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97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971B1
KR102545971B1 KR1020230034964A KR20230034964A KR102545971B1 KR 102545971 B1 KR102545971 B1 KR 102545971B1 KR 1020230034964 A KR1020230034964 A KR 1020230034964A KR 20230034964 A KR20230034964 A KR 20230034964A KR 102545971 B1 KR102545971 B1 KR 10254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terminals
termina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082A (ko
Inventor
다이시 곤도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12659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4363B2/ja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4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단자가 부착된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소형화가 가능해서,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로서, 좌측 커넥터 본체와 우측 커넥터 본체와 좌측 및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제1 단부들을 접속하는 제1 본체 단부와 좌측 및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제2 단부들을 접속하는 제2 본체 단부와 좌측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제1 단자와 우측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제2 단자와 제1 본체 단부에 부착된 제1 보강 쇠장식 및 제2 본체 단부에 부착된 제2 보강 쇠장식을 포함하고, 좌측 커넥터 본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제1 단자와 일체화된 부재이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제2 단자와 일체화된 부재이며, 좌측 커넥터 본체와 우측 커넥터 본체 사이의 공간은 연장된 오목홈부이고, 오목홈부는 커넥터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방된 관통 구멍이며, 좌측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1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2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자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좌측 커넥터 본체의 볼록부에 부착되고, 복수의 제2 단자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우측 커넥터 본체의 볼록부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인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부착되어, 서로 끼워 맞춰져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811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늘고 긴 볼록부(812)를 갖는다. 당해 볼록부(812)에는, 복수의 단자(861)가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가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면, 상기 볼록부(812)는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하우징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홈의 각각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단자(861)는 상기 오목홈 내에 나란히 부착된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단자의 각각과 접촉하여 도통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126789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861)가 하우징(811)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 했을 경우, 볼록부(812)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단자(861)의 피치가 좁아져, 제조가 곤란해진다. 통상, 상기 단자(861)는 오버몰드 내지 인서트 성형이라고 불리는 성형 방법에 의해 하우징(811)의 한 쌍의 볼록부(812)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볼록부(812)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고, 또한 단자(861)의 피치가 좁아지면, 하우징(811)의 성형용 금형 내의 한 쌍의 볼록부(8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단자(861)를 정확하게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 문제점을 해결하여, 복수의 단자가 부착된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소형화가 가능해서,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에 있어서는, 좌측 커넥터 본체와 우측 커넥터 본체와 좌측 및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제1 단부들을 접속하는 제1 본체 단부와 좌측 및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제2 단부들을 접속하는 제2 본체 단부와 좌측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제1 단자와 우측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제2 단자와 제1 본체 단부에 부착된 제1 보강 쇠장식 및 제2 본체 단부에 부착된 제2 보강 쇠장식을 포함하고, 좌측 커넥터 본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제1 단자와 일체화된 부재이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제2 단자와 일체화된 부재이며, 좌측 커넥터 본체와 우측 커넥터 본체 사이의 공간은 연장된 오목홈부이고, 오목홈부는 커넥터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방된 관통 구멍이며, 좌측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1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2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자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좌측 커넥터 본체의 볼록부에 부착되고, 복수의 제2 단자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우측 커넥터 본체의 볼록부에 부착된다.
커넥터 쌍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커넥터 및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상대방 커넥터를 포함한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좌측 커넥터 본체와 우측 커넥터 본체와 좌측 및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제1 단부들을 접속하는 제1 본체 단부와 좌측 및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제2 단부들을 접속하는 제2 본체 단부와 좌측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제1 단자(복수의 제1 단자의 각각의 단자는 테일부를 가짐)와 우측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제2 단자(복수의 제2 단자의 각각의 단자는 테일부를 가짐)와 제1 본체 단부에 부착된 제1 보강 쇠장식 및 제2 본체 단부에 부착된 제2 보강 쇠장식을 포함하고, 좌측 커넥터 본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제1 단자와 일체화된 부재이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복수의 제2 단자와 일체화된 부재이며, 좌측 커넥터 본체와 우측 커넥터 본체 사이의 공간은 연장된 오목홈부이고, 오목홈부는 커넥터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방된 관통 구멍이며, 좌측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판부를 포함하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판부를 포함하며, 좌측 커넥터 본체는 좌측 커넥터 본체의 저판부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1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우측 커넥터 본체는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저판부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제2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단자의 테일부는 좌측 커넥터 본체의 저판부의 실장면에 노출되고, 복수의 제2 단자의 테일부는 우측 커넥터 본체의 저판부의 실장면에 노출된다.
