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343B1 -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343B1
KR102595343B1 KR1020210152535A KR20210152535A KR102595343B1 KR 102595343 B1 KR102595343 B1 KR 102595343B1 KR 1020210152535 A KR1020210152535 A KR 1020210152535A KR 20210152535 A KR20210152535 A KR 20210152535A KR 102595343 B1 KR102595343 B1 KR 10259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al
information
terminal
educational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7765A (ko
Inventor
손철수
임은희
Original Assignee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5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3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07F17/0021Access to services on a time-basis
    • G07F17/0028Use of a wired telephone or public communication 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교육정보를 생성하는 교육용 단말기; 상기 교육용 단말기로부터 교육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고, 상기 입력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모듈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Terminal system for unmanned learning}
본 발명은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교육용 단말기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장노년층, 장애인 등에게 교육용 단말기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용 단말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단말기란 고객의 편의 또는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위하여 공공장소에 설치된 컴퓨터 자동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 고객의 편의를 위해 무인 단말기를 통해 셀프로 계산하는 방식이 대중화되고 있다.
한편, 장노년층이나, 장애인의 경우 디지털 기기를 다루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아직까지도 무인 단말기 보다는 대면 방식을 통해 민원을 처리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기기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무인 단말기를 이용 중인 경우, 다른 사용자가 무인 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인 단말기는 이용자의 키에 맞는 인체공학적 설계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정보를 편하게 보려면 자신의 키에 맞춰 터치스크린모니터의 각도를 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무인 단말기는 대중적인 평균 신장에 맞춰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이 과도하게 큰사람이나 아동 및 장애인과 같은 노약자, 특히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엔 큰 어려움이 따랐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무인 기기 안내를 위한 교육 콘텐츠가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5509호 "키오스크 시스템"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교육용 단말기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장노년층, 장애인 등에게 교육용 단말기를 손쉽게 이용하도록 하여 디지털 소외 계층의 디지털 정보 격차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교육용 단말기의 터치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고 친숙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수개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교육용 단말기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교육정보를 생성하는 교육용 단말기; 상기 교육용 단말기로부터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모듈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하며, 관리자로부터 전원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교육용 단말기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인식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작동하는 작동정보 및 상기 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절전시키는 절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관공서, 일상생활, 대중교통 및 문화생활에서 사용되는 교육용 단말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 모듈; 신용카드 또는 바코드로 결제하여 영수증을 출력하는 결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는 결제 모듈 및 사용자의 두뇌건강을 위해 제공되는 게임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신용카드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재가동 시키는 외부스위치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교육용 단말기 측면에 추가스크린을 설치하여 다수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교육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스크린부는, 상기 교육용 단말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추가스크린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측면에 상기 추가스크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스크린부는, 상기 거치홈의 내부 일측과 축으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어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양 측면에 이동돌기가 구비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스크린 및 하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상기 스크린을 감싸되, 양 측면에 하측이 개방된 형태의 이동홀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이동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이 이동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스크린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 후면에 연결된 실린더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전후 이동시키는 한 개 이상의 전후이동부재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 내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 상면과 연결된 실린더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눈높이를 인식한 후 시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송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시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바람직한 높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은 교육용 단말기 기기의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장노년층, 장애인들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민원서류 발급, 음식점 메뉴 주문, 대중교통 티케팅, 영화관 예매, ATM 기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등과 같이 실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되고 있는 무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한 서로 다른 교육 콘텐츠를 하나의 기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여러 장소를 방문하면서 교육용 단말기를 접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기기를 통해 다양한 교육용 단말기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육용 단말기를 통해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용 단말기에 대하여 터치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고 흥미 유발을 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 키가 작은 사용자 등이 학습용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교육용 단말기의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교육용 단말기 조작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육용 단말기에 다수개의 디스플레이가 추가됨으로써, 여러 명의 사용자가 교육용 단말기를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 학습용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교육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교육용 단말기에 추가스크린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b)는 도 4의 연결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교육용 단말기를 도시한 투영도.
도7의 (a) 내지 (c)는 도 6의 높이조절부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교육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은 교육용 단말기(1), 서버(2), 제어부(3) 및 단말(4)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용 단말기(1)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업무의 무인 자동화를 위하여 공공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교육용 단말기(1)는 인식센서가 구비되어 교육용 단말기(1)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센서는 교육용 단말기(1)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인식정보를 생성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서버(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 서버(2)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하기로 한다.
