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975B1 -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975B1
KR102464975B1 KR1020220043114A KR20220043114A KR102464975B1 KR 102464975 B1 KR102464975 B1 KR 102464975B1 KR 1020220043114 A KR1020220043114 A KR 1020220043114A KR 20220043114 A KR20220043114 A KR 20220043114A KR 102464975 B1 KR102464975 B1 KR 10246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iosk
input
process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효진
채윤호
Original Assignee
서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효진 filed Critical 서효진
Priority to KR102022004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모드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튜토리얼 모드, 일정한 퀘스트를 달성하여야 완료되는 퀘스트 모드 및 조건 제약 없이 수행되는 프리 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Training Method for Using Kiosk Using User Terminal-Based Train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령인이나 특수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키오스크(Kiosk) 사용법을 교육할 수 있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키오스크(Kiosk)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얻거나 구매·발권·등록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는 최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따라 서비스업 분야에서 무인화 기기의 도입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점차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다만, 키오스크는 인력이 수행하던 업무를 대체하여, 영업을 위해 요구되던 최소 근무 인원을 감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고령층 또는 특수한 교육이 필요한 계층에 있어서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키오스크의 사용 방법에 대한 교육 솔루션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들은 실제 키오스크 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순한 기능 제공에 그치고 있어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2645호(발명의 명칭: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공고일자: 2020.08.07)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디지털기기에 대해 친숙하지 못한 세대나 계층에게 키오스크의 사용 방법을 단계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할 수 있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육 모드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튜토리얼 모드, 일정한 퀘스트를 달성하여야 완료되는 퀘스트 모드 및 조건 제약 없이 수행되는 프리 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행결과를 기초로 생성한 업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업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쿠폰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업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추천 퀘스트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육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쟁자 단말기와 동일한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대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교육 모드를 영상으로 저장하고, 상기 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는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실전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용할 키오스크에는 제휴에 의해 미리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실전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키오스크 정보데이터 일람으로부터,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의 정보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로딩된 키오스크의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모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모드 리스트는,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을 실시간 보조하는 쉐도잉 보조 모드 및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입력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을 보조하는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쉐도잉 보조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미리 마련된 복수 개의 주문 프리셋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주문 프리셋 중 어느 하나의 주문 프리셋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실행 입력된 주문 프리셋에 대한 입력 과정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되, 제공되는 입력 과정 사이마다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표시부에서 제공된 입력 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표시부에서 제공된 입력 단계와 일치할 경우 다음 입력 과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쉐도잉 보조 모드 수행 중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현재 표시부에서 제공된 입력 단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시키는 무효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로딩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제공되는 메뉴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일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수행부를 통해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적합한 입력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적합한 입력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다음 메뉴를 제공하도록 하는 진행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적합하지 않은 입력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시키는 무효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는, 디지털기기로부터 소외된 계층이 쉽고 편리하게 키오스크 사용방법을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난 것이다.