커넥터 쌍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커넥터 및 커넥터와 끼워 맞춰지는 상대방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가 부착된 볼록부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소형화가 가능해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좌반체부(左半體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좌반체부를 제조하는 일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1 공정을 나타내는 2면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2 공정을 나타내는 2면도이며, (a)는 상면도, (b)는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1 및 제2 공정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a)는 도 5의 E부 확대도, (b)는 도 6의 F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1 및 제2 공정의 단면도이며, (a)는 도 5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5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 (c)는 도 6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 (d)는 도 6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변형예의 좌반체부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좌반체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인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일방으로서의 제1 커넥터이다. 당해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며, 후술되는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와 서로 끼워 맞춤된다. 또한, 당해 제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타방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으로서의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좌우 한 쌍의 반체부, 즉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를 보강 쇠장식으로서의 제1 보강 쇠장식(51), 및 오버몰드, 아웃서트 성형 내지 인서트 성형이라고 불리는 성형 방법 (이하, 「인서트 성형」이라고 말한다.)에 의해 일체 성형되는 피복부(16)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는 좌우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동일 부재이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반체부(10)로서 설명한다. 상기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는 각각 평면으로 본 형상(X-Y면에 투영된 형상)이 대략 문형(門型)이며, 결합된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 사이의 공간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홈부(13)로 되어 있다. 당해 오목홈부(13)는 제1 커넥터(1)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개방된 관통 구멍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커넥터(1)는 반체부(10)가 한 쌍인 것, 즉 2개가 평행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3개 이상의 반체부(10)가 평행으로 배열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반체부(10)는 반드시 대략 문형의 형상을 갖는 것일 필요는 없으며, 길이 방향의 양단이 제1 보강 쇠장식(51) 및 피복부(16)에 의해 결합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반체부(10)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평면으로 본 형상이 대략 문형인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1 하우징(11)을 갖는다. 각 제1 하우징(11)은, 당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 형상의 저판부(17)와, 당해 저판부(17)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1 볼록부(12)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제1 볼록부(12)는 횡단면의 형상이 U자를 거꾸로 뒤집은 형상의 부재이며, 상측(Z축 정방향 측)에 위치하는 만곡된 끼워 맞춤면(12a)과, 당해 끼워 맞춤면(12a)의 좌우 양측에 접속된 외측면(12b) 및 내측면(12c)을 갖는다. 외측면(12b)과 내측면(12c)은 서로 평행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이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한다. 또한,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Y축 방향)의 치수가 저판부(17)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짧기 때문에, 제1 볼록부(12)의 하단(Z축 부방향 측)에 있어서, 저판부(17)가 외측면(12b) 및 내측면(12c)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판부(17)의 하면은 제1 기판의 표면에 대향하는 제1 하우징(11)의 실장면(17a)이다.
그리고 각 제1 볼록부(12)에는,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1 단자(61)는 소정의 피치로, 또한 복수개(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32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63)와, 당해 본체부(63)의 일단에 접속된 테일부(tail portion)(62)와, 상기 본체부(63)의 타단에 거의 90도 구부려서 접속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65)와, 당해 접촉부(65)의 상단에 거의 90도 구부려서 접속된 상단부(64)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3)는, 저판부(17)에 묻혀 보유 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62)는 저판부(17)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65)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춰지면,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후술되는 제2 단자(161)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접촉 오목부(65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된다. 즉, 제1 하우징(11)은 제1 단자(61)를 미리 내부에 세팅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절연성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단자(61)는, 본체부(63) 및 테일부(62)의 하면이 저판부(17)의 실장면(17a)에 노출되고, 접촉부(65) 및 상단부(64)의 표면이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 또는 내측면(12c) 및 끼워 맞춤면(12a)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각 제1 볼록부(12)에 부착되는 제1 단자(61)는 인접하는 물건끼리의 자세가 제1 볼록부(12)의 폭 방향에 관해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좌반체부(10A)의 제1 볼록부(12)에 부착되는 제1 단자(61) 중 전방단(X축 정방향 단)에 위치하는 제1 단자(61)의 자세는 테일부(62)가 외측(Y축 정방향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는 데 비해, 전방단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제1 단자(61)의 자세는 테일부(62)가 내측(Y축 부방향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자(61)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나란히 제1 볼록부(1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제1 볼록부(12)의 양측의 각각에 있어서 돌출되는 테일부(62)의 피치는, 제1 단자(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제1 기판의 접속 패드로의 납땜 등에 의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에 노출되는 접촉부(65)의 피치, 및 내측면(12c)에 노출되는 접촉부(65)의 피치도 제1 단자(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되는 부재이기 때문에,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있어서는, 제1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워 맞춤 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본체 단부인 제1 돌출 단부(18)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1 돌출 단부(18)는 각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부재이며,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 단부(18)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후술되는 제2 돌출 단부(121)의 끼워 맞춤 오목부(1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18)는, 좌우의 반체부(10)의 연장 단부(14) 및 매설부(15), 그리고 상기 피복부(16) 및 제1 보강 쇠장식(51)에 의해 구성된다.
각 반체부(10)의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단부(14)가 각각 일체적으로 접속되고, 각 연장 단부(14)에는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으로 더욱 연장 돌출되는 매설부(15)가 각각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 단부(14)는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져서 연장 돌출되고, 상기 매설부(15)는 연장 단부(14)의 선단에 있어서의 내측에 편심된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좌반체부(10A)에 있어서의 연장 단부(14)는 우방향(Y축 부방향)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고, 매설부(15)는 연장 단부(14)의 선단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편심된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우반체부(10B)에 있어서의 연장 단부(14)는 좌방향(Y축 정방향)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 돌출되고, 매설부(15)는 연장 단부(14)의 선단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편심된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반체부(10)에 있어서의 연장 단부(14)의 적어도 일부 및 매설부(15)의 전체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피복부(16)에 의해 피복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반체부(10)에 있어서의 매설부(15)끼리를 근접시켜, 제1 보강 쇠장식(51)에 의해 덮인 상태로 하여 인서트 성형을 행함으로써, 피복부(16)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좌우의 반체부(10)의 연장 단부(14) 및 매설부(15), 그리고 피복부(16) 및 제1 보강 쇠장식(51)이 일체화한 제1 돌출 단부(18)가 형성되어, 좌우의 반체부(10)가 결합된다. 그런데 상기 피복부(16)는 반드시 매설부(15)의 전체를 피복할 필요는 없고, 좌우의 반체부(10)를 결합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매설부(15)를 피복하면 되지만, 결합력을 최강으로 하기 위해서는 매설부(15)의 전체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복부(16)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다른 부재와 일체화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이며, 다른 부재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있어서는 단독으로 존재하도록 묘사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단부(14)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14a)과, 당해 상면(14a)의 좌우 양측에 접속된 외측면(14b) 및 내측면(14c)과, 하측에 위치하는 하면(14d)을 갖는다. 당해 하면(14d)은 실장면(17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피복부(16)에 의해 피복된다. 상기 상면(14a)은 제1 볼록부(12)의 끼워 맞춤면(12a)과 거의 단차가 없다. 또한, 상기 내측면(14c)은 제1 볼록부(12)의 내측면(12c)에 대해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면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면(14b)은,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에 대해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진 경사 외측면(14b1)과,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과 거의 평행인 평행 외측면(14b2)을 포함하고 있다. 당해 평행 외측면(14b2)은 상기 피복부(16)의 외측면과 거의 단차가 없으며, 제1 돌출 단부(18)의 외측면의 일부가 된다.
