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171A -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171A
KR20150096171A KR1020140017288A KR20140017288A KR20150096171A KR 20150096171 A KR20150096171 A KR 20150096171A KR 1020140017288 A KR1020140017288 A KR 1020140017288A KR 20140017288 A KR20140017288 A KR 20140017288A KR 20150096171 A KR20150096171 A KR 20150096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area
screen
cont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171A/ko
Publication of KR2015009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컨텐츠를 재생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1영역의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영상 재생 중에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중인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한 화면상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CONTENT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영상 재생 중에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중인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한 화면상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동영상, 정지영상, 그래픽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처리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 처리장치는 공간 효율을 높이고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텐츠 처리장치의 메뉴 표시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텐츠 처리장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 컨텐츠 표시 영역의 일부를 할애하여 메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재생 화면과 메뉴를 한 화면상에 표시하면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확인하면서 재생/다음/이전 등의 컨텐츠 재생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메뉴 선택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으로 메뉴를 표시하면 컨텐츠 재생 화면상에 표시된 메뉴로 인해 화면에 표시중인 영상이 가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23637: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영상 재생 중에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중인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한 화면상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컨텐츠를 재생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1영역의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 위치가 각기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 각기 다른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을 표시할 제1제어 영역과 메뉴화면을 표시할 제2제어 영역을 구분하는 레이아웃 제어모듈;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이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 영역에 표시하는 영상화면 제어모듈; 및 상기 제2영역에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식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화면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아웃 제어모듈은, 선택된 메뉴에 따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상하좌우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가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제어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 위치가 각기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상하좌우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 각기 다른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가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제어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 중에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동일 화면에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방법에 따르면, 현재 표시중인 화면을 확인하면서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메뉴들을 선택할 수 있으며 메뉴 선택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환되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텐츠 처리장치의 메뉴 표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의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장치의 메뉴 표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장치의 메뉴 표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장치(200)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장치의 메뉴 표시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처리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10),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부(216), 컨텐츠를 재생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부(218), 컨텐츠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14), 디스플레이부(214)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1영역에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며, 제1영역의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부(300) 및 컨텐츠 재생부(218)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하고, 입력부(210)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212)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컨텐츠 처리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10)는 터치 패드, 키패드, 혹은, 사용자의 입력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4)는 컨텐츠 처리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14)는 컨텐츠 처리장치(200)의 기능 선택을 위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며, 컨텐츠 처리장치(2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한다.
컨텐츠 저장부(216)에는 동영상, 정지영상, 그래픽 등의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저장된다.
컨텐츠 재생부(218)는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생성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영상 처리부(300)는 제어부(212)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한다. 영상 처리부(300)는 컨텐츠 재생부(218)에서 생성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한다.
영상 처리부(300)는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14)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1영역에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s)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메뉴(m)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위치, 즉, 메뉴(m)와 컨텐츠 영상화면(s)의 위치는 영상 처리부(300)의 제어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는 제1영역에 표시된 컨텐츠 영상화면(s)이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제어한다. 뷰잉 퍼스펙티브는 컨텐츠 영상화면(s)의 제1변과 이에 평행하는 제2변에 서로 다른 깊이(depth)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 영상화면(s)이 마치 3차원 공간에 표시된 것처럼 느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 처리부(300)는 뷰잉 퍼스펙티브가 컨텐츠 영상화면(s)을 제1영역에 표시하고 나머지 제2영역에 메뉴(m)를 표시하여 한 화면상에 컨텐츠 영상화면(s)과 메뉴화면(m)이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212)는 컨텐츠 처리장치(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12)는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 입력인 경우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s)과 메뉴(m) 화면이 표시되도록 영상 처리부(300)를 제어한다.
메뉴표시 선택 입력 방식은 컨텐츠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중에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거나, 혹은, 특정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 하는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방향으로 스와이프 하는 동작으로 메뉴표시를 선택하는 경우, 스와이프 방향에 따라 메뉴가 표시되는 위치가 제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3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300)는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을 표시할 제1제어 영역과 메뉴화면을 표시할 제2제어 영역을 구분하는 레이아웃 제어모듈(310), 컨텐츠 영상화면이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제어하여 제1제어 영역에 표시하는 영상화면 제어모듈(312), 제2영역에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식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화면 제어모듈(314)을 포함한다.
