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817B1 -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817B1
KR102542817B1 KR1020210102960A KR20210102960A KR102542817B1 KR 102542817 B1 KR102542817 B1 KR 102542817B1 KR 1020210102960 A KR1020210102960 A KR 1020210102960A KR 20210102960 A KR20210102960 A KR 20210102960A KR 102542817 B1 KR102542817 B1 KR 10254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parator
lubricating oil
scrap
plastic container
hd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310A (ko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혜성산업(주)
장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산업(주), 장성철 filed Critical 혜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0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80Testing, e.g. for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물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을 이용한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68 내지 85 중량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10 내지 30 중량부 및 안료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Plastic container for lubricating oil using battery separator scra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물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연기관 자동차에는 납축전지 또는 납산 배터리(Lead-acid battery)라 불리는 2차전지가 들어가며, 배터리는 몇가지 독성 화학물질과 중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다른 쓰레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폐기하는 경우, 환경오염을 유발하므로 폐배터리는 지정된 폐기물 처리공장에서 파쇄와 분리과정을 거쳐 재활용되며, 납산 배터리는 현재 기술력으로 광범위한 분야에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에 핵심 소재인 리튬이온 배터리는, 작고 가벼운 무게와 메모리 현상이 없는 장점으로 2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리튬계 배터리는 배터리 재활용 공정이 에너지 집약적인 공정으로 재활용된 배터리의 금속을 회수하는데 광업 보다 6배에서 10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또한, 리튬계 배터리는 크게 양극, 음극, 전해질, 배터리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배터리 분리막은 2차전지 내 두 전극(양극/음극)을 격리시켜 물리적 접촉에 의한 전기적 단락을 차단하며, 미세기공 내에 담지된 전해액을 통해 이온이 두 전극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을 가지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필름소재이며, 이러한 배터리 분리막은 미세한 상처로도 상품성이 쉽게 훼손되고, 산업특성상 과잉생산으로 인하여 매달 100㎡의 재고가 발생하고 있으나, 재활용이 어려워 폐기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터리 분리막은 불순물이 양극/음극 분리 유지 및 리튬 이온 통과 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잔여 불순물 함량이 낮은, 순도가 높은 분자량이 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계통을 주성분으로 사용한다.
한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가 100% 주원료로 마스터 배치를 첨가하여 색상을 내고, 블로우 몰딩(blow molding) 성형기의 압출기에서 170~200℃의 스크류 실린더를 통한 용해과정을 거친 후, 성형기 헤드에서 사출되어 금형(mould)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공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국내 주요 윤활유 업체인 SK Rubricant, S-Oil, GS칼텍스 등을 비롯하여 외국계 윤활유 업체인 EXXON MOBIL, SHELL, BP CASTROL 등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윤활유 업체는, 윤활유를 1 리터, 4 리터, 6 리터 등 플라스틱 소량 용기에 충진시킨 후 포장하여 중국, 동남아 등에 수출하고 있다.
이때, 윤활유 제품은 윤활유를 충진시킨 플라스틱 용기를 3~12개씩 종이박스에 포장하여 수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이박스에 포장됨에 따라, 외부충격 등에 의해 플라스틱 용기에 균열이 발생하여 윤활유가 누출되어 종이박스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오염된 박스를 대체할 박스 및 대체할 용기 마련, 불량용기의 회수 및 현지 처리비용 등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 ESG(환경ㆍ사회적 가치ㆍ거버넌스 :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와 같은 비재무적인 가치의 중요성이 증가하여, 플라스틱 등 인체에 유해하거나 재활용이 어려운 제품에 대한 규제와 사용량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윤활유 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의 용기당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전반적인 플라스틱 사용량 감소를 통해 ESG 흐름에 부응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1836호 (2019.07.