또한, 매설부(15)는 대략 직방체상의 전체 형상을 구비하는 부재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15a)과, 좌우 양측의 외측면(15b) 및 내측면(15c)과, 하측에 위치하는 하면(15d)과,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양단의 단부면(15e)을 갖는다. 상기 상면(15a) 및 하면(15d)은 서로 평행인 평면이며, 상면(15a)과 하면(15d)사이의 거리, 즉 매설부(15)의 두께는 연장 단부(14) 및 제1 볼록부(12)의 두께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15a)은 끼워 맞춤면(12a)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하면(15d)은 실장면(17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외측면(15b)은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과 거의 평행인 평면이지만 당해 외측면(12b)보다 내측, 즉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중심 근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15c)은 제1 볼록부(12)의 내측면(12c)과 거의 평행인 평면인 평행 내측면(15c1)과, 상기 연장 단부(14)의 내측면(14c)과 거의 평행인 경사 내측면(15c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부면(15e)은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이다. 그리고 매설부(15)는 그 전체가 피복부(16)에 의해 피복, 즉 피복부(16) 내에 매설된다.
이와 같이, 연장 단부(14)가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져서 연장 돌출되고, 매설부(15)가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돌출 단부(18)의 폭(Y축 방향의 치수)을 제1 커넥터(1)의 폭(좌우의 제1 볼록부(12)의 외측면(12b)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단부(18)의 폭을 제1 커넥터(1)의 폭보다 작게 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상기 연장 단부(14)는 반드시 내측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시킬 필요는 없고, 똑바로 연장 돌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설부(15)를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직접 연장 돌출시킴으로써, 연장 단부(14)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 경우,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반체부(10)를 평행으로 나란히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 단부(14)를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Y자 형상으로 되도록 연장 돌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 보강 쇠장식(51)은 금속판을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상판(54)과, 당해 상판(54)의 좌우 양측 모서리에 접속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대략 직사각형 다리부(55)와, 상기 상판(54)의 전후 양측 모서리에 접속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부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에는, 테일부(52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부벽 외면 피복부(52)의 폭은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의 폭보다도 크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강 쇠장식(51)은 상기 피복부(16)와 일체화되어, 제1 돌출 단부(18)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54)은 제1 돌출 단부(18)의 상면에 묻힌 상태로 되고, 상판(54)의 상면은 피복부(16)의 상면과 단차가 없으며, 제1 돌출 단부(18)의 상면의 과반을 구성한다. 또한, 좌우의 다리부(55)는 제1 돌출 단부(18)의 좌우 외측면에 묻힌 상태로 되고, 다리부(55)의 외측면은 피복부(16)의 외측면과 단차가 없으며, 제1 돌출 단부(18)의 외측면의 과반을 구성한다. 또한,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는 제1 돌출 단부(18)의 단부벽 외면 및 단부벽 내면에 묻힌 상태로 되고,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의 외면은 피복부(16)의 단부벽 외면 및 단부벽 내면과 단차가 없으며, 제1 돌출 단부(18)의 단부벽 외면 및 단부벽 내면의 과반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테일부(52a)는 단부벽 외면 피복부(52)의 하단에 약 90도로 구부려서 접속되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다리부(55)의 하단이 제1 기판의 표면에 접근 또는 맞닿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리부(55)의 하단을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제1 보강 쇠장식(51)의 제1 기판에 대한 접속 강도가 향상된다.
그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좌반체부를 제조하는 1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1 공정을 나타내는 2면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2 공정을 나타내는 2면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1 및 제2 공정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제1 돌출 단부를 제조하는 제1 및 제2 공정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6에 있어서, (a)는 상면도, (b)는 하면도이며, 도 7에 있어서, (a)는 도 5의 E부 확대도, (b)는 도 6의 F부 확대도이며, 도 8에 있어서, (a)는 도 5의 화살표 A-A 방향으로 본 단면도, (b)는 도 5의 화살표 B-B 방향으로 본 단면도, (c)는 도 6의 화살표 C-C 방향으로 본 단면도, (d)는 도 6의 화살표 D-D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제1 단자(61)는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금속판을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되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로서의 평판형 단자 캐리어(68)에 복수개가 접속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각 제1 단자(61)는, 그 테일부(62)의 선단이 가늘고 긴 접속 아암(68a)을 통해 단자 캐리어(68)에 접속되고, 절단부(68b)에 있어서 테일부(62)가 접속 아암(68a)으로부터 단절 분리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재로 된다.
