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53B1 -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53B1
KR102542053B1 KR1020220047446A KR20220047446A KR102542053B1 KR 102542053 B1 KR102542053 B1 KR 102542053B1 KR 1020220047446 A KR1020220047446 A KR 1020220047446A KR 20220047446 A KR20220047446 A KR 20220047446A KR 102542053 B1 KR102542053 B1 KR 102542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educational
user
content
kios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창범
Original Assignee
한국타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피(주) filed Critical 한국타피(주)
Priority to KR102022004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kio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150); 및 상기 저장된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가 표시되는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A KIOSK APPARATUS FOR EDUCATION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고령자 또는 정보화 취약 계층이 실제 현장에 배치된 키오스크 장치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활용 방법을 교육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고령자 또는 정보화 취약 계층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키오스크(KIOSK; 디지털 무인 판매 장치)는 매장 측에서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객 측에서는 대기 시간과 주문 처리 시간이 짧아지는 등 많은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시장 규모 및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키오스크의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 예를 들어 고령자 또는 정보화 취약 계층은 키오스크 주문이 익숙하지 않아 오히려 대면 주문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어떠한 경우에는 주문을 포기하거나 키오스크로만 주문을 해야하는 매장의 방문을 꺼려하는 사례도 흔하지 않게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 정보화 취약 계층 등 키오스크 조작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가 실제 현장에 배치된 키오스크를 불편함이 없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필요가 당업계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고령자 또는 정보화 취약 계층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결재 화면과 실제 영수증 출력을 동일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이 있는 체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오스크 콘텐츠의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키오스크 콘텐츠 관리 및 운영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만족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제공하고 이를 완료할 경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 및 참여도를 적극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빔프로젝트에 HDMI 연결 시에 자동으로 가로형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교육 강의실에서의 활용에 있어 편리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오스크 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를 위해 교육 캐릭터를 구현하여 콘텐츠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는,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키오스크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부는,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의 전원 기동 시에 상기 키오스크 관리 서버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과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을 비교하고, 상기 키오스크 관리 서버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이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보다 높으면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의 키오스크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를 로딩 및 실행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문구 안내 및 음성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교육 캐릭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교육 이행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교육 캐릭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키오스크 미션을 사용자가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는 주변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장치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카메라, 카드리더기, 지문인식기, 바코드/QR코드 스캐너, 프린터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은, 상기의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오스크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고령자 또는 정보화 취약 계층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결재 화면과 실제 영수증 출력을 동일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이 있는 체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 콘텐츠의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키오스크 콘텐츠 관리 및 운영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만족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제공하고 이를 완료할 경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 및 참여도를 적극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빔프로젝트에 HDMI 연결 시에 자동으로 가로형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교육 강의실에서의 활용에 있어 편리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 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를 위해 교육 캐릭터를 구현하여 콘텐츠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사시도와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주변장치부(130)에 대한 세부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캐릭터(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의 화면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트 연결 시 구현되는 자동 가로 정렬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사시도와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극장, 카페 등에 실제로 배치되어 운영되는 키오스크 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상 유사한 외형과 사이즈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가로 폭이 약 30-40cm, 세로 폭이 약 30-40cm, 높이가 약 150cm로 구현될 수 있고, 특히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휠체어 사용 여부 등에 따라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주민센터, 복지센터, 시청, 구청 등의 공공 시설에 배치되어 운영될 수 있고, 따라서 공공 시설에 업무를 위해 방문한 사용자들이 업무 대기 시간 등을 활용하여 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주민센터 등의 일정 영역에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일 면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판(191)과, 지지판(191)의 일부 영역과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몸체(192)와, 제1 몸체(192)의 일부 영역과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193)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191)은 그 일면이 지면과 접촉하여 제1 몸체(192) 및 제2 몸체(193)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고, 미끄러움 방지 및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판(191)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 소재(예를 들어, 고무 등)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판(191)은 제1 몸체(192)와 상이한 컬러를 갖고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판(191)이 제1 몸체(192)와 동일한 컬러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몸체(192)는 일 측이 지지판(191)과 결합되고 타 측이 제2 몸체(193)과 결합될 수 있고, 제1 몸체(192)의 