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후성, 내흡수성 등의 물성이 향상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여, 종래의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가 금형에 접합되는 과정에서 열화로 인하여 접합부가 충분히 접합되지 않아 접합부가 갈라지거나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폐배터리의 재활용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리되어 자원낭비와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친환경적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을 이용한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68 내지 85 중량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10 내지 30 중량부 및 안료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반버리(banbury) 믹서로 분쇄하여 가열 후 취출된 액상 스크랩을 냉각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제품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은 100 중량부 기준으로 Al2O3가 10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며, 분자량이 40,0000~10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을 이용한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65~85 : 10~30 : 2~5의 중량비로 배합기에 넣고 혼련시키는 교반단계; 혼련된 배합물을 180 내지 190℃의 사출기의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용융된 용융물을 블로우 몰딩(Blowing Molding) 성형기의 헤드를 통해 사출시켜 패리슨(Parison)을 형성하는 패리슨 형성단계; 및 상기 패리슨을 금형 내에 안착시켜 블로우 몰딩 성형시킨 후 냉각시키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은 누유검사(Leak test) 및 육안검사를 통한 제품 검사단계; 및 포장 공급(IN-Molding Labelling system) 또는 스티커 부착 후 포장 공급하는 포장 공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종래의 HDPE를 사용하여 제조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약한 접합부 및 깨지기 쉬운 단점을 개선 가능하며, 종래의 HDPE를 사용하여 제조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물성과 대비하여 마찰계수가 낮으며, 내화학안정성, 내후성, 내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재활용되지 않고 전량이 폐기되어 플라스틱 폐기물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되는 배터리 분리막을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이점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은 교반단계(S10), 용융단계(S20), 패리슨 형성단계(S30) 및 성형단계(S40)를 포함하며, 추가로 제품 검사단계(S50), 포장 공급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단계(S10)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65~85 : 10~30 : 2~5의 중량비로 배합기에 넣고 혼련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은 미세한 스크레치가 발견되어 상품성이 훼손되어 폐기되거나, 산업 특성상 과잉생산되어 폐기처리된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반버리(banbury) 믹서로 분쇄하여 가열 후 취출된 액상 스크랩을 냉각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제품화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은 100 중량부 기준으로 Al2O3가 10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0~1,000,000g/mol으로, 분자량 400,000g/mol 이상의 초고분자량HDPE와 상기 초고분자량HDPE 보다 작은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HDPE가 혼합된 성상을 가지는 물질이다.
이때,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은 펠렛 형태임에 따라 종래의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 시 사용되는 HDPE에 혼합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윤활유용 플라스틱 조성물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첨가제를 통한 개질이나 제거 과정 없이 종래의 HDPE에 포함되어 종래의 HDPE 제조하는 공법과 온도 조건 하에서 그대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HDPED 용기의 깨지기 쉬운 단점을 개선시킴은 물론,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교반단계(S10)는 HDPE의 중량비를 85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내화학성의 개선정도가 낮으며, HDPE의 중량비를 65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용융지수가 높아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의 중량비를 30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마찰계수의 저하정도가 낮아 물성의 개선정도가 낮으며, 10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충격강도의 개선정도가 낮다. 따라서,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65~85 : 10~30 : 2~5의 중량비로 혼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비율로 인하여 다른 혼합비율에 비하여,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화학성이 개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75 : 20 : 3의 중량비로 배합기에 넣고 혼련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단계(S20)는 혼련된 배합물을 180 내지 190℃의 사출기의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킨다.
상기 용융단계(S20)는 혼련된 배합물을 블로우 몰딩 성형을 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180 내지 190℃의 사출기의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패리슨 형성단계(S30)는 용융된 용융물을 블로우 몰딩(Blowing Molding) 성형기의 헤드를 통해 사출시켜 패리슨(Parison)을 형성하며, 여기서, 패리슨(Parison)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중공 성형품을 의미한다.
상기 패리슨 형성단계(S30)는 패리슨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패리슨의 두께 분포를 정밀하게 설계하여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블로우 몰딩(Blowing Molding) 성형기의 헤드의 온도는 200 내지 210℃이며, 상기의 온도의 범위에서 패리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단계(S40)는 상기 패리슨 형성단계(S30)를 통해 형성시킨 상기 패리슨을 금형 내에 안착시켜 블로우 몰딩 성형시킨 후 냉각시킨다.
