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57B1 -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 Google Patents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57B1
KR102543057B1 KR1020177026640A KR20177026640A KR102543057B1 KR 102543057 B1 KR102543057 B1 KR 102543057B1 KR 1020177026640 A KR1020177026640 A KR 1020177026640A KR 20177026640 A KR20177026640 A KR 20177026640A KR 102543057 B1 KR102543057 B1 KR 10254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olefin
based resin
mass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349A (ko
Inventor
다쿠메이 우노
히로키 미카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6Crosslinking before of after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A)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와,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염기성 마그네슘 (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 및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5질량부 배합됨과 함께,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이 0.1~15㎛이다.

Description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고, 또한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장재, 도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용 내장재에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2차 가공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에는, 일반적으로 아조디카르본아미드가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아조디카르본아미드는, 발포 후에 미량의 분해 잔사물을 수지 중에 잔존시키지만, 그 분해 잔사물의 일부는 승화성이 있기 때문에, 포깅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포깅이란, 내장재로서 이용되는 수지 재료나 수지 발포체로부터 발생하는 미량의 승화물이 프론트 글래스 등의 내면에 부착되어 헤이즈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아조디카르본아미드를 원인으로 하는 포깅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아조디카르본아미드와 함께, 염기성 마그네슘 화합물 및/또는 염기성 칼슘 화합물을 수지에 배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532791호 공보
그런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압출기를 사용한 연속 생산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압출기로 생산한 경우, 수지의 열화에 의해 발생한 체류물이 압출기 내부에 쌓이는 경우가 있지만, 체류물이 발포체 조성물에 혼입되면, 체류물 부근에서 파포(破泡)가 일어나, 거대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거대 기포의 발생은, 특허 문헌 1과 같이, 염기성 마그네슘 화합물이나 염기성 칼슘 화합물 등을 배합한 경우, 특히 일어나기 쉬워진다. 수지 발포체는, 거대 기포가 있으면, 외관이 악화되어, 자동차용 내장재용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포깅의 발생을 적절히 방지하면서, 파포에 의한 거대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입경이 작은 특정의 염기성 마그네슘을 소정량 사용함으로써, 아조디카르본아미드에 의한 포깅을 방지하면서도, 거대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하의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1)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A)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와,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염기성 마그네슘 (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 및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5질량부 배합됨과 함께,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이 0.1~15㎛인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2)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3~12질량부 배합되는 상기 (1)에 기재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3) 상기 수지 (A)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4) 상기 수지 (A)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추가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1~50질량% 포함하는 상기 (3)에 기재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5) 밀도가 0.02~0.20g/cm3인 상기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6) 상기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추가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자동차용 내장재.
(7)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A)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와,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염기성 마그네슘 (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압출하고, 그 압출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 및 발포하여,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5질량부 배합됨과 함께,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이 0.1~15㎛인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에 있어서, 아조디카르본아미드에 의한 포깅을 방지하면서, 거대 기포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이하, 간단히 「발포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A)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와, 염기성 마그네슘 (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하, 간단히 「수지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가교 및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지 (A)]
수지 (A)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인 호모 폴리프로필렌이나,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로서는,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랜덤 공중합체(즉, 랜덤 폴리프로필렌)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2의 에틸렌, 또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등의 탄소수 4~10 정도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는, 성형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것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50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 50질량% 이하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全)모노머 성분에 대하여, 프로필렌이 80~99.9질량%,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이 0.1~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이 90~99.5질량%,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이 0.5~1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프로필렌이 95~99질량%,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이 1~5질량%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직쇄상(狀)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LLDPE)가 바람직하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밀도가 0.910g/cm3 이상 0.950g/cm3 미만의 폴리에틸렌이며,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0.910~0.930g/cm3의 것이다. 발포체는, 밀도가 낮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발포체에 가공할 때의 가공성이나, 발포체를 성형체로 성형할 때의 성형성 등이 양호해지기 쉽다. 또한, 상기 수지의 밀도는 JIS K7112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통상, 에틸렌을 주성분(전모노머의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으로 한, 에틸렌과 소량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3~1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0의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것을 병용해도 된다.
