을 지주프레임에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선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반이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은 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선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이 가능하고 접어지는 선반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 20-0401465호인 접이식 선반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가 연결된 후면지지틀과, 상기 후면지지틀의 상측과 중간과 하측의 가로지지대에는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선반프레임과, 상기 선반프레임의 전면측 양측에는 각각 하측으로 절곡된 걸이부와, 상기 후면지지틀의 양쪽에는 힌지로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가 연결된 측면지지틀과, 상기 양쪽 측면지지틀의 전면부 상측과 중간과 하측에는 각각 상기 선반프레임의 걸이부가 끼워질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후면지지틀의 양쪽 하단과 양쪽 측면지지틀의 전면부 하단에는 각각 고정발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선반프레임이 접어지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이동이 어렵고 내구성 및 견고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은 물론 펼쳐진 상태에서의 선반을 지지함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365644호인 접이식 선반을 갖는 이동형 진열케이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전방 및 후방 칸막이부와 그 칸막이부들을 잇는 한 쌍의 측면 칸막이부를 구비한 채 상단이 개방된 박스형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칸막이부에 서로 마주하게 접이식으로 설치된 채 수평위치에서 상기 박스형 프레임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상품 진열을 위한 다수의 선반을 이루는 복수의 접이대 쌍들을 포함하여, 진열된 상품의 소진에 따라 상기 접이대 쌍들 각각이 선반을 이루는 수평위치로부터 위로 젖혀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4개의 박스형 프레임을 모두 접거나 펼쳐주어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접어진 상태에서 다수의 선반들이 그대로 박스형프레임에 포개어지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공간 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접이식 선반을 공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접을 수 있는 선반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적층 형태로 사용이 가능한 접이식 선반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바닥에 고정하거나 이동이 용이한 접이식 선반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선반을 체결이 가능한 접이식 선반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접이식 선반은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메인 프레임 내지 제4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 프레임에 고정 연결하거나, 제3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4 메인 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기 제2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 부재;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1 연결프레임;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2 연결프레임; 상기 제2-1 연결프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2 연결프레임; 및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인입되어 관통되며, 타측은 상기 2-2 연결프레임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제4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선반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간단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 개의 형성된 제1 연결프레임에 선반을 체결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선반을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2개의 접이식 선반을 적층 형태로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높은 높이를 갖는 접이식 선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층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선반을 하는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홀을 형성하며, 형성된 홀에 사용자가 원하는 바닥부재를 인입할 수 있으므로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바퀴가 형성된 바닥부재를 사용하며, 이동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퀴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폴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 연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바닥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층 형태로 사용하는 접이식 선반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폴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 연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바닥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층 형태로 사용하는 접이식 선반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접이식 선반(100)은 메인프레임(110-1 내지 110-4), 제1 연결프레임(120),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 제4 연결프레임(150) 및 폴딩 부재(16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메인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1 내지 110-4)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막대 형상으로 제1 메인프레임(110-1) 내지 제4 메인 프레임(110-4)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은 세로 방향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제1 연결프레임(120)은 2개의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접이식 선반의 측면을 구성한다. 제1 연결프레임(120)은 2개의 메인프레임에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선반을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연결프레임(120)은 2개의 메인프레임 상에서 일정 높이로 다수개 형성된다. 도 1에 의하면, 제1 연결프레임(120)은 일측에 6개, 타측에 6개로 형성되며, 특히 제1 연결프레임(120)은 제1 메인프레임(110-1)과 제2 메인프레임(110-2)을 상호 연결하거나, 제3 메인프레임(110-3)과 제4 메인프레임(110-4)을 상호 연결한다.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제1 연결프레임(120)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 역시 제1 연결프레임(120)과 동일하게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한다. 다만,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은 제1 연결프레임(120)을 상호 연결하지 않는 두 개의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은 제1 메인프레임(110-1)과 제3 메인프레임(110-3)을 상호 연결한다.