또한, 교육용 단말기(1)는 본체부(100) 및 터치스크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신용카드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수신부(110)와 교육용 단말기(1)를 재가동시키도록 형성된 외부스위치(130)를 포함하며, 프로그램 모듈(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스위치(130)는 원격 통신 또는 자동으로 전원이 가동되는 교육용 단말기(1)에 문제 발생 시, 수동으로 전원을 재가동시키도록 마련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원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교육용 단말기(1)는 기설치된 프로그램 모듈(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입력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교육용 단말기(1)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음식점 메뉴 주문, 대중교통 티케팅, 영화관 예매, ATM 기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용 단말기(1)를 이용하기 위한 서로 다른 교육 콘텐츠를 하나의 기기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다수개의 프로그램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0)은 교육 모듈(11), 결제 모듈(12) 및 게임 모듈(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램 모듈(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교육용 단말기(1)는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 모듈(10)을 통해 학습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교육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학습 내용, 학습 결과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스크린(210) 및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210)은 영상을 출력하며, 하우징(220)은 스크린(2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린(210)을 보호하는 것으로, 스크린(210) 및 하우징(220)의 형태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교육용 단말기(1)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200)에 출력된 영상을 직접 확인하고 터치함으로써 교육용 단말기(1)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육용 단말기(1)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육용 단말기(1)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200)를 직접 터치하지 않아도 음성을 통해 제어가 가능할 수 있어, 손을 움직이기 힘든 사용자도 교육용 단말기(1)에 대한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서버(2)는 교육용 단말기(1)로부터 교육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고,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모듈(10)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정보는 작동정보 및 절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2)는 인식정보가 수신될 경우 교육용 단말기(1)를 작동하는 작동정보를 생성하고, 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교육용 단말기(1)를 절전시키는 절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서버(2)는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를 통해 교육용 단말기(1)의 전원을 켜서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모듈(10)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2)는 절전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3)를 통해 교육용 단말기(1)를 절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작동정보는 교육용 단말기(1)의 전원을 켜도록 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전원을 킴과 동시에 교육이 시작되었다고 알리는 알림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정보는 소리, 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교육용 단말기(1)를 통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버(2)는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제어부(3)를 통해 교육용 단말기(1)의 전원이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여 전력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버(2)는 사용자가 교육용 단말기(1)에 접근했을 때, 자동으로 교육용 단말기(1)가 켜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에 임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집중력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버(2)는 사용자에 대한 교육정보를 수집하여 교육용 단말기(1)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에게 교육용 단말기(1) 학습에 대한 추천 학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는 서버(2)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교육용 단말기(1)를 작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는 서버(2)로부터 작동정보를 수신하여 교육용 단말기(1)의 전원을 작동하고 프로그램 모듈(10)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는 서버(2)로부터 절전정보를 수신하여 교육용 단말기(1)가 절전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4)은 서버(2)와 네트워크 통신하며, 관리자로부터 전원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2)로 전달하여 교육용 단말기(1)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4)의 형태는 네트워크로 통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PC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4)은 교육용 단말기(1)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관리자로부터 작동정보를 입력 받아 문제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작동정보는, 교육용 단말기(1)의 전원을 켜거나, 재가동시키거나, 교육용 단말기(1)의 프로그램을 리셋하는 등에 대한 정보이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교육용 단말기(1)를 제어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교육용 단말기(1), 서버(2) 및 제어부(3)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모듈(10)을 제공하여 교육용 단말기(1)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육용 단말기(1)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 모듈(10)을 선택하도록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 모듈(10)에 대한 입력 정보를 서버(2)로 전송하여 제어부(3)를 통해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교육 모듈(11)은 관공서, 일상생활, 대중교통 및 문화생활에서 사용되는 교육용 단말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분야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교육용 단말기(1)는 민원서류 발급을 위해 공공기관 등에 비치된 무인 발급기, 음식 메뉴 주문을 위해 음식점에 비치된 무인 학습용 단말기, 영화 티켓 및 스낵류의 예매, 주문을 위해 영화관에 비치된 무인 발권기, 커피 및 음료 등의 주문을 위해 카페 비치된 무인 학습용 단말기, 고속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한 티켓의 발권을 위한 무인 발권기 및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중 어느 무인 학습용 단말기에 대한 조작법을 교육받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선택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분야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은 선택된 분야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위한 컨텐츠를 교육용 단말기(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모듈(10)은 실제 교육용 단말기에서 작동되는 화면 및 기능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한 다양한 화면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점 분야를 선택하는 경우,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메뉴들을 출력하고, 그 중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메뉴 