도 4는 터치연습게임을 통해서 사용자가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다양한 터치 동작을 흥미롭게 연습할 수 있도록 터치 동작으로 에어캡을 터뜨리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서 튜토리얼 모드, 퀘스트 모드, 프리 모드를 출력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튜토리얼 모드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퀘스트 모드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프리 모드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업적 정보가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대결 프로그램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실전 보조 프로그램 중 쉐도잉 보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실전 보조 프로그램 중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은 저장매체에 저장된 골프 코스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관리서버의 프로세서인 연산처리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키오스크 사용 교육용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모듈 등 영상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유한 모바일 단말기 등에서 시각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키오스크 사용 교육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는 이동식 디스크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키오스크 사용 교육용 프로그램은 관리서버가 다양한 기능적 수단으로 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정보 처리가 하드웨어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키오스크를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모두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200)에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쟁자 단말기(300)와도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1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경쟁자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입력 수단을 갖는 스마트폰,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무인결제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정보와 각종 메뉴 선택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30), 사용자 정보와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20),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140), 영수증 등을 인쇄할 수 있는 출력부(150) 및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입력부(130)와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경쟁자 단말기(300)도 사용자 단말기(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를 다양한 선택사항을 통해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바코드, QR코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키오스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수단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으며,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200)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은 예시에 불과하며, 식당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카페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고속버스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기차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은행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관공서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공항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주유소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영화관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지하철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병원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주차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대형마트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도서관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또는 패스트푸드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등 실생활에 사용되는 다양한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은 프로세서(110)가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S200),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모드를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S300), 프로세서(110)가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400),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500), 프로세서(110)가 수행결과를 기초로 생성한 업적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S600), 프로세서(110)가 업적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700) 및 프로세서(110)가 사용자의 업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쿠폰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8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순서도에 따라 각 단계가 차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각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각 단계 사이에 다른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서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10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identify)할 수 있는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교육 모드를 수행한 결과인 수행결과도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정보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하여 서버(200)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10)는 표시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S20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40)는 복수의 교육 프로그램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교육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실생활에 사용되는 다양한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터치 연습을 위한 터치연습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연습게임이란, 고령층과 같이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적은 사용자에게 터치스크린 사용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친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터치감도를 익힘으로서 보다 자연스러운 터치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터치연습게임은 기본적인 탭(tap)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터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터치연습게임을 통해서 사용자가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는 이러한 다양한 터치 동작을 흥미롭게 연습할 수 있도록 터치 동작으로 에어캡을 터뜨리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10)는 표시부(14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모드를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모드를 수신한다(S300). 도 6은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서 튜토리얼 모드(따라하기), 퀘스트 모드(도전하기), 프리 모드(혼자 하기)를 출력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튜토리얼 모드, 퀘스트 모드, 프리 모드 중에서 자신이 수행하고자 하는 교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교육 모드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모드를 수행한다(S400). 이하에서는 튜토리얼 모드, 퀘스트 모드, 프리 모드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은 튜토리얼 모드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는 튜토리얼 모드의 다양한 실시예로서, 패스트푸드 주문 튜토리얼 모드, 분식집 주문 튜토리얼 모드, 버스 예매 튜토리얼 모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키오스크에 대한 튜토리얼 모드가 가능하다. 튜토리얼 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순서에 따라 터치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교육 모드를 의미한다. 튜토리얼 모드는 복수의 터치 동작이 일정한 순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올바른 터치 동작이 입력부(130)에 수신된 경우에만 다음 터치 동작으로 넘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불고기버거 세트 메뉴 주문하기’가 최종 목표인 경우 ‘주문하기’ 탭 동작, ‘세트 메뉴’ 탭 동작, ‘불고기버거 세트’ 탭 동작, ‘결제하기’ 탭 동작, ‘신용카드로 결제’ 탭 동작, ‘영수증 출력’ 탭 동작의 순서대로 터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튜토리얼 모드는 UI(User Interface) 가이드, 음성 가이드, 텍스트 가이드, 이미지 가이드, 진동 가이드 등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100)가 안내하는 순서에 따라서 진행된다. 사용자가 기대되는 다음 터치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가이드를 통해서 사용자가 잘못된 터치 동작을 수행했음을 알려줄 수 있다. 튜토리얼 모드는 제시된 터치 동작을 그대로 따라하면 되므로 키오스크를 처음 접해보는 사용자가 위축되지 않고 키오스크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도와준다.