그리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단자(6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가 캐리어(68)에 접속된 상태로 공급된다. 도 4는 좌반체부(10A)를 제조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경우 테일부(62)가 외측(Y축 정방향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는 제1 단자(61)는, 도 4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자 캐리어(68)에 접속된 상태에서, 또한 테일부(62)가 내측(Y축 부방향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는 제1 단자(61)는 도 4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자 캐리어(68)에 접속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1차 성형용 금형에 세팅된다. 복수의 제1 단자(61)가 접속된 단자 캐리어(68)를 보유 지지해서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제1 단자(61)를 동시에 위치 결정하여 성형용 금형에 세팅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당해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에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가 용융된 상태로 충전된다. 즉, 제1차 인서트 성형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어떠한 종류의 재료여도 되지만, 여기서는 LCP(액정 폴리머)인 것으로 한다. 제1차 인서트 성형에서는 유동성을 중시하여 상기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전된 절연성 재료가 냉각되어 고화해서 제1 하우징(11)이 성형되면, 상기 성형용 금형이 개방되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단자(61)에 단자 캐리어(68)가 접속된 그대로의 좌반체부(10A)가 취출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1 단자(61)에 단자 캐리어(68)가 접속된 그대로의 우반체부(10B)도 제조된다.
계속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단자(61)에 단자 캐리어(68)가 접속된 그대로의 좌반체부(10A)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테일부(62)에 접속된 단자 캐리어(68)(도 4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자 캐리어(68))만이 절제되어,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테일부(62)에 접속된 단자 캐리어(68)(도 4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자 캐리어(68))는 그대로 남겨진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1 단자(61)에 단자 캐리어(68)가 접속된 그대로의 우반체부(10B)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테일부(62)에 접속된 단자 캐리어(68)만이 절제되어,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테일부(62)에 접속된 단자 캐리어(68)는 그대로 남는다.
계속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테일부(62)에만 단자 캐리어(68)가 접속되어 있는 좌반체부(10A) 및 우반체부(10B)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2차 성형용 금형에 세팅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반체부(10)의 내측끼리가 서로 마주하고, 좌우의 반체부(10)의 제1 하우징(11)끼리가 서로 평행이고, 좌우의 반체부(10)의 제1 하우징(11)의 실장면(17a)끼리 및 길이 방향 양단의 단부면(15e)끼리가 각각 단차가 없으며, 좌우의 반체부(10)의 매설부(15)끼리가 서로 근접하고는 있지만 접촉하고 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좌우의 반체부(10)는 서로 대향하는 매설부(15)의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L2)가 되도록 위치 결정하여, 제2차 성형용 금형에 세팅된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10)의 연장 단부(14)의 적어도 일부 및 매설부(15)의 전체를 덮도록 제1 보강 쇠장식(51)이 제2차 성형용 금형에 세팅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보강 쇠장식(51)은 그 테일부(52a)의 선단이 캐리어로서의 쇠장식 캐리어(58)에 접속된 상태로 세팅된다. 또한, 절단부(58b)에 있어서 테일부(52a)가 쇠장식 캐리어(58)로부터 단절 분리됨으로써, 제1 보강 쇠장식(5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재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a, 도 8a 및 도 8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쇠장식(51)은 그 상판(54)과 매설부(15)의 상면(15a) 사이에 공극이 생기고, 그 다리부(55)와 매설부(15)의 외측면(15b) 사이에 공극이 생기며, 그 단부벽 외면 피복부(52)와 매설부(15)의 단부면(15e) 사이에 공극이 생기고, 그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매설부(15)의 경사 내측면(15c2) 사이에 공극이 생기며, 그 다리부(55)의 하단이 매설부(15)의 하면(15d)보다 하방이며 실장면(17a)과 거의 동등한 높이가 되도록 하여 세팅된다.
계속해서, 상기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에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가 용융된 상태로 충전된다. 즉, 제2차 인서트 성형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절연성 재료는 어떠한 종류의 재료여도 되지만, 여기서는 제1차 인서트 성형과 동일하게 유동성을 중시해서 LCP인 것으로 한다. 제2차 인서트 성형에서는, 강도나 제1차 인서트 성형의 절연성 재료와의 용융 결합성을 중시해서 상기 절연성 재료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충전된 절연성 재료가 냉각되어 고화해서 피복부(16)가 형성되면, 상기 성형용 금형이 개방되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길이 방향 양단이 제1 돌출 단부(18)에 의해 결합된 좌우의 반체부(10)가 취출된다.