상기 성형단계(S40)는 상기 패리슨을 가열하여 상기 금형 안으로 이송시킨 후 금형을 닫고 블로우 몰딩을 성형을 진행한 후,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품 검사단계(S50)는 제조된 상기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상품성을 검사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누유검사(Leak test) 및 육안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육안검사를 진행한 후, 누유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의 순서를 변경하여 누유검사를 사전에 진행하는 경우, 불량품에 윤활유를 넣음으로써 윤활유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육안검사를 사전에 진행하 후, 누유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품 검사단계(S50)는 수동으로 진행하는 육안검사를 자동으로 진행하는 외관검사로 대체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외관검사를 진행한 후에는 누유검사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이중으로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포장 공급단계(S60)는 상기 제품 검사단계(S50)를 통해 선별된 제품들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단계로, 검사가 끝난 제품을 바로 포장 공급(IN-Molding Labelling system)하거나 필요에 따라 스티커를 부착 작업 후 포장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75 : 20 : 3의 중량비로 배합기에 넣고 혼련시키며, 혼련된 배합물을 180 내지 190℃의 사출기의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킨 후, 용융된 용융물을 블로우 몰딩 성형기의 헤드를 통해 사출시켜 형성한 패리슨(Parison)을 금형 내에 안착시켜 블로우 몰딩 성형시킨 후 냉각시켜 성형한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하되,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의 중량비를 80 : 15 : 3로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하되,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의 중량비를 60 : 25 : 3로 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제조하되,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의 중량비를 80 : 35 : 3로 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를 시편 형태로 제작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중(g/cm3) 1.172 1.153 1.257 0.927
MI(190℃/2.16kg) 용융지수 0.8-1.0 1.3-1.5 1.1-1.2 1.0-1.3
경도(Rockwell) 68 67 65 67
경도(Shore D) 64 63 63 68
인장강도(kgf/cm2) 232 220 255 260
연신율(%) 687 692 632 651
FM(kgf/cm2) 12,600 12,000 11,800 12,500
IZOD 충격강도(kgfcm/2.54cm) Non-Break >50 >50 >50
TM(℃) 130 132 140 128
HDT(℃) 80 70 75 72
연화점(℃) 120 126 129 110
수축율 MD(%) 1.4 1.2 1.5 1.0
TD(%) 0.01 0.01 0.01 0.01
마찰계수 (ASTM1894) 정마찰 0.13 0.11 0.19 0.09
동마찰 0.1 0.12 0.15 0.07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IZOD 충격강도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물성 개선정도가 낮으며, 비교예 2는 HDPE의 중량비를 적게 포함한 것으로, 용융지수가 높게 나와 플라스틱 용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비교예 3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의 중량비를 많이 포함한 것으로, 마찰계수의 저하정도가 낮아 물성 개선 정도가 낮다.
시험예 2 - 화학적 성질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를 시편 형태로 제작하여 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흡수율 0.01 0.01 0.005 0.03
내강산성
내약산성
내강알카리성
내약알카리성
내유기용제성
내일광성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실시예 1의 내화학성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2는 HDPE의 중량비를 적게 포함한 것으로, 내화학성의 개선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비교예 3은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의 중량비를 많이 포함하는 것으로, 흡수율은 개선되었으나, 실시예 1에 비하여 다른 화학적 성질 개선 정도가 낮다.
상기 표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내일광성을 비롯한 내화학성이 개선되어 옥외 보관시 종래의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 윤활유의 변질 방지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금형에 접합되는 과정에서 열화 등으로 인하여 접합부에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깨지기 쉬운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는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포함하여 제조됨에 따라 폐기물 발생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 저감 및 자원 낭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10: 교반단계
S20: 용융단계
S30: 패리슨 형성단계
S40: 성형단계
S50: 제품 검사단계
S60: 포장 공급단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을 이용하여 제조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HDP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65~85 : 10~30 : 2~5의 중량비로 배합기에 넣고 혼련시키는 교반단계(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scrap)은 미세한 스크레치가 발견되어 상품성이 훼손되어 폐기되거나, 산업 특성상 과잉생산되어 폐기처리된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반버리(banbury) 믹서로 분쇄하여 가열 후 취출된 액상 스크랩을 냉각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제품화한 것);
    혼련된 배합물을 블로우 몰딩 성형을 하기 위한 사전단계로서, 1시간 내지 2시간동안 180 내지 190℃의 사출기의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용융된 용융물을 블로우 몰딩(Blowing Molding) 성형기의 헤드를 통해 사출시켜, 두께 분포를 정밀하게 설계한 패리슨(Parison)을 형성하는 패리슨 형성단계(상기 블로우 몰딩 성형기의 헤드의 온도는 200 내지 210℃이며,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중공 성형품인 페리슨을 형성함);
    상기 패리슨을 가열하여 금형 안으로 이송/안착시킨 후 금형을 닫고 블로우 몰드 성형을 진행 한 후 냉각시키는 성형단계;