도 8은 퀘스트 모드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는 퀘스트 모드의 다양한 실시예로서, 패스트푸드 주문 퀘스트 모드, 증명서 발급 퀘스트 모드, 영화 예매 퀘스트 모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키오스크에 대한 퀘스트 모드가 가능하다. 퀘스트 모드는 일정한 퀘스트를 달성하여야 완료가 되는 교육 모드를 의미한다. 퀘스트 모드에서 달성해야 할 퀘스트는 미리 정해진 목록이 제시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퀘스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업적 정보를 통해서 프로세서(110)가 사용자의 숙련도에 맞는 퀘스트를 생성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다양한 퀘스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신의 숙련도에 대응되는 퀘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퀘스트 모드는 튜토리얼 모드와 달리 퀘스트 달성에 이르기까지 기대되는 터치 동작들에 대한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40)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메뉴, 이미지, 아이콘 등을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고기버거 세트 메뉴 주문하기’가 퀘스트인 경우 ‘주문하기’ 탭 동작, ‘세트 메뉴’ 탭 동작, ‘불고기버거 세트’ 탭 동작, ‘결제하기’ 탭 동작, ‘신용카드로 결제’ 탭 동작, ‘영수증 출력’ 탭 동작이 순서대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퀘스트 모드에서는 이러한 터치 동작들 사이에 다른 터치 동작이 수행되어도 상관없다. 사용자가 표시된 모든 메뉴 등을 터치할 수 있으므로 퀘스트가 달성될 수 있도록 UI 가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UI 가이드는 퀘스트 달성을 위해 기대되는 최소한의 터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퀘스트 모드가 종료되면 표시부(140)가 성공 여부를 출력하며, 이때 사용자는 난이도를 선택하거나 동일한 퀘스트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프리 모드가 수행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는 프리 모드의 다양한 실시예로서, 영화 예매 프리 모드, 버스 예매 프리 모드, 카페 주문 프리 모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키오스크에 대한 프리 모드가 가능하다. 프리 모드는 실제 키오스크와 동일하게 별도의 조건 제약이나 가이드 없이 키오스크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교육 모드를 의미한다. 프리 모드는 퀘스트 모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다양한 메뉴, 이미지, 아이콘 등을 제한없이 터치할 수 있다. 또한, 프리 모드는 실제 사용되고 있는 키오스크를 그대로 모사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프리 모드를 통해 실제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 모드가 종료되면 프로세서(110)는 표시부(140)를 통해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출력한다(S500).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성취감을 얻을 수 있으며 키오스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기초로 생성한 업적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S600). 사용자의 교육 모드 수행결과는 완료여부, 달성여부, 수행시간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업적 정보는 사용자 정보와 연동되어 서버(200) 또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교육 모드를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영상은 서버(200)에 저장되어 외부에서 네트워크(10)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서버(200)는 외부에서 해당 영상을 접근할 수 있도록 연결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링크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를 통해 SMS 문자메시지 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수행한 교육 모드의 결과를 영상으로 지인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높은 성취감 또는 목표의식을 갖게 될 수 있다.
업적 정보가 사용자 정보에 업데이트 된 후 프로세서(110)는 업적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700). 도 10은 업적 정보가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특정 교육 프로그램 또는 특정 교육 모드에 대한 교육 횟수, 달성 횟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로서, 일정한 보상 시스템을 통해서 접속 횟수, 연습 횟수, 퀘스트 완료 횟수에 대한 보상을 다양한 색상의 배지를 지급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키오스크 교육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업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쿠폰 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800). 또한, 이러한 쿠폰 정보가 인쇄된 쿠폰 용지를 출력부(150)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 정보를 획득한 사용자는 해당 쿠폰을 실제 키오스크 환경에서 사용함으로써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교육과 실제 생활에서의 키오스크 사용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단일 사용자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모드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경쟁자 단말기(300)가 서로 경쟁하는 대결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대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경쟁자 단말기(300)가 서로 경쟁하며 퀘스트를 달성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경쟁자 단말기(3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대결 프로그램은 표시부(140)에서 대결 프로그램을 같이 수행하고자 하는 경쟁자 단말기(3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경쟁자 단말기(300)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 즉, 경쟁자 단말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대결 프로그램에서는 경쟁자 단말기(300)와 네트워크(10)로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의 공간이 형성되면 서로 대결을 위한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터치 동작을 통해 대결을 시작할 수 있다. 대결 프로그램은 교육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퀘스트 모드와 프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퀘스트 모드와 프리 모드의 진행방식은 기본적으로 교육 프로그램과 유사하다. 다만, 대결 프로그램에서는 경쟁자 단말기(300)와 동일한 시각에 퀘스트 모드 또는 프리 모드가 시작되며 먼저 퀘스트 또는 목표를 달성한 사람에게 보상이 주어질 수 있다. 또한, 대결 프로그램을 통해 쌓은 업적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대결 프로그램은 1:1 방식뿐만 아니라 3인 이상의 단말기가 서로 경쟁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교육 프로그램 및 대결 프로그램과 더불어,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는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실전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실전 보조 프로그램의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이용할 실제 키오스크에는 제휴에 의해 미리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제한없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와 키오스크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간을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한 뒤,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진행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뒤,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실제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는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실전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실전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는, 프로세서(110)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프로세서(110)가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키오스크 정보데이터 일람으로부터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의 정보데이터를 로딩하게 되며, 또한 프로세서(110)는 로딩된 키오스크의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모드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모드 리스트는, 쉐도잉 보조 모드와,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쉐도잉 보조 모드는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을 실시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며,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는 전술한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입력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을 보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사용자는 본인이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과정 전체에 대한 보조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쉐도잉 보조 모드을 선택하고,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과정 중 취약한 일부에 대한 보조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쉐도잉 보조 모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실전 보조 프로그램 중 쉐도잉 보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도잉 보조 모드는 먼저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미리 마련된 복수 개의 주문 프리셋을 제공한다.