이 경우, 좌우의 반체부(10)는 연장 단부(14)의 적어도 일부 및 매설부(15)의 전체가 피복부(16)에 덮인 상태로 당해 피복부(16)와 일체화되고, 제1 보강 쇠장식(51)은 피복부(16)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피복부(16)와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b, 도 8c 및 도 8d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쇠장식(51)은, 그 상판(54), 다리부(55),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매설부(15)의 상면(15a), 외측면(15b), 단부면(15e) 및 경사 내측면(15c2) 사이의 공극은 피복부(16)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충전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매설부(15)의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사이의 공극도 피복부(16)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충전된다. 또한, 매설부(15)의 하면(15d)의 하방도 피복부(16)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충전되고, 피복부(16)의 하면은 실장면(17a)과 거의 단차가 없게 된다. 또한, 연장 단부(14)의 평행 외측면(14b2)은 피복부(16)의 외측면과 거의 단차가 없게 되어, 제1 돌출 단부(18)의 외측면의 일부가 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쇠장식(51)의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매설부(15)의 경사 내측면(15c2)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면서도 상기 경사 내측면(15c2)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2차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된 용융된 절연성 재료는 상기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좌우의 경사 내측면(15c2) 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매설부(15)의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사이를 원활하게 흘러, 상기 캐비티 내에 틈새 없이 충전된다. 또한,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좌우의 경사 내측면(15c2) 사이의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절연성 재료의 충전량이 증가한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설부(15)의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사이의 공극에 대향하는 제1 보강 쇠장식(51)의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에 관한 치수, 즉 폭(L1)은 상기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간격인 거리(L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1 > L2 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부벽 외면 피복부(52)의 폭은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의 폭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제1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매설부(15)의 평행 내측면(15c1)과 제2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피복부(16)사이의 경계는,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보아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되기 때문에, 분리시키기 어렵고, 따라서 제1 돌출 단부(18)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쇠장식(51)의 다리부(55)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에 관한 치수, 즉 길이(L3)는 매설부(15)의 외측면(15b)의 길이(L4)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L3 > L4 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면(15b)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중심 근처의 단부는, 상기 다리부(55)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중심의 단부보다도 제1 커넥터(1)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매설부(15)의 외측면(15b)과 제2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피복부(16)사이의 경계는,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보아 다리부(55)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되기 때문에, 분리시키기 어렵고, 따라서 제1 돌출 단부(18)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매설부(15)는 상하 방향으로 보아도, 전후 방향(길이 방향)으로 보아도, 좌우 방향(폭 방향)으로 보아도, 적어도 일부가 제1 보강 쇠장식(51)의 상판(54),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단부벽 내면 피복부(53) 및 다리부(55) 중 어느 것과 겹치게, 즉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돌출 단부(18)의 강도가 향상된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길이 방향 양단이 제1 돌출 단부(18)에 의해 결합된 좌우의 반체부(10)로부터 잔존하는 단자 캐리어(68) 및 쇠장식 캐리어(58)가 절제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커넥터(1)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에, 당해 제1 커넥터(1)와 함께 커넥터 쌍을 구성하는 제2 커넥터(101)의 구성, 및 상기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 맞춤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을 갖는다. 당해 제2 하우징(1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두꺼운 판상의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의 제1 커넥터(1)가 끼워 넣어지는 측, 즉 끼워 맞춤면(111a) 측(Z축 부방향 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개략 장방형 오목부(112)이며, 제1 하우징(11)과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오목부(112) 내에는 오목홈부(13)와 끼워 맞춰지는 아일랜드 부분으로서의 제2 볼록부(113)가 제2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는 당해 제2 볼록부(113)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측벽부(114)가 제2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볼록부(113) 및 측벽부(114)는 오목부(112)의 저면으로부터 상방(Z축 부방향)을 향해 돌출되여,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재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에는, 오목부(112)의 일부로서,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오목홈부(1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볼록부(113)의 양측의 측면, 및 측벽부(114)의 내측 측면에는 제2 단자(161)를 수용하기 위해, 오목홈 형상의 제2 단자 수용홈 캐비티(1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볼록부(113) 및 측벽부(114)에는 제2 단자(161)를 수용하기 위해, 구멍 형상의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 수용홈 캐비티(115a)와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는 오목홈부(112a)의 저면에 있어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단자 수용홈 캐비티(115a)와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로서 설명한다. 당해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는 제1 단자(61)에 대응하는 피치로, 또한 대응하는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단자(161)는 도전성 금속판에 펀칭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도시되지 않은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62)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 근방으로부터 제2 커넥터(101)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접속부와, 당해 접속부로부터 상방(Z축 부방향)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접촉부(165)를 구비한다. 또한, 당해 접촉부(165)의 선단 근방에는, 본체부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볼록부(16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에 압입되어 보유 지지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162)는 본체부의 하단으로 굽혀 접속되고,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165)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춰지면, 상기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단자(61)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볼록부(165a)가 제1 단자(61)의 접촉부(65)에 형성된 접촉 오목부(65a)와 걸림 결합한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제2 하우징(111)의 하방으로부터 제2 단자 수용 캐비티(115)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111)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제2 단자(161)는 본체부가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115b)에 압입되어 보유 지지되고, 접촉부(165)는 제2 단자 수용홈 캐비티(115a) 내에 수용되어서 오목홈부(112a)에 노출되고, 테일부(162)의 하면은 제2 하우징(111)의 하면으로서의 실장면(111b)에 노출된다.
또한, 각 오목홈부(112a)에 부착되는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자세가 오목홈부(112a)의 폭 방향에 관해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Y축 정방향 측의 오목홈부(112a)에 부착되는 제2 단자(161) 중 전방단(X축 정방향 단)에 위치하는 제2 단자(161)의 자세는 테일부(162)가 Y축 부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는 데 비해, 전방단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하는 제2 단자(161)의 자세는 테일부(162)가 Y축 정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제2 단자(161)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나란히 오목홈부(112a)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오목홈부(112a)의 양측에 있어서 실장면(111b)에 노출되는 테일부(162)의 피치는 제2 단자(1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제2 기판의 접속 패드로의 납땜 등에 의한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부(112a)에 노출되는 접촉부(165)의 피치도 제2 단자(161)의 피치의 2배가 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끼워 맞춤 가이드부로서의 제2 돌출 단부(1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2 돌출 단부(121)에는, 상기 오목부(112)의 일부로서 끼워 맞춤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끼워 맞춤 오목부(122)는 대략 장방형 오목부이며, 각 오목홈부(112a)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122) 내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돌출 단부(18)가 삽입된다. 또한, 제2 돌출 단부(121)에는, 상대방 보강 쇠장식으로서의 제2 보강 쇠장식(151)이 부착된다. 또한, 당해 제2 보강 쇠장식(151)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된다.