수지 (A)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다. 수지 (A)는, 상기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상기한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수지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에 무수 말레산을 공중합한 변성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A)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 구성되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수지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A) 전량에 대하여, 통상 70질량% 이상 함유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80~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100질량% 함유된다.
또한, 수지 (A)는, 상기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A) 전량 기준으로,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90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랜덤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발포체는, 이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발포체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압출기 내부에 있어서의 수지 온도가 높아져, 압출기 내부에서 수지가 열화되어 체류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한 체류물은, 수지 조성물에 혼입되면, 거대 기포의 요인이 되기 쉽지만, 본 발명에서는, 포깅을 방지하기 위한 (C) 성분을, 소입경으로 하고, 또한 배합량도 일정 범위로 함으로써, 거대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수지 (A)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추가하여, 상기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지 (A) 전량에 대하여, 1~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5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추가하여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을 높이면서, 가공성, 성형성도 양호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를 함유한다.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는, 가열됨으로써 분해되어 발포되는 열분해형 발포제이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공정 (3)으로 분해하여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것이다.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는,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2~20질량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12질량부 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발포체의 기포를 파열시키지 않고 적절하게 발포하기 쉬워진다. 또한, 비교적 발포 배율이 높은(즉, 밀도가 낮은) 발포체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 조성물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의 발포(즉, (B) 성분의 분해)는, 비교적 고온 환경하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B) 성분의 분해 잔사가 승화물로서 발생되기 쉬워지지만, 그러한 경우라도, 후술하는 소정의 (C) 성분을 일정량 사용함으로써, (B) 성분의 승화물이 요인이 되어 발생하는 포깅이 방지되기 쉬워진다.
[염기성 마그네슘 (C)]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마그네슘 (C)는,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C) 성분으로서,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일방만을 함유해도 되고, 양방을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가 가열에 의해 분해되면, 그 일부가 승화물이 되지만, (C)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그러한 승화물에 의한 포깅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C) 성분이 소입경임으로써, 거대 기포의 발생이 억제된다.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은, 구체적으로는, 0.1~15㎛가 되는 것이다.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발포체 중에 거대 기포가 형성되기 어려워, 포깅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은, 0.2~10㎛가 바람직하고, 0.3~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은, 메디안(median) 직경(D50)이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기재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염기성 마그네슘 (C)는,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5질량부 배합되는 것이다. (C) 성분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발포체 중의 거대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포깅의 발생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염기성 마그네슘 (C)는,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4질량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0.3질량부 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A), (B), 및 (C) 성분 이외에도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바람직한 첨가제로서는, 가교 조제 및 산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양방 모두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일방만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 조제)
가교 조제로서는, 다관능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트리멜리트산 트리알릴에스테르, 1,2,4-벤젠트리카르본산 트리알릴에스테르,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1분자 중에 3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디비닐벤젠 등의 1분자 중에 2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화합물; 프탈산 디알릴, 테레프탈산 디알릴, 이소프탈산 디알릴, 에틸비닐벤젠,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조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3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 조제를 수지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적은 전리성 방사선량으로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에 따른 각 수지 분자의 절단,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가교 조제의 함유량은,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2~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7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1~5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0.2질량부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을 발포할 때, 원하는 가교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10질량부 이하이면 수지성 조성물에 부여되는 가교도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아민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고, 페놀계 산화 방지제와 유황계 산화 방지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ert-부틸-p-크레졸,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tert-부틸-6-(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또한, 유황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황계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2~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 아연, 스테아린산 아연, 요소 등의 분해 온도 조정제, 난연제, 금속해(害) 방지제, 대전 방지제, 안정제, 충전제, 안료 등의 상기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B) 성분 이외의 발포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발포체>
본 발명의 발포체는,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고, 또한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발포체의 가교도는, 30~55%가 바람직하고, 32~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발포체의 가교도가 상기의 범위가 됨으로써, 기계 강도, 유연성, 성형성을 밸런스 좋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포체의 가교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되는 바와 같다.