주문 프리셋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이 가능하도록 범용적이고 대중화된 주문 내용을 선정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사용자가 미리 본인이 선소하는 주문 내용을 선정하여 저장한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30)를 통해 복수 개의 주문 프리셋 중 어느 하나의 주문 프리셋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프로세서(110)가 표시부(140)를 통해, 실행 입력된 주문 프리셋에 대한 입력 과정을 단계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제공되는 입력 과정 사이마다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표시부(140)에서 제공된 입력 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연결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키오스크에 입력하는 내역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으며, 입력 내역이 현재 표시부(140)에서 표시되는 과정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판단 과정 결과 사용자가 현재 키오스크에 입력하는 내역이 현재 표시부(140)에서 제공된 입력 단계와 일치할 경우, 프로세서(110)는 다음 입력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단 과정 결과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현재 표시부(140)에서 제공된 입력 단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시키는 무효화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키오스크 측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하도록 무효화명령을 전송하여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확인 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무효화명령 전송 시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알람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실전 보조 프로그램 중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는 먼저 프로세서(110)가 해당 사용자에 대한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로딩하여, 해당 사용자가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을 조회하게 된다. 즉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 진행에 있어, 사용자에 대한 교육 모드 수행결과는 사용자의 취약 부분을 판단할 수 있는 참고 지표로서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110)는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또한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제공되는 메뉴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키오스크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 돌입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수행부를 통해 알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적합한 입력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판단 결과 프로세서(110)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적합한 입력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다음 메뉴를 제공하도록 하는 진행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키오스크 측에서는 다음 메뉴 화면을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는 현재의 입력이 올바른 입력이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110)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적합하지 않은 입력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시키는 무효화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키오스크 측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하도록 무효화명령을 전송하여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확인 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전 보조 프로그램은, 키오스크에 구비된 카드리더기를 통해 가상의 결제 실습 과정을 제공하는 결제 실습 모드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제 실습 모드는 키오스크에 구비된 카드리더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본인이 연습한 주문 과정을 마친 뒤 임의의 결제 실습용 카드로 카드리더기에 카드를 결제하는 과정을 직접 수행하게 된다.