상기 제2 보강 쇠장식(151)은 금속판을 펀칭, 굽힘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152)와, 당해 제2 본체부(152)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측방 피복부(153)와,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122)의 좌우의 내벽에 배치된 접촉 측부(154)와, 상기 제2 본체부(152)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56)를 구비한다. 당해 테일부(156)는 제2 커넥터(101)의 길이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제2 기판의 표면에 노출되는 도시되지 않은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 고정된다. 또한, 당해 접속 패드는, 예를 들어 전력 라인인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끼워 맞춤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제1 보강 쇠장식(51)의 테일부(52a)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1 보강 쇠장식(51)의 테일부(52a)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동시에, 제2 보강 쇠장식(151)의 테일부(156)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2 보강 쇠장식(151)의 테일부(156)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인 것으로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끼워 맞춤면으로서의 제1 볼록부(12)의 끼워 맞춤면(12a)과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끼워 맞춤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볼록부(12)의 위치가 제2 커넥터(101)가 대응하는 오목홈부(112a)의 위치와 합치하고, 제1 커넥터(1)의 제1 돌출 단부(18)의 위치가 제2 커넥터(101)가 대응하는 끼워 맞춤 오목부(122)의 위치와 합치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위치맞추기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상대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끼워 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 커넥터(1)의 제1 볼록부(12) 및 제1 돌출 단부(18)가 제2 커넥터(101)의 오목홈부(112a) 및 끼워 맞춤 오목부(122)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끼워 맞춤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도통된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상기 제1 커넥터(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변형예의 좌반체부의 분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 제1 단자(61)는, 본체부(63)를 갖고 있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65)와, 당해 접촉부(65)의 하단에 거의 90도 구부려서 접속된 테일부(62)와, 상기 접촉부(65)의 상단에 거의 90도 구부려서 접속된 상단부(64)를 갖는다. 또한, 당해 상단부(64)의 선단에는, 거의 90도 구부려서 하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묻힘부(64a)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묻힘부(64a)는 끼워 맞춤면(12a)으로부터 하향으로 제1 볼록부(12) 내에 매립되는 부분이다.
도 2 등에 나타내는 제1 단자(61)에서는, 접촉부(65)가 면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테일부(62)가 연장 돌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제1 단자(61)에서는, 접촉부(65)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테일부(62)가 연장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테일부(62)의 선단에 가늘고 긴 접속 아암(68a)을 통해 접속된 단자 캐리어(68)를 보유 지지하여, 복수의 제1 단자(61)를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좌우 양측으로부터 제1차 성형용 금형에 세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제1 단자(61)의 기타 구성, 동작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제1 단자(61)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는, 각각이,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에 부착된 복수의 제1 단자(61)를 포함하는 반체부(10)와, 각 반체부(10)의 제1 하우징(11)끼리가 맞대어져 제1 하우징(1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돌출 단부(18)와, 제1 돌출 단부(18)에 부착된 제1 보강 쇠장식(5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의 각각은 제1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1 단자(61)와 일체화된 부재이며,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단자(61)를 보유 지지하는 제1 볼록부(12)와,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연장 단부(14)와, 연장 단부(14)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매설부(15)를 포함하고, 제1 돌출 단부(18)는 각 제1 하우징(11)의 연장 단부(14)의 적어도 일부 및 매설부(15)의 전체를 피복하는 피복부(16)를 포함하고, 피복부(16)는 제2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연장 단부(14), 매설부(15) 및 제1 보강 쇠장식(51)과 일체화된 부재이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제1 단자(61)가 부착된 제1 하우징(11)의 제1 볼록부(12)끼리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어, 제1 커넥터(1)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커넥터(1)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제1 커넥터(1)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보강 쇠장식(51)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54)과, 상판(54)의 좌우 양측 모서리에 접속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다리부(55)와, 상판(54)의 전후 양측 모서리에 접속되어 하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는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를 포함하고, 매설부(15)는 상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보아, 적어도 일부가 상판(54), 다리부(55), 단부벽 외면 피복부(52) 및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반체부(10A)의 매설부(15)와 우반체부(10B)의 매설부(15)가 제1 보강 쇠장식(51)과 일체화된 피복부(16)에 의해 강고하게 결합되어 제1 돌출 단부(18)가 확실하게 구성되고, 좌반체부(10A)와 우반체부(10B)가 확실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 제1 하우징(11)의 매설부(15)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제1 하우징(11)의 매설부(15)에 대향하는 평행 내측면(15c1)을 포함하며, 서로 대향하는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거리(L2)는 서로 대향하는 평행 내측면(15c1)끼리의 사이의 공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보강 쇠장식(51)의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의 