레이아웃 제어모듈(310)은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을 표시할 제1제어 영역과 메뉴화면을 표시할 제2제어 영역을 구분한다.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영역은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영역 설정에 따라 메뉴(m) 화면과 컨텐츠 영상화면(s)의 위치는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화면 제어모듈(312)은 컨텐츠 영상화면(s)이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제어하여 제1제어 영역에 표시한다. 뷰잉 퍼스펙티브는 컨텐츠 영상화면의 제1변과 이에 평행하는 제2변에 서로 다른 깊이(depth)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 영상화면(s)이 마치 3차원 공간에 표시된 것처럼 느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컨텐츠 영상화면(s)은 4개의 변을 갖기 때문에 4가지 종류의 뷰잉 퍼스펙티브를 갖는 컨텐츠 영상화면(s)이 생성될 수 있다.
영상화면 제어모듈(312)은 컨텐츠 영상화면(s)의 상하좌우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른쪽 영역에 컨텐츠 영상화면(s)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 제어모듈(312)은 컨텐츠 영상화면(s)의 오른쪽 변보다 왼쪽 변의 깊이(depth)를 깊게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s)이 디스플레이부(214)의 중심 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것처럼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왼쪽 영역에 컨텐츠 영상화면(s)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 제어모듈(312)은 컨텐츠 영상화면(s)의 왼쪽 변보다 오른쪽 변의 깊이(depth)를 깊게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s)이 디스플레이부(214)의 중심 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것처럼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단 영역에 컨텐츠 영상화면(s)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 제어모듈(312)은 컨텐츠 영상화면(s)의 상단 측 변보다 하단 측 변의 깊이(depth)를 깊게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s)이 디스플레이부(214)의 중심 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것처럼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하단 영역에 컨텐츠 영상화면(s)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 제어모듈(312)은 컨텐츠 영상화면(s)의 하단 측 변보다 상단 측 변의 깊이(depth)를 깊게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s)이 디스플레이부(214)의 중심 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것처럼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메뉴화면 제어모듈(314)은 제2영역에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식의 메뉴(m)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2영역에 표시된 메뉴(m) 버튼을 터치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메뉴화면 제어모듈(314)은 제어부(212)로부터 스와이프의 입력 방향 정보를 제공받아 각 방향에 대응되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입력 방향이 좌에서 우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빨리감기"메뉴, 우에서 좌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되감기"메뉴, 상에서 하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일시정지 메뉴, 하에서 상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재생"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영상 처리부(300)는 제어부(212)로부터 입력되는 메뉴표시 선택 입력에 따라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메뉴표시 선택 입력이 방향성을 갖는 경우, 영상 처리부(300)는 메뉴화면과 컨텐츠 영상화면의 위치를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메뉴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어부(212)는 컨텐츠 재생부(218)를 제어하여 컨텐츠 재생화면을 표시한다(S110).
제어부(212)는 입력부(210)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2). 여기서, 메뉴표시 선택은 스와이프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12)는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을 인식한다(S114). 스와이프 입력 방향은 그 시작점에서부터 드래그 된 방향에 따라 상, 하, 좌, 우의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212)는 인식된 입력 방향을 영상 처리부(300)에 제공하며, 이에, 영상 처리부(300)는 입력 방향에 따라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메뉴화면을 생성한다(S116).
