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149B1 -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149B1
KR102548149B1 KR1020220069670A KR20220069670A KR102548149B1 KR 102548149 B1 KR102548149 B1 KR 102548149B1 KR 1020220069670 A KR1020220069670 A KR 1020220069670A KR 20220069670 A KR20220069670 A KR 20220069670A KR 102548149 B1 KR102548149 B1 KR 102548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herbal plant
preparing
herbal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쿤
Priority to KR102022006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교반기에 상기 제1혼합액 및 제2혼합액을 투입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허브 식물추출물을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의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S FOR STERILIZATION DEODORANT COMPRISING CHLORINE DIOXIDE AND EXTRACTS OF HERB PLANT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액의 탈취능 및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대한 맞춤형의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염소(ClO2)는 색은 누르스름한 녹색이며 냄새가 독특한 가스로서 냉각 시 황적색의 액체로 변하며, 이름 중에 염소란 말을 포함하고 있지만 화학적으로 염소와는 완전히 다른 물질이다. 이산화염소 기체에는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광학적 분해작용이 있으나, 물에서는 가수분해가 되지 않는다.
이산화염소는 냄새의 원인인 암모니아, 페놀을 산화시키거나 구조를 파괴하여 제거함은 물론, 염소계의 화합물로 살균할 경우 발암물질을 생성시키는데 반해 이산화염소는 전혀 생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열에 의해 폭발적으로 분해되고 휘발성과 산화성이 강력해 처음엔 표백제로 사용되었으나 기체상태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가 그 제조방법과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함에 따라 현재에는 중금속제거, 악취, 유독성 무기물 제거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음용수의 소독 및 식품산업 분야의 과일, 야채의 세척수, 어패류, 가금류 등의 가공에 필요한 수처리제, 식품제조가공용 설비, 기구의 소독수 등으로 점점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산화염소는 식품첨가물로 지정은 되어있으나 사용대상이 케이크류 및 카스테라 제조용 소맥분에 30mg/kg 이하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7년 6월에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중 "이산화염소는 야채 및 과일 등의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로 개정한바 있다(제2007-145호).
이산화염소의 제조 방법은 산성인 액체상에서 염소산염을 환원제(SO2 등)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방법, 일반 무기산 (HCl, H2SO4)과 아염소산염을 산화시켜 이산화 염소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아염소산염과 염산 및 차아염소산염을 반응시켜 얻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산화염소 제조방법은 살균소독성능만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등록특허 제1893382호의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아염소산나트륨, 무수말레인산, 수산화나트륨 및 정제수를 사용하여 살균소독성능뿐만 아니라 탈취성능을 개선시킨 이산화염소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제조된 이산화염소수에 레몬 등의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액을 첨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가 반영되지 않아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고 허브 식물 개개의 특성으로 인하여 탈취능이 균일하지 않으며 이산화염소 특유의 이취가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93382호(공고일자 2018. 08. 3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액의 탈취능과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균일한 탈취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선호도 및 만족도가 개선된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취능 개선과 함께 이산화염소 특유의 이취가 제거되어 사용자의 선호도 및 만족도가 개선된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교반기에 상기 제1혼합액 및 제2혼합액을 투입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허브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의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식물추출물은 라벤더, 카모마일, 제라늄, 오렌지, 어성초 및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허브 식물을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미생물로 발효한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50단계는,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 및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52); 및 상기 산출된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일정 비율별 허브 식물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별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2); 및 상기 복합액별 탈취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비율별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S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52단계는, 사용자의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522);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가중치가 설정된 값 이상인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이 상기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의 복수의 허브 식물추출물의 평균 탈취능보다 낮은 경우, 상기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 중 상기 평균 탈취능값과 가장 근사한 값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에 대응하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허브 식물추출물은 어성초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액의 탈취능에 기초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균일한 탈취능을 가지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 및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산출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에 따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대한 맞춤형의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복합액의 어성초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허브 식물추출물이 이산화염소 특유의 이취를 저감시킴으로써 탈취능 개선과 함께 이산화염소 특유의 이취가 제거되어 사용자의 선호도 및 만족도가 개선된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복합액의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0), 및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정제수를 담은 교반기에 아염소산나트륨을 투입하여 정제수와 혼합할 수 있다.