전면에는 카드리더기(132), 지문인식기(133), 바코드/QR코드 스캐너(134), 프린터(135), 오디오(136) 등의 주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몸체(193)는 일 측이 제1 몸체(192)와 결합될 수 있고,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몸체(193)의 두께는 제1 몸체(192)의 두께보다 더 작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193)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로, 제2 몸체(193)의 전면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카메라(13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카메라(131)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 등의 촬영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a)에 명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192)가 지면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제2 몸체(193)는 소정의 경사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경사를 갖고 제1 몸체(19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키오스크 화면의 표시부(120)가 배치되는 제2 몸체(193)가 사용자가 화면을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대로 약간 경사지게 구현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만족도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1000)은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와, 이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고령자, 정보화 취약 계층 등의 사용자에게 실제 산업 현장에 배치되는 키오스크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또는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부(110), 표시부(120), 주변장치부(130), 업데이트부(140), 저장부(150),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가 도시된 구성 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부, 모니터링부, 알람부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를 로딩 및 실행하여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문구 안내 및/또는 음성 안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교육 캐릭터(10, 이하 도 5 참조)가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그 키오스크 미션을 완료하면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의 이러한 다양한 동작, 기능 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술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표시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입력부의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1920Ⅹ1080 해상도를 갖는 21인치 이상의 FULL-HD LED로 구현되는 모니터를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매우 선명한 글자 및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시력이 좋지 않은 고령의 사용자도 불편하지 않게 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표시부(120)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LED 뿐만 아니라,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활용한 키오스크 교육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주변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장치부(130)는 카메라(131), 카드리더기(132), 지문인식기(133), 바코드/QR코드 스캐너(134), 프린터(135), 오디오(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면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은 제어부(110)에 전달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높이(또는, 키), 휠체어 사용자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자동 높이 조절, 표시부(120)의 상하 화면 전환(이하 도 6에서 다시 기술함)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키가 작음을 검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휠체어 사용자임을 검출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표시부(120)가 장착된 제2 몸체(193)가 지면 방향을 향해 하강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2 몸체(193)와 제1 몸체(192)의 결합 영역에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소정의 승/하강 수단(예를 들어, 상하 레일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로, 고령자가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해 교육을 받기 위해 계속해서 서 있게 되면 고령자에게 신체적인 부담이 가중되어 고령자가 정상적인 교육을 받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일 측에 교육용 의자가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교육용 의자에는 제어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가 부착될 수 있고 센서에 의해 사용자 착석 감지 시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눈높이로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하강시킬 수 있거나, 또는 카메라(131)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을 감지하면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눈높이로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하강시킬 수 있거나, 또는 센서 및 카메라(131) 모두에 의해 사용자 착석이 감지되면 제어부(110)가 사용자의 눈높이로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카드리더기(1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카드 결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상품 구매의 마지막 단계로서 비용 결제를 카드리더기(132)를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리더기(132)는 실제 매장 등에서 활용되는 카드리더기와 동일할 수 있고, 교육 과정에서 사용자가 카드리더기(132)에 카드를 삽입하면 해당 카드 번호를 식별하는 과정까지 진행을 하고, 실제 비용 결제 과정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결제 과정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를 카드리더기(132)에 삽입함으로써 키오스크를 통한 비용 결제를 체험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교육용 신용카드가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어(예를 들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제1 몸체(192) 일 측에 소정의 수납 공간을 마련하여, 그 수납 공간에 교육용 신용카드가 배치될 수 있음), 사용자는 교육용 신용카드를 카드리더기(132)에 삽입함으로써 키오스크를 통한 비용 결제를 체험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신용카드 결제가 아닌 현금 지급의 형태로 키오스크 교육/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현금 이미지(5만원, 1만원, 5천원, 1천원 등) 또는 동전 이미지(5백원, 1백원, 50원, 10원 등)가 표시부(12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청구된 비용만큼의 현금/동전 이미지를 클릭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표시부(120)의 현금/동전 이미지를 터치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교육용 현금 또는 교육용 동전이 추가로 구비되어 이를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납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교육용 현금 또는 동전은 제1 몸체(192) 일 측에 마련된 소정의 수납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지문인식기(133)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한 주민등록등본 발급 시 본인 확인을 위해 지문 인식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주변장치부(130)는 사용자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지문인식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주민 센터 등에 실제 배치되어 있는 무인민원발급기는 정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하면 정부 서버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교육/체험을 위한 장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저장부(150)에 정부 서버의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으며, 따라서 제어부(110)는 지문인식기(133)를 통해 임의의 지문이 인식되어 입력이 되면, 지문 비교의 과정이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하도록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가 정부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다면, 제어부(110)가 지문인식기(133)를 통해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바코드/QR코드 