발포체는, 시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8㎜이다.
이러한 두께를 가지는 발포체는, 자동차용 내장재로 적절히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포체의 밀도(겉보기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성과 강도를 밸런스 좋게 양호하게 하기 위해, 0.02~0.20g/cm3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15g/cm3이다.
발포체는, 고배율로 발포됨으로써, 이와 같이 비교적 저밀도가 되면, 일반적으로, 파포가 일어나 거대 기포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포깅 방지를 위한 (C) 성분이, 소입경이며 또한 사용량도 일정량이기 때문에, 거대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발포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발포체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A), (B), 및 (C) 성분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압출하고, 그 압출한 수지 조성물을 가교 및 발포하여,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는 것이다. 본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공정 (1)~(3)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1): 상기 (A), (B), (C) 성분,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B) 성분인 아조디카르본아미드의 분해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로부터 압출하여 시트 형상 등의 소정 형상의 수지 조성물을 얻는 공정
공정 (2): 공정 (1)에서 얻은 수지 조성물에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하는 공정
공정 (3): 공정 (2)에서 가교한 수지 조성물을,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의 분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발포시켜, 발포체를 얻는 공정
본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압출기로서는, 예를 들면,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내부의 수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0~195℃,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195℃이다.
또한, 공정 (2)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α선, β선, γ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전자선이 바람직하다.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량은, 원하는 가교도를 얻을 수 있으면 되지만, 0.1~10Mrad가 바람직하고, 0.2~5Mrad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리성 방사선의 조사량은, (A), (B), (C) 성분, 및 그 밖의 첨가제 등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통상은 가교도를 측정하면서 조사량을 조정한다.
공정 (3)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을 가열 발포시키는 온도는, 통상 200~290℃, 바람직하게는 220~280℃이다.
또한, 공정 (3)에 있어서는, 발포체는, 발포 후, 또는 발포되면서 MD 방향 또는 CD 방향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이며, 발포체는 다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어도 된다.
[성형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발포체는, 발포체 단체(單體)로, 또는 필요에 따라 이종 재료와 겹쳐 쌓은 후, 공지의 방법으로 성형되어, 성형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진공 성형, 압축 성형, 스탬핑 성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는 진공 성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성형에는 수형 진공 성형, 암형 진공 성형이 있지만, 암형 진공 성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종 재료로서는, 수지 시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시트, 직물 등의 시트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성형체는, 각종 용도로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천장재, 도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자동차용 내장재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물성의 측정 방법, 및 발포체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평균 입경
염기성 마그네슘의 평균 입경은, HELOS(H2731)에 의해, 분산압: 2.00bar, 인(引)압: 72.00mbar에서 측정한 메디안 직경(D50)이다.
(2) 가교도
발포체로부터 약 100mg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시험편의 질량 A(mg)를 정밀하게 칭량(精秤)한다. 이어서, 이 시험편을 120℃의 크실렌 30cm3 중에 침지하여 24시간 방치한 후, 200메시의 철망으로 여과하여 철망상의 불용해분을 채취, 진공 건조하여, 불용해분의 질량 B(mg)를 정밀하게 칭량한다. 얻어진 값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가교도(질량%)를 산출했다.
가교도(질량%)=100×(B/A)
(3) 밀도
발포체의 밀도(겉보기 밀도)는 JIS K 7222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다.
(4) 발포체의 두께
다이얼 게이지로 계측했다.
(5) 포깅 평가
포깅 평가는, ISO6452에 준거한 설비에서, 발포체를 100℃×20시간 양생 후, 헤이즈를 측정하는 것으로 행했다. 또한, 헤이즈는 니혼덴쇼쿠고교사제(製)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헤이즈가 15% 이하인 것을 합격으로 했다.