정제수의 함량은 45 내지 55중량부일 수 있고, 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아염소산나트륨은 화학식 NaClO2 이고, 분자량 90.5이다. 아염소산나트륨은 무수염과 3수화염이 존재하고 전이 온도는 38℃이다. 무수염은 무색 결정성 분말이고, 약간의 조해성을 가지며, 물에 쉽게 녹는다. 무수의 NaClO2 는 안정하고 350℃에서 30분간 가열해도 분해되지 않지만 보통 함유되는 수분 때문에 130~140℃에서 분해를 시작한다. 수용액은 알칼리성의 경우 빛에 노출시키지 않으면 안정되지만 산성으로 하면 분해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한다. 강한 산화제로 유기물이 혼합하면 폭발하기 쉽지만 유기물이 혼재하지 않으면 충격에 의해서는 폭발하지 않는다.
아염소산나트륨은 보통 수용액을 산성으로 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키는 습식법, 고체에 염소 가스를 작용시켜서 발생하는 이산화염소를 기체상으로 이용하는 건식법의 두 가지 사용 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모두 작용이 온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고 어두운 곳에 보존하고 산화되기 쉬운 물질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는 23%이고, 함량은 3.0 내지 4.0중량부일 수 있고, 3.5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아염소산나트륨의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일 경우 생성되는 탈취제가 산성화가 될 수 있고, 4.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생성되는 탈취제가 알칼리성화가 될 수 있다.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는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1:1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은 말레산 분자 속에 들어 있는 2개의 카복시기 -COOH로부터 1개의 물분자가 빠져나간 구조를 가진 화합물이다. 무수말레인산은 말레산무수물이라고도 하며, 화학식은 C4H2O3 이다.
무수말레인산은 무색 또는 흰색의 바늘 모양 결정으로 톡 쏘는 냄새가 나고 승화성이 있다.
또한, 무수말레인산은 분자량 98.06, 녹는점 52.6℃, 끓는점 202℃, 비중 1.509이고, 아세톤이나 클로로폼 등에 녹는다. 공업적으로는 벤젠을 오산화바나듐의 촉매하에 400∼500℃에서 공기산화시켜 얻는다.
무수말레인산은 유기합성 원료로서 중요하며, 가소제, 폴리에스터수지 및 섬유, 도료, 농약, 합성세제 및 피혁 등의 원료로도 쓰인다.
수산화나트륨은 화학식은 NaOH, 분자량은 39.997g/mol, 대표적인 강염기로 공기 중에서 수증기를 흡수해 스스로 녹는 조해성이 있으므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보관해야 한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은 강염기의 대표적인 물질로 다른 물질을 잘 부식시키는 위험한 물질이다. 수산화나트륨은 고체 결정 상태이기 때문에 화학 반응시에는 주로 물에 녹여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때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들어진 수용액을 산성용액과 반응시킬 때에도 많은 열을 발생하므로 묽게 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교반기에 상기 제1혼합액 및 제2혼합액을 투입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한 교반기에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액을 투입할 수 있다.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한 교반기에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액을 0.15 내지 0.25 중량부를 투입할 수 있고, 0.2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때,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액의 함량을 0.15중량부 미만일 경우 생성되는 탈취제가 알카리성화가 될 수 있고, 0.2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생성되는 탈취제가 산성화가 될 수 있다.