스캐너(134)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제공될 수 있는 키오스크 콘텐츠에는 대형 마트 등에서 점원의 도움이 없이 직접 결제를 수행할 때의 키오스크 활용을 위한 '셀프계산' 항목이 있는데, 이를 위해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부착된 교육 물품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60)는 키오스크 교육을 위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표시부(12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교육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QR코드,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수신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바코드/QR 코드 스캐너(134)에 스캐닝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바코드/QR 코드 스캐너(134)를 통해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스캐닝되면 정상적으로 교육/체험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린터(135)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콘텐츠 교육이 진행됨에 따라 수반되는 영수증, 쿠폰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배치되는 키오스크와 실질상 동일한 결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카드리더기(132)를 통한 신용카드 결제 또는 교육용 현금/동전 지급이 이루어지면 프린터(135)를 통해 비용 결제 또는 지급에 대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이 있는 키오스크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110)는 표시부(120)를 통해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예를 들어, “M사에서 B세트 1개를 주문해보세요”,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기차표를 신용카드로 예매해보세요”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달성하면 제어부(110)는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매장의 상품(예를 들어, 체험한 M사의 B세트, 기차 예매권 등)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 또는 할인 쿠폰이 프린터(135)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거나, 포인트 등이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제어부(110)에 의해서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키오스크 미션은 콘텐츠 교육 과정의 임의의 시점에 표출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 교육을 모두 정상적으로 완료하면 콘텐츠 교육의 마지막 단계로서 키오스크 미션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136)는 음성 안내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표시부(120)에 키오스크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 고령자, 정보화 취약 계층 등의 사용자가 보다 능숙하게 키오스크 콘텐츠의 활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문구 안내 및/또는 음성 안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음성 안내가 오디오(136)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디오(136)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 안내를 활용함으로써 키오스크 장치의 사용법을 보다 확실하게 인지하여 습득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140)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키오스크 콘텐츠의 온라인 자동 업데이트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되는 키오스크 콘텐츠의 최신 업데이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 및 인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업데이트부(140)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원 기동 시에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과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을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보다 더 높으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콘텐츠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데이트부(140)에 의한 자동 온라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따라, 소프트웨어 버전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콘텐츠 프로그램을 매번 재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키오스크 콘텐츠의 교육과 관련된 임의의 데이터, 자료,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에는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키오스크 콘텐츠는 업데이트부(140)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추가로, 저장부(150)에는 카메라(131)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제어부(110)의 제어 명령, 카드리더기(132)에서 판독된 카드 정보, 지문인식기(133)에 의해 인식된 지문 정보, 바코드/QR코드 스캐너(134)에 의해 스캐닝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프린터(135)에서 출력되는 영수증 정보, 오디오(136)에서 출력되는 음성 안내 정보, 광고 콘텐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저장부(15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50)가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가로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여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을 체크할 수 있고, 교육용 QR 코드 및/또는 교육용 바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부(16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6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표시부(120), 주변장치부(130), 업데이트부(140), 저장부(15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표시부(120), 주변장치부(130), 업데이트부(14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주민 센터 등에 배치된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종합적으로 총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160)를 통해 업데이트부(140)와 통신함으로써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키오스크 콘텐츠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로부터 교육용 QR 코드 및/또는 교육용 바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콘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구비되는 표시부(120)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표시부(120)에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표시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로서 무선민원발급기, ATM기(은행), 병원, 패스트푸드, 카페, 영화관, 고속버스, KTX, 공항, 휴게소, 셀프계산, 주차위치확인 등 12개의 키오스크 콘텐츠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할 뿐 추가적인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예를 들어, 주유소 키오스크, 지하철 키오스크, 은행 키오스크 등)이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사용자가 키오스크 콘텐츠의 추가/수정/삭제 등을 요청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가하고자 하는 키오스크 콘텐츠를 요청하거나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키오스크 콘텐츠에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해 학습 난이도(예를 들어, 초급자, 중급자, 상급자 등)가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각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교육 이행도가 상승함에 따른 성취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메인 화면 우측 상단에는 음성 안내 아이콘이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 음성 안내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음성 안내 기능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자신의 교육 숙달도에 따라 음성 안내 기능을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표시부(120)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예를 들어, 12개의) 키오스크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키오스크 콘텐츠를 선택하면(예를 들어,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를 로딩 및 실행하여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도 4a에서는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KTX(열차 예매) 키오스크 콘텐츠를 선택한 예를 도시하고, 그에 따른 KTX(열차 예매) 콘텐츠의 교육 과정이 도 4b 내지 도 4j에 도시된다.