(6) 거대 기포
얻어진 발포체에 거대 기포가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육안 관찰은,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트 두께 4㎜의 발포체에 조도 3,000lx의 광을 투과시켜 행하여, 거대 기포가 1개 이하/3m2이었던 것을 “A”로 하고, 1개/3m2보다 많았던 것을 “B”로 했다.
실시예 1~8, 비교예 1~7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표 1, 2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표 1, 2에 나타낸 부수로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수지 온도 190℃에서 용융 혼련하여 압출하여, 두께 2.0㎜의 시트 형상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시트 형상의 수지 조성물의 양면에 가속 전압 800kV로 전자선을 1Mrad의 조사량으로 조사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가교했다. 그 후, 가교한 수지 조성물을 열풍 오븐에 의해 250℃에서 5분간 가열하고, 그 가열에 의해 발포시켜 두께 4㎜의 발포 시트(발포체)로 했다. 각 실시예, 비교예의 발포체의 평가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92181395-pct00001
Figure 112017092181395-pct00002
※ 또한, 표 1, 2에 있어서, “산화”는, 염기성 마그네슘이 산화마그네슘인 것을, “수산화”는, 염기성 마그네슘이 수산화마그네슘인 것을 나타낸다.
표 1, 2에 있어서의 수지 및 첨가제는 이하와 같다.
랜덤 PP: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제품명: EG7F, 일본 폴리프로필렌사제, MFR=1.3g/10분, 에틸렌량: 3질량%
L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제품명: 5220G, 다우케미컬니혼사제, 밀도: 0.915g/cm3
가교 조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산화 방지제 1: 2,6-디-tert-부틸-p-크레졸
산화 방지제 2: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이상의 실시예 1~8에서는, 소입경의 염기성 마그네슘을 소정량 배합함으로써, 포깅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거대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자동차용 내장재로서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발포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 4, 5, 7에서는, 염기성 마그네슘이 배합되지 않거나, 또한 배합량이 적었기 때문에, 포깅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었다. 한편, 비교예 2에서는, 포깅을 억제할 수 있었지만, 염기성 마그네슘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았기 때문에, 거대 기포가 보여 외관이 악화되었다. 또한, 비교예 3, 6에서는, 염기성 마그네슘의 입경이 컸기 때문에, 배합량이 적절한데도 불구하고, 포깅이 충분히 억제될 수 없고, 나아가서는, 거대 기포가 보여 외관도 악화되었다.

Claims (7)

  1.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A)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와,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염기성 마그네슘 (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 및 발포하여 이루어지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5질량부 배합됨과 함께,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이 0.1~15㎛인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3~12질량부 배합되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A)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A)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추가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1~50질량% 포함하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밀도가 0.02~0.20g/cm3인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추가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자동차용 내장재.