여기서, 메뉴화면은 스와이프의 입력 방향에 각기 대응되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입력 방향이 좌에서 우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빨리감기"메뉴, 우에서 좌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되감기"메뉴, 상에서 하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일시정지 메뉴, 하에서 상방향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재생"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화면은 상화좌우의 스와이프 입력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부여될 수 있다. 뷰잉 퍼스펙티브는 컨텐츠 영상화면의 제1변과 이에 평행하는 제2변에 서로 다른 깊이(depth)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 영상화면(s)이 마치 3차원 공간에 표시된 것처럼 느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컨텐츠 영상화면(s)은 4개의 변을 갖기 때문에 4가지 종류의 뷰잉 퍼스펙티브를 갖는 컨텐츠 영상화면(s)이 생성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는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한다(S118).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상화면과 메뉴화면은 스와이프 입력의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00)는 메뉴화면과 컨텐츠 영상화면의 위치를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메뉴화면의 표시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을 입력받아(S120), 선택된 메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S122).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212)는 해당 메뉴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여 컨텐츠 영상을 일시정지 혹은 재생하거나, 빨리감기, 되감기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장치(200)의 메뉴 표시 상태도로서, 메뉴화면과 컨텐츠 영상화면의 위치를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경우 메뉴 표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a)와 같이 좌에서 우방향으로 메뉴표시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영역은 오른쪽에 설정되고 왼쪽 영역에는 메뉴1(m1)이 표시될 수 있다. 왼쪽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1(m1)은"빨리감기"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영상화면은 오른쪽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b)와 같이 우에서 좌방향으로 메뉴표시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영역은 왼쪽에 설정되고 오른쪽 영역에는 메뉴2(m2)이 표시될 수 있다. 오른쪽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2(m2)은"되감기"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영상화면은 왼쪽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c)와 같이 상에서 하방향으로 메뉴표시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영역은 하단에 설정되고 상단 영역에는 메뉴3(m3)이 표시될 수 있다. 상단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3(m3)은"일시정지"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영상화면은 하단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d)와 같이 하에서 상방향으로 메뉴표시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영역은 상단에 설정되고 하단 영역에는 메뉴4(m4)이 표시될 수 있다.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메뉴4(m4)은"재생"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영상화면은 상단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a) 내지 (d)의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메뉴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12)는 선택된 메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14)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212)는 해당 메뉴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여 컨텐츠 영상을 일시정지 혹은 재생하거나, 빨리감기, 되감기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스와이프 방향을 인식하여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영역의 경우 메뉴 표시영역과는 분리되므로 재생중인 컨텐츠 화면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가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제어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컨텐츠 처리장치에서 영상 재생 중에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중인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한 화면상에 메뉴를 제공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200 : 컨텐츠 처리장치 210 : 입력부
212 : 제어부 214 : 디스플레이부
216 : 컨텐츠 저장부 218 : 컨텐츠 재생부
300 : 영상 처리부 310 : 레이아웃 제어모듈
312 : 영상화면 제어모듈 314 : 메뉴화면 제어모듈

Claims (10)

  1.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
    컨텐츠를 재생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생성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1영역의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 위치가 각기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 각기 다른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된 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화면을 표시할 제1제어 영역과 메뉴화면을 표시할 제2제어 영역을 구분하는 레이아웃 제어모듈;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이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를 갖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 영역에 표시하는 영상화면 제어모듈; 및
    상기 제2영역에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식의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화면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제어모듈은,
    선택된 메뉴에 따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상하좌우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
  6. 제어부가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제어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컨텐츠 영상화면과 상기 메뉴화면의 표시 위치가 각기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상하좌우 영역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표시 선택 입력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 각기 다른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어부가 컨텐츠 재생부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메뉴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영상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제1제어 영역과 제2제어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처리부가 상기 제1제어 영역에 뷰잉 퍼스펙티브(viewing perspective)가 제어된 컨텐츠 영상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17288A 2014-02-14 2014-02-14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50096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88A KR20150096171A (ko) 2014-02-14 2014-02-14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88A KR20150096171A (ko) 2014-02-14 2014-02-14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71A true KR20150096171A (ko) 2015-08-24

Family

ID=5405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88A KR20150096171A (ko) 2014-02-14 2014-02-14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1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308B1 (ko) * 2021-10-15 2022-03-02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KR20230067765A (ko) * 2021-11-08 2023-05-17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308B1 (ko) * 2021-10-15 2022-03-02 주식회사 로보그램인공지능로봇연구소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 인식 기반의 블록 코딩 학습 장치
KR20230067765A (ko) * 2021-11-08 2023-05-17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무인 교육용 단말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7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epresentative computerized display of a user'S interactions with a touchscreen based hand held device on a gazed-at screen
JP6039801B2 (ja) 透明な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用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との対話
US8923686B2 (en) Dynamically configurable 3D display
US11693535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5307000A (zh) 显示设备及其方法
US20130067332A1 (en) Media seek bar
US200901849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rea of touch screen device
US107399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401333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US20150339026A1 (en) User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thereof
CN107533424A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403334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KR20150142462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4967A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12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KR201600947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11937B2 (ja) タッチパッドを介する入力装置
US202201342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96171A (ko) 컨텐츠 처리장치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JP5981617B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像表示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JP591565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9778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103914A (ja) 表示装置、表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方法
JP6043955B2 (ja)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