이외에도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 부분이 분리되어 있다.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은 제1 메인프레임(110-1) 및 제3 메인프레임(110-3)과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은 제1 메인프레임(110-1) 또는 제3 메인프레임(110-3) 상에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은 상단에 제2-1 연결프레임(130-1)이 형성되며, 하단에 제2-2 연결프레임(130-2)이 형성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1 연결프레임(130-1)과 제2-2 연결프레임(130-2)은 중간이 분리되어 있다. 제2-1 연결프레임(130-1) 상에는 폴딩 부재(160)가 형성된다. 폴딩 부재(16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은 2개로 구성되며, 일측은 폴딩 부재(160)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1 메인프레임(110-1) 또는 제3 메인프레임(110-3)에 연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의 타측은 제2-2 연결프레임(130-2)을 경유하여 메인프레임(110-1, 110-3)과 연결된다.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 역시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과 동일하게 메인프레임(110-1, 110-3)과 힌지 결합되며, 따라서 메인프레임(110-1, 110-2) 상에서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은 회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 역시 제3-1 연결프레임(140-1)과 제3-2 연결프레임(140-2)으로 구성된다.
제4 연결프레임(150)은 일측은 폴딩부재(160)와 연결되며, 타측은 제2-2 연결프레임(130-2)과 연결된다. 제4 연결프레임(150)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사용 상태도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선반의 일측은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제1 연결프레임에 체결되며, 타측은 제3 메인프레임과 제4 메인프레임에 결합된 제1 연결프레임에 체결된다. 물론 선반의 일측과 타측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며, 체결부재가 제1 연결프레임에 체결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체결부재는 제1 연결프레임에 고정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선반에 고정 체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체결부재는 제1 연결프레임에 착탈 형태로 체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폴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이식 선반의 폴딩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접이식 선반의 폴딩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1 연결프레임, 제3 연결프레임 및 제4 연결프레임과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폴딩부재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폴딩부재(160)는 걸쇠(160a), 걸림쇠(160b), 폴딩바디(160c), 지지부재(160d) 및 고정 연결부재(160f)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폴딩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고정 연결부재(160f)는 제2-1 연결프레임(130-1)에 고정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1 연결프레임(130-1)의 중앙은 절단되어 있으며, 고정 연결부재(160f)는 절단된 제2-1 연결프레임(130-1)에 고정 결합된다. 제2-1 연결프레임(130-1)은 중앙이 절단되어 있으므로 고정 연결부재(160f) 역시 2개로 구성된다. 하나의 고정 연결부재(160f)는 절단된 좌측 제2-1 연결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고정 연결부재(160f)는 절단된 우측 제2-1 연결프레임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2개의 고정 연결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상태에서 작동된다.
지지부재(160d)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제4 연결프레임(150)에 고정되며, 타측은 고정 연결부재(160f)가 결합된다. 고정 연결부재(160f)는 지지부재(160d)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기둥 형상의 지지부재(160d)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고정 연결부재(160f)는 지지부재(160d)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고정 연결부재(160f)는 지지부재(160d)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 연결프레임(150)의 일측 종단에는 걸림쇠(160b)가 고정 체결된다. 걸림쇠(160b)와 지지부재(160d)는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4 연결프레임(150)에 고정 체결되거나, 별도로 제4 연결프레임(150)에 고정된다.
폴딩바디(160c)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제4 연결프레임(150)이 관통된다. 제4 연결프레임(150)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단에 지지부재(160d)와 걸림쇠(160a)가 고정 체결된다.
폴딩바디(160c)는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의 타측과 힌지 결합된다. 즉,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의 일측은 메인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폴딩바디(160c)와 힌지 결합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폴딩바디(160c)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하나의 제3-1 연결프레임(140-1)과 힌지 결합되며, 우측에 다른 하나의 제3-2 연결프레임(140-2)과 힌지 결합된다. 폴딩바디(160c)의 전면에는 걸쇠(160a)가 형성된다. 걸쇠(160a)는 제4 연결프레임(150)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걸림쇠(160b)에 체결되거나, 필요한 경우 체결된 상태를 해제된다.