폭(L1)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제1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매설부(15)의 평행 내측면(15c1)과 제2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피복부(16)사이의 경계는, 전후 방향으로 보아 단부벽 내면 피복부(53)와 중첩되기 때문에, 분리시키기 어려워져 제1 돌출 단부(18)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단부벽 내면 피복부(53)는 서로 대향하는 평행 내측면(15c1)의 각각에 접속된 경사 내측면(15c2)이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매설부(15)의 경사 내측면(15c2)에 대향하면서도 경사 내측면(15c2)과의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하우징(11)의 매설부(15)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보강 쇠장식(51)의 다리부(55)에 대향하는 외측면(15b)을 포함하며, 외측면(15b)의 길이(L4)는 다리부(55)의 길이(L3)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제1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매설부(15)의 외측면(15b)과 제2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 피복부(16) 사이의 경계는, 좌우 방향으로 보아 다리부(55)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되기 때문에, 분리시키기 어려워져 제1 돌출 단부(18)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각 제1 하우징(11)의 연장 단부(14)는 제1 커넥터(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져서 제1 볼록부(12)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1 돌출 단부(18)의 폭은 제1 커넥터(1)의 폭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1 돌출 단부(18)의 폭을 제1 커넥터(1)의 폭보다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끼워 맞춤되었을 때에, 제1 돌출 단부(18)가 삽입되는 제2 하우징(111)의 끼워 맞춤 오목부(122)의 좌우의 내벽에 접촉 측부(154)가 배치되어서 끼워 맞춤 오목부(122) 내의 폭이 실질적으로 작게 되어 있어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관한 특징을 말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 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히 생각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자의 지그재그형 배치는 규칙적이지 않아도 좋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에서 단자의 배치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좌우의 반체부가 선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본 개시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0A: 좌반체부
10B: 우반체부
11: 제1 하우징
12: 제1 볼록부
12a, 111a: 끼워 맞춤면
12b, 14b, 15b: 외측면
12c, 14c, 15c: 내측면
13, 112a: 오목홈부
14: 연장 단부
14a, 15a: 상면
14b1: 경사 외측면
14b2: 평행 외측면
14d, 15d: 하면
15: 매설부
15c1: 평행 내측면
15c2: 경사 내측면
15e: 단부면
16: 피복부
17: 저판부
17a, 111b: 실장면
18: 제1 돌출 단부
51: 제1 보강 쇠장식
52: 단부벽 외면 피복부
52a, 62, 156, 162: 테일부
53: 단부벽 내면 피복부
54: 상판
55: 다리부
58: 쇠장식 캐리어
58b, 68b: 절단부
61: 제1 단자
63: 본체부
64: 상단부
64a: 묻힘부
65, 165: 접촉부
65a: 접촉 오목부
68: 단자 캐리어
68a: 접속 아암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2: 오목부
113: 제2 볼록부
114: 측벽부
115: 제2 단자 수용 캐비티
115a: 제2 단자 수용홈 캐비티
115b: 제2 단자 수용 구멍 캐비티
121: 제2 돌출 단부
122: 끼워 맞춤 오목부
151: 제2 보강 쇠장식
152: 제2 본체부
153: 측방 피복부
154: 접촉 측부
161: 제2 단자
165a: 접촉 볼록부
811: 하우징
812: 볼록부
861: 단자

Claims (6)

  1. (a) 제1 하우징(11), 및 상기 제1 하우징(11)에 장착된 복수의 제1 단자(61)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1)와, 제2 하우징(111), 및 상기 제2 하우징(111)에 장착된 복수의 제2 단자(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1)와 끼워 맞춰지는 제2 커넥터(101)를 구비하는 커넥터쌍으로서,
    (b) 각 제1 단자(61) 및 각 제2 단자(161)는 각각 접촉부(65, 165)와 기판 접속부(62, 162)를 포함하고,
    (c) 복수의 상기 제1 단자(61)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단자(61)끼리의 자세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이고,
    (d) 복수의 상기 제2 단자(161)는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2 단자(161)끼리의 자세는 상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이고,
    (e) 복수의 상기 제1 단자(61)의 테일부(62) 중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테일부(62)는 상기 제1 하우징(11)의 끼워 맞춤면(12a)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며,
    (f) 상기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테일부(162)가 상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자세의 제2 단자(161)에 대응하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는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보다 상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테일부(162)가 상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자세의 제2 단자(161)에 대응하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는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보다 상기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쌍.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161)의 각각은 상기 제2 하우징(111)에 보유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촉부(165)보다 테일부(162)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커넥터쌍.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111)은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캐비티(115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161)의 본체부는 상기 캐비티(115b)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쌍.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는 상기 제2 하우징(111)의 실장면(111b)에 노출되는, 커넥터쌍.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61)는 상기 제1 하우징(11)과 일체화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에 보유되는, 커넥터쌍.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1) 및 제2 하우징(111)은 각각 길이 방향 양단에 보강 쇠장식(51, 151)이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쌍.