상기 S30단계에서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 후, 교반기에 정제수를 다시 채우고 교반할 수 있다. 이때, 정제수를 41.7 내지 51.7중량부를 채울 수 있고, 46.7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제수를 두번에 걸쳐서 혼합하는 것은 상기 화합물들의 혼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고,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탈취제의 pH는 6.5 내지 7.5,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1 내지 3ppm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염소는 종래와 같은 살균작용을 하는 산화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취기능이 향상되어 탈취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복합액의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0)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일정 비율별 허브 식물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별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허브 식물추출물은 인체에 유익한 향, 탈취능 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허브 식물추출물은 라벤더, 카모마일, 제라늄, 오렌지, 어성초 및 편백나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 허브 식물을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미생물로 발효한 발효추출물일 수 있다.
여기서, 허브 식물을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오일 제형일 수 있으며, 라벤더 오일, 카모마일 오일, 제라늄 오일 또는 오렌지 오일일 수 있다.
라벤더 오일(Lavandula officinalis)은 민간요법으로 수천년 동안 쓰여온 것이며 중세 시대에는 신경 과민이라든가 히스테리 발작을 일으킬 때 정신을 맑게 하는 목적으로 쓰이기도 했다. 라벤더 오일의 화학적 성분을 볼 때 리날룰 및 리날릴 아세테이트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카모마일 오일(Anthemis nobilis)의 역할은 상처를 아물게 하는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신경안정과 심신의 피로에 도움을 주는 향이다.
제라늄 오일(Pelagonium graveolens)은 공기 발향으로 매우 안정된 분위기를 주며 진정 작용으로 긴장완화와 정신적으로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오렌지 오일(Citrus aurantium)은 독특하고 달콤한 향취로 다른 향과의 배합이 잘되어 향취의 느낌을 좋게할 뿐만 아니라 우울중이 있을 때 기분을 상승시켜주기도 한다
어성초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주요 성분으로는 테르페노이드(terpenoid), 지질(lipid) 및 방향족 계통의 휘발성 성분과 쿼세틴(quercetin), 쿼세틴-3-오-글리코사이드(quercetin-3-oglycoside) 계통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뇨작용, 진통작용, 지혈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혈관확장작용 및 소염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백나무(Chamaecyparis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조림수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데,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탈취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허브 식물추출물은 편백나무로부터 추출된 피톤치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피톤치드는 편백나무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되는데, 진공 저온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과 물을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냉각 추출하고 증류 공정을 통해 피톤치드 오일을 제조한 후, 이를 희석하여 피톤치드 수액으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식물추출물을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의 탈취능은 탈취 시험용 기기로 분석하거나 관능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탈취 시험용 기기는 기기내에 암모니아 또는 트리메틸아민 등의 화합물을 주입한 후 상기 복합액을 분사하여 측정할 수 있고, 관능검사의 경우 관능패널을 통하여 탈취 강도를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복합액의 탈취능 측정을 위하여, 허브 식물추출물은 이산화염소 수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9 내지 11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10중량부를 혼합 후 탈취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S40단계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일정 비율별 허브 식물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별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2) 및 상기 복합액별 탈취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비율별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S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42단계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일정 비율별 허브 식물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여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 비율이 상이한 복합액을 제조하고, 각각의 상이한 혼합비율의 복합액별 탈취능을 측정한다.
예컨대, 이산화염소 수용액 100중량부 기준으로 허브 식물추출물을 5~30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일정 비율별로 각각 첨가하여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 비율이 상이한 복합액을 제조하고, 각각의 상이한 혼합비율 복합액별로 탈취능을 측정한다.
상기 S44단계는 상기 복합액별 탈취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비율별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을 작성한다. 하나의 허브 식물추출물에 대하여 테이블을 작성된 후, 필요에 따라 복수의 허브 식물추출물별에 대하여 탈취능 테이블을 작성할 수 있다.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0)는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S50단계는,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 및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52) 및 상기 산출된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각 공정별 사용되는 혼합 장치, 교반 장치, 추출 장치 또는 발효 장치가 연속해서 배치되고 이들 각각을 구동하는 제어부, 통신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 및 통신망과 연결된다.