    상기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의 상품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육안으로 불량품여부를 검사하는 육안검사를 먼저 진행한 후, 상기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에 윤활유를 넣은 후 누유여부를 검사하는 누유검사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이중으로 검사하는 제품 검사단계(S50); 및
    상기 제품 검사단계(S50)를 통해 선별된 제품들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단계로서, 검사가 끝난 제품을 바로 포장 공급(IN-Molding Labelling system)하거나 또는 스티커를 부착 작업 후 포장 공급하는 포장 공급단계(S60);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은 100 중량부 기준으로 Al2O3가 10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되고,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은 폐기처리된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믹서로 분쇄하여 가열 후 취출된 액상을 냉각하여 제조된 펠렛(Pellet) 형태이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저감하기 위해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0~1,000,000g/mol를 사용하여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며,
    첨가제를 통한 개질이나 제거 과정 없이 폐기물인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HDPE에 포함되어 HDPE 제조하는 공법과 온도 조건 하에서 그대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사용함으로 친환경적이며, 금형에 접합되는 과정에서 열화로 인하여 접합부에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HDPE 용기의 깨지기 쉬운 단점을 개선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HDPE의 중량비를 85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내화학성의 개선정도가 낮으며, HDPE의 중량비를 65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용융지수가 높아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의 중량비를 30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마찰계수의 저하정도가 낮아 물성의 개선정도가 낮으며, 10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충격강도의 개선정도가 낮음으로,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 펠렛, 안료를 65~85 : 10~30 : 2~5의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화학성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10102960A 2021-08-05 2021-08-05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60A KR102542817B1 (ko) 2021-08-05 2021-08-05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960A KR102542817B1 (ko) 2021-08-05 2021-08-05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10A KR20230022310A (ko) 2023-02-15
KR102542817B1 true KR102542817B1 (ko) 2023-06-15

Family

ID=8522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960A KR102542817B1 (ko) 2021-08-05 2021-08-05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8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76B1 (ko) * 2019-05-17 2020-11-24 강창기 이차전지 폐분리막을 이용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36A (ko) 2000-10-23 2001-01-05 백흥재 인터넷에서 댄스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JP3982173B2 (ja) * 2000-12-05 2007-09-26 東洋製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76B1 (ko) * 2019-05-17 2020-11-24 강창기 이차전지 폐분리막을 이용한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310A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4222B (zh) 一种可降解塑料薄膜及其生产方法
EP3984716A1 (en) Preform, resin-made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3201217B (zh) 一种深色阻燃尼龙及其制备方法
La Mantia Recycling of plastic materials
KR102542817B1 (ko) 배터리 분리막 스크랩을 이용한 윤활유용 플라스틱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01766A1 (zh) 一种红外光激发碳化助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613852B (zh) 利用废电瓶壳料制备的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543551A (zh) 一种锂离子电池塑料壳体、锂离子电池及其制造方法
CN106564178A (zh) 一种洗衣液瓶的生产工艺
CN110183760B (zh) 一种pe可熔包装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973960A (zh) 低析出耐黄变特种功能的薄膜母料及其制备方法
US8207248B2 (en) Polyethylene composition having reduced warpage in molded articles
US20230235155A1 (en) Polymer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arge Container Containing High-Density Polyethylene Recovered From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Large Contain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N113637250B (zh) 一种容器盖用的聚合物组合物及容器盖
CN107698997A (zh) 一种环保型洗衣液瓶及生产制备方法
JP2002292737A (ja)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収縮性チューブ
CN112659503A (zh) 一种用于高强度大型垃圾桶的智能化新型改性注塑工艺
CN101856875A (zh) 液压油箱的制造方法及液压油箱
KR20240025885A (ko) 이차전지 분리막에서 회수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중소형 용기 제조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중소형 용기
JP7184221B1 (ja) 黒色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CN107540938B (zh) 一种改性聚丙烯回收料及其制备方法
CN115850989A (zh) 环保复合塑料托盘及其生产方法
CN115627031B (zh) 一种克拉管专用改性pp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021674A (zh) 一种可回收再利用的复合包装袋及回收方法
CN115260655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