참고로, 도 4a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키오스크 콘텐츠는 실제 키오스크를 운영하는 업체의 정보를 반영하여 카테고리화 및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영화관, B 영화관, C 영화관에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키오스크의 UI가 각각 상이함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도 4a 도시되는 '영화관'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영화관'의 서브 항목으로서 A 영화관, B 영화관, C 영화관의 아이콘이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서브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해 업데이트부(140)의 자동 온라인 업데이트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선택된 영화관에 대해 실제 해당 영화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키오스크와 실질상 동일한 UI를 갖는 키오스크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이 있고 응용력이 있는 교육/체험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을 터치함으로써 KTX 예매를 시작할 수 있고, 아이콘 ④를 터치함으로써 다음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과 ④를 차례로 터치함으로써 출발지 입력 상태를 만들고, 아이콘 ⑤ 중에서 출발역을 터치함으로써 출발역을 선택(예를 들어, 서울)할 수 있고, 여기서 좌우 방향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출발역 목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과 ④를 차례로 터치함으로써 도착지 입력 상태를 만들고, 아이콘 ⑤ 중에서 도착역을 터치함으로써 도착역을 선택(예를 들어, 강릉)할 수 있고, 여기서 좌우 방향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도착역 목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을 터치함으로써 출발 일자를 입력할 수 있고, 아이콘 ④를 터치함으로써 승객 연령 및 좌석 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아이콘 ⑤에서 날짜를 터치함으로써 출발 일시를 선택할 수 있고, 아이콘 ⑥에서 시간을 터치함으로써 출발 시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아이콘 ⑦을 터치함으로써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도 4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에서 [+], [-]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승객 수를 증가/감소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④를 터치함으로써 다음 단계로 진행하며, 아이콘 ⑤에서 예매하는 열차와 객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 및 ④를 차례로 터치함으로써 좌석 선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아이콘 ⑤에서 좌석 이미지를 터치함으로써 좌석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h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아이콘 ③에 표시되는 승차권의 일시, 시간, 출발지, 도착지, 좌석을 확인할 수 있고, 아이콘 ④에 표시되는 승차권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이콘 ⑤을 터치함으로써 결제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아이콘 ⑥에서 결제하고자 하는 카드 유형을 선택함으로써 결제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i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카드리더기(132)에 실제 신용카드 또는 교육용 신용카드를 삽입한 후 아이콘 ③을 터치함으로써 결제를 시작할 수 있고, 결제 완료 후 아이콘 ④를 터치함으로써 승차권을 인쇄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린터(135)에 의해).