이때 키오스크의 카드리더기에서는 실제 결제 과정이 처리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적으로 가상의 결제를 생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키오스크는 카드리더기와 함께 설치된 영수증 프린터 기기를 통해, 사용자가 가상의 결제를 수행한 내역에 대한 영수증 용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네트워크
100: 사용자 단말기
110: 프로세서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출력부
200: 서버
300: 경쟁자 단말기

Claims (14)

  1.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교육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교육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가 제휴에 의해 미리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 실제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는 실전 보조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실전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실제 키오스크에 설치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의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키오스크 정보데이터 일람으로부터,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의 정보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로딩된 키오스크의 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 과정을 보조하기 위한 복수의 보조 모드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모드 리스트는,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을 실시간 보조하는 쉐도잉 보조 모드; 및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는 입력에 대해서만 사용자의 키오스크 이용을 보조하는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쉐도잉 보조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미리 마련된 복수 개의 주문 프리셋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주문 프리셋 중 어느 하나의 주문 프리셋에 대한 실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실행 입력된 주문 프리셋에 대한 입력 과정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되, 제공되는 입력 과정 사이마다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표시부에서 제공된 입력 과정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표시부에서 제공된 입력 단계와 일치할 경우 다음 입력 과정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쉐도잉 보조 모드 수행 중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현재 표시부에서 제공된 입력 단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시키는 무효화명령을 전송하여 키오스크에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수행부를 통해 알람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확인 후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보조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상기 교육 모드의 수행결과를 사용자의 취약 부분을 판단하는 참고 지표로서 로딩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을 조회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현재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제공되는 메뉴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일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수행부를 통해 알람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적합한 입력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적합한 입력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다음 메뉴를 제공하도록 하는 진행명령을 전송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해당 사용자가 높은 취약도를 나타낸 입력 동작에 대응되는 메뉴에서, 무선 통신 연결된 키오스크에서 발생한 입력정보가 적합하지 않은 입력명령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에 현재 입력을 무효화시키는 무효화명령을 전송함에 따라 키오스크에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확인 후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교육 모드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튜토리얼 모드, 일정한 퀘스트를 달성하여야 완료되는 퀘스트 모드 및 조건 제약 없이 수행되는 프리 모드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행결과를 기초로 생성한 업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업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쿠폰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업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추천 퀘스트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쟁자 단말기와 동일한 퀘스트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대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교육 모드를 영상으로 저장하고, 상기 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하는,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사용자 단말기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사용자 단말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KR1020220043114A 2022-04-06 2022-04-06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10246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14A KR102464975B1 (ko) 2022-04-06 2022-04-06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14A KR102464975B1 (ko) 2022-04-06 2022-04-06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975B1 true KR102464975B1 (ko) 2022-11-07

Family

ID=8404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114A KR102464975B1 (ko) 2022-04-06 2022-04-06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9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63B1 (ko) * 2018-04-18 2019-08-14 안용재 퀘스트 기반의 게임을 이용한 국민안전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42645B1 (ko) 2020-02-17 2020-08-07 (주)지아이에듀테크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20200127136A (ko) * 2018-06-14 2020-11-10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34601A (ko) * 2020-09-11 2022-03-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학습 방법 및 스마트 학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63B1 (ko) * 2018-04-18 2019-08-14 안용재 퀘스트 기반의 게임을 이용한 국민안전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27136A (ko) * 2018-06-14 2020-11-10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42645B1 (ko) 2020-02-17 2020-08-07 (주)지아이에듀테크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20220034601A (ko) * 2020-09-11 2022-03-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학습 방법 및 스마트 학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9821B2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CN109643331A (zh) 通过利用现有内容使自然语言任务/对话创作自动化
JP2006119794A (ja) クーポンサービスシステム
US20170068986A1 (en) Interactive sponsored exercises
JP6062570B2 (ja) グループ内の構成員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10152548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er
KR101524523B1 (ko) Nfc 태그가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부가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64975B1 (ko) 사용자 단말기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한 키오스크 사용 교육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JP5882812B2 (ja) 買い物支援装置、買い物支援方法および買い物支援プログラム
Alnfiai VirtualEyez: developing NFC technology to enable the visually impaired to shop independently
US20160092971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server, storage medium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KR10151621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콘텐츠 생성 및 상품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7223107B1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装置
JP5089583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21004967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packaging
KR20140019602A (ko) 고객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107143A1 (en) Event-based user matching
CN113282225B (zh) 触控操作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084774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쿠폰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urran Pervasive and ubiquitous technology innovations for ambient intelligence environments
KR20230151635A (ko)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및 키오스크 결제 방법
JP2004227395A (ja) 特典交換サービス業務の実施方法および特典交換サービスシステム
CN117974255A (zh) 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86648A (ko) 실시간으로 서버에 접속하는 시스탬
KR20230099442A (ko)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기반하여 스마트 오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 플랫폼을 이용한 관광 방문 지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