제2-2 연결프레임(130-2) 역시 제4 연결프레임(150)의 타측과 연결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2 연결프레임 역시 지지부재와 고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제4 연결프레임과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폴딩부재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걸림쇠(160b)에 체결된 걸쇠(160a)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며, 이 상태에서 제4 연결프레임(150)을 상단 방향으로 올리게 되면, 분리된 제2-1 연결프레임(130-1)의 중앙 및 제2-2 연결프레임(130-2)의 중앙 역시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1 연결프레임(130-1)의 중앙 및 제2-2 연결프레임(130-2)의 중앙이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제1 메인프레임(110-1)과 제2 메인프레임(110-2)을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120)과 제3 메인프레임(110-3)과 제4 메인프레임(110-4)을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1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이로 인해 접이식 선반은 접혀지게(폴딩) 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선반은 분리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 연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정 연결부재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고정 연결부재(160f)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2 개로 구성된다. 고정 연결부재(160f)는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로 구성되며,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는 제2-1 연결프레임(130-1)의 좌측에 고정되며,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는 제2-1 연결프레임(130-1)의 우측에 고정된다.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 및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일측은 제2-1 연결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지지부재에 연결된다.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 및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타측은 지지부재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 및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는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 및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타측은 통공이 형성되며, 지지부재는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 및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한다. 따라서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에 형성된 통공과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에 형성된 통공은 동일한 축 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의 타측과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타측은 중첩된다.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의 타측과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타측의 두께는 제2-1 연결프레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의 타측의 두께와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타측의 두께의 합 역시 제2-1 연결프레임의 두께보다 작다. 제1 고정 연결부재(160f-1)의 일측의 단면과 제2 고정 연결부재(160f-2)의 일측의 단면은 'ㄱ'자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제2-1 연결 프레임을 감싸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1 연결프레임에 밀착되는 제1 고정 연결부재의 일측 단면과 제2 고정 연결부재의 일측 단면은 제2-1 연결프레임보다 돌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바닥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선반의 바닥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접이식 선반의 메인프레임의 타측 바닥면은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된 홀에 다양한 형태의 바닥부재(110a)가 인입된다.
바닥부재(110a)는 접이식 선반의 이동을 고려하여 바퀴를 포함하거나, 바닥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된 마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재가 바퀴를 포함할 경우, 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높이를 갖는 접이식 선반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사용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접이식 선반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접이식 선반을 적층 형태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층 형태로 사용하는 접이식 선반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적층 형태로 사용하는 접이식 선반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접이식 선반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의 일측 종단에는 돌출부(110b)가 형성된다. 돌출부(110b)는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메인프레임 종단에 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에 막대를 절반 정도 인입시킨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메인프레임의 일측 종단에는 나사선 형태로 홀을 형성한다. 또한, 막대는 일측은 나사선이 형성되며, 타측은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는다. 나사선이 형성된 막대의 일측을 메인프레임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홀에 나사 결합한다.
이후 적층이 요구되는 다른 접이식 선반의 메인프레임(11)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홀을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막대의 나머지 부분에 인입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적층 형태로 접이식 선반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접이식 선반의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홀은 바닥부재가 인입되거나 다른 접이식 선반의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돌출부가 인입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접이식 선반 110: 메인 프레임(110-1 내지 110-4)
120: 제1 연결프레임 130: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
140: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 150:제4 연결프레임
160: 폴딩부재
120: 제1 연결프레임 130: 제2 연결프레임(130-1, 130-2)
140: 제3 연결프레임(140-1, 140-2) 150:제4 연결프레임
160: 폴딩부재
Claims (5)
- 막대 형상을 갖는 제1 메인 프레임 내지 제4 메인 프레임;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 프레임에 고정 연결하거나, 제3 메인 프레임과 상기 제4 메인 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1 연결프레임;