카드 결제 및 승차권 인쇄가 완료되면, 도 4j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승차권 출력 화면이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아이콘 ①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이콘 ②를 터치함으로써 현재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캐릭터(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교육 캐릭터(10)를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키오스크 콘텐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키오스크 사용을 여전히 어려워하는 사용자를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안내, 지시 포인터, 말풍선, 아이콘 등이 수반될 수 있는 교육 캐릭터(10)가 키오스크 콘텐츠와 함께 표시부(120)에 표시될 수 있고, 그러한 교육 캐릭터(10)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일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참고로, 교육 캐릭터(10)의 온/오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예를 들어, 표시부(120)의 터치스크린 화면에 온/오프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또는 미리 정의된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등)될 수 있고, 사용자가 다양한 타입(예를 들어, 사람, 동물,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의 교육 캐릭터(10) 중 어느 하나의 교육 캐릭터(10)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교육 캐릭터(10) 대신에 다른 교육 캐릭터(10)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교육 캐릭터(10)에 제공되는 음성 안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교육 캐릭터(10)에 의한 콘텐츠 설명을 일시 중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등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31)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 영상에 기초하여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성별, 연령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의 교육 캐릭터(10)를 추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고령의 남성 사용자에게 “이미자”의 교육 캐릭터를 표시함).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키오스크 교육/체험 과정에서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교육 이행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교육 캐릭터(10) 출현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교육 캐릭터(10)를 표시부(120)에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키오스크 교육을 어려워하는 사용자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의 화면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상하의 2분할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교육 콘텐츠 화면과 안내/광고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카메라(131)에 의해 또는 센서(미도시)에 의해 또는 카메라(131) 및 센서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가 단신인지 또는 장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i) 사용자가 단신인 경우(휠체어 사용자를 포함), 도 6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육 콘텐츠 화면을 표시부(120)의 하측에, 안내/광고 화면을 표시부(120)의 상측에 배치할 수 있고, (ii) 사용자가 장신인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교육 컨텐츠 화면을 표시부(120)의 상측에, 안내/공과 화면을 표시부(120)의 하측에 배치하도록 표시부(120)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안내/광고 화면에는 특정 기업의 광고 영상, 관공서의 홍보 영상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광고 플랫폼(미도시)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광고/영상/배너를 등록 및 스케줄링하고, 쿠폰을 등록 및 수정하며, 이벤트를 등록하는 등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안내/광고의 화면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안내/광고의 표시를 오프한 경우에는 표시부(120) 전체에 교육을 위한 키오스크 콘텐츠만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리워드 등이 일부 제한(예를 들어, 키오스크 미션 수행시 제공되는 리워드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음)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트 연결 시 구현되는 자동 가로 정렬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세로형 UI를 갖는데, 다수 사용자의 교육을 위해 강의실 등에 설치된 빔프로젝트와 HDMI 연결을 할 경우 빔프로젝트 화면이 자동으로 가로형 UI로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로형 UI를 갖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가로형 UI를 갖는 빔프로젝트에 연결할 경우에 화면이 일부 절단되거나 또는 화면 양쪽에 공백이 생기는 등의 화면 왜곡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빔프로젝트와 HDMI 연결 시에 고 7의 우측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떠한 왜곡이나 짤림이 없이 가로형 UI로 정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저장부(150)는 해상도별로 가로형 프로그램과 세로형 프로그램이 모두 탑재되어 있고, 가로형이 디폴트인 빔프로젝트에 HDMI 연결 시 제어부(110)는 저장부(150)에 탑재된 가로형 프로그램을 로딩 및 실행함으로써 자동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로형으로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외부 디스플레이가 접근되는지를 판단하여 접근 시 외부 디스플레이의 형태(즉, 가로 또는 세로) 및 해상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외부 디스플레이의 형태 및 해상도에 맞추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표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고령자 또는 정보화 취약 계층의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결재 화면과 실제 영수증 출력을 동일하게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현실감이 있는 체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 콘텐츠의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를 제공함으로써 키오스크 콘텐츠 관리 및 운영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만족도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제공하고 이를 완료할 경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 및 참여도를 적극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빔프로젝트에 HDMI 연결 시에 자동으로 가로형으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교육 강의실에서의 활용에 있어 편리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에 의하면, 키오스크 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를 위해 교육 캐릭터를 구현하여 콘텐츠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110: 제어부
120: 표시부
130: 주변장치부
131: 카메라
132: 카드리더기
133: 지문인식기
134: 바코드/QR코드 스캐너
135: 프린터
136: 오디오
140: 업데이트부
150: 저장부
160: 통신부
200: 키오스크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
1000: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Claims (10)

  1.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로서,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가 해상도별로 가로형 프로그램 및 세로형 프로그램으로 저장되는 저장부(150); 및
    상기 저장된 복수의 키오스크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가 표시되는 표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일 측에 제어부(1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가 부착되는 교육용 의자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사용자 착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빔프로젝트와 HDMI 연결되면 자동으로 가로형 UI로 정렬되며,