  7.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A)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B)와, 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염기성 마그네슘 (C)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압출하고, 그 압출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 및 발포하여,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얻는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가, 상기 수지 (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0.5질량부 배합됨과 함께,
    상기 염기성 마그네슘 (C)의 평균 입경이 0.1~15㎛인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20177026640A 2015-03-31 2016-03-24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KR102543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3817 2015-03-31
JPJP-P-2015-073817 2015-03-31
PCT/JP2016/059487 WO2016158701A1 (ja) 2015-03-31 2016-03-24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349A KR20170133349A (ko) 2017-12-05
KR102543057B1 true KR102543057B1 (ko) 2023-06-14

Family

ID=5700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640A KR102543057B1 (ko) 2015-03-31 2016-03-24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18910A1 (ko)
EP (1) EP3279244B1 (ko)
JP (1) JP6696902B2 (ko)
KR (1) KR102543057B1 (ko)
CN (1) CN107406612B (ko)
WO (1) WO2016158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2112B2 (ja) * 2016-09-30 2021-0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7100968B2 (ja) * 2017-09-26 2022-07-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7160615B2 (ja) * 2018-09-28 2022-10-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EP4039738A4 (en) * 2019-09-30 2023-09-27 Sekisui Chemical Co., Ltd. CROSS-LINKED POLYOLEFIN RESIN FOAM, ADHESIVE TAPE, LAMINATED BODY, MOLDING AND DISPLAY ELEMENT
JP2021161273A (ja) * 2020-03-31 2021-10-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シート及び車輌用内装材
CN111592703B (zh) * 2020-05-18 2022-08-16 广德祥源新材科技有限公司 环保型交联聚烯烃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225938A (zh) * 2020-09-27 2021-01-15 惠州市峄董塑胶科技有限公司 关于各种塑胶发泡的配方及工艺
CN112724505A (zh) * 2020-12-25 2021-04-30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用于移动空调排风管的复合发泡材料、排风管和移动空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0838A (ja) 2009-06-05 2010-12-16 Hitachi Cable Ltd 発泡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CN103030866A (zh) 2011-10-04 2013-04-10 日东电工株式会社 填充密封用发泡组合物、填充密封发泡构件、填充密封用发泡体及其填充方法
JP2013245251A (ja) 2012-05-24 2013-12-09 Toray Ind Inc 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発泡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2564A (en) * 1968-07-19 1972-07-19 Bakelite Xylonite Ltd Cellular polyethylene
GB1479031A (en) 1973-07-25 1977-07-06 Forney International Load indicating systems for cranes
DE2852287C3 (de) * 1978-12-02 1982-05-13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en aus Polyolefinen
JP3692681B2 (ja) * 1997-02-05 2005-09-07 東レ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
US6303666B1 (en) * 1998-07-30 2001-10-16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xpanded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products
JP3532791B2 (ja) * 1999-04-28 2004-05-31 大塚化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発泡剤組成物及び自動車用内装材
JP2003041040A (ja) * 2001-08-02 2003-02-13 Grand Polymer Co Ltd 発泡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成形天井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自動車用成形天井材
JP2004250529A (ja) * 2003-02-19 2004-09-09 Nitto Denko Corp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用組成物とその発泡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JP5121243B2 (ja) * 2006-03-30 2013-01-16 Jsr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
CN103415558B (zh) * 2011-03-09 2014-08-06 东丽株式会社 聚烯烃系树脂交联发泡体
CN103571033A (zh) * 2013-10-15 2014-02-12 苏州市景荣科技有限公司 一种抗收缩eva发泡鞋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0838A (ja) 2009-06-05 2010-12-16 Hitachi Cable Ltd 発泡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CN103030866A (zh) 2011-10-04 2013-04-10 日东电工株式会社 填充密封用发泡组合物、填充密封发泡构件、填充密封用发泡体及其填充方法
JP2013245251A (ja) 2012-05-24 2013-12-09 Toray Ind Inc 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発泡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6612B (zh) 2021-04-02
WO2016158701A1 (ja) 2016-10-06
KR20170133349A (ko) 2017-12-05
EP3279244A1 (en) 2018-02-07
EP3279244B1 (en) 2021-06-02
EP3279244A4 (en) 2018-08-08
JP6696902B2 (ja) 2020-05-20
CN107406612A (zh) 2017-11-28
JPWO2016158701A1 (ja) 2018-01-25
US20180118910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3057B1 (ko)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JP6698517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発泡体
JP6846342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KR102517797B1 (ko) 발포체, 적층체 및 성형체
JP710096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7160615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6696807B2 (ja) 積層発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4858420B2 (ja) 内装材、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内装成型品
JP7180990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3492132B2 (ja) 発泡性樹脂組成物
JP3315620B2 (ja) 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H07238178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用組成物
KR20150124670A (ko) 디플렉터 워터필름 수지 조성물
JP2021046506A (ja) 発泡体シート
JP2021169549A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成形体
JP2004161902A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JP2004339361A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