결제를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어 결제 과정을 가상으로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주문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결제 모듈(12)은 결제 수단으로 결제하여 영수증이 출력되는 결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제로 교육용 단말기(1)에서 진행되는 결제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모바일 결제, 상품권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카드를 투입하는 카드 투입구 및 바코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수신부(110)를 통해 결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결제 모듈(12)은 사용자가 결제 수단을 수신부(110)에 인식하게 되면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로 전송하고, 서버(2)는 상기 결제 정보를 제어부(3)로 전송하여 결제가 완료됨과 동시에 출력부(120)로 하여금 영수증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는 영수증을 통해 결제가 제대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결제 모듈(12)은 카드로 결제할 경우,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카드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할 수 있으며, 금액이 실제로 결제되지 않는 가상 결제 시스템으로 0원이 결제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게임 모듈(13)은 사용자의 두뇌건강을 위해 제공되는 게임으로, 스크린 터치 게임, 같은 그림 찾기, 그림에 맞는 단어 찾기 등 다양한 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임 모듈(13)은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을 통해 터치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교육용 단말기(1)에 대한 재미를 부여하여 교육용 단말기(1)가 친숙한 기기로 인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은 실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교육용 단말기의 이용을 위한 다수의 교육 컨텐츠를 하나의 기기를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용 단말기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한 장소에서 교육받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일상 생활에서 교육용 단말기(1)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직접적인 도움을 주며, 사회적 소외감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3의 교육용 단말기에 추가스크린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의 (a), (b)는 도 4의 연결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터치스크린부(200)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교육용 단말기(1)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추가스크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스크린부(230)는 추가스크린(232)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연결부재(231) 및 삽입홈(231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연결부재(231)는 교육용 단말기(1)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310)은 추가스크린(2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3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추가스크린부(230)는 삽입홈(2310)에 추가스크린(232)을 삽입함으로써 다수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교육용 단말기(1)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추가스크린부(230)는 도 4와 같이 교육용 단말기(1) 양측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최대 3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교육용 단말기(1)는 도 5와 같이 측면에 추가스크린(2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 거치홈(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홈(233)은 터치스크린부(200) 및 본체부(100)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거치홈(233)은 추가스크린(2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추가스크린(232)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되, 추가스크린(232) 보다 다소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추가스크린부(230)는 거치홈(233)의 일측과 축으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추가스크린부(23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거치홈(233)에 삽입되어 보관하고, 사용시에만 거치홈(233)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의 교육용 단말기를 도시한 투영도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도 6의 높이조절부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은 교육용 단말기(1)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300)의 설명에 앞서, 스크린(210) 및 하우징(220)의 형태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스크린(210)은 일반적으로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스크린(210)은 양측면에 길이를 따라 형성된 이동돌기(2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0)은 스크린(210)을 상측에서 감싸도록 하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20)은 양 측면에 하측이 개방된 형태의 이동홀(221)이 구비되어 이동돌기(2101)가 이동홀(221)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300)는 터치스크린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전후이동부재(310) 및 상하이동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이동부재(310)는 터치스크린부(2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후이동부재(31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스크린(210)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부(100) 후면에 연결된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전후이동부재(310)는 도 7의 (b)와 같이 실린더가 인출됨에 따라 터치스크린부(200)를 전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이동부재(320)는 터치스크린부(200)가 전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한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하이동부재(320)는 일측이 하우징(220) 상측 내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린(210) 상면과 연결된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하이동부재(320)는 도 7의 (c)와 같이 실린더가 인출됨에 따라 터치스크린부(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교육용 단말기(1)는 높이조절부(300)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조절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눈높이를 인식한 후 시선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로 전송하는 것으로, 카메라 센서, 이미지 센서, 광센서, 영상센서 등의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서버(2)는 감지센서로부터 시선정보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부(200)의 바람직한 높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2)는 제어부(3)를 통해 높이조절부(30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터치스크린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교육용 단말기(1)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터치스크린부(20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몸이 불편하거나 키가 작은 사용자도 교육용 단말기(1)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교육용 단말기
10: 프로그램 모듈
11: 교육 모듈
12: 결제 모듈
13: 게임 모듈
2: 서버
3: 제어부
100: 본체부
110: 수신부
120: 출력부
130: 외부스위치
200: 터치스크린부
210: 스크린
2101: 이동돌기
220: 하우징
221: 이동홀
230: 추가스크린부