제어부는 온도, 습도, 염도, 당도, 수량, pH, CO2 등의 측정을 위한 각종 측정센서와 장치 동작 등의 알고리즘 제어를 위한 제어기기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각종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습도, 염도, 당도, 수량, pH, CO2, 시간 정보 등을 바탕으로 전자밸브 등의 제어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별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정보를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별 허브 식물 구매 정보 또는 허브 식물의 향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PC, 핸드헬드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과 제어부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통신망은 인터넷망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별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는 근거리, 중거리, 장거리 등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무선 통신을 지원하거나, 유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는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사용자별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는 시스템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52단계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5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허브 식물에 대한 선호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별 허브 식물 구매 정보 또는 허브 식물 향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 평점 결과를 반영하여 최대 10점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별 허브 식물 구매 정보 또는 허브 식물 향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점 결과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은 입력된 정보를 통신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사용자별 허브 식물 구매 정보 또는 허브 식물 향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 평점 결과를 입력받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S52단계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S522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가중치가 설정된 값 이상인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이 상기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의 복수의 허브 식물추출물의 평균 탈취능보다 낮은 경우, 상기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 중 상기 평균 탈취능값과 가장 근사한 값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에 대응하는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A 허브 식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가중치가 6이고 설정된 값이 5인 경우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허브 식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는 반면, A 허브 식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가중치가 4이고 설정된 값이 5인 경우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허브 식물이 함유되도록 제조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상기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이 10:1인 A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이 상기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에 기재된 B,C,D 등의 복수의 허브 식물추출물의 평균 탈취능보다 낮다면, 혼합비율 조정을 위하여 상기 평균 탈취능값과 가장 근사한 값에 해당하는 사용자 선호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을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로부터 산출한다.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은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비율별 복합액 탈취능값이 기재된 테이블이므로, 상기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로부터 상기 산출된 A 허브 식물 복합액의 탈취능값에 대응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이 10:2로 산출되면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10:2의 혼합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균일한 탈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액의 탈취능 및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균일한 탈취능을 가지며 사용자의 선호도 및 만족도가 개선된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허브 식물추출물은 어성초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성초 발효추출물은 어성초 분쇄물, 홍국균주 및 당밀을 혼합하여 배양하고 배양물을 연속식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채취한 발효추출물로서, 허브 식물추출물로 어성초 발효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라벤더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이산화염소 특유의 이취가 저감되고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온에서 50중량부의 정제수를 교반기에 담고, 23% 농도의 아염소산나트륨 3.5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한 교반기에 0.2중량부를 투입하였고, 정제수 46.7중량부 및 어성초 발효추출물 10.0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이산화염소가 생성된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어성초 발효추출물 제조를 위하여, 어성초 100중량부를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분쇄물이 고형분 기준으로 3 중량%가 되도록 물을 첨가한 후,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 중량부의 홍국균주 및 당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37 ℃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홍국균주는 홍국균주(Monascus Purpureus IFO 32316)를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에 배양한 다음 12시간 침지시킨 쌀 300g에 배양한 홍국균주를 1 ㎖ 접종하여 30℃에서 10일간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완료되면 80℃에서 60분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연속식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채취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어성초 발효추출물 대신 라벤더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어성초 발효추출물 대신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국균주 대신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국균주 대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을 사용하였다.