    상기 키오스크 콘텐츠는, 실제 키오스크를 운영하는 업체의 정보를 반영하여 카테고리화 및 세분화되고,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는, 현금 이미지 또는 동전 이미지가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어 청구되는 비용만큼의 상기 현금 이미지 또는 동전 이미지를 클릭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교육용 현금 또는 교육용 동전을 구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교육 캐릭터(10)가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되, 상기 교육 캐릭터(10)의 온/오프가 설정되고 상기 교육 캐릭터(10)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안내의 속도가 조절되며 상기 교육 캐릭터(10)에 의한 콘텐츠 설명을 일시 중지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에 설치되는 카메라(13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성별 및 연령에 기초하여 상기 교육 캐릭터(10)가 추천되고,
    상기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학습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교육 이행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교육 캐릭터(10)를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소정의 키오스크 미션을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미션을 사용자가 완료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120)는 교육 콘텐츠 화면과 안내/광고 화면의 2분할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13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단신 또는 장신 여부에 따라 상기 교육 콘텐츠 화면 및 상기 안내/광고 화면의 상하 배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부(160)를 통해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업데이트부(140)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부(140)는,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전원 기동 시에 상기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과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을 비교하고, 상기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이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콘텐츠 버전보다 높으면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의 키오스크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를 로딩 및 실행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키오스크 콘텐츠에 대한 문구 안내 및 음성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주변장치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장치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카메라(131), 카드리더기(132), 지문인식기(133), 바코드/QR코드 스캐너(134), 프린터(135) 및 오디오(1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10. 제 1 항에 따른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 및
    상기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1000).
KR1020220047446A 2022-04-18 2022-04-18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542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46A KR102542053B1 (ko) 2022-04-18 2022-04-18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46A KR102542053B1 (ko) 2022-04-18 2022-04-18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053B1 true KR102542053B1 (ko) 2023-06-13

Family

ID=8676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46A KR102542053B1 (ko) 2022-04-18 2022-04-18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861B1 (ko) 2023-08-03 2024-02-06 (주)성산기획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45B1 (ko) * 2020-02-17 2020-08-07 (주)지아이에듀테크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289460B1 (ko) * 2020-02-26 2021-08-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를 위한 금융 거래 사용자 경험 시스템
KR102370258B1 (ko) * 2021-05-28 2022-03-04 주식회사 문화새움 키오스크를 통한 전시관 미션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KR20220045291A (ko) * 2020-10-05 2022-04-12 (주)매직에코 키오스크 숙련도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45B1 (ko) * 2020-02-17 2020-08-07 (주)지아이에듀테크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289460B1 (ko) * 2020-02-26 2021-08-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를 위한 금융 거래 사용자 경험 시스템
KR20220045291A (ko) * 2020-10-05 2022-04-12 (주)매직에코 키오스크 숙련도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70258B1 (ko) * 2021-05-28 2022-03-04 주식회사 문화새움 키오스크를 통한 전시관 미션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861B1 (ko) 2023-08-03 2024-02-06 (주)성산기획 학교역사관 아카이브 e-book 앨범을 실행하는 키오스크및 이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667B2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9916736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remote user assistance
US8001002B2 (en) Interactively presenting advertising content offline
US20140081858A1 (en)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read from data bearing records
US10122966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KR102542053B1 (ko)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GB2502069A (en) Queuing system and method
US11886766B2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9118802B2 (en) Video ticket office
JP4351851B2 (ja) 特定空間内情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16091442A (ja) 自動販売機
US20230385010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KR20210010395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류장 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4102587A (ja) 情報表示装置、端末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58416B2 (ja) 受付システムおよび窓口操作機
US20100030652A1 (en) Hosting Interactive Management System
Boucher et al. Challenges Fac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Self-Service Technologies
KR20210070784A (ko) 단말을 이용한 무인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64975B1 (ko)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2595343B1 (ko)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US20240111474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KR102536910B1 (ko) 디지털 에이징을 위한 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JP200604851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および情報管理サーバ
US20060259313A1 (en) Enhanced brochure display stands
KR101743452B1 (ko) 캐리커처 자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