231: 연결부재
2310: 삽입홈
232: 추가스크린
233: 거치홈
300: 높이조절부
310: 전후이동부재
320: 상하이동부재
4: 단말

Claims (9)

  1. 다수개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교육용 단말기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교육정보를 생성하는 교육용 단말기;
    상기 교육용 단말기로부터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모듈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하며, 관리자로부터 전원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교육용 단말기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고, 신용카드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재가동 시키는 외부스위치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교육용 단말기 측면에 추가스크린을 설치하여 다수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교육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스크린부는,
    상기 교육용 단말기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추가스크린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정보를 기반으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인식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작동하는 작동정보 및
    상기 인식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절전시키는 절전정보를 포함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모듈은,
    관공서, 일상생활, 대중교통 및 문화생활에서 사용되는 교육용 단말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 모듈;
    신용카드 또는 바코드로 결제하여 영수증을 출력하는 결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는 결제 모듈 및
    사용자의 두뇌건강을 위해 제공되는 게임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측면에 상기 추가스크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거치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스크린부는,
    상기 거치홈의 내부 일측과 축으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어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7. 다수개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고, 교육용 단말기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생성하는 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교육정보를 생성하는 교육용 단말기;
    상기 교육용 단말기로부터 교육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모듈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하며, 관리자로부터 전원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교육용 단말기의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상기 프로그램 모듈이 설치되고, 신용카드 및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육용 단말기를 재가동 시키는 외부스위치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양 측면에 이동돌기가 구비되고, 영상을 출력하는 스크린 및
    하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상기 스크린을 감싸되, 양 측면에 하측이 개방된 형태의 이동홀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이동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이 이동가능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스크린의 후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 후면에 연결된 실린더로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전후 이동시키는 한 개 이상의 전후이동부재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 내면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 상면과 연결된 실린더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눈높이를 인식한 후 시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로 송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시선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바람직한 높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KR1020210152535A 2021-11-08 2021-11-08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KR10259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35A KR102595343B1 (ko) 2021-11-08 2021-11-08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35A KR102595343B1 (ko) 2021-11-08 2021-11-08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765A KR20230067765A (ko) 2023-05-17
KR102595343B1 true KR102595343B1 (ko) 2023-10-31

Family

ID=8654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535A KR102595343B1 (ko) 2021-11-08 2021-11-08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3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898U (ko) * 1995-07-28 1997-02-21 터치스크린의 선택메뉴 확인장치
KR20150096171A (ko) * 2014-02-14 2015-08-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200085471A (ko) * 2019-01-07 2020-07-15 (주)한우리아이티 음식 주문용 키오스크를 이용한 음식 주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46B1 (ko) * 2019-12-17 2020-05-19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 스마트 시니어 키오스크 교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765A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6757A (ko) 개별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해 하나 이상의 패널을 끊김 없이 분리하기 위한 다중 패널, 다중 통신 비디오 월 및 시스템 및 방법
CN109858224A (zh) 生物识别认证的实现
Robitaille The illustrated guide to assistive technology and devices: Tools and gadgets for living independently
US20020175915A1 (en) Internet image projector
KR101413649B1 (ko)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터치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장치
US20150052452A1 (en) Unified interactive method for information management
CN208622062U (zh) 增强现实交互系统
KR102249512B1 (ko) 장애인용 컨트롤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KR20220045291A (ko) 키오스크 숙련도 교육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JP5747204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
JP4523839B2 (ja) 画像入力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2595343B1 (ko)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US20090204387A1 (en) Gaming Machine
US9118802B2 (en) Video ticket office
KR20080037261A (ko) 듀얼 방식의 키오스크 단말기
KR102536910B1 (ko) 디지털 에이징을 위한 학습용 키오스크 시스템
CN108874156A (zh) 增强现实交互系统及其使用方法
KR20040014918A (ko) 사진 시일 자동 판매기 및 방법, 시일지, 및 시일지 유닛
KR102542053B1 (ko) 교육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JP2001266218A (ja) 顧客操作端末の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
KR102474399B1 (ko) 사회적 약자가 손쉽게 활용하도록 접근성을 높인 키오스크와 키오스크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343851B1 (ko) 대화 방식의 지능형 민원 처리 시스템
CN112905087B (zh) 交互状态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22058821A (ja) 案内システム
WO2020235304A1 (ja) 入力システム、提示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