<관능검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전문패널 30명(남녀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이취 및 기호도로 구분하여 5점 척도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취: 후각으로 느껴지는 이산화염소 이취가 강함 0점, 이취가 없음 5점
기호도: 후각 관능 기호도가 매우 나쁨 0점, 기호도가 매우 좋음 5점
구분 이취 기호도
실시예 4.5 4.8
비교예 1 3.1 3.5
비교예 2 2.9 3.0
비교예 3 3.2 3.4
비교예 4 2.8 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 1 내지 4와 대비하여 이산화염소 특유의 이취가 저감되고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정제수와 아염소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제1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10);
    무수말레인산과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제2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교반기에 상기 제1혼합액 및 제2혼합액을 투입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허브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의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0); 및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식물추출물은 어성초를 홍국균주(Monascus Purpureus)로 발효한 어성초 발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0단계는,
    상기 복합액의 탈취능 및 사용자의 허브 식물 선호도에 기초하여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52); 및
    상기 산출된 혼합비율에 따라 상기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S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이산화염소 수용액에 일정 비율별 허브 식물추출물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된 복합액별 탈취능을 측정하는 단계(S42); 및
    상기 복합액별 탈취능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산화염소 수용액 및 허브 식물추출물 혼합비율별 복합액 탈취능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S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20069670A 2022-06-08 2022-06-08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48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670A KR102548149B1 (ko) 2022-06-08 2022-06-08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670A KR102548149B1 (ko) 2022-06-08 2022-06-08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149B1 true KR102548149B1 (ko) 2023-06-27

Family

ID=8694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670A KR102548149B1 (ko) 2022-06-08 2022-06-08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1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302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20110085664A (ko) * 2010-01-21 2011-07-27 장흥군 노인 악취 제거를 위한 천연식물추출 배합 조성물
JP2016101303A (ja) * 2014-11-28 2016-06-02 有限会社クリーンケア 二酸化塩素発生剤
KR101893382B1 (ko) 2017-04-03 2018-08-30 주식회사 오클로케미칼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190058851A (ko) * 2017-11-22 2019-05-30 오순지 식물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성 위생조성물
KR20190068280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자동 향료 배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302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20110085664A (ko) * 2010-01-21 2011-07-27 장흥군 노인 악취 제거를 위한 천연식물추출 배합 조성물
JP2016101303A (ja) * 2014-11-28 2016-06-02 有限会社クリーンケア 二酸化塩素発生剤
KR101893382B1 (ko) 2017-04-03 2018-08-30 주식회사 오클로케미칼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190058851A (ko) * 2017-11-22 2019-05-30 오순지 식물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성 위생조성물
KR20190068280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내츄럴앤미 자동 향료 배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chez-Gomez et al. Vine-shoot waste aqueous extracts for re-use in agriculture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Phenolic, volatile, and mineral compounds
de Groot et al. Essential oils, part V: peppermint oil, lavender oil, and lemongrass oil
KR101779007B1 (ko)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974401A (zh) 一种食品级竹醋及其制备方法
Pedroza et al. Waste grape skins thermal dehydration: Potential release of colour, phenolic and aroma compounds into wine
CN103333743A (zh) 一种苔清香香精及其应用
Soquetta et al. Ultrasound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Citrus reticulata peel using electrolyzed water
KR20180031994A (ko) 향기 나는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atekar et al. Review of the rose essential oil extraction by hydrodistillation: An investigation for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for maximum yield
KR20150043694A (ko)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CN110623008A (zh) 一种绿色保质剂及其制备方法
KR102411534B1 (ko) 향료 원료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소독제
KR102548149B1 (ko) 이산화염소 및 허브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León-Anzueto et al. Effect of vermicompost, worm-bed leachate and arbuscular mycorrizal fungi on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DC) Stapf.) growth and composition of its essential oil
CN107318964A (zh) 蔬菜保鲜剂、制备方法及其蔬菜保鲜方法
Feng et al. A systemic review on Liubao tea: A time‐honored dark tea with distinctive raw materials, process techniques, chemical profiles, and biological activities
Chetia et al. Extraction of essential oil from Assam lemon peels and its incorporation in chitosan based coating for maintaining grape quality
KR101893382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Imran et al. Valorization of peach (Prunus persica) fruit waste
CN110037227A (zh) 生物源食品防腐剂材料组合物、生物源食品防腐剂及其制备方法
CN111387216A (zh) 一种空气杀菌消毒组合物
KR20200088197A (ko) 항균 또는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조성물
CN201859340U (zh) 一种竹醋液提取提纯监控系统
KR102590504B1 (ko) 천연 소재의 증류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적 살균탈취제 조성물
Süfer et al. Influences of Some Aromatic Plants on Volatile Compounds and Bioactivity of Cultivated Pleurotus citrinopileatus and Pleurotus djam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