중간이 분리된 상기 제2-1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폴딩 부재;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1 연결프레임;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3-2 연결프레임;
상기 제2-1 연결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간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3 메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제2-2 연결프레임; 및
일측은 상기 폴딩 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인입되어 관통되며, 타측은 상기 제2-2 연결프레임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제4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 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인입되어 관통된 상기 제4 연결프레임에 고정 체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제4 연결프레임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는 걸림쇠;
일측은 상기 제2-1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 연결부재;
중앙에 상기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1 연결프레임 또는 상기 제3-2 연결프레임과 힌지 결합되는 폴딩 바디; 및
상기 폴딩 바디 상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쇠에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되는 걸쇠
상기 제1 메인프레임 내지 상기 제4 메인프레임의 타측 종단에는 홀이 형성되며, 형성된 홀에 바닥에 밀착되는 바닥부재가 인입되며,
상기 제1 메인프레임 내지 상기 제4 메인프레임의 일측 종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다른 접이식 선반의 제1 메인프레임 내지 제4 메인프레임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홀에 인입되며,
상기 고정 연결부재는,
중간이 분리된 제2-1 연결프레임의 좌측 하단에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지지부재가 인입되는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고정 연결부재; 및
중간이 분리된 제2-1 연결프레임의 우측 하단에 고정되며, 타측에 상기 지지부재가 인입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제2 고정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은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며,
선반의 일측에 고정 체결된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메인프레임과 제2 메인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선반의 타측에 고정 체결된 체결부재는 상기 제3 메인프레임과 제4 메인프레임을 고정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고정 연결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 고정 연결부재의 타측의 두께의 합은 상기 제2-1 연결프레임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제1 고정 연결부재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 고정 연결부재의 일측 단면은 ‘ㄱ'자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제2-1 연결프레임에 밀착되며,
상기 제2-1 연결프레임에 밀착되는 상기 제1 고정 연결부재의 일측 단면과 상기 제2 고정 연결부재의 일측 단면은 상기 제2-1 연결프레임보다 돌출되며,
상기 제1 메인프레임 내지 제4 메인프레임의 일측 종단에 나사선이 형성된 홀을 형성하며, 형성된 홀에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막대를 인입시켜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막대의 타측은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선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4705A KR101866383B1 (ko) | 2017-12-19 | 2017-12-19 | 접이식 선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4705A KR101866383B1 (ko) | 2017-12-19 | 2017-12-19 | 접이식 선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6383B1 true KR101866383B1 (ko) | 2018-06-11 |
Family
ID=6260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4705A KR101866383B1 (ko) | 2017-12-19 | 2017-12-19 | 접이식 선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638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9279U (ko) * | 2010-03-24 | 2011-09-30 | 행텐코리아 주식회사 | 적층식 전시대 |
KR101613689B1 (ko) * | 2015-05-26 | 2016-04-19 |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 접이식 선반 |
KR20170000391U (ko) | 2017-01-09 | 2017-01-31 | 이윤희 | 접이식 이동선반 |
-
2017
- 2017-12-19 KR KR1020170174705A patent/KR1018663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09279U (ko) * | 2010-03-24 | 2011-09-30 | 행텐코리아 주식회사 | 적층식 전시대 |
KR101613689B1 (ko) * | 2015-05-26 | 2016-04-19 |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 접이식 선반 |
KR20170000391U (ko) | 2017-01-09 | 2017-01-31 | 이윤희 | 접이식 이동선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49750B2 (en) |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 |
US5592887A (en) | Article organizing shelf frame | |
KR101613689B1 (ko) | 접이식 선반 | |
CA2697201A1 (en) | Collapsible transaction table | |
KR200464735Y1 (ko) |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 |
KR20170000391U (ko) | 접이식 이동선반 | |
KR101866383B1 (ko) | 접이식 선반 | |
KR20110008104U (ko) |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자유낙하 방지장치 | |
CN214016479U (zh) | 一种折叠桌 | |
US20060207483A1 (en) | Table having a front access | |
KR20160041716A (ko) | 다기능 복합 가구 | |
KR200410658Y1 (ko) | 가변 접철식 진열대 | |
CA2828660C (en) | Collapsible shelving units and collapsible enclosures | |
KR20160089833A (ko) | 물건 수납대 | |
CN108784051A (zh) | 一种可折叠支架 | |
US9585466B2 (en) | Wall mountable table and nested hanging apparatus | |
KR101274910B1 (ko) |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 |
KR20150102458A (ko) | 다기능 복합 가구 | |
JP4553347B2 (ja) | 収納家具 | |
KR102083128B1 (ko) | 플로어 스탠드 멀티 행거 | |
EP2663972B1 (en) | Expanding devices | |
CN201585627U (zh) | 可折叠壁柜式迷你桌椅 | |
JPH0998845A (ja) | 家 具 | |
KR20040076989A (ko) | 다목적 가구 | |
CN205568418U (zh) | 一种单人沙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