KR1020230034964A 2019-04-25 2023-03-17 커넥터 KR102545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38345P 2019-04-25 2019-04-25
US62/838,345 2019-04-25
JPJP-P-2019-112659 2019-06-18
JP2019112659A JP7364363B2 (ja) 2019-04-25 2019-06-18 コネクタ
KR1020220058145A KR102512867B1 (ko) 2019-04-25 2022-05-12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145A Division KR102512867B1 (ko) 2019-04-25 2022-05-12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082A KR20230043082A (ko) 2023-03-30
KR102545971B1 true KR102545971B1 (ko) 2023-06-22

Family

ID=72922476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847A KR102367596B1 (ko) 2019-04-25 2020-04-24 커넥터
KR1020220017290A KR102399198B1 (ko) 2019-04-25 2022-02-10 커넥터
KR1020220058145A KR102512867B1 (ko) 2019-04-25 2022-05-12 커넥터
KR1020230034964A KR102545971B1 (ko) 2019-04-25 2023-03-17 커넥터
KR1020230034961A KR102587033B1 (ko) 2019-04-25 2023-03-17 커넥터
KR1020230131841A KR102638730B1 (ko) 2019-04-25 2023-10-04 커넥터
KR1020240021882A KR20240027645A (ko) 2019-04-25 2024-02-15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847A KR102367596B1 (ko) 2019-04-25 2020-04-24 커넥터
KR1020220017290A KR102399198B1 (ko) 2019-04-25 2022-02-10 커넥터
KR1020220058145A KR102512867B1 (ko) 2019-04-25 2022-05-12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961A KR102587033B1 (ko) 2019-04-25 2023-03-17 커넥터
KR1020230131841A KR102638730B1 (ko) 2019-04-25 2023-10-04 커넥터
KR1020240021882A KR20240027645A (ko) 2019-04-25 2024-02-1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095059B2 (ko)
JP (4) JP2023017028A (ko)
KR (7) KR102367596B1 (ko)
CN (2) CN113948890A (ko)
TW (2) TWI7448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095059B2 (en)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US20220248529A1 (en) * 2019-06-06 2022-08-04 Jatco Ltd Control unit
JP7454995B2 (ja) *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6968965B1 (ja) *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2024001999A (ja) * 2022-06-23 2024-01-1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対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6762A (ja) 2012-09-13 2014-03-27 Alps Electric Co Ltd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036145A1 (en) 2014-07-29 2016-02-04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3358A (en) 1941-10-08 1947-12-30 Waldo L Garberding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US5915975A (en) 1996-09-12 1999-06-29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with integrated power leads
JP3368471B2 (ja) 1999-10-25 2003-01-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074584B2 (ja) 2001-11-28 2008-04-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可撓性を有する高密度コネクタ組み立て体
US6503101B1 (en) * 2001-12-04 2003-0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TWM250386U (en) * 2003-08-08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667690Y (zh) * 2003-09-06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736999Y (zh) * 2004-09-23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4454036B2 (ja) * 2007-06-06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809816B2 (ja) * 2007-08-31 2011-11-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80185B2 (ja) 2007-1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394327B (zh) * 2008-09-16 2013-04-2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JP5253129B2 (ja) 2008-12-19 2013-07-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3168395B (zh) 2010-09-08 2015-11-25 莫列斯公司 电路板对电路板连接器
CN202103222U (zh) * 2011-06-03 2012-01-04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32430B2 (ja) 2012-05-18 2015-06-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05640B1 (ja) * 2012-10-05 2014-02-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86027B2 (en) * 2012-10-31 2015-03-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241062B2 (ja) 2013-04-30 2017-12-06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極端紫外光光源装置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81666B2 (ja)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065228B2 (en) * 2013-11-21 2015-06-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300064B2 (en) * 2014-01-17 2016-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391398B2 (en)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US9755337B2 (en) * 2014-09-02 2017-09-05 Apple Inc. Waterproof board-to-board connectors
JP6056835B2 (ja) 2014-11-14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及び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174005B2 (ja) 2014-12-12 2017-08-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5178062U (zh) 2015-07-17 2016-04-2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JP6591251B2 (ja)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22172B2 (ja) 2016-11-17 2019-12-18 株式会社東芝 情報抽出支援装置、情報抽出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07218B2 (ja) 2016-11-18 2021-01-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12210B2 (ja)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842359B2 (ja)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9038013B (zh) 2017-06-09 2020-01-10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6925883B2 (ja) * 2017-06-09 2021-08-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950740B2 (ja) 2017-07-24 2021-10-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
JP1606261S (ko) 2017-09-01 2018-06-11
USD886066S1 (en) 2017-12-06 2020-06-02 Samtec, Inc. Securement member of electrical connector
JP6493611B1 (ja) * 2018-08-03 2019-04-03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253337B2 (ja)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148357B2 (ja)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095059B2 (en)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7364363B2 (ja)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D918843S1 (en) 2019-04-26 2021-05-11 Molex, Llc Electric connector
JP1656883S (ko) 2019-09-10 2020-04-06
JP7353123B2 (ja) 2019-10-11 2023-09-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454995B2 (ja)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US20230291153A1 (en) 2020-08-04 2023-09-14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JP1682137S (ko) 2020-10-06 2021-08-30
JP6968965B1 (ja)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1689504S (ko) 2020-12-08 2021-07-12
JP2023118511A (ja) 2022-02-15 2023-08-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6762A (ja) 2012-09-13 2014-03-27 Alps Electric Co Ltd レセプタクル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036145A1 (en) 2014-07-29 2016-02-04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05753A (zh) 2022-02-01
JP2023099661A (ja) 2023-07-13
KR20200125515A (ko) 2020-11-04
KR20220068966A (ko) 2022-05-26
KR102367596B1 (ko) 2022-02-25
CN111864427B (zh) 2021-10-01
US11978973B2 (en) 2024-05-07
KR102512867B1 (ko) 2023-03-22
KR102587033B1 (ko) 2023-10-10
KR20230147022A (ko) 2023-10-20
US20210351528A1 (en) 2021-11-11
US20240072466A1 (en) 2024-02-29
TWI744855B (zh) 2021-11-01
US11095059B2 (en) 2021-08-17
KR20220024331A (ko) 2022-03-03
KR102399198B1 (ko) 2022-05-19
US11721921B2 (en) 2023-08-08
CN111864427A (zh) 2020-10-30
KR20230043082A (ko) 2023-03-30
JP2023017032A (ja) 2023-02-02
TW202044681A (zh) 2020-12-01
JP2023017029A (ja) 2023-02-02
US20200343659A1 (en) 2020-10-29
KR20240027645A (ko) 2024-03-04
TWI803007B (zh) 2023-05-21
KR102638730B1 (ko) 2024-02-21
JP2023017028A (ja) 2023-02-02
KR20230043804A (ko) 2023-03-31
US20230261403A1 (en) 2023-08-17
CN113948890A (zh)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971B1 (ko) 커넥터
JP7364363B2 (ja) コネクタ
JP7445703B2 (ja) コネクタ
US9196982B2 (en)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JP745499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KR102669863B1 (ko) 커넥터
JP7403614B2 (ja